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442B1 - 수치 지도 제작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 Google Patents

수치 지도 제작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442B1
KR101944442B1 KR1020180046068A KR20180046068A KR101944442B1 KR 101944442 B1 KR101944442 B1 KR 101944442B1 KR 1020180046068 A KR1020180046068 A KR 1020180046068A KR 20180046068 A KR20180046068 A KR 20180046068A KR 101944442 B1 KR101944442 B1 KR 101944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nit
guide
delete delet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윤채
Original Assignee
남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윤채 filed Critical 남윤채
Priority to KR1020180046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수신부(246)와 레이저 거리측정기(230)를 탑재한 측량장비(200)와; 상기 측량장비(200)로 지하시설물(10)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측량타깃(100e);을 포함하는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로서, 상기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는, 상기 측량타깃(100e)은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타깃하우징(310)과; 상기 타깃하우징(310)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안착되는 커버체(3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기 타깃하우징(310)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는 원통형상이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앙보스(312)가 돌출되고; 상기 중앙보스(312)를 기준으로 외측 둘레에는 배터리(330)와 컨트롤박스(340)가 설치되며; 상기 타깃하우징(310)의 하부면 중앙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사각형상의 고정돌기(350)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체(320)의 하단면 중앙에는 상기 중앙보스(312)의 내부로 끼워지면서 나사결합되는 볼스크류(32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체(320)의 내부에는 회동모터(M)가 내장되고, 회동모터(M)의 모터축(MS)는 상기 볼스크류(322)의 내부로 연장된 후 고정핀(360)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322)와 결속되며; 상기 회동모터(M)의 상측에는 상기 커버체(320)에 고정되는 밀폐커버(370)가 구비되고; 상기 밀폐커버(370)의 상면에 수평판(500)이 고정되되, 상기 밀폐커버(370)는 소정의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처리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오염원이 존재하는 다양한 외부의 환경 상에서도 측량장치의 오염을 방지하여 유지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치 지도 제작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underground facility location}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위치 측정 방법로 전신주와 지하시설물의 수치 지도 제작을 위한 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와 지피에스가 통합된 무선통신 기반을 이용하여 측량시 거리오차를 없애도록 거리측정 기능을 이중화하여 편리하고 정확하며 신속하게 지하시설물을 측량하고, 지피에스를 통해 측량 지점의 좌표를 즉시 확인하여 지하시설물의 원점에 대한 위치인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1인 측량이 가능한 지하시설물 위치 측정 방법로 전신주와 지하시설물의 수치 지도 제작을 위한 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하수도 라인 및 각종 통신용 라인과, 도심지 구성을 위한 도로 상의 전신주가 포함된 다양한 기반시설물은 지하에 매설돼 보관 및 보호된다. 따라서, 상기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후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못하므로, 지상에서는 해당 지하시설물의 매설위치와 지하시설물의 종류 등을 알 수 없다. 하지만, 유사시 문제가 발생한 지하시설물의 보수 및 관리를 위해, 지하시설물의 매설 위치는 정확히 확인되어야 하고, 확인된 위치는 기록으로 남겨서 검색 대상인 해당 지하시설물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한다. 또한, 위치정보 측지측량에는 삼각측량에 의한 위치기반 정보와 수준측량에 의한 위치기반 정보가 있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에는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를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다수의 측정 작업자가 요구되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에는 도로상의 전신주가 포함된 지하시설물이 매설되면 토사 등을 되메우기 전에, 측정 작업자 중 1명은 타깃을 지지한 채 지하시설물 인근에 서있고, 다른 측정 작업자는 지상에서 토털스 테이션과 같은 공지,공용의 측량장비를 이용해서 상기 타깃의 위치를 확인한 후 해당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정 및 연산했다. 이때, 종래 타깃은 프리즘으로 명명되는 오목한 반구형상을 한 공지,공용의 도구로, 타깃을 지지하고 있는 자측정 작업가 타깃의 오목한 부분이 측량장비를 향하도록 조정해서, 측량장비가 타깃을 향해 광파를 발신하고, 타깃은 상기 광파를 발신위치로 정반사하며, 상기 측량장비는 상기 광파를 다시 수신하는 모습이 되도록 했다. 즉,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정해서 이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타깃이 측량장비를 향하도록 조정하는 자측정 작업와, 측량장비를 조작하는 자측정 작업가 등, 최소한 2명 이상의 자측정 작업가 현장에 투입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지하시설물의 위치 측정을 위한 용역 단가는 낮아지고 인건비는 오히려 증가하면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정하는 용역의뢰에 대한 기피현상이 발생했다. 하지만, 지하시설물의 위치측정결과는 지하시설물에 대한 원활한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자료로 쓰임은 물론 인접지역에 대한 토목 및 건축 시공시 중요한 기반자료로 활용되므로, 지하시설물의 위치 측정 작업은 도심기반 시설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업무이다.
또한, 지하시설물의 위치측정 결과는 해당 지하시설물에 대한 보호 및 관리는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지역에 대한 토목 및 건축 시공시 중요한 기반자료로서 활용되므로, 상기 위치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도와 정확도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지하시설물의 위치측정 작업을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1인이 쉽게 측정할 수 있고, 나아가 그 측정 결과에 대한 정확도와 신뢰도를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3451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보완 요청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레이저와 지피에스가 통합된 무선통신 기반을 이용하여 측량시 거리오차를 없애도록 거리측정 기능을 이중화하여 편리하고 정확하며 신속하게 지하시설물을 측량하고, 지피에스를 통해 측량 지점의 좌표를 즉시 확인하여 지하시설물의 원점에 대한 위치인식 정확도를 높일수 있도록 한 1인 측량이 가능한 지하시설물 위치 측정 방법로 전신주와 지하시설물의 수치 지도 제작을 위한 측량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GPS수신부(246)와 레이저 거리측정기(230)를 탑재한 측량장비(200)와; 상기 측량장비(200)로 지하시설물(10)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측량타깃(100e);을 포함하는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로서, 상기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는, 상기 측량타깃(100e)은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타깃하우징(310)과; 상기 타깃하우징(310)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안착되는 커버체(3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기 타깃하우징(310)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는 원통형상이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앙보스(312)가 돌출되고; 상기 중앙보스(312)를 기준으로 외측 둘레에는 배터리(330)와 컨트롤박스(340)가 설치되며; 상기 타깃하우징(310)의 하부면 중앙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사각형상의 고정돌기(350)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체(320)의 하단면 중앙에는 상기 중앙보스(312)의 내부로 끼워지면서 나사결합되는 볼스크류(32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체(320)의 내부에는 회동모터(M)가 내장되고, 회동모터(M)의 모터축(MS)는 상기 볼스크류(322)의 내부로 연장된 후 고정핀(360)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322)와 결속되며; 상기 회동모터(M)의 상측에는 상기 커버체(320)에 고정되는 밀폐커버(370)가 구비되고; 상기 밀폐커버(370)의 상면에 수평판(500)이 고정되되, 상기 밀폐커버(370)는 소정의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처리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방식의 타깃을 사용하여 지상에서 자측정 작업 1인이 토털스테이션과 같은 측량장비를 통해 지하시설물에 대한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토탈스테이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측량타깃의 표면 모습을 일부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제1실시예의 실시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밀폐커버에 카메라부재가 더 설치된 예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치를 구성하는 측량방식의 이중화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9 내지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1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a)은 지하에 매설되는 각종 지하시설물 등의 매설위치와 깊이 등을 현장에서 정확히 측정해서 이를 기록에 남길 수 있도록 하는 도구로, 상기 지하시설물에 부착되어서 토털스테이션과 같은 공지,공용의 측량장비(200)의 측량 대상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a)은 지하시설물의 매설깊이에 상관없이 지상에 위치한 측량장비(2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도록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량타깃(100a)은 지하시설물에 연결되는 고정자(110)와, 고정자(110)에 고정되는 힌지(120)와, 힌지(1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막대(130)로 구성된다. 막대(130)는 하단이 힌지(120)와 연결되는 관 형상의 모체(131)와, 모체(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탈하면서 막대(130)의 길이를 조정하는 자체(132)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둘 이상의 자체(132)를 모체(131)와 일렬로 연결시켜서, 막대(130)의 최장길이가 최단길이의 수 배에 이르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막대(130)에 통상적인 막대 안테나의 연결구조를 적용해서, 모체(131)로부터 자체(132)를 인출하는 형태로 막대(130)의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힌지(12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모체(131)의 하단에는 연직추(131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직추(131a)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해 뿔 형태로 돌출된 돌기로, 힌지(120)를 기준으로 막대(130)를 회동하는 과정에서 막대(130)의 하단이 지면의 어디를 향하는지를 자측정 작업자가 육안으로 가늠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연직추(131a)와 지면(또는 지하시설물의 일지점)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원거리가 아니므로, 자측정 작업자는 연직추(131a)의 방향을 개략적이면서 비교적 정확히 인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측량장비(200)에서 확인되는 측량타깃(100a)의 위치가 지하시설물의 어느 지점에 해당하는지를 추적할 수 있다. 계속해서, 막대(130)의 외면에는 눈금(미도시함)이 형성될 수 있다.
눈금은 자측정 작업자가 측량장비(200)의 조준점이 어디인지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기준으로 측량타깃(100a)이 가리키는 지하시설물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자(110)는 지하시설물의 일지점에 부착 고정되는 것으로, 일정한 자중을 가지면서 자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지하시설물은 금속재, 특히 자화 가능한 철재로 주로 제작된다. 이러한 지하시설물의 특성을 고려해서 고정자(110)를 자성 재질로 제작할 경우, 현장의 자측정 작업자는 측량타깃(100a)을 철재 지하시설물에 인접시키는 것만으로도 고정자(110)에 의한 측량타깃(100a)의 안정된 위치고정을 실현할 수 있고, 아울러 지하시설물에 부착한 측량타깃(100a)은 다른 자측정 작업자가 잡고 있지 않아도 바람과 같은 각종 자연력 등에 저항해 현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측량장비(200)를 조작하는 자측정 작업자 혼자서도 정확한 위치측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자(110)를 일정한 무게 이상이 되도록 제작해서, 부도체 재질의 지하시설물에서도 고정자(110)의 자중이 앵커 기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힌지(120)는 고정자(110)와 막대(130)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수단으로, 고정자(110)와는 회전축(122)을 매개로 고정되고, 막대(130)와는 고정수단(121)을 매개로 고정된다. 이때, 회전축(122)은 고정자(110)와 회전가능하게 맞물려서, 힌지(120)가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고정자(110)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고정수단(121)은 고정자(110)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ㄷ' 형상 프레임(123)과 막대(130)를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는 볼트(121a)와, 프레임(123)이 막대(130)를 감싸 조여서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압하는 너트(121b)로 구성된다.
따라서, 자측정 작업자는 현장 상황에 따라 막대(130)의 위치를 조정한 후, 너트(121b)가 볼트(121a)를 따라 이동하도록 너트(121b)를 조이거나 풀어서, 위치가 조정된 막대(130)의 현 위치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120)는 자측정 작업자가 현장에서 막대(130)의 수직 상태를 맞추기 위해 고정자(110)를 기준으로 막대(130)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맞추어진 막대(130)의 수직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즉, 자측정 작업자는 너트(121b)의 조임을 해제한 상태에서 막대(130)를 회동시켜 그 수직 상태를 맞춘 후 너트(121b)를 다시 조여서 힌지(120)가 막대(130)를 감싸쥐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막대(130)의 수직 상태 확인은 공지,공용의 기포관(미도시함)을 통해 이룰 수 있다. 참고로, 기포관은 기포의 움직임을 확인해서, 기포관이 설치된 대상물의 수평상태를 자측정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로, 막대(130)의 최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자측정 작업자는 지상 (도 4 참조)에서 막대(130)의 최상단에 배치된 기포관의 기포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막대(130)를 회동시켜서, 상기 막대(130)를 수직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토털스테이션은 각도와 거리를 함께 측정할 수 있는 공지,공용의 측량장비(200)로, 전자식 세오돌라이트(electronic theodolite)와 광파측거기(EDM: electro-optical instruments)가 하나의 기기로 통합되어 있어서, 측정한 자료를 빠르게 처리해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식 측거ㆍ측각기이다.
종류에는 광파측거기에 측각기능을 부가한 광파측거기 주체형과, 광학식 세오돌라이트에 광파측거기를 부착한 광학식 세오돌라이트 주체형과, 전자식 세오돌라이트에 광파측거기를 부착한 전자식 세오돌라이트 주체형 등이있다. 토털스테이션의 통상적인 구조는 안정된 지지를 위한 삼발이(210)와, 삼발이(210)에 지지 고정되는 본체(220)로 구성된다. 이때, 본체(220)는 광파측거기(221)와, 광파측거기(221)의 상하 이동으로 생기는 연직각을 측정하는 연직각 검출부(미인출함)와, 본체(220)의 좌우 회전으로 생기는 수평각을 측정하는 수평각 검출부(미인출함)와, 본체(220)의 수평을 측정하고 보정하는 틸팅 센서(미인출함) 4가지 구조로 되어 있다. 초기에는 수평거리와 고저차의 변환은 나중에 별도로 계산하는 방식이었으나 전자기술의 발달로 광파측거기(221)에 계산 기능이 내장되고, 상기 연직각 및 수평각 측정을 위한 상기 검출부가 점차 소형화ㆍ경량화되면서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상기 토털스테이션의 종류로는 광파측거기(221)에 측각 기능을 부가한 광파측거기 주체형과, 광학식 세오돌라이트에 광파측거기(221)를 부착한 광학식 세오돌라이트 주체형과, 전자식 세오돌라이트에 광파측거기를 부착한 전자식 세오돌라이트 주체형 등이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a)의 표면에는 재귀반사를 위한 필름형태의 재귀반사체(130a)가 포장된다. 재귀반사란, 광원으로부터 온 빛이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광원으로 돌아가는 현상을 뜻하는 것으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각도에 상관없이 재귀반사체(130a)는 해당 빛을 광원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물리적 성질을 갖는다.
재귀반사체(130a)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외면이 곡면 또는 3면체의 절곡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요철을 이루고, 3면체의 절곡면 형태가 적용될 경우엔 도 3의 원 안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모습을 갖는다. 도 4는 상기 제1실시예의 실시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지하시설물(10)의 매설을 위해 절개지(30)에 매설 대상이 되는 지하시설물(10)을 설치한 후 절개지(30)를 다시 매립하기 전, 자측정 작업자는 지하시설물(1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a)을 해당지하시설물(1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지하시설물(10)이 자화 가능한 금속성 재질일 경우, 측량타깃(100a)에 구성된 자성을 갖는 고정자(110)는 자력으로 측량타깃(100a)과 지하시설물(10)을 상호 연결 및 고정해서, 측량타깃(100a)이 쓰러짐 없이 지하시설물(10)에 안정적으로 입설 배치되도록 한다. 한편, 절개지(30)에는 해당 지하시설물(10) 외에도 다른 지하시설물(20)이 함께 매설될 수 있고, 다른 지하시설물(20)의 매설 위치가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지하시설물(10)의 바로 위쪽을 가리는 위치일 수도 있다. 따라서, 지하시설물(10, 20)의 배치 모습이 도시한 바와 같을 경우엔, 하부에 위치한 해당 지하시설물(10)의 위치 측정은 곧은 막대 형상의 측량타깃으로는 곤란함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a)은 힌지(120)를 매개로 회동가능한 구조를 이루므로, 상부에 위치한 지하시설물(20)을 회피해서 측량타깃(100a)의 막대(130)를 곧게 입설시킬 수 있고, 지상에서는 자측정 작업자가 절개지(30)로부터 곧게 인출된 측량타깃(100a)의 막대(130)를 측량장비(200)를 이용해 감지해서 하부에 위치한 해당 지하시설물(10)의 실제 매설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막대(130)는 힌지(120)를 매개로 고정자(110)와 회동 가능하게 되므로, 측량타깃(100a)의 고정자(110)가 안착되는 지하시설물(10)의 외면이 경사지거나 평면이 아닌 굴곡면이더라도, 고정자(110)를 기초로 입설되는 막대(130)가 항시 곧게 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심지의 지하시설물(10, 20)은 상하수관은 물론 각종 통신라인 및 지중전선 라인 등이 상호 인접 매설되므로, 이웃하는 다른 지하시설물(10, 20)에 의해 그 위치에 대한 확인이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a)은 이웃하는 다른 지하시설물(10, 20)의 간섭을 회피해 해당 지하시설물에 대한 정확한 위치확인을 할 수 있도록 되므로, 도심지의 지하시설물에 대한 위치 정보 데이터 구축작업을 정확하면서도 비교적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인 측량타깃(100b)은 지지수단(140)을 더 포함한다. 지지수단(140)은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시설물(10)의 외형에 상응하는 형상을 한 클립(141)과, 클립(141)의 일 지점에 설치되어서 측량타깃(100b)의 고정자(110)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커(142)로 구성된다. 클립(141)은 일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어서,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에 의해 지하시설물(10)의 둘레를 강제로 감싸면서 상기 지하시설물(1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벨트와 같은 가요성 재질로 제작되고 말단에는 공지,공용의 버클(미도시함) 또는 벨크로 테입(미도시함)과 같은 결속수단이 설치되어서, 이를 매개로 지하시설물(10)의 둘레를 감싸듯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상기 결속수단을 매개로 클립(141)의 양단을 서로 고정하는 실시예가 적용될 경우엔, 클립(141)의 길이를 지하시설물(10)의 둘레를 감쌀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제작하거나, 고무줄과 같이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링커(142)는 클립(141)의 일 지점에 고정 배치되어서, 막대(130)의 하단에 위치되는 고정자(110)와 탈부착하는 것으로, 고정자(110)는 자력을 발하므로, 이에 상응해서 링커(142)는 자력에 반응해 부착되는 재질로 제작된다. 결국, 자측정 작업자는 막대(130)와는 분리된 지지수단(140)을 지하시설물(10)에 감싸서 우선 고정한 후, 지지수단(140)의 링커(142)에 고정자(110)를 부착시켜서, 막대(130)가 링커(142) 및 고정자(110)를 기초로 입설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c)은 입면체 형상의 구조물로, 외면에는 재귀반사체가 포장됨은 물론 측량장비(200)의 조준을 위한 조준점(101)이 표시된다. 한편, 도 6의 (a)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인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량타깃(100c)에는 자성을 갖는 고정자(110')가 내설되어서, 이 고정자(110')를 매개로 지하시설물(10)에 안정하게 고정된다. 즉, 자측정 작업자가 위치 측량 대상이 되는 지하시설물(10)의 해당 위치에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인 측량타깃(100c)을 올려놓으면, 측량타깃(100c)에 내설된 고정자(110')는 자력에 의해서 해당 지하시설물(10)에 부착돼 고정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자측정 작업자는 지상으로 이동해서 측량장비(200)의 광파측거기(221)를 측량타깃(100c)의 조준점(101)에 조준시킨 후 광파를 발사하면, 상기 광파는 측량타깃(100c)의 조준점(101)에 명중한 후 재귀반사체에 의해 반사되어서 측량장비(200)로 수신된다. 참고로, 측량장비(200)는 광파의 발신 및 수신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처리해서, 해당 지하시설물(10)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c)은 지하시설물(10) 상에 안착해서 고정할 수 있는 입면체라면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을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체 형상을 이루는 것이 좋을 것이다. 사면체는 삼각형의 측면을 갖는 입면체로서, 뿔 형상을 이루므로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측량장비(200)가 측면에 표시된 조준점(101)을 상방에서 효과적으로 감지 및 조준할 수 있고,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측면의 면적이 동일한 체적을 갖는 입면체 중에서는 가장 넓으므로, 측량장비(200)를 통한 측량시 측량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d)의 제4실시예는 반구 형상을 한 입체물로, 지하시설물(10)과의 결속을 위해 고정자(110')를 구비함은 제3실시예로 제시된 측량타깃(100c)과 동일하다. 반구 형상의 측량타깃(100d)은 상방의 어느 방향에서도 정면을 향하므로, 측량장비(200)는 다양한 방향에서 정반사되는 광파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측량장비(200)는 측량타깃(100d)이 위치한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수집해 기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그 설치상태를 보인 것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히, 도 8,9에 따른 제5실시예는 측량타깃(100e)의 설치 및 유지 보수는 물론 회수관리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개량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제5실시예에 따른 측량타깃(100e)은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타깃하우징(31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타깃하우징(310)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는 동일형상이지만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중앙보스(312)가 돌출된다.특히, 상기 중앙보스(31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타깃하우징(310)의 상단에는 둘레를 따라 안쪽 모서리 부분이 'ㄴ' 형상으로 절삭되어 단차면(314)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단차면(314)을 형성하는 이유는 후술될 커버체(320)가 안정적으로 안착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중앙보스(312)의 돌출높이는 상기 단차면(310)과 동일선상을 유지하면 된다. 또한, 상기 중앙보스(312)를 기준으로 그 외측 둘레에는 상기 타깃하우징(310)의 바닥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배터리(330)와 컨트롤박스(340)를 더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타깃하우징(310)의 하부면 중앙에는 하방향으로 고정돌기(350)가 돌출되는데, 상기 고정돌기(350)의 하단면에는 하우징접속단자(352)가 돔스위치 형태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접속단자(352)는 상기 컨트롤박스(340)와 연결되어 제어되며, 컨트롤박스(340)의 구동전류는 상기 배터리(330)를 통해 얻는다. 한편, 상기 커버체(320)는 상단면이 돔형상을 이루고 하단면 중앙에는 상기 중앙보스(312)의 내부로 끼워지면서 나사결합되는 볼스크류(32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볼스크류(322)의 길이 내부에는 축설치홈(324)이 일정길이 형성되고, 상기 축설치홈(324)의 상단은 상기 커버체(320)에 형성된 모터고정홈(326)과 연통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축설치홈(324)의 길이 일부에는 이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볼스크류(322)를 직경방향으로 관통하여 축설치홈(324)과 연통되는 핀고정공(328)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고정홈(326)에는 회동모터(M)가 삽입 고정되고, 회동모터(M)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축(MS)은 상기 축설치홈(324) 속에 끼워지며, 모터축(MS)의 길이 일부에는 직교되게 관통된 핀홀(PH)이 형성되어 상기 핀고정공(328)과 일치된 상태에서 고정핀(360)으로 끼워 고정됨으로써 상기 모터축(MS)이 상기 볼스크류(322)와 일체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모터(M)도 상기 모터고정홈(326) 내부에 견고히 고정되어 상기 커버체(320)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회동모터(M)의 상부에는 판상의 스페이서(SP)가 안착되고, 상기 스페이서(SP)의 상부에는 모터배터리(BT)가 안착되며, 상기 모터배터리(BT)는 밀폐커버(37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밀폐커버(370)는 그 둘레가 상기 커버체(320)의 상면에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고정됨으로써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면, 상기 회동모터(M)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커버체(320)의 볼스크류(322)는 모터축(MS)과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결국 커버체(320)가 전체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중앙보스(312)을 타고 상승하거나 혹은 하강 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중앙보스(312)의 상단부 둘레 일부에는 제1검출센서(SS1)가 매립되고, 상기 볼스크류(322)의 하단부 둘레 일부에는 제2검출센서(SS2)가 매립되어 상호 감지시 회동모터(M)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커버체(320)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2검출센서(SS1,SS2)는 근접센서가 바람직하다. 한편, 도 9의 예시와 같이, 지하시설물(10)의 직상방에는 사각판상의 지지판(400)이 표면만 노출된 상태로 매립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400)의 상면 중앙에는 사각홈을 갖는 사각고정구(410)가 돌출되고, 상기 사각고정구(410)의 바닥면에는 돔형상의 지지판 단자(412)가 설치되며, 상기 사각고정구(410)에는 사각단면을 갖는 상기 고정돌기(350)가 삽입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판 단자(412)는 상기 지지판(400)에 내장된 제어기(414)와 연결되는데, 상기 제어기(414)는 매립된 지하시설물(10)의 종류, 깊이, 좌표, 매립년월일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들 정보는 지지판(400) 설치시 입력하도록 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판(400)의 하단면은 유실방지와이어(WW)에 의해 지하시설물(10)과 결속되는데, 이를 통해 지각변동에 의해 지지판(400)이 유실되지 않도록 하여 지하시설물(10)에 관한 정보를 안전하게 확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측량타깃(100e)을 교체 사용하거나 회수, 재설치 등이 자유롭고, 타깃하우징(310)을 지지판(400)에 꽂게 되면 하우징접속단자(352)가 지지판 단자(412)와 접속되면서 지지판(400)이 가지고 있던 지하시설물(10)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시켜 타깃하우징(310) 상의 정보를 업데이트시키게 된다. 때문에, 타깃하우징(310)이 신품으로 제작되어 새로 설치되더라도 설치되는 순간 지하시설물(10)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측량시 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커버체(320)의 외표면에는 좌표 정보를 확인하거나 보정할 수 있도록 위성과 통신가능한 GPS수신기(GPR)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타깃하우징(310)의 둘레면은 앞서 설명한 재귀반사체(130a)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커버체(320)의 표면은 수밀성과 미소 크랙억제 및 방오성을 위해 기능성 코팅물로 도포되는데, 상기 기능성 코팅물은 폴리에틸렌수지 70중량%와 실리카 30중량%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혼합물에는 상기 폴리에틸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개질유황액 15중량부, 폴리락트산 10중량부, 1-2㎛의 입도를 갖는 알루미나 분말 2중량부,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 2중량부, 몬모릴로나이트 3중량부, Ds(Dichlorodimethylsilane) 7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4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5중량부, 규산소다(Sodium Silicates) 5중량부, 에르소르빈산나트륨 5중량부, 살리실산에스테르 3중량부, 테르븀 2중량부, 0.1-0.2㎛의 입도를 갖는 보크사이트 크링커 분말 5중량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중량부, 방향족 폴리아민 2중량부, 산화나트륨(Na2O) 1중량부, 이산화규소(SiO2) 2중량부, 삼산화이철(Fe2O3) 1중량부, 알킬렌 아마이드 2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폴리에스테르수지는 베이스 수지이며, 상기 개질유황액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유황 분산물을 제조한 후 상기 분산물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상태에서 상기 분산물 및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전기분해하여 얻은 유황 나노수용액을 유황 개질제로 중합반응시켜 나노수경성 개질유황액을 얻되, 유황 개질제로서 디시클로 펜타디엔(DCPD)계 개질제를 사용한다. 이것은 염해저항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폴리락트산은 합성고분자 타입의 수지로서 내습성, 가공성이 우수한 물성이 있으며, 용융온도는 150-200℃이고, 연성에 의한 연질화, 인장강도, 신장율을 향상시키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알루미나는 알루미늄과 산소의 화합물로서, 내구성 향상을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는 표면 슬립성을 증대시켜 이물부착방지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몬모닐로나이트는 일종의 무기필러로서 기계적 물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Ds(Dichlorodimethylsilane)는 강한 소수성을 가진 물질로서 방습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스테아린산칼슘은 분산제로서 윤활기능을 촉진하여 첨가물들의 균질한 분산성을 유도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는 접착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부착력을 강하게 하여 내구성을 높이
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는 소르비톨에서 파생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중 하나로서 수분의 번짐을 막기 위해 첨가되고, 규산소다(Sodium Silicates)는 표면 접착력을 높이면서 점결성을 강화하기 위해 첨가되며, 에르소르빈산나트륨은 산화 방지를 위해 첨가된다. 또한, 살리실산에스테르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자외선에 의해 수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아울러, 테르븀은 란탄족에 속하는 희토류 금속으로서 전성과 연성이 커 코팅층의 완충 및 내마모도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0.1-0.2㎛의 입도를 갖는 보크사이트 크링커 분말은 결합력을 증대시켜 압축강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은 멜라민수지 등의 열경화성수지와 무기재료와의 커플링을 위한 실란커플링제로서 결합성, 접착성, 표면강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방향족 폴리아민은 경화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산화나트륨은 이산화규소와 반응하여 규산염을 형성함으로써 내화도를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특히 산화나트륨은 산화방지기능도 수행하며, 이산화규소는 유리화반응을 통해 쇄상격자를 이루면서 난연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때문에, 상기 산화나트륨과 이산화규소는 1:2의 중량비 범위 내에서 혼합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삼산화이철은 방청기능을 위해 주로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계면 분리를 억제하기 위해 첨가되며 산화철이라는 특성상 미량 첨가되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알킬렌 아마이드는 윤활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혼합을 원활하게 하고, 혼합 후 부서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조성에 따른 방오성, 수밀성 즉 내습성을 확인하기 위해 10cm × 5cm × 0.5cm 크기의 철판 표면에 코팅액을 도포한 후 표면에 물을 스프레이한 후 철판을 90도까지 세웠을 때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15도를 넘어서자 마자 물이 흘러내려 내습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방오성이 높다는 것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도 10에서와 같이 밀폐커버(370)의 상면에 수평판(500)이 고정되고, 상기 수평판(500)의 상면 중앙에는 회동모터(510)가 고정되며, 상기 수평판(500)의 상면 일측에는 컨트롤러(5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520)는 1인 작업자가 소지할 리모컨과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회동모터(5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520)에는 전원으로 배터리를 내장할 수 있고, 배터리는 축전지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동모터(510)는 모터축(512)이 상방향을 향해 수직하게 배열되도록 세워 설치되며, 상기 모터축(512)의 상단에는 원판(530)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원판(5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모터축(512)의 상단에는 삼각판(514)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삼각판(514)의 각 꼭지점 부근에는 수직하게 돌출된 고정로드(516)가 형성된다. 때문에, 상기 고정로드(516)가 삼각형상으로 상기 원판(530)의 하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원판(530)은 흔들림이 최소화된 상태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판(530)의 상면 일측에는 지지바(540)가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지지바(540)의 상단에는 카메라(CMR)의 몸체 일측에서 연장된 고정바(550)가 서로 힌지고정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바(540)와 간격을 두고 각도조절실린더(560)가 설치되고, 각도조절실린더(560)에 구비된 조절로드(562)에는 상기 카메라(CMR)의 몸체 타측에서 연장된 유동바(570)가 힌지 고정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실린더(560)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각도조절실린더(560)로 공급되는 공압은 임펠러를 구동시키는 공지의 모터펌프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터펌프는 각도조절실린더(560)의 몸체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컨트롤러(520)의 제어에 따라 모터펌프가 구동되며 생성된 공압을 펌핑할 때 밸브 제어를 통해 각도조절실린더(560)의 조절로드(562)의 승강을 조절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조절로드(562)의 단부는 공지의 피스톤으로서 상기 각도조절실린더(560) 내부에 내장된 형태이므로 공압이 가해지는 방향에 따라 피스톤의 움직이는 방향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는 공지된 구조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컨트롤러(520)를 조절함으로써 카메라(CMR)의 각도 조절까지 쉽게 할 수 있어 이렇게 하면 영상정보까지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1인 작업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도 11과 같이, 거리측정 기능의 이중화 기술과, 지피에스 측정 기술을 더 접목하여 측량시 거리 측정오차를 없애고, 지하시설물의 좌표를 지피에스로부터 즉시 확인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확성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220)에 구비된 광파측거기(221) 외에 별도로 레이저 거리측정기(2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기(230)는 레이저발진기로서, 레이저빔을 조사한 후 반사판(130b)을 통해 되돌아오는 레이저빔의 시간차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는 유닛으로서 공지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기(230)로부터 방출된 빔을 조사받은 후 반사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반사판(130b)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반사판(130b)은 일종의 거울로서, 상기 막대(130) 상의 특정 지점에 설치되거나, 도 8의 제5실시예의 경우에는 타깃하우징(310)의 둘레면 중 대응되는 일지점에 설치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파측거기(221)와 재귀반사체(130a)의 조합을 통한 1차 거리측정값과, 레이저 거리측정기(230)와 반사판(130b)의 조합을 통한 2차 거리측정값을 함께 취득한 후 이들 값의 차를 확인하여 거리 오차를 없애도록 함으로써 거리측량에 있어 측량기술의 이중화를 통해 더욱 더 정확한 거리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이와 같이 거리오차를 줄여야 하는 이유는 측량시 미소한 각도 오차만으로도 실제상에서는 현저한 거리 오차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며, 이것이 지도상에 표시될 때에는 더욱 더 그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거리 측정기술의 이중화를 위해, 본체(220)에 구성된 측량장비제어부(240)에는 비교연산부(242)와, 메모리(244)가 더 구비된다. 상기 비교연산부(243)는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기(230)가 계측한 거리값과, 상기 광파측거기(221)가 계측한 거리 값을 비교판독하여 오차 여부를 확인하고, 측정값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계측값의 오차 범위는 ±1/10000mm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비교연산부(243)는 비교 연산시, 각 계측값들을 메모리(244)에 저장한 후 입출력하여 비교 연산시 활용하게 되며, 연산된 값은 다시 메모리(244)에 저장되고, 입,출력부(250)를 통해 출력되어 계측장비(200)의 본체(22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로 표시된다. 이를 위해, 상기 측량장비제어부(240)에는 입,출력부(250)가 더 연결되며, 상기 입,출력부(250)는 설정 등을 위한 입력시 또는 계측데이터, 산술연산값 등을 출력할 때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측량장비제어부(240)에는 현지조사 확인을 위한 조사확인부(260)가 별도의 버튼 형태로 입,출력부(250)와 별개로 할당되어 있어, 측량시 산출값들과 위치 확인이 완료된 후 측량기사가 상기 조사확인부(260)를 통해 완료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측량장비제어부(240)는 계측작업을 완료하고, 후술되는 지피에스에 의한 좌표값과 함께 최종 계측값을 무선통신부(270)를 통해 원격지서버(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현지조사 확인까지 종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원격지서버는 메인측량서버로서, 관리회사나 국가기관 혹은 지자체 기관 등에서 구축된 서버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무선통신부(270)는 통신을 위한 안테나를 구비하며, 상기 원격지서버와 무선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측량장비제어부(240)와 연결 제어된다. 또한, 상기 측량장비제어부(240)에는 지피에스수신부(246)와 좌표연산부(248)가 더 연결된다. 상기 지피에스수신부(246)는 위성을 통해 지피에스(GPS)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는 측량장비제어부(240)와 좌표연산부(248) 및 메모리(244)의 조합을 통해 측량장비(200)인 본체(220)의 좌표로부터 타깃이 설치된 위치, 다시 말해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좌표값으로 정확하게 산출한다. 이때, 앞서 취득한 거리측정값이 활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거리 측정오차를 없앰으로써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오염방지 가공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오염방지 가공수단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오염방지 가공수단 1>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가공대상물에 인접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분사유닛(10)과, 분사유닛(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21, 22)과, 상기 지지유닛(21, 22)을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30)을 포함한다. 분사유닛(10)은 경사지게 설치된 가공대상물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분사유닛(10)에는 오염방지 코팅물질이 저장된 저장탱크(13)가 연결되며, 저장탱크(13)의 오염방지 코팅물질이 공급펌프(14)의 펌핑에 의해 분사유닛(10)으로 공급된다. 이에, 분사유닛(10)은 저장탱크(13)로부터 공급된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분사유닛(10)의 일측에는 간격감지센서(15)가 설치되어 분사유닛(10)과 가공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분사유닛(10)과 가공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지지유닛(21, 22)은 분사유닛(10)을 지지함과 더불어, 분사유닛(10)을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지지유닛(21, 22)은 가공대상물의 표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25)와, 가이드부(25)의 하단에 형성된 피벗부(26)와, 이 피벗부(26)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27)를 가진다. 가이드부(25)의 일면(즉, 가공대상물의 표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25a)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레일(25a)에는 가이드블록(11)이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며, 가이드블록(11)에는 분사유닛(10)이 장착됨에 따라 분사유닛(10)은 가이드부(25)를 따라 가공대상물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피벗부(26)는 후술하는 가이드유닛(30)의 수직폴대(31)의 상단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에 가이드부(25)는 가공대상물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그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연장부(27)는 피벗부(26)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연장부(27)는 가이드부(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연장부(27)의 단부에는 중심추(28, weight)가 설치되고, 이러한 중심추(28)에 의해 지지유닛(21, 22)은 그 무게 중심이 균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5)에는 하나 이상의 처짐방지용 와이어(23)가 연결되고, 이러한 처짐방지용 와이어(23)에 의해 가이드부(25)가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향해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처짐방지용 와이어(23)의 일단부는 가이드부(25)에 고정되고, 처짐방지용 와이어(23)의 타단부는 지지체(24)의 지지롤러(24a)에 조절가능
하게 설치된다. 지지체(24)는 연장부(27)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지지롤러(24a)는 지지체(24)의 도중에 설치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21, 22)은 가공대상물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상부공간(TA) 및 하부공간(LA)으로 구획하여 각 분사유닛(10)이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독립적으로 분사하도록 2개의 지지유닛(21, 22)으로 구성된다. 제1지지유닛(21)은 가공대상물의 상부공간(TA)에만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하도록 분사유닛(10)이 가이드부(25)의 상부 일정구간에서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제2지지유닛(22)은 가공대상물의 하부공간(LA)에만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하도록 분사유닛(10)이 가이드부(25)의 하부 일정구간에서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유닛(21, 22)이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대해 상부공간(TA)과 하부공간(LA)으로 구획하여 독립적으로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대한 코팅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방지 코팅물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30)은 지지유닛(21, 22)의 피벗부(26)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31)와, 수직폴대(31)가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32)와, 홀더(32)를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33)를 포함한다. 수직폴대(31)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34)가 형성되고, 이 피벗연결부(34)에는 지지유닛(20)의 피벗부(26)가 피벗축(35)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폴대(31)는 홀더(32)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21, 22)의 피벗부(26)와 수직폴대(31)의 피벗연결부(34)에는 복수의 통공(26a, 34a)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피벗축(35)을 중심으로 피벗부(26)가 일정 각도로 피벗팅한 이후에 다울핀(36)이 피벗부(26) 및 피벗연결부(34)의 서로 맞춰진 통공(26a, 34a)들에 끼워짐으로써 지지유닛(21, 22)의 회전된 위치가 고정되고, 이에 지지유닛(21, 22)의 가이드부(25)는 가공대상물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그 경사각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홀더(32)는 상단이 개방된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홀더(32)의 중공부에는 수직폴대(31)가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홀더(32)의 하단에는 가이드블럭(32b)이 마련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폴대(31)와 홀더(32)에는 복수의 통공(31a, 32a)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수직폴대(31)가 홀더(32)의 중공부에 높이가 적절히 조절되어 삽입된 이후에 다월핀(dowel pin, 38)이 수직폴대(31) 및 홀더(32)의 서로 맞춰진 통공(31a, 32a)들에 끼워짐으로써 수직폴대(31)는 홀더(32)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레일(33)은 가공대상물이 설치된 바닥에 설치되고,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된다. 가이드레일(33)에는 홀더(32)의 가이드돌기(32b)가 가이드됨에 따라 수직폴대(31), 홀더(32) 및 지지유닛(21, 22)은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특히, 회전스크류(미도시)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블럭(32b)이 가이드레일(33)을 따라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홀더(32), 수직폴대(31), 지지유닛(21, 22)은 길이방향 이송속도가 매우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가이드유닛(30)의 수직폴대(31) 및 홀더(32)가 가이드레일(33)을 통해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됨에 따라 지지유닛(21, 22)들을 개별적으로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지지유닛(21, 22)에서 각 분사유닛(10)을 개별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분사유닛(10)은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길이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매우 신속하고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다.
<오염방지 가공수단 2>
이하에서는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전술한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분사유닛(10)과, 상기 분사유닛(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21, 22)과, 상기 지지유닛(21, 2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21, 22)은 소정의 가이드부(25)와, 상기 가이드부(25)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유닛(30)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피벗부(26)와, 상기 피벗부(26)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27)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유닛(30)은 상기 지지유닛(21, 22)의 피벗부(26)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31)와, 상기 수직폴대(31)가 높이조절가능 하게 설치되는 홀더(32)와, 상기 홀더(3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33)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폴대(31)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벗연결부에는 상기 지지유닛(21, 22)의 피벗부(26)가 피벗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더(32)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3)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블럭(32b)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25)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가이드부(25a)와, 상기 하부가이드부(25a)으로 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의 동작 및 진퇴 동작을 수행하는 상부가이드부(25b)로 구비된다. 상기 분사유닛(10)은 상기 하부가이드부(25a) 상에 구비되는 하부분사유닛(10a)과, 상기 상부가이드부(25b) 상에 구비되는 상부분사유닛(10b)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부(25)는 상호 간에 틸팅 가능한 복수의 마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가이드부(25b) 상의 상기 상부분사유닛(10b) 둘레부 적어도 일부 상에는 분사제어모듈(40)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분사유닛(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 용량을 제어한다.
상기 분사제어모듈은(40), 상기 하부가이드부(25a)의 길이방향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분사제어모듈(41)과, 상기 하부가이드부(25a)의 길이방향 단부 상에서 틸트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분사제어모듈(42)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41)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1 실린더모듈(S1),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2 실린더모듈(S2),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로부터 출몰되는 제1 피스톤모듈(P1),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로부터 출몰되는 제2 피스톤모듈(P2)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42)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3 실린더모듈(S3),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4 실린더모듈(S4),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로부터 출몰되는 제3 피스톤모듈(P3),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로부터 출몰되는 제4 피스톤모듈(P4)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은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은 상호간에 대향하며,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과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은 상호간에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모듈(P1) 내지 상기 제4 피스톤모듈(P4)은 상호간에 출몰 거리 설정을 통해 상기 상부분사유닛(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용량을 제어한다.
상기 제1, 2 실린더모듈(S1, S2)은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41)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4 실린더모듈(S3, S4)은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42)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41)의 단부 상에는 제1 집게형 파지부(CL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42)의 단부 상에는 제2 집게형 파지부(CL2)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25)는 상기 제1 집게형 파지부(CL1)와 상기 제2 집게형 파지부(CL2)를 통해 오염방지 처리를 위한 상기 밀폐커버(370)를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소정의 제1 유동모듈(50a) 상에 위치되고, 가공 대상물인 상기 밀폐커버(370)는 소정의 제2 유동모듈(50b)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50a)은 , 최하단 제1-1 유동부(50a1)와, 상기 제1-1 유동부(50a1)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2 유동부(50a2)와, 상기 제1-2 유동부(50a2)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3 유동부(50a3)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50a1)는 하방에 소정의 제1 마감패널(50a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3 유동부(50a3)는 상방에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이 거치되는 제1 거치패널(50a3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모듈(50b)은, 최하단 제2-1 유동부(50b1)와, 상기 제2-1 유동부(50b1)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2 유동부(50b2)와, 상기 제2-2 유동부(50b2)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3 유동부(50b3)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유동부(50b1)는 하방에 소정의 제2 마감패널(50b11)이 구비되며, 상기 제2-3 유동부(50b3)는 상방에 상기 가공 대상물이 거치되는 제2 거치패널(50b3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50a)과 상기 제2 유동모듈(50b) 사이에는 완충모듈(6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50a)과 상기 제2 유동모듈(50b)은 상호 간에 이격 방향 또는 충돌 방향을 향해 유동됨에 있어, 상기 완충모듈(60)과 의 접촉을 매개로 상호 가속유동되거나 완충 유동된다.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의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1 자성수단(M1)이 구비되고,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의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2 자성수단(M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60)의 일측에는 제3 자성수단(M3)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60)의 타측에는 제4 자성수단(M4)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가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3 자성수단(M3)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가 상기 완충모듈(60)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3 자성수단(M3)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킨다.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가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제3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가 상기 완충모듈(60)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4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킨다. 상기 완충모듈(60)은 상기 제3 자성수단(M3)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 사이에 탄성수단(C)이 구비되어, 상기 제3 자성수단(M3)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을 통해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완충모듈(60)은,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며,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의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상기 제1 거치패널(50a31)의 단부에는 제1-1 돌기부(50a31T)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상기 제1 마감패널(50a11)의 단부에는 제1-2 돌기부(50a11T)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상기 제2 거치패널(50b31)의 단부에는 제2-1 돌기부(50b31T)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상기 제2 마감패널(50b11)의 단부에는 제2-2 돌기부(50b11T)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60)은, 상기 제3 자성수단(M3) 및 상기 제4 자성수단(M4)의 상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1-1 돌기부(50a31T)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1-2 돌기부(50a11T)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61)이 구비되고, 상기 제3 자성수단(M3) 및 상기 제4 자성수단(M4)의 하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2-1 돌기부(50b31T)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2-2 돌기부(50b11T)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2 고정수단(62)이 구비된다.
상기 제1 고정수단(61)은 상기 제1-3 유동부(50a3)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1 돌기부(50a31T)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61)은 상기 제2-3 유동부(50b3)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1 돌기부(50b31T)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62)은 상기 제1-1 유동부(50a1)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돌기부(50a11T)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62)은 상기 제2-1 유동부(50b1)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2 돌기부(50b11T)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1 고정수단(61)은 상기 제1-1 유동부(50a1)를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1 돌기부(50a31T)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61)은 상기 제2-1 유동부(50b1)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1 돌기부(50b31T)의 가고정을 해제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62)은 상기 제1-2 유동부(50a2)의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2 돌기부(50a11T)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62)은 상기 제2-2 유동부(50b2)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2 돌기부(50b11T)의 가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제1-3 유동부(50a3) 및 상기 제1-1 유동부(50a1)는 상기 완충모듈(60)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된다. 상기 제2-3 유동부(50b3) 및 상기 제2-1 유동부(50b1)는 상기 완충모듈(60)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되며, 상기 가고정은 강제끼움, 자성결합, 공압식 가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기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모듈(50a)의 하부에는 제1 운송모듈(70)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동모듈(50a)을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시키고, 상기 제2 유동모듈(50b)의 하부에는 제2 운송모듈(80)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동모듈(50a)을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시키며, 상기 제1 운송모듈(70)은, 제1-1 베이스부(71)와, 상기 제1-1 베이스부(71)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는 제1-2 베이스부(72)와, 상기 제1-2 베이스부(72)와 상기 제1 유동모듈(50a)의 상기 제1-1 유동부(50a1)를 결속시켜 상기 제1 유동모듈(50a)과 상기 제1 운송모듈(7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제1 연동부(7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운송모듈(80)은, 제2-1 베이스부(81)와, 상기 제2-1 베이스부(81)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는 제2-2 베이스부(82)와, 상기 제2-2 베이스부(82)와 상기 제2 유동모듈(50b)의 상기 제2-1 유동부(50b1)를 결속시켜 상기 제2 유동모듈(50b)과 상기 제2 운송모듈(8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제2 연동부(83)가 구비된다.
상기 제1-1 베이스부(71)는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향할수록 점차 저감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2 베이스부(72)는 상기 제1-1 베이스부(71)와 대응하여 형합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1-1 베이스부(71)로부터 상기 제2 방향 과 상기 제1 방향 간에 진퇴 유동되며, 상기 제2-1 베이스부(81)는 상기 제4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을 향할수록 점차 저감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2 베이스부(82)는 상기 제2-1 베이스부(81)와 대응하여 형합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2-1 베이스부(81)로부터 상기 제4 방향과 상기 제3 방향 간에 진퇴 유동된다. 상기 제2 거치패널(50b31) 상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즉, 전술한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로서 예컨대, 밀폐커버(370) 등)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모듈(90)이 구비되며 상기 가공 대상물은 상기 거치모듈(90) 상에 거치되며, 상기 거치모듈(90)은, 상기 제2 거치패널(50b31) 상에 구비되는 패널부(91)와, 상기 패널부(91)에 연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거치패널(50b31)의 길이방향 및 높이 방항으로 각기 유동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기둥부(92)가 구비되며, 상기 기둥부(92)의 내측면 높이방향 상에는 고정돌기(92a)가 다수로 형성되어 상기 가공 대상물을 가고정 시킨다.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
도 19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오염방지 가공이후에 2차 적인 오염방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가공대상물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에 배치되는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샤프트와, 상기 센터 샤프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된 상방 수평보와, 상기 상방 수평보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된 사이드 수직바와, 가공대상물에 도포되는 도포액를 공급받아 분사구에 의해 가공대상물에 분사하는 스프레이건(750)을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는 하부에 소정의 지지대(710a)가 다수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710a)은 하단부가 소정의 체결모듈에 수용되어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710a)는, 하방을 향하는 기둥부(710a1)와, 상기 기둥부(710a1)의 상방 제1 영역과 하방 제2 영역(L2) 사이의 측면부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모듈은 소정의 제1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기둥부(710a1)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둥부(710a1)의 제2 영역(L2)부를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가압부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는 소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기둥부(710a1)의 상기 제2 영역(L2)를 향하여 진퇴유동 되는 가압체(1120)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는, 제1 본체(1111')와, 상기 제1 본체(1111') 하방의 제2 본체(1112)와, 상기 제2 본체(1112) 하방의 제3 본체와, 상기 제1 본체(1111')와 상기 제2 본체(1112) 사이에 위치되는 제1 수용부(C1)와, 상기 제2 본체(1112)와 상기 제3 본체 사이에 위치되는 제2 수용부(C2)가 구비되며, 상기 스프레이건(750)의 전단부 상에는 소정의 분사부(752)와, 상기 분사부(752)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일정범위로 틸트 유동되는 벽체 또는 바 형상인 하나 이상의 가변부(791)가 구비되어 상기 분사부(752)로부터 분사되는 도포액의 분사범위를 조절한다.
상기 가변부(791)의 내측면 상에는 다수의 석션부(SH)구비되어 상기 분사부(752)로부터 분사되는 도포액 적어도 일부를 흡입하며, 상기 가변부(791)의 외측면 상에는 에어 분사를 위한 다수의 에어 분사부(752)가 구비되며, 상기 스프레이건(750)의 상기 가변부(791)은 전체적 또는 개별적으로 정회전 동작 하거나 역회전 동작되며, 상기 스프레이건(750)의 후단부 상에는 상기 분사부(752)의 토출에 기반하는 반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역분사부(792)가 구비되며, 상기 스프레이건(750)의 하단부 상에는 상기 분사부(752) 및 상기 역분사부(792)의 동작에 기반하는 반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제2 역분사부(79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일정 범위로 유동 가능한 소정의 가이드 수단(GM)과, 상기 가이드 수단(GM)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차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차단몸체(794)와, 상기 차단몸체(794)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출몰부(795)와, 상기 차단몸체(794)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출몰부(796)와, 상기 차단몸체(794)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출몰부(797)와, 상기 차단몸체(794)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4 출몰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몸체(794)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 출몰부(796)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700) 상의 가공대상물을 상호 일정하게 이격 시킨다.
상기 스프레이건(750)은, 상기 스프레이건(750)의 전단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소정의 암모듈(RB)이 구비되며, 상기 암모듈 둘레부 적어도 일부영역 상에 소정의 제1 함입홈(RH1)이 형성되며, 상기 암모듈(RB)은 소정의 관절형 가이드부(GM1)와 상기 가이드부(GM1)로부터 연장되는 본체모듈(BM)이 구비되며, 상기 암모듈(RB)은 상기 제1 함입홈(RH1)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제1 함입홈(RH1)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함입홈(RH1) 깊이 이상으로 소정의 제2 함입홈(RH2)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암모듈(RB)의 상기 가이드부(GM1)은 상기 제2 함입홈(RH2) 상에 삽입되어 거치되며, 상기 암모듈(RB)의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제1 함입홈(RH1)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가이드부(GM)의 단부에 위치되는 히팅부(HM')와 상기 히팅부(HM')의 상방을 개폐시키는 계폐형 촬영부로 구비되며, 상기 촬영부는 제1 촬영부(CM1) 및 제2 촬영부(CM2)로 구비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히팅부(HM')의 상면을 폐쇄 또는 노출시키며, 상기 히팅부(HM')과 마주하는 상기 제1 촬영부(CM1)의 저면부 상에는 제1 단열패널(CH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촬영부(CM2)의 저면부 상에는 제2 단열패널(CH2)이 구비되고, 상기 히팅부(HM')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5 단열패널(CH5)이 구비되며, 회동 시 상기 히팅부(HM')의 상기 제5 단열패널(CH5)과 마주접하게 되는 상기 제1 촬영부(CM1)의 둘레부 상에는 제3 단열패널(CH3)이 구비되고, 상기 히팅부(HM')의 둘레부 제2 영역(L2)에는 제6 단열패널(CH6)이 구비되며, 회동 시 상기 히팅부(HM')의 상기 제6 단열패널(CH6)과 마주접하게 되는 상기 제2 촬영부(CM2)의 둘레부 상에는 제3 단열패널(CH3)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레이건(750)은, 상기 스프레이건(750)의 전단부를 향하여 유동되는 소정의 제2 암모듈(RB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 둘레부 적어도 일부영역 상에 소정의 제3 함입홈(RH3)이 형성된다.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소정의 관절형 제2 가이드부(GM2)와 상기 제2 가이드부(GM2)로부터 연장되는 제2 본체모듈(BM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3 함입홈(RH3)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제3 함입홈(RH3)의 내부에는 상기 제3 함입홈(RH3) 깊이 이상으로 소정의 제4 함입홈(RH4)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의 상기 제2 가이드부(GM2)은 상기 제4 함입홈(RH4) 상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의 상기 제2 본체모듈(BM2)은 상기 제3 함입홈(RH3)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제1 함입홈(RH1)에 대응하여 커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3 함입홈(RH3)에 대응하여 커브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멀티범퍼모듈>
도 31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1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전술한 상기 제1 운송모듈(70) 및 상기 제2 운송 모듈(80)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대(L'); 및 상기 지지대에 결속되어,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대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은, 상기 지지대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1112')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가압부(1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1113')가 구비되는 제1-1 범퍼모듈(1110')과, 상기 지지대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2112')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가압부(2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2113')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2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부(1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안착부(1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가압부(1112')의 상기 제1 안착부(1111') 대향면 상에는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와,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압부(2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안착부(2111') 대향면 상에는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와,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 및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과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지지대는 바(bar) 형상체이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방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한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CM)으로 연동되어 수평방향 간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사이에서 내부로 가압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는 각각 내부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향하는 경사면의 외부로 출몰되는 돌기(O')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O')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O')에 의하여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적어도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접하는 접촉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O')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O')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 상에는 각각 높이방향 상으로 유동되는 승하강 수단(UP')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상기 제1 회전부(1113')와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상면부 제1 수평영역 상에는 상기 지지대를 향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고정수단(HM')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안착부(1111') 및 상기 제2 안착부(2111') 상에 안착된 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의 상방 노출면인 제2 수평영역 적어도 일부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수단(HM')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빗변이 상기 지지대 반대편을 향하도록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직삼각형상체이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바 또는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챔퍼가 형성된 하단부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고정수단(HM')의 상방을 가압하되,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하단부가 상기 고정수단(HM')의 빗변 적어도 일부와 형합하도록 접촉하여 가압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 범퍼모듈(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범퍼모듈(2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3 안착부(3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회전부(3113')가 구비되는 제2-1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4 안착부(4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일정영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4 회전부(4113')가 구비되는 제2-2 범퍼모듈(4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는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적어도 경사면 일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하방에는 상방과 하방간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펌핑모듈(PM')이 구비되며, 상기 펌핑모듈(PM')은, 하판부(BL')와,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가 거치되며, 상기 하판부(BL')로부터 탄성수단 및 폄핑수단을 매개로 상방과 하방 간에 유동 가능한 상판부(UL')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유체의 내장 및 토출을 위하여 유체가 내장되는 내장체(I')와, 외부 가압힘 또는 진동에 기반하여 상기 내장체(I') 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어, 상기 내장체(I')의 상기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체(P)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는 상호간에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각각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체(I')는 수평방향 단부 상으로 분사노즐(N')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되,상기 유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이거나, 유색을 띠는 기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 상에 1차 안착되되, 상기 제1 회전부(1113') 및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되거나, 기 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고정자
120: 힌지
130: 막대
200: 측량장비

Claims (14)

  1. GPS수신부와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탑재한 측량장비와; 상기 측량장비로 지하시설물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측량타깃;을 포함하는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로서,
    상기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는,
    상기 측량타깃은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의 타깃하우징과; 상기 타깃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안착되는 커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기 타깃하우징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는 원통형상이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앙보스가 돌출되고; 상기 중앙보스를 기준으로 외측 둘레에는 배터리와 컨트롤박스가 설치되며; 상기 타깃하우징의 하부면 중앙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사각형상의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체의 하단면 중앙에는 상기 중앙보스의 내부로 끼워지면서 나사결합되는 볼스크류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체의 내부에는 회동모터가 내장되고, 회동모터의 모터축는 상기 볼스크류의 내부로 연장된 후 고정핀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와 결속되며; 상기 회동모터의 상측에는 상기 커버체에 고정되는 밀폐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밀폐커버의 상면에 수평판이 고정되되, 상기 밀폐커버는 소정의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처리되며,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분사유닛과, 상기 분사유닛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소정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피벗부와, 상기 피벗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의 피벗부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와, 상기 수직폴대가 높이조절가능 하게 설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폴대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벗연결부에는 상기 지지유닛의 피벗부가 피벗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더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블럭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가이드부와, 상기 하부가이드부으로 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의 동작 및 진퇴 동작을 수행하는 상부가이드부로 구비되며,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하부가이드부 상에 구비되는 하부분사유닛과, 상기 상부가이드부 상에 구비되는 상부분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부는 상호 간에 틸팅 가능한 복수의 마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가이드부 상의 상기 상부분사유닛 둘레부 적어도 일부 상에는 분사제어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분사유닛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 용량을 제어하며,
    상기 분사제어모듈은,
    상기 하부가이드부의 길이방향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분사제어모듈과, 상기 하부가이드부의 길이방향 단부 상에서 틸트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분사제어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1 실린더모듈, 상기 제1 실린더모듈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2 실린더모듈,
    상기 제1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1 피스톤모듈, 상기 제2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2 피스톤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3 실린더모듈, 상기 제3 실린더모듈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4 실린더모듈과, 상기 제3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3 피스톤모듈, 상기 제4 실린더모듈로부터 출몰되는 제4 피스톤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실린더모듈은 상기 제3 실린더모듈은 상호간에 대향하며, 상기 제2 실린더모듈과 상기 제4 실린더모듈은 상호간에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모듈 내지 상기 제4 피스톤모듈은 상호간에 출몰 거리 설정을 통해 상기 상부분사유닛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용량을 제어하는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80046068A 2018-04-20 2018-04-20 수치 지도 제작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KR101944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68A KR101944442B1 (ko) 2018-04-20 2018-04-20 수치 지도 제작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68A KR101944442B1 (ko) 2018-04-20 2018-04-20 수치 지도 제작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442B1 true KR101944442B1 (ko) 2019-01-31

Family

ID=65323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068A KR101944442B1 (ko) 2018-04-20 2018-04-20 수치 지도 제작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44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818B1 (ko) 2020-05-06 2020-10-08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영상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지하시설물 시공측량 방법 및 이에 기반한 지하시설물 수치도면 제작 장치
KR102302085B1 (ko) * 2021-05-13 2021-09-15 한국건설연구소 주식회사 사면 변위 예측 시스템
KR102379402B1 (ko) * 2021-10-06 2022-03-29 (주)국토공간정보 지하시설물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측량 시스템 제공방법
CN114791281A (zh) * 2022-05-16 2022-07-26 中测(浙江)勘测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载激光雷达的高速公路横断面测量装置
KR102599940B1 (ko) * 2023-03-13 2023-11-10 주식회사 파나시아 원자력발전소 탱크 정밀측정을 위한 모터 와이어 측위 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
CN117516467A (zh) * 2024-01-05 2024-02-06 菏泽市自然资源和规划局 一种土地规划定位用测量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924A (ja) * 1991-07-26 1993-02-09 Noritz Corp 燃焼器の噴霧ノズル制御方法
KR20110034519A (ko) 2009-09-28 2011-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센서 포트 삽입형 실리콘 호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652288B1 (ko) * 2016-06-15 2016-08-30 주식회사 고산자 지피에스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KR101833686B1 (ko) * 2017-10-18 2018-02-28 김홍철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924A (ja) * 1991-07-26 1993-02-09 Noritz Corp 燃焼器の噴霧ノズル制御方法
KR20110034519A (ko) 2009-09-28 2011-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센서 포트 삽입형 실리콘 호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652288B1 (ko) * 2016-06-15 2016-08-30 주식회사 고산자 지피에스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KR101833686B1 (ko) * 2017-10-18 2018-02-28 김홍철 건물 외벽면 청소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818B1 (ko) 2020-05-06 2020-10-08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영상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지하시설물 시공측량 방법 및 이에 기반한 지하시설물 수치도면 제작 장치
KR102302085B1 (ko) * 2021-05-13 2021-09-15 한국건설연구소 주식회사 사면 변위 예측 시스템
KR102379402B1 (ko) * 2021-10-06 2022-03-29 (주)국토공간정보 지하시설물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측량 시스템 제공방법
CN114791281A (zh) * 2022-05-16 2022-07-26 中测(浙江)勘测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载激光雷达的高速公路横断面测量装置
CN114791281B (zh) * 2022-05-16 2023-11-21 中测(浙江)勘测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无人机载激光雷达的高速公路横断面测量装置
KR102599940B1 (ko) * 2023-03-13 2023-11-10 주식회사 파나시아 원자력발전소 탱크 정밀측정을 위한 모터 와이어 측위 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
CN117516467A (zh) * 2024-01-05 2024-02-06 菏泽市自然资源和规划局 一种土地规划定位用测量装置
CN117516467B (zh) * 2024-01-05 2024-03-29 菏泽市自然资源和规划局 一种土地规划定位用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442B1 (ko) 수치 지도 제작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US6202312B1 (en) Laser tool for generating perpendicular lines of light on floor
KR101652288B1 (ko) 지피에스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US9255798B2 (en) Survey device
US7086163B1 (en) Method and remote-controlled reflector device for layout axis lines during construction of a building in the absence of direct line of sight
US11719536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erial surveying
US20150037045A1 (en) Laser receiver
KR102035044B1 (ko) 왜곡 영상의 정밀한 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 시스템
KR101944445B1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지하시설물의 측지측량 장치
US6966387B2 (en) Universal optical adapter for a three dimensional earthgrading system
KR101729616B1 (ko) 1인 측량이 가능한 지하시설물 위치 측정 방법로 전신주와 지하시설물의 지도제작을 위한 측량장치
KR102305283B1 (ko) 실시간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량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Bouvet et al. Precise 3-D localization by automatic laser theodolite and odometer for civil-engineering machines
KR101652291B1 (ko) 지도제작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지측량장치
KR102608741B1 (ko) 지피에스(gps)를 이용한 지하시설물 측량 조사시스템
CN109341675A (zh) 一种掘进机三维空间定位箱、系统以及定位方法
US7272891B2 (en) Automatic plumbing device
KR101733536B1 (ko) 지피에스(gps)를 이용한 지하시설물의 측지측량 방법
KR102200901B1 (ko) 지하시설물의 실시간 위치측정을 위한 측량 타깃 시스템
KR101684695B1 (ko) 1인 측량이 가능한 지하시설물 위치 측정 장치
KR102232145B1 (ko) 1인 측량이 가능한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2193109B1 (ko) 1인 측량이 가능한 지하시설물 위치 측정 시스템
CN211905677U (zh) 一种便携式土木工程用超声波测距装置
KR101865022B1 (ko)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
JP3492598B2 (ja) 浮体構造物上における三次元座標の測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