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022B1 -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 - Google Patents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022B1
KR101865022B1 KR1020180046071A KR20180046071A KR101865022B1 KR 101865022 B1 KR101865022 B1 KR 101865022B1 KR 1020180046071 A KR1020180046071 A KR 1020180046071A KR 20180046071 A KR20180046071 A KR 20180046071A KR 101865022 B1 KR101865022 B1 KR 101865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nit
flow
fluid
magnetic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윤채
Original Assignee
남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윤채 filed Critical 남윤채
Priority to KR1020180046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인공위성(S)과; 도로상태정보를 송출하는 송출유닛(10)과; 차량에 탑재되며, 송출유닛(10)으로부터 도로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네비게이션장치(20)를 포함하는 지아이에스(GIS)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유닛(10)은,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11)과, 상기 기둥(11)에 설치되는 고정부(R1) 및 상기 고정부(R1)로부터 도로를 향해 연장되는 삽입부(R2)로 이루어진 연결부재(R)와, 상기 연결부재(R)의 삽입부(R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횡바(12)와, 상기 횡바(12)에 설치되어 근접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3)와, 이상지점의 거리를 설정하는 거리값입력버튼(14a)과, 도로상태를 나타내는 상태값을 입력하는 상태값입력버튼(14b)으로 구성된 입력부(14)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11)의 적어도 일부는 소정의 오염 방지 처리 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처리되는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오염원이 존재하는 다양한 외부의 환경 상에서도 수치지도 제작장치의 오염을 방지하여 전반적인 유지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Digital map production device by check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reference point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수치지도 기술 분야 중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당 지역을 지나는 해당 차량에만 도로교통정보를 송출함으로써 도로교통정보가 필요치 않은 차량의 네비게이션장치가 불필요하게 업데이트되지 않고, 근거리의 차량에 무선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전력이 적게 소비되며, 도로교통정보를 일정시간 경과 후 삭제시킴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가 장시간 저장되지 않도록 하되, 특히 지주의 조립설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면서 각 지주를 내부식성 및 방습성, 내구성이 높은재료로 성형함으로써 장수명화를 달성하도록 한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네비게이션과 같은 지아이에스(GIS)는 데이터화된 수치지도와, GPS수신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 및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은 GIS에 이용되는 수치지도는 항공사진을 촬영한 후, 임의로 설정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주변의 도로시설물의 좌표를 수치정보화하여 제작된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이상이 발생하면, 이를 알리는 경고판을 설치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위험표시를 알린다. 하지만, 차량운전자는 운전중에 경고판을 확인하기 어렵고, 특히 주변을 확인하기 어려운 야간에는 경고판을 확인하기 더욱 어려워, 사고 위험이 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1-328581호(도로교통정보시스템)가 발명되었다. 상기 도로교통정보시스템은, 도로의 이상을 나타내는 도로상태정보를 이상발생지점을 중심으로 수m에서 수km에 이르는 모든 지역에 송출하여, 이상발생지점을 통과하지 않는 차량의 네비게이션장치까지 업그레이드한다. 따라서, 이상발생지점을 통과하지 않는 차량의 네비게이션장치는 불필요하게 데이터가 업그레이드 되면서, 불필요한 데이터가 축적되었고, 이로 인해 데이터 처리 속도가 느려졌다. 한편, 이상발생지점으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는 한시적인 것으로, 이상발생지점을 통과하면, 차량의 네비게이션장치는 더이상 도로상태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필요가 없다. 하지만, 상기 도로교통정보시스템은, 차량의 네비게이션장치가 한번 데이터를 저장하면 계속적으로 보관하고 있기 때문에, 네비게이션장치에 불필요한 데이터가 장시간 저장되게 되고, 이로 인해 네비게이션장치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느려졌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정보시스템은, 차량 운전자가 네비게이션장치를 자체 업데이트 할 시 모든 데이터를 포맷하고 새로 정보를 다운 받아야 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많은 양의 데이터로 인해 포맷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더불어, 상기 도로교통정보시스템은, 넓은 지역에 도로상태정보를 송출해야 하기 때문에, 고출력의 송출유닛이필요하였고, 이로 인해 전력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를 위해서는 지주를 타고 고소지역으로 올라가야 하기 때문에 위험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별로 장치를 취급함에 있어, 각종 오염물에 노출되어 위생적이고 청결한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054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해당 지역을 지나는 해당 차량에만 도로교통정보를 송출함으로써 도로교통정보가 필요치 않은 차량의 네비게이션장치가 불필요하게 업데이트되지 않고, 근거리의 차량에 무선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전력이 적게 소비되며, 도로교통정보를 일정시간 경과 후 삭제시킴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가 장시간 저장되지 않도록 하되, 특히 지주의 조립설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면서 각 지주를 내부식성 및 방습성, 내구성이 높은 재료로 성형함으로써 장수명화를 달성하도록 한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GPS인공위성(S)과; 도로상태정보를 송출하는 송출유닛(10)과; 차량에 탑재되며, 송출유닛(10)으로부터 도로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네비게이션장치(20)를 포함하는 지아이에스(GIS)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유닛(10)은,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11)과, 상기 기둥(11)에 설치되는 고정부(R1) 및 상기 고정부(R1)로부터 도로를 향해 연장되는 삽입부(R2)로 이루어진 연결부재(R)와, 상기 연결부재(R)의 삽입부(R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횡바(12)와, 상기 횡바(12)에 설치되어 근접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3)와, 이상지점의 거리를 설정하는 거리값입력버튼(14a)과, 도로상태를 나타내는 상태값을 입력하는 상태값입력버튼(14b)으로 구성된 입력부(14)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11)의 적어도 일부는 소정의 오염 방지 처리 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처리되는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당 지역을 지나는 해당 차량에만 도로교통정보를 송출함으로써 도로교통정보가 필요치 않은 차량의 네비게이션장치가 불필요하게 업데이트 되지 않고, 근거리의 차량에 무선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전력이 적게 소비되며, 도로교통정보를 일정시간 경과 후 삭제시킴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가 장시간 저장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지 보수시 고소작업이 아닌 지상에서 가까운 지점에서 작업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지주의 조립 설치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하면서 각 지주가 내부식성 및 방습성, 내구성이 높은 재료로 성형 제조되기 때문에 장수명화를 달성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외부 환경에 따른 오염원의 오염방지를 방지하여 유지 보수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장치를 구성하는 송출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개량된 송출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개량된 지주의 설치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개량된 지주 내에 설치되는 스크류샤프트의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9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905497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905497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905497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GPS인공위성(S)과, 도로상태정보를 송출하는 송출유닛(10)과, 차량에 탑재되며 송출유닛(10)으로부터 도로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네비게이션장치(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송출유닛(10)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기둥(11)과, 기둥(11)에 설치되는 연결부재(R)와, 연결부재(R)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횡바(12)와, 횡바(12)에 설치되는 감지센서(13)와, 도로상태정보를 세팅하는 입력부(14)와, 입력부(14)에 의해 도로상태정보가 세팅되는 제어부(15)와, 제어부(15)의 도로상태정보를 무선송출
하는 송출부(16)로 구성된다. 상기 기둥(11)은 원형기둥형상으로, 하단이 지면에 매설되고, 상단이 수직방향으로 노출된다. 상기 연결부재(R)는 원형관 형상으로 기둥(11)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부(R1)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긴 사각기
둥형상으로 일단이 고정부(R1)에 고정되고 개구된 타단이 도로를 향해 연장되는 삽입부(R2)로 구성된다. 상기 횡바(12)는 사각기둥형상으로, 일단이 연결부재(R)의 삽입부(R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이 도로방향을 향해 노출된다. 상기 감지센서(13)는 초음파를 송출하여 반사되어 돌아오는 수신량의 변화나 세기를 비교 검출하여 물체의 유/무를 탐지하는 통상의 초음파센서로, 횡바(12)의 전면에 설치되어, 횡바(12)로 향하는 차량에 초음파를 송출한다.
상기 입력부(14)는 관리자가 도로의 상태정보를 입력하는 부분으로서, 이상지점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값입력버튼(14a)과, 도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값입력버튼(14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5)는 거리값과, 전기공사중·상수관 공사중·상수관 동파 등을 나타내는 도로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때, 제어부(15)는 입력부(14)의 작동에 따라 각각의 도로상태정보가 세팅되며, 감지센서(13)로부터 차량이 근접했다는 근접신호가 입력되면 세팅된 도로상태정보를 송출부(16)를 매개로 근접하는 차량에 송출한다. 상기 송출부(16)는 제어부(15)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횡바(12)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어부(15)의 도로상태정보를 근접하는 차량에 송출한다. 상기 네비게이션장치(20)는 복수의 GPS인공위성(S)이 송신하는 항법 메시지를 수신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수신기(21)와, 차량의 주행에 따른 주행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26)와, 차량의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안내하기 위한 수치지도데이터가 저장된 수치지도데이터저장부(22)와, 송출유닛(10)의 송출부(16)로부터 도로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상태신호수신기(23)와, GPS수신기(21)가 수신한 항법 메세지와 상태신호수신기(23)로부터의 도로상태정보를 수치지도데이터에 매칭시키는 제어유닛(24)과, 제어유닛(24)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차량의 현재위치 및 도로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5)로 구성된다. 상기 GPS수신기(21)는 복수의 GPS위성이 송신하는 항법 메세지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다. 상기 센서부(26)는 차량에 주행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자이로스코프와 차량의 주행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센
서 등을 비롯한 각종 센서들이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에 따른 주행상태를 검출한다. 상기 수치지도데이터저장부(22)는 차량의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안내하기 위한 수치지도데이터가 미리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장치에는 도로에 설치된 기둥(11)의 위치에 대응되는 기준점이 부과되어 수치지도상에 송출유닛(10)의 위치가 정확하게 나타내진다. 상기 상태신호수신기(23)는 송출유닛(10)의 송출부(16)로부터 도로상태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유닛(24)은 GPS수신기(21)가 수신하는 항법 메세지와 센서부(26)가 검출하는 차량의 주행 검출신호를 이용한 혼합항법으로 차량의 현재위치를 판단하고, 수치지도데이터저장부(22)에 저장된 수치지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를 탐색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24)은 판단한 차량의 현재위치를 상기 수치지도데이터에 매칭시켜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며, 차량이 주행할 경우에 탐색한 주행경로에 따라 주행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24)은 상태신호수신기(23)로부터 도로상태정보를 받아, 도로의 상태를 수치지도데이터에 매칭시켜 표시한다. 즉, 제어유닛(24)은 표시부(25)에 지금 통과할 구간의 도로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제어유닛(24)이 도로의 상태를 수치지도데이터에 매칭시켜 표시하는 것을 영상도화 한다고 칭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24)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수치지도데이터에 매칭된 도로상태정보를 삭제한다. 상기 표시부(25)는 제어유닛(24)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통상적인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수치지도데이터와 차량의 현재 위치, 차량의 주행경로 시작위치, 주행경로 종료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경로 및 도로의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린다. 이때, 상기 표시부(25)는 음성 경보장치가 더 구비되어, 도로공사를 시각적으로 알림과 함께 청각적으로도 운전자에게 경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감지센서(13) 또는 송출부(16)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시 연결부재(R)의 삽입부(R2)에 삽입되는 횡바(12)의 삽입정도를 조절하여 감지센서(13) 또는 송출부(16)의 위치를 조절한다. 계속해서, 작업자가 입력부(14)의 거리값입력버튼(14)을 눌러 이상지점과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값을 입력하고, 상태값입력버튼(14b)을 눌러 도로상태정보를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로상태정보를 전방 50m 상수관 공사중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이 송출유닛(10)의 횡바(12)로 접근하면, 감지센서(13)가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15)로 송출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부(15)는 미리 세팅된 전방 50m 상수관 공사중이라는 도로상 태정보를 송출부(16)를 매개로 외부로 출력한다. 이때, 송출부(16)는 감지센서(13)가 감지한 해당차량에만 도로상태정보를 송출한다. 이때, 상기 차량에 탑재된 네비게이션장치(20)의 상태신호수신기(23)는 송출유닛(10)의 송출부(16)로부터 송출된 도로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제어유닛(24)에 보낸다. 그리고, 이를 수신한 제어유닛(24)은 도로의 상태를 수치지도데이터에 매칭시켜 표시부(25)에 전방 50m 상수관 공사중이라는 문자 또는 기호를 나타내어, 운전자에게 전방에 공사구간이 있음을 알린다. 한편, 상기 네비게이션장치(20)의 제어유닛(24)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수치지도데이터에 매칭된 도로상태정보를 삭제하여 불필요하게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장치는 해당 이상지점을 통과하지 않는 차량의 네비게이션장치(20)는 업그레이드시키지 않으므로 해당 이상지점을 통과하지 않는 차량의 네비게이션장치(20)가 불필요하게 업그레이드되지 않아 불필요한 데이터가 네비게이션장치(20)에 축적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네비게이션장치(20)의 데이터 처리 속도도 느려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네비게이션장치(20)에 저장된 도로상태정보가 삭제되어 불필요하게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상지점으로 향하는 해당 차량에 대해서만 작용하므로 송출유닛(10)의 송출부(16)를 고출력으로 할 필요가 없으며, 차량이 감지되지 않을 시는 도로상태정보를 송출할 필요가 없어 전력이 많이 소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조를 기본 전제로 본 발명에서는 도 5와 같이, 송출유닛(10)에 횡바(12)의 자동 인출입 기능을 부여하여 조작이 쉽고,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구성하는 예를 더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기둥(11)의 상단부, 더 정확하게는 상부기둥(630, 도 6 참조)에 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고정부(R1)를 돌출하고, 상기 돌출된 고정부(R1)에는 삽입부(R2)가 삽입된 후 고정핀(PIN)을 통해 결속됨으로써 견고히 고정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R1)와 삽입부(R2)에는 상기 고정핀(PIN)이 꽂힐 수 있도록 핀구멍(PH)이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삽입부(R2)의 하단면 중 선단으로부터 일정길이 절개하여 개방부(500)를 구성한다. 상기 개방부(500)는 기존처럼 송출부(16) 및 감지센서(13)를 포함한 횡바(12)가 삽입부(R2)로 인출입될 때 간섭문제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삽입부(R2)의 하단면 중 개방부(500)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작동실린더(100)가 고정되고, 상기 작동실린더(100)의 선단에는 작동로드(110)가 연결되며, 상기 작동로드(110)의 선단은 제1,2힌지(200,210) 및 연결바(220)를 통해 유동가능하게 횡바(12)의 하단면에 고정된다. 때문에, 횡바(12) 인입시 상기 제1,2힌지(200,210) 및 연결바(220)가 삽입부(R2)의 하단과 간섭되어 인입 불능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는데, 이를 해소키 위해 상기 개방부(50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2힌지(200,210) 및 연결바(220)가 간섭없이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기둥(11)은 도 6에서와 같이 다수개로 분절되어 상호 끼움식으로 조립될 수 있게 베이스기둥(600),하부기둥(610), 중간기둥(620), 상부기둥(630)으로 분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중간기둥(620)는 갯수를 임의로 늘려 상부로 인출되는 길이, 즉 기둥(11)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할수 있다. 따라서, 설계길이에 맞춰 기둥의 분할 갯수 및 분할될 길이 등을 결정하면 된다. 예컨대, 도 6과 같이 기둥(11)을 4개로 분할한다고 가정할 경우, 베이스기둥(600)은 최하부에 위치할 지지기둥이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기둥(600)의 하단면에는 베이스블럭(700)이 조립되는데, 상기 베이스블럭(700)은 상기 베이스기둥(600)의 하단면적 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큰 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서 베이스기둥(600)이 안정적으로 서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때문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져야 지면 상에 안정적으로 붙어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블럭(700)이 베이스기둥(600)의 하단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겠지만, 만약 그렇게 형성할 경우에는 현장 시공을 위해 옮길 때 베이스블럭(700)의 존재로 인해 화물차량에 적재하기가 매우 곤란하고, 적재하더라도 베이스블럭(700)이 튀어 나와 있으므로 공간을 불필요하게 많이 차지하게 되어 적재량도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적재 후 유동되지 못하도록 결속하는 작업도 쉽지 않는 등 많은 불편이 따른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 개량예에서는 베이스기둥(600)과 베이스블럭(700) 을 분리하여 상술한 불편을 모두 해소하였으며, 특히 베이스기둥(600)을 포함한 후술되는 하부기둥(610), 중간기둥(620), 상부기둥(630)은 모두 내부식성과 방습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조성물로 성형되어 제조되므로 내부식성과, 방습성은 물론 내구성이 향상되어 장수명화가 가능하고, 기존 콘크리트 기둥에 비해 경량화가 가능하여 설치작업의 용이성과 편리성, 중량물 작업시 발생되는 협착 등 안전사고의 위험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지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즉, 상기 베이스기둥(600)과 하부기둥(610)과 중간기둥(620) 및 상부기둥(630)을 성형 제조하기 위한 수지조성물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 70중량%와 6cm의 길이를 갖는 유리섬유 30중량%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물에는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개질유황액 15중량부, 실리콘 알콕사이드 5중량부, 폴리락트산 10중량부, 1-2㎛의 입도를 갖는 알루미나 분말 2중량부, 실리콘 3중량부,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 2중량부, 몬모릴로나이트 3중량부, Ds(Dichlorodimethylsilane) 7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4중량부, 아크릴노니트릴 3중량부, 올레인산 7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5중량부, 규산소다(Sodium Silicates) 5중량부, 에르소르빈산나트륨 5중량부, 살리실산에스테르 3중량부, 그린 비즈 2중량부, 테르븀 2중량부, 0.1-0.2㎛의 입도를 갖는 보크사이트 크링커 분말 5중량부, 팽창흑연 4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1중량부, 산화제2철 1중량부, 멜라민수지와 에폭시수지를 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2중량부, 지르코늄 1중량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중량부, 방향족 폴리아민 2중량부, 산화나트륨(Na2O) 1중량부, 이산화규소(SiO2) 2중량부, 삼산화이철(Fe2O3) 1중량부 및 알킬렌 아마이드 2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폴리에스테르수지는 베이스 수지이며, 상기 개질유황액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유황 분산물을 제조한 후 상기 분산물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상태에서 상기 분산물 및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전기분해하여 얻은 유황 나노수용액을 유황 개질제로 중합반응시켜 나노수경성 개질유황액을 얻되, 유황 개질제로서 디시클로 펜타디엔(DCPD)계 개질제를 사용한다. 이것은 염해저항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실리콘 알콕사이드는 TEOS(Tetraethylorthosilicate)나 TMOS(Tetramethylorthosilicate)를 사용할 수 있는데, 가수분해 반응 후 TEOS는 에탄올이 TMOS는 메탄올이 부산물로 생성되므로 환경과 작업자의 위생을 고려하여 TEO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락트산은 합성고분자 타입의 수지로서 내습성, 가공성이 우수한 물성이 있으며, 용융온도는 150-200℃이고, 연성에 의한 연질화, 인장강도, 신장율을 향상시키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알루미나는 알루미늄과 산소의 화합물로서, 내구성 향상을 위해 첨가된다. 또한, 실리콘은 대표적인 발수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발수는 투습의 개념이 아니라, 코팅 표면에서 수분이 표면장력에 의해 몽글 몽글하게 뭉쳐 구형상이 되도록 유도하여 흘러내리도록 하는 개념이며, 때문에 방습성이 높아진다. 뿐만 아니라,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는 표면 슬립성을 증대시켜 이물부착방지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몬모닐로나이트는 일종의 무기필러로서 기계적 물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Ds(Dichlorodimethylsilane)는 강한 소수성을 가진 물질로서 방습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스테아린산칼슘은 분산제로서 윤활기능을 촉진하여 첨가물들의 균질한 분산성을 유도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는 접착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부착력을 강하게 하여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나아가, 아크릴로니트릴은 경화를 촉진하기 위해 첨가되며, 올레인산은 겔화를 촉진하여 표면 안정화에 기여하고, 점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는 소르비톨에서 파생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중 하나로서 수분의 번짐을 막기 위해 첨가되고, 규산소다(Sodium Silicates)는 표면 접착력을 높이면서 점결성을 강화하기 위해 첨가되며, 에르소르빈산나트륨은 산화 방지를 위해 첨가된다. 또한, 살리실산에스테르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자외선에 의해 수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그린 비즈(Green Biz)는 다공질의 규조토와 점토가 혼합된 상태에서 1000℃ 이상의 고온에서 구워낸 특수세라믹 블럭을 잘게 분쇄하여 얻은 0.1-0.2㎛의 입도를 갖는 다공질 물질이며, 소성가공된 것이기 때문에 내구성과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테르븀은 란탄족에 속하는 희토류 금속으로서 전성과 연성이 커 코팅층의 완충 및 내마모도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0.1-0.2㎛의 입도를 갖는 보크사이트 크링커 분말은 결합력을 증대시켜 압축강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팽창흑연(Exandable Graphite)은 그라파이트의 층상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그 층상 사이에 원자나 작은 분자를 집어 넣고 열을 가할 경우 아코디언처럼 분리가 되면서 입자가 수 백배 팽창하게 되는 현상을 이용 하여 난연 플라스틱, 난연 EPS, 난연 우레탄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물질이다. 또한,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은 수지의 소수화를 막고 친수화를 유도하여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산화제2철은 빨간색 안료로 주로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인도 벵갈라 지역에서 산출되는 산화제2철을 사용하며 내후성과 내알카리성을 확보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멜라민수지와 에폭시수지가 혼합된 혼합물은 내수성, 내열성, 강도유지 및 접착성을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가 공중합되어 형성되는 멜라민수지는 내열성, 내수성, 강도 유지를 위해 첨가되고, 에폭시수지는 접착(접합)성을 위해 첨가되는데 멜라민수지가 과다하게 첨가되면 바인딩을 저해하며서 강도만 증대시켜 성형 후 균열발생이 우려되므로 반드시 멜라민수지와 에폭시수지는 1:2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상태로 첨가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지르코늄은 화재발생시 공기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물 또는 질소화물로 된 보호피막을 형성하여 내화성, 내식성, 난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은 멜라민수지 등의 열경화성수지와 무기재료와의 커플링을 위한 실란커플링제로서 결합성, 접착성, 표면강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방향족 폴리아민은 경화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산화나트륨은 이산화규소와 반응하여 규산염을 형성함으로써 내화도를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특히 산화나트륨은 산화방지기능도 수행하며, 이산화규소는 유리화반응을 통해 쇄상격자를 이루면서 난연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때문에, 상기 산화나트륨과 이산화규소는 1:2의 중량비 범위 내에서 혼합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삼산화이철은 방청기능을 위해 주로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계면 분리를 억제하기 위해 첨가되며 산화철이라는 특성상 미량 첨가되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알킬렌 아마이드는 윤활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혼합을 원활하게 하고, 혼합 후 부서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조성에 따른 내부식성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5cm × 5cm × 1cm 크기의 시트 시료를 만들고, 그 시료를 15℃에서 0℃까지 변화시키면서 70% 이상의 염화칼슘이 용해된 수용액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10일간 방치하였고, 10일 후 부식이 발생하였는지를 체크하였다. 체크 결과, 부식성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해머로 타격했을 때 파손되지도 않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지조성물은 난연성도 갖기 때문에 차량 충돌 등에 의해 기둥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기둥이 쉽게 소실되지 않아 안전성도 향상된다. 그리고, 베이스블럭(700)은 콘크리트 블럭으로 제조되어 통상 설치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므로 고정안정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베이스블럭(700)의 상면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기둥(600) 의 하단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설치홈(710)이 형성되고, 설치홈(710)의 중앙에는 사각홈(720)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기둥(600)의 하단면 중앙에는 상기 사각홈(720)에 끼워지는 사각돌기(602)가 돌출되고, 사각돌기(602)의 둘레에는 적어도 2지점이상에 돌기홈(604)이 요입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710)의 둘레에는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브라켓(900)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브
라켓(900)은 상기 베이스블럭(700)의 상면에 고정되는데, 도면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ㄴ'형 브라켓이 수직하게 앵커볼트로 앵커링되는 형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900)에는 조립홀(910)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조립홀(910)에는 고정구(920)가 나사 조립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920)는 도 8의 예시와 같이, 원통형상의 고정구하우징(960)과, 상기 고정구하우징(960)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노출된 선단이 라운드진 체결봉(930)과, 상기 체결봉(930)의 둘레에는 돌출되어 상기 고정구하우징(960) 내부에서 상기 체결봉(930)의 움직임을 일정거리 이내로 제한하는 돌부(940)와, 상기 돌부(940)와 상기 고정구(920)의 내벽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봉(930)에 끼워진 채 구비되는 스프링(950)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기둥(600)의 하단부 둘레에는 상기 체결봉(930)이 끼워질 수 있는 체결봉삽입홈(HOM, 도 6 참조)이 형성된다. 때문에, 상기 체결봉(930)의 단부는 항상 고정구(920)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베이스기둥 (600)을 조립 설치할 때 체결봉(930)을 당겼다 놓게 되면 체결봉삽입홈(HOM) 속으로 체결봉(930)이 스프링(950)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끼워지면서 고정되기 때문에 별도의 조립절차를 복잡하게 할 필요없이 단순히 체결봉(930)을 당겼다 놓기만 하면 거의 원터치식으로 쉽고 빠르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분리할 때는 체결봉(930)을 외측에서 당겨 체결봉(930)의 선단이 체결봉삽입홈(HOM)으로부터 분리되게 하면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기둥(600)의 일측면에는 도 7과 같이 개폐가능한 도어(DR)가 더 구비됨으로써 내장품들의 교체나 수리시 활용할 수 있으면 더욱 좋다. 한편, 상기 베이스기둥(600)의 내부 바닥면 중심에는 스크류베어링(606a)이 고정되고, 상기 스크류베어링(606a)에는 스크류샤프트(800)의 하단이 베어링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기둥(600)의 바닥면에는 구동모터(606b)가 고정되는데, 상기 구동모터(606b)는 모터축이 상부를 향해 배치되며, 모터축에는 기어(606c)가 고정되고, 기어(606c)는 스크류샤프트(800)와 치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하부기둥(610)을 설치하기 전에 완료되며, 공장에서 미리 조립된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고, 현장에서는 단순히 하부기둥(610), 중간기둥(620) 및 상부기둥(630)을 순차로 조립하기만 하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도, 조립은 기둥들을 눕힌 상태에서 스크류샤프트(800)와 치결합되게 조립하기만 하면 되고, 조립 후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세우기만 하면 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기둥(600)의 내주면 일부, 바람직하게는 상하길이의 중간에 베이스걸림턱(606d)이 돌출된다. 상기 베이스걸림턱(606d)은 하부기둥(610)의 하단이 걸림 안착되게 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기둥(600)의 상단부에는 감지홀(606e)이 관통형성되고, 감지홀(606e)에는 포토센서 혹은 근접센서와 같은 감지센서(606f)가 내장되며, 하부기둥(610)의 하단 외주면 대응지점에는 마커(MR)가 구비되어 감지센서(606f)가 감지하였을 때 구동모터(606b)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부(미도시)로 감지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부는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모터(606b)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부기둥(610)은 내부 바닥면 중앙이 상기 스크류샤프트(800)와 치결합되게 조립되며, 상하길이 중간 내경에는 상부걸림턱(612)이 돌출되는데, 상부걸림턱(612)에는 중간기둥(620)의 하단이 걸림된다. 또한, 상기 하부기둥(610)의 내부 바닥면 중앙이 상기 스크류샤프트(800)와 치결합되게 조립되며, 내부에는 중간기둥(620)이 하부기둥(610)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립되고, 하부기둥(610) 속으로 삽입되며, 중간기둥(620)의 내경에는 상하길이의 중간 위치에 중간걸림턱(622)이 돌출되며, 중간걸림턱(622)에는 상부기둥(630)의 하단이 걸림된다. 뿐만 아니라, 상부기둥(630)의 상단 내경에는 상기 스크류샤프트(800)와 치결합되는 치결합부(632)가 형성되어 상호 치결합된다. 이때, 스크류샤프트(800)는 도 9에서와 같이, 다수개, 바람직하기로는 제1,2,3,4샤프트(810,820,830,840)로 나뉘고, 각각의 경계면중 일측에는 사각형상의 끼움구(850)가 돌출되고, 타측에는 끼움홈(860)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되게 구성된다.
특히, 끼움 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끼움구(850)와 끼움홈(860)에는 서로 반대극이 마주보도록 자석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베이스블럭(700)을 바닥면에 설치하고, 그 위에 베이스기둥(600)을 끼워 조립한 다음 베이스블럭(700)의 둘레를 따라 측방에서 고정구(920)를 당겼다 놓기만 하면 아주 쉽고 빠르게 자동 체결되므로 베이스기둥(600)을 빠르게 고정할 수 있다. 이 상태는 베이스기둥(600) 내부에 스크류샤프트(800) 및 하부기둥(610), 중간기둥(620), 상부기둥(630)이 끼워진 형태로 조립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런데, 이들은 베이스기둥(600)의 상하길이 대비 각각 절반까지만 끼워져 있기 때문에 전체 높이는 높지 않다. 때문에, 세워 설치하기도 쉽다.
이후, 베이스기둥(600)이 고정되면, 구동모터(606b)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스크류샤프트(800)는 제자리 회전되고, 이와 치결합되어 있는 하부기둥(610), 중간기둥(620), 상부기둥(630)은 각각 동일한 이동속도를 갖고 상부로 인출되며, 감지센서(606f)가 마커(MR)를 감지하는 순간 구동은 정지된다. 이에 따라, 각 기둥들이 거의 대부분 남은 절반만큼씩 더 인출되어 상승하므로 기둥(11)은 원하는 높이를 갖게 된다. 또한, 사용중 유지보수를 위해 삽입부(R2)가 포함된 연결부재(R)를 낮춰야 할 경우 구동모터(606b)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절반높이만큼 낮추어지므로 작업하기가 쉽다. 즉, 고소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성이 높아진다.
<오염방지 가공수단 1>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가공대상물(즉, 예컨데 전술한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로서 예컨데 측량타깃(100e' 등) 에 인접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분사유닛(10')과, 분사유닛(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21', 22')과, 상기 지지유닛(21', 22')을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30')을 포함한다. 분사유닛(10')은 경사지게 설치된 가공대상물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분사유닛(10')에는 오염방지 코팅물질이 저장된 저장탱크(13')가 연결되며, 저장탱크(13')의 오염방지 코팅물질이 공급펌프(14')의 펌핑에 의해 분사유닛(10')으로 공급된다. 이에, 분사유닛(10')은 저장탱크(13')로부터 공급된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분사유닛(10')의 일측에는 간격감지센서(15')가 설치되어 분사유닛(10')과 가공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분사유닛(10')과 가공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지지유닛(21', 22')은 분사유닛(10')을 지지함과 더불어, 분사유닛(10')을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지지유닛(21', 22')은 가공대상물의 표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25')와, 가이드부(25')의 하단에 형성된 피벗부(26')와, 이 피벗부(26')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27')를 가진다. 가이드부(25')의 일면(즉, 가공대상물의 표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25a')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레일(25a')에는 가이드블록(11')이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며, 가이드블록(11')에는 분사유닛(10')이 장착됨에 따라 분사유닛(10')은 가이드부(25')를 따라 가공대상물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피벗부(26')는 후술하는 가이드유닛(30')의 수직폴대(31')의 상단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에 가이드부(25')는 가공대상물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그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연장부(27')는 피벗부(26')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연장부(27')는 가이드부(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연장부(27')의 단부에는 중심추(28, weight')가 설치되고, 이러한 중심추(28')에 의해 지지유닛(21', 22')은 그 무게 중심이 균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5')에는 하나 이상의 처짐방지용 와이어(23')가 연결되고, 이러한 처짐방지용 와이어(23')에 의해 가이드부(25')가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향해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처짐방지용 와이어(23')의 일단부는 가이드부(25')에 고정되고, 처짐방지용 와이어(23')의 타단부는 지지체(24')의 지지롤러(24a')에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체(24')는 연장부(27')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지지롤러(24a')는 지지체(24')의 도중에 설치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21', 22')은 가공대상물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상부공간(TA) 및 하부공간(LA')으로 구획하여 각 분사유닛(10')이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독립적으로 분사하도록 2개의 지지유닛(21', 22')으로 구성된다. 제1지지유닛(21')은 가공대상물의 상부공간(TA)에만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하도록 분사유닛(10')이 가이드부(25')의 상부 일정구간에서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제2지지유닛(22')은 가공대상물의 하부공간(LA')에만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하도록 분사유닛(10')이 가이드부(25')의 하부 일정구간에서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유닛(21', 22')이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대해 상부공간(TA)과 하부공간(LA')으로 구획하여 독립적으로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대한 코팅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방지 코팅물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30')은 지지유닛(21', 22')의 피벗부(26')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31')와, 수직폴대(31')가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32')와, 홀더(32')를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33')를 포함한다. 수직폴대(31')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34')가 형성되고, 이 피벗연결부(34')에는 지지유닛(20')의 피벗부(26')가 피벗축(35')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폴대(31')는 홀더(32')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유닛(21', 22')의 피벗부(26')와 수직폴대(31')의 피벗연결부(34')에는 복수의 통공(26a', 34a')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피벗축(35')을 중심으로 피벗부(26')가 일정각도로 피벗팅한 이후에 다울핀(36')이 피벗부(26') 및 피벗연결부(34')의 서로 맞춰진 통공(26a', 34a')들에 끼워짐으로써 지지유닛(21', 22')의 회전된 위치가 고정되고, 이에 지지유닛(21', 22')의 가이드부(25')는 가공대상물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그 경사각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홀더(32')는 상단이 개방된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홀더(32')의 중공부에는 수직폴대(31')가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홀더(32')의 하단에는 가이드블럭(32b')이 마련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폴대(31')와 홀더(32')에는 복수의 통공(31a, 32a')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수직폴대(31')가 홀더(32')의 중공부에 높이가 적절히 조절되어 삽입된 이후에 다월핀(dowel pin, 38')이 수직폴대(31') 및 홀더(32')의 서로 맞춰진 통공(31a, 32a')들에 끼워짐으로써 수직폴대(31')는 홀더(32')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레일(33')은 가공대상물이 설치된 바닥에 설치되고,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된다. 가이드레일(33')에는 홀더(32')의 가이드돌기(32b')가 가이드됨에 따라 수직폴대(31'), 홀더(32') 및 지지유닛(21', 22')은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특히, 회전스크류(미도시')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블럭(32b')이 가이드레일(33')을 따라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홀더(32'), 수직폴대(31'), 지지유닛(21', 22')은 길이방향 이송속도가 매우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가이드유닛(30')의 수직폴대(31') 및 홀더(32')가 가이드레일(33')을 통해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됨에 따라 지지유닛(21', 22')들을 개별적으로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지지유닛(21', 22')에서 각 분사유닛(10')을 개별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분사유닛(10')은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길이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매우 신속하고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다.
<오염방지 가공수단 2>
이하에서는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전술한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분사유닛(10')과, 상기 분사유닛(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21', 22')과, 상기 지지유닛(21', 2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21', 22')은 소정의 가이드부(25')와, 상기 가이드부(25')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유닛(30')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피벗부(26')와, 상기 피벗부(26')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27')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유닛(30')은 상기 지지유닛(21', 22')의 피벗부(26')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31')와, 상기 수직폴대(31')가 높이조절가능 하게 설치되는 홀더(32')와, 상기 홀더(3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33')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폴대(31')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벗연결부에는 상기 지지유닛(21', 22')의 피벗부(26')가 피벗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더(32')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3')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블럭(32b')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25')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가이드부(25a')와, 상기 하부가이드부(25a')으로 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의 동작 및 진퇴 동작을 수행하는 상부가이드부(25b')로 구비된다. 상기 분사유닛(10')은 상기 하부가이드부(25a') 상에 구비되는 하부분사유닛(10a')과, 상기 상부가이드부(25b') 상에 구비되는 상부분사유닛(10b')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가이드부(25b')는 상호 간에 틸팅 가능한 복수의 마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가이드부(25b') 상의 상기 상부분사유닛(10b') 둘레부 적어도 일부 상에는 분사제어모듈(40')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분사유닛(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 용량을 제어한다.
상기 분사제어모듈은(40'), 상기 하부가이드부(25a')의 길이방향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분사제어모듈(41')과, 상기 하부가이드부(25a')의 길이방향 단부 상에서 틸트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분사제어모듈(42')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41')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1 실린더모듈(S1),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2 실린더모듈(S2),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로부터 출몰되는 제1 피스톤모듈(P1),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로부터 출몰되는 제2 피스톤모듈(P2)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42')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3 실린더모듈(S3),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4 실린더모듈(S4),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로부터 출몰되는 제3 피스톤모듈(P3),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로부터 출몰되는 제4 피스톤모듈(P4)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은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은 상호간에 대향하며,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과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은 상호간에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모듈(P1) 내지 상기 제4 피스톤모듈(P4)은 상호간에 출몰 거리 설정을 통해 상기 상부분사유닛(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용량을 제어한다. 상기 제1, 2 실린더모듈(S1, S2)은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41')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4 실린더모듈(S3, S4)은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42')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41')의 단부 상에는 제1 집게형 파지부(CL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42')의 단부 상에는 제2 집게형 파지부(CL2)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25')는 상기 제1 집게형 파지부(CL1)와 상기 제2 집게형 파지부(CL2)를 통해 오염방지 처리를 위한 상기 측량타깃(100e')을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소정의 제1 유동모듈(50a') 상에 위치되고, 가공 대상물인 상기 측량타깃(100e')는 소정의 제2 유동모듈(50b')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50a')은 , 최하단 제1-1 유동부(50a1')와, 상기 제1-1 유동부(50a1')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2 유동부(50a2')와, 상기 제1-2 유동부(50a2')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3 유동부(50a3')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50a1')는 하방에 소정의 제1 마감패널(50a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3 유동부(50a3')는 상방에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이 거치되는 제1 거치패널(50a3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모듈(50b')은, 최하단 제2-1 유동부(50b1')와, 상기 제2-1 유동부(50b1')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2 유동부(50b2')와, 상기 제2-2 유동부(50b2')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3 유동부(50b3')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유동부(50b1')는 하방에 소정의 제2 마감패널(50b11')이 구비되며, 상기 제2-3 유동부(50b3')는 상방에 상기 가공 대상물이 거치되는 제2 거치패널(50b3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50a')과 상기 제2 유동모듈(50b') 사이에는 완충모듈(6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50a')과 상기 제2 유동모듈(50b')은 상호 간에 이격 방향 또는 충돌 방향을 향해 유동됨에 있어, 상기 완충모듈(60')과 의 접촉을 매개로 상호 가속유동 되거나 완충유동 된다.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의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1 자성수단(M1)이 구비되고,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의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2 자성수단(M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60')의 일측에는 제3 자성수단(M3)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60')의 타측에는 제4 자성수단(M4)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가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3 자성수단(M3)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가 상기 완충모듈(60')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3 자성수단(M3)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킨다.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가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제3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가 상기 완충모듈(60')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4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킨다.
상기 완충모듈(60')은 상기 제3 자성수단(M3)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 사이에 탄성수단(C')이 구비되어, 상기 제3 자성수단(M3)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을 통해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완충모듈(60')은,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며,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의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상기 제1 거치패널(50a31')의 단부에는 제1-1 돌기부(50a31T')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상기 제1 마감패널(50a11')의 단부에는 제1-2 돌기부(50a11T')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상기 제2 거치패널(50b31')의 단부에는 제2-1 돌기부(50b31T')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상기 제2 마감패널(50b11')의 단부에는 제2-2 돌기부(50b11T')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60')은, 상기 제3 자성수단(M3) 및 상기 제4 자성수단(M4)의 상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1-1 돌기부(50a31T')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1-2 돌기부(50a11T')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61')이 구비되고, 상기 제3 자성수단(M3) 및 상기 제4 자성수단(M4)의 하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2-1 돌기부(50b31T')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2-2 돌기부(50b11T')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2 고정수단(62')이 구비된다.
상기 제1 고정수단(61')은 상기 제1-3 유동부(50a3')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1 돌기부(50a31T')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61')은 상기 제2-3 유동부(50b3')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1 돌기부(50b31T')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62')은 상기 제1-1 유동부(50a1')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돌기부(50a11T')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62')은 상기 제2-1 유동부(50b1')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2 돌기부(50b11T')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1 고정수단(61')은 상기 제1-1 유동부(50a1')를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1 돌기부(50a31T')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61')은 상기 제2-1 유동부(50b1')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1 돌기부(50b31T')의 가고정을 해제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62')은 상기 제1-2 유동부(50a2')의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2 돌기부(50a11T')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62')은 상기 제2-2 유동부(50b2')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2 돌기부(50b11T')의 가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제1-3 유동부(50a3') 및 상기 제1-1 유동부(50a1')는 상기 완충모듈(60')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된다. 상기 제2-3 유동부(50b3') 및 상기 제2-1 유동부(50b1')는 상기 완충모듈(60')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되며, 상기 가고정은 강제끼움, 자성결합, 공압식 가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기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모듈(50a')의 하부에는 제1 운송모듈(70')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동모듈(50a')을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시키고, 상기 제2 유동모듈(50b')의 하부에는 제2 운송모듈(80')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동모듈(50a')을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시키며, 상기 제1 운송모듈(70')은, 제1-1 베이스부(71')와, 상기 제1-1 베이스부(71')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는 제1-2 베이스부(72')와, 상기 제1-2 베이스부(72')와 상기 제1 유동모듈(50a')의 상기 제1-1 유동부(50a1')를 결속시켜 상기 제1 유동모듈(50a')과 상기 제1 운송모듈(7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제1 연동부(7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운송모듈(80')은, 제2-1 베이스부(81')와, 상기 제2-1 베이스부(81')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는 제2-2 베이스부(82')와, 상기 제2-2 베이스부(82')와 상기 제2 유동모듈(50b')의 상기 제2-1 유동부(50b1')를 결속시켜 상기 제2 유동모듈(50b')과 상기 제2 운송모듈(8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제2 연동부(83')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베이스부(71')는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향할수록 점차 저감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2 베이스부(72')는 상기 제1-1 베이스부(71')와 대응하여 형합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1-1 베이스부(71')로부터 상기 제2 방향 과 상기 제1 방향 간에 진퇴 유동되며, 상기 제2-1 베이스부(81')는 상기 제4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을 향할수록 점차 저감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2 베이스부(82')는 상기 제2-1 베이스부(81')와 대응하여 형합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2-1 베이스부(81')로부터 상기 제4 방향 과 상기 제3 방향 간에 진퇴 유동된다. 상기 제2 거치패널(50b31') 상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모듈(90')이 구비되며 상기 가공 대상물은 상기 거치모듈(90') 상에 거치되며, 상기 거치모듈(90')은, 상기 제2 거치패널(50b31') 상에 구비되는 패널부(91')와, 상기 패널부(91') 상에 연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거치패널(50b31')의 길이방향 및 높이 방항으로 각기 유동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기둥부(92')가 구비되며, 상기 기둥부(92')의 내측면 높이방향 상에는 고정돌기(92a')가 다수로 형성되어 상기 가공 대상물을 가고정 시킨다.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
도 17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오염방지 가공이후에 2차 적인 오염방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가공대상물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에 배치되는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샤프트와, 상기 센터 샤프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된 상방 수평보와, 상기 상방 수평보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된 사이드 수직바와, 가공대상물에 도포되는 도포액를 공급받아 분사구에 의해 가공대상물에 분사하는 스프레이건(1050)을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는 하부에 소정의 지지대(L')(1010a)가 다수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L')(1010a)은 하단부가 소정의 체결모듈에 수용되어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L')(1010a)는, 하방을 향하는 기둥부(1010a1)와, 상기 기둥부(1010a1)의 상방 제1 영역과 하방 제2 영역(L2) 사이의 측면부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모듈은, 소정의 제1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기둥부(1010a1)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둥부(1010a1)의 제2 영역(L2)부를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가압부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는 소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기둥부(1010a1)의 상기 제2 영역(L2)를 향하여 진퇴유동 되는 가압체(1120)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는, 제1 본체(1111)와, 상기 제1 본체(1111) 하방의 제2 본체(1112)와, 상기 제2 본체(1112) 하방의 제3 본체와, 상기 제1 본체(1111)와 상기 제2 본체(1112) 사이에 위치되는 제1 수용부(C1)와, 상기 제2 본체(1112)와 상기 제3 본체 사이에 위치되는 제2 수용부(C2)가 구비되며, 상기 스프레이건(1050)의 전단부 상에는 소정의 분사부(1052)와, 상기 분사부(1052)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일정범위로 틸트 유동되는 벽체 또는 바 형상인 하나 이상의 가변부(1091)가 구비되어 상기 분사부(1052)로부터 분사되는 도포액의 분사범위를 조절한다.
상기 가변부(1091)의 내측면 상에는 다수의 석션부(SH)구비되어 상기 분사부(1052)로부터 분사되는 도포액 적어도 일부를 흡입하며, 상기 가변부(1091)의 외측면 상에는 에어 분사를 위한 다수의 에어 분사부(1052)가 구비되며, 상기 스프레이건(1050)의 상기 가변부(1091)은 전체적 또는 개별적으로 정회전 동작 하거나 역회전 동작되며, 상기 스프레이건(1050)의 후단부 상에는 상기 분사부(1052)의 토출에 기반하는 반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역분사부(1092)가 구비되며, 상기 스프레이건(1050)의 하단부 상에는 상기 분사부(1052) 및 상기 역분사부(1092)의 동작에 기반하는 반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제2 역분사부(109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일정 범위로 유동 가능한 소정의 가이드 수단(GM)과, 상기 가이드 수단(GM)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차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차단몸체(1094)와, 상기 차단몸체(1094)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출몰부(1095)와, 상기 차단몸체(1094)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출몰부(1096)와, 상기 차단몸체(1094)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출몰부(1097)와, 상기 차단몸체(1094)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4 출몰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몸체(1094)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 출몰부(1096)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1000) 상의 가공대상물을 상호 일정하게 이격 시킨다.
상기 스프레이건(1050)은, 상기 스프레이건(1050)의 전단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소정의 암모듈(RB)이 구비되며, 상기 암모듈 둘레부 적어도 일부영역 상에 소정의 제1 함입홈(RH1)이 형성되며, 상기 암모듈(RB)은 소정의 관절형 가이드부(GM1)와 상기 가이드부(GM1)로부터 연장되는 본체모듈(BM)이 구비되며, 상기 암모듈(RB)은 상기 제1 함입홈(RH1)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제1 함입홈(RH1)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함입홈(RH1) 깊이 이상으로 소정의 제2 함입홈(RH2)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암모듈(RB)의 상기 가이드부(GM1)은 상기 제2 함입홈(RH2) 상에 삽입되어 거치되며, 상기 암모듈(RB)의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제1 함입홈(RH1)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가이드부(GM)의 단부에 위치되는 히팅부(HM))와 상기 히팅부(HM))의 상방을 개폐시키는 계폐형 촬영부로 구비되며, 상기 촬영부는 제1 촬영부(CM1) 및 제2 촬영부(CM2)로 구비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히팅부(HM))의 상면을 폐쇄 또는 노출시키며, 상기 히팅부(HM))과 마주하는 상기 제1 촬영부(CM1)의 저면부 상에는 제1 단열패널(CH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촬영부(CM2)의 저면부 상에는 제2 단열패널(CH2)이 구비되고, 상기 히팅부(HM))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5 단열패널(CH5)이 구비되며, 회동 시 상기 히팅부(HM))의 상기 제5 단열패널(CH5)과 마주접하게 되는 상기 제1 촬영부(CM1)의 둘레부 상에는 제3 단열패널(CH3)이 구비되고, 상기 히팅부(HM))의 둘레부 제2 영역(L2)에는 제6 단열패널(CH6)이 구비되며, 회동 시 상기 히팅부(HM))의 상기 제6 단열패널(CH6)과 마주접하게 되는 상기 제2 촬영부(CM2)의 둘레부 상에는 제3 단열패널(CH3)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레이건(1050)은, 상기 스프레이건(1050)의 전단부를 향하여 유동되는 소정의 제2 암모듈(RB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 둘레부 적어도 일부영역 상에 소정의 제3 함입홈(RH3)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소정의 관절형 제2 가이드부(GM2)와 상기 제2 가이드부(GM2)로부터 연장되는 제2 본체(1112)모듈(BM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3 함입홈(RH3)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제3 함입홈(RH3)의 내부에는 상기 제3 함입홈(RH3) 깊이 이상으로 소정의 제4 함입홈(RH4)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의 상기 제2 가이드부(GM2)은 상기 제4 함입홈(RH4) 상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의 상기 제2 본체(1112)모듈(BM2)은 상기 제3 함입홈(RH3)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제1 함입홈(RH1)에 대응하여 커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3 함입홈(RH3)에 대응하여 커브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9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9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전술한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제1 운송모듈(70') 및 제2 운송모듈(8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대(L'); 및 상기 지지대(L')에 결속되어,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대(L')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은, 상기 지지대(L')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1112')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가압부(1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1113')가 구비되는 제1-1 범퍼모듈(1110')과, 상기 지지대(L')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2112')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가압부(2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2113')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2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부(1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안착부(1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가압부(1112')의 상기 제1 안착부(1111)') 대향면 상에는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와,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압부(2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안착부(2111') 대향면 상에는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와,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 및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과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 한다.
상기 지지대(L')는 바(bar) 형상체이며, 상기 지지대(L')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방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한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CM)으로 연동되어 수평방향 간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사이에서 내부로 가압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는 각각 내부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향하는 경사면의 외부로 출몰되는 돌기(O)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O)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O)에 의하여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적어도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접하는 접촉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O)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O)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L')의 양측면 상에는 각각 높이방향 상으로 유동되는 승하강 수단(UP)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상기 제1 회전부(1113')와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상면부 제1 수평영역 상에는 상기 지지대(L')를 향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고정수단(HM)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안착부(1111) 및 상기 제2 안착부(2111') 상에 안착된 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의 상방 노출면인 제2 수평영역 적어도 일부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수단(HM)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빗변이 상기 지지대(L') 반대편을 향하도록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직삼각형상체이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바) 또는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챔퍼가 형성된 하단부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고정수단(HM)의 상방을 가압하되,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하단부가 상기 고정수단(HM)의 빗변 적어도 일부와 형합하도록 접촉하여 가압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 범퍼모듈(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범퍼모듈(2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3 안착부(3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회전부(3113')가 구비되는 제2-1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4 안착부(4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일정영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4 회전부(4113')가 구비되는 제2-2 범퍼모듈(4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는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적어도 경사면 일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하방에는 상방과 하방간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펌핑모듈(PM)이 구비되며, 상기 펌핑모듈(PM)은, 하판부(BL')와,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가 거치되며, 상기 하판부(BL')로부터 탄성수단 및 폄핑수단을 매개로 상방과 하방 간에 유동 가능한 상판부(UL')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유체의 내장 및 토출을 위하여 유체가 내장되는 내장체(I')와, 외부 가압힘 또는 진동에 기반하여 상기 내장체(I') 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어, 상기 내장체(I')의 상기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체(P)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는 상호간에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각각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체(I')는 수평방향 단부 상으로 분사노즐(N')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되,상기 유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이거나, 유색을 띠는 기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L')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 상에 1차 안착되되, 상기 제1 회전부(1113') 및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되거나, 기 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송출유닛 11; 기둥
12; 횡바 13; 감지센서
14; 입력부 15; 제어부
PSM : 피스톤 모듈 SIM : 실린더 모듈

Claims (10)

  1. GPS인공위성(S)과; 도로상태정보를 송출하는 송출유닛(10)과; 차량에 탑재되며, 송출유닛(10)으로부터 도로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네비게이션장치(20)를 포함하는 지아이에스(GIS)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유닛(10)은, 지면에 설치되는 기둥(11)과, 상기 기둥(11)에 설치되는 고정부(R1) 및 상기 고정부(R1)로부터 도로를 향해 연장되는 삽입부(R2)로 이루어진 연결부재(R)와, 상기 연결부재(R)의 삽입부(R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횡바(12)와, 상기 횡바(12)에 설치되어 근접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3)와, 이상지점의 거리를 설정하는 거리값입력버튼(14a)과, 도로상태를 나타내는 상태값을 입력하는 상태값입력버튼(14b)으로 구성된 입력부(14)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11)의 적어도 일부는 소정의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처리되고,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분사유닛(10')과, 상기 분사유닛(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21', 22')과, 상기 지지유닛(21', 2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21', 22')은 소정의 가이드부(25')와, 상기 가이드부(25')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유닛(30')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피벗부(26')와, 상기 피벗부(26')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27')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유닛(30')은 상기 지지유닛(21', 22')의 피벗부(26')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31')와, 상기 수직폴대(31')가 높이조절가능 하게 설치되는 홀더(32')와, 상기 홀더(3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33')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폴대(31')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벗연결부에는 상기 지지유닛(21', 22')의 피벗부(26')가 피벗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더(32')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3')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블럭(32b')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25')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가이드부(25a')와, 상기 하부가이드부(25a')으로 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의 동작 및 진퇴 동작을 수행하는 상부가이드부(25b')로 구비되며,
    상기 분사유닛(10')은 상기 하부가이드부(25a') 상에 구비되는 하부분사유닛(10a')과, 상기 상부가이드부(25b') 상에 구비되는 상부분사유닛(10b')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가이드부(25b')는 상호 간에 틸팅 가능한 복수의 마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가이드부(25b') 상의 상기 상부분사유닛(10b') 둘레부 적어도 일부 상에는 분사제어모듈(40')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분사유닛(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 용량을 제어하되,
    상기 분사제어모듈은(40'),
    상기 하부가이드부(25a')의 길이방향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분사제어모듈(41')과, 상기 하부가이드부(25a')의 길이방향 단부 상에서 틸트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분사제어모듈(42')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41')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1 실린더모듈(S1),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2 실린더모듈(S2),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로부터 출몰되는 제1 피스톤모듈(P1),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로부터 출몰되는 제2 피스톤모듈(P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42')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3 실린더모듈(S3),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4 실린더모듈(S4),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로부터 출몰되는 제3 피스톤모듈(P3),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로부터 출몰되는 제4 피스톤모듈(P4)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은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은 상호간에 대향하며,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과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은 상호간에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모듈(P1) 내지 상기 제4 피스톤모듈(P4)은 상호간에 출몰 거리 설정을 통해 상기 상부분사유닛(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용량을 제어하되,
    상기 제1, 2 실린더모듈(S1, S2)은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41')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4 실린더모듈(S3, S4)은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42')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41')의 단부 상에는 제1 집게형 파지부(CL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42')의 단부 상에는 제2 집게형 파지부(CL2)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25')는 상기 제1 집게형 파지부(CL1)와 상기 제2 집게형 파지부(CL2)를 통해 오염방지 처리를 위한 상기 기둥(11)의 적어도 일부를 파지하기 위한 것인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소정의 제1 유동모듈(50a') 상에 위치되고,
    가공 대상물인 상기 기둥(11)은 소정의 제2 유동모듈(50b')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50a')은
    최하단 제1-1 유동부(50a1')와, 상기 제1-1 유동부(50a1')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2 유동부(50a2')와, 상기 제1-2 유동부(50a2')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3 유동부(50a3')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50a1')는 하방에 소정의 제1 마감패널(50a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3 유동부(50a3')는 상방에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이 거치되는 제1 거치패널(50a3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모듈(50b')은,
    최하단 제2-1 유동부(50b1')와,
    상기 제2-1 유동부(50b1')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2 유동부(50b2')와,
    상기 제2-2 유동부(50b2')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3 유동부(50b3')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유동부(50b1')는 하방에 소정의 제2 마감패널(50b11')이 구비되며,
    상기 제2-3 유동부(50b3')는 상방에 상기 가공 대상물이 거치되는 제2 거치패널(50b3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50a')과 상기 제2 유동모듈(50b') 사이에는 완충모듈(6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50a')과 상기 제2 유동모듈(50b')은 상호 간에 이격 방향 또는 충돌 방향을 향해 유동됨에 있어, 상기 완충모듈(60')과의 접촉을 매개로 상호 가속유동되거나 완충 유동되는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의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1 자성수단(M1)이 구비되고,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의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2 자성수단(M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60')의 일측에는 제3 자성수단(M3)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60')의 타측에는 제4 자성수단(M4)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가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3 자성수단(M3)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가 상기 완충모듈(60')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3 자성수단(M3)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며,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가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제3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가 상기 완충모듈(60')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4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며,
    상기 완충모듈(60')은 상기 제3 자성수단(M3)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 사이에 탄성수단(C')이 구비되어, 상기 제3 자성수단(M3)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을 통해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완충모듈(60')은,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며,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의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상기 제1 거치패널(50a31')의 단부에는 제1-1 돌기부(50a31T')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상기 제1 마감패널(50a11')의 단부에는 제1-2 돌기부(50a11T')가 구비되며,
    충모듈(60')을 향하는 상기 제2 거치패널(50b31')의 단부에는 제2-1 돌기부(50b31T')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상기 제2 마감패널(50b11')의 단부에는 제2-2 돌기부(50b11T')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60')은,
    상기 제3 자성수단(M3) 및 상기 제4 자성수단(M4)의 상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1-1 돌기부(50a31T')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1-2 돌기부(50a11T')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61')이 구비되고,
    상기 제3 자성수단(M3) 및 상기 제4 자성수단(M4)의 하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2-1 돌기부(50b31T')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2-2 돌기부(50b11T')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2 고정수단(6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고정수단(61')은 상기 제1-3 유동부(50a3')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1 돌기부(50a31T')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61')은 상기 제2-3 유동부(50b3')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1 돌기부(50b31T')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62')은 상기 제1-1 유동부(50a1')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돌기부(50a11T')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62')은 상기 제2-1 유동부(50b1')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2 돌기부(50b11T')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1 고정수단(61')은 상기 제1-1 유동부(50a1')를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1 돌기부(50a31T')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61')은 상기 제2-1 유동부(50b1')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1 돌기부(50b31T')의 가고정을 해제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62')은 상기 제1-2 유동부(50a2')의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2 돌기부(50a11T')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62')은 상기 제2-2 유동부(50b2')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2 돌기부(50b11T')의 가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제1-3 유동부(50a3') 및 상기 제1-1 유동부(50a1')는 상기 완충모듈(60')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되고,
    상기 제2-3 유동부(50b3') 및 상기 제2-1 유동부(50b1')는 상기 완충모듈(60')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되며,
    상기 가고정은 강제끼움, 자성결합, 공압식 가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기반하는 것인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46071A 2018-04-20 2018-04-20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 KR101865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71A KR101865022B1 (ko) 2018-04-20 2018-04-20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71A KR101865022B1 (ko) 2018-04-20 2018-04-20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022B1 true KR101865022B1 (ko) 2018-07-04

Family

ID=6291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071A KR101865022B1 (ko) 2018-04-20 2018-04-20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970B1 (ko) * 2020-11-30 2021-06-11 세종신호에너지(주) 스마트 태양광 신호등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824B1 (ko) 2013-09-03 2014-02-13 박승철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824B1 (ko) 2013-09-03 2014-02-13 박승철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970B1 (ko) * 2020-11-30 2021-06-11 세종신호에너지(주) 스마트 태양광 신호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811B1 (ko) 지아이에스(gis)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
KR101944442B1 (ko) 수치 지도 제작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KR101865022B1 (ko) 지아이에스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
KR101705704B1 (ko) 수치지도 수시수정을 위한 지형현황 측량 시스템
US20050102872A1 (en) Traffic-signalling system
JP2012082630A (ja) 高所点検装置
CN108312890A (zh) 一种磁悬浮空轨列车悬浮系统
CN108482391A (zh) 一种磁悬浮空轨列车
KR101944445B1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지하시설물의 측지측량 장치
KR101749653B1 (ko) 수치지도의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갱신 편집시스템
CN106944648A (zh) 一种用于建筑的多功能电钻
US9546755B2 (en) Accessory mounting system
US6467125B1 (en) Retractable door stop for sliding door
CN108482181A (zh) 一种磁悬浮空轨列车
CN114876514A (zh) 一种基于喷浆机器人的控制方法
ITUB20156284A1 (it) Dosso artificiale mobile.
US6857234B2 (en) Masonry control joint guide
CN107125993A (zh) 一种用于视力检测的座椅系统
KR101785439B1 (ko) 건축구조물 외벽체의 크랙감시 시스템
CN204136802U (zh) 槽型梁上接触网下锚矩形铅坠砣防风防脱盗限制架装置
US20060127173A1 (en) Retractable delineator post
CN110072756A (zh) 无人轨道车辆
CN105725935A (zh) 新型高层建筑外墙清洁设备
CN110920638A (zh) 可升降的悬挂式空铁疏散平台
KR101595273B1 (ko)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한 지형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