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009B1 -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009B1
KR102644009B1 KR1020230080413A KR20230080413A KR102644009B1 KR 102644009 B1 KR102644009 B1 KR 102644009B1 KR 1020230080413 A KR1020230080413 A KR 1020230080413A KR 20230080413 A KR20230080413 A KR 20230080413A KR 102644009 B1 KR102644009 B1 KR 102644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trays
hanger
rail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0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보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보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보기술단
Priority to KR1020230080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Landscapes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지중 전력구 안에서 배전케이블을 배선하는 행거 트레이를 좌우 양측의 2개로 설치하고, 이들의 행거 트레이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기반을 확충하고 필요 시 분리가 가능하여 유지보수를 위한 공간을 넓게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는,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면서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지중 전력구의 천정에 설치되는 한 쌍의 천정측 레일부(11)를 포함하는 레일(10)과; 일측이 상기 지중 전력구의 좌우측 벽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후 양쪽에 각각 좌우 횡방향의 제1,2레일부가 포함되는 제1,2트레이(20,30)와; 상부가 상기 레일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편 저부가 상기 제1,2트레이의 제1,2레일부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2트레이를 좌우 횡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하거나 제1 또는 제2트레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2 또는 제1트레이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는 행거봉(4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Hanger tray For Supporting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 전력구에 배전케이블을 효율적으로 배선하여 배전계통의 안정적인 운용을 지원하는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기는 배전계통을 통해 각 수용가로 배전되며, 배전은 지중과 가공으로 구분되는데, 최근 들어 도시 미관과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지중 배전 방식이 많아지고 있다.
지중 배전은 지중에 전력구(콘크리트 사각 박스 등)를 설치하고 상기 전력구 안에 행거 트레이를 설치하여 상기 행거 트레이에 배전케이블을 배선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확인할 수 있는 특허문헌으로 등록특허 제10-2382990호는 전력구의 벽에 앵글이 설치되고, 지중배전선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상기 앵글에 고정되는 것으로, 지지대가 일측만 상기 앵글에 고정되고 반대쪽이 자유상태로 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지중배전선의 하중에 의한 변형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고, 좌우 양쪽에 각각 지지대를 설치하지만 지중배전선의 배선공간을 많이 확보하지 못하여 지중배전선의 증설 시 어려움을 느끼며 또한, 좌측 또는 우측의 지지대를 유지 보수하거나 지중배전선을 배선할 때 바닥보다 높게 설치되는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2459035호는 한 쌍의 아암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 공간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등록특허 제10-2382990호 등록특허 제10-245903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중 전력구 안에 많은 수량의 배전케이블을 배선하고, 배전케이블을 지지하는 행거 트레이를 좌우 양측의 2개로 설치하되, 이들의 행거 트레이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기반을 확충하고 필요 시 분리가 가능하여 유지보수를 위한 공간을 넓게 확보하는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는, 각각 배전케이블이 안착 배선되며 일측이 지중 전력구의 좌우측 벽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트레이, 상기 지중 전력구의 천정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2트레이의 자유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2트레이를 일렬로 배열된 상태로 지지하는 한편 제1,2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트레이의 보수나 배전케이블의 배선 작업 시 나머지의 트레이를 고정 상태로 유지하면서 어느 하나의 트레이를 좌측 또는 우측의 벽으로 회전시켜 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2트레이에 출몰 가능하게 장착되며 어느 하나의 트레이를 하부로 회전시킬 때 트레이에 배선되어 있는 배전케이블을 지지하는 보조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에 의하면, 지중 전력구의 천정에 배전케이블을 배선하여 지중 전력구 안에 넓은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배전케이블의 배선과 점검 등을 위한 작업자의 이동이 자유롭고, 트레이를 캔틸레버 형태로 구성하더라도 지중 전력구에 설치되는 행거봉으로 지지하여 처짐을 막고 처짐으로 인한 배전케이블의 탈락을 막는 효과가 있으며 결국 배전계통을 정상적으로 운용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필요 시 일렬로 배열되는 트레이를 지중 전력구의 하부쪽으로 하강시켜 배전케이블과 행거 트레이의 보수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좌우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보수 작업 시 보조 트레이를 이용하여 배전케이블을 정상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배전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의 설치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의 설치 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의 작동 상태도로서, 제2 또는 제1트레이가 접힌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에 적용된 행거봉의 다른 예를 보인 일부 발췌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에 적용된 행거봉에 적용된 제1,2보조 트레이를 보인 정면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는, 지중 전력구(1)의 천정부에 설치되는 레일(10), 지중 전력구(1)의 좌우측 벽에 각각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각각 배전케이블(2,3)이 안착 배선되는 제1,2트레이(20,30), 지중 전력구(1)의 천정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제1,2트레이(20,30)의 자유단부를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하도록 하는 행거봉(40)을 포함하고, 지중 전력구(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제1,2트레이(20,30)의 아래쪽에는 종래의 다양한 행거 트레이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레일(10)은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한 쌍의 천정측 레일부(11)이 연결부(12)로 연결된 구조로, 지중 전력구(1)의 천정에 앵커 등으로 고정되며, 천정측 레일부(11)는 행거봉(40)이 좌우 횡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며 그 길이는 행거봉(40)이 제1 또는 제2트레이(20,30)에서 빠질 수 있는 이상의 길이이다.
제1,2트레이(20,30)는 배전케이블(2,3)을 지중 전력구(1)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배선하며, 배전케이블(2,3)의 탈락 방지를 위하여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대략 반원형의 배선홈을 갖는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고, 예를 들어, 상하부가 막힌 대략 육면체 형태의 박스형이나 판형, 평면에서 볼 때 "⊂"의 포크형, 직선형이 가능하며, 포크형의 경우 내부의 공간을 활용(후술하는 보조 트레이의 수납용 등)할 수 있다.
제1,2트레이(20,30)는 일측(서로 먼 곳)이 각각 지중 전력구(1)의 좌우측 벽에 설치되는 회동브래킷에 축핀(22,32)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동 시 완충을 위하여 쇽업소버가 적용될 수 있다.
제1,2트레이(20,30)는 행거봉(40)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제1,2레일부(21,31)를 포함한다.
제1,2레일부(21,31)는 제1,2트레이(20,30)의 자유단부에서부터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제1,2트레이(20,30)가 일렬로 배열될 때 서로 통하는 구조이면서 마주하는 단부가 근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홈의 형태인데 행거봉(40)에서 하부로 탈락하지 않도록 상부의 개방부로 가면서 크기가 작아지는 단면 즉 사다리꼴(더브테일, dovetail) 단면이 바람직하다.
제1,2레일부(21,31)는 제1,2트레이(20,30)의 전후 양쪽에 형성되어 전후 기울어짐을 막아 주며, 제1,2트레이(20,30)에 각각 볼트 등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행거봉(40)은 상부가 레일(1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중 전력구(1)의 천정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설치되며 저부가 제1,2트레이(20,30)의 제1,2레일부(21,3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2트레이(20,30)의 자유 단부를 지지하고, 그 구조는 바람직하게, 천정측 레일부(11)에 각각 좌우 횡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41), 슬라이딩부(41)를 연결하는 연결부(42), 슬라이딩부(41)의 저부에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행거부(43), 행거부(43)의 저부에 형성되며 제1,2트레이(20,30)의 제1,2레일부(21,3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44)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면에서 볼 때 대략 "I" 형태이다.
슬라이딩부(41)는 천정측 레일부(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막대 형태일 수 있고 또한 마찰저항 감소를 위하여 바퀴 등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연결부(42)는 슬라이딩부(41)들을 연결하면서 천정측 레일부(11)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구조이며, 길이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행거부(43)는 다양한 크기의 지중 전력구(1)에서 제1,2트레이(20,30)의 높이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식으로 구성되며 그 방식은 턴버클 방식 등이 가능하다.
지지부(44)는 제1,2트레이(20,30)의 제1,2레일부(21,31)에 연결되어 제1,2트레이(20,30)의 자유단부를 함께 지지하는 것으로, 제1,2트레이(20,30)의 자유단부가 공중에 떠 있지 않아 제1,2트레이(20,30)의 자유단부가 하중에 의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행거봉(40)은 제1 또는 제2트레이(20,30)의 보수나 제1 또는 제2트레이(20,30)에 배전케이블(2 또는 3)을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제1 또는 제2트레이(20,30)만 지지하고 나머지의 제2 또는 제1트레이(30,20)를 자유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제1,2레일부(21,3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작업자가 지중 전력구(1)에서 사다리 등을 이용하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행거봉(40)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2레일부(21,31)의 저부에는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개방부가 좁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지지부(44)의 저부에는 상기 개방부를 통해 제1,2레일(21,31)의 하부로 돌출되는 레버가 포함될 수 있다.
행거봉(40)이 천정측 레일부(11)와 제1,2레일부(21,31)에서 탈락하지 않도록 천정측 레일부(11) 및/또는 제1,2레일부(21,31)의 끝에는 막음구가 포함되고, 상기 막음구는 천정측 레일부(11) 및/또는 제1,2레일부(21,31)의 끝에 결합되는 막음판이나 볼트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1. 제1,2트레이 연결.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행거봉(40)은 지중 전력구(1)의 중앙에 배치되고 저부의 지지부(44)는 제1,2트레이(20,30)의 제1,2레일부(21,31)에 함께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제1,2트레이(20,30)는 일측이 지중 전력구(1)의 벽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반대쪽의 자유단부가 행거봉(40)에 연결되어 지중 전력구(1)의 천정부를 지지기반으로 설치되므로 배전케이블(2,3)의 하중으로 인한 처짐을 일으키지 않는다.
2. 제1,2트레이 자유 상태 전환.
도 1의 상태에서 도 4와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트레이(20) 또는 제2트레이(30)를 보수/교체하거나 제1 또는 제2트레이(20,30)에 배전케이블(2,3)을 배선 작업하는 경우, 도 1의 상태는 제1,2트레이(20,30)가 높은 곳에 설치되고 서로 연결되어 작업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작업이 필요한 제1 또는 제2트레이(20,30)를 지중 전력구(1)의 아래쪽으로 하강시키며, 그 전환 작업은 다음과 같다.
제2트레이(30)를 전환시키는 경우 도면을 기준으로 행거봉(4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행거봉(40)의 지지부(44)가 제2트레이(30)의 제2레일부(31)에서 빠지면서 전체가 제1트레이(20)의 제1레일부(21)에 삽입된다.
이렇게 되면, 제1트레이(20)는 행거봉(4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 위치를 유지하지만 제2트레이(30)는 행거봉(40)의 구속을 받지 않아 일측만 지중 전력구(1)의 벽체에 지지되며, 제2트레이(30)를 하부로 당기면 제2트레이(30)가 축핀의 안내를 받아 도면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트레이(20)보다 낮은 높이로 하강하고 배선홈이 보이게 된다.
작업자는 지중 전력구(1)의 바닥에 서 있는 자세로 제2트레이(30)를 보수하고 배전케이블(3)을 배선 작업하며, 이 작업을 완료한 후 제2트레이(30)를 올리면 제2트레이(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트레이(20)와 일렬로 배열되어 제2레일부(31)가 제1레일부(21)와 일렬로 배열되면서 서로 통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행거봉(40)을 제2레일부(31)로 이동시켜 지지부(44)의 좌우 양측이 절반씩 제1,2레일부(21,31)에 삽입되도록 한다.
제1트레이(20)의 보수 작업 등이 필요한 경우 제1트레이(20)를 하강시켜야 하며, 이 작업은 전술한 제2트레이(30)의 설명을 통해 실시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해 추가 실시 가능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또는 제2트레이(20,30)의 위치를 전환시키기 위하여 행거봉(4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행거봉(40)의 이동 거리를 짧게 하기 위하여 지지부(44)는 출몰형으로 구성된다.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출몰형의 지지부(44)는 행거부(43)에 고정되며 내부에 좌우 양쪽을 향해 개방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소켓(44-1), 소켓(44-1)의 내부에 각각 좌우 양쪽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제1,2트레이(20,30)의 제1,2레일부(21,31)에 각각 삽입되는 제1,2지지부(44-2,44-3)를 포함한다.
제1,2트레이(20,30)를 행거봉(40)에 연결하는 경우 제1,2레일부(21,31)에 제1,2지지부(44-2,44-3)가 각각 삽입 연결(또는 소켓(44-1)의 양쪽 일부분도 삽입 가능)되어 있으며, 제1 또는 제2트레이(20,30)를 분리하는 경우 제1 또는 제2지지부(44-2,44-3)를 소켓(44-1) 안으로 삽입하여 제1,2레일부(21,31)에서 빼낸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행거봉(40)의 이동거리를 줄이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면에서처럼 행거봉(40)을 고정 상태에서 제1,2지지부(44-2,44-3)만을 출몰시키는 것을 통해 제1,2트레이(20,30)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제1 또는 제2트레이(20,30)를 하강시킬 때 제1 또는 제2트레이(20,30)에 올려진 상태로 배선되는 배전케이블(2,3)의 지지기반이 없어지게 되어 배전케이블(2,3)에 처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보조 트레이(50)가 포함된다.
제1트레이(20)에만 보조 트레이(50)가 적용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면, 보조 트레이(50)는 판형, 막대형 등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고, 제1트레이(20)의 구조에 따라 제1트레이(20)가 박스형인 경우 내부의 공간에 돌출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트레이(20)가 포크형인 경우 2개의 포크 사이(포크의 마주하는 면에 가이드레일 형성)에 돌출 가능하게 삽입된다.
보조 트레이(50)는 평상 시 제1트레이(20)에 삽입되어 있다가 제2트레이(30)를 전환시키는 경우 제2트레이(30)쪽으로 돌출되어 제2트레이(30)의 위치에서 제2트레이(30)에 올려진 배전케이블(3)을 받쳐 지지한다. 즉, 이와 같은 보조 트레이(50)는 반대쪽의 트레이인 제2트레이(30)와 유기적 결합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제2트레이(30)의 보수나 교체 시 제2트레이(30)가 배전케이블(3)의 지지위치에 없더라도 제2트레이(30) 위에 배선되어 있던 배전케이블(30)을 지지한다.
제2트레이(30)가 포크형인 경우 보조 트레이(50)는 제2트레이(30)의 포크들 사이에 삽입되어 제2트레이(30)의 회동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배전케이블(3)을 지지하게 된다.
보조 트레이(50)는 제1,2트레이(20,30)에 각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일측에만 설치되어 제1,2트레이(20,30)를 따라 이동하면서 삽입되어 일측에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1 : 지중 전력구,
10 : 레일, 11 : 천정측 레일부
12 : 연결부,
20,30 : 제1,2트레이, 21,31 : 제1,2레일부
40 : 행거봉, 41 : 슬라이딩부
42 : 연결부, 43 : 행거부
44 : 지지부, 44-1 : 소켓
44-1,44-2 : 제1,2지지부, 50 : 보조 트레이

Claims (4)

  1. 지중 전력구(1)의 천정부에 설치되는 레일(10)과;
    일측이 상기 지중 전력구의 좌우측 벽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전케이블이 각각 안착되는 제1,2트레이(20,30)와;
    상부가 상기 레일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편 저부가 상기 제1,2트레이의 마주하는 부분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2트레이를 좌우 횡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하거나 제1 또는 제2트레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나머지의 제2 또는 제1트레이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는 행거봉(40)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은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면서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지중 전력구의 천정에 설치되는 한 쌍의 천정측 레일부(11)를 포함하고,
    상기 제1,2트레이는 전후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제1,2레일부(21,31)를 포함하며,
    상기 행거봉은 상기 천정측 레일부에 각각 좌우 횡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부(41), 상기 슬라이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42), 상기 슬라이딩부의 저부에 상하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행거부(43), 상기 행거부의 저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2트레이의 제1,2레일부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행거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좌우 양쪽을 향해 개방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소켓(44-1), 상기 소켓의 내부에 각각 좌우 양쪽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제1,2트레이의 제1,2레일부에 각각 삽입되는 제1,2지지부(44-2,44-3)를 포함하여, 상기 제1,2지지부를 상기 소켓에 삽입하여 상기 행거봉의 좌우 이동 거리를 단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2트레이 중 하나 이상의 트레이에 좌우 횡방향을 따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반대쪽의 제2 또는 제1트레이가 회동할 때 상기 제1 또는 제2트레이에서 돌출되어 반대쪽의 제2 또는 제1트레이에 배선된 배전케이블을 지지하는 보조 트레이(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

KR1020230080413A 2023-06-22 2023-06-22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 KR102644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413A KR102644009B1 (ko) 2023-06-22 2023-06-22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413A KR102644009B1 (ko) 2023-06-22 2023-06-22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009B1 true KR102644009B1 (ko) 2024-03-06

Family

ID=9023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0413A KR102644009B1 (ko) 2023-06-22 2023-06-22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00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238B1 (ko) * 2009-03-03 2009-08-19 주식회사 이린 배전선의 배전위치 조정대
KR102076346B1 (ko) * 2019-08-30 2020-02-11 주식회사 종합전기기술사사무소 지중 배전케이블의 보호시설
KR102337856B1 (ko) * 2021-03-30 2021-12-10 (주)신라감리단 관리가 편리한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KR102363425B1 (ko) * 2021-05-20 2022-02-16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전선 배치가 용이한 지중송전선 트레이기구
KR102382990B1 (ko) 2021-06-16 2022-04-08 주식회사 더블유이앤지 지중배전상태 점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지지 트레이기구
KR102453956B1 (ko) * 2021-10-25 2022-10-14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이상확인이 기능을 갖춘 지중송전라인 지지기구
KR102459035B1 (ko) 2022-01-13 2022-10-26 주식회사 에이치디루체 지중배전선 안정적 배치 지지 트레이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238B1 (ko) * 2009-03-03 2009-08-19 주식회사 이린 배전선의 배전위치 조정대
KR102076346B1 (ko) * 2019-08-30 2020-02-11 주식회사 종합전기기술사사무소 지중 배전케이블의 보호시설
KR102337856B1 (ko) * 2021-03-30 2021-12-10 (주)신라감리단 관리가 편리한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KR102363425B1 (ko) * 2021-05-20 2022-02-16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전선 배치가 용이한 지중송전선 트레이기구
KR102382990B1 (ko) 2021-06-16 2022-04-08 주식회사 더블유이앤지 지중배전상태 점검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지지 트레이기구
KR102453956B1 (ko) * 2021-10-25 2022-10-14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이상확인이 기능을 갖춘 지중송전라인 지지기구
KR102459035B1 (ko) 2022-01-13 2022-10-26 주식회사 에이치디루체 지중배전선 안정적 배치 지지 트레이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869B1 (ko) 송배전 케이블 지중전력구 배열대
CN110194405B (zh) 电梯轿厢和包括电梯轿厢的电梯系统
CN101982395A (zh) 可移动式双柱汽车升降机
EP2511198B1 (en) Storage facility
US6241106B1 (en) Movable shelf
KR102644009B1 (ko)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
KR101326794B1 (ko) 고소작업대용 대차
KR101326793B1 (ko) 고소작업대
KR101347883B1 (ko) 공동구의 송배전 케이블 전력구 배열대
BR102013028165A2 (pt) estacionamento de veículos em múltiplos níveis e método de gestão de manobras
CN107401223A (zh) 一种用于钢结构立柱与横梁的连接结构
CN111271514A (zh) 机电综合支吊架及其安装方法
US11724915B2 (en) Top extensible section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elevator car assembly and elevator system
KR100917395B1 (ko) 송배전 케이블 설치를 위한 양방향 접이식과 높이 조정이 가능한 전력구 내부 선반장치
CN212392581U (zh) 一种旁路作业跨越架
ITTO20100134U1 (it) Piattaforma di elevazione per la revisione di aerogeneratori
CN211901807U (zh) 机电综合支吊架
NO326786B1 (no) Baere- og foringsinnretning for holding av bevegelige dor - og veggelementer.
JP2854741B2 (ja) 車体搬送用仮台車
KR101967166B1 (ko) 공동주택용 천장형 케이블트레이
JP6865151B2 (ja) 重量物搬送台車
CN209448365U (zh) 应用于管廊内的电力缆线支架
CN207710118U (zh) 白车身焊接生产线用转角滑台单元
CN207593123U (zh) 白车身焊接生产线用定位机构
JP3670746B2 (ja) 重量物の移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