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322B1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322B1
KR102644322B1 KR1020230016786A KR20230016786A KR102644322B1 KR 102644322 B1 KR102644322 B1 KR 102644322B1 KR 1020230016786 A KR1020230016786 A KR 1020230016786A KR 20230016786 A KR20230016786 A KR 20230016786A KR 102644322 B1 KR102644322 B1 KR 102644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
pillow
vertebrae
suppor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주
Original Assignee
박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주 filed Critical 박영주
Priority to KR1020230016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베개에 있어서,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면; 상기 지지면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굴곡면; 및 상기 지지면과 굴곡면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굴곡면은, 사용자의 흉추를 지지하기 위한 흉추 지지부, 경추를 지지하기 위한 경추 지지부, 환추 또는 축추를 지지하기 위한 축추 지지부, 후두골을 지지하기 위한 후두골 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흉추 지지부, 후두골 지지부는 상기 베개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고, 상기 경추 지지부는 상기 베개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2개의 볼록부 및 상기 2개의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베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베개{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후두골의 외후두융기에서 하항선 사이에 견인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추나 어깨 등의 결림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성 베개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경추 보호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베개들은 대부분 베개의 중앙부위를 천공하거나, 중앙에 오목한 부위(요입부)를 형성하여 머리 받침 시 후두부가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자세에 의해 경추부위가 자연스러운 상태가 되도록 하여 쾌적한 수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게들은 후두부를 유효적절하게 지지해 주는 요입부의 구성 자체가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구성으로, 머리 받침 시 후두부가 베개를 통과하여 지면과 맞닿게 되거나 후두부를 잡아주는 부위(지지부)를 가진 베개도 이 지지부가 특별한 지지역할을 못하여, 사실상 후두부가 지지부와 함께 지면에 닿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뿐이었다.
또한, 이러한 베개를 베고 누었을 때 경추의 휨 각도가 과다하여, 오히려 경추 보호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한편, 시중에 나와있는 베개들은 사용자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체적인 치수, 일체적인 형태로 형성되는 바, 아무리 기능성이 좋은 형태로 제작된 베개라 하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본인의 신체 특성과 맞지 않는 경우 그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추의 극돌기를 누르는 불필요한 힘을 최소화하고, 후두부의 접촉점에서 작용하는 힘과 상체 체중 때문에 베개의 면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면서 작용하는 힘이 대칭을 이루게 되도록 하고, 그 힘은 경추와 수평이 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견인이 유도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추를 견인하기에 최적의 접촉점을 가지며, 견인력이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경추와 수평이 되도록 함으로써, 흉추부가 안정적으로 받쳐질 수 있고, 견인하기에 적절한 자세가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목 근육의 긴장이 완화되고 적당한 크기의 힘이 작용하게 되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개에 있어서,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면; 상기 지지면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굴곡면; 및 상기 지지면과 굴곡면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굴곡면은, 사용자의 흉추를 지지하기 위한 흉추 지지부, 경추를 지지하기 위한 경추 지지부, 환추 또는 축추를 지지하기 위한 축추 지지부, 후두골을 지지하기 위한 후두골 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흉추 지지부, 후두골 지지부는 상기 베개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고, 상기 경추 지지부는 상기 베개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2개의 볼록부 및 상기 2개의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베개가 제공된다.
상기 브릿지는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흉추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가 형성하는 면과 평행한 방향의 단면 형상은, 각각 양측에 형성된 상기 2개의 볼록부 및 상기 2개의 볼록부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2개의 볼록부와 상기 2개의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는, 상기 축추 지지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추의 극돌기를 누르는 불필요한 힘을 최소화하고, 후두부의 접촉점에서 작용하는 힘과 상체 체중 때문에 베개의 면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면서 작용하는 힘이 대칭을 이루게 되고, 그 힘은 경추와 수평이 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견인이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추를 견인하기에 최적의 접촉점을 갖는 베개가 얻어질 수 있고, 견인력이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경추와 수평이 되기 때문에, 흉추부가 안정적으로 받쳐질 수 있고, 견인하기에 적절한 자세가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목 근육의 긴장이 완화되고 적당한 크기의 힘이 작용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에 있어서 경추 지지부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에 수용체가 더 포함된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베개는 덮개(미도시됨)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베개의 재질은 폴리우레탄, 에폭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탄성을 가진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베개에는 그 표면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메모리폼 등이 덧씌워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베개는, 상호 일체로 형성된 지지면(101), 2개의 브릿지(102, 103), 굴곡면(10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면(101)은 수평면과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베개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부분이다.
2개의 브릿지(102, 103)는 지지면(101)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루어지며, 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2개의 브릿지(102, 103)는 지지면(101)과 굴곡면(104)을 상호 연결하며 지지한다.
굴곡면(104)은 베개 사용 시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도 2는 베개에 있어서, 2개의 브릿지(102, 103)가 이루는 면과 수직 방향으로의 단면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단면에서, 굴곡면(104)의 양단은 각각 지지면(101)의 양단과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굴곡면(104)은 흉추를 지지하기 위한 흉추 지지부(A), 경추를 지지하기 위한 경추 지지부(B), 경추와 후두골 사이의 영역, 구체적으로는 환추 또는 축추를 지지하기 위한 축추 지지부(C), 후두골을 지지하기 위한 후두골 지지부(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흉추 지지부(A)의 일단은 지지면(101)의 일단과 연결되며, 흉추 지지부(A)의 타단은 경추 지지부(B)와 연결된다.
흉추 지지부(A)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도 2에서, 점 a와 b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가정하면, 흉추 지지부(A)는 상기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하부로 오목한 형태, 즉, 그루브(groove)를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제1 브릿지(102)는 흉추 지지부(A)의 중심 하면으로부터 지지면(101)까지 연결되는 면 형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경추 지지부(B)의 일단은 흉추 지지부(A)와 연결되며, 타단은 축추 지지부(C)와 연결된다.
제2 브릿지(103)는 흉추 지지부(A)와 경추 지지부(B)의 연결 지점 하면으로부터 지지면(101)까지 연결되는 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경추 지지부(B)의 중심을 지나며, 브릿지(102, 103)와 평행한 방향으로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경추 지지부(B)는 브릿지(102, 103)와 평행한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각각 양측에 형성된 2개의 볼록부 및 상기 2개의 볼록부 사이에 형성된 1개의 오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볼록부는 사용자의 풍부혈(風府穴)과 완골혈(完骨穴)을 지지해주는 부분이다. 또한, 2개의 볼록부 사이에 오목부가 형성됨에 따라 지지 포인트가 분산되게 된다.
상기 2개의 볼록부는 흉추 지지부(A)와 경추 지지부(B)가 연결되는 지점으로부터 완만하게 상승하다가, 경추 지지부(B)와 축추 지지부(C)가 연결되는 지점으로 가면서 완만하게 하강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목부 또한 흉추 지지부(A)와 경추 지지부(B)가 연결되는 지점으로부터, 경추 지지부(B)와 축추 지지부(C)가 연결되는 지점까지 연장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축추 지지부(C)는 경추 지지부(B)와 후두골 지지부(D)를 연결하는 부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축추 지지부(C)의 일단, 즉, 경추 지지부(B)와 연결되는 부분(점 c)와 접하는 가상의 제1 직선을 가정하고, 축추 지지부(C)의 타단, 즉, 후두골 지지부(D)와 연결되는 부분(점 d)과 접하는 가상의 제2 직선을 가정하면, 제1 직선과 제2 직선은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축추 지지부(C)는 상기 점 c 와 점 d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베게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를 형성한다. 한편, 축추 지지부(C)의 하면은, 베개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굴곡면(104)에 있어서 축추 지지부(C)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는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축추 지지부(C) 또한, 경추 지지부(B)와 마찬가지로 양측에 형성된 2개의 볼록부 및 그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경추 지지부(B)에 형성된 2개의 볼록부 및 1개의 오목부는 축추 지지부(C)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게는 탄성력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데, 축추 지지부(C)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베개를 사용함으로써 가해지는 견인력에 대한 전달이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두골 지지부(D)의 일단은 축추 지지부(C)와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면(101)과 연결된다. 후두골 지지부(D)는 베개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를 갖는다.
환언하면, 후두골 지지부(D)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도 2에서, 점 d와 점 e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가정하면, 후두골 지지부(D)는 상기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후두골 지지부(D) 또한, 경추 지지부(B)와 마찬가지로 양측에 형성된 2개의 볼록부 및 그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즉, 경추 지지부(B)에 형성된 2개의 볼록부 및 1개의 오목부는 축추 지지부(C)를 거쳐 후두골 지지부(D)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베개에 수용체가 덧대어진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베개에 있어서 굴곡면(104)의 상면에는 라텍스, 메모리폼 등의 푹신하며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수용체(200)가 배치될 수 있다.
수용체(200)는 굴곡면(104)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고, 후두골 지지부(D)와 지지면(101)이 연결되는 지점으로부터 추가적으로 베개의 길이 방향, 즉, 브릿지(102, 103)와 수직한 방향 또는 지지면(101)과 평행한 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용체(200)는 지지면(101)으로부터 연장되어 단독으로 지면과 맞닿을 수 있다. 이렇게 수용체(200)가 단독으로 지면과 맞닿는 영역은 사용자의 뒷통수를 받쳐주게 되는 부분으로 기능할 수 있다. 즉, 베게에 의해 사용자에게 적절한 견인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수용체(200)에 의해 뒷통수를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사람의 뒤통수 뼈를 나타내는데,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는 사용 시, 견인력이 작용하는 접촉점이, 후두골의 외후두융기(⑥에서 하항선(⑧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외후두융기(⑥와 하항선(⑧사이의 부위가 축추 지지부(C)의 볼록한 부위에 의해 지지되면서 견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경추 지지부(B)와 축추 지지부(C)에 오목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고개를 좌우로 돌렸을 때 유양돌기에 접촉점이 형성되면서, 최적의 견인이 유도 및 유지될 수 있다. 즉, 고개를 돌리더라도 긴장이 완화되고 견인력은 유지되도록 설계되었다.
기존 경침은 단순한 반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경추의 극돌기를 수직으로 눌러 후두부에 가해지는 견인력이 분산되고 약해지게 되며, 목이 눌려 불편한 부분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추의 극돌기를 누르는 불필요한 힘을 최소화하고, 후두부의 접촉점에서 작용하는 힘과 상체 체중 때문에 베개의 면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면서 작용하는 힘이 대칭을 이루게 되고, 그 힘은 경추와 수평이 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견인이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추를 견인하기에 최적의 접촉점을 갖는 베개가 얻어질 수 있고, 견인력이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경추와 수평이 되기 때문에, 흉추부가 안정적으로 받쳐질 수 있고, 견인하기에 적절한 자세가 자연스럽게 유도되어 목 근육의 긴장이 완화되고 적당한 크기의 힘이 작용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지지면
102, 103: 브릿지
104: 굴곡면

Claims (3)

  1. 베개에 있어서,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면;
    상기 지지면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굴곡면; 및
    상기 지지면과 굴곡면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굴곡면은, 사용자의 흉추를 지지하기 위한 흉추 지지부, 경추를 지지하기 위한 경추 지지부, 환추 또는 축추를 지지하기 위한 축추 지지부, 후두골을 지지하기 위한 후두골 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흉추 지지부, 후두골 지지부는 상기 베개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고, 상기 경추 지지부는 상기 베개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2개의 볼록부 및 상기 2개의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는 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흉추 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가 형성하는 면과 평행한 방향의 단면 형상은, 각각 양측에 형성된 상기 2개의 볼록부 및 상기 2개의 볼록부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베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볼록부와 상기 2개의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는, 상기 축추 지지부까지 연장되는, 베개.
KR1020230016786A 2023-02-08 2023-02-08 베개 KR102644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786A KR102644322B1 (ko) 2023-02-08 2023-02-08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786A KR102644322B1 (ko) 2023-02-08 2023-02-08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322B1 true KR102644322B1 (ko) 2024-03-05

Family

ID=90298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786A KR102644322B1 (ko) 2023-02-08 2023-02-08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3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585Y1 (ko) * 2005-05-06 2005-08-24 이용수 등베개
KR101811282B1 (ko) * 2017-04-07 2017-12-21 공재철 기능성을 구비한 목침형 베개
KR20210108556A (ko) * 2020-02-25 2021-09-03 김회곤 등, 흉부, 목 부위에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 스트레칭 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585Y1 (ko) * 2005-05-06 2005-08-24 이용수 등베개
KR101811282B1 (ko) * 2017-04-07 2017-12-21 공재철 기능성을 구비한 목침형 베개
KR20210108556A (ko) * 2020-02-25 2021-09-03 김회곤 등, 흉부, 목 부위에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 스트레칭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6985B2 (en) Orthopedic pillow for sound sleep
KR101434817B1 (ko) 체형교정이 가능한 건강베개
KR100675262B1 (ko) 기능성 베개
US8813282B2 (en) Therapeutic pillow with hand rest
KR200489782Y1 (ko) 3중 구조 베개
KR101577903B1 (ko)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US20190274864A1 (en) Cervical spine brace
JP2007000397A (ja)
RU2324415C2 (ru) Подушка под голову
KR101684211B1 (ko) 취침중 후두의 자유운동과 뇌척수액의 흐름을 유도하는 수면베개
KR102644322B1 (ko) 베개
KR20140130885A (ko) 경추베개
KR102560166B1 (ko) 스마트 건강 베개
KR102123260B1 (ko) 기능성 베개
CN209152816U (zh) 双弹簧组合床垫及床垫
KR102135906B1 (ko) 결합형 기능성 베개
KR20230082779A (ko) 베개
KR200497420Y1 (ko) 베개
KR200415935Y1 (ko) 수면자세에 따라 머리높이가 자동 조절되는 인체공학적체형맞춤베개
KR102630894B1 (ko) 2중 구조 베개
JP2019110966A (ja)
KR102598024B1 (ko) 기능성 베개
KR102567225B1 (ko) 인체공학적 구조의 베개
KR102503206B1 (ko) 베개
KR102503202B1 (ko)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