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643U -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 - Google Patents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643U
KR20100006643U KR2020080016930U KR20080016930U KR20100006643U KR 20100006643 U KR20100006643 U KR 20100006643U KR 2020080016930 U KR2020080016930 U KR 2020080016930U KR 20080016930 U KR20080016930 U KR 20080016930U KR 20100006643 U KR20100006643 U KR 201000066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oap
elastic
pressing plat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경
Original Assignee
이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경 filed Critical 이호경
Priority to KR2020080016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6643U/ko
Publication of KR201000066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6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2Soap boxes or receptables
    • A47K5/03Soap boxes or receptables separate from wall or wash-st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어 비누가 내부에 수용되며, 저면에는 상기 수용된 비누가 피세척물과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덮개와 상기 수용된 비누의 상부에 배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케이스 덮개와 누름판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누름판을 탄성적으로 하향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비누를 케이스에서 꺼내지 않고도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 그대로 바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탄성가압부재와 누름판이 비누를 지속적으로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얇아진 비누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함과 함께 조각난 비누들도 케이스 내에 수용시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누, 탄성, 케이스

Description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 {Elastic press-type Soap case}
본 고안은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가압부재와 누름판의 탄성 가압작용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비누를 하향 가압시킴으로써 비누가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함과 아울러 사용에 의해 비누가 소모되어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는 피세척물을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세척물이 사람의 신체인 일반비누와 빨래를 세척하기 위한 빨래비누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빨래비누 케이스는 단순히 빨래비누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을 하기 위한 기능만을 가지는 것으로서, 빨래비누를 사용하여 피세척물을 세탁하고자 할 때에는 케이스에서 빨래비누를 꺼낸 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빨래비누를 파지하여 사용을 해야만 했다.
따라서, 종래의 비누케이스의 경우에는 비누케이스에 보관중인 빨래비누를 꺼낼 때 마다 뚜껑을 열고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직접 손으로 비누를 파지하여 세척을 해야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에 비누면이 직접 접촉을 하게 되는 바, 비 누의 미끄러운 표면때문에 사용시 비누를 놓치지 않도록 손에 과다한 힘을 주어야만 함과 아우러 비누를 놓치는 경우에 비누가 떨어져 파손되거나 물속에 떨어져서 표면이 물에 녹아 오래 사용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장시간 비누를 사용하여 비누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면, 손으로 파지하기가 힘들어져 더이상 효과적으로 세척작업을 진행하기가 곤란하게 되며, 그에 따라 비누의 두께가 어느정도 얇아지게 되면 더이상 사용하지 않고 버리게 되는 낭비의 문제점 또한 존재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누름판과 탄성가압부재를 통해 케이스 저면의 접촉부에 항상 수용된 비누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비누를 케이스 내부에 수용한 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비누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탄성가압력에 의해 비누가 계속적으로 접촉부에 밀착되게 되므로 얇아진 비누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상부가 개방되어 비누가 내부에 수용되며, 저면에는 상기 수용된 비누가 피세척물과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덮개와, 상기 수용된 비누의 상부에 위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케이스덮개와 누름판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누름판을 탄성적으로 하향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는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의 접촉부는 다수의 개방구를 갖는 격자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그 측면을 따라 다수개의 측면 개방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증되는 상협하광 형상을 갖는 스프링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는,
비누를 케이스에서 꺼내지 않고도 케이스에 수용된 상태 그대로 바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케이스를 열고 사용한 후 다시 케이스에 원위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누를 직접 손으로 파지하여 세척을 하지 않기 때문에 손에 과도한 힘을 줄 필요가 없으며, 비누를 놓쳐서 비누가 파손되거나 하는 위험성도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가압부재와 누름판이 비누를 지속적으로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얇아진 비누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함과 함께 조각난 비누들도 케이스 내에 수용시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1)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1)는 비누(2)가 수용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덮개(20)와, 상기 케이스(10) 내에 삽입되며 상기 비누(2)의 상부에 위치되는 누름판(30)과, 상기 케이스덮개(20)와 누름판(30)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누름판(30)을 하향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는 비누(2)가 인출될 수 있도록 그 상부가 개방되며, 그 저면에는 수용되는 비누(2)가 피세척물과 접촉될 수 있도록 접촉부(1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부(11)는 수용된 비누(2)의 바닥면이 피세척물과 접촉되는 부위로서, 가로와 세로의 지지대(12)가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그 사이에 다수의 개방구(13)를 형성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하단부에는 그 측면을 따라 다수 개의 측면개방구(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개방구(14)는 상기 격자형태를 이루는 접촉부(11)의 지지대(12)들의 간격에 맞추어 케이스(10)의 하단 측면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상단부 둘레에는 삽입홈(15)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삽입홈(15)은 후술할 케이스덮개(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기능을 한다.
상기한 구성의 케이스(10)는 수용하고자 하는 비누(2)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즉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일반적인 비누를 수용하기 위한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형, 타원형 기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케이스덮개(20)는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상부를 걔폐시키는 덮개로서, 상기 케이스(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그 둘레를 따라서 끼움돌기(22)가 돌출 형성된 개폐손잡이(2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손잡이는(21)는 상기 케이스덮개(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힌지축에 의해 회동결합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22)는 상기 케이스(10)의 삽입홈(15)에 끼워져 상기 케이스덮개(20)를 케이스(1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누름판(30)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삽입되어 수용된 비누(2)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수용된 비누(2)를 눌러주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누름판(30)의 형상 또한 케이스(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가압부재(40)는 상기한 케이스덮개(20)와 누름판(30)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누름판(30)에 탄성가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누름판(30)이 그 하측에 위치된 비누(2)를 눌러 접촉부(11)에 밀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탄성가압부재(40)는 상기 케이스덮개(20)와 상기 누름판(30) 사이에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스덮개(20)의 저면 중앙부에는 상기 탄성가압부 재(40)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상부결합돌기(23)가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누름판(30)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탄성가압부재(40)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하부결합돌기(31)가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가압부재(40)로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프링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 때 압축 및 복원이 보다 용이하도록 상기 스프링의 형상은 그 단면 직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증되는 형태, 즉 상협하광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1)의 작동 및 사용에 대하여 이하에서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1)에 새비누가 수용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사용에 의해 비누가 얇아진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케이스(10)로부터 케이스덮개(20)를 개방시킨다.
케이스덮개(20)가 개방되면 이에 결합된 탄성가압부재(40)와 누름판(30)도 함께 개방되므로 케이스(10)는 비어있는 상태가 되며, 따라서 케이스(10) 내부에 사용하고자 하는 비누(2)를 넣어 수용시키다.
비누(2)가 수용되고 나면, 누름판(30)부터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수용시키면서 케이스덮개(20)를 닫아준 후 끼움돌기(22)를 삽입홈(15)에 끼워줌으로써 케이스덮개(20)를 케이스(10)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케이스덮개(20)가 고정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비누(2)의 두께가 매우 두껍기 때문에 탄성가압부재(40)는 압축이 되면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누름판(30)을 가압하게 되며, 그에 따라 누름판(30) 하측의 비누(2)는 케이스(10) 저면의 접촉부(11)에 밀착되면서 개방구(13)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이 된다.
상기와 같이 비누(2)가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1)에 수용된 상태에서 비누케이스(1)를 손으로 파지한 후, 저면의 접촉부(11)를 피세척물에 대고 통상의 세척방법대로 피세척물에 마찰을 시켜주면서 세척을 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계속적으로 세척을 하게 되면, 수용된 비누(2)는 소모되면서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게 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누(2)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더라도 탄성가압부재(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누름판(30)이 계속적으로 하향 가압력을 받게 되므로 비누(2)가 접촉부(1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지속적인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만일 비누(2)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누름판(30)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약해지는 경우에는 모아놓은 비누조각을 들을 얇아진 비누(2) 위에 수용시켜 재활용을 하거나 얇아진 비누 위에 새로운 비누를 넣는 방식으로 탄성가압력을 높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 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비누의 크기에 따른 탄성가압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
2: 비누
10: 케이스 11: 접촉부
12: 지지대 13: 개방구
14: 측면개방구 15: 삽입홈
20: 케이스덮개 21: 개폐손잡이
22: 끼움돌기 23: 상부결합돌기
30: 누름판 31: 하부결합돌기
40: 탄성가압부재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되어 비누가 내부에 수용되며, 저면에는 상기 수용된 비누가 피세척물과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덮개;
    상기 수용된 비누의 상부에 위치되는 누름판; 및
    상기 케이스덮개와 누름판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누름판을 탄성적으로 하향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접촉부는 다수의 개방구를 갖는 격자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그 측면을 따라 다수개의 측면개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증되는 상협하광 형상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
KR2020080016930U 2008-12-22 2008-12-22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 KR201000066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930U KR20100006643U (ko) 2008-12-22 2008-12-22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930U KR20100006643U (ko) 2008-12-22 2008-12-22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643U true KR20100006643U (ko) 2010-07-01

Family

ID=4445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930U KR20100006643U (ko) 2008-12-22 2008-12-22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664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842B1 (ko) * 2010-10-07 2012-06-18 유지훈 비누 케이스
KR200476333Y1 (ko) * 2014-12-01 2015-02-17 최진영 가압인출식 비누케이스
KR20220030909A (ko) * 2020-09-03 2022-03-11 (주)씨에스이엔엘 고체비누 마사지 거품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842B1 (ko) * 2010-10-07 2012-06-18 유지훈 비누 케이스
KR200476333Y1 (ko) * 2014-12-01 2015-02-17 최진영 가압인출식 비누케이스
KR20220030909A (ko) * 2020-09-03 2022-03-11 (주)씨에스이엔엘 고체비누 마사지 거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4529A (en) Combined soap holder and press
RU2009107531A (ru) Электробытовой аппарат с емкостью для кипячения воды и средством удаления накипи
KR20100006643U (ko) 탄성가압식 비누케이스
KR200403071Y1 (ko) 밀대 및 카트리지가 내장된 밀대걸레
WO2019001264A1 (zh) 超声波清洗装置以及洗衣机
JP3928144B2 (ja) 排水栓の目皿の取付構造
KR200425607Y1 (ko) 때밀이 전용기구
JP2013138849A5 (ko)
CN200939116Y (zh) 手抓式多功能洗锅刷
KR200356366Y1 (ko) 욕조용 배수 개폐구조
CN209595608U (zh) 一种肥皂盒
KR200460746Y1 (ko) 세제가 공급되는 수세미
JP6308890B2 (ja) ブラシ器具付きキャップ
KR200442798Y1 (ko) 세정액 공급기
KR20090069519A (ko) 샤워기 고정용 홀더를 구비한 대야
KR102060780B1 (ko) 세제 일체형 청소솔
JP2004116228A (ja) ヘアーキャッチャー
KR200262305Y1 (ko) 씽크대 찌꺼기 거름망
KR100975603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저감장치
KR200184951Y1 (ko) 개량 비누 용기
KR200185958Y1 (ko) 세제공급이 가능한 수세미용 세척구
KR200254612Y1 (ko) 폐비누 재생용 홀더
KR102029709B1 (ko) 쌀 세척기
KR200468883Y1 (ko) 손잡이를 구비한 소형 빨래판
KR20130137419A (ko) 배수공에 안착되는 장신구 분실 방지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