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910B1 - 선로용 항공장애 표시구 - Google Patents

선로용 항공장애 표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910B1
KR101904910B1 KR1020160121239A KR20160121239A KR101904910B1 KR 101904910 B1 KR101904910 B1 KR 101904910B1 KR 1020160121239 A KR1020160121239 A KR 1020160121239A KR 20160121239 A KR20160121239 A KR 20160121239A KR 101904910 B1 KR101904910 B1 KR 101904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isphere
line
lower hemisphere
upper hemisphere
plast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279A (ko
Inventor
정상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정상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Priority to KR1020160121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91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2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4Anti-collision systems
    • G08G5/045Navigation or guidance aids, e.g. determination of anti-collision manoeu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는 가공선로에 설치되는 항공장애 표시구에 있어서, 발포성 플라스틱 소재의 상부 반구체와 상기 상부 반구체와 결합되는 발포성 플라스틱 소재의 하부 반구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반구체와 상기 하부 반구체의 접촉면에 돌출부와 함몰부가 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결합되며, 상기 가공선로가 파지될 수 있도록 선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로용 항공장애 표시구{Aviation obstacle device for overhead line}
본 발명은 선로용 항공장애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의 발포성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결합이 쉽고, 유지 보수가 간편한 항공장애 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송전 또는 통신을 위한 가공선로는 송전탑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데, 헬리콥터 또는 항공기 운행자가 선로를 육안으로 식별하기는 거의 불가능하여 항공기 사고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가공선로에는 헬리콥터나 항공기로부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항공장애 표시구를 송전선로와 통신선로와 같은 가공선로에 설치하게 되는데, 항공관련법령에 따르면 일정 높이 이상의 가공선로에는 이러한 항공장애 표시구를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
도 1은 항공장애 표시구가 가공선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개략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송전탑(1) 사이에 다수의 가공선로(2)가 연결되며, 항공장애 표시구(10)는 선로의 중간 중간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이러한 항공장애 표시구(10)는 일반적으로 반구 형상의 몸체(11, 12)가 선로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 구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몸체(11) 및 하부 몸체(12)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또한 선로(2)를 개재하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결합부는 상하부 몸체(11, 12)의 단부에 형성되어 선로(4)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하는 돌출부(13, 14)로 이루어지며, 이 한 쌍의 돌출부(13, 14)는 나사못(16) 등에 의해서 서로 결합된다. 또한 돌출부(13, 14)에는 서로 밀착하는 부위에 선로(2)를 개재하기 위한 반원형의 요홈(15)이 형성되며, 선로(2)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결합되거나 때로는 선로(4)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가공송전 설비에서 가공지선에 설치하는 항공장애 표시구(10)는 지상에서 60 m 내지 150 m 정도의 높이에 설치되어 자중에 의한 영향이 있고, 또한 상공에서의 풍속은 지상에서의 풍속보다 더 높고 변화가 심하여 바람에 의한 항력을 크게 받는다. 항공장애 표시구(10)에 의한 항력은 전선의 횡진을 발생시키며, 물체의 부가적인 힘이 작용하여 철탑과 구조물 자체에 하중을 가하게 된다. 또한, 가공지선에 설치된 항공장애 표시구(10) 표면에 바람이 불 경우, 항공장애 표시구(10)의 공기저항에 의한 저항력이 작용하고 소음,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진동은 항공장애 표시구(10)와 선로(2)의 접속부에서 항공장애 표시구(10)와 선로(2)를 손상시키며, 소음은 선로(2)가 지나가는 지역에 소음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설치 높이가 높기 때문에 파손 시에 보수를 위해 작업자가 직접 올라가는 경우에 작업이 복잡하게 되면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공기저항에 의해 저항이 낮추며, 보다 간단하게 교체 가능한 구조의 항공장애 표시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항공장애 표시구의 소재를 경량의 발포성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공기 저항에 의한 하중을 줄이고, 간단한 결합구조에 의해 보수가 간편한 항공장애 표시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는 가공선로에 설치되는 항공장애 표시구에 있어서, 발포성 플라스틱 소재의 상부 반구체와 상기 상부 반구체와 결합되는 발포성 플라스틱 소재의 하부 반구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반구체와 상기 하부 반구체의 접촉면에 돌출부와 함몰부가 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결합되며, 상기 가공선로가 파지될 수 있도록 선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성 플라스틱 소재는 발포성 폴리프로필렌(EPP) 또는 발포성 폴리에틸렌(EPE)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반구체 및 상기 하부 반구체에는 상기 선로홈이 연장 형성되고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상부 반구체와 상기 하부 반구체를 결합시킬 수 있는 돌출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반구체 또는 상기 하부 반구체의 표면에 형광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반구체 또는 상기 하부 반구체의 표면에 광반사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반구체 또는 상기 하부 반구체 표면에 핫멜트 공정에 표면 보호 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가 상부 반구체 또는 상기 하부 반구체 표면에 진공 열성형 공정에 의한 표면 보호 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포성 플라스틱 소재는 UV안정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포성 플라스틱 소재는 색상을 나타나기 위한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항공장애 표시구에 따르면 경량의 발포성 플라스틱을 소재로 사용하여 공기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 소음, 진동을 감소시키고, 내부가 꽉 찬 상태로 요철 형의 결합구조에 의해 보다 간편하게 보수가 가능하여 보수작업 시 작업자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외면에 야간에 식별이 가능한 형광물질 또는 광반사물질을 도포하여 주간뿐 만 아니라 야간에도 항공기 운행자가 용이하게 식별하여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표면에 보호필름을 형성하게 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항공장애 표시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항공장애 표시구가 가공선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항공장애 표시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장애 표시구(100)는 대략적으로 상부 반구체(110)와 하부 반구체(120)를 포함한다. 상부 반구체(110)와 하부 반구체(120)는 가공선로(4)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맞닿는 접촉면에 요 형의 돌출부(111, 121)와 철형의 함몰부(112, 122)가 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다.
상부 반구체(110)와 하부 반구체(12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부 반구체(110)와 하부 반구체(120)는 동일한 공정 및 제작 시스템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반구체(110)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하부 반구체(120)에 관하여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상부 반구체(110)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상부 반구체(110) 및 하부 반구체(120)는 경량을 유지하기 위해 발포성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발포성 플라스틱(비중 0.1kg/cm³이하 )의 경우 종래에 사용되었던 섬유강화플라스틱(FRP)의 소재(비중 1.8kg/cm³)보다 경량이므로, 설치 작업 시에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바람에 의한 항력에 따라 발생하는 하중, 소음, 진동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설치 후에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하여 보수작업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이를 쉽게 운반하고 작업이 간편하여 안정성이 추가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상기 발포성 플라스틱은 발포성 폴리프로필렌(EPP) 또는 발포성 폴리에틸렌(EPE)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성 폴리스틸렌(EPS)의 경우에는 발포 고분자 중에 밀도가 가장 낮고 재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반복충격에 약하기 때문에 상부 반구체 및 하부 반구체의 소재로 적합하지 않다.
종래의 항공장애표시구의 경우에는 내부에 빈 상태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하게 되고, 결합부분이 테두리로 한정되어 작업이 어려운 측면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발포성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내부가 꽉찬 형태로 상부 반구체(110) 및 하부 반구체(120)에 형성되어 있는 요형의 돌출부(111, 121)와 철형의 함몰부(112, 122)에 의해 결합되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돌출부(111, 121)와 함몰부(112, 122)는 상부 반구체(110) 및 하부 반구체(120) 각각에 상호 끼워질 수 있게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반구체(110)에 돌출부(111), 함몰부(112)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가공선로가 파지될 수 있도록 선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반구체(110)와 마찬가지로 하부 반구체(120)에는 돌출부(121), 함몰부(122)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가공선로가 파지될 수 있도록 선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11, 121)와 함몰부(112, 12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결합력의 향상을 위해 돌출부와 함몰부가 접촉하는 면은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발포성 플라스틱 소재는 자체에 탄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돌출부(111, 121)와 함몰부(112, 122)가 억지끼움형태로 쉽게 끼워질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돌출부(111, 121)와 함몰부(112, 122)는 다수가 형성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합정도를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해서 별도의 체결부재를 더 부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반구체 및 상기 하부 반구체에는 상기 선로홈이 연장 형성되고 외측으로 돌출결합부(113, 123)이 형성될 수 있다. 별도의 체결부재는 다양한 형태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별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클램프(131)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결합형태는 클립이나 별도의 걸개를 통하여 감쌀 수도 있으며,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항공장애주간표지의 설치 및 관리기준에 따르면, 가공선, 케이블, 현수선 등에 설치하는 표지물은 직경이 60cm 이상의 구형이며, 단일 색상이어야 하며, 붉은색이나 주황색을 사용하게 되어 있다. 다만, 주간표지물에 대한 규정으로서 일몰 근처에서는 표지물에 대한 어떠한 제한이 없이 이대로 사용하는 경우 일몰시간에 사고의 위험이 높아 질 수 있다. 사고 예방을 위해 상부 반구체(110) 또는 하부 반구체(120)의 표면에서는 야간식별을 위한 형광물질(130)이 도포될 수 있다. 형광물질(130)은 외부의 빛에 의해 자극을 받는 동안에 발광을 하는 물질로서, 낮에는 태양광에 의해 발광을 하여 잘 보일 수 있으며, 일몰 후에는 항공기의 야간 항행등에 의해 발광할 수 있는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형광물질 뿐만 아니라 항공기의 야간 항행등에 의한 반사광을 이용할 수 있도록 광반사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출 직전, 일몰 직전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항공장애 표시구(100)는 눈에 잘 띄는 색깔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가공선로(4)가 많이 설치되고 또한 항공기의 저공비행이 빈번한 곳이 주로 산간지역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항공장애 표시구(100)의 색깔은 산간지역의 녹색과 분명히 대비되는 주황색 계열의 색조를 띄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주황색 계열의 색조를 내기 위해서는, 상부 반구체(110) 또는 하부 반구체(120)의 표면에 페인트를 이용하여 착색하거나 도포되는 형광물질 또는 광반사물질을 착색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항공장애 표시구의 색상을 위해 발포 플라스틱의 비드 제조시에 주황색 계열의 안료 또는 염료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착색공정이 없기 때문에 보다 간단하게 항공장애 표시구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항공장애 표시구는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햇빛에 의해 열화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발포 플라스틱의 비드 제조시에 UV 안정제를 혼합하여 제조하게 되면 항공장애 표시구의 열화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항공장애 표시구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사용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항공장애 표시구를 발포성 플라스틱 소재로 사용하게 되면 경량화가 가능하고, 바람에 의한 항력에 의한 하중, 소음,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외부면은 형광물질 또는 광반사물질로 도포하여 주간뿐만 아니라 일조량이 적은 악천후나 일몰 시 또는 일몰 후에도 항공기 운행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항공장애 표시구의 표면의 보호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반구체 또는 하부 반구체 표면에는 별도의 작업을 통하여 보호용 필름을 부가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발포 플라스틱의 경우 다른 다른 플라스틱 재질보다 경도가 낮기 때문에 외부에 노출되었을 때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표면 보호 필름을 형성시킬 수 있다.
항공장애 표시구의 표면에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축성이 확보된 필름소재를 외부에 덮은 상태로 진공 열 성형을 하여 표면에 필름을 입히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 핫멜트를 사용하여 발포플라스틱의 녹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핫멜트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항공장애 표시구 110: 상부 반구체
120: 하부 반구체 130: 형광물질

Claims (9)

  1. 가공선로에 설치되는 항공장애 표시구에 있어서,
    발포성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제1 접촉면에 제1 선로 홈, 상기 제1 선로 홈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1 돌출부 및 제1 함몰부를 구비하는 상부 반구체, 그리고
    상기 상부 반구체와 결합되고 발포성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 접촉면에 제2 선로홈, 상기 제2 선로 홈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돌출부 및 제2 함몰부를 구비하는 하부 반구체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반구체와 상기 하부 반구체의 구조는 동일하며,
    상기 상부 반구체와 상기 하부 반구체가 결합되어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이 서로 접할 때 상기 제1 선로 홈과 상기 제2 선로 홈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고, 상기 제1 선로 홈과 상기 제2 선로 홈에 에워싸여진 공간 내에 가공 선로가 위치하며,
    상기 상부 반구체의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하부 반구체의 상기 제2 함몰부는 상기 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한 편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여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함몰부에 삽입되어 서로 결합되며,
    상기 하부 반구체의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상부 반구체의 상기 제1 함몰부는 상기 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한 편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여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함몰부에 삽입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플라스틱 소재는 발포성 폴리프로필렌(EPP) 또는 발포성 폴리에틸렌(E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반구체 및 상기 하부 반구체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선로홈이 각각 연장 형성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상부 반구체와 상기 하부 반구체를 결합시킬 수 있는 돌출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반구체 또는 상기 하부 반구체의 표면에 형광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반구체 또는 상기 하부 반구체의 표면에 광반사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반구체 또는 상기 하부 반구체의 표면에 핫멜트 공정에 의한 표면 보호 필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가 상부 반구체 또는 상기 하부 반구체의 표면에 진공 열성형 공정에 의한 표면 보호 필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플라스틱 소재는 UV안정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 플라스틱 소재는 색상을 나타나기 위한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 표시구.
KR1020160121239A 2016-09-22 2016-09-22 선로용 항공장애 표시구 KR101904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239A KR101904910B1 (ko) 2016-09-22 2016-09-22 선로용 항공장애 표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239A KR101904910B1 (ko) 2016-09-22 2016-09-22 선로용 항공장애 표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279A KR20180032279A (ko) 2018-03-30
KR101904910B1 true KR101904910B1 (ko) 2018-11-21

Family

ID=61900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239A KR101904910B1 (ko) 2016-09-22 2016-09-22 선로용 항공장애 표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9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1198A (zh) * 2020-04-26 2021-10-26 湖南辰东科技有限公司 一种可转动的障碍球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739Y1 (ko) * 2006-05-17 2006-08-11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KR100847246B1 (ko) * 2008-01-18 2008-07-22 (주)에이치엘 종합기술단 송전 및 배전선로용 항공 장애 표시구
KR101057037B1 (ko) * 2009-03-24 2011-08-19 김주영 점멸신호기가 구비된 송전 케이블용 항공장애표시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53697A1 (de) * 2005-11-10 2007-05-24 Wacker Chemie Ag Schäumbare Zusammensetzung zur Herstellung geschäumter Kunststoff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739Y1 (ko) * 2006-05-17 2006-08-11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KR100847246B1 (ko) * 2008-01-18 2008-07-22 (주)에이치엘 종합기술단 송전 및 배전선로용 항공 장애 표시구
KR101057037B1 (ko) * 2009-03-24 2011-08-19 김주영 점멸신호기가 구비된 송전 케이블용 항공장애표시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279A (ko) 201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8777B2 (en) Road guide post
US5122400A (en) Inflatable articles and method of creating inflatable products
US20200189712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protective outer cage therefor
KR101670507B1 (ko) 항로표지용 등부표
US20070134058A1 (en) Joints
KR101904910B1 (ko) 선로용 항공장애 표시구
KR101646095B1 (ko) 양식장 부표
WO2011157871A1 (es) Método de fabricación de larguerillos con forma de "t" para un avión y herramienta de curado usada en el mismo
JP2009221740A (ja) 反射シートを備えた標識
KR101173082B1 (ko) 부표를 이용한 등부표
KR20180052271A (ko) 항공장애표시구
KR20110122056A (ko) 도로표지병
US3467345A (en) Foam plastic float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2005163312A (ja) 組立式標識コーン
EP0364109B1 (en) Spoked wheel reflector employing encapsulated retroreflective tubing
JP5396329B2 (ja) 中空柱の補強構造
KR0134959Y1 (ko) 형광 플라스틱 와이어로프
RU2693215C1 (ru) Столбик
KR200460010Y1 (ko) 항공장애표시구의 결합부재
KR101048403B1 (ko)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등대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750220B1 (ko) 광고물 부착방지 효과 및 계몽효과를 복합적으로 사용 가능한 지주의 시트형 패널
CN208335401U (zh) 一种新型航空警示球
CN212580086U (zh) 航标
KR20230146317A (ko) 항공 장애 표시구
CN218258678U (zh) 一种机臂及无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