KR200423739Y1 -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739Y1
KR200423739Y1 KR2020060013192U KR20060013192U KR200423739Y1 KR 200423739 Y1 KR200423739 Y1 KR 200423739Y1 KR 2020060013192 U KR2020060013192 U KR 2020060013192U KR 20060013192 U KR20060013192 U KR 20060013192U KR 200423739 Y1 KR200423739 Y1 KR 200423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ical body
hemisphere
display device
aviation obstacle
obstac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성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Priority to KR2020060013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7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7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4Anti-coll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6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주간 및 야간에 장애물의 존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는 상부반구와 하부반구로 이루어지는 구형의 몸체가 고공의 송전선에 체결된다. 구형 몸체의 내부 공간의 공간주파수 특성에 의한 고명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구형 몸체 내부의 공간에 방진재가 충진된다. 따라서, 공명현상에 의해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Apparatus for warning aircraft obstruction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 210 : 구형 몸체
220 : 발광 소자 230 : 전원
240 : 플랜지 246 : 플랜지 체결 부재
250 : 림 256 : 림 체결 부재
270 : 방진재
본 고안은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간 및 야간에 저공 비행중인 비행사에게 송전선로 등과 같은 장애물의 출현을 알려 줄 수 있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송전 또는 통신을 위한 송전선은 송전탑 등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송전선의 존재를 원거리에서 고속으로 진행하는 헬리콥터나 비행기 등의 비행사가 판독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항공장애 표시장치가 송신탑 사이의 송전선에 현수되어 비행사에게 송전선의 출현을 예고하는데, 소정의 색으로 착색하여 주간식별수단으로 사용하고 발광수단을 포함하여 야간식별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는 고공에 현수되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을 받아 상하 좌우로 심하게 요동된다. 따라서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항공장애물 표시장치는 유선형 또는 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100)는 내부를 송전선(10)이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부 반구(112) 및 하부 반구(114)로 구성된 구형 몸체(110) 및 상기 구형 몸체(110)를 상기 송전선(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100)는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구형 몸체(110)의 내부가 비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349438호에는 상기와 같이 구형 몸체의 내부가 비어있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에 대한 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100)에 가해지는 바람은 세기에 따라 주파수가 달라진다. 상기 바람의 주파수와 상기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100)가 갖는 자연 주파수가 비슷해지면 공명 현상에 의해 상기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100)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100)의 내부가 비어 있어 상기 공명 현상에 의한 소음이 더욱 크다. 또한, 상기 바람에 의한 상기 송전선(10)의 진동과 상기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100)의 진동이 서로 공명하여 소음이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구형 몸체(110)를 갖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100)는 바람에 의한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의 주파수와 표시장치의 내부 공간의 공간주파수 특성이 공명 현상을 일으키게 되면 진동소음이 증폭되어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섬과 육지 사이 도는 섬과 섬 사이의 바다를 횡단하는 송전선에서 더욱 심한 소음이 발생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공명 현상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는 고공의 송전선에 체결되며, 상부반구와 하부반구로 이루어지는 구형의 몸체를 포함한다. 방진재는 상기 구형 몸체의 내부 공간의 공간주파수 특성에 의한 고명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형 몸체 내부의 공간에 충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진재는 폴리우레탄 또는 발포폴리스티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는 내부가 상기 방진재로 충진되므로 바람에 의한 공명 현상을 방지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구조물들이 다른 구조물들의 "상에", "상부"에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각 구조물들이 직접 다른 구조물들 위에 위치하거나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 다른 구조물들이 상기 구조물들 사이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조물들이 "제1" 및/또는 "제2"로 언급되는 경우, 이러한 부재들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각 구조물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1" 및/또는 "제2"는 각 구조물들에 대하여 각기 선택적으로 또는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200)는 구형 몸체(210), 발광소자(220), 전원(230), 플랜지(240), 플랜지 체결부재(246), 림(250), 림 체결부재(256) 및 방진재(270)를 포함한다.
상기 구형 몸체(210)는 상부 반구(212) 및 하부 반구(214)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반구(212) 및 하부 반구(214)는 공중에 현수된 송전선(10)이 내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구형 몸체(210)를 형성한다. 상기 구형 몸체(210)는 내부가 빈 상태이다.
상기 구형 몸체(210)는 다수의 관통구(216)를 갖는다. 상기 상부 반구(212) 및 하부 반구(214)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결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부 반구(212)와 하부 반구(214) 사이를 통해 빗물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구형 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들(216)은 상기 이물질들을 상기 구형 몸체(210)의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상기 송전선(10)에 고정되는 상기 구형 몸체(210)의 무게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관통구(216)는 상기 상부 반구(212) 및 하부 반구(214)의 결합면과 수직하는 방향의 원주를 따라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구형 몸체(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들이 효과적으로 배출된다.
상기 구형 몸체(210)는 자체의 형상과 크기에 의해 주간에 식별이 가능하다. 주간에 상기 구형 몸체(210)를 보다 분명하게 식별하기 위해 상기 구형 몸체(210)는 눈에 잘 띄는 색으로 채색될 수 있다.
주간에는 상기 구형 몸체(210)의 형상과 크기 또는 색깔에 의한 식별이 용이하지만, 야간에는 어렵다. 그러므로, 자체적으로 광을 발할 수 있는 상기 발광소자(220)가 사용된다.
상기 발광소자(220)는 야간에 효과적인 식별을 위한 것으로, 상기 구형 몸체(210)의 표면에 구비된다. 상기 발광소자(220)는 어느 방향에서도 쉽게 인식될 수 있도록 상기 구형 몸체(210)의 표면 전체에 고르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소자(220)의 예로는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 드는 매우 길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유지보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220)는 상기 구형 몸체(210)의 표면에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발광소자(220)는 상기 상부 반구(212) 및 하부 반구(214)의 접합면과 수직하는 다수의 원주 상에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발광소자(220)는 상기 상부 반구(212) 및 하부 반구(214)의 결합면과 평행한 다수의 원주 상에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220)는 상기 구형 몸체(210)의 표면에 다양한 방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발광소자(220)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구형 몸체(210)의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구형 몸체(210)의 표면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에 광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창을 형성한 후 상기 통공 내부에 발광소자(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원(230)은 상기 발광소자(220)를 발광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상기 전원(230)의 예로는 태양 전지를 들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는 태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목적으로 제작된 광전지이다. 따라서 태양전지는 태양 에너지를 받을 수 있는 낮에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저장한다.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밤에 상기 발광 소자(220)를 점등하기 위한 에너지로 사용된다. 상기 구형 몸체(210)로 입사되는 태양광의 양은 바람 등에 의한 상기 구형 몸체(210) 자체의 움직임이나 태양의 고도 및 위치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태양광이 태양전지에 효과적으로 입사되도록 상기 태양전지를 상기 상부 반구(212) 및 하부 반구(214)의 표면에 각각 고르게 구비한다. 상기 태양전지의 수는 총 발광소자가 사용하는 전력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는 상기 발광소자(220)와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태양전지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반구에 통공을 설치하고 상기 통공에 태양광이 통과할 수 있는 투명창을 형성한 후 상기 통공 내부에 태양전지를 삽입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태양전지는 일출에서부터 일몰시까지 태양광에 효과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소자(220)로 전력의 소모량이 적은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230)으로 건전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 소자(220) 및 전원(230)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는 조도에 따라 상기 발광 소자(220)의 발광을 제어하며, 상기 전원(230)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한다.
상기 플랜지(240)는 상기 상부 반구(212) 및 하부 반구(214)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 반구(212) 및 하부 반구(214)의 양측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랜지(240)는 한 쌍의 상부 플랜지(242) 및 한 쌍의 하부 플랜지(244)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상부 플랜지(242)는 상기 상부 반구(21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하부 플랜지(244)는 상기 하부 반구(214)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상부 플랜지(242)의 저면과 상기 하부 플랜지(244)의 상면에는 나선 형태의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형 몸체(210)를 관통하는 송전선(10)이 안정 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체결부재(246)는 상기 플랜지(24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볼트와 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 체결 부재(246)는 상기 상부 플랜지(242) 및 하부 플랜지(250)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플랜지 체결 부재(246)는 상기 상부 반구(212) 및 하부 반구(214)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상기 구형 몸체(210)를 상기 송전선(1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림(250)은 상기 상부 반구(212) 및 하부 반구(214)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림(252) 및 하부 림(254)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림(252) 및 하부 림(254)은 각각 상기 상부 반구(212) 및 하부 반구(214)와 연결되며, 상기 상부 반구(212) 및 하부 반구(214)가 접촉하는 부분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림 체결부재(256)는 상기 림(25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 반구(212) 및 하부 반구(214)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강화시킨다. 또한, 상기 림 체결부재(256)는 오랜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상기 상부 반구(212) 및 하부 반구(214)를 단단히 조여주므로, 상기 상부 반구(212) 및 하부 반구(214)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림 체결부재(256)는 상기 한 쌍의 플랜지(24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림 체결부재(256)는 상기 림(250)의 외경방향으로 돌출된 돌기(258)에 형성된 홈(259)에 구비된다. 상기 림 체결 부재(256)는 상기 돌기(258)의 안쪽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볼트 및 너트가 상기 상부 림(252) 및 하부 림(254)에 교대로 장착함으로써 상기 상부 반구(212) 및 하부 반구(214)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방진재(270)는 상기 구형 몸체(210)의 내부에 충전된다. 바람의 주파수와 상기 구형 몸체(210)의 주파수가 비슷하여 공명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구형 몸체(210)의 내부가 충전되므로 상기 구형 몸체(210)에서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바람에 의한 상기 송전선(10)의 진동과 상기 구형 몸체(210)의 진동이 서로 공명하더라도 상기 구형 몸체(210)의 내부가 충전되므로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명 현상에 의한 상기 구형 몸체(210)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방진재(270)는 상기 공명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진재(270)는 가벼운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진재(270)가 무거운 물질인 경우, 상기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200) 자체의 무게를 증가시켜 상기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200)가 현수되는 송전선(10)을 처지게 하거나 손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진재(270)는 물에 젖지 않는 방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형 몸체(210)에 형성된 관통구(216)를 통해 물빗물이 침투하므로 상기 방진재(270)가 빗물에 젖지 않아야 한다. 상기 방진재(270)가 방수 재질이 아닌 경우 빗물에 젖어 상기 항공 장매울 표시 장치(200)의 무게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방진재(270)의 예로는 폴리우레탄, 발포폴리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구형 몸체(210)가 상기 송전선(10)에 고정되어 현수되므로 상기 방진재(270)가 무거운 물질인 경우 상기 송전선(10)을 처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진재(270)는 가벼운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진재(270)로는 상기 물질 중 어느 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지만, 무게가 가벼운 발포폴리스티렌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림(252)의 하부에는 홈(253)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 림(254)의 상면에는 돌기(255)가 구비된다. 상기 홈(253)과 돌기(255)가 서로 맞물려 상기 상부 반구(212) 및 하부 반구(214)의 결합력을 강화시킨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예로, 상기 상부 림(252)의 하면에 돌기를 구비되며, 상기 하부 림(254)의 상면에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플랜지(240)를 기준으로 일측 반원의 상부 림(252)에는 돌기를, 하부 림(254)에는 홈을 각각 구비하고, 타측 반원의 상부 림(252)에는 홈을, 하부 림(254)에는 돌기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200)는 상기 상부 반구(212) 및 하부 반구(214)로 이루어진 구형 몸체(210)가 상기 송전선(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발광 소자(220) 및 전원(230)을 이용하여 야간에도 상기 송전선(10)의 식별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구형 몸체(210)가 방진재(270)로 충진되므로 공진 현상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는 구형 몸체의 내부에 방진재가 충진된다. 따라서, 바람에 의한 공명 현상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재가 가볍고 물에 젖지 않는 재질이므로, 상기 방진재에 이해 상기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문제점도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고공의 송전선에 체결되며, 상부반구와 하부반구로 이루어지는 구형의 몸체; 및
    상기 구형 몸체의 내부 공간의 공간주파수 특성에 의한 고명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형 몸체 내부의 공간에 충진되는 방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재는 폴리우레탄 또는 발포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 장치.
KR2020060013192U 2006-05-17 2006-05-17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KR200423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192U KR200423739Y1 (ko) 2006-05-17 2006-05-17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192U KR200423739Y1 (ko) 2006-05-17 2006-05-17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739Y1 true KR200423739Y1 (ko) 2006-08-11

Family

ID=4177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192U KR200423739Y1 (ko) 2006-05-17 2006-05-17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7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279A (ko) * 2016-09-22 2018-03-30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선로용 항공장애 표시구
KR102645581B1 (ko) * 2022-11-03 2024-03-08 (주)이맥이노베이션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279A (ko) * 2016-09-22 2018-03-30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선로용 항공장애 표시구
KR101904910B1 (ko) * 2016-09-22 2018-11-21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선로용 항공장애 표시구
KR102645581B1 (ko) * 2022-11-03 2024-03-08 (주)이맥이노베이션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을 갖는 자체 발광 항공장애 표시구,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387B1 (ko) 수상태양광발전시스템의 계류장치
JP4845544B2 (ja) 水上発電装置
CN204290836U (zh) 一种浮动载体
KR101578680B1 (ko)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
US201600993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ploying Radiation Energy Conversion Cells
CN104283491A (zh) 一种漂浮在水面上的太阳能光伏电站
CN204119113U (zh) 一种漂浮在水面上的太阳能光伏电站
KR200423739Y1 (ko)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KR102160784B1 (ko) 단위 구조체를 이용한 수상 태양광 발전 설비
KR101632004B1 (ko) 수상 태양광 구조물
KR20130071831A (ko) 태양광 발전을 위한 수면 부상 플랫폼
CN104806451A (zh) 飘浮于高空的发电设备
KR101124486B1 (ko) 하이브리드식 타원구형 태양광 발전기
CN115180080A (zh) 一种海上太阳能平台
RU2558398C2 (ru) Фотоэлектрическая станция с функцией самоочистки солнечных модулей
KR101953980B1 (ko) 태양광 추적 부유식 발전 시스템
KR20120130810A (ko) 수상태양광 발전장치의 전도방지 부력체
US20150240785A1 (en) Power generation device floating in the air
KR20190122299A (ko) 자연재해와 환경재해의 차단 및 제거수단을 이용한 복합기능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036344B1 (ko) 태양열 집적판
KR20190094686A (ko) 수상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507691B1 (ko) 담수 태양광 발전장치
KR20170114340A (ko) 십자형으로 형성되는 태양광발전장치
CN108001635B (zh) 一种水上漂浮发电站的漂浮装置
KR102622682B1 (ko) 태양광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