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684B1 - 현장 적용이 우수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현장 적용이 우수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684B1
KR102644684B1 KR1020230102024A KR20230102024A KR102644684B1 KR 102644684 B1 KR102644684 B1 KR 102644684B1 KR 1020230102024 A KR1020230102024 A KR 1020230102024A KR 20230102024 A KR20230102024 A KR 20230102024A KR 102644684 B1 KR102644684 B1 KR 102644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weight
parts
plate
vertic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2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운
Priority to KR1020230102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량용 표척의 충격보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측량할 때 표척수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직도의 수준을 조절하여 세팅하지 않고도 지면의 경사와 상관없이 자동으로 수직도를 유지시킴으로써 측량 오차를 방지하고, 이를 통해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측량용 표척의 충격보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장 적용이 우수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조절장치{Tripod control device for geodetic survey with excellent field application}
본 발명은 측지측량 기술 분야 중 현장 적용이 우수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량기기의 수직도를 항상 유지할 수 있고 충격에 대한 완충기능은 물론, 삼각대의 이동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현장 적용이 우수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측지측량은 현장의 제1지점에 대한 경도, 위도, 높이를 측량하는 동시에 제1지점과 제2지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이며 특정한 지점과 지점이 연결되면 넓은 면적에 대한 측지측량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측지측량에는 지피에스(GPS) 정보에 의한 좌표정보를 측정하여 이용하거나 해당 작업자가 현장에서 직접 좌표정보를 측정한다.
측지측량에 있어서는 레벨기, 지피에스 측지장치 등과 같이 정밀하며 고가의 측량기기(측정기기)를 사용하며, 이들 정밀한 측량기기들은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삼각대 등에 탑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측량기기로는 보통 토탈스테이션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망원경의 상하 이동으로 생기는 연직각을 측정하는 연직각 검출부와 본체의 좌우 회전으로 생기는 수평각을 측정하는 수평각 검출부, 본체의 중심부에서 프리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 본체의 수평을 측정하고 보정하는 틸링 센서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전자식 측거방식으로 측거 및 측각하기 때문에 측정한 정보를 단시간 내에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측량기기로 지표면을 측지측량할 때 일정 기준을 통해 정해진 수준점의 좌표가 정확한지 수준측량을 통해 확인하고, 지형간 거리를 측량하여, 정확한 좌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경사로에서는 삼각대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측량이 힘들고, 측량을 위해 작업자가 터를 파 수평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존재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2527609호(2023.04.26.) 경사면에 설치사용되는 측지측량용 삼각대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측량기기의 수직도를 항상 유지할 수 있고 충격에 대한 완충기능은 물론, 삼각대의 이동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현장 적용이 우수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납작한 막대상의 편대(100)와, 상기 편대(100)의 하단에 조립되는 어댑터(200)와, 상기 어댑터(200)가 삽탈되는 어댑터수납대(300)와, 상기 어댑터수납대(300)가 고정되고 상기 편대(100)를 항상 지구 중력방향으로 정렬하게 하여 수직도를 유지하는 수직도유지수단(400)과, 상기 편대(100)의 상단 양측면에 고정된 제1자석(110)과, 상기 편대(100)의 상단에 끼워지는 접속구(120)와, 상기 접속구(120) 내벽면에 인서트성형된 철편(130)과, 상기 접속구(120) 상단에 고정된 측량기기(14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도유지수단(400)은 드라이빙유닛(500)에 장착되어 움직이도록 구성하되, 상기 드라이빙유닛(500)은 주행바퀴(W)와, 상기 주행바퀴(W)에 축고정되고 경사연장된 유닛프레임(510)과, 상기 유닛프레임(510)의 상단에서 수평연장된 드라이빙핸들(HD)과, 상기 주행바퀴(W)의 축상에 설치되고 상기 유닛프레임(510)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면에 지지되게 회전가능한 'ㄱ'형상의 파지대(520)와, 상기 유닛프레임(510)에 고정되고 상기 파지대(52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530)와, 상기 유닛프레임(510)로부터 돌출된 고정베이스(540)와, 상기 고정베이스(540)에 고정된 공기압탱크(550)와, 상기 공기압탱크(550)의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공기공급펌프(560)와, 상기 공기압탱크(550)의 공압을 받아 회전구동되는 에어모터(5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적용이 우수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량기기의 수직도를 항상 유지할 수 있고 충격에 대한 완충기능은 물론, 삼각대의 이동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측량장비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의 수직도유지수단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의 어댑터 고정부재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비의 드라이빙유닛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삼각대 대신 사용되는 납작한 막대상의 편대(100)와, 상기 편대(100)의 하단에 조립되는 어댑터(200)와, 상기 어댑터(200)가 삽탈되는 어댑터수납대(300)와, 상기 어댑터수납대(300)가 고정되고 상기 편대(100)를 항상 지구 중력방향으로 정렬하게 하여 수직도를 유지하는 수직도유지수단(400)과, 상기 편대(100)의 상단 양측면에 고정된 제1자석(110)과, 상기 편대(100)의 상단에 끼워지는 접속구(120)와, 상기 접속구(120) 내벽면에 인서트성형된 철편(130)과, 상기 접속구(120) 상단에 고정된 측량기기(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어댑터(200)는 상기 편대(100)의 하단이 삽탈될 수 있는 사각통체 형태를 가지며, 상기 편대(100)를 삽탈할 때 마모되지 않도록 하면서 어댑터수납대(300)에 견실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이루도록 안내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자석에 붙는 금속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어댑터(200)는 반드시 금속으로 제작될 필요없이 합성수지로 경량화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어댑터(200)가 금속이든 합성수지이든 상관없이 일측면에 나사(SC)를 이용하여 편대(100)와 체결됨으로써 일체를 이루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어댑터수납대(300)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의 금속체 또는 합성수지체로서 상기 어댑터(200)가 삽입된 후 어댑터수납대(300)의 일측면에 제2자석(MG)을 부착함으로써 어댑터(200)가 쉽게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직도유지수단(400)은 상기 편대(100)가 항상 중력방향으로 정렬하게 하여 수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수직도유지수단(400)은 도 2의 예시와 같이, 판형상의 요잉판(Yaw Plate)(410)과, 상기 요잉판(410)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롤링판(Roll Plate)(420)과, 상기 롤링판(420)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피칭판(Pitch Plate)(430)과, 상기 피칭판(430)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고정판(4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440)의 상면에는 어댑터수납대(300)가 고정되고, 상기 어댑터수납대(300)에는 어댑터(200)가 조립 설치된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요잉판(410)과 롤링판(420)과 피칭판(430)이 각각 지구 중력방향으로 정렬하려고 하기 때문에 상기 요잉판(410)에 대해 상기 고정판(440)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요잉과 롤링과 피칭은 상기 고정판(440)이 진동이나 충격에 대해서도 충분한 완충이 일어나 무진동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항상 중력방향으로 정렬하게 하여 수직도를 유지하도록 한 공지된 짐벌이다.
여기에서, 어댑터(200)와 어댑터수납대(300)가 합성수지로 제조될 경우, 이들 표면에는 코팅조성물이 코팅된다.
상기 코팅조성물은 수직도유지수단(400)의 외표면에도 동일하게 스프레이 코팅되는데, 이러한 코팅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5.5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4.5중량부, 디아릴프탈레이트 5.5중량부, 망간아세테이트 5.5중량부, 메틸설포닐메테인 3.5중량부, 히드록시프롤린 7.5중량부, 세피올라이트(Sepiolite) 4.5중량부, 알루민산나트륨 4.5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다.
이때,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Cellulose Diacetate)는 셀룰로오스를 구성하는 파라노스(pyranose) 고리로 인해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게 되므로 코팅면의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를 향상시켜 크랙이나 들뜸, 층분리를 억제하게 된다.
또한,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는 표면이 산화에 의한 산패를 막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디아릴프탈레이트(diarylphthalae)는 성분간 접착성과 인성을 개선하여 크랙발생 억제를 포함한 내침식성 및 내약품성을 높이고, 내수압 특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망간아세테이트는 사방형의 결정성 분말로 분해되어 망간산화물을 형성하여 표면 고정력을 높이고, 내수압특성 강화, 내침식성 향상 효과가 있다.
특히, 메틸설포닐메테인(Methylsulfonylmethane)은 유기성분과 무기성분 사이의 공극을 메워줌으로써 코팅면의 공극 치밀화를 달성하여 방수성과 내수압특성을 증대시키고, 코팅층 벗겨짐을 방지한다.
또한, 히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은 표면 크랙발생을 억제하고, 갈라짐 방지, 내부식화를 강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세피올라이트(Sepiolite)는 둥그런 관모양의 변종인 미어샤움으로서 유기물의 흡착을 통해 악취성분의 분리를 촉진하고, 내침식성과 방수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알루민산나트륨은 각종 유기물질들과 유해성분을 분해 제거하는 특성이 있어 방오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나아가, 상기 어댑터(200)를 어댑터수납대(300)에 고정할 때 제2자석(MG)을 사용하지 않고, 도 3과 같은 어댑터 고정부재(22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어댑터(200)와 어댑터수납대(300)가 합성수지로 제작될 경우 고정력을 유지하는데 용이하다.
이를 위해, 상기 어댑터수납대(300)의 일측면에는 고정홈(HG, 도 2 참조)이 요입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 고정부재(220)는 케이싱(221)과, 상기 케이싱(221)에 내장된 슬라이더(222)와, 상기 슬라이더(222)의 일측면에서 일체로 연장돌출된 후 케이싱(221)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노출된 풀러(222)와, 상기 풀러(222)에 나사체결된 핸들(224)과, 상기 풀러(222)와 대향되게 슬라이더(222)의 타측면에서 일체로 연장돌출된 후 케이싱(221)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노출된 고정바(225)와, 상기 고정바(225)쪽 슬라이더(222)과 케이싱(221) 내측면 사이에 개재된 발포폼(226)과, 상기 풀러(222)쪽 슬라이더(222)과 케이싱(221) 내측면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227)를 포함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바(225)가 탄성체(227)의 탄성반발력 때문에 항상 도시와 같이 노출된 상태, 즉 잠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다가 핸들(224)를 당기면 탄성체(227)이 압축되면서 고정바(225)가 케이싱(221) 내부쪽으로 이동하면서 잠금이 해제되게 된다.
다른 한편, 상기 수직도유지수단(400)은 도 4과 같은 드라이빙유닛(500)에 장착되어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라이빙유닛(500)은 주행바퀴(W)와, 상기 주행바퀴(W)에 축고정되고 경사연장된 유닛프레임(510)과, 상기 유닛프레임(510)의 상단에서 수평연장된 드라이빙핸들(HD)과, 상기 주행바퀴(W)의 축상에 설치되고 상기 유닛프레임(510)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면에 지지되게 회전가능한 'ㄱ'형상의 파지대(520)와, 상기 유닛프레임(510)에 고정되고 상기 파지대(52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530)와, 상기 유닛프레임(510)로부터 돌출된 고정베이스(540)와, 상기 고정베이스(540)에 고정된 공기압탱크(550)와, 상기 공기압탱크(550)의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공기공급펌프(560)와, 상기 공기압탱크(550)의 공압을 받아 회전구동되는 에어모터(5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펌프(560)와 에어모터(570)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레임제어기(580)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유닛프레임제어기(580)는 상기 공기압탱크(550)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닛프레임(510)에는 수직도유지수단(400)이 고정되고, 상기 수직도유지수단(400)에는 편대(100)가 조립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유닛프레임제어기(580)를 제어하여 주행바퀴(W)를 구동시킴으로써 원하는 위치로 쉽고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편대(100)는 드라이빙유닛(500)의 경사각과 상관없이 항상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정확한 측지측량이 가능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100: 편대 200: 어댑터
300: 어댑터수납대 400: 수직도유지수단

Claims (1)

  1. 납작한 막대상의 편대(100)와, 상기 편대(100)의 하단에 조립되는 어댑터(200)와, 상기 어댑터(200)가 삽탈되는 어댑터수납대(300)와, 상기 어댑터수납대(300)가 고정되고 상기 편대(100)를 항상 지구 중력방향으로 정렬하게 하여 수직도를 유지하는 수직도유지수단(400)과, 상기 편대(100)의 상단 양측면에 고정된 제1자석(110)과, 상기 편대(100)의 상단에 끼워지는 접속구(120)와, 상기 접속구(120) 내벽면에 인서트성형된 철편(130)과, 상기 접속구(120) 상단에 고정된 측량기기(14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도유지수단(400)은 드라이빙유닛(500)에 장착되어 움직이도록 구성하되, 상기 드라이빙유닛(500)은 주행바퀴(W)와, 상기 주행바퀴(W)에 축고정되고 경사연장된 유닛프레임(510)과, 상기 유닛프레임(510)의 상단에서 수평연장된 드라이빙핸들(HD)과, 상기 주행바퀴(W)의 축상에 설치되고 상기 유닛프레임(510)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면에 지지되게 회전가능한 'ㄱ'형상의 파지대(520)와, 상기 유닛프레임(510)에 고정되고 상기 파지대(52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530)와, 상기 유닛프레임(510)로부터 돌출된 고정베이스(540)와, 상기 고정베이스(540)에 고정된 공기압탱크(550)와, 상기 공기압탱크(550)의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공기공급펌프(560)와, 상기 공기압탱크(550)의 공압을 받아 회전구동되는 에어모터(57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도유지수단(400)은
    판형상의 요잉판(Yaw Plate)(410)과,
    상기 요잉판(410)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롤링판(Roll Plate)(420)과,
    상기 롤링판(420)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피칭판(Pitch Plate)(430)과,
    상기 피칭판(430)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고정판(440)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도유지수단(400)의 외표면에 내침식성과 방수성과 방오성 강화를 위하여 코팅조성물이 스프레이 코팅되고,
    상기 코팅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5.5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4.5중량부, 디아릴프탈레이트 5.5중량부, 망간아세테이트 5.5중량부, 메틸설포닐메테인 3.5중량부, 히드록시프롤린 7.5중량부, 세피올라이트(Sepiolite) 4.5중량부, 알루민산나트륨 4.5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적용이 우수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조절장치.
KR1020230102024A 2023-08-04 2023-08-04 현장 적용이 우수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조절장치 KR102644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024A KR102644684B1 (ko) 2023-08-04 2023-08-04 현장 적용이 우수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024A KR102644684B1 (ko) 2023-08-04 2023-08-04 현장 적용이 우수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684B1 true KR102644684B1 (ko) 2024-03-08

Family

ID=9023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2024A KR102644684B1 (ko) 2023-08-04 2023-08-04 현장 적용이 우수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6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655B1 (ko) * 2017-10-23 2017-12-15 태양정보시스템(주) 공간영상도화 데이터 이미지를 입체적 이미지로 확보하는 시스템
KR101854173B1 (ko) * 2017-09-21 2018-05-04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기준점 측량을 위한 지형측량용 수준측량장치
KR20210150771A (ko) * 2020-06-04 2021-12-13 류영근 부스터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탈것
KR102527609B1 (ko) 2022-10-13 2023-05-04 (주)아세아항측 경사면에 설치사용되는 측지측량용 삼각대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173B1 (ko) * 2017-09-21 2018-05-04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기준점 측량을 위한 지형측량용 수준측량장치
KR101809655B1 (ko) * 2017-10-23 2017-12-15 태양정보시스템(주) 공간영상도화 데이터 이미지를 입체적 이미지로 확보하는 시스템
KR20210150771A (ko) * 2020-06-04 2021-12-13 류영근 부스터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탈것
KR102527609B1 (ko) 2022-10-13 2023-05-04 (주)아세아항측 경사면에 설치사용되는 측지측량용 삼각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9251B1 (en) Measuring staff
KR102035045B1 (ko) 정밀한 영상정보 데이터의 오류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EP1298413B1 (de) Selbstnivellierender Baulaser
KR102074710B1 (ko) 영상왜곡의 신속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035044B1 (ko) 왜곡 영상의 정밀한 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 시스템
KR101944442B1 (ko) 수치 지도 제작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CN104034319B (zh) 一种高层建筑测量控制点投射定位辅助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644684B1 (ko) 현장 적용이 우수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조절장치
RU2436043C1 (ru) Способ согласования осей инерциальной навигационной системы с осью назем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измери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04831274U (zh) 一种便携式水平高差测量架及测量装置
CN106705947B (zh) 基于三棱锥模型与陀螺全站仪联合的竖井联系测量方法
KR102670685B1 (ko) 우천시 측지측량용 장비 보호장치
CN204720035U (zh) 一种室内教学用经纬仪安置装置
CN105333866A (zh) 一种激光水平定位仪
KR101729616B1 (ko) 1인 측량이 가능한 지하시설물 위치 측정 방법로 전신주와 지하시설물의 지도제작을 위한 측량장치
KR102065749B1 (ko) 영상 왜곡의 실시간 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CN205317213U (zh) 一种面向房地一体的不动产单元实地调查测量装置
KR101944445B1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지하시설물의 측지측량 장치
CA29859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surveying of a tunnel
KR102527609B1 (ko) 경사면에 설치사용되는 측지측량용 삼각대시스템
US20090219522A1 (en) Levelling device
CN216448887U (zh) 一种简易远距离垂直度效验铅锤装置
KR101349395B1 (ko) 경사면에서의 안정된 설치가 용이한 지피에스 위치 정밀 측지측량시스템
KR102247881B1 (ko) 모바일맵핑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도로 차선 취득이 가능한 정밀도로지도 구축시스템
CA2734432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urveying with a hydrant mon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