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653B1 - 수치지도의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갱신 편집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치지도의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갱신 편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653B1
KR101749653B1 KR1020170000780A KR20170000780A KR101749653B1 KR 101749653 B1 KR101749653 B1 KR 101749653B1 KR 1020170000780 A KR1020170000780 A KR 1020170000780A KR 20170000780 A KR20170000780 A KR 20170000780A KR 101749653 B1 KR101749653 B1 KR 101749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hotographing
digital map
gp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태
Original Assignee
삼부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부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부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지도의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갱신 편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준점의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의 오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특히 항공촬영시 촬영지역에서의 항공기 GPS위치정보와 해당촬영지역의 실제위치좌표를 비교하여 재촬영이 필요한 지역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치지도를 제작함으로써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 오류를 확인하고 정확한 좌표데이터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한 수치지도의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갱신 편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치지도의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갱신 편집시스템{Compensation details of the change in position of the terrain processed digital map updating and editing systems}
본 발명은 수치지도 기술 분야 중 수치지도의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갱신 편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준점의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의 오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특히 항공촬영시 촬영지역에서의 항공기 GPS위치정보와 해당 촬영지역의 실제위치좌표를 비교하여 재촬영이 필요한 지역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치지도를 제작함으로써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 오류를 확인하고 정확한 좌표데이터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한 수치지도의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갱신 편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치지도는 측량지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에 의해 얻어진 각종 수치정보를 해석하고, 이를 수치 편집하여 디지털 형태로 제작된 지도이다.
따라서, 수치지도는 이용자가 지도를 보면서 지리적/지형적 정보를 쉽게 수득할 수 있도록 해당 지점에 대한 수치화된 지리정보가 도화된 지형이미지에 정확히 적용되어야 하고, 아울러 도화된 지형이미지 또한 상기 지리정보에 맞춰 정확히 도시되어야 하며, 주로 각종 지적도 및 지형도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수치지도는 항공촬영과 지상촬영을 통해 수집한 이미지로부터 제작되고, 이렇게 수집된 이미지는 이웃하는 이미지들 간의 상호 연결을 통해 완전한 일체의 이미지로 완성되어 수치지도로 제작된다.
그런데, 이렇게 수집된 이미지의 상호 연결을 위해서는 이미지들 간의 정확한 연결을 위한 기준이 필요하고, 그기준을 정확히 잡기 위해서는 GPS좌표에 따른 정확한 항공 영상이미지와 지상 영상이미지의 촬영이 선행되어야 한다.
즉, GPS좌표별로 항공촬영과 지상촬영을 정확히 수행해서 상기 GPS좌표별로 정확한 항공 영상이미지와 지상 영상이미지를 수집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촬영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이 요구되고, 상기 기준점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또한 요구된다.
종래에는 카메라가 신호 또는 빛을 수신해서 해당 지점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장치가 제시되었다.
그런데, 종래 장치들은 자체적으로 조사하는 빛을 카메라가 정확히 수신해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대부분이었고, 특히 외부 오염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이 전무했으므로 상기 장치의 수명이 짧은 문제가 있었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기준점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도록 하므로, 시급히 해결해야할 과제였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08257호(2012.01.13.)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처리하는 수치지도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기준점의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의 오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특히 항공촬영시 촬영지역에서의 항공기 GPS위치정보와 해당 촬영지역의 실제 위치좌표를 비교하여 재촬영이 필요한 지역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치지도를 제작함으로써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 오류를 확인하고 정확한 좌표데이터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한 수치지도의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갱신 편집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항공기에 설치되는 GPS장치(11);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12); 적어도 3개 이상의 기준점에 설치된 송신기(700)로부터 좌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3); GPS장치(11)ㆍ카메라(12)ㆍ수신기(13)를 작동제어하고, 상기 좌표신호의 수신세기에 따른 삼각측량 방법으로 항공기의 상대위치를 추적하며, 상기 좌표신호에 각각 포함된 GPS좌표값을 통해 항공기의 절대위치를 연산하고, 상기 절대위치와 GPS장치(11)의 GPS위치신호를 비교하여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해당 촬영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지정하면서 해당 영상이미지를 체크하는 컨트롤러(14);를 포함하는 수치지도의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갱신 편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4)에 의해 지정된 재촬영지역을 재촬영하기 위한 재촬영장치를 더 구비하되, 상기 재촬영장치는 지상 이동성 및 GPS 수신 기능 및 제어패널(CTR)을 갖춘 차량(1000)과, 상기 차량(1000)에 탑재되는 회전안내유닛(1100)과, 재촬영카메라(120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안내유닛(1100)은 상기 차량(1000) 내부에 형성된 수납챔버(CHM)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받침플레이트(1112)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챔버(CHM)의 양측면에는 슬롯(SL)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SL)에는 받침플레이트(1112)의 양측면에서 돌출된 조인트편(JNT)이 끼워져 상기 조인트편(JNT)이 상기 슬롯(SL)을 타고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인트편(JNT) 각각에는 스크류샤프트(BSC)가 상하로 관통되어 스크류 결합되며, 스크류샤프트(BSC)의 각 상,하단부는 베어링(BR)에 의해 자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스크류샤프트(BSC)의 각 하단에는 종동베벨기어(BBV)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종동베벨기어(BBV) 각각은 모터회전축(MRT)에 키 고정된 한 쌍의 구동베벨기어(DBV)와 기어 결합하고, 상기 모터회전축(MRT)은 상기 차량(1000)의 내부에 고정된 회동모터(MOT)에 연결되며, 상기 받침플레이트(1112)의 상면 중앙에는 고정축(1114)이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고정축(1114)의 상단에는 지지판(1116)이 상기 받침플레이트(1112)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1116)의 상면에는 하부베이스(1118)가 분리가능하게 볼트체결되고, 상기 하부베이스(1118)의 상면에는 원통형상의 축지지통(1120)이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며, 상기 축지지통(1120)에는 원통형상의 회전축(1122)이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1122)과 축지지통(1120) 사이에는 원통형상의 윤활부재(1124)가 개재되며, 상기 축지지통(1120)의 외주면 일부에는 일정크기의 슬릿(1126)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슬릿(1126)과 대응되는 위치의 윤활부재(1124)에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통공(1128)이 형성되며, 대응되는 위치의 회전축(1122) 외주면에는 일정반경에만 형성되는 형태로 상기 윤활부재(1124)의 두께만큼 돌출된 래크기어(1130)가 형성되고, 상기 래크기어(1130)에는 피니언기어(1132)가 치결합되며, 상기 피니언기어(1132)는 상기 하부베이스(1118)에 고정된 피니언모터(113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피니언모터(1134)는 상기 제어패널(CTR)에 의해 구동 제어되며, 상기 회전축(1122)의 상단부에는 직경방향으로 관통공(1136)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36)에는 고정핀(1138)이 끼워지며, 상기 회전축(1122)의 상부에는 상부베이스(1140)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베이스(1140)의 하단면에는 상기 회전축(1122)의 직경보다 큰 간격을 두고 한 쌍의 힌지브라켓(1142)이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힌지브라켓(1142)에는 힌지공(1144)이 천공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핀(1138)은 상기 힌지브라켓(1142)의 힌지공(1144)과 상기 회전축(1122)의 관통공(1136)을 관통하여 끼워져 상기 상부베이스(1140)가 상기 회전축(112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고정핀(1138)은 길이 일부가 절삭된 상태에서 고정편(1146)이 형성되며, 고정편(1146)에는 끼움구멍(1148)가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회전축(1122)의 내부에는 소형 각도조절실린더(1150)가 내장되며, 각도조절실린더(1150)는 제어패널(CTR)에 연결되어 구동제어되고, 상기 각도조절실린더(1150)의 상단에 연결된 실린더로드(1152)의 상단은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링크(LK)를 포함한 채 상단이 상기 끼움구멍(1148)에 끼워진 후 체결구(1154)로 체결되며, 상기 고정핀(1138)의 양단은 와셔(1156)가 키 결합되어 한 몸을 이루고, 와셔(1156)의 일측면에는 상기 힌지브라켓(1142)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돌기(RT)가 돌출되어 힌지브라켓(1142)에 형성된 돌기홈(RG)에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의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갱신 편집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촬영시 촬영지역에서의 항공기 GPS위치정보와 해당 촬영지역의 실제 위치좌표를 비교하여 재촬영이 필요한 지역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치지도를 제작함으로써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 오류를 확인하여 정확한 좌표데이터로 보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준점적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기준점적용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촬영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재촬영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안내유닛의 예시적인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안내유닛을 구성하는 요부 단면도 및 분해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108257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108257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108257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태양전지판에 잔류된 세척액을 신속하고 깔끔하게 흡습제거시켜 태양 집광 효율을 높이도록 개선한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108257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촬영위치에 설치되는 기준점적용장치(A)와, 항공촬영에 사용되는 촬영장치(10)와, 촬영장치(10)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완성해서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수치지도제작기(20)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점적용장치(A)는, 기초대(100)와, 기초대(100)에 설치되는 회전통구동장치(M)와, 기초대(100)에 설치되는 태양전지(200)와, 태양전지(200)를 세척하는 세척액공급장치(300)와, 태양전지(200)에 붙은 먼지를 제거하는 에어분사장치(400)와, 태양전지(200)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재(500)와, 기초대(100)에 설치되는 승강장치(600)와, 기준점적용장치(A)의 설치위치 좌표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700)와, 기초대(100)에 설치되는 조도센서(800)와, 전자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를 작동제어하는 제어부(900)와, 제어부(9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장치(i)와, 전자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ds)를 갖춘다.
상기 기초대(100)는, 기초를 이루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통(120)과, 베이스(100)에 설치되는 이물질수용기구(130)를 갖춘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방으로 형성되는 제1측판(111)과, 제1측판(1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측방으로 연장되는 하부판(112)과, 하부판(112)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며 제1측판(111)과 대향되는 제2측판(113)을 갖춘다.
상기 제1측판(111)은, 내측에 형성되며 내부를 향해 라운드진 회전통안착부(111a)와, 상방으로 개구된 삽입홀(111b)과, 삽입홀(111b)과 연통되며 측방으로 연장되어 회전통안착부(111a)을 통해 개구되는 다수의 세척액방출홀(111c)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홀(111b)과 연통되는 메인라인(111d)이 제1측판(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다수의 세척액방출홀(111c)이 메인라인(111d)로부터 분기된다.
상기 하부판(112)은 제1측판(1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측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측판(113)은, 내측에 형성되며 내부를 행해 라운드진 회전통안착부(113a)와, 측방으로 개구되어 회전통안착부(113a)의 하부에 배치되는 개구홀(113b)을 갖추고서, 제1측판(111)에 대향되게 하부판(112)에 연결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1측판(111),하부판(112)과 함께 회전통수용공간(a)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통안착부(113a)에는 내부를 향해 형성된 이물질제거부제설치홈(113c)이 구비되어, 이물질제거부재(500)가 이물질제거부재설치홈(113c)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10)는 전후방에서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3)을 연결하는 전판(114) 및 후판(115)이 구비되면서, 회전통수용공간(a)이 상방 개구된 공간을 이루도록 했다.
상기 회전통(120)은, 내부에 승강장치수용공간(121)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둘레부 상부에 형성되는 태양전지판설치부(122)와, 상기 본체 상부에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승강장치수용공간(121)을 개구하는 관통홀(123)을 갖추고서, 베이스(110)의 전판(114) 및 후판(115)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본체의 회전통안착부(111a,113a)에 안착하도록 된다.
상기 이물질수용기구(130)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이물질수용공간(131)이 형성되며, 제2측판(113)의 개구홀(113b)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통(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물질수용기구(130)의 단부에 이물질수용기구(130)가 제2측판(113)의 개구홀(113b)로부터 용이하게 삽탈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132)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통구동장치(M)는, 베이스(110)의 전판(114) 또는 후판(115)에 설치되어, 회전통(12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통구동장치(M)는 통상적인 모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태양전지(200)는, 회전통(120)의 태양전지판설치부(122)에 설치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수의 태양전지판(210)과, 회전통(120)의 승강장치수용공간(121)에 내설되어, 태양전지판(210)으로부터의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220)를 갖추고서, 본 발명의 전기적 구성요소에 전기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태양전지(200)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세척액공급장치(300)는, 베이스(110)의 제1측판(111) 상부에 설치되며 세척액이 수용되는 세척액수용체(310)와, 세척액수용체(310)에 연결되어 제1측판(111)의 삽입홀(111b)에 삽입되는 주입구(320)과, 세척액수용체(310)에 수용된 세척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자식밸브(330)를 갖춘다.
이때 전자식밸브(330)는 주입구(3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척액으로 물 또는 세제 등이 함유된 세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어분사장치(400)는, 베이스(110)의 제1측판(111) 상부에 설치되는 에어발생장치(410)와, 베이스(110)에 설치된 회전통(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에어분사라인(420)과, 에어분사라인(420)에 형성된 투수구(도면번호 생략)에 각각 설치되며 회전통(120)을 향하는 다수의 노즐(430)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발생장치(410)는 팬 등을 이용한 통상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이물질제거부재(500)는, 베이스(110)의 제2측판(113)에 형성된 회전통안착부(113a)에 설치되어, 회전통(120)이 회전할 시 태양전지판(210)과 맞닿아, 태양전지판(210)에 묻은 세척액 및 이물질을 닦아낸다.
본 실시예에서 이물질제거부재(500)는 섬유재질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장치(600)는, 회전통(120)의 승강장치수용공간(121) 하부에 설치되는 스크류구동장치(610)와, 스크류구동장치(610)에 설치되어 스크류구동장치(610)와 연동하며 스크류구동장치(610)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620)와, 회전통(120)의 승강장치수용공간(121)에 설치되며 스크류(62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가이드(630)와, 일단이 스크류(620)와 나사산을 매개로 맞물리고 타단이 가이드(63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스크류(620)의 회전방향을 따라 가이드(630)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승강부재(640)와, 가이드(630)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이 승강부재(640)에 설치되고 타단이 회전통(120)의 관통홀(123)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된 송신기설치부(650)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류구동장치(610)는 모터 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송신기(700)는, 승강장치(600)의 송신기설치부(650)에 설치되며, 제어부(9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기준점적용장치(A)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신호를 일정세기로 무선으로 송출한다. 참고로, 좌표신호에는 기준점적용장치(A)가 위치한 GPS좌표값과, 기준점적용장치(A)의 식별을 위한 식별코드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GPS좌표값 및 식별코드를 포함한 좌표신호는 통상적인 A/D변환 등을 통해 무선 송출되어, 인접 지역을 통행 중인 항공기 또는 차량에 설치된 촬영장치(10)가 이를 수신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촬영장치(10)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기준점적용장치(A)로부터 좌표신호를 수신하는데, 기준점적용장치(A)는 모두 동일한 세기로 좌표신호를 송신하므로, 촬영장치(10)는 수신한 좌표신호의 세기차를 이용해서 실시간으로 자신의 위치를 추적해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한다.
상기 조도센서(800)는, 기초대(100)에 설치되며, 제어부(9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외부환경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900)는, 기초대(100)에 설치되어, 회전통구동장치(M),태양전지(200),세척액공급장치(300),에어분사장치(400),스크류구동장치(610),송신기(700),조도센서(800)를 작동제어하며, 기초대(100)가 설치된 지점의 GPS 좌표값이 입력돼 상기 좌표신호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900)는, 조도센서(800)로부터 조도신호를 수신하여, 주간에는 전기적 구성요소를 작동시키고, 야간에는 전기적 구성요소를 정지시킨다.
여기서 제어부(900)는 태양전지(200)에 충전된 전기를 각각의 전기적구성요소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전기적 구성요소를 작동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00)는, 입력된 기준점 적용장치(A)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신호를 송신기(700)를 매개로 송출한다.
상기 입력장치(i)는, 기초대(100)에 설치되어, 제어부(90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제어부(9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가 작동제어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ds)는, 기초대(100)에 설치되어, 제어부(90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작동상태가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촬영장치(10)는, 항공촬영을 위한 항공기에 설치되는 GPS장치(11)와, 항공기에 설치되어 지형 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12)와, 기준점적용장치(A)의 송신기(700)로부터 좌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3)와, 항공기에 설치되어 GPS장치(11), 카메라(12), 수신기(13)를 작동제어하는 컨트롤러(14)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GPS장치(11), 카메라(12), 수신기(13) 및 항공기는 항공촬영시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14)는, GPS장치(11), 카메라(12), 수신기(13)를 작동제어하며, GPS장치(11)로부터의 GPS위치신호와 수신기(13)로부터의 기준점적용장치(A)의 좌표신호를 비교하여, GPS위치신호가 기준점적용장치(A)의 좌표신호와 기준 이상의 오차가 발생하면, 해당 촬영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지정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GPS장치(11)를 통해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항공기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기준점적용장치(A)로부터 좌표신호를 추가로 수신한다.
이때, 3개의 기준점적용장치(A)는 각각 동일한 세기의 좌표신호를 송출하지만 항공기와의 거리차로 인해 촬영장치(10)가 최종적으로 수신하는 좌표신호의 세기는 기준점적용장치(A)별로 모두 다르게 된다.
결국 컨트롤러(14)는 서로 다른 세기로 수신한 좌표신호를 통해 3개의 기준점적용장치(A)의 위치대비 항공기의 상대위치를 추적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기준점적용장치(A)의 좌표신호에 포함된 GPS좌표값을 통해 항공기가 위치한 절대위치에 대한 GPS좌표값을 연산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확인된 상기 GPS좌표값과 GPS장치(11)에서 확인한 위치를 비교해서 차이가 있을 경우 해당 촬영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지정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는 별도로 체크해 수정대상임을 분명히 한다. 또한, 재촬영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의 재촬영을 수행한다.
참고로, 컨트롤러(14)는 기준점적용장치(A) 송출하는 좌표신호의 송출 세기를 저장하고, 이를 기준으로 수신한 상기 좌표신호의 세기를 확인해서 해당 기준점적용장치(A)의 거리를 추적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어도 3개 이상의 좌표신호를 수신한 컨트롤러(14)는 공지,공용의 삼각측량 방법을 통해 기준점적용장치(A)의 위치대비 항공기의 위치를 추적해 확인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는 본 발명의 기준점적용장치(A)를 기준점으로 설정된 특정장소에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입력장치(i)를 통해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사용 가능상태로 세팅한다.
이때 상기 작업자는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에 기준점적용장치(A)가 설치된 위치의 절대좌표를 입력하고, 제어부(900)가 입력된 절대좌표의 좌표신호를 송신기(700)를 통해 외부로 송출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세팅이 되면,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는 조도센서(800)로부터 조도신호를 수신하여, 주변환경이 밝으면(주간) 승강장치(600)를 구동시켜 송신기(700)가 도 4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송신기(700)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높은 송신율을 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태양전지(200)는 태양으로부터의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항공촬영을 위해 항공기가 기준점적용장치(A)의 상공을 비행할 시, 촬영장치(10)의 수신기(13)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기준점적용장치(A)로부터 좌표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촬영장치(10)의 컨트롤러(14)는 기준점적용장치(A)로부터 수신한 좌표신호를 처리해서 기준점적용장치(A)를 기준으로 한 항공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와 GPS장치(11)로부터 확인한 항공기의 위치를 비교해서 좌표신호 간에 차이가 일정 기준치 이상일 경우 해당 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설정하고, 아울러 촬영된 영상이미지는 별도로 체크해서 도화시 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항공촬영은 통상적으로 주간에 이뤄져, 기준점적용장치(A)는 야간에는 작동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상기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는 조도센서(800)로부터 주변환경이 어두워졌다는 조도신호를 수신하면, 승강장치(600)를 구동시켜 기준점적용장치(A)의 송신기(700)를 원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는 회전통구동장치(M)을 구동시켜 회전통(120)을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는 세척액공급장치(300) 및 에어분사장치(400)를 작동한다.
그러면 도 5와 같이 상기 세척액공급장치(300)는 회전통(120)을 향해 세척액을 공급하고, 에어분사장치(400)는 회전통(120)을 향해 에어를 분사한다.
이때 상기 태양전지(200)의 태양전지판(210)은 회전통(120)을 따라 회전하면서, 에어분사장치(400)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로 인해 먼지가 제거되고, 세척액공급장치(30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액에 의해 표면이 세척된다.
이후 상기 회전통(120)이 계속적으로 회전하면, 태양전지판(210)은 도 6과 같이 이물질제거부재(500)와 맞닿게 되고, 이때 에어분사장치(400)에 의해 제거되고 남은 잔여 먼지와 세척액이 혼합된 이물질혼합액이 이물질제거부재(500)에 의해 닦이면서, 이물질혼합액이 베이스(110)와 회전통(120)의 유격 사이로 자유 낙하하여, 이물질수용기구(130)에 수용된다.
한편 상기 회전통(120)이 회전할 시 회전통(120)에 뭍은 일부 혼합액은 이물질제거부재(500)에 접촉하기 전에 자유 낙하하여 이물질수용기구(130)에 수용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태양전지판(120)의 세척단계가 여러 번 반복되면,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는 회전통구동장치(M),세척액공급장치(300),에어분사장치(400)의 구동을 멈춰, 도 2와 같이 기준점적용장치(A)가 초기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는 아침이 오면, 상기와 같이 승강장치(600),송신기(700)를 구동시 켜, 기준점적용장치(A)의 좌표신호가 송출되도록 한다.
수치지도제작기(20)는 촬영장치(10)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21)와,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22)와,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23)과,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24)과,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25)과, 영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가 출력되고 수치지도제작기(20)의 동작을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 및 입력시키는 입출력모듈(26)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지리 및 지형정보를 도화이미지에 링크시켜서 사용자가 수치지도의 해당 정보 클릭시 관련 정보가 출력될 수 있는 수치지도가 되도록 제작하는 정보링크모듈(27)을 포함한다.
이미지편집모듈(23)은 촬영장치(10)에서 수집한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연결 및 편집해서 하나의 영상이미지로 완성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영상이미지를 연결하기 위해 크기 및 해상도 등의 조정처리가 진행된다. 이미지편집모듈(23)은 일반적인 그래픽 편집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 있으며, 3차원 영상이미지의 출력 및 편집을 위해 공지,공용의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재촬영이 요구되는 영상이미지는 편집시 언제든지 대체 가능하도록 처리되어서, 재촬영에 의한 새로운 영상이미지가 입력되면 해당 위치의 영상이미지가 교체될 수 있도록 하고, 교체된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좌표합성모듈에서 새로운 GPS좌표를 합성하고 이를 통해 도화이미지를 작성하여 수치지도에 표시되는 좌표데이터를 정확한 좌표로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재촬영이 바로 이루어지는 경우 실시간으로 이를 반영하여 수치지도의 수치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도 있다.
좌표합성모듈(24)은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표시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좌표를 합성하여 이미지상에 좌표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기준점은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표시되며, 표시방법은 촬영을 통한 자연표시방법 또는 도화를 통한 인위적인 표시방법 등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영상도화모듈(25)은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 작업을 진행해서 수치지도의 배경이 되는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것으로서, 서면에 직접 도화하는 도화기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나, 온라인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기록하는 방식의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한 애플리케이션 방식의 영상도화모듈은 수치지도 제작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정보링크모듈(27)은 GIS시스템에 기록된 각종 정보를 상기 도화이미지의 해당 지점에 링크시켜서, 사용자가 상기 해당 지점을 클릭할 경우 링크된 관련 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작업자는 도화이미지 작성과정에서 GIS시스템의 특정 정보에 링크될 대상물을 대상물이미지로 상기 도화이미지에 표시한다.
이렇게 완성된 수치지도는 입출력모듈(26)을 통해 출력된다.
본 발명은 항공기에 설치되는 GPS장치(11);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12); 적어도 3개 이상의 기준점에 설치된 송신기(700)로부터 좌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3); GPS장치(11)ㆍ카메라(12)ㆍ수신기(13)를 작동제어하고, 상기 좌표신호의 수신세기에 따른 삼각측량 방법으로 항공기의 상대위치를 추적하며, 상기 좌표신호에 각각 포함된 GPS좌표값을 통해 항공기의 절대위치를 연산하고, 상기 절대위치와 GPS장치(11)의 GPS위치신호를 비교하여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해당 촬영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지정하면서 해당 영상이미지를 체크하는 컨트롤러(14);를 통해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할 때 재촬영지역으로 지정된 곳을 재촬영하는 재촬영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재촬영장치는 도 7 내지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상 이동성을 갖춘 차량(1000)과, 상기 차량(1000)에 탑재되는 회전안내유닛(1100)과, 재촬영카메라(1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안내유닛(1100)은 차량(1000) 내부로 인출입가능하게 구성하여 유지 보수 및 관리상 편리성을 확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1000)에는 안테나(ANT)를 구비하여 GPS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촬영장소로 정확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차량(1000)의 운전석(DRV)에는 제어패널(CTR)이 설치되고, 차량(1000)의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제어하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 차량(1000)에는 천정면 일부가 일정크기로 개방되고, 개방된 부분과 연통되고 차량(1000) 내부에는 수납챔버(CHM)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수납챔버(CHM)의 양측면에는 슬롯(SL)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SL)에는 받침플레이트(1112)의 양측면에서 돌출된 조인트편(JNT)이 끼워져 상기 조인트편(JNT)이 상기 슬롯(SL)을 타고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인트편(JNT) 각각에는 스크류샤프트(BSC)가 상하로 관통되어 스크류 결합되고, 스크류샤프트(BSC)의 각 상,하단부는 베어링(BR)에 의해 자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샤프트(BSC)의 각 하단에는 종동베벨기어(BBV)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종동베벨기어(BBV) 각각은 모터회전축(MRT)에 키 고정된 한 쌍의 구동베벨기어(DBV)와 기어 결합하며, 상기 모터회전축(MRT)은 상기 차량(1000)의 내부에 고정된 회동모터(MOT)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모터(MOT)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받침플레이트(1112)는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므로 사용시에는 상기 받침플레이트(1112)를 상승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하강시켜 수납시킴으로써 안전하게 유지 보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하지 않았지만 별도로 커버를 구비하여 회전안내유닛(1100)이 수납되었을 때 개방된 차량(1000)의 상면을 덮어 줌으로써 우천시, 혹은 눈이 올 때 차량(100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구성되면 더욱 좋다.
그리고,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받침플레이트(1112)의 상면 중앙에는 고정축(1114)이 수직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축(1114)의 상단에는 지지판(1116)이 상기 받침플레이트(1112)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받침플레이트(1112)와 지지판(1116)은 상하 유동시 수납챔버(CHM) 내에서 흔들림없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하 양측에 구비되며, 특히, 상기 지지판(1116)은 재촬영카메라(1200)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판(1116)의 상면에는 하부베이스(1118)가 분리가능하게 볼트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베이스(1118)의 상면, 바람직하게는 상면 중앙부에는 원통형상의 축지지통(1120)이 고정되어 일체를 이룬다.
이 경우, 상기 축지지통(1120)의 수직도를 유지하면서 고정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축지지통(1120)의 둘레에 상기 축지지통(1120)의 외주면과 상기 하부베이스(1118)를 연결 고정하도록 용접되는 직각삼각형상의 보강비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축지지통(1120)에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상의 회전축(1122)이 끼워진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축(1122)은 상기 축지지통(1120)에 약간의 유격을 갖고 끼워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격은 윤활부재(1124)에 의해 없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윤활부재(1124)를 통해 상기 회전축(1122)이 다소 빡빡하게 축 고정되게 함으로써 일반적인 베어링에 의한 가벼운 회전유동 구조가 아니라, 빡빡함을 가진 상태로 다소 무겁게 회전유동하는 구조를 갖춘 것이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이다.
때문에, 상술한 요건을 충족시킬 윤활부재(1124)로는 MC 나일론이 바람직하며, 상기 윤활부재(1124)는 상기 회전축(1122)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부만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1122)이 끼워지기 전에 상기 축지지통(1120)에 먼저 끼워진다. 그런 다음, 회전축(1122)이 끼워져 빡빡한 조립 관계를 구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윤활부재(1124)인 MC 나일론은 주원료인 나일론 모노머를 대기압하에서 중합, 성형하는 것으로 사출, 압출 성형이 가능하고, 금속, 목재류의 대체 소재로도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MC 나일론의 특징으로는 유기 용제, 유지, 알카리성 약품에 침범되기 어려운 내약품성을 가지고 있고, 종래 나일론 수지에 비해 기계적 강도, 내구성이 현저히 뛰어나며, 자기 윤활성이 있어 미끄럼짐 성능이 우수한 특징을 가진 소재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122)과 축지지통(1120) 사이에 개재시키되, 반드시 상기 회전축(1122)을 완전히 감싸도록 상부만 개방되고 하부는 밀봉된 원통형상을 갖도록 윤활부재(1124)를 구현함으로써 회전축(1122)이 다소 빡빡한 상태로 360°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축지지통(1120)의 외주면 일부에는 일정크기의 슬릿(1126)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슬릿(1126)과 대응되는 위치의 윤활부재(1124)에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통공(1128)이 형성되며, 또한 대응되는 위치의 회전축(1122) 외주면에는 일정반경에만 형성되는 형태로 상기 윤활부재(1124)의 두께만큼 돌출된 래크기어(11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래크기어(1130)에는 피니언기어(1132)가 치결합되고, 상기 피니언기어(1132)는 상기 하부베이스(1118)에 고정된 피니언모터(113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피니언모터(1134)는 상기 제어패널(CTR)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122)의 상단부, 즉 상기 축지지통(1120)에 끼워지고 남은 부분, 다시 말해 축지지통(1120)에 대해 상부로 돌출된 노출부분에는 직경방향으로 관통공(1136)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36)에는 고정핀(1138)이 끼워진다.
이때, 상기 윤활부재(1124)는 상기 축지지통(1120)에 삽입되는 높이를 갖기 때문에 상기 고정핀(1138)이 관통공(1136)에 끼워질 때 간섭 등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상기 회전축(1122)의 상부에는 상부베이스(1140)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베이스(1140)의 하단면에는 상기 회전축(1122)의 직경보다 큰 간격을 두고 한 쌍의 힌지브라켓(1142)이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힌지브라켓(1142)에는 힌지공(1144)이 천공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핀(1138)은 상기 힌지브라켓(1142)의 힌지공(1144)과 상기 회전축(1122)의 관통공(1136)을 관통하여 끼워짐으로써 상기 상부베이스(1140)가 상기 회전축(112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다만, 상기 상부베이스(1140)의 회전방향은 상기 힌지브라켓(1142)에 핀고정되는 고정핀(1138)이 끼워지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만 회전유동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회전축(1122)은 상기 축지지통(1120)에 대해 360°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구조이므로 결국 상기 상부베이스(1140)는 상기 회전축(1122)에 대해서는 정해진 방향으로만 회전유동할 수 있지만, 상기 하부베이스(1118)에 대해서는 360°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상부베이스(114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기 위해 상기 고정핀(1138)은 길이 일부가 절삭된 상태에서 고정편(1146)이 형성되고, 고정편(1146)에는 끼움구멍(1148)가 상하로 관통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편(1146)의 돌출높이는 상기 고정핀(1138)의 외주면을 벗어나지 않도록 반경내로 한정되어야 하는데, 그래야 상기 힌지공(1144)에 끼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122), 즉 원통형 회전축(1122)의 내부에는 소형 각도조절실린더(1150)가 내장되고, 각도조절실린더(1150)는 제어패널(CTR)에 연결되어 구동제어되며, 또한 상기 각도조절실린더(1150)의 상단에 연결된 실린더로드(1152)의 상단은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링크(LK)를 포함한 채 상단이 상기 끼움구멍(1148)에 끼워진 후 체결구(1154)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핀(1138)의 양단은 와셔(1156)가 키 결합되어 한 몸을 이루고, 와셔(1156)의 일측면에는 상기 힌지브라켓(1142)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돌기(RT)가 돌출되어 있고, 힌지브라켓(1142)에는 돌기홈(RG)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핀(1138)이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힌지브라켓(1142)을 회전시키게 되고 결국 상부베이스(1140)가 회전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러한 구조를 갖게 되면 이중 회전유동방식에 의한 외력 흡수, 분산 효과가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고정장치가 받은 힘이 줄어 들어 피로강도가 낮아지고, 응력 집중이 최소화되므로 안정한 회전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베이스(1140)의 상면에는 재촬영카메라(1200)가 안착 고정된다.
따라서, 피니언모터(1134)에 의한 회전제어 및 각도조절실린더(1150)를 통한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원활하고 용이하며 정확한 계측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초음파 검출작업이 수행되면 작업자가 재촬영카메라(1200)를 일일이 정렬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회전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상기 상부베이스(1140) 및 하부베이스(1118), 그리고 지지판(1116)은 금속으로 제조될 경우 부식때문에 장수명화가 어렵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내구성이 우수한 성형조성물을 통해 합성수지로 성형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단가도 낮추면서 장수명화도 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물부착방지성, 내습성 및 정전기방지성, 전자기 차폐성도 갖추면 계측작업의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한 성형조성물은 폴리에틸렌수지 70중량%와 실리카 30중량%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혼합물에는 상기 폴리에틸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30㎛의 입도를 갖는 입자상 흑연 4중량부, 모노네오알콕시 티타네이트 3중량부, 폴리락트산 10중량부, 1-2㎛의 입도를 갖는 알루미나 분말 2중량부,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 2중량부, 몬모릴로나이트 3중량부, Ds(Dichlorodimethylsilane) 7중량부, 스테아린산칼슘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4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5중량부, 규산소다(Sodium Silicates) 5중량부, 에르소르빈산나트륨 5중량부, 살리실산에스테르 3중량부, 테르븀 2중량부, 0.1-0.2㎛의 입도를 갖는 보크사이트 크링커 분말 5중량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중량부, 방향족 폴리아민 2중량부, 산화나트륨(Na2O) 1중량부, 이산화규소(SiO2) 2중량부, 삼산화이철(Fe2O3) 1중량부, 알킬렌 아마이드 2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폴리에스테르수지는 베이스 수지이며, 상기 30㎛의 입도를 갖는 입자상 흑연은 전자파 차폐를 위해 첨가되고, 모노네오알콕시 티타네이트는 블루밍(blooming) 현상없이 전자이동회로를 형성케 하여 대기중의 습기에 관계없이 정전기 방지성능을 얻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폴리락트산은 합성고분자 타입의 수지로서 내습성, 가공성이 우수한 물성이 있으며, 용융온도는 150-200℃이고, 연성에 의한 연질화, 인장강도, 신장율을 향상시키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알루미나는 알루미늄과 산소의 화합물로서, 내구성 향상을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는 표면 슬립성을 증대시켜 이물부착방지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몬모닐로나이트는 일종의 무기필러로서 기계적 물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Ds(Dichlorodimethylsilane)는 강한 소수성을 가진 물질로서 방습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스테아린산칼슘은 분산제로서 윤활기능을 촉진하여 첨가물들의 균질한 분산성을 유도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는 접착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부착력을 강하게 하여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는 소르비톨에서 파생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중 하나로서 수분의 번짐을 막기 위해 첨가되고, 규산소다(Sodium Silicates)는 표면 접착력을 높이면서 점결성을 강화하기 위해 첨가되며, 에르소르빈산나트륨은 산화 방지를 위해 첨가된다.
또한, 살리실산에스테르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자외선에 의해 수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아울러, 테르븀은 란탄족에 속하는 희토류 금속으로서 전성과 연성이 커 코팅층의 완충 및 내마모도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0.1-0.2㎛의 입도를 갖는 보크사이트 크링커 분말은 결합력을 증대시켜 압축강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은 멜라민수지 등의 열경화성수지와 무기재료와의 커플링을 위한 실란커플링제로서 결합성, 접착성, 표면강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방향족 폴리아민은 경화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산화나트륨은 이산화규소와 반응하여 규산염을 형성함으로써 내화도를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특히 산화나트륨은 산화방지기능도 수행하며, 이산화규소는 유리화반응을 통해 쇄상격자를 이루면서 난연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때문에, 상기 산화나트륨과 이산화규소는 1:2의 중량비 범위 내에서 혼합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삼산화이철은 방청기능을 위해 주로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계면 분리를 억제하기 위해 첨가되며 산화철이라는 특성상 미량 첨가되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알킬렌 아마이드는 윤활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혼합을 원활하게 하고, 혼합 후 부서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조성에 따른 이물방지성 및 내습성을 확인하기 위해 10cm × 5cm × 0.5cm 크기의 철판 표면에 코팅액을 도포한 후 표면에 물을 스프레이 한 후 철판을 90도까지 세웠을 때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15도를 넘어서자 마자 물이 흘러내려 내습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이물방지성이 높다는 것도 의미하며, 정전방지성은 물론 전자파 차폐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100; 기초대 200; 태양전지
300; 세척액공급장치 400; 에어분사장치
500; 이물질제거부재 600; 승강장치
700; 송신기 800; 조도센서
900; 제어부

Claims (1)

  1. 항공기에 설치되는 GPS장치(11);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12); 적어도 3개 이상의 기준점에 설치된 송신기(700)로부터 좌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3); GPS장치(11)ㆍ카메라(12)ㆍ수신기(13)를 작동제어하고, 상기 좌표신호의 수신세기에 따른 삼각측량 방법으로 항공기의 상대위치를 추적하며, 상기 좌표신호에 각각 포함된 GPS좌표값을 통해 항공기의 절대위치를 연산하고, 상기 절대위치와 GPS장치(11)의 GPS위치신호를 비교하여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해당 촬영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지정하면서 해당 영상이미지를 체크하는 컨트롤러(14);를 포함하는 수치지도의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갱신 편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4)에 의해 지정된 재촬영지역을 재촬영하기 위한 재촬영장치를 더 구비하되, 상기 재촬영장치는 지상 이동성 및 GPS 수신 기능 및 제어패널(CTR)을 갖춘 차량(1000)과, 상기 차량(1000)에 탑재되는 회전안내유닛(1100)과, 재촬영카메라(120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안내유닛(1100)은 상기 차량(1000) 내부에 형성된 수납챔버(CHM)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받침플레이트(1112)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챔버(CHM)의 양측면에는 슬롯(SL)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SL)에는 받침플레이트(1112)의 양측면에서 돌출된 조인트편(JNT)이 끼워져 상기 조인트편(JNT)이 상기 슬롯(SL)을 타고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인트편(JNT) 각각에는 스크류샤프트(BSC)가 상하로 관통되어 스크류 결합되며, 스크류샤프트(BSC)의 각 상,하단부는 베어링(BR)에 의해 자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스크류샤프트(BSC)의 각 하단에는 종동베벨기어(BBV)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종동베벨기어(BBV) 각각은 모터회전축(MRT)에 키 고정된 한 쌍의 구동베벨기어(DBV)와 기어 결합하고, 상기 모터회전축(MRT)은 상기 차량(1000)의 내부에 고정된 회동모터(MOT)에 연결되며, 상기 받침플레이트(1112)의 상면 중앙에는 고정축(1114)이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고정축(1114)의 상단에는 지지판(1116)이 상기 받침플레이트(1112)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1116)의 상면에는 하부베이스(1118)가 분리가능하게 볼트체결되고, 상기 하부베이스(1118)의 상면에는 원통형상의 축지지통(1120)이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며, 상기 축지지통(1120)에는 원통형상의 회전축(1122)이 끼워지고, 상기 회전축(1122)과 축지지통(1120) 사이에는 원통형상의 윤활부재(1124)가 개재되며, 상기 축지지통(1120)의 외주면 일부에는 일정크기의 슬릿(1126)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슬릿(1126)과 대응되는 위치의 윤활부재(1124)에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통공(1128)이 형성되며, 대응되는 위치의 회전축(1122) 외주면에는 일정반경에만 형성되는 형태로 상기 윤활부재(1124)의 두께만큼 돌출된 래크기어(1130)가 형성되고, 상기 래크기어(1130)에는 피니언기어(1132)가 치결합되며, 상기 피니언기어(1132)는 상기 하부베이스(1118)에 고정된 피니언모터(113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피니언모터(1134)는 상기 제어패널(CTR)에 의해 구동 제어되며, 상기 회전축(1122)의 상단부에는 직경방향으로 관통공(1136)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36)에는 고정핀(1138)이 끼워지며, 상기 회전축(1122)의 상부에는 상부베이스(1140)가 배치되고, 상기 상부베이스(1140)의 하단면에는 상기 회전축(1122)의 직경보다 큰 간격을 두고 한 쌍의 힌지브라켓(1142)이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힌지브라켓(1142)에는 힌지공(1144)이 천공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핀(1138)은 상기 힌지브라켓(1142)의 힌지공(1144)과 상기 회전축(1122)의 관통공(1136)을 관통하여 끼워져 상기 상부베이스(1140)가 상기 회전축(112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고정핀(1138)은 길이 일부가 절삭된 상태에서 고정편(1146)이 형성되며, 고정편(1146)에는 끼움구멍(1148)가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회전축(1122)의 내부에는 소형 각도조절실린더(1150)가 내장되며, 각도조절실린더(1150)는 제어패널(CTR)에 연결되어 구동제어되고, 상기 각도조절실린더(1150)의 상단에 연결된 실린더로드(1152)의 상단은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링크(LK)를 포함한 채 상단이 상기 끼움구멍(1148)에 끼워진 후 체결구(1154)로 체결되며, 상기 고정핀(1138)의 양단은 와셔(1156)가 키 결합되어 한 몸을 이루고, 와셔(1156)의 일측면에는 상기 힌지브라켓(1142)에 끼워 고정되는 고정돌기(RT)가 돌출되어 힌지브라켓(1142)에 형성된 돌기홈(RG)에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의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갱신 편집시스템.
KR1020170000780A 2017-01-03 2017-01-03 수치지도의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갱신 편집시스템 KR101749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80A KR101749653B1 (ko) 2017-01-03 2017-01-03 수치지도의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갱신 편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80A KR101749653B1 (ko) 2017-01-03 2017-01-03 수치지도의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갱신 편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653B1 true KR101749653B1 (ko) 2017-06-22

Family

ID=5928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780A KR101749653B1 (ko) 2017-01-03 2017-01-03 수치지도의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갱신 편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6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304B1 (ko) 2017-08-29 2017-11-01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지피에스 정보와 항공이미지를 합성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1827487B1 (ko) 2017-10-16 2018-02-09 (주)우주공간정보 항공 영상 데이터와 이미지를 정밀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206007B1 (ko) * 2020-05-08 2021-01-21 (주)스페이스 지리정보를 활용한 실시간 수치지도 갱신 시스템
KR102271256B1 (ko) * 2020-12-08 2021-07-01 주식회사 우주공간정보 변형된 지형지물의 데이터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257B1 (ko) 2011-11-16 2012-01-31 (주)올포랜드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처리하는 수치지도 시스템
KR101567926B1 (ko) 2015-08-07 2015-11-11 중앙지리정보주식회사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의 세부 정보를 보정 처리하는 수치지도 편집 시스템
KR101591998B1 (ko) 2015-07-24 2016-02-05 (주)미도지리정보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의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257B1 (ko) 2011-11-16 2012-01-31 (주)올포랜드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처리하는 수치지도 시스템
KR101591998B1 (ko) 2015-07-24 2016-02-05 (주)미도지리정보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1567926B1 (ko) 2015-08-07 2015-11-11 중앙지리정보주식회사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의 세부 정보를 보정 처리하는 수치지도 편집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304B1 (ko) 2017-08-29 2017-11-01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지피에스 정보와 항공이미지를 합성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1827487B1 (ko) 2017-10-16 2018-02-09 (주)우주공간정보 항공 영상 데이터와 이미지를 정밀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206007B1 (ko) * 2020-05-08 2021-01-21 (주)스페이스 지리정보를 활용한 실시간 수치지도 갱신 시스템
KR102271256B1 (ko) * 2020-12-08 2021-07-01 주식회사 우주공간정보 변형된 지형지물의 데이터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653B1 (ko) 수치지도의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갱신 편집시스템
CN105563450B (zh) 一种船舶立面作业多功能爬行机器人
KR101795011B1 (ko)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편집시스템
KR101108257B1 (ko)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처리하는 수치지도 시스템
KR102074710B1 (ko) 영상왜곡의 신속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1790304B1 (ko) 지피에스 정보와 항공이미지를 합성한 영상처리시스템
CN205721365U (zh) 一种机器人室内外自动巡检控制系统
CN207983362U (zh) 由轨道导引和激光定位用于轨道车辆底部巡检的机器人
CN108627810B (zh) 智能汽车毫米波雷达硬件在环测试台架
KR101126350B1 (ko) 지형이미지에 적용된 기준점과 지피에스 위치정보의 정밀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의 오차확인시스템
CN102060057B (zh) 飞机油箱检查机器人系统及其控制方法
CN208946217U (zh) 一种基于红外传感器变电站巡检机器末端精确定位装置
KR102334839B1 (ko) 실시간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
KR101813203B1 (ko) 지형 환경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갱신 시스템
KR101795008B1 (ko) 지형정보 변화에 의한 기준점별 실시간 공간영상도화 보정장치
CN109398743B (zh) 一种无人机停机舱以及停泊方法
CN108819743A (zh) 无人机自动寻位无线充电的方法及装置
CN107064897B (zh) 一种rcs测试用车载扫描架控制系统
KR101813202B1 (ko)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편집시스템
KR101524232B1 (ko) 수치지도와 항공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수치지도 제작장치
CN110161515A (zh) 一种基于激光测距的房屋测量系统
KR101891305B1 (ko)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CN107843486A (zh) 一种基于弯沉仪的检测机器人系统
KR101805891B1 (ko) 지형정보의 변화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848324B1 (ko) 지형지물의 위치변화를 감시하여 수치지도에 적용하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