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497B1 - 판유리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판유리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497B1
KR102644497B1 KR1020190077762A KR20190077762A KR102644497B1 KR 102644497 B1 KR102644497 B1 KR 102644497B1 KR 1020190077762 A KR1020190077762 A KR 1020190077762A KR 20190077762 A KR20190077762 A KR 20190077762A KR 102644497 B1 KR102644497 B1 KR 102644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ribbon
inert gas
float bath
holes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524A (ko
Inventor
정영준
민경훈
문원재
한종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7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497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5/00Annealing glass products
    • C03B25/04Annealing glass products in a continuous way
    • C03B25/06Annealing glass products in a continuous way with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glass products
    • C03B25/08Annealing glass products in a continuous way with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glass products of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8/00Shaping glas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liquid
    • C03B18/02Forming shee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판유리 제조 장치는, 용융 유리를 용융 금속 액면 상에 띄워 유리 리본으로 성형하는 플로트 배스; 상기 플로트 배스 내에서 성형된 상기 유리 리본이 반입되는 서냉로; 상기 플로트 배스와 상기 서냉로 사이에 배치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트 배스로부터 상기 유리 리본을 인출하여 상기 서냉로로 이송하는 복수의 리프트 아웃 롤러; 및 상기 플로트 배스 출구 측에 상기 유리 리본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하방으로 불활성 기체를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불활성 기체 공급 유닛은, 불활성 기체가 공급되는 유로로서, 연장 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 관형 부재와, 상기 관형 부재 내에 상기 연장 방향과 가로질러 배치되는 판형 부재로서,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분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상기 유리 리본의 폭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하나의 관통공열을 이루며, 상기 관통공열은 상기 유리 리본의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판유리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GLASS PLATE}
본 발명은 판유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로트 공법(float process)으로 판유리를 제조하는 판유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로트 공법 및 퓨전 공법은 판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로트 공법은 대형 면적의 판유리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플로트 공법에 의해 판유리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판유리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플로트 공법은 용융 금속(M)이 저장된 플로트 배스(10) 안에서 용융 유리를 유리 리본(G)으로 연속적으로 성형하는 성형공정과, 성형된 유리 리본(G)을 서냉로(20)에서 서냉시키는 서냉공정을 포함한다.
플로트 배스(10)를 거치면서 성형된 유리 리본(G)은 챔버(30)를 구성하는 드로스 박스(31) 내에 배치된 리프트 아웃 롤러(LOR)들에 의해 플로트 배스(10) 외부로 인출된 후 서냉로(20)로 반입된다. 챔버(30)는 플로트 배스(10)와 서냉로(20) 사이에 배치되며, 플로트 배스(10)의 출구(11), 챔버(30) 내 공간, 및 서냉로(20) 내 공간은 유리 리본(G)를 원활하게 이송시키기 위해 서로 연통되어 있다.
한편, 플로트 배스(10)에 저장된 용융 금속(M)의 주석(Sn) 성분은 일부가 고온에 의해 증발되어 증기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주석(sn) 성분의 증기가 챔버(30) 내 공간으로 다량 유입되면 서냉로(20)로부터 챔버(30)로 유입되는 공기, 특히 산소와 반응하여 금속 산화물을 생성하며, 이는 유리 리본(G) 및/또는 최종 유리 제품의 결함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판유리 제조 과정에서 플로트 배스(10)로부터 주석(sn) 성분의 증기가 챔버(30) 내로 유입되는 저감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 배스(10)의 출구(11) 측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는 스크린(40)을 배치할 수 있다.
대부분의 스크린(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형 부재(4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관형 부재(41)는 상면이 폐쇄되어 있되 일부분이 가스공급관(42)과 연통되며, 하면(41a)은 완전 개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이러한 스크린(40)은 관형 부재(41)의 상면 일부분, 예를 들어, 상면 중앙부와 연통되는 가스공급관(42)을 통해 가스를 공급하므로, 관형 부재(41)의 하면(41a)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는 유리 리본(G)의 전 폭에 걸쳐 균일한 압력을 형성하지 못하며, 특히 폭방향 기준 유리 리본(G)의 좌우 양단부 측에는 중앙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에 의해 챔버(30) 내로의 주석(sn) 성분의 증기 차단 효과가 크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플로트 배스로부터 챔버 내로 유입되는 주석 성분의 증기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판유리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판유리 제조 장치는, 용융 유리를 용융 금속 액면 상에 띄워 유리 리본으로 성형하는 플로트 배스; 상기 플로트 배스 내에서 성형된 상기 유리 리본이 반입되는 서냉로; 상기 플로트 배스와 상기 서냉로 사이에 배치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트 배스로부터 상기 유리 리본을 인출하여 상기 서냉로로 이송하는 복수의 리프트 아웃 롤러; 및 상기 플로트 배스 출구 측에 상기 유리 리본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하방으로 불활성 기체를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불활성 기체 공급 유닛은, 불활성 기체가 공급되는 유로로서, 연장 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 관형 부재와, 상기 관형 부재 내에 상기 연장 방향과 가로질러 배치되는 판형 부재로서,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분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상기 유리 리본의 폭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하나의 관통공열을 이루며, 상기 관통공열은 상기 유리 리본의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산판은 상기 관형 부재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통공열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관통공은 다른 하나에 포함된 서로 인접한 2개의 관통공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2개의 관통공 중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관통공의 직경 이하의 2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기체 공급 유닛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리프트 아웃 롤러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진동 세기를 기초로 상기 유리 리본과 상기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 제조 장치는, 관통공열이 유리 리본의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분산판을 포함하는 불활성 기체 공급 유닛을 통해 플로트 배스 출구 측에서 유리 리본을 향하여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므로, 플로트 배스로부터 챔버 내로 유입되는 주석 성분의 증기를 유리 리본 전체 폭에 걸쳐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플로트 공법에 의해 판유리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판유리 제조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린 및 이송되는 유리 리본의 일 실시 형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 제조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불활성 기체 유닛 및 이송되는 유리 리본의 일 실시 형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 제조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판유리 제조 장치(100)는 플로트 배스(110)와, 서냉로(120)와, 플로트 배스(110)와 서냉로(120) 사이에 배치되는 챔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트 배스(110) 내의 용융 금속(M)의 액면(M_a) 상에서 원하는 폭이나 두께로 성형된 유리 리본(G)은 리프트 아웃 롤러(141 내지 143)이나 이송 롤러(121, 122)의 견인력에 의해 액면(M_a) 상으로부터 이격되어 인출된다. 그리고, 유리 리본(G)은 플로트 배스(110)의 출구(111)로부터 챔버(130) 내에 반입되어, 리프트 아웃 롤러(141 내지 143)를 통해 이송된다. 계속해서, 유리 리본(G)은 서냉로(120) 내에 반입되어 이송 롤러(121, 122)를 통해 이송되면서 서냉된다. 이후, 유리 리본(G)은 서냉로(120) 밖으로 반출되어 실온 부근까지 냉각된 후, 소정 크기로 절단되어 최종 제품인 판유리로 제작된다.
유리 리본(G)은, 최종 제품인 판유리에 대응하는 복수 종류의 원료를 용해조 내에 투입하고 용해하여 용융 유리를 제작하고, 그 용융 유리를 플로트 배스(110) 내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성형된다. 용융 유리를 플로트 배스(110) 내에 공급하기 전에, 용융 유리의 내부에 포함되는 기포는 탈포하여 청칭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로트 배스(110)는 용융 금속(M)을 수용하고 있다. 용융 금속(M)은 용융 주석, 용용 주석 합금 등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용융 금속 액면(M_a) 상에 띄워진 용융 유리는 연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하류로 가면서 평판 형상의 유리 리본(G)으로 성형될 수 있다.
플로트 배스(110) 내의 상부 공간은 용융 금속(M)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질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환원성 가스로 채워질 수 있다.
서냉로(120)에는 플로트 배스(110) 내에서 성형된 유리 리본이 반입될 수 있다. 서냉로(120)는 일반적으로 서냉 가스로 공기를 사용하며, 하류 측의 출구가 외부에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서냉로(120) 내부는 기본적으로 대기 분위기에 놓여 있다. 서냉로(120)의 내부는 챔버(130)의 내부를 통해 플로트 배스(11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챔버(130)는 유리 리본(G)의 상방에 설치되는 후드(131)와, 유리 리본(G)의 하방에 설치되는 드로스 박스(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챔버(130)는 단열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131)의 외벽의 적어도 일부가 단열재(133)로 덮여 있고, 드로스 박스(132)의 내벽의 적어도 일부가 단열재(134)로 덮여 있을 수 있다. 단열재(133, 134)를 적용하여 챔버(130)로부터 방열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리 리본(G)의 온도 분포를 안정화하여 제품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챔버(130) 내에는 복수 개의 리프트 아웃 롤러(141 내지 143), 접촉부재(144 내지 146), 드레이프(147)가 배치될 수 있다.
리프트 아웃 롤러(141 내지 143)는 각각, 모터 등의 구동 유닛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그 구동력에 의해 플로트 배스(110)로부터 유리 리본(G)을 인출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서냉로(120)로 이송할 수 있다. 리프트 아웃 롤러(141 내지 143)의 하부에는 접촉 부재(144 내지 146)가 설치될 수 있다.
접촉부재(144 내지 146)는 카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재(144 내지 146)는 각각, 대응하는 리프트 아웃 롤러(141 내지 143)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촉할 수 있다.
드레이프(147)는 유리 리본(G)의 상방에 설치되고, 유리 리본(G)의 상방 공간을 구획하는 부재이다. 드레이프(147)는 서냉로(120)로부터 공기가 혼입되는 것을 제한하여, 챔버(130) 내의 산소 농도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불활성 기체 유닛 및 이송되는 유리 리본의 일 실시 형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150)은 플로트 배스(110) 출구(111) 측에 유리 리본(G)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하방으로 불활성 기체를 공급할 수 있다.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150)을 통해 공급되는 불활성 기체는 질소(N2), 산소(O2), 헬륨(He), 네온(Ne), 아르곤(Ar), 크립톤(Cr), 제논(Xe) 등으로 이루어진 불활성 기체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질소 기체일 수 있다.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150)을 통해 공급된 불활성 기체는 플로트 배스(110)의 출구(111) 부근에 기류를 형성하여 플로트 배스(110) 상의 주석(sn) 성분을 포함하는 증기가 챔버(13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150)은, 관형 부재(151) 및 분산판(153)을 포함할 수 있다.
관형 부재(151)는 불활성 기체가 공급되는 유로로서, 상하의 연장 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관형 부재(151)는 유리 리본(G)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형 부재(151)의 폭은 적어도 유리 리본(G)의 폭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관형 부재(151)는 상면(151a)이 폐쇄되어 있되 일부분이 가스공급관(152)과 연통될 수 있으며, 하면(151b)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산판(153)은 관형 부재(151) 내에 연장 방향과 가로질러 배치되는 판형 부재로서, 유리 리본(G)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153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공(1531)은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하나의 관통공열(1531a, 1531b)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관통공열(1531a, 1531b)은 유리 리본(G)의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분산판(15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관통공열(1531a, 1531b)이 형성되어 있다.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150)은 관형 부재(151)의 상면(151a) 일부분,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51a) 중앙부와 연통되는 가스공급관(152)을 통해 관형 부재(151) 내에 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150)은 분산판(153)이 없는 경우, 관형 부재(151)의 하면(151b) 중앙부에 가스가 집중되어 토출될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유리 리본(G)의 폭 방향을 따라 관통공(1531)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유리 리본(G)의 이송 방향을 따라 관통공열(1531a, 1531b)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분산판(153)을 포함하므로, 분산판(153)에 의해 관형 부재(151) 내부에서 하방으로의 가스 유동 분포가 수평 단면적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유도될 수 있다.
분산판(153)은 관형 부재(151)의 하면(151b)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형 부재(151)의 하면(151b)을 통해 관형 부재(151)의 근접 하방 영역에서 가스의 유동 분포를 균일하게 형성하여 유리 리본(G)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가해지는 가스 압력이 균일해지도록 하여 유리 리본(G)의 이송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분산판(153)에는 가스의 유동 분포의 균일성을 용이하게 달성하기 위해,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통공열(1531a, 1531b) 중 어느 하나(1531a)에 포함된 관통공(1531)은 다른 하나(1531b)에 포함된 서로 인접한 2개의 관통공(1531)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150)은, 유리 리본(G)과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15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150)은 유리 리본(G)과 관형 부재(151)의 하면(151b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관형 부재(15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는 예를 들어, 관형 부재(151)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관형 부재(151)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에 의해 관형 부재(15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정도에 따라 유리 리본(G)과 관형 부재(151)의 하면(151b) 사이의 간격은 조절될 수 있는데, 그 간격의 조절에 따라 공급되는 불활성 기체에 의해 유리 리본(G)에 가해지는 압력 및/또는 플로트 배스(110)로부터 챔버(130)로의 주석(sn) 성분의 증기 유입율 등이 조절될 수 있다.
판유리 제조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 아웃 롤러(141 내지 143)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유리 제조 장치(100)는 진동 감지부(160)에 의해 감지된 진동 세기를 기초로 유리 리본(G)과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15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실시예에 따라 유리 리본(G)과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15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구동부를 제어하는 회로기판, 집적회로칩, 하드웨어에 탑재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펌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다양한 모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진동 감지부(160)에 의해 감지된 진동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아지는 경우 제어부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150)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유리 리본(G)과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150) 사이의 간격을 좁힘으로써, 유리 리본(G)의 진동 세기를 낮출 수 있다. 이 때, 불활성 기체 에 의해 유리 리본(G)에 가해지는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활성 기체의 공급 유량은 서서히 줄어들도록 조절될 수도 있다.
아래 표 1은 관통공열(1531a, 1531b)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분산판(153)을 포함하는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150)을 이용하는 여러가지 실시예와, 관통공열이 하나만 형성되어 있는 분산판을 포함하는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을 이용하는 비교예의 결과를 나타낸다.
구분 관형 부재로 공급되는 가스 유량 관통공 직경
(mm)
관통공 간 간격
(mm)
복수의 관통공 면적의 총 합
(상대값)
플로트 배스 출구 측 압력
(상대값)
플로트 배스로부터 챔버로 이동하는 기체 유량
(상대값)
챔버 내 주석 성분 응축 농도
(상대값)
비교예 동일 3 30 1 1 1 1
실시예 1 3 6 10 2.22 0.66 0.04
실시예 2 4 8 13 2.26 0.66 0.04
실시예 3 5 10 17 2.28 0.65 0.04
실시예 4 6 12 20 2.32 0.64 0.03
실시예 5 3 13 5 2.36 0.61 0.05
실시예 6 8 13 33 2.34 0.64 0.03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비교예 및 실시예 1 내지 6 모두 관형 부재 내로 공급되는 가스 유량은 모두 동일하게 하였지만, 비교예보다 실시예 1 내지 6 모두 플로트 배스 출구 측 압력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플로트 배스로부터 챔버로 이동하는 기체 유량은 비교예보다 실시예 1 내지 6 모두 낮게 나타났다. 아울러, 플로트 배스로부터 유입된 주석 성분의 증기에 의해 형성되는 챔버 내 주석 성분의 응축 농도는 비교예보다 실시예 1 내지 6 모두에서 95% 이상 수준으로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서로 인접한 2개의 관통공(1531) 중심 사이의 거리(P, 이하에서는'관통공 간 간격'으로 칭함)는 관통공(1531)의 직경(D)의 2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1 내지 4를 살펴보면, 관통공(1531) 간 간격(P)은 모두 관통공(1531)의 직경(D)의 2배이며, 실시예 1부터 실시예 4까지 순차적으로 복수의 관통공 면적의 총 합은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플로트 배스로부터 챔버로 이동하는 기체 유량 및 챔버 내 주석 성분의 응축 농도는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실시예 5의 경우에는 관통공(1531) 간 간격(P)이 관통공(1531)의 직경(D)의 2배보다 크게 형성되었는데, 이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플로트 배스로부터 챔버로 이동하는 기체 유량은 실시예 1 내지 4보다 감소하였으나, 챔버 내 주석 성분 응축 농도는 실시예 1 내지 4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4에 비해 관형 부재(151)의 하면(151b)의 하부 상에서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기체가 퍼져 나가지 못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실시예 6을 살펴보면, 관통공(1531) 간 간격(P)은 관통공(1531)의 직경(D)의 2배 이하이며, 복수의 관통공 면적의 총 합은 실시예 1 내지 5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플로트 배스로부터 챔버로 이동하는 기체 유량 및 챔버 내 주석 성분의 응축 농도는 실시예 4의 결과와 비슷하게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관통공(1531) 간 간격(P)이 관통공(1531)의 직경(D)의 2배 이하로 형성되는 경우는, 그 이외의 경우보다 관형 부재(151)의 하면(151b) 면적 대비 복수의 관통공 면적의 총 합을 높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로트 배스로부터 챔버로 이동하는 기체 유량 및 챔버 내 주석 성분의 응축 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 제조 장치(100)는, 관통공열(1531a, 1531b)이 유리 리본(G)의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분산판(153)을 포함하는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150)을 통해 플로트 배스(110) 출구(111) 측에서 유리 리본(G)을 향하여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므로, 플로트 배스(110)로부터 챔버(130) 내로 유입되는 주석(sn) 성분의 증기를 유리 리본(G) 전체 폭에 걸쳐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챔버(130) 내에서 응축되는 주석 성분 또한 저감되므로, 결함을 유발하는 금속 산화물 또한 저감되어 제조되는 유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판유리 제조 장치
110 : 플로트 배스
120 : 서냉로
121, 122 : 이송 롤러
130 : 챔버
141, 142, 143 : 리프트 아웃 롤러
150 :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
151 : 관형 부재
152 : 가스공급관
153 : 분산판
1531 : 관통공
1531a, 1531b : 관통공열
160 : 진동 감지부

Claims (7)

  1. 용융 유리를 용융 금속 액면 상에 띄워 유리 리본으로 성형하는 플로트 배스;
    상기 플로트 배스 내에서 성형된 상기 유리 리본이 반입되는 서냉로;
    상기 플로트 배스와 상기 서냉로 사이에 배치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트 배스로부터 상기 유리 리본을 인출하여 상기 서냉로로 이송하는 복수의 리프트 아웃 롤러; 및
    상기 플로트 배스 출구 측에 상기 유리 리본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배치되어 하방으로 불활성 기체를 공급하는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불활성 기체 공급 유닛은,
    불활성 기체가 공급되는 유로로서 연장 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 관형 부재와, 상기 관형 부재 내에 상기 연장 방향과 가로질러 배치되는 판형 부재로서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분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상기 유리 리본의 폭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하나의 관통공열을 이루되,
    상기 관통공열은 상기 유리 리본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관통공열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관통공은 다른 하나에 포함된 서로 인접한 2개의 관통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서로 인접한 관통공 중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관통공 직경의 2배 이하인, 판유리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판은 상기 관형 부재의 하면에 배치되는, 판유리 제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기체 공급 유닛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판유리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리프트 아웃 롤러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를 포함하는, 판유리 제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진동 세기를 기초로 상기 유리 리본과 상기 불활성 기체 공급유닛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판유리 제조 장치.
KR1020190077762A 2019-06-28 2019-06-28 판유리 제조 장치 KR102644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762A KR102644497B1 (ko) 2019-06-28 2019-06-28 판유리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762A KR102644497B1 (ko) 2019-06-28 2019-06-28 판유리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24A KR20210001524A (ko) 2021-01-06
KR102644497B1 true KR102644497B1 (ko) 2024-03-08

Family

ID=7412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762A KR102644497B1 (ko) 2019-06-28 2019-06-28 판유리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4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4805A (ja) * 2014-03-17 2015-10-0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ロール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ロールクリーニ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603B1 (ko) * 2010-06-03 2014-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383604B1 (ko) * 2010-08-12 2014-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로트 유리 제조용 플로트 배스 및 플로트 배스 냉각 방법
KR101870669B1 (ko) * 2011-11-22 2018-06-27 세메스 주식회사 분사유닛, 이를 가지는 기판처리장치 및 방법
KR101621999B1 (ko) * 2012-06-21 2016-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판유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574415B1 (ko) * 2013-11-11 2015-12-03 (주)아이씨디 곡면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JP2017030978A (ja) * 2013-12-18 2017-02-09 旭硝子株式会社 フロート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フロートガラス製造方法
KR101772059B1 (ko) * 2014-07-09 2017-08-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판유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4805A (ja) * 2014-03-17 2015-10-0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ロール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ロールクリーニン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24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6207A (en) Heating furnace
KR102632509B1 (ko) 유리 기재 프로세싱 장치 및 방법
US8322160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glass sheet
KR101383603B1 (ko)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494924B1 (ko) 감압건조장치 및 감압건조방법
JP4678112B2 (ja) 鋼板の冷却方法および装置
KR102644497B1 (ko) 판유리 제조 장치
JP2001358206A (ja) 基板の冷却方法およびその装置
TWI428297B (zh) 製造浮法玻璃用之浮浴槽及其冷卻方法
JP3217176B2 (ja) フロート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3659551A (en) Glass treating tunnel
KR20210102477A (ko) 유리 제조 장치 및 방법들
JP5983406B2 (ja) フロート板ガラスの製造装置およびフロート板ガラスの製造方法
KR102639794B1 (ko) 판유리 제조 장치
JP2011017040A (ja) セル式減圧浸炭炉
JP6536427B2 (ja) フロートガラスの製造装置、フロートガラスの製造方法
KR102639796B1 (ko) 판유리 제조 장치
KR102639801B1 (ko) 판유리 제조 장치
US36569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oat glass manufacture
US35364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orary stresses during the formation of a glass ribbon from a molten pool
JP2005114284A (ja) 焼成炉
JP2000239035A (ja) ガラスリボンの搬送方法及び装置
JP2016210630A (ja) 支持ロール、ガラス板の製造方法
KR20110094868A (ko) 유리판 제조 장치
WO2021131763A1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