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573B1 - 음식물 압착 탈수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압착 탈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573B1
KR102644573B1 KR1020230136068A KR20230136068A KR102644573B1 KR 102644573 B1 KR102644573 B1 KR 102644573B1 KR 1020230136068 A KR1020230136068 A KR 1020230136068A KR 20230136068 A KR20230136068 A KR 20230136068A KR 102644573 B1 KR102644573 B1 KR 102644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ydration tank
dehydration
tank
outer cylinder
press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인
이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엘아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엘아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엘아이엔티
Priority to KR1020230136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 B30B9/08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co-operating with a rotar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6Platens or press 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탈수 과정에서 탈수통의 하부는 물론 측면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고 아래로 모아지도록, 상단은 개방되고 내부에는 탈수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측면과 하단에는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수홀을 형성한 탈수통, 상단은 개방되고 측면과 하단은 막혀 원통형 용기 구조를 이루고 내부에 상기 탈수통이 삽입 설치되어 탈수통의 측면을 감싸며 탈수통의 배수홀에서 배출되는 물을 모을 수 있도록 된 저장통, 상기 저장통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원통 형태의 외통, 상기 외통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탈수통 내부에 수용된 탈수 대상물을 눌러 가압하는 가압판, 상기 외통과 상기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어 외통 하강시 가압판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저장통의 측면과 상기 외통의 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통을 누른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압착 탈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압착 탈수 장치{APPARATUS FOR COMPRESSING AND DEHYDRATION FOOD}
본 개시 내용은 음식물을 압착하여 탈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음식을 요리하는 과정에서 재료인 음식물에서 수분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작업자는 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잡고 힘을 가해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힘이 많이 들며 노약자와 같이 힘이 없는 사용자는 음식물의 수분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음식물의 수분을 외부 동력을 이용하여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414381호(음식물 압착 탈수기, 등록일:2021.10.13.)는 음식물을가압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도 음식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73786호(음식물 압착 탈수기, 등록일:2022.03.08.)는 상기한 종래기술을 좀 더 개량한 것으로, 원통형 본체를 탈수통에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탈수통이 그대로 외측에 노출되는 구조로, 음식물을 탈수하는 과정에서 탈수통의 하단은 물론 측면 배수홀을 통해 물이 외측으로 튀고 외부로 배출되는 물이 그대로 주변으로 흘러나가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최근 들어, 식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요리의 맛은 물론 조리 과정에서의 청결성이 무엇보다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보다 청결성을 높이도록 종래 장치를 개선하여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많은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과제는 탈수 과정에서 탈수통의 하부는 물론 측면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고 아래로 모아지도록 하여 보다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음식물 압착 탈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음식물의 탈수과정은 물론, 탈수 시작시 또는 종료시 외통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음식물 압착 탈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외통 고정 및 해제를 위해 외통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음식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음식물 압착 탈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장치는, 상단은 개방되고 내부에는 탈수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측면과 하단에는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수홀을 형성한 탈수통, 상단은 개방되고 측면과 하단은 막혀 원통형 용기 구조를 이루고 내부에 상기 탈수통이 삽입 설치되어 탈수통의 측면을 감싸며 탈수통의 배수홀에서 배출되는 물을 모을 수 있도록 된 저장통, 상기 저장통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원통 형태의 외통, 상기 외통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탈수통 내부에 수용된 탈수 대상물을 눌러 가압하는 가압판, 상기 외통과 상기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어 외통 하강시 가압판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저장통의 측면과 상기 외통의 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통을 누른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저장통 외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걸림턱, 상기 외통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된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수통은 수지와 스테인리스 소재의 타공망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상기 타공망은 원통형태로 감아 측면으로 하고, 상기 타공망의 상부 선단에는 수지 재질의 상단테두리를 성형하고 하부 선단에는 배수홀이 형성되어 하단을 이루는 수지 재질의 바닥부를 성형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저장통은 상기 탈수통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내경이 커 상기 탈수통을 내부에 수용하며, 측면은 상기 탈수통의 중간 높이 이상 위쪽으로 연장되고, 하부 내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탈수통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탈수통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하단부와 측면을 지지하는 측단부를 구비하여, 상기 탈수통이 상기 지지리브에 의해 상기 저장통의 바닥과 측면에서 이격되어 지지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탈수통과 별도로 마련되어 탈수통을 감싸는 저장통을 구비하여 탈수통에서 배출되는 물을 수거함으로써, 탈수 과정에서 탈수통의 하부는 물론 측면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고 모아지게 된다. 이에, 물이 장치 외부로 흘러나가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거나 탈수통이 외부에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보다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탈수통이 저장통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외통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탈수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탈수 과정은 물론 탈수 시작시 또는 종료시에도 물의 유출을 차단하고, 탈수통이 외부에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통 고정 또는 고정 해제를 위해 외통을 회전시키더라도 음식물을 누르고 있는 가압판은 회전되지 않아, 가압판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압착 탈수 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압착 탈수 장치의 외통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압착 탈수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탈수 대상물이 음식물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압착 탈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외통 내부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압착 탈수 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y축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하고 y축 방향을 위쪽을 상 또는 상부라 하고 아래쪽을 하 또는 하부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탈수 장치(10)는 음식물의 탈수가 이루어지는 탈수통(20), 탈수통(20)에서 배출되는 물을 수거하는 저장통(30), 음식물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외통(40)과 탄성스프링(50), 가압판(60), 및 외통(40)을 누름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탈수통(20)은 개방된 상단을 갖는 원통형 용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탈수통(20)의 내부 공간에 탈수 대상물인 음식물을 적재할 수 있다. 탈수통(20)의 크기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탈수통(2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음식물을 탈수통(20) 내부에 쉽게 적재할 수 있다.
탈수통(20)의 측면과 바닥면을 이루는 하단에는 음식물에서 탈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홀(2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탈수통(20)은 수지와 스테인리스 재질의 타공망(21)을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스테인리스 소재의 타공망(21)을 원통형태로 감아 측면으로 하고 타공망(21)의 상부 선단에는 수지 재질의 상단테두리(22)를 성형하고 하부 선단에는 배수홀(24)이 형성되어 하단을 이루는 수지 재질의 바닥부(23)를 성형하여 탈수통(20)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측면과 하단에 배수홀(24)을 형성한 탈수통(20)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탈수통(20) 내부에 적재된 음식물은 외통(40)을 눌러줌에 따라 탄성스프링(50)에 의해 발생되는 가압판(60)의 압력에 의해 압착되면서 수분이 빠져나와 탈수 처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통(40)은 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태를 이루어 저장통(30) 외측에 씌워져 저장통(30)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탄성스프링(50)은 외통(40)과 가압판(60) 사이에 설치되어 외통(40) 하강시 가압판(60)에 탄성력을 인가한다. 탄성스프링(50)은 외통(40)의 상단 내측 중심부에 설치되어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탄성스프링(50)의 하단에는 가압판(60) 설치를 위한 고정부재(52)가 결합 설치될 수 있다.
가압판(60)은 탄성스프링(50)을 매개로 외통(40)에 연결 설치된다.
가압판(60)은 외통(40) 내부에 배치되어 탈수통(20) 내부에 수용된 탈수 대상물을 눌러 가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가압판(60)은 대략 탈수통(20) 내부에서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탈수통(20)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원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판(60)은 탄성스프링(50) 하단에 설치된 고정부재(5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재(52)의 중심부에는 결합홀(54)이 관통형성되고, 가압판(60)의 중심부에는 고정부재(52)의 결합홀(54)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탄성후크(6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가압판(60)의 탄성후크(62)를 고정부재(52)의 결합홀(54)에 끼워주게 되면 탄성후크(62)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결합홀(54)에 끼워져 걸리면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52)에 가압판(60)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탈수 대상인 음식물의 종류나 양 등에 따라 다양한 가압판(60)을 간단히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외통(40)을 아래로 눌러주게 되면 외통(40)과 같이 하강하는 가압판(60)이 탈수통(20)에 적재된 음식물에 접하면서 탄성스프링(50)이 압축된다. 탄성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판(60)이 하강하면서 음식물을 계속 압착하게 되어, 음식물의 수분이 외부로 빠져나와 탈수 처리될 수 있다.
음식물에서 탈수된 물은 탈수통(20)의 바닥과 측면에 형성된 배수홀(24)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된다. 탈수통(20)에서 배출되는 물은 탈수통(20) 외측에 별도로 마련된 저장통(30)으로 수거된다.
이에, 탈수 과정에서 탈수통(20)의 하부는 물론 측면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외부로 튀거나 흘러나가지 않고 저장통(30)에 모아지게 된다. 따라서, 탈수된 물이 장치(10) 외부로 흘러나가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외통(40)을 누른 상태로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기 위해서는 외통(40)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판(60)은 고정부재(52)를 매개로 외통(40)에 결합된 구조로, 외통(4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즉, 탄성후크(62)는 결합홀(54)에 삽입되어 결합홀(54)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이에, 가압판(60)은 탄성후크(62)를 중심축으로 하여 고정부재(52)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외통(40)을 저장통(30)에 대해 아래로 하강시켜 누른 상태에서 외통(40)을 위해 회전시켰을 때, 가압판(60)은 음식물에 가압된 상태로 그대로 있고, 외통(40) 만이 회전된다. 즉, 외통(40)에 의해 고정부재(52)가 회전되더라도 탄성후크(62)를 축으로 고정부재(52)가 회전되면서 가압판(60)은 회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외통(40) 회전시 가압판(60)은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압판(60) 회전에 의해 음식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저장통(30)은, 상단은 개방되고 측면과 하단은 막혀 원통형 용기 구조를 이룬다. 저장통(30)은 내부에 탈수통(20)을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탈수통(2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으로 형성된다. 이에, 저장통(30) 내에 탈수통(20)을 쉽게 장착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탈수통(20)이 저장통(30) 내부에 삽입 설치됨으로써, 탈수통(20)의 바닥면은 물론 측면이 저장통(30)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려져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탈수통(20)이 외부에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탈수통(20)의 배수홀(24)에서 배출되는 물이 외부로 튀거나 주변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바지할 수 있게 된다.
저장통(30)의 측면은 탈수통(20)의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통(30)의 측면 높이는 저장통(30) 내부에 탈수통(20)을 장착한 상태에서 탈수통(20)의 중간 높이 이상 위쪽으로 연장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장통(30)의 측면 높이는 저장통(30) 내부에 탈수통(20)을 장착한 상태에서 탈수통(20)의 상단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탈수 시작시 음식물에서 탈수된 물이 탈수통(20)의 측면의 위쪽에 형성된 배수홀(24)에서 배출되더라도 저장통(30) 외측으로 유출되거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저장통(30) 내부로 모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통(40)과 탈수통(20) 사이에 저장통(30)이 마련하고, 저장통(30) 내부에 탈수통(20)을 설치함으로써, 탈수통(20)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통(30) 내에 모을 수 있고, 외통(40)이 없는 상태에서도 탈수통(20)이 외부에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통(40)의 누름 정도 즉, 외통(40)의 상하 이동 거리에 관계없이 탈수통(20)은 저장통(20)에 의해 측면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외통(40)을 하방향으로 끝까지 내리지 않더라도 탈수통(20) 측면은 차단되어탈수통(20) 측면의 배수홀(24)에서 배출되는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거될 수 있다.
저장통(30)의 하부 내측면에는 탈수통(20)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리브(7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리브(70)는 저장통(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리브(70)는 탈수통(20)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하단부(72)와 측면을 지지하는 측단부(74)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하단부(72)는 탈수통(20)의 하단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탈수통(20)의 하단을 받쳐 지지할 수 있다. 측단부(74)는 하단부(72)에서 위쪽으로 연장되고 탈수통(20)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탈수통(20)의 측면에 접하여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탈수통(20)의 하단은 지지리브(70)의 하단부(72)에 지지되어 저장통(3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고, 탈수통(20)의 측면은 측단부(74)에 의해 지지되어 측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저장통(30) 내부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탈수통(20) 측면의 배수홀(24)에서 배출되는 물은 저장통(30)과 탈수통(20) 사이 틈새를 통해 저장통(30) 밑으로 원활하게 흘러 내려갈 수 있게 된다. 탈수통(20)의 하단 역시 저장통(30) 하단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있어서, 탈수통(20) 하단의 배수홀(24)을 통해서 원활하게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탈수통(20) 외측에 저장통(30)이 구비되더라도 저장통(30) 하부에 모인 물과 탈수통(20) 간의 접촉을 방지하고, 탈수통(20)으로부터 원활하게 물을 배출하여 저장통(30)으로 모을 수 있게 된다.
외통(40)을 눌러 가압판(60)이 음식물을 가압한 상태로 일정 시간 경과하여 음식물의 탈수가 완료되면, 저장통(30)에서 탈수통(20)을 분리하고 저장통(30)에 모아진 물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외통(40)의 측면과 저장통(30)의 측면 사이에는 외통(40)을 누른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고정부는 저장통(30) 외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걸림턱(80), 외통(40) 내측면에 설치되어 걸림턱(80)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된 걸림돌기(8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리턱은 저장통(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돌기(82) 역시 걸림턱(80)이 형성된 위치에 맞춰 외통(4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 외에, 외통의 내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저장통의 외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구조 역시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저장통(30)에 대해 외통(40)을 눌러 하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외통(40)을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돌려주게 되면 원통에 형성된 걸림돌기(82)가 저장통(30)에 형성된 걸림턱(80)에 걸려 고정된다. 따라서, 원통이 아래로 이동된 상태로 저장통(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정부는 외통(40)과 저장통(30) 사이에 마련됨에 따라, 탈수통(20)과 외통(40) 사이에 어떠한 간섭도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탈수통(20)에 별도로 고정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탈수통의 제조가 용이하며, 고정력에 의한 탈수통(20)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외통(40)이 하강되어 저장통(30)에 고정됨에 따라 외통(40) 내부에서 가압판(60)과 외통(40) 사이의 설치되어 있는 탄성스프링(50)이 음식물에 의해 눌려져 압축되면서 가압판(60)에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가압판(60)이 탄성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음식물을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수분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탈수장치 20 : 탈수통
21 : 타공망 22 : 상단테두리
23 : 바닥부 24 : 배수홀
30 : 저장통 40 : 외통
50 : 탄성스프링 52 : 고정부재
54 : 결합홀 60 : 가압판
62 : 탄성후크 70 : 지지리브
72 : 하단부 74 : 측단부
80 : 걸림턱 82 : 걸림돌기

Claims (3)

  1. 상단은 개방되고 내부에는 탈수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측면과 하단에는 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수홀을 형성한 탈수통, 상단은 개방되고 측면과 하단은 막혀 원통형 용기 구조를 이루고 내부에 상기 탈수통이 삽입 설치되어 탈수통의 측면을 감싸며 탈수통의 배수홀에서 배출되는 물을 모을 수 있도록 된 저장통, 상기 저장통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원통 형태의 외통, 상기 외통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탈수통 내부에 수용된 탈수 대상물을 눌러 가압하는 가압판, 상기 외통과 상기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어 외통 하강시 가압판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저장통의 측면과 상기 외통의 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통을 누른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저장통 외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걸림턱, 상기 외통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된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음식물 압착 탈수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은 상기 탈수통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내경이 커 상기 탈수통을 내부에 수용하며, 측면은 상기 탈수통의 중간 높이 이상 위쪽으로 연장되고, 하부 내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탈수통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탈수통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하단부와 측면을 지지하는 측단부를 구비하여, 상기 탈수통이 상기 지지리브에 의해 상기 저장통의 바닥과 측면에서 이격되어 지지되는 구조의 음식물 압착 탈수 장치.
KR1020230136068A 2023-10-12 2023-10-12 음식물 압착 탈수 장치 KR102644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6068A KR102644573B1 (ko) 2023-10-12 2023-10-12 음식물 압착 탈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6068A KR102644573B1 (ko) 2023-10-12 2023-10-12 음식물 압착 탈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573B1 true KR102644573B1 (ko) 2024-03-07

Family

ID=90271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6068A KR102644573B1 (ko) 2023-10-12 2023-10-12 음식물 압착 탈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5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1033U (ko) * 1997-01-07 1997-06-18 김이태 잔반물의 수분 제거기
KR102548882B1 (ko) * 2022-10-14 2023-06-30 엠지엠씨(주) 사용편의성을 증진시킨 음식물 압착 탈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1033U (ko) * 1997-01-07 1997-06-18 김이태 잔반물의 수분 제거기
KR102548882B1 (ko) * 2022-10-14 2023-06-30 엠지엠씨(주) 사용편의성을 증진시킨 음식물 압착 탈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4088A (en) Refuse storage apparatus with sealer for sealing pliable bag top
US6164190A (en) Tea infusing device
CA2889040A1 (en) Bucket for a mop
KR102644573B1 (ko) 음식물 압착 탈수 장치
US20130019754A1 (en) Brewing device with leak-proof structure
KR101871845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US20070125803A1 (en) Beverage making device comprising a brewing chamber for enclosing a pad
KR101777470B1 (ko) 화장품 리필용기의 배출커버
CN110871197B (zh) 一种超声波洗涤装置
KR200460003Y1 (ko) 회전탈수장치 뚜껑
KR20140019139A (ko)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장치
JP3224138U (ja) 生ごみ水分除去器
KR19980063642U (ko) 싱크대의 개수대용 잔반 탈수장치
KR20100006643U (ko)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
KR100604648B1 (ko) 마포걸레 세척 및 탈수장치
KR102071549B1 (ko)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 및 거름 장치
JP2014131942A (ja) 流し台用生ごみ脱水装置
KR102284144B1 (ko) 배수 트랩
KR200374095Y1 (ko) 압축 겸용 커버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통
EP1123675B1 (en) Infusion Tea Maker
KR101450747B1 (ko) 세탁탈수장치
KR20140137791A (ko) 탈수량 조절과 물 배출이 용이한 가압식 야채 탈수기
AU723743B1 (en) Tea infusing device
KR102026902B1 (ko) 화장품 케이스
KR200481661Y1 (ko) 개수구 개폐구조를 가지는 개수대용 물빠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