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365B1 -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 및 누유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 및 누유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365B1
KR102644365B1 KR1020180080551A KR20180080551A KR102644365B1 KR 102644365 B1 KR102644365 B1 KR 102644365B1 KR 1020180080551 A KR1020180080551 A KR 1020180080551A KR 20180080551 A KR20180080551 A KR 20180080551A KR 102644365 B1 KR102644365 B1 KR 102644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ircuit
oil
pressure
primary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6772A (ko
Inventor
윤철
유병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0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3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6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3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2Determining control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e.g. by calculations involving measured or detected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오일이 저장된 마스터 실린더,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작동에 해당하는 목표 압력에 의해 가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가동에 의해 상기 마스터 실린더 내에서 직진 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운동에 따라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FR(Front Right), RL(Rear Left) 휠로 공급하는 1차 유압회로, 상기 피스톤의 운동에 따라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FL(Front Left), RR(Rear Right) 휠로 유압을 공급하는 2차 유압회로 및 상기 1차 유압회로와 상기 2차 유압회로를 연결하는 유압라인 상에 구비되는 스플릿 차단 밸브를 포함하는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액 레벨 센서의 감지 전이라도 누유를 감지할 수 있고 어느 라인 상 누유가 발생하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 및 누유 감지 방법{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OIL LEAK OF ELECTRIC BRAKE SYSTEM}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되는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브레이크 오일 누유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에 적용되는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기존의 브레이크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유압으로 제동력을 확보하는 것이지만,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직접 유압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전자 신호를 통해서 모터가 작동되게 함으로써 모터에 의해 유압 장치를 작동시켜 브레이크가 작동되게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이 적용되면 브레이크 답력 전개나 페달의 작동 범위 등의 세세한 브레이크의 조작감을 운전자가 취향에 맞게 조정할 수가 있다.
차량의 운행에 있어서 브레이크의 정상 작동 여부는 다른 장치 못지 않게 안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오일의 유지는 매우 중요하며, 브레이크액이 누유되면 안전상 큰 위험을 초래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브레이크액의 양이나 압력 등에 문제가 발생하면 운전자가 경고를 인식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기존에 이를 위한 브레이크액의 누유 감지 방안은 브레이크액 저장조(reservoir) 상에 구비되는 브레이크액 레벨 센서에 의해 브레이크액을 감지하여 누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어부를 통해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경고수단이 작동되게 한다.
즉, 브레이크액이 일정 레벨 이하로 저하되면 브레이크액 레벨 센서가 감지하여 차량의 브레이크 경고등을 점등하여 운전자에게 브레이크 시스템의 이상을 알려주게 되지만, 기존의 이러한 시스템 상에서 브레이크액이 누유된 상태에서 브레이크액 레벨 센서가 감지되기까지는 시간이 소요되어 누유가 되고 있는 상황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운전자가 긴급 제동을 하는 경우에 운전자가 원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키지 못함에 따라 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수가 있었다.
또한, 브레이크 시스템의 어느 라인 상에서 누유가 발생하는지의 확인은 더욱 불가하였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368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브레이크액 레벨 센서의 감지 전이라도 누유를 감지할 수 있고 어느 라인 상 누유가 발생하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 및 누유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은, 브레이크 오일이 저장된 마스터 실린더,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작동에 해당하는 목표 압력에 의해 가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가동에 의해 상기 마스터 실린더 내에서 직진 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운동에 따라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FR(Front Right), RL(Rear Left) 휠로 공급하는 1차 유압회로, 상기 피스톤의 운동에 따라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FL(Front Left), RR(Rear Right) 휠로 유압을 공급하는 2차 유압회로 및 상기 1차 유압회로와 상기 2차 유압회로를 연결하는 유압라인 상에 구비되는 스플릿 차단 밸브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의 변위를 계측하는 위치센서, 상기 1차 유압회로의 압력을 계측하는 1차 압력센서, 상기 2차 유압회로의 압력을 계측하는 2차 압력센서 및 상기 위치센서, 상기 1차 압력센서 및 상기 2차 압력센서의 계측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우선,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압력센서 및 상기 2차 압력센서의 계측 압력이 상기 피스톤의 변위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누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누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플릿 차단 밸브를 차단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플릿 차단 밸브의 차단 제어 후 상기 1차 유압회로 또는 상기 2차 유압회로 중 어느 하나의 유압회로로만 유압이 공급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유압이 공급되는 유압회로 측 압력센서를 계측하여 해당 유압회로의 누유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상기 제어부는 누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유압회로 방향으로 단방향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방법은, 제동이 입력되면 제동에 따라 정상 제어한 후, 청구항 2의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의 상기 1차 압력센서 및 상기 2차 압력센서의 계측 압력이 상기 피스톤의 변위에 상응하는지를 확인하여,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누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누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플릿 차단 밸브를 차단시키는 스플릿 전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스플릿 전환 제어 후 제동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1차 유압 회로 또는 상기 2차 유압회로 중 유압이 공급되는 유압회로의 압력을 계측하여 해당 유압회로의 누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상기 해당 유압회로의 누유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누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유압회로 방향으로 단방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동 입력이 없는 경우, 브레이크액 저장조 내에 구비되는 BFS(Brake Flow Sensor) 감지 여부를 확인하여, BFS에 의해 오일 플로우가 감지되면 상기 스플릿 차단 밸브를 차단시키는 스플릿 전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동 입력 전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fail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누유 fail 정보가 없고, 제동이 입력되면 정상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유 fail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의 확인 결과, 누유 fail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1차 유압회로 또는 상기 2차 유압회로 중 어느 유압회로에 누유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어느 유압회로에 누유가 있는지 확인되지 않으면서 제동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1차 유압 회로 또는 상기 2차 유압회로 중 유압이 공급되는 유압회로의 압력을 계측하여 해당 유압회로의 누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 및 누유 감지 방법에 의하면, 브레이크액 레벨 센서에서 브레이크액의 누유를 감지하기 전 제동 중 누유를 감지하여 브레이크 이상을 경고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는 브레이크액 누유로 인해 마스터 실린더 내의 브레이크액이 부족하여 시스템 하드웨어(H/W) 에러의 발생이 가능하다. 그럴 경우 에러에 의한 시스템 fail 이 발생하고, 기존의 CBS 시스템과 달리 스플릿 전환이 아니라 브레이크 미작동이 되어 대형사고를 일으킬 수가 있다.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는 페달 작동부와 모터, 피스톤 작동부가 이원화되어 있으나, CBS 시스템에서는 ABS fail일 경우 브레이크 페달력이 휠 압력이 바로 전달되지만,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는 모터, 피스톤의 H/W 에러시 제어할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었다.
그리고, 차량의 써킷 정보를 ECU에 저장함으로써 재시동시 차량의 상태를 다시 확인 가능하여 안전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기존의 시스템을 이용하면서도 누유 감지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어 별도 추가 비용 없이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누유 감지 시스템 및 누유 감지 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누유 감지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누유 감지 시스템에 의해 누유를 감지하는 메커니즘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누유 감지 시스템에 의해 어느 서킷 페일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방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누유 감지 시스템 및 누유 감지 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누유 감지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 및 누유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은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비제동중 또는 미세 리크 감지는 기존 시스템에 의한 브레이크액 레벨 센서의 감지에 의해 경고가 가능하면서, 제동중에도 자체 감지를 통해서 상호 보완적으로 브레이크액의 누유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자체 감지는 1차 감지에 의해서 누유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2차 감지에 의해서 누유 써킷을 판단함으로써 누유 지점을 확인 가능하면서 비상시 가동 가능한 써킷에 의해 브레이크가 작동될 수 있게 한다.
이를 본 발명의 시스템은 스플릿 시스템 전환을 통해 구현한다.
즉, 운전자가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10)을 밟으면 페달 스트로크 센서(12)로부터 제어부(ECU)는 운전자 제동 의지를 인지하여 그에 따른 목표 압력을 생성하여 목표 압력에 따라 모터(21)를 가동 제어하게 된다.
모터(21)의 가동에 따라 피스톤(22)이 전진 가동되면 마스터 실린더(23)로부터 유압회로로 브레이크 오일이 공급되게 된다.
도시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23)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 오일은 FR(Front Right), RL(Rear Left) 휠로 유압을 공급하는 1차 유압회로(30, Primary Circuit )와 FL(Front Left), RR(Rear Right) 휠로 유압을 공급하는 2차 유압회로(40)로 공급되게 된다.
본 발명은 1차 유압회로(30)나 2차 유압회로(40)에 유압이 부족한 경우 브레이크액 저장조(11)에 구비되는 브레이크액 레벨 센서(11a)의 감지 전에 이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며, 어느 유압회로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여 그에 맞는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누유 감지 시스템은 1차 유압회로(30)와 2차 유압회로(40)를 연결하는 유압라인 상에 스플릿 차단 밸브(50)가 구성되어, 누유 감지시 제어부에 의해 스플릿 차단 밸브(50)를 OFF시키고 일 측 유압회로로만 유압을 공급하는 스플릿 시스템 전환 방식을 구현시킨다.
도 3 및 도 4는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누유 감지 시스템에 의해 누유를 감지하는 메커니즘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즉, 도 3의 1차 감지는 누유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단계가 되며, 도 4의 2차 감지는 누유되는 유압회로(써킷)을 확인하기 위한 단계가 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운전자가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10)을 밟으면 페달 스트로크 센서(12)로부터 제어부(ECU)는 운전자 제동 의지를 인지하여 그에 따른 목표 압력을 생성하여 목표 압력에 따라 모터(21)를 가동 제어하게 된다.
모터(21) 압력이 생성되면, 1, 4, 5번 밸브(V1, V4, V5)와 스플릿 차단 밸브(50)는 닫은 상태에서 2, 3, 6번 밸브(V2, V3, V6)를 닫고, 5번 밸브(V5)와 스플릿 차단 밸브(50)를 열고 모터(21)를 도시와 같은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스크류에 의해 회전 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바뀌어 피스톤(22)이 전진하여 마스터 실린더(23)에 브레이크 액이 압축되며, 각 휠로 전달되어 압력이 발생하고, 압력센서(31, 41)에서 출력되는 압력 값이 목표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피스톤(22)을 전진 동작시킨다.
이때 모터(21)를 제어하기 위한 위치센서(엔코더 센서)로 모터 축과 연결되어 있는 마스터 실린더 피스톤의 전진, 후진 변위를 지속적으로 계측하며, 압력센서(31, 41)에 감지되는 압력을 모니터링한다.
계측하고 있는 피스톤 변위가 일정한 값(threshold, 29mm일 수 있다)에 도달했을 때 범위에 해당하는 압력(threshold가 29mm이면 50bar가 기준이 된다)이 형성되지 않았을 때 누유라고 판단하게 된다.
즉, 1차 감지에서는 피스톤(23)의 최대 변위 순간(2차 감지를 위한 방향 전환 순간이기도 함), 압력센서(31, 41)의 출력값을 모니터링하여 제동 중 피스톤 변위(스트로크)에 따른 압력 형성 여부로 누유를 감지하게 되고, 누유라고 판단되면, 경고등을 점등함과 함께 스플릿 차단 밸브(50)를 차단하여 스플릿 시스템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플릿 차단 밸브(50)를 차단시킨 후, 2차 감지를 위해 도 4와 같이 피스톤을 방향 전환시킨다.
이렇게 복동 방향 압력 제어를 실시하고, 일정 피스톤 변위(예를 들어, 5mm)에 도달시 1차 유압회로(30)의 1차 압력센서(31)를 통해 1차 유압회로(30)의 압력을 모니터링한다.
1차 유압회로(30)의 압력 모니터링 결과, 기존 답력 데이터 상 피스톤 변위에 따른 답력보다 낮은 압력이 계측이 되면 1차 유압회로(30)의 누유(fail)로 확정하게 된다.
1차 유압회로(30)의 누유로 확정되면, 피스톤(22)을 다시 방향 전환시키고, 정상적인 2차 유압회로(40) 방향으로 모터(21)를 단방향 제어 실시한다.
도 6이 1차 유압회로(30) 누유시 2차 유압회로(40) 방향으로의 단방향 제어를 나타낸 것이다.
반면, 2차 감지에 의해서 1차 유압회로(30)의 압력에 이상이 없으면, 2차 유압회로(30)의 누유로 판정하고, 1차 유압회로(30) 방향으로의 단방향 제어를 유지하게 된다.
도 7이 이러한 2차 유압회로(40) 누유시 1차 유압회로(30) 방향으로의 단방향 제어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이상에서 살펴본 1차 감지 및 2차 감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방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써킷 페일 정보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110).
써킷 페일 정보는 기존의 써킷에서 fail된 이력이 있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써킷 페일 정보가 존재하면, 누유 써킷 정보 여부를 확인한다(S170).
누유 써킷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누유 감지 방법의 구동 필요없이 종료하게 되나, 그렇지 않은 경우, 즉 써킷 페일 정보상 fail 이력은 존재하나 어떤 써킷에서 누유가 있는지 명확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2차 감지가 구동될 수 있게 한다.
S110에 의해 써킷 페일 정보가 없는 경우, 제동 입력이 발생하면(S120), 자체 1차 감지를 위해 정상 제어를 수행한다(S130)).
제동 입력이 없는 경우라도 제어부는 브레이크액 저장조 내에 구비되는 BFS(Brake Flow Sensor)의 감지 여부를 확인한다(S142).
확인 결과, 감지되지 않으면 종료되고, 감지되면 써킷 페일 정보를 생성한다(S150).
BFS의 감지는 제동 입력이 없음에도 flow가 발생하는 것인 바, 누유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점등상태가 예를 들어 3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스플릿 제어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BFS 감지시 자체 2차 감지 전에는 2차 유압 회로 방향으로 단방향 제어를 수행한다. 즉, 누유 써킷 미판단 상태에서는 잠정적으로 2차 유압 회로를 정상 써킷으로 간주한다.
S130에 의한 정상 제어 후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체 1차 감지를 수행한다(S140).
즉, 모터 정방향 가동시 스트로크 대비 압력센서를 통한 압력 미달 여부를 확인하여 누유여부를 판정한다.
이에 의해 누유가 확인되면 써킷 페일 정보를 생성하고(S150), 스플릿 전환을 수행한다(S160).
즉, 스플릿 차단 밸브에 의해 1차 유압회로와 2차 유압회로를 차단시키고, 일 측 유압회로로만 유압을 공급하게 한다.
다음, 스플릿 전환 상태에서 제동 입력(S180)이 있으면 자체 2차 감지를 수행한다(S190).
즉, 모터를 역방향 가동하여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1차 유압회로와 2차 유압회로 중 누유가 있는 유압회로를 판정하고, 그에 따른 누유 써킷 정보를 생성시킨다(S200).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브레이크 페달
11 : 브레이크액 저장조
11a : 브레이크액 레벨 센서
12 : 브레이크 스트로크 센서
21 : 모터
22 : 피스톤
23 : 마스터 실린더
30 : 1차 유압회로(Primary Circuit)
31 : 1차 압력센서
40 : 2차 유압회로(Secondary Circuit)
41 : 2차 압력센서
50 : 스플릿 차단 밸브

Claims (13)

  1. 브레이크 오일이 저장된 마스터 실린더;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작동에 해당하는 목표 압력에 의해 가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가동에 의해 상기 마스터 실린더 내에서 직진 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운동에 따라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FR(Front Right), RL(Rear Left) 휠로 공급하는 1차 유압회로;
    상기 피스톤의 운동에 따라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FL(Front Left), RR(Rear Right) 휠로 유압을 공급하는 2차 유압회로;
    상기 1차 유압회로와 상기 2차 유압회로를 연결하는 유압라인 상에 구비되는 스플릿 차단 밸브;
    상기 피스톤의 변위를 계측하는 위치센서;
    상기 1차 유압회로의 압력을 계측하는 1차 압력센서;
    상기 2차 유압회로의 압력을 계측하는 2차 압력센서; 및
    상기 위치센서, 상기 1차 압력센서 및 상기 2차 압력센서의 계측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압력센서 및 상기 2차 압력센서의 계측 압력이 상기 피스톤의 변위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누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누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플릿 차단 밸브를 차단 제어하고 상기 피스톤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플릿 차단 밸브의 차단 및 상기 피스톤의 방향 전환 제어 후 상기 1차 유압회로 또는 상기 2차 유압회로 중 어느 하나의 유압회로로만 유압이 공급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유압이 공급되는 유압회로 측 압력센서를 계측하여 해당 유압회로의 누유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누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유압회로 방향으로 단방향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
  7. 제동이 입력되면 제동에 따라 정상 제어한 후, 청구항 1의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의 상기 1차 압력센서 및 상기 2차 압력센서의 계측 압력이 상기 피스톤의 변위에 상응하는지를 확인하여, 상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누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에 누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스플릿 차단 밸브를 차단시키고 상기 피스톤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스플릿 전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플릿 전환 제어 후 제동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1차 유압 회로 또는 상기 2차 유압회로 중 유압이 공급되는 유압회로의 압력을 계측하여 해당 유압회로의 누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해당 유압회로의 누유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누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유압회로 방향으로 단방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동 입력이 없는 경우, 브레이크액 저장조 내에 구비되는 BFS(Brake Flow Sensor) 감지 여부를 확인하여, BFS에 의해 오일 플로우가 감지되면 상기 스플릿 차단 밸브를 차단시키는 스플릿 전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동 입력 전 상기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fail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누유 fail 정보가 없고, 제동이 입력되면 정상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누유 fail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의 확인 결과, 누유 fail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1차 유압회로 또는 상기 2차 유압회로 중 어느 유압회로에 누유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어느 유압회로에 누유가 있는지 확인되지 않으면서 제동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1차 유압 회로 또는 상기 2차 유압회로 중 유압이 공급되는 유압회로의 압력을 계측하여 해당 유압회로의 누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방법.
KR1020180080551A 2018-07-11 2018-07-11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 및 누유 감지 방법 KR102644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551A KR102644365B1 (ko) 2018-07-11 2018-07-11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 및 누유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551A KR102644365B1 (ko) 2018-07-11 2018-07-11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 및 누유 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772A KR20200006772A (ko) 2020-01-21
KR102644365B1 true KR102644365B1 (ko) 2024-03-07

Family

ID=6936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551A KR102644365B1 (ko) 2018-07-11 2018-07-11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 및 누유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3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8748B (zh) * 2020-09-25 2023-03-2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的制动系统漏液检测方法和装置
KR102607639B1 (ko) 2022-03-15 2023-11-29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방법 및 그의 감지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132B1 (ko) * 2015-06-23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분리형 서킷을 갖는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1923A (ko) * 2000-11-29 2002-06-05 이계안 능동형 텐덤 마스터 실린더
KR20060053687A (ko) 2004-11-17 2006-05-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 휠실린더 오일누유 감지장치
KR102288452B1 (ko) * 2014-09-25 2021-08-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회생 제동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132B1 (ko) * 2015-06-23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분리형 서킷을 갖는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772A (ko)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6959B2 (en) Method for diagnosing electric brake system
US9776607B2 (en) Fault-tolerant redundant by-wire brake system
CN106184173B (zh) 电子液压制动系统与用于控制该系统的方法
CN111615475B (zh) 车辆制动系统及自诊断试验
CN111565986B (zh) 进行诊断测试以确定制动系统内的泄漏的方法
KR101950616B1 (ko) 유압식 안전 시스템, 브레이크 시스템 및 작동 방법
US7976109B2 (en) Failsafe operation of a hybrid brake system for a vehicle
US9109613B2 (en) Braking-force generator
US20170001615A1 (en) Calibration method for an electro-hydraulic motor vehicle braking system and associated calibration device
CN113573959B (zh) 失效安全制动系统
KR20180039356A (ko)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8548676B2 (en) Vehicle brak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KR102644365B1 (ko)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누유 감지 시스템 및 누유 감지 방법
US20220297649A1 (en) Vehicle brake system
US9630609B2 (en) Method of detecting solenoid valve failure of vehicle electric brake booster and failure detect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CN113631443B (zh) 具有压力供给装置和用于制动回路的安全门的制动系统
US20140159474A1 (en) Safety Circuit for Blocking Drive of a Brake Booster
KR20190136255A (ko)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663045B1 (ko) Esc 통합형 제동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6487726B2 (ja) 車両用制動システム
US20040189086A1 (en) Vehicle hydraulic brake device
JP6040097B2 (ja)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
KR102392696B1 (ko)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469006Y1 (ko) 자동차용 보조 브레이크 시스템
KR102148320B1 (ko) 차량의 능동 유압 부스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