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008B1 - 지형정보 변화에 의한 기준점별 실시간 공간영상도화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지형정보 변화에 의한 기준점별 실시간 공간영상도화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008B1
KR101795008B1 KR1020170033570A KR20170033570A KR101795008B1 KR 101795008 B1 KR101795008 B1 KR 101795008B1 KR 1020170033570 A KR1020170033570 A KR 1020170033570A KR 20170033570 A KR20170033570 A KR 20170033570A KR 101795008 B1 KR101795008 B1 KR 101795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ordinate
photographing
housing
referenc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우균
이천용
Original Assignee
대한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항업(주) filed Critical 대한항업(주)
Priority to KR1020170033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형정보 변화에 의한 기준점별 실시간 공간영상도화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준점의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의 오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특히 항공촬영시 촬영지역에서의 항공기 GPS위치정보와 해당 촬영지역의 실제위치좌표를 비교하여 재촬영이 필요한 지역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치지도를 제작함으로써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 오류를 확인하고 정확한 좌표데이터로 보정할 수 있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들이 열에 의한 열화로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한 지형정보 변화에 의한 기준점별 실시간 공간영상도화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형정보 변화에 의한 기준점별 실시간 공간영상도화 보정장치{Digital map update system operated by digital map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공간영상도화 기술 분야 중 지형정보 변화에 의한 기준점별 실시간 공간영상도화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준점의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 오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특히 항공촬영시 촬영지역에서의 항공기 GPS위치정보와 해당 촬영지역의 실제위치좌표를 비교하여 재촬영이 필요한 지역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치지도를 제작함으로써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 오류를 확인하고 정확한 좌표데이터로 보정할 수 있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들이 열에 의한 열화로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한 지형정보 변화에 의한 기준점별 실시간 공간영상도화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화 또는 공간영상도화는 사진으로 촬영된 이미지를 지도이미지로 변환하는 작업이고, 지도이미지에 좌표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대응되는 위치에 입력한 것을 수치지도라 한다.
즉, 공간영상도화에 의하여 확보된 지도이미지에 측량지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에 의해 얻어진 각종 수치정보를 해석하고, 이를 수치 편집하여 디지털 형태로 해당 위치에 대입하여 제작된 지도이다.
따라서, 공간영상도화로부터 확보된 수치지도는 이용자가 지도를 보면서 지리적/지형적 정보를 쉽게 수득할 수 있도록 해당 지점에 대한 수치화된 지리정보가 도화된 지형이미지에 정확히 적용되어야 하고, 아울러 도화된 지형이미지 또한 상기 지리정보에 맞춰 정확히 도시되어야 하며, 주로 각종 지적도 및 지형도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항공촬영과 지상촬영을 통해 수집한 이미지를 공간영상도화 처리하여 제작되는 지도이미지는 이웃하는 이미지들 간의 상호 연결을 통해 완전한 일체의 이미지로 완성시켜 하나의 일체화된 지도이미지로 제작된다.
그런데, 이렇게 공간영상도화 처리에 의하여 확보된 지도 이미지의 상호 연결을 위해서는 이미지들 간의 정확한 연결을 위한 기준이 필요하고, 그 기준을 정확히 잡기 위해서는 GPS좌표에 따른 정확한 항공 영상이미지와 지상 영상이미지의 촬영이 선행되어야 한다.
즉, GPS좌표별로 항공촬영과 지상촬영을 정확히 수행해서 상기 GPS좌표별로 정확한 항공 영상이미지와 지상 영상이미지를 수집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촬영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이 요구되고, 상기 기준점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또한 요구된다.
종래에는 카메라가 신호 또는 빛을 수신해서 해당 지점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장치가 제시되었다.
그런데, 종래 장치들은 자체적으로 조사하는 빛을 카메라가 정확히 수신해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대부분이었고, 특히 외부 오염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이 전무했으므로 상기 장치의 수명이 짧은 문제가 있었다.
물론, 이러한 문제는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기준점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도록 하므로, 시급히 해결해야할 과제였다.
뿐만 아니라,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들이 발열에 의한 열화가 촉진됨으로 인해 사용수명이 단축되고, 유지보수 기간이 짧아지는 등 관리에 따른 비용손실이 크다는 단점도 있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08257호(2012.01.13.)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처리하는 수치지도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기준점의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의 오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특히 항공촬영시 촬영지역에서의 항공기 GPS위치정보와 해당 촬영지역의 실제위치좌표를 비교하여 재촬영이 필요한 지역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치지도를 제작함으로써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 오류를 확인하고 정확한 좌표데이터로 보정할 수 있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들이 열에 의한 열화로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한 지형정보 변화에 의한 기준점별 실시간 공간영상도화 보정장치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항공기에 설치되는 GPS장치(11),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12), 적어도 3개 이상의 기준점에 설치된 송신기(700)로부터 좌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3), GPS장치(11)ㆍ카메라(12)ㆍ수신기(13)를 작동제어하고 상기 좌표신호의 수신세기에 따른 삼각측량 방법으로 항공기의 상대위치를 추적하며 상기 좌표신호에 각각 포함된 GPS좌표값을 통해 항공기의 절대위치를 연산하고 상기 절대위치와 GPS장치(11)의 GPS위치신호를 비교하여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해당 촬영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지정하면서 해당 영상이미지를 체크하는 컨트롤러(14)를 포함하는 촬영장치(10)와;
상기 촬영장치(10)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21), 상기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22),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23),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24),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25)로 이루어진 수치지도제작기(20);를 포함하는 수치지도 갱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치지도제작기(20)를 구성하는 영상이미지DB(21), 도화이미지DB(22), 이미지편집모듈(23), 좌표합성모듈(24) 및 영상도화모듈(25)은 함체(2130) 내부에 탑재되고; 상기 함체(2130)는 사각틀체인 고정프레임(2132)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2132)의 전면에는 전면도어(2134)가 개폐가능하게 고정프레임(2132)의 일측에 힌지고정되며, 상기 전면도어(2134)와 대향되는 후면에는 후판(2136)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132)의 양측면에는 각각 측판(2138)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프레임(2132)의 하면에는 바닥판(2140)이 고정되고, 상기 바닥판(2140)과 대향되는 천정에는 상판(2142)이 고정되며, 양쪽 측판(2138)의 사각 슬릿 형태의 공기흡입구멍(2138a)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멍(2138a)에는 필터(2138b)가 내장되며, 상기 상판(2142)의 상면에는 간접냉각유닛(2150)을 설치하되, 상기 간접냉각유닛(2150)은 상기 상판(2142)을 통해 상기 함체(2130)와 연통되는 하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의 흡입챔버(2152)와, 상기 흡입챔버(2152)의 상면 중앙을 관통하여 후크 형상의 하단이 삽입고정된 송풍관(2154)과, 상기 송풍관(2154)의 상단에 설치된 송풍팬(2156)과, 상기 송풍관(2154)의 후크형 수평부(2158)에 형성된 배기공(2160)과, 상기 배기공(2160)과 대등되는 위치상의 후방챔버(2152)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구(2162)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도어(2134)와 측판(2138)의 안쪽면에는 다수의 방열핀(2170)을 더 형성하고, 상기 전면도어(2134)와 측판(2138)은 내부에 중공부(2172)를 갖도록 형성하되 상기 전면도어(2134)와 측판(2138)의 각 외측면에는 상기 중공부(2172)와 연통되는 다수의 개방부(2174)를 더 형성하여 방열성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판(2138)의 내측면에는 상기 방열핀(2170)과 간섭되지 않게 방열핀(2170)이 형성되지 않는 변측 둘레를 따라 코팅층 위에 흡음시트(2180)를 더 부착하되, 상기 흡음시트(2180)는 환편기를 통해 환편될 때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성근부분과 촘촘한 부분이 반복되게 편직된 원통상의 폴리프로필렌편직물(2182)과, 상기 폴리프로필렌편직물(2182)을 직경방향으로 눌러 납작하게 가공하여 2겹을 이루게 한 상태에서 그 외표면을 PET필름(2184)으로 완전히 감싸 일체화시킨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PET필름(2184)은 니들펀칭되어 다수의 바늘구멍이 형성된 것을 상기 폴리프로필렌편직물(2182)의 외표면에 열합지하여 소음을 줄이도록 하며;
상기 측판(2138)의 양측 내면에는 화재발생시 폭발하여 내장된 내화재를 비산시키는 얇은 박스 형상의 폭발하우징(3000)이 더 설치되는데, 상기 폭발하우징(3000)은 폴리우레탄수지 80중량%와 실리카 20중량부가 혼합된 상태에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일측면은 일정크기로 개방되어 개방부(3100)를 형성하며, 상기 개방부(3100)가 형성된 면에는 그물망(3300)이 부착되고, 내화재가 내장된 비닐봉투(3200)는 폭발하우징(3000) 속에 장입된 상태에서 상기 그물망(3300)에 의해 갇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풍팬(2156)의 하방에는 격자 형상으로 미세한 간격을 두고 다수층으로 적층된 양전극(E1)과 음전극(E2)을 배치하여 송풍팬(2156) 구동시 전원이 인가되면서 방전에 의한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공기 청정기능도 함께 구현시킴은 물론 송풍관(2154)의 하단 정점에는 가이드봉(GR)을 더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봉(GR)에는 하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가이드플랩(WIG)을 끼워 넣은 후 캡(CAP)으로 마감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정보 변화에 의한 기준점별 실시간 공간영상도화 보정장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준점의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의 오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특히 항공촬영시 촬영지역에서의 항공기 GPS위치정보와 해당 촬영지역의 실제위치좌표를 비교하여 재촬영이 필요한 지역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치지도를 제작함으로써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 오류를 확인하고 정확한 좌표데이터로 보정할 수 있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들이 열에 의한 열화로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준점적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준점적용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함체 외관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적용된 간접냉각기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적용된 측판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적용된 측판의 내측면에 흡음시트가 부착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7에 적용된 내화재를 폭발 방출시키는 폭발하우징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108257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108257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108257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수치지도제작기(20)를 구성하는 다수의 DB들과 모듈들이 발열에 의한 열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체 구성을 특수하게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108257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촬영위치에 설치되는 기준점적용장치(A)와, 항공촬영에 사용되는 촬영장치(10)와, 촬영장치(10)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완성해서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일종의 컴퓨터 시스템인 수치지도제작기(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준점적용장치(A)는 기초대(100)와, 기초대(100)에 설치되는 회전통구동장치(M)와, 기초대(100)에 설치되는 태양전지(200)와, 태양전지(200)를 세척하는 세척액공급장치(300)와, 태양전지(200)에 붙은 먼지를 제거하는 에어분사장치(400)와, 태양전지(200)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재(500)와, 기초대(100)에 설치되는 승강장치(600)와, 기준점적용장치(A)의 설치위치 좌표신호를 송출하는 송신기(700)와, 기초대(100)에 설치되는 조도센서(800)와, 전자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를 작동제어하는 제어부(900)와, 제어부(9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장치(i)와, 전자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장치(ds)를 갖춘다.
상기 기초대(100)는, 기초를 이루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통(120)과, 베이스(100)에 설치되는 이물질수용기구(130)를 갖춘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방으로 형성되는 제1측판(111)과, 제1측판(1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측방으로 연장되는 하부판(112)과, 하부판(112)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며 제1측판(111)과 대향되는 제2측판(113)을 갖춘다.
상기 제1측판(111)은, 내측에 형성되며 내부를 향해 라운드진 회전통안착부(111a)와, 상방으로 개구된 삽입홀(111b)과, 삽입홀(111b)과 연통되며 측방으로 연장되어 회전통안착부(111a)을 통해 개구되는 다수의 세척액방출홀(111c)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홀(111b)과 연통되는 메인라인(111d)이 제1측판(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다수의 세척액방출홀(111c)이 메인라인(111d)로부터 분기된다.
상기 하부판(112)은 제1측판(1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측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측판(113)은, 내측에 형성되며 내부를 행해 라운드진 회전통안착부(113a)와, 측방으로 개구되어 회전통안착부(113a)의 하부에 배치되는 개구홀(113b)을 갖추고서, 제1측판(111)에 대향되게 하부판(112)에 연결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1측판(111),하부판(112)과 함께 회전통수용공간(a)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통안착부(113a)에는 내부를 향해 형성된 이물질제거부제설치홈(113c)이 구비되어, 이물질제거부재(500)가 이물질제거부재설치홈(113c)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10)는 전후방에서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3)을 연결하는 전판(114) 및 후판(115)이 구비되면서, 회전통수용공간(a)이 상방 개구된 공간을 이루도록 했다.
상기 회전통(120)은, 내부에 승강장치수용공간(121)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둘레부 상부에 형성되는 태양전지판설치부(122)와, 상기 본체 상부에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승강장치수용공간(121)을 개구하는 관통홀(123)을 갖추고서, 베이스(110)의 전판(114) 및 후판(115)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본체의 회전통안착부(111a,113a)에 안착하도록 된다.
상기 이물질수용기구(130)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이물질수용공간(131)이 형성되며, 제2측판(113)의 개구홀(113b)에 삽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통(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물질수용기구(130)의 단부에 이물질수용기구(130)가 제2측판(113)의 개구홀(113b)로부터 용이하게 삽탈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132)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통구동장치(M)는, 베이스(110)의 전판(114) 또는 후판(115)에 설치되어, 회전통(12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통구동장치(M)는 통상적인 모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태양전지(200)는, 회전통(120)의 태양전지판설치부(122)에 설치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수의 태양전지판(210)과, 회전통(120)의 승강장치수용공간(121)에 내설되어, 태양전지판(210)으로부터의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220)를 갖추고서, 본 발명의 전기적 구성요소에 전기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태양전지(200)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세척액공급장치(300)는, 베이스(110)의 제1측판(111) 상부에 설치되며 세척액이 수용되는 세척액수용체(310)와, 세척액수용체(310)에 연결되어 제1측판(111)의 삽입홀(111b)에 삽입되는 주입구(320)과, 세척액수용체(310)에 수용된 세척액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자식밸브(330)를 갖춘다.
이때 전자식밸브(330)는 주입구(3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척액으로 물 또는 세제 등이 함유된 세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어분사장치(400)는, 베이스(110)의 제1측판(111) 상부에 설치되는 에어발생장치(410)와, 베이스(110)에 설치된 회전통(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에어분사라인(420)과, 에어분사라인(420)에 형성된 투수구(도면번호 생략)에 각각 설치되며 회전통(120)을 향하는 다수의 노즐(430)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발생장치(410)는 팬 등을 이용한 통상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이물질제거부재(500)는, 베이스(110)의 제2측판(113)에 형성된 회전통안착부(113a)에 설치되어, 회전통(120)이 회전할 시 태양전지판(210)과 맞닿아, 태양전지판(210)에 묻은 세척액 및 이물질을 닦아낸다.
본 실시예에서 이물질제거부재(500)는 섬유재질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장치(600)는, 회전통(120)의 승강장치수용공간(121) 하부에 설치되는 스크류구동장치(610)와, 스크류구동장치(610)에 설치되어 스크류구동장치(610)와 연동하며 스크류구동장치(610)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620)와, 회전통(120)의 승강장치수용공간(121)에 설치되며 스크류(62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가이드(630)와, 일단이 스크류(620)와 나사산을 매개로 맞물리고 타단이 가이드(63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스크류(620)의 회전방향을 따라 가이드(630)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승강부재(640)와, 가이드(630)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이 승강부재(640)에 설치되고 타단이 회전통(120)의 관통홀(123)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도록 된 송신기설치부(650)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류구동장치(610)는 모터 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송신기(700)는, 승강장치(600)의 송신기설치부(650)에 설치되며, 제어부(9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기준점적용장치(A)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신호를 일정세기로 무선으로 송출한다. 참고로, 좌표신호에는 기준점적용장치(A)가 위치한 GPS좌표값과, 기준점적용장치(A)의 식별을 위한 식별코드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GPS좌표값 및 식별코드를 포함한 좌표신호는 통상적인 A/D변환 등을 통해 무선 송출되어, 인접 지역을 통행 중인 항공기 또는 차량에 설치된 촬영장치(10)가 이를 수신해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촬영장치(10)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기준점적용장치(A)로부터 좌표신호를 수신하는데, 기준점적용장치(A)는 모두 동일한 세기로 좌표신호를 송신하므로, 촬영장치(10)는 수신한 좌표신호의 세기차를 이용해서 실시간으로 자신의 위치를 추적해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한다.
상기 조도센서(800)는, 기초대(100)에 설치되며, 제어부(9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외부환경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900)는, 기초대(100)에 설치되어, 회전통구동장치(M),태양전지(200),세척액공급장치(300),에어분사장치(400),스크류구동장치(610),송신기(700),조도센서(800)를 작동제어하며, 기초대(100)가 설치된 지점의 GPS 좌표값이 입력돼 상기 좌표신호로 송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900)는, 조도센서(800)로부터 조도신호를 수신하여, 주간에는 전기적 구성요소를 작동시키고, 야간에는 전기적 구성요소를 정지시킨다.
여기서 제어부(900)는 태양전지(200)에 충전된 전기를 각각의 전기적구성요소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전기적 구성요소를 작동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00)는, 입력된 기준점 적용장치(A)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신호를 송신기(700)를 매개로 송출한다.
상기 입력장치(i)는, 기초대(100)에 설치되어, 제어부(90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제어부(9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가 작동제어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ds)는, 기초대(100)에 설치되어, 제어부(90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작동상태가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촬영장치(10)는, 항공촬영을 위한 항공기에 설치되는 GPS장치(11)와, 항공기에 설치되어 지형 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12)와, 기준점적용장치(A)의 송신기(700)로부터 좌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3)와, 항공기에 설치되어 GPS장치(11), 카메라(12), 수신기(13)를 작동제어하는 컨트롤러(14)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GPS장치(11), 카메라(12), 수신기(13) 및 항공기는 항공촬영시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14)는, GPS장치(11), 카메라(12), 수신기(13)를 작동제어하며, GPS장치(11)로부터의 GPS위치신호와 수신기(13)로부터의 기준점적용장치(A)의 좌표신호를 비교하여, GPS위치신호가 기준점적용장치(A)의 좌표신호와 기준 이상의 오차가 발생하면, 해당 촬영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지정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GPS장치(11)를 통해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항공기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기준점적용장치(A)로부터 좌표신호를 추가로 수신한다.
이때, 3개의 기준점적용장치(A)는 각각 동일한 세기의 좌표신호를 송출하지만 항공기와의 거리차로 인해 촬영장치(10)가 최종적으로 수신하는 좌표신호의 세기는 기준점적용장치(A)별로 모두 다르게 된다.
결국 컨트롤러(14)는 서로 다른 세기로 수신한 좌표신호를 통해 3개의 기준점적용장치(A)의 위치대비 항공기의 상대위치를 추적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기준점적용장치(A)의 좌표신호에 포함된 GPS좌표값을 통해 항공기가 위치한 절대위치에 대한 GPS좌표값을 연산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확인된 상기 GPS좌표값과 GPS장치(11)에서 확인한 위치를 비교해서 차이가 있을 경우 해당 촬영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지정하고, 촬영된 영상이미지는 별도로 체크해 수정대상임을 분명히 한다. 또한, 재촬영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의 재촬영을 수행한다.
참고로, 컨트롤러(14)는 기준점적용장치(A) 송출하는 좌표신호의 송출 세기를 저장하고, 이를 기준으로 수신한 상기 좌표신호의 세기를 확인해서 해당 기준점적용장치(A)의 거리를 추적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어도 3개 이상의 좌표신호를 수신한 컨트롤러(14)는 공지,공용의 삼각측량 방법을 통해 기준점적용장치(A)의 위치대비 항공기의 위치를 추적해 확인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는 본 발명의 기준점적용장치(A)를 기준점으로 설정된 특정장소에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입력장치(i)를 통해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사용 가능상태로 세팅한다.
이때 상기 작업자는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에 기준점적용장치(A)가 설치된 위치의 절대좌표를 입력하고, 제어부(900)가 입력된 절대좌표의 좌표신호를 송신기(700)를 통해 외부로 송출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세팅이 되면,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는 조도센서(800)로부터 조도신호를 수신하여, 주변환경이 밝으면(주간) 승강장치(600)를 구동시켜 송신기(700)가 도 4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송신기(700)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높은 송신율을 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태양전지(200)는 태양으로부터의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항공촬영을 위해 항공기가 기준점적용장치(A)의 상공을 비행할 시, 촬영장치(10)의 수신기(13)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기준점적용장치(A)로부터 좌표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촬영장치(10)의 컨트롤러(14)는 기준점적용장치(A)로부터 수신한 좌표신호를 처리해서 기준점적용장치(A)를 기준으로 한 항공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와 GPS장치(11)로부터 확인한 항공기의 위치를 비교해서 좌표신호 간에 차이가 일정 기준치 이상일 경우 해당 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설정하고, 아울러 촬영된 영상이미지는 별도로 체크해서 도화시 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항공촬영은 통상적으로 주간에 이뤄져, 기준점적용장치(A)는 야간에는 작동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상기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는 조도센서(800)로부터 주변환경이 어두워졌다는 조도신호를 수신하면, 승강장치(600)를 구동시켜 기준점적용장치(A)의 송신기(700)를 원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는 회전통구동장치(M)을 구동시켜 회전통(120)을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는 세척액공급장치(300) 및 에어분사장치(400)를 작동한다.
그러면 도 5와 같이 상기 세척액공급장치(300)는 회전통(120)을 향해 세척액을 공급하고, 에어분사장치(400)는 회전통(120)을 향해 에어를 분사한다.
이때 상기 태양전지(200)의 태양전지판(210)은 회전통(120)을 따라 회전하면서, 에어분사장치(400)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로 인해 먼지가 제거되고, 세척액공급장치(30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액에 의해 표면이 세척된다.
이후 상기 회전통(120)이 계속적으로 회전하면, 태양전지판(210)은 도 6과 같이 이물질제거부재(500)와 맞닿게 되고, 이때 에어분사장치(400)에 의해 제거되고 남은 잔여 먼지와 세척액이 혼합된 이물질혼합액이 이물질제거부재(500)에 의해 닦이면서, 이물질혼합액이 베이스(110)와 회전통(120)의 유격 사이로 자유 낙하하여, 이물질수용기구(130)에 수용된다.
한편 상기 회전통(120)이 회전할 시 회전통(120)에 뭍은 일부 혼합액은 이물질제거부재(500)에 접촉하기 전에 자유 낙하하여 이물질수용기구(130)에 수용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태양전지판(120)의 세척단계가 여러 번 반복되면,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는 회전통구동장치(M),세척액공급장치(300),에어분사장치(400)의 구동을 멈춰, 도 2와 같이 기준점적용장치(A)가 초기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기준점적용장치(A)의 제어부(900)는 아침이 오면, 상기와 같이 승강장치(600), 송신기(700)를 구동시켜 기준점적용장치(A)의 좌표신호가 송출되도록 한다.
한편, 수치지도제작기(20)는 촬영장치(10)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21)와,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22)와,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23)과,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24)과,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25)과, 영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가 출력되고 수치지도제작기(20)의 동작을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 및 입력시키는 입출력모듈(26)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지리 및 지형정보를 도화이미지에 링크시켜서 사용자가 수치지도의 해당 정보 클릭시 관련 정보가 출력될 수 있는 수치지도가 되도록 제작하는 정보링크모듈(27)을 포함한다.
이때, 이미지편집모듈(23)은 촬영장치(10)에서 수집한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연결 및 편집해서 하나의 영상이미지로 완성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영상이미지를 연결하기 위해 크기 및 해상도 등의 조정처리가 진행된다.
또한, 이미지편집모듈(23)은 일반적인 그래픽 편집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 있으며, 3차원 영상이미지의 출력 및 편집을 위해 공지,공용의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재촬영이 요구되는 영상이미지는 편집시 언제든지 대체 가능하도록 처리되어서, 재촬영에 의한 새로운 영상이미지가 입력되면 해당 위치의 영상이미지가 교체될 수 있도록 하고, 교체된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좌표합성모듈에서 새로운 GPS좌표를 합성하고 이를 통해 도화이미지를 작성하여 수치지도에 표시되는 좌표데이터를 정확한 좌표로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재촬영이 바로 이루어지는 경우 실시간으로 이를 반영하여 수치지도의 수치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좌표합성모듈(24)은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표시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좌표를 합성하여 이미지상에 좌표데이터를 표시한다.
이 경우, 상기 기준점은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표시되며, 표시방법은 촬영을 통한 자연표시방법 또는 도화를 통한 인위적인 표시방법 등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영상도화모듈(25)은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 작업을 진행해서 수치지도의 배경이 되는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것으로서, 서면에 직접 도화하는 도화기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나, 온라인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기록하는 방식의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한 애플리케이션 방식의 영상도화모듈은 수치지도 제작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는 공지, 공용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정보링크모듈(27)은 GIS시스템에 기록된 각종 정보를 상기 도화이미지의 해당 지점에 링크시켜서, 사용자가 상기 해당 지점을 클릭할 경우 링크된 관련 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작업자는 도화이미지 작성과정에서 GIS시스템의 특정 정보에 링크될 대상물을 대상물이미지로 상기 도화이미지에 표시한다.
이렇게 완성된 수치지도는 입출력모듈(26)을 통해 출력된다.
이에 더하여,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치지도제작기(20)를 구성하는 다수의 DB와 모듈들은 하나의 함체(2130)에 탑재되며, 이들 DB와 모듈들이 발열 문제로 인한 열화로 수명이 단축되고 유지보수 기간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함체(2130)에는 냉각기능이 포함된다.
특히, 이들 모듈은 구동에 따른 발열 외에도 소음이 발생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특수한 함체(2130) 구조의 필요성이 있다.
더구나, 함체(2130) 내부에 탑재된 모듈들은 열에 약하기 때문에 열화 방지 측면에서 냉각필요성이 있지만, 단순한 직접 송풍식으로 냉각할 경우 함체(2130) 내부의 먼지가 비산되면서 각 모듈들의 오작동을 발생시킬 우려가 높다.
때문에, 간접냉각을 효율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7과 같은 함체(2130) 구조를 갖는다.
도 7에 따르면, 상기 함체(2130)는 사각틀체인 고정프레임(2132)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2132)의 전면에는 전면도어(2134)가 개폐가능하게 고정프레임(2132)의 일측에 힌지고정되며, 상기 전면도어(2134)와 대향되는 후면에는 후판(2136)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132)의 양측면에는 각각 측판(2138)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프레임(2132)의 하면에는 바닥판(2140)이 고정되고, 상기 바닥판(2140)과 대향되는 천정에는 상판(2142)이 고정된다.
아울러, 양쪽 측판(2138)의 사각 슬릿 형태의 공기흡입구멍(2138a)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멍(2138a)에는 필터(2138b)가 내장된다.
따라서, 외기는 필터링된 상태로 함체(213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상판(2142)의 상면에는 간접냉각유닛(2150)이 설치된다.
상기 간접냉각유닛(2150)은 도 8에 확대 도시한 요부 단면도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2142)을 통해 상기 함체(2130)와 연통되는 하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의 흡입챔버(2152)와, 상기 흡입챔버(2152)의 상면 중앙을 관통하여 후크 형상의 하단이 삽입고정된 송풍관(2154)과, 상기 송풍관(2154)의 상단에 설치된 송풍팬(2156)과, 상기 송풍관(2154)의 후크형 수평부(2158)에 형성된 배기공(2160)과, 상기 배기공(2160)과 대등되는 위치상의 후방챔버(2152)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구(21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송풍팬(2156)이 가동되면 외기가 도입되어 송풍관(2154) 내부로 토출된 후 배기공(2160)과 배출구(2162)를 통해 배출된다.
즉, 도입된 외기는 함체(2130) 내부로 공급되지 않고 방향전환하여 다시 외부로 배출된다.
그 과정에서 흡입챔버(2152)의 내부, 특히 상기 배출구(2162) 주변에서는 음압이 발생되고, 음압에 의한 흡입압 때문에 일종의 벤츄리 효과에 의해 흡입챔버(2152)의 하측 공간에 분포되어 있는 내부공기가 빨려 나가면서 함체(2130)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빨아 내게 된다.
이에 따라, 함체(2130) 내부는 전체적으로 음압이 형성되고, 필터(2138b)를 거쳐 흡입구멍(2138a)을 통해 신선한 차가운 외기가 함체(2130) 내부로 도입됨으로써 함체(2130) 내부에서는 분진이 일어나거나 비산되지 않은 상태로 자연스럽게 냉각되게 된다.
즉, 일반적인 냉각구조는 송풍팬(2156)을 통해 외기를 도입하여 함체(2130) 내부로 직접 분사시켜 직접 냉각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송풍압에 의한 함체(2130) 내부에서 심한 분진이 발생되고, 그 분진은 각 보드의 주요 단자에 부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정전기에 의한 스파크가 발생되면서 단락을 유발하기도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상황을 완전히 배재시킨 간접송풍방식, 다시 말해 간접냉각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함체(2130) 내부에서의 분진 발생없이 냉각할 수 있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함체(2130)를 구성하는 전면도어(2134), 측판(2138), 바닥판(2140) 및 후판(2136)의 내면에는 내열성은 물론 잠열성을 가진 코팅층이 형성되어 고열 발생시 일부 열을 머금었다가 한랭시에는 열을 내뱉는 잠열기능, 즉 보열기능을 갖추도록 하면 더욱 더 안정적인 가동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보드의 열화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전방지 기능, 내습성, 방오성 및 내화성도 함께 갖추도록 하여 단락을 예방하는 안정화에 기여하도록 구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코팅층은 폴리스티렌 수지와,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포졸란 3.5중량부, 우르시올 2.5중량부, 저독성 난연제 10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3.5중량부, 알킬트리알콕시실란 2중량부, 1,4-부틸렌글리콜 1.5중량부, 규산소다 8중량부, 옥시카르본산염 2.5중량부, 시트로넬라(citronella) 오일 1.5중량부, 마이크로캡슐화 된 0.1㎛ 길이의 폴리프로필렌 원사 3중량부, 파라핀왁스 5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4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3중량부, N-에틸가바졸 메타크릴레이트 2.5중량부, 세피오라이트 3중량부, 멜라민시아노네이트 2.5중량부, 테트라이소프로필타이타네이트 2.5중량부, 마이카(Mica) 1.5중량부를 첨가하여 50-60℃로 가열한 상태에서 스프레이 코팅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에서, 혼합물을 상기 온도범위로 가열하는 이유는 유동성을 높이면서 균일한 분산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며, 이때 상기 폴리스티렌수지는 대표적인 내화성 수지이며,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을 위해 베이스 수지로 사용되며, 상기 포졸란(Pozzolan)은 주로 콘크리트 혼화재로 많이 사용되지만, 이것은 인공 포졸란이고 본 발명에서는 내산성, 내부식성, 내구성 및 방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화산회, 화산암의 풍화물에서 채취된 천연 포졸란을 사용하며, 입도는 0.1-0.2mm가 바람직하다. 다만, 물과 만나면 쉽고 빠르게 경화되므로 미량 사용되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우루시올(Urushiol)은 페놀유도체의 하나로서, 천연방습제이며, 천연 항산화물질인 토코페롤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대표적인 지용성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우루시올 40중량%와 고무 60중량%를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하여 내부식성을 증대시키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이때, 고무는 유연성도 증대시키는데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독성 난연제는 ROHS 및 IEC 61249-2-21의 비할로겐계 난연제 사용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할로겐계 난연제는 배제하고, 브롬 함량이 900ppm 이하를 유지하면서 인의 함량이 400-1500ppm의 범주를 갖는 인계 난연제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는 접착력을 강화시켜 성형안정성을 높여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알킬트리알콕시실란은 발수성 뿐만 아니라 발유성을 강화시켜 표면 슬립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1,4-부틸렌글리콜은 접착성을 강화시켜 부착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규산소다(Sodium Silicates)는 겔화를 유도하여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내열안정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옥시카르본산염은 재료의 수분 함유량을 줄여 공극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로넬라(citronella) 오일은 방충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 기능 외에 무기계 분말들의 점도 조절 및 배합성을 촉진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우레탄수지에 보열성을 구현시킬 수 있도록 기중현탁피복법(Wurster Method)에 의해 마이크로캡슐화 된 0.1㎛ 길이의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파라핀왁스는 20~50℃의 상변화 온도변화대역을 갖는 상변화물질로서, 가열시 잠열을 축열하여 온도를 빼앗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보열 기능을 수행하며, 냉각시에는 잠열을 방출시켜 온열기능도 수행하므로 잠열 이용을 위해 본 발명에서 첨가 사용된다.
그리고, 폴리옥시에틸렌은 양이온 촉매를 이용해 산화에틸렌을 중합한 폴리에테르의 일종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물에 용해된 상태로 직물과 종이 등에 사용하여 피막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프로필렌글리콜은 흡습성이 있으나 휘발성은 없어 열과 빛에 안정하므로 수지를 녹여 물에 혼합하는 용매로 이용되며, 표면에서 곰팡이 번식 방지를 위해 첨가된다.
또한, N-에틸가바졸 메타크릴레이트는 투명성을 강화시키면서 코팅층의 안정화를 유도하여 크랙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나아가, 세피오라이트는 둥그런 관모양의 변종인 미어샤움(meerschaum)으로 불리우며 수지 조성물의 분산안정성과 균일 분산성을 유도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멜라민시아노네이트는 내열성을 보강하기 위해 첨가되며, 테트라이소프로필타이타네이트는 유기화타이타네이트 구조를 갖는 커플링제로서 고분자 수지와 무기물간의 계면 접착력을 강화시켜 내구성과 내열성 모두를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마이카는 규산염 광물의 일종으로, 0.1-0.2㎛ 크기로 분쇄된 후 체질된 것을 사용하며 경질 특성으로 인해 표면 경도 및 내열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이와 같은 코팅층의 구성에 따라 내열안성성과 잠열 특성을 이용한 보드의 열화 방지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코팅층이 잠열특성, 즉 보열성을 갖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코팅층이 없는 철판 시료와 코팅층이 있는 철판 시료를 준비한 다음 JIS C 6802-1997에 따라 방열측성을 확인하였다.
측정 결과, 코팅층이 있는 경우에는 46W/m.k였고, 코팅층이 없는 경우에는 58W/m.k로서 코팅층이 있는 경우에 잠열 특성(열 흡수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방열 특성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면도어(2134)와 측판(2138)의 안쪽 코팅면을 관통하도록 다수의 방열핀(2170)을 더 형성한다.
즉, 방열핀(2170)을 먼저 형성한 상태에서 코팅액을 스프레이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도록 가공한다.
이때, 상기 방열핀(2170)은 상기 코팅층의 표면 보다 더 돌출되게 구성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방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방열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전면도어(2134)와 측판(2138)은 내부에 중공부(2172)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면도어(2134)와 측판(2138)의 각 바깥면에는 상기 중공부(2172)와 연통되는 개방부(2174)가 더 형성되어 중공부(2172)로 전도되어온 열을 대기중으로 신속히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더욱 좋다.
이 경우, 중공부(2172) 외측을 전체적으로 개방하여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좋을 수 있으나, 이는 외관 품질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함체(2130)는 내부에 실장된 장비들의 가동중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도 10의 예시와 같이, 측판(2138)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흡음시트(218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흡음시트(2180)는 가스켓 형태이며, 코팅층 위에 부착되고, 방열핀(2170)과 간섭되지 않게 방열핀(2170)이 형성되지 않는 변측 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특히, 상기 흡음시트(2180)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부직포의 개념이 아니라, 흡음 및 차음 효과를 현저히 증대시키기 위해 환편기로 환편된 직물을 사용한다.
즉, 환편기를 통해 환편되면 대략 원통형상의 직물이 형성되는데, 이때 직물의 소재는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사용하며, 적어도 a,b,c,d 4개의 사도(실 공급지점)를 통해 실을 공급할 때 a,c 2개의 사도에서는 일반조직으로 편직하고, b,d 2개의 사도에서는 보다 촘촘한 탄성조직으로 편직케 하여 환편된 원통상의 폴리프로필렌편직물(2182)이 길이 방향으로 성글고 촘촘함이 반복되게 함으로써 유입된 소음이 완전히 갇히게 하여 흡음, 즉 차음시키게 함으로써 흡음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흡음특성 및 부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원통상의 폴리프로필렌편직물(2182)을 직경방향으로 눌러 납작하게 가공하여 2겹을 이루게 한 상태에서 그 외표면, 즉 둘레를 PET필름(2184)으로 완전히 감싸 일체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흡음시트(2180)를 구현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원통상의 폴리프로필렌편직물(2182)이 눌린 상태에서 부풀어 오르지 못하기 때문에 시트상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PET필름(2184)은 공극 형성을 위해 니들펀칭되어 다수의 바늘구멍이 갖추어진 구조를 갖도록 구성한다.
그러면, 발생된 소음은 PET필름(2184)의 바늘구멍을 통해 폴리프로필렌편직물(2182) 속으로 유입된 후 완전히 갇히게 되어 내부에서 굴절, 반사되면서 에너지를 잃게 되어 완전히 갇힌 상태로 소멸되게 되어 흡음 특성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측판(130)의 양측 내면에는 일정 온도조건에 이르면 폭발하여 내장된 내화재를 비산시키는 얇은 박스 형상의 폭발하우징(300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폭발하우징(3000)은 폴리우레탄수지 80중량%와 실리카 20중량부가 혼합된 상태에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일측면은 일정크기로 개방되어 개방부(3100)를 형성하며, 상기 개방부(3100)가 형성된 면에는 그물망(3300)이 부착된다.
따라서, 내화재가 내장된 비닐봉투(3200)가 폭발하우징(3000) 속에 장입된 상태에서 상기 그물망(3300)에 의해 갇히게 되므로 비닐봉투(3200)는 이탈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일정조건, 예를 들어 화재 발생시 폭발하면서 비닐봉투(3200) 및 그물망(3300)이 찢어지면서 내화액이 비산되어 소화작용을 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폭발하우징(3000)은 자체적인 폭발력이 없으므로 이를 촉진하기 위해 상기 그물망(3300) 앞쪽에는 폭발시트(34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폭발시트(3400)는 염소산칼륨이 부착된 제1시트와 적인(적린)이 부착된 제2시트가 얇은 종이를 사이에 두고 붙어 있는 상태로서 화재시 열이 발생되면 종이가 타면서 열소산칼륨과 적린이 서로 접촉되어 급격한 반응을 일으키면서 폭발하도록 하고, 그 여파로 내화재가 담긴 비닐봉투(3200)도 반응하여 폭발 비산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염소산칼륨은 수용성이기 때문에 물에 녹여 제1시트 상에 스프레이되는 형태로 일정두께로 도포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적인은 불용성이므로 제2시트가 고화되기 전에 고체상의 분말을 뿌려 고착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2시트는 모두 폴리우레탄수지를 시트상으로 만든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화재는 아파트 등의 입상배관에 설치되는 내화발포재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고열을 받으면 자기 몸집의 300-400배까지 팽창하면서 폭발하는 공지된 물질이다.
다만, 내화성을 강화하기 위해 백토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8에서와 같이, 송풍팬(2156)의 하방에 양전극(E1)과 음전극(E2)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송풍팬(2156) 구동시 전원이 인가되면서 방전에 의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게 하면 공기청정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전극(E1)과 음전극(E2)은 방전효율을 높이기 위해 격자 형상으로 미세한 간격을 두고 다수층으로 적층됨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송풍관(2154)의 하단 정점, 즉 뾰족한 부분에는 가이드봉(GR)을 더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봉(GR)에 하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가이드플랩(WIG)을 끼워 넣은 후 캡(CAP)으로 마감하게 되면 송풍관(2154)의 하방 공간을 일부 차지하게 되어 공간을 줄임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면적이 작아지게 하여 쉽게 빨려 올라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흡입압에 의해 공기가 유동될 때 가이드플랩(WIG)은 가이드봉(GR)을 타고 오르내리게 된다.
100; 기초대 200; 태양전지
300; 세척액공급장치 400; 에어분사장치
500; 이물질제거부재 600; 승강장치
700; 송신기 800; 조도센서
900; 제어부

Claims (1)

  1. 항공기에 설치되는 GPS장치(11),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12), 적어도 3개 이상의 기준점에 설치된 송신기(700)로부터 좌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3), GPS장치(11)ㆍ카메라(12)ㆍ수신기(13)를 작동제어하고 상기 좌표신호의 수신세기에 따른 삼각측량 방법으로 항공기의 상대위치를 추적하며 상기 좌표신호에 각각 포함된 GPS좌표값을 통해 항공기의 절대위치를 연산하고 상기 절대위치와 GPS장치(11)의 GPS위치신호를 비교하여 기준치 이상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 해당 촬영지역을 재촬영지역으로 지정하면서 해당 영상이미지를 체크하는 컨트롤러(14)를 포함하는 촬영장치(10)와;
    상기 촬영장치(10)가 수집한 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이미지DB(21), 상기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22), 다수의 영상이미지를 합성 및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23), 영상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에 GPS좌표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24),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작성하는 영상도화모듈(25)로 이루어진 수치지도제작기(20);를 포함하는 수치지도 갱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치지도제작기(20)를 구성하는 영상이미지DB(21), 도화이미지DB(22), 이미지편집모듈(23), 좌표합성모듈(24) 및 영상도화모듈(25)은 함체(2130) 내부에 탑재되고; 상기 함체(2130)는 사각틀체인 고정프레임(2132)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2132)의 전면에는 전면도어(2134)가 개폐가능하게 고정프레임(2132)의 일측에 힌지고정되며, 상기 전면도어(2134)와 대향되는 후면에는 후판(2136)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132)의 양측면에는 각각 측판(2138)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프레임(2132)의 하면에는 바닥판(2140)이 고정되고, 상기 바닥판(2140)과 대향되는 천정에는 상판(2142)이 고정되며, 양쪽 측판(2138)의 사각 슬릿 형태의 공기흡입구멍(2138a)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멍(2138a)에는 필터(2138b)가 내장되며, 상기 상판(2142)의 상면에는 간접냉각유닛(2150)을 설치하되, 상기 간접냉각유닛(2150)은 상기 상판(2142)을 통해 상기 함체(2130)와 연통되는 하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의 흡입챔버(2152)와, 상기 흡입챔버(2152)의 상면 중앙을 관통하여 후크 형상의 하단이 삽입고정된 송풍관(2154)과, 상기 송풍관(2154)의 상단에 설치된 송풍팬(2156)과, 상기 송풍관(2154)의 후크형 수평부(2158)에 형성된 배기공(2160)과, 상기 배기공(2160)과 대등되는 위치상의 후방챔버(2152)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구(2162)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도어(2134)와 측판(2138)의 안쪽면에는 다수의 방열핀(2170)을 더 형성하고, 상기 전면도어(2134)와 측판(2138)은 내부에 중공부(2172)를 갖도록 형성하되 상기 전면도어(2134)와 측판(2138)의 각 외측면에는 상기 중공부(2172)와 연통되는 다수의 개방부(2174)를 더 형성하여 방열성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판(2138)의 내측면에는 상기 방열핀(2170)과 간섭되지 않게 방열핀(2170)이 형성되지 않는 변측 둘레를 따라 코팅층 위에 흡음시트(2180)를 더 부착하되, 상기 흡음시트(2180)는 환편기를 통해 환편될 때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성근부분과 촘촘한 부분이 반복되게 편직된 원통상의 폴리프로필렌편직물(2182)과, 상기 폴리프로필렌편직물(2182)을 직경방향으로 눌러 납작하게 가공하여 2겹을 이루게 한 상태에서 그 외표면을 PET필름(2184)으로 완전히 감싸 일체화시킨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PET필름(2184)은 니들펀칭되어 다수의 바늘구멍이 형성된 것을 상기 폴리프로필렌편직물(2182)의 외표면에 열합지하여 소음을 줄이도록 하며;
    상기 측판(2138)의 양측 내면에는 화재발생시 폭발하여 내장된 내화재를 비산시키는 얇은 박스 형상의 폭발하우징(3000)이 더 설치되는데, 상기 폭발하우징(3000)은 폴리우레탄수지 80중량%와 실리카 20중량부가 혼합된 상태에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일측면은 일정크기로 개방되어 개방부(3100)를 형성하며, 상기 개방부(3100)가 형성된 면에는 그물망(3300)이 부착되고, 내화재가 내장된 비닐봉투(3200)는 폭발하우징(3000) 속에 장입된 상태에서 상기 그물망(3300)에 의해 갇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풍팬(2156)의 하방에는 격자 형상으로 미세한 간격을 두고 다수층으로 적층된 양전극(E1)과 음전극(E2)을 배치하여 송풍팬(2156) 구동시 전원이 인가되면서 방전에 의한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공기 청정기능도 함께 구현시킴은 물론 송풍관(2154)의 하단 정점에는 가이드봉(GR)을 더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봉(GR)에는 하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가이드플랩(WIG)을 끼워 넣은 후 캡(CAP)으로 마감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정보 변화에 의한 기준점별 실시간 공간영상도화 보정장치.
KR1020170033570A 2017-03-17 2017-03-17 지형정보 변화에 의한 기준점별 실시간 공간영상도화 보정장치 KR101795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570A KR101795008B1 (ko) 2017-03-17 2017-03-17 지형정보 변화에 의한 기준점별 실시간 공간영상도화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570A KR101795008B1 (ko) 2017-03-17 2017-03-17 지형정보 변화에 의한 기준점별 실시간 공간영상도화 보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008B1 true KR101795008B1 (ko) 2017-12-01

Family

ID=6092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570A KR101795008B1 (ko) 2017-03-17 2017-03-17 지형정보 변화에 의한 기준점별 실시간 공간영상도화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0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901B1 (ko) 2017-12-18 2018-05-02 서광항업 주식회사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 데이터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
KR101887625B1 (ko) * 2018-04-16 2018-09-10 대한항업(주) 영상이미지와 수치데이터를 처리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1901673B1 (ko) 2018-06-01 2018-09-28 삼아항업(주) 기준점대의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
KR102361322B1 (ko) * 2021-08-31 2022-02-14 주식회사 파나시아 기준점의 오차 정도를 확인하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102361325B1 (ko) * 2021-08-31 2022-02-14 주식회사 파나시아 수치정보의 기준점을 업데이트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257B1 (ko) 2011-11-16 2012-01-31 (주)올포랜드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처리하는 수치지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257B1 (ko) 2011-11-16 2012-01-31 (주)올포랜드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처리하는 수치지도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901B1 (ko) 2017-12-18 2018-05-02 서광항업 주식회사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 데이터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
KR101887625B1 (ko) * 2018-04-16 2018-09-10 대한항업(주) 영상이미지와 수치데이터를 처리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1901673B1 (ko) 2018-06-01 2018-09-28 삼아항업(주) 기준점대의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
KR102361322B1 (ko) * 2021-08-31 2022-02-14 주식회사 파나시아 기준점의 오차 정도를 확인하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102361325B1 (ko) * 2021-08-31 2022-02-14 주식회사 파나시아 수치정보의 기준점을 업데이트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008B1 (ko) 지형정보 변화에 의한 기준점별 실시간 공간영상도화 보정장치
KR101795011B1 (ko)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편집시스템
KR101813203B1 (ko) 지형 환경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갱신 시스템
KR101108257B1 (ko)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처리하는 수치지도 시스템
JP2021167193A (ja) ドローンボックス
KR101830383B1 (ko) 기존과 갱신 지리정보를 비교 업데이트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CN205574268U (zh) 一种用于高压输电线路巡检的多机协同四旋翼飞行器系统
KR101815259B1 (ko) 지피에스 확인을 통한 변경된 지형지물의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CN108227741B (zh) 一种生态文明监测飞行装置
CN105204516B (zh) 生态农业监测方法、装置及系统
KR101780315B1 (ko) 항공 측량정보의 영상도화를 이용한 영상처리시스템
CN101811578A (zh) 电力巡检无人直升机专用光电吊舱
KR102334839B1 (ko) 실시간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
KR102291962B1 (ko) 자율주행 정밀도로지도 제작을 위한 mms 데이터 처리 시스템
CN209776822U (zh) 一种基于无人机的三维激光雷达采集系统
CN109714577A (zh) 无人机控制系统、基于人脸识别的视频监控天网系统
KR101795009B1 (ko)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영상도화 합성시스템
KR20230129140A (ko) IoT 펌프카, 포터블, 타설기, 콘크리트타설기, 콘크리트타설붐 및 이가 이용되는 공사, 건설, 건축, 포장, 관리, 안전, 살수, 정화, 소독, 방역, 크리닝, 콘크리트공사 방법
KR101930820B1 (ko) 지상의 지형지물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KR20240024882A (ko) 진단, 계측, 측정, 관측, 조사, 탐사, 측량, 관리, 감리, 모니터링을 하는 장비, 장치, 시스템
CN107942348A (zh) 一种基于无人机与机器人技术的道路执法系统
KR20240065395A (ko) 진단, 시설진단, 안전진단 용도의 드론, 로봇, 모빌리티
KR101116292B1 (ko) 항공촬영영상이미지의 기준점별 지피에스좌표 합성을 통한 수치지도의 수정전용 지리공간정보 시스템
KR102291957B1 (ko) 정밀도로지도 제작을 위한 mms 데이터 수정 시스템
CN109639389A (zh) 一种车载并联组网式反无人机防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