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173B1 - 기준점 측량을 위한 지형측량용 수준측량장치 - Google Patents

기준점 측량을 위한 지형측량용 수준측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173B1
KR101854173B1 KR1020170122116A KR20170122116A KR101854173B1 KR 101854173 B1 KR101854173 B1 KR 101854173B1 KR 1020170122116 A KR1020170122116 A KR 1020170122116A KR 20170122116 A KR20170122116 A KR 20170122116A KR 101854173 B1 KR101854173 B1 KR 101854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er
unit
code
curved
magne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숙
Original Assignee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 G01D13/12Grad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벨기가 측정한 수준치와 표척이 인지한 수준치를 동시에 비교해서 정확한 수준측량 및 지형 측량을 할 수 있는 기준점 측량을 위한 지형측량용 수준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개구된 뿔대 형상의 외곽케이스(111)와; 외곽케이스(111)의 상단을 따라 연결되며 내면이 곡면 형상을 이루는 선단덮개(112)와; 선단덮개(112)의 내면과 동일한 곡률의 내면을 이루며 이어지는 구 형상의 곡면받침(113); 지면(G)에 안착한 외곽케이스(111)가 흔들림 없이 자세를 유지하도록 외곽케이스(11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지면에 박히는 앵커(114);로 구성된 베이스(110), 밑판(121)과; 밑판(121)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며 곡면받침(113)의 내면과 이동 가능하게 면 접촉하도록 곡면받침(113)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이루는 둘레면판(122)과; 밑판(121)과 곡면받침(113)의 내측면 간에 틈새를 덮도록 양단이 상기 틈새의 인근에 위치한 밑판(121)과 곡면받침(113)의 내측면을 덮는 'ㄱ' 단면 형상의 패커(123);로 구성된 링커(120), 하단이 밑판(121)에 고정되어 입설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이 표시된 스탠드(130), 링커(120) 및 스탠드(130)의 합산 중량보다 큰 중량의 재질이며, 곡면받침(113)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판 형상을 이루어서, 곡면받침(113)의 중공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중량부재(141)와; 중량부재(141)의 상면에 설치되는 메인자석(142)과; 중량부재(141)의 저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서 곡면받침(113)의 내면과 접하는 돌기(143);로 구성된 메인자성체(140), 링커(120)의 밑판(121)에 설치되는 어댑터(151)와; 메인자석(142)과 마주하게 배치되도록 어댑터(151)를 매개로 밑판(121)에 고정되되, 메인자석(142)과 척력을 형성하도록 극성이 배치되며, 상기 척력의 크기는 메인자성체(140)의 중량보다는 작고 링커(120) 및 스탠드(130)의 합산 중량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서브자석(152);로 구성된 서브자성체(150), 스탠드(130)의 상단에 배치되는 하우징(161)과; 눈금자(131, 132)의 전면을 덮는 투명재질의 패널과, 상기 패널에서 눈금자(131, 132)의 눈금이 위치하는 지점에 설치되며 레벨기(M)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광을 감지하여 자체에 설정된 지정코드와 함께 수광신호를 발신하는 수광센서를 구성하는 광감지 유닛(162)과; 상기 수광신호를 수신해서 지정코드를 확인하는 코드인식 유닛(163)과; 코드인식 유닛(163)이 확인한 지정코드를 무선 발신하는 발신유닛(164);으로 구성된 감지모듈(160)로 이루어진 표척(100) 및 감지모듈(160)에서 발신된 지정코드를 무선 수신하는 수신유닛(210), 상기 지정코드에 지정된 표척(100)의 눈금 수치를 확인해서 해당 수치값으로 변환하는 코드분석 유닛(220), 코드분석 유닛(220)이 변환한 수치값을 기호로 출력하는 출력유닛(230)으로 이루어진 측량기(20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기준점 측량을 위한 지형측량용 수준측량장치{LEVELING DEVICE FOR TOPOGRAPHICAL SURVEY AND SURVEYING COAST}
본 발명은 레벨기가 측정한 수준치와 표척이 인지한 수준치를 동시에 비교해서 정확한 수준측량 및 지형 측량을 할 수 있는 기준점 측량을 위한 지형측량용 수준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 차 및 방향을 측정하고 점들의 상호 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는 제반 활동을 지칭한다.
이 중에서 수준(level) 측량은 특정 점의 고저 차를 관측하는 것을 말하며 고저측량 또는 레벨측량이라고도 한다.
상기와 같은 수준측량 중에는 표척(스타프)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두 지점간의 높이 차를 구하는 직접고저측량이 있다.
직접고저측량은 일반적으로 기준점으로부터 목표점까지 하나의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경로 상에 N개의 중간점을 설정한 후, 표척(스태프)과 레벨기를 이동하며 각각의 지점을 측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측량을 수행함에 있어, 레벨기의 수평을 정확히 맞출 필요가 있으며, 작업 환경이 어두울 경우 작업 환경을 밝게 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수준측량을 위해서는 레벨기가 표척의 눈금을 정확히 읽고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 수준측량 방식은 레벨기가 표척의 눈금을 읽는데만 의존하므로, 레벨기가 표척의 눈금을 잘못 확인할 경우엔 해당 지점의 수준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물론 이러한 오측정은 지형 확인을 위한 지형정보 수집에 오차를 야기해서, 상기 지형정보를 토대로 이루어지는 후속 사업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05-0096903(2001.10.05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다중 체크 방식을 통해 보다 정확한 수준측량을 실현할 수 있는 기준점 측량을 위한 지형측량용 수준측량장치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이 개구된 뿔대 형상의 외곽케이스(111)와; 외곽케이스(111)의 상단을 따라 연결되며 내면이 곡면 형상을 이루는 선단덮개(112)와; 선단덮개(112)의 내면과 동일한 곡률의 내면을 이루며 이어지는 구 형상의 곡면받침(113); 지면(G)에 안착한 외곽케이스(111)가 흔들림 없이 자세를 유지하도록 외곽케이스(11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지면에 박히는 앵커(114);로 구성된 베이스(110), 밑판(121)과; 밑판(121)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며 곡면받침(113)의 내면과 이동 가능하게 면 접촉하도록 곡면받침(113)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이루는 둘레면판(122)과; 밑판(121)과 곡면받침(113)의 내측면 간에 틈새를 덮도록 양단이 상기 틈새의 인근에 위치한 밑판(121)과 곡면받침(113)의 내측면을 덮는 'ㄱ' 단면 형상의 패커(123);로 구성된 링커(120), 하단이 밑판(121)에 고정되어 입설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이 표시된 스탠드(130), 링커(120) 및 스탠드(130)의 합산 중량보다 큰 중량의 재질이며, 곡면받침(113)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판 형상을 이루어서, 곡면받침(113)의 중공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중량부재(141)와; 중량부재(141)의 상면에 설치되는 메인자석(142)과; 중량부재(141)의 저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서 곡면받침(113)의 내면과 접하는 돌기(143);로 구성된 메인자성체(140), 링커(120)의 밑판(121)에 설치되는 어댑터(151)와; 메인자석(142)과 마주하게 배치되도록 어댑터(151)를 매개로 밑판(121)에 고정되되, 메인자석(142)과 척력을 형성하도록 극성이 배치되며, 상기 척력의 크기는 메인자성체(140)의 중량보다는 작고 링커(120) 및 스탠드(130)의 합산 중량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서브자석(152);로 구성된 서브자성체(150), 스탠드(130)의 상단에 배치되는 하우징(161)과; 눈금자(131, 132)의 전면을 덮는 투명재질의 패널과, 상기 패널에서 눈금자(131, 132)의 눈금이 위치하는 지점에 설치되며 레벨기(M)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광을 감지하여 자체에 설정된 지정코드와 함께 수광신호를 발신하는 수광센서를 구성하는 광감지 유닛(162)과; 상기 수광신호를 수신해서 지정코드를 확인하는 코드인식 유닛(163)과; 코드인식 유닛(163)이 확인한 지정코드를 무선 발신하는 발신유닛(164);으로 구성된 감지모듈(160)로 이루어진 표척(100) 및
감지모듈(160)에서 발신된 지정코드를 무선 수신하는 수신유닛(210), 상기 지정코드에 지정된 표척(100)의 눈금 수치를 확인해서 해당 수치값으로 변환하는 코드분석 유닛(220), 코드분석 유닛(220)이 변환한 수치값을 기호로 출력하는 출력유닛(230)으로 이루어진 측량기(200)
를 포함하는 기준점 측량을 위한 지형측량용 수준측량장치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다중 체크 방식을 통해 보다 정확한 수준측량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준측량장치를 활용해서 수준치를 측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척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척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저면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준측량장치의 연동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척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띠른 표척의 기준체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한 'A'와 'B'의 모습을 확대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표척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상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상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준측량장치를 활용해서 수준치를 측량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척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척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저면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수준측량장치는, 측량 대상 지면(G)에 설치되어서 레벨기(M)에 의해 수준치가 측량되는 표척(100)과, 레벨기(M)의 레이저광이 조사된 위치의 지정코드를 표척(M)으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수준치를 출력하는 측량기(200)를 포함한다.
본 실시는 레벨기(M)를 지형에 따른 지정된 지면(G)의 위치로 옮기며 수준측량을 수행하는데, 레벨기(M)는 한 곳에 지정하고 표척(100)을 옮기며 수준측량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표척(100)은, 지면(G)에 안착하여 표척(100)의 입설을 위해 앵커기능을 수행하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에 하단이 연결되어 입설하는 스탠드(130)와, 베이스(110)와 스탠드(130)를 피봇 구조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커(120)와, 레벨기(M)가 조사한 레이저광을 수신해서 해당 위치의 지정코드를 발신하는 감지모듈(160)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의 베이스(110)는 표척(100)이 안정된 입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표척(100)의 하중을 하단으로 집중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중량을 가지며, 하광상협하고 상면이 개구된 뿔대 형상을 이룬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베이스(110)는, 뿔대 형상을 이루며 중공을 갖는 외곽케이스(111)와, 외곽케이스(111)의 상단을 따라 연결되어서 내면이 링커(120)의 둘레면판(122) 상단을 덮는 곡면 형상인 선단덮개(112)와, 구의 상단과 하단이 절단된 구 형상을 이루는 링커(120)를 안착하는 구 형상의 곡면받침(113)과, 지면(G)에 안착한 외곽케이스(111)가 흔들림 없이 자세를 유지하도록 외곽케이스(11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지면에 박히는 앵커(114)로 구성된다.
본 실시의 앵커(114)를 설치하기 위해서, 외곽케이스(111)는 저면에 너트홈(113a)을 형성하고, 앵커(114)는 너트홈(113a)에 맞물려 설치되는 볼트(미 인출됨)를 구성한다. 또한 앵커(114)는 단순한 막대 형상일 수도 있으나, 본 실시의 앵커(114)는 원뿔 형상을 이룬다. 하지만 앵커(114)는 지면(G)에 박아 넣을 수 있다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의 링커(120)는 스탠드(130)가 안착하는 밑판(121)과, 밑판(121)의 둘레를 따라 곡면 형상을 이루는 둘레면판(122)이 곡면받침(113)에 면 접촉되어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이로 인해 링커(120)의 밑판(121)과 곡면받침(113)의 바닥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링커(120)는 밑판(121)이 둘레면판(122)으로 둘러싸인 용기 형상을 이루며, 밑판(121)의 상면에는 스탠드(130)의 하단이 고정된다. 링커(120)와 베이스(110) 간의 결합 구성을 아래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링커(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의 상,하단이 절단된 형상이므로, 링커(120)의 둘레면판(122)은 중앙부가 돌출하고 상하단이 상대적으로 오목한 형상이다. 따라서 링커(120)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구 형상의 곡면받침(113)에 링커(120)를 내설하면, 링커(120)는 곡면받침(113)에서 상하로의 이동됨 없이 회전만을 하게 된다.
본 실시의 스탠드(130)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눈금이 표시되며,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130)의 길이 조정을 위해서 2개 이상의 눈금자(131, 132)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의 스탠드(130)는 제2눈금자(132)가 제1눈금자(131)에 삽탈가능하게 내설된 결합 구조인 것으로 했으나, 이에 한정하지 며 눈금자의 개수는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스탠드(130)는 감지모듈(160)의 일구성인 광감지 유닛(162, 162')이 눈금자(131, 132)의 전면에 설치되고, 감지모듈(160)의 본체를 수용하는 하우징(161)은 스탠드(130)의 상단에 배치된다. 감지모듈(160)은 비교적 원격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측량기(200)와 통신이 원활해야 하므로, 통신율이 우수한 스탠드(130) 상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측량기(200)는 작업자가 휴대할 수도 있으나, 레벨기(M)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광감지 유닛(162, 162')은 투명재질의 패널 형상을 이루며, 눈금자(131, 132)에 표시된 눈금에 맞춰서 해당 위치별로 지정코드가 설정된다. 본 실시의 광감지 유닛(162, 162')은 투명재질의 패널에서 수광센서를 눈금자(131, 132)의 눈금이 위치한 지점에 설치한다. 따라서 레벨기(M)가 발신한 레이저광이 눈금자(131, 132)의 해당 눈금에 정확히 조사되면, 상기 눈금에 위치한 수광센서는 상기 레이저광을 감지한다. 한편, 상기 수광센서는 각 위치별로 고유의 지정코드가 설정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한다.
이외에도 본 실시의 광감지 유닛(162, 162')은 일반적인 터치스크린 기술인 터치패널(touch panel)이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터치패널은 좌우상하로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이 흐르게 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레이저광의 수신을 감지하고, 그 위치를 파악한다. 이때, 본 실시의 광감지 유닛(162, 162')은 해당 터치패널이 눈금자(131, 132)의 눈금에 맞춰 구성되며, 따라서 레이저광이 눈금을 벗어난 경우에는 광감지 유닛(162, 162')은 이를 감지하지 못한다.
광감지 유닛(162, 162')에 대해 아래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준측량장치의 연동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준측량장치의 표척(100)은 감지모듈(160)을 구성하고, 감지모듈(160)은 스탠드(130)의 상단에 배치되는 하우징(161)과, 눈금자(131, 132)의 전면을 덮는 투명재질의 패널과 상기 패널에서 눈금자(131, 132)의 눈금이 위치하는 지점에 설치되며 레벨기(M)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광을 감지하여 자체에 설정된 지정코드와 함께 수광신호를 발신하는 수광센서를 구성하는 광감지 유닛(162)과, 상기 수광신호를 수신해서 지정코드를 확인하는 코드인식 유닛(163)과, 코드인식 유닛(163)이 확인한 지정코드를 무선 발신하는 발신유닛(164)을 포함한다. 본 실시의 감지모듈(160)의 발신유닛(164)은 지정코드를 무선 발신하기 위해서 하우징(161)에 안테나(165)를 설치할 수 있다.
측량기(200)는 감지모듈(160)에서 발신된 지정코드를 무선 수신하는 수신유닛(210)과, 상기 지정코드에 지정된 표척(100)의 눈금 수치를 확인해서 해당 수치값으로 변환하는 코드분석 유닛(220)과, 코드분석 유닛(220)이 변환한 수치값을 기호로 출력하는 출력유닛(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코드분석 유닛(220)은 표척(100)의 종류에 따라 지정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표척정보를 포함하므로, 수신유닛(210)으로부터 지정코드를 수신하면 상기 지정코드를 표척정보를 기준으로 파악해서 해당하는 수치값으로 변환한다.
출력유닛(230)은 숫자 또는 문자 등의 기호를 출력할 수 있는 통상적인 디스플레이가 예시될 수 있다.
결국, 작업자가 레벨기(M)를 이용해서 측정한 표척(100)의 눈금과, 측량기(200)가 출력하는 수치값을 서로 비교해서 그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레벨기(M)가 측정한 수준치가 옳은 것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눈근ㅁ과 수치값이 일치하면 레벨기(M)가 측정한 수준치를 확정하고, 불일치할 경우에는 재측량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척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띠른 표척의 기준체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한 'A'와 'B'의 모습을 확대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표척(100)은 베이스(110)와 링커(120)와 스탠드(130) 외에도 메인자성체(140)와 서브자성체(150)를 더 포함한다.
메인자성체(140)는 베이스(110)의 곡면받침(113)의 중공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어서, 베이스(110)의 기울어짐을 따라 이동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인자성체(140)는 곡면받침(113)의 내면을 따라 중력 방향으로 이동해서, 베이스(110)의 기울어짐에 상관없이 곡면받침(113)에서 최저점(이하 '바닥면')에 위치한다.
이를 위한 메인자성체(140)는 링커(120) 및 스탠드(130)의 합산 하중보다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가지며, 이를 위해 메인자성체(140)는, 곡면받침(113)과의 이동 가능한 면 접촉을 위해서 곡면받침(113)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의 곡판 형상을 이루는 중량부재(141)와, N극과 S극이 상하로 배치되며 중량부재(141)의 상면에 설치되는 메인자석(142)으로 구성된다. 더 나아가 본 실시의 메인자성체(140)는, 서로 밀착된 중량부재(141)와 곡면받침(113) 간에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서, 중량부재(141)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143)를 더 포함한다.
결국, 메인자성체(140)는 구 형상을 이루는 곡면받침(113)의 자세 변화에 따라 이동하면서, 항상 곡면받침(113)의 최저점인 바닥면에 배치된다.
링커(120)는 둘레면판(122)이 돌출된 곡면 형상을 이루면서 곡면받침(113)과 이동 가능하게 면 접촉하는데, 이때 링커(120)의 둘레면판(122)은 곡면 형상의 곡면받침과 동일한 곡률을 이루므로, 링커(120)의 둘레면판(122)과 곡면받침(113)은 항상 면 접촉하며 밀착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베이스(110)의 외곽케이스(111) 상단에는 내면이 곡면 형상을 이루는 선단덮개(112)가 형성되는데, 선단덮개(112)는 링커(120)의 둘레면판(122) 상단을 덮게 되므로, 링커(120)는 선단덮개(112)에 걸려서 베이스(110)로부터 분리됨 없이 곡면받침(113)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참고로, 선단덮개(112)는 곡면받침(113)의 곡면 형상에 맞춰 연장된 형상을 이루므로, 링커(120)는 곡면받침(113) 및 선단덮개(112)를 따라 간섭 없이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링커(120)는 구의 상단과 하단이 절단된 용기 형상를 이루므로, 링커(120)가 구 형상의 곡면받침(113)에 안착하면 링커(120)의 밑판(121)과 곡면받침(113)의 바닥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은 메인자성체(140)가 링커(120)와 대향하게 위치하고, 링커(120)의 밑판(121)에는 서브자성체(150)가 설치된다.
서브자성체(150)는 메인자성체(140)의 메인자석(142)에 대응하는 서브자석(152)과, 서브자성체(152)를 링커(120)에 고정시키는 어댑터(151)를 구성한다.
서브자석(152)은 N극과 S극이 상하로 배치되되, 메인자석(142)과 척력을 일으키도록 메인자석(142)의 상단에 위치한 극성과 동일한 극성이 하단에 배치한다. 이때 상기 척력은 메인자성체(140)의 하중보다는 작고, 링커(120) 및 스탠드(130)의 하중보다 크게 해서, 상기 척력에 의해 스탠드(130)를 이동 및 지지하게 한다. 결국, 하중이 가장 큰 메인자성체(140)는 곡면받침(113)에서 제 위치를 잡으면 흔들림 없이 현 위치를 유지하고, 메인자성체(140)와의 척력을 받는 링커(120) 및 스탠드(130)는 상기 척력이 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직한 자세를 유지한다.
한편, 곡면받침(113)과 링커(120) 사이의 공간은 상대적으로 높은 기압 환경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공간에서 곡면받침(113)과 링커(120) 사이의 틈새는 패커(123)로 차단한다. 결국, 상기 공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기압의 공기는 상기 틈새를 통한 배기가 차단되며, 패커(123)는 높은 기압으로 압력을 가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틈새 부분의 곡면받침(113)의 내면과 링커(120)의 밑판(121)에 밀착되어서, 링커(120)의 이동을 저지하는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패커(123)의 전술한 기능은 메인자성체(140) 및 서브자성체(150)의 척력으로 자리를 잡은 링커(120)가 흔들림 없이 제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의 패커(123)는 곡면받침(113)의 내면과 링커(120)의 밑판(121)에 밀착되는 'ㄱ' 자의 단면 형상을 이루며, 패커(123)의 일단 또는 양단은 높은 기압의 공기가 곡면받침(113)의 내면과 패커(123) 사이의 틈새 또는 링커(120)의 밑판(121)과 패커(123) 사이의 틈새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경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표척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표척(100)은 경사진 지면(G)에 베이스(110)를 안착하면, 베이스(110)는 지면(G)의 경사도만큼 기울어져 위치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110)의 곡면받침(113)은 베이스(110)의 외곽케이스(111)와 함께 기울어지고, 곡면받침(113)에 안착된 메인자성체(140)는 중력에 따라 곡면받침(113)의 최저지점인 바닥면으로 이동해 위치한다.
한편, 메인자성체(140)와 척력을 이루는 서브자성체(150)는 메인자성체(140)로부터 가급적 이격하게 위치하며, 서브자성체(150)의 이동과 함께 링커(120)와 스탠드(130) 역시 메인자성체(140)와 이격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결국, 메인자성체(140)와 서브자성체(150)와 링커(120)와 스탠드(130)은 상하로 일렬하게 배치되며, 스탠드(130)는 지면(G)의 경사도와는 상관 없이 항상 수직하게 입설된 상태를 유지한다.
스탠드(130)가 보다 쉽게 자세를 갖도록, 사용자는 스탠드(130)를 쥐고 수직 자세에 근접하게 조정하면, 메인자성체(140)와 서브자성체(150)의 척력은 스탠드(130)가 보다 쉽게 자세를 갖도록 힘을 가하며, 이렇게 자세를 잡은 스탠드(130)는 현 자세를 유지하면서 멀티스테이션(M)에 의한 지면의 수준을 정확히 측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척 110; 베이스 111; 외곽케이스
112; 선단덮개 113; 곡면받침 120; 링커
121; 밑판 122; 둘레면판 123; 패커
130; 스탠드 131; 제1눈금자 132; 제2눈금자
140; 메인자성체 141; 중량부재 142; 메인자석
143; 돌기 150; 서브자성체 151; 어댑터
152; 서브자석

Claims (1)

  1. 상면이 개구된 뿔대 형상의 외곽케이스(111)와; 외곽케이스(111)의 상단을 따라 연결되며 내면이 곡면 형상을 이루는 선단덮개(112)와; 선단덮개(112)의 내면과 동일한 곡률의 내면을 이루며 이어지는 구 형상의 곡면받침(113); 지면(G)에 안착한 외곽케이스(111)가 흔들림 없이 자세를 유지하도록 외곽케이스(11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지면에 박히는 앵커(114);로 구성된 베이스(110), 밑판(121)과; 밑판(121)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며 곡면받침(113)의 내면과 이동 가능하게 면 접촉하도록 곡면받침(113)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이루는 둘레면판(122)과; 밑판(121)과 곡면받침(113)의 내측면 간에 틈새를 덮도록 양단이 상기 틈새의 인근에 위치한 밑판(121)과 곡면받침(113)의 내측면을 덮는 'ㄱ' 단면 형상의 패커(123);로 구성된 링커(120), 하단이 밑판(121)에 고정되어 입설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눈금이 표시된 스탠드(130), 링커(120) 및 스탠드(130)의 합산 중량보다 큰 중량의 재질이며, 곡면받침(113)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판 형상을 이루어서, 곡면받침(113)의 중공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중량부재(141)와; 중량부재(141)의 상면에 설치되는 메인자석(142)과; 중량부재(141)의 저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서 곡면받침(113)의 내면과 접하는 돌기(143);로 구성된 메인자성체(140), 링커(120)의 밑판(121)에 설치되는 어댑터(151)와; 메인자석(142)과 마주하게 배치되도록 어댑터(151)를 매개로 밑판(121)에 고정되되, 메인자석(142)과 척력을 형성하도록 극성이 배치되며, 상기 척력의 크기는 메인자성체(140)의 중량보다는 작고 링커(120) 및 스탠드(130)의 합산 중량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서브자석(152);로 구성된 서브자성체(150), 스탠드(130)의 상단에 배치되는 하우징(161)과; 눈금자(131, 132)의 전면을 덮는 투명재질의 패널과, 상기 패널에서 눈금자(131, 132)의 눈금이 위치하는 지점에 설치되며 레벨기(M)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광을 감지하여 자체에 설정된 지정코드와 함께 수광신호를 발신하는 수광센서를 구성하는 광감지 유닛(162)과; 상기 수광신호를 수신해서 지정코드를 확인하는 코드인식 유닛(163)과; 코드인식 유닛(163)이 확인한 지정코드를 무선 발신하는 발신유닛(164);으로 구성된 감지모듈(160)로 이루어진 표척(100) 및
    감지모듈(160)에서 발신된 지정코드를 무선 수신하는 수신유닛(210), 상기 지정코드에 지정된 표척(100)의 눈금 수치를 확인해서 해당 수치값으로 변환하는 코드분석 유닛(220), 코드분석 유닛(220)이 변환한 수치값을 기호로 출력하는 출력유닛(230)으로 이루어진 측량기(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점 측량을 위한 지형측량용 수준측량장치.


KR1020170122116A 2017-09-21 2017-09-21 기준점 측량을 위한 지형측량용 수준측량장치 KR101854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116A KR101854173B1 (ko) 2017-09-21 2017-09-21 기준점 측량을 위한 지형측량용 수준측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116A KR101854173B1 (ko) 2017-09-21 2017-09-21 기준점 측량을 위한 지형측량용 수준측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173B1 true KR101854173B1 (ko) 2018-05-04

Family

ID=6219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116A KR101854173B1 (ko) 2017-09-21 2017-09-21 기준점 측량을 위한 지형측량용 수준측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1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8480A1 (en) * 2021-08-24 2023-03-0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Grade rod with end cap and related method of use
KR102644684B1 (ko) * 2023-08-04 2024-03-08 주식회사 동운 현장 적용이 우수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조절장치
KR102670685B1 (ko) * 2023-08-04 2024-05-30 주식회사 동운 우천시 측지측량용 장비 보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8480A1 (en) * 2021-08-24 2023-03-0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Grade rod with end cap and related method of use
KR102644684B1 (ko) * 2023-08-04 2024-03-08 주식회사 동운 현장 적용이 우수한 측지측량용 삼각대 조절장치
KR102670685B1 (ko) * 2023-08-04 2024-05-30 주식회사 동운 우천시 측지측량용 장비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59450B (zh) 勘测杆
KR101854173B1 (ko) 기준점 측량을 위한 지형측량용 수준측량장치
CN103429395B (zh) 工作工具定位系统和定位方法
CN101523154B (zh) 用于确定细长物体的定向参数的装置和方法
US8161660B2 (en) Measuring device with extensible cord and method
CN108981676A (zh) 大地测量
US8826552B2 (en) Survey setting point indicating device
US7350303B2 (en) Level, angle and distance measuring device
EP2639549A1 (en) Laser receiver
KR101854172B1 (ko) 정확한 수준점 측량을 위한 레벨장치
CN105973200A (zh) 一种自动化便携式测斜仪
WO200106520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
US8720074B2 (en) Robotic leveling
CN109416252B (zh) 用于对入射到激光接收器上的接收射线与旋转的接收射线进行比较的方法
CN109313027B (zh) 用于对投射到激光接收器上的接收射线与旋转的激光射线进行比较的方法
KR102415009B1 (ko) 측정된 데이터의 오차값을 최소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CN113701720B (zh) 一种用于摄影测量坐标定位的标识系统
CN205642305U (zh) 一种检测起重机主梁上拱度的装置
KR101235312B1 (ko) 지피에스 정보를 기준으로 한 지형의 수위정보와 변위정보 변동여부 확인용 측지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1964313B1 (ko)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현장 정밀오차수정 측지측량 시스템
KR102501854B1 (ko) 스마트 건설용 dcpt 측정기기
CN109506616A (zh) 一种结构面产状无线测量仪器
CN213397086U (zh) 一种煤矿测绘用多功能测绘标杆
KR101240184B1 (ko) 지피에스 수신기와 항공촬영정보를 이용한 지아이에스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CN209197713U (zh) 一种结构面产状无线测量仪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