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036B1 - 부착강도 및 기계강도가 우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및 이를 이용한 도장 공법 - Google Patents

부착강도 및 기계강도가 우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및 이를 이용한 도장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036B1
KR102644036B1 KR1020230053466A KR20230053466A KR102644036B1 KR 102644036 B1 KR102644036 B1 KR 102644036B1 KR 1020230053466 A KR1020230053466 A KR 1020230053466A KR 20230053466 A KR20230053466 A KR 20230053466A KR 102644036 B1 KR102644036 B1 KR 102644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metal
agent
weight
steel structures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3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화석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지건설
주식회사 헤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지건설, 주식회사 헤즈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지건설
Priority to KR1020230053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0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09D5/10Anti-corrosive paints containing metal 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08G59/5006Amine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08G59/5033Amines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는 벤질알코올, 지방족 아민계 경화제, 방향족 아민계 경화제, 금속 분말, 용매 및 실라잔 표면처리제로 표면처리된 질화규소 입자를 포함하는 제 1제; 및 에폭시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함유된 제 2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착강도 및 기계강도가 우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및 이를 이용한 도장 공법{Ceramic metal anticorrosive composition with enhanced mechanical strength and construction method of anticorrosive coating layer}
본 발명은 부착강도 및 기계강도가 우수한 철재 또는 강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에 관한 것이다.
철재 구조물에서 계절에 따른 기후조건의 변화 및 외부 환경에 따른 철재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재 표면에 방식층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방식층을 일반적으로 철재 구조물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방식도료를 칠하는 방법으로 시공된다. 이러한 방식층은 철재를 산소와 물로부터 완전 차단함으로써, 철재의 산화 반응을 방지하여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종래 방식 공법에서는 비닐에스테르계, 에폭시계, 염화고무계, 불소수지계 등의 다양한 수지를 활용하여 방식재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지들로 제작된 방식재는 유기질계 방식 도료로써 시공 직후의 성능은 우수하지만,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부착성능 저하로 방식재의 피막이 철재 구조물로부터 박리 및 박락되고, 이로 인한 방식성능의 저하로 철재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방식도료 대신 금속성분들을 추가한 금속 혼합물 분말이 함유된 방식도료들이 개발되었으며, 통상적으로 세라믹 메탈 계열의 방식도료들이 철재 구조물에 적용되어 방식층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라믹 메탈 계열의 방식재를 이용하여 형성한 방식층은 철재 구조물에 대한 부착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장기간 내구성능을 확보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에, 철재 구조물과의 부착강도가 우수하며, 시공이 용이하고 내구도가 뛰어난 세라믹 메탈계 방식 도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9346925호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10640427호
본 발명의 목적은 부착강도, 균열대응성, 내산성 및 방식성이 우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는 벤질알코올, 지방족 아민계 경화제, 방향족 아민계 경화제, 금속 분말, 용매 및 실라잔 표면처리제로 표면처리된 질화규소 입자를 포함하는 제 1제; 및 에폭시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함유된 제 2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에서 상기 질화규소 입자는 평균 입경이 0.5 내지 3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에서 상기 지방족 아민계 경화제는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테트라에틸펜타민 및 1,3,3,-트리메틸-1-아미노메틸-5-아미노사이클로헥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에서 상기 방향족 아민계 경화제는 벤질디메틸아민, 2-에틸-4-메틸이미다졸,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및 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에서 상기 용매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에서 상기 제 1제는 지방산 및 톨유의 반응 생성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에서 상기 금속 분말은 구리, 구리계 합금, 철계 합금, 지르코늄 및 은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에서 상기 제 1제는 상기 벤질알코올 100 중량부 대비 20 내지 40 중량부의 표면처리된 질화규소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에서 상기 제 1제는 상기 벤질알코올 100 중량부 대비 35 내지 60 중량부의 지방족 아민 경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에서 상기 제 1제는 상기 벤질알코올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25 중량부의 방향족 아민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에서 상기 제 2제는 석영 분말, 페놀 에폭시 중합체,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 이산화티탄 입자 및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에서 상기 석영 분말은 평균입경이 10 내지 35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에서 상기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는 탄소수 10 내지 15의 알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에서 상기 제 2제는 상기 석영 분말 100 중량부 대비 78 내지 100 중량부의 페놀 에폭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에서 상기 제 2제는 상기 석영 분말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22 중량부의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를 이용한 도장공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의한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를 이용한 도장공법은 시공면을 전처리하는 표면 전처리 단계; 표면 전처리된 시공면에 하도를 도포하여 하도층을 형성하는 제 2단계; 상기 하도층 상에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15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를 중도로 도포하여 중도층을 형성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중도층 상에 상도를 도포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를 이용한 도장공법에서 상기 시공면은 철재면 또는 기존 방식재가 시공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는 벤질알코올, 지방족 아민계 경화제, 방향족 아민계 경화제, 금속 분말, 용매 및 실라잔 표면처리제로 표면처리된 질화규소 입자를 포함하는 제 1제; 및 에폭시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함유된 제 2제;를 포함하여 부착강도, 내산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를 이용한 도장 공법으로 형성된 도장면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는 벤질알코올, 지방족 아민계 경화제, 방향족 아민계 경화제, 금속 분말, 용매 및 실라잔 표면처리제로 표면처리된 질화규소 입자를 포함하는 제 1제; 및 에폭시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함유된 제 2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는 강재에 대한 부착강도가 높고 기계강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제는 경화제, 제 2제는 에폭시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함유된 주제로 볼 수 있으며, 상기 제 1제 및 제 2제를 혼합 및 도포하여 방수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제 : 제 2제는 1 : 3.5 내지 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에서 견고하고 방식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제는 에폭시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중합을 위하여 지방족 아민계 경화제 및 방향족 아민계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방족 아민계 경화제는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테트라에틸펜타민 및 1,3,3,-트리메틸-1-아미노메틸-5-아미노사이클로헥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아민계 경화제는 벤질디메틸아민, 2-에틸-4-메틸이미다졸,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및 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방족 및 방향족 아민계 경화제를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균일하고 견고한 도막을 형성하고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방족 아민계 경화제는 상기 벤질 알코올 100 중량부 대비 35 내지 60 중량부, 좋게는 40 내지 55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지방족 아민계 경화제를 소량 포함하는 경우 도막의 기계강도가 낮아질 수 있고, 지방족 아민계 경화제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방수성이 일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아민계 경화제는 상기 벤질 알코올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25 중량부, 좋게는 12 내지 22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방향족 아민계 경화제를 소량 포함하는 경우 내수성이 낮아질 수 있으며, 방향족 아민계 경화제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자외선에 쉽게 도막 내구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 1제는 실리잔 개질제로 표면처리된 질화규소 입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질화규소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다른 충진제를 사용한 경우 대비 상용성이 높아 도막의 기계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질화규소 입자는 평균 입경이 0.5 내지 3 ㎛, 좋게는 0.7 내지 2.5 ㎛일 수 있다. 질화규소 입자의 평균 입경이 작은 경우 상용성이 저하되고 저장안정성이 낮아질 수 있으며, 질화규소 입자의 평균 입경이 큰 경우 투입량 대비 기계강도 향상효과가 미미한 한계가 있다.
상기 실라잔 표면처리제는 헥사메틸디실라잔, N,N’-비스(트리메틸실릴)우레아, N,O-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 헵타메틸디실라잔 및 1,1,3,3,-테트라메틸-1,3-디비닐디실라잔에서 선택되는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라잔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표면처리된 질화규소 입자가 지방족 아민계 경화제 및 방향족 아민계 경화제와의 상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막의 경화 후 도막 내에 질화규소 입자가 균일하게 분포하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표면처리는 상기 질화규소 입자를 35 내지 60 ℃로 유지하면서, 질화규소 입자 상에 실라잔 표면처리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라잔 표면처리제는 상기 질화규소 입자 100 g 당 7 내지 15 ㎖의 실라잔 표면처리제를 도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에서 질화규소 입자상에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라잔 표면처리제로 표면처리된 질화규소는 상기 벤질 알코올 100 중량부 대비 20 내지 40 중량부, 좋게는 25 내지 35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표면처리된 질화규소를 소량 포함하는 경우 기계강도 향상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질화규소 입자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방수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 1제는 용매를 포함하며, 이때 용매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고, 좋게는 아세톤 및 메틸에틸케톤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상기 벤질 알코올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25 중량부, 좋게는 12 내지 20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용매를 소량 포함할 경우 시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용매를 다량 포함할 경우 방수성을 확보하기 위한 일정 수준 이상의 도막 두께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에서 상기 제 1제는 지방산, 톨 오일의 반응 생성물 및 테트라에틸렌펜타민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방산, 톨 오일의 반응 생성물 및 테트라에틸렌펜타민의 혼합물을 포함함으로써 균일한 도막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 톨 오일의 반응 생성물 및 테트라에틸렌펜타민의 혼합물은 상기 벤질 알코올 100 중량부 대비 30 내지 45 중량부, 좋게는 32 내지 40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에서 기계강도의 저하 없이 도막 표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에서 상기 제 1제는 금속 분말을 포함하며, 이때 금속 분말은 구리, 구리계 합금, 철계 합금, 지르코늄 및 은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분말을 더 포함함으로써 방청성 및 광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금속 분말은 평균 입경이 1 ㎛ 이하인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평균 입경을 만족하는 금속 분말을 이용함으로써 상술한 방청성 및 광택도 향상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금속 분말은 상기 벤질 알코올 100 중량부 대비 20 내지 50 중량부, 좋게는 25 내지 45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금속 분말을 소량 포함할 경우 경도를 보강하고 방청성을 향상시키는 금속 분말의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우며, 금속 분말을 다량 포함하는 경우 점도를 높여 시공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에서 상기 제 2제는 석영 분말, 페놀 에폭시 중합체,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 이산화티탄 및 안료를 포함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제와 혼합되는 경우 경화되어 방식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석영 분말은 평균 입경이 10 내지 35 ㎛인 것을 이용할 수 있음, 석영 분말의 평균입경이 작은 경우 석영 분말이 응집될 수 있고, 평균입경이 큰 경우 침전되어 저장안정성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페놀 에폭시 중합체는 구체적으로 포름알데히드, (클로로메틸)옥시란과 페놀의 중합체일 수 있으며, 이러한 페놀 에폭시 중합체를 포함하여 도막 형성 시 빠른 시간 내에 경화가 가능하며 견고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페놀 에폭시 중합체는 상기 석영 분말 100 중량부 대비 78 내지 100 중량부, 좋게는 80 내지 93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페놀 에폭시 중합체를 소량 포함하는 경우 방수성이 저하될 수 있고, 페놀 에폭시 중합체를 다량 포함하는 경우 도막 내구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제 2제는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에 포함된 알킬기의 탄소수는 10 내지 15, 좋게는 11 내지 14일 수 있다. 이러한 탄소수를 만족하는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를 포함하는 경우 도막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는 상기 석영 분말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22 중량부, 좋게는 12 내지 20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에서 물성 저하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료의 시공성 및 상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2제는 이산화티탄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산화티탄 입자를 포함하여 안료의 색상을 보다 명확히 보일 수 있으며, 차폐력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산화티탄 입자는 평균 입경이 8 내지 20 ㎛인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에서 지나치게 크거나 작은 입자에 의한 상용성 저하를 예방하고 충분한 차폐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티탄 입자는 상기 석영 분말 100 중량부 대비 3 내지 12 중량부, 좋게는 4.5 내지 9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에서 차폐력을 확보하고 기계강도를 향상시키며 내수성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제 2제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안료를 통해 도막이 특정된 색을 띨 수 있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예로 상기 안료는 프탈로시아닌계 안료를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안료는 상기 석영 분말 100 중량부 대비 0.7 내지 1.5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에서 기계강도 및 내구성 저하를 예방하면서도 우수한 도막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 2제는 아세테이트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아세테이트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반응 속도를 높여 경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세테이트 화합물은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트산,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트산, n-프로필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및 n-아밀 아세테이트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세테이트 화합물은 상기 석영 분말 100 중량부 대비 0.05 내지 0.5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에서 저장 안정성 저하를 예방하면서도 우수한 경화시간 단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도장공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는 좋게는 중도로 이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먼저 방식재가 시공되지 않은 구조물(이하 신규 조건이라 함)과 이미 방식재가 시공된 구조물을 보수하는(이하 보수 조건이라 함)조건으로 나누어 시공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먼저 신규 조건의 경우 바탕을 정리하는 표면처리를 수행한 뒤, 무기질 아연말 샵 프라이머 및 무기질 아연말 프라이머를 하도로 각각 도포한다. 이후, 미스트 코트를 도포하거나 도포하지 않을 수 있으며, 여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를 중도로 도포할 수 있다. 이러한 중도는 1회 도포되거나 2회 또는 3회 반복하여 도포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중도 도포 후 우레탄계 또는 불소계의 상도를 도포하여 최종적으로 방식 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
보수 조건인 경우 먼저 표면 전처리 및 블라스팅 처리를 수행하고, 아연 프라이머를 도포한 뒤, 미스트 코트를 도포하거나 도포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를 중도로 도포할 수 있다. 보수 조건의 경우에도 중도를 1회 또는 2-3회 반복하여 도포할 수 있으며, 중도의 도포 후 우레탄계 또는 불소계 상도를 도포하여 방식 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 아울러, 이외의 조건의 경우 도로교통 표준 시방서에 따라 시공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1. 표면처리된 질화규소 입자의 제조
건식 가열 교반기에 평균입경이 2 ㎛인 질화규소 입자를 투입하고, 50 ℃를 유지하며 교반한다. 상기 질화규소 입자 100 g 당 10 ㎖의 헥사메틸디실라잔을 스프레이를 통해 분사한 뒤, 50 ℃를 유지하며 추가로 2시간 동안 건식 교반하여 표면처리된 질화규소 입자를 제조하였다.
2. 제 1제의 제조
벤질알코올(A) 100 중량부당 지방산과 톨 오일의 반응물과 테트라에틸렌펜타민의 혼합물(CAS No. 68953-36-6, B) 35.71 중량부, 표면처리된 질화규소 입자(C) 28.57 중량부, 1,3,3,-트리메틸-1-아미노메틸-5-아미노사이클로헥산(D) 35.71 중량부, 테트라에틸펜타민(E) 11.90 중량부, 2,4,6-트리스(N,N-디메틸아미노)메틸 페놀(F) 8.33 중량부, 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 페놀(G) 7.14 중량부, 아세톤(H) 15.48 중량부, 평균 입경이 약 0.8 ㎛인 구리분말 30.47 g 혼합하여 제 1제를 제조하였다.
이때, 1,3,3,-트리메틸-1-아미노메틸-5-아미노사이클로헥산 및 테트라에틸펜타민은 지방족 아민계 경화제이며, 2,4,6-트리스(N,N-디메틸아미노)메틸 페놀 및 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 페놀은 방향족 아민계 경화제이다.
3. 제 2제의 제조
평균 입경이 약 20 ㎛인 석영 분말(a) 100 중량부, 포름알데히드, (클로로메틸)옥시란과 페놀 중합체(CAS No. 9003-36-5, b) 88.37 중량부, 탄소수 12 내지 14의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c) 15.12 중량부, 평균 입경이 약 12 ㎛인 이산화티탄 입자(d) 6.98 중량부, 안료로 구리 프탈로시아닌 1.16 중량부,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트산 0.07 중량부 및 n-부틸 아세테이트 0.1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내지 7]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하기 표 1에 기재된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 1제를 제조하였으며, 제 2제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다만, 제조예 2 내지 7에서 구리 분말은 제조예 1과 동량 혼합하였으며, 표 1에서 기재는 생략하였다.
제조예 A B C D+E F+G H
1 100 35.71 28.57 47.61 15.47 15.48
2 100 35.71 41.07 47.61 15.47 15.48
3 100 35.71 28.57 33.11 15.47 15.48
4 100 35.71 28.57 67.61 15.47 15.48
5 100 35.71 28.57 47.61 8.97 15.48
[제조예 6 내지 8]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하기 표 2에 기재된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 2제를 혼합하였다. 제 1제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다만, 표 2에서 구리 프탈로시아닌,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트산, 1-도데신 및 n-부틸아세테이트는 기재를 생략하였으며, 모두 제조예 1과 동량 첨가하여 제 2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a b c d
1 100 88.37 15.12 6.98
6 100 76.37 15.12 6.98
7 100 88.37 8.62 6.98
8 100 88.37 15.12 2.98
[제조예 9]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표면처리액으로 헥사메틸디실라잔 대신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동량 분사하여 표면처리한 뒤, 이를 혼합하여 제 1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0]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제 1제에 표면처리된 질화규소 입자 대신 아무런 처리도 되지 않은 질화규소 입자를 혼합하여 제 1제를 제조하였다.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메탈계 방식재의 물성 확인
각 제조예에서 제조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제에서, 상기 제 1제 : 제 2제를 1 : 4의 중량비로 혼합한 뒤, 강판 시험편에 도포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각 샘플을 KS F 4929에 의거하여 내충격성, 부착성능 및 인장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으로 나타내었다.
표 3에서, 내충격성은 결손부의 면적이 3% 이하인 경우 ◎, 결손부 면적이 3% 초과 5% 이하인 경우 ○, 결손부 면적이 5%를 초과하는 경우 △로 나타내었으며, 내충격성은 직접 충격에 의한 박리 면적이 20 ㎟ 이하인 경우 ◎, 박리 면적이 20 ㎟ 초과 30 ㎟ 이하인 경우 ○, 박리 면적이 30 ㎟를 초과하는 경우 △로 나타내었다.
제조예 내충격성 부착성능 인장강도(N/㎟) 내알칼리성(%)
1 15.2 92.5
2 11.5 86.9
3 12.8 89.5
4 13.7 69.9
5 13.4 71.2
6 13.1 75.3
7 12.4 85.9
8 14.5 87.3
9 14.9 89.6
10 13.3 86.0
표 3을 참고하면,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로 형성한 도막이 철재 또는 강재와의 부착강도가 높으며, 균열대응성 및 방식성이 뛰어나며, 우수한 방식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7)

  1. 벤질알코올, 지방족 아민계 경화제, 방향족 아민계 경화제, 금속 분말, 용매 및 실라잔 표면처리제로 표면처리된 질화규소 입자를 포함하는 제 1제; 및 에폭시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함유된 제 2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제는 벤질알코올 100 중량부 대비 40 내지 55 중량부의 지방족 아민계 경화제, 12 내지 22 중량부의 방향족 아민계 경화제, 25 내지 35 중량부의 표면처리된 질화규소 입자, 25 내지 45 중량부의 금속 분말을 포함하며,
    상기 실라잔 표면처리제는 헥사메틸디실라잔, N,N’-비스(트리메틸실릴)우레아, N,0-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마이드, 헵타메틸디실라잔 및 1,1,3,3-테트라메틸-1,3-디비닐디실라잔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규소 입자는 평균 입경이 0.5 내지 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아민계 경화제는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테트라에틸펜타민 및 1,3,3,-트리메틸-1-아미노메틸-5-아미노사이클로헥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아민계 경화제는 벤질디메틸아민, 2-에틸-4-메틸이미다졸,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및 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분말은 구리, 구리계 합금, 철계 합금, 지르코늄 및 은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는 지방산 및 톨유의 반응 생성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제는 석영 분말, 페놀 에폭시 중합체,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 이산화티탄 입자 및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석영 분말은 평균입경이 10 내지 3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는 탄소수 10 내지 15의 알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제는 상기 석영 분말 100 중량부 대비 78 내지 100 중량부의 페놀 에폭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제는 상기 석영 분말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22 중량부의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16. 시공면을 전처리하는 표면 전처리 단계;
    표면 전처리된 시공면에 하도를 도포하여 하도층을 형성하는 제 2단계;
    상기 하도층 상에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7항 및 제11항 내지 제15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를 중도로 도포하여 중도층을 형성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중도층 상에 상도를 도포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를 이용한 도장공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면은 철재면 또는 기존 방식재가 시공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를 이용한 도장공법.
KR1020230053466A 2023-04-24 2023-04-24 부착강도 및 기계강도가 우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및 이를 이용한 도장 공법 KR102644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466A KR102644036B1 (ko) 2023-04-24 2023-04-24 부착강도 및 기계강도가 우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및 이를 이용한 도장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466A KR102644036B1 (ko) 2023-04-24 2023-04-24 부착강도 및 기계강도가 우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및 이를 이용한 도장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036B1 true KR102644036B1 (ko) 2024-03-07

Family

ID=9027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3466A KR102644036B1 (ko) 2023-04-24 2023-04-24 부착강도 및 기계강도가 우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및 이를 이용한 도장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0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787A (ja) * 1999-04-30 2000-11-14 Tomoegawa Paper Co Ltd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KR100640427B1 (ko) 2004-01-05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및 배경 색상변경 방법
KR20110089658A (ko) * 2010-02-01 2011-08-09 장금연 수용성 에폭시 코팅재 조성물 및 무기물을 보강한 에폭시 코팅재 조성물의 시공방법
KR20150003373A (ko) * 2012-04-26 2015-01-08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에폭시 접착제 조성물
KR20170137799A (ko) * 2015-04-15 2017-12-13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폴리아미도아민 중합체를 포함하는 얇은 부식 보호 코팅
EP4165138A1 (en) * 2020-06-10 2023-04-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wo-component curing composition for metal surface treatment, method for mounting film on metal surface, and surface structur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787A (ja) * 1999-04-30 2000-11-14 Tomoegawa Paper Co Ltd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KR100640427B1 (ko) 2004-01-05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및 배경 색상변경 방법
KR20110089658A (ko) * 2010-02-01 2011-08-09 장금연 수용성 에폭시 코팅재 조성물 및 무기물을 보강한 에폭시 코팅재 조성물의 시공방법
KR20150003373A (ko) * 2012-04-26 2015-01-08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에폭시 접착제 조성물
KR20170137799A (ko) * 2015-04-15 2017-12-13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폴리아미도아민 중합체를 포함하는 얇은 부식 보호 코팅
EP4165138A1 (en) * 2020-06-10 2023-04-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wo-component curing composition for metal surface treatment, method for mounting film on metal surface, and surfac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1944B1 (en) Epoxy based coatings
EP2094759B1 (en) Epoxy resins comprising a cycloaliphatic diamine curing agent
CN101747825B (zh) 一种环保无溶剂带水带锈防腐涂料
US6632860B1 (en) Coating with primer and topcoat both containing polysulfide, epoxy resin and rubber toughener
US20160060383A1 (en) Epoxy resin compositions
JP6162912B1 (ja) 防錆塗料組成物、塗膜形成方法及び複層塗膜形成方法
US9850410B2 (en) Powder coating pre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and making the same
KR101392471B1 (ko) 친환경 기능성 2액형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8106177A (ja) 一液型下塗り塗料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塗装方法
JP3787208B2 (ja) 塗料ベース剤及び重防食用塗料組成物
KR101163787B1 (ko) 내식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분체도료 조성물
KR101297779B1 (ko) 자동차 부품용 발포형 분체도료 조성물
CN106634385A (zh) 一种水性双组份环氧底漆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10124147A (ko) 수용성 도료 조성물
KR102644036B1 (ko) 부착강도 및 기계강도가 우수한 철재 구조물용 세라믹 메탈계 방식재 및 이를 이용한 도장 공법
JP5246977B1 (ja) 水性防食塗装方法及び塗装体
KR20190014401A (ko) 중방식 도장용 도료 키트
KR102443779B1 (ko)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KR101954135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방청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2967172A (en) Catalyzed epoxy coatings and articles coated therewith
JP5153838B2 (ja) 厚膜塗装可能な塗料を使用する設備補修方法
JP2004231853A (ja) 塗料組成物
CN106700839A (zh) 无溶剂酚醛环氧导静电涂料
KR101935103B1 (ko) 도료 조성물
KR20040069647A (ko) 내한 칩핑성이 우수한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카르복시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분체도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