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035B1 - 지중배전선 안정적 배치 지지 트레이기구 - Google Patents
지중배전선 안정적 배치 지지 트레이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9035B1 KR102459035B1 KR1020220005452A KR20220005452A KR102459035B1 KR 102459035 B1 KR102459035 B1 KR 102459035B1 KR 1020220005452 A KR1020220005452 A KR 1020220005452A KR 20220005452 A KR20220005452 A KR 20220005452A KR 102459035 B1 KR102459035 B1 KR 1024590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shaft
- underground distribution
- corrugated pipe
- p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 안정적 배치 지지 트레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요부(P1)가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어서 주름진 형태를 이루는 파형관(P)과, 상기 파형관(P)을 따라 서로 간격을 유지하게 안착하여 지중배전선(W)을 지지하는 복수의 선반(C)으로 이루어진 트레이기구에 있어서, 상기 선반(C)은, 상기 파형관(P) 안쪽의 요부(P1)에 삽입되어 내면과 접하도록 곡면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요부(P1)의 내면을 타고 슬라이딩하도록 롤링 가능한 복수의 볼(11, 11')이 설치된 한 쌍의 프로브(10a, 10b); 복수의 스탠드(21, 22)와 복수의 그래브(23a, 23b)가 서로 일렬로 연결되어 바아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프로브(10a, 10b)에 고정되되, 상기 그래브(23a, 23b)는, 곡면판 형상을 이루며 지중배전선(W)이 안착 고정되는 홀더(231)와, 상기 홀더(231)와 연결된 제1의 회전축대(232)와, 상기 제1의 회전축대(23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의 축홈(233a)을 구성한 본체(233)를 이루고, 상기 본체(233)는, 단부가 외향으로 테이퍼진 돌기(T)를 이루는 복수의 탄성핀(PIN)이, 상기 스탠드(21, 22) 또는 다른 그래브(23a, 23b)와 연결되는 일측면 또는 양측면 상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제2의 회전축대(233b)를 이루며, 상기 제2의 회전축대(233b)가 형성된 본체(233)와 마주하는 스탠드(21, 2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내측에 단차를 이루는 걸림홈이 확장 구성된 제2의 축홈(212, 221)이 형성되어서, 제2의 회전축대(233b)가 제2의 축홈(212, 221)에 삽입될 때 복수의 탄성핀(PIN)이 테이퍼진 돌기(T)를 따라 휘면서 서로 오므라들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2의 축홈(212, 221)의 걸림홈에서 복수의 탄성핀(PIN)이 탄성으로 복원되어지며 돌기(T)가 걸림홈의 턱에 걸려지도록 형성된 한 쌍의 아암(20a, 20b); 한 쌍의 아암(20a, 20b)의 타단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하나의 아암(20a)과 연결되는 제1의 관(31)과, 다른 하나의 아암(20b)과 연결되고 제1의 관(31)의 끼움공(311)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해 연결되는 삽입부(321)를 구성한 제2의 관(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암의 횡방향으로 개구된 관통공(30a)을 구성한 힌지(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 안정적 배치 지지 트레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배전선은 파형관에 삽입해서 지중에 매립한다. 그런데 지중배전선은 안정된 매립을 위해 굴곡을 이루고 비교적 내경이 좁은 파형관 안으로 복수 개가 삽입되므로, 파형관 안의 지중배전선은 서로 나란하지 못하고 꼬이거나 굴곡을 이루었다. 지중배전선 간의 지나친 꼬임과 굴곡은 지중배전선들을 서로 엉키게 해서 보수 관리에 어려움을 낳았고, 곧은 배선 상태에 비해 지중배전선의 불필요한 소비를 일으키므로 지중배전선을 파형관을 따라 가능한 한 곧게 유지하도록 파형관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0-1315496호(2013.09.30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파형관 내부에서의 지중배전선 간의 배전 연결이 안정하게 이루어지고 복수의 지중배전선을 서로 간에 꼬임 없이 파형관을 따라 곧게 설치해서 배전 거리 대비 지중배전선의 소비량을 줄이는 지중배전선 안정적 배치 지지 트레이기구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요부(P1)가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어서 주름진 형태를 이루는 파형관(P)과, 상기 파형관(P)을 따라 서로 간격을 유지하게 안착하여 지중배전선(W)을 지지하는 복수의 선반(C)으로 이루어진 트레이기구에 있어서,
상기 선반(C)은,
상기 파형관(P) 안쪽의 요부(P1)에 삽입되어 내면과 접하도록 곡면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요부(P1)의 내면을 타고 슬라이딩하도록 롤링 가능한 복수의 볼(11, 11')이 설치된 한 쌍의 프로브(10a, 10b);
복수의 스탠드(21, 22)와 복수의 그래브(23a, 23b)가 서로 일렬로 연결되어 바아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프로브(10a, 10b)에 고정되되, 상기 그래브(23a, 23b)는, 곡면판 형상을 이루며 지중배전선(W)이 안착 고정되는 홀더(231)와, 상기 홀더(231)와 연결된 제1의 회전축대(232)와, 상기 제1의 회전축대(23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의 축홈(233a)을 구성한 본체(233)를 이루고, 상기 본체(233)는, 단부가 외향으로 테이퍼진 돌기(T)를 이루는 복수의 탄성핀(PIN)이, 상기 스탠드(21, 22) 또는 다른 그래브(23a, 23b)와 연결되는 일측면 또는 양측면 상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제2의 회전축대(233b)를 이루며, 상기 제2의 회전축대(233b)가 형성된 본체(233)와 마주하는 스탠드(21, 2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내측에 단차를 이루는 걸림홈이 확장 구성된 제2의 축홈(212, 221)이 형성되어서, 제2의 회전축대(233b)가 제2의 축홈(212, 221)에 삽입될 때 복수의 탄성핀(PIN)이 테이퍼진 돌기(T)를 따라 휘면서 서로 오므라들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2의 축홈(212, 221)의 걸림홈에서 복수의 탄성핀(PIN)이 탄성으로 복원되어지며 돌기(T)가 걸림홈의 턱에 걸려지도록 형성된 한 쌍의 아암(20a, 20b); 및
한 쌍의 아암(20a, 20b)의 타단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하나의 아암(20a)과 연결되는 제1의 관(31)과, 다른 하나의 아암(20b)과 연결되고 제1의 관(31)의 끼움공(311)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해 연결되는 삽입부(321)를 구성한 제2의 관(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암의 횡방향으로 개구된 관통공(30a)을 구성한 힌지(30);
를 포함하는 지중배전선 안정적 배치 지지 트레이기구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파형관 내부에서의 지중배전선 간의 배전 연결이 안정하게 이루어지고 복수의 지중배전선이 서로 간에 꼬임 없이 파형관을 따라 곧게 설치되어서 배전 거리 대비 지중배전선의 소비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기구에서 선반을 파형관에 설치하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기구의 선반에 지중배전선이 설치되어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기구의 일실시 예를 파형관에 설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에 구성된 아암을 일부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아암에 구성된 그래브의 동작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기구의 선반에 지중배전선이 설치되어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기구의 일실시 예를 파형관에 설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에 구성된 아암을 일부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아암에 구성된 그래브의 동작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기구에서 선반을 파형관에 설치하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기구의 선반에 지중배전선이 설치되어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기구의 일실시 예를 파형관에 설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기구는 파형관(P)과 복수의 선반(C)으로 구성된다. 복수의 선반(C)은 파형관(P)을 따라 서로 이격하게 배치되므로, 파형관(P)에 가설되는 지중배전선(W)은 복수의 선반(C)에 안착되어 파형관(P) 안쪽의 바닥에서 이격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파형관(P)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요부(P1)가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어서 주름진 형태를 이루며 유연한 재질로 제작되므로, 배치 자세와 방향의 변환이 자유롭다. 일반적으로 파형관(P)은 배치 자세와 방향의 변환이 자유롭도록 원형 관 형태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반(C)은, 파형관(P) 안쪽의 요부(P1)에 삽입되어 내면과 접하도록 곡면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프로브(10a, 10b)와, 복수의 스탠드(21, 22)와 복수의 그래브(23a, 23b)가 서로 일렬로 연결되어 바아(BAR)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프로브(10a, 10b)에 고정되는 한 쌍의 아암(20a, 20b; ARM)과, 한 쌍의 아암(20a, 20b)의 타단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30)로 구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아암(20a, 20b)은 힌지(30)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한 쌍의 아암(20a, 20b)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프로브(10a, 10b) 또한 아암(20a, 20b)의 회동을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반(C)은 지중 매설을 위해 파형관(P)에 삽입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작업자는 별도의 작업봉(H)을 이용한다. 작업봉(H)은, 선반(C)을 파형관(P) 안쪽의 지정 위치까지 삽입하도록 충분한 길이의 장대부(H1)와, 장대부(H1)의 단부에 힌지(30)에 삽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삽탈부(H2)와, 작업자가 장대부(H1)를 놓침 없이 쥐고 작업할 수 있도록 손잡이(H3)로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파형관(P) 안쪽에 선반(C)을 삽입해 설치하기 위해서, 삽탈부(H2)를 힌지(30)에 끼우고 파형관(P)에 삽입한다. 삽탈부(H2)를 힌지(30)에 끼우면 자중에 의해 한 쌍의 아암(20a, 20b)은 힌지(30)를 중심으로 내려앉으며 파형관(P)의 안쪽에서 도 3의 (a)도면과 같이 접혀진 자세를 이룬다.
파형관(P) 안쪽에서 선반(C)을 지정 위치까지 삽입하면, 작업자는 아암(20a, 20b)의 일단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프로브(10a, 10b)의 외면이 파형관(P)의 내면과 맞닿도록 선반(C)을 아래로 내린다. 선반(C)의 배치 안정성을 위해 프로브(10a, 10b)를 파형관(P) 안쪽의 요부(P1)에 삽입해서 내면과 접하도록 한다.
프로브(10a, 10b)의 외면이 요부(P1)의 내면과 맞닿으면, 작업자는 작업봉(H)을 선반(C)으로부터 분리해서 선반(C)을 파형관(P) 안쪽의 바닥부에 안착시킨다. 작업봉(H)과 분리된 선반(C)은 자중에 의해 중심부가 내려앉아서 도 3의 (b)도면과 같이 한 쌍의 아암(20a, 20b)이 펼쳐진 자세를 이룬다. 아암(20a, 20b)의 길이는 특정 길이에 한정하지 않을 것이나, 도 3의 (b)도면과 같이 한 쌍의 아암(20a, 20b)의 길이를 파형관(P)의 내경의 길이 이상으로 해서 다소 경사진 자세를 이루도록 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한 쌍의 아암(20a, 20b)이 강한 하중에도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면, 한 쌍의 아암(20a, 20b)의 길이를 파형관(P)의 내경의 길이 미만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요부(P1)에 맞닿은 프로브(10a, 10b)가 요부(P1)의 내면을 타고 슬라이딩하도록 롤링 가능한 복수의 볼(11, 11')이 설치된다. 프로브(10a, 10b)의 외면에 설치된 볼(11, 11')은 구형일 수도 있으나 롤러 형태일 수도 있다.
프로브(10a, 10b)가 요부(P1)의 내면을 타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면, 파형관(P)의 내면에 안착된 선반(C)은 지중배전선(W)의 위치 변화에 따라 선반(C)이 간섭없이 자유롭게 회전하며 지중배전선(W)의 배선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에 구성된 아암을 일부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아암에 구성된 그래브의 동작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기구의 선반(C)에 포함된 한 쌍의 아암(20a, 20b)은, 복수의 스탠드(21, 22)와 복수의 그래브(23a, 23b)가 서로 일렬로 연결되어 바아(BAR) 형태를 이루어서 힌지(30)를 매개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제1의 스탠드(21)는 프로브(10a, 10b)와 그래브(23a, 23b) 간의 간격 유지를 위해 프로브(10a, 10b)로부터 돌출하게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의 그래브(23a)는 제1의 스탠드(21)와 연결되고, 제2의 스탠드(22)는 제1의 그래브(23a)와 연결되고, 제2의 그래브(23b)는 일단이 제2의 스탠드(22)와 연결되고, 타단이 힌지(30)의 고정대(312)와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의 그래브(23a)와 제2의 그래브(23b)가 제2의 스탠드(22)를 매개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었으나, 아암(20a, 20b)을 구성하는 그래브(23a, 23b)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의 그래브(23a, 23b)는, 곡면판 형상을 이루는 홀더(231)와, 상기 홀더(231)와 연결된 제1의 회전축대(232)와, 상기 제1의 회전축대(23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의 축홈(233a)을 구성한 본체(233)로 이루어진다. 홀더(231)는 지중배전선(W)의 안착 고정을 위한 것으로 누전 방지를 위해 절연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의 회전축대(232)는 홀더(231)의 저면에서 돌출하게 형성된 막대 형상을 이룬다. 회전축의 기능을 수행해야 하므로 원기둥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33)는 제1의 회전축대(232)를 매개로 홀더(231)와 연결된다. 원기둥 형태의 제1의 회전축대(232)는 제1의 축홈(233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므로, 홀더(231)는 제1의 회전축대(232)를 중심으로 본체(23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의 축홈(233a)을 관통한 제1의 회전축대(232)가 분리되지 않도록, 제1의 축홈(233a)으로부터 돌출한 제1의 회전축대(232)의 단부에 제1의 축홈(233a)보다 직경이 확장된 걸림부재(234)를 보강한다.
본체(233)에 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서 본체(233)는, 단부가 외향으로 테이퍼진 돌기(T)를 이루는 복수의 탄성핀(PIN)이, 상기 스탠드(21, 22) 또는 다른 그래브(23a, 23b)와 연결되는 양측면 상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제2의 회전축대(233b)를 이룬다. 따라서 제2의 회전축대(233b)의 탄성핀(PIN)은 돌기(T)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제2의 회전축대(233b)의 중심 방향으로 휘어지고, 상기 외력이 소실하면 탄성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한다. 복수의 탄성핀(PIN)이 조합해 이루어진 제2의 회전축대(233b)는 원 기둥 형태를 이루므로, 본체(233)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의 회전축대(233b)에 상응해서 본체(233)와 접하는 스탠드(21, 22)의 일면에는 제2의 회전축대(233b)가 테이퍼진 돌기(T)를 따라 오므라지며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내측 걸림홈에서 탄성으로 벌어져 돌기(T)가 턱에 걸리도록 된 제2의 축홈(212, 221)을 구성한다. 제2의 축홈(212, 221)의 내경은 제2의 회전축대(233b)의 돌기(T)가 이루는 외경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제2의 회전축대(233b)가 제2의 축홈(212, 221)에 삽입될 때 복수의 탄성핀(PIN)은 테이퍼진 외면을 따라 오므라든다. 제2의 축홈(212, 221)의 내측에는 돌기(T)가 이루는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걸림홈이 단차를 이루도록 확장 구성되므로, 제2의 회전축대(223b)에서 탄성핀(PIN)의 돌기(T)가 걸림홈에 이르면 돌기(T)에 대한 가압이 소멸한다. 따라서 탄성핀(PIN)은 제 형상으로 복원하며 돌기(T)가 걸림홈의 턱에 걸리게 되어서, 제2의 축홈(212, 221)에 대한 제2의 회전축대(223b)는 분리가 제한된다. 결국, 복수의 탄성핀(PIN)이 원형 라인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제2의 회전축대(233b)는 제2의 축홈(212, 221)에서 분리되지 않으며 회전할 수 있다.
이상의 연결 구조를 통해 도 6의 (a)도면과 같이, 본체(233)는 스탠드(21, 22)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도 6의 (b)도면과 같이 홀더(231)는 본체(233)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선반(C)은 지중배전선(W)을 배선 방향과 위치 등에 맞춰 간섭 없이 다양한 각도로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의 회전축대(233b)를 본체(233)의 양측면에 배치하고, 제2의 축홈(212, 221)을 제1의 스탠드(21)의 일면과, 제2의 스탠드(22)의 양면에 배치하였으나, 이외에도 제2의 축홈(212, 221)을 본체(233)의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배치하고, 제2의 회전축대를 제1의 스탠드(21)의 일면과, 제2의 스탠드(22)의 양면에 배치할 수 있다.
힌지(30)는 한 쌍의 아암(20a, 20b)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를 위해 힌지(30)는, 하나의 아암(20a)과 연결되는 제1의 관(31)과, 다른 하나의 아암(20b)과 연결되고 제1의 관(31)의 끼움공(311)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해 연결되는 삽입부(321)를 구성한 제2의 관(3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의 관(31)과 제2의 관(32)에는 아암(20a, 20b)의 횡방향으로 관통공(30a)이 형성되어서, 작업봉(H)의 삽탈부(H2)를 힌지(30)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했다. 결국, 작업자는 작업봉(H)을 아암(20a, 20b)과 수직하도록 힌지(30)에 연결해서 선반(C)을 도 3과 같은 자세를 유지하며 파형관(P)의 안쪽으로 깊이 삽입하고, 선반(C)이 파형관(P) 안쪽의 지정 위치에 이르면 작업봉(H)을 선반(C)에서 분리해서 선반(C)이 파형관(P) 안쪽에 안착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의 관(32)의 삽입부(321)는 제1의 관(31)의 끼움공(311)으로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되므로, 삽입부(321)가 끼움공(31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삽입부(321)의 말단이 끼움공(311)을 관통해 돌출하도록 되고, 상기 말단 둘레에는 나사부(322)를 형성하며, 제1의 관(31)을 관통해서 돌출된 나사부(322)는 너트(33)로 마감해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였다. 하지만, 제1의 관(31)과 제2의 관(32) 간의 연결 구조는 본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a, 10b: 프로브 11, 11': 볼 20a, 20b: 아암
21: 제1의 스탠드 212: 221: 제2의 축홈 22: 제2의 스탠드
23a: 제1의 그래브 23b: 제2의 그래브 231: 홀더
232: 제1의 회전축대 233: 본체 233a: 제1의 축홈
233b: 제2의 회전축대 234: 걸림부재 30: 힌지
31: 제1의 관 311: 끼움공 312: 고정대
32: 제2의 관 321: 삽입부 322: 나사부
33: 너트 C: 선반
H: 작업봉 H1: 장대부 H2: 삽탈부
H3: 손잡이 P: 파형관 PIN: 탄성핀
T: 돌기
21: 제1의 스탠드 212: 221: 제2의 축홈 22: 제2의 스탠드
23a: 제1의 그래브 23b: 제2의 그래브 231: 홀더
232: 제1의 회전축대 233: 본체 233a: 제1의 축홈
233b: 제2의 회전축대 234: 걸림부재 30: 힌지
31: 제1의 관 311: 끼움공 312: 고정대
32: 제2의 관 321: 삽입부 322: 나사부
33: 너트 C: 선반
H: 작업봉 H1: 장대부 H2: 삽탈부
H3: 손잡이 P: 파형관 PIN: 탄성핀
T: 돌기
Claims (1)
-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요부(P1)가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어서 주름진 형태를 이루는 파형관(P)과, 상기 파형관(P)을 따라 서로 간격을 유지하게 안착하여 지중배전선(W)을 지지하는 복수의 선반(C)으로 이루어진 트레이기구에 있어서,
상기 선반(C)은,
상기 파형관(P) 안쪽의 요부(P1)에 삽입되어 내면과 접하도록 곡면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요부(P1)의 내면을 타고 슬라이딩하도록 롤링 가능한 복수의 볼(11, 11')이 설치된 한 쌍의 프로브(10a, 10b);
복수의 스탠드(21, 22)와 복수의 그래브(23a, 23b)가 서로 일렬로 연결되어 바아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프로브(10a, 10b)에 고정되되, 상기 그래브(23a, 23b)는, 곡면판 형상을 이루며 지중배전선(W)이 안착 고정되는 홀더(231)와, 상기 홀더(231)의 저면에 연결된 제1의 회전축대(232)와, 상기 제1의 회전축대(23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의 축홈(233a)을 구성한 본체(233)를 이루고, 상기 본체(233)는, 단부가 외향으로 테이퍼진 돌기(T)를 이루는 복수의 탄성핀(PIN)이, 상기 스탠드(21, 22) 또는 다른 그래브(23a, 23b)와 연결되는 일측면 또는 양측면 상에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제2의 회전축대(233b)를 이루며, 상기 제2의 회전축대(233b)가 형성된 본체(233)와 마주하는 스탠드(21, 22)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내측에 단차를 이루는 걸림홈이 확장 구성된 제2의 축홈(212, 221)이 형성되어서, 제2의 회전축대(233b)가 제2의 축홈(212, 221)에 삽입될 때 복수의 탄성핀(PIN)이 테이퍼진 돌기(T)를 따라 휘면서 서로 오므라들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2의 축홈(212, 221)의 걸림홈에서 복수의 탄성핀(PIN)이 탄성으로 복원되어지며 돌기(T)가 걸림홈의 턱에 걸려지도록 형성된 한 쌍의 아암(20a, 20b); 및
한 쌍의 아암(20a, 20b)의 타단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하나의 아암(20a)과 연결되는 제1의 관(31)과, 다른 하나의 아암(20b)과 연결되고 제1의 관(31)의 끼움공(311)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해 연결되는 삽입부(321)를 구성하며 삽입부(321)가 끼움공(31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삽입부(321)의 말단이 끼움공(311)을 관통해 돌출하도록 되는 한편 삽입부(321)의 말단 둘레에는 나사부(322)가 형성된 제2의 관(32)과, 제1의 관(31)을 관통해서 돌출된 나사부(322)의 둘레에 끼워져서 제2의 관(32)이 제1의 관(3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마감하는 너트(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암의 횡방향으로 개구된 관통공(30a)을 구성한 힌지(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배전선 안정적 배치 지지 트레이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5452A KR102459035B1 (ko) | 2022-01-13 | 2022-01-13 | 지중배전선 안정적 배치 지지 트레이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5452A KR102459035B1 (ko) | 2022-01-13 | 2022-01-13 | 지중배전선 안정적 배치 지지 트레이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9035B1 true KR102459035B1 (ko) | 2022-10-26 |
Family
ID=8378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5452A KR102459035B1 (ko) | 2022-01-13 | 2022-01-13 | 지중배전선 안정적 배치 지지 트레이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903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4009B1 (ko) | 2023-06-22 | 2024-03-06 | 주식회사 다보기술단 |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5984Y1 (ko) * | 2005-10-25 | 2006-01-11 | 한국전력공사 | 지중배전용 파형관 삽입형 방수 구조체 |
KR100914851B1 (ko) * | 2009-05-22 | 2009-09-02 | 제이엔케이기술단(주) | 지중배전선로의 지지구 |
KR101315496B1 (ko) | 2013-07-17 | 2013-10-08 | 주식회사 타우이엔지 |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
-
2022
- 2022-01-13 KR KR1020220005452A patent/KR10245903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5984Y1 (ko) * | 2005-10-25 | 2006-01-11 | 한국전력공사 | 지중배전용 파형관 삽입형 방수 구조체 |
KR100914851B1 (ko) * | 2009-05-22 | 2009-09-02 | 제이엔케이기술단(주) | 지중배전선로의 지지구 |
KR101315496B1 (ko) | 2013-07-17 | 2013-10-08 | 주식회사 타우이엔지 |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4009B1 (ko) | 2023-06-22 | 2024-03-06 | 주식회사 다보기술단 | 지중 배전케이블 행거 트레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48584B2 (en) | Wall mounting monitor bracket | |
KR102459035B1 (ko) | 지중배전선 안정적 배치 지지 트레이기구 | |
US8162268B1 (en) | Monitor support device | |
US6732660B2 (en) | Modular workstation | |
US7703400B2 (en) | Table with a swivelable table top | |
JP2009233331A (ja) | 医療機器用フレキシブル締結器具 | |
US20080106018A1 (en) | Pivoting head for welding stand | |
US7637466B2 (en) | Urological instrument mounting device | |
KR102461812B1 (ko) | 다양한 각도 배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용 커넥팅 기구 | |
CN102595967B (zh) | 一种电脑桌的伸缩臂 | |
CN201000767Y (zh) | 一种台式电脑用电脑支架 | |
US20130283583A1 (en) | Turbine extension nut support tool | |
US7832692B1 (en) | Pipe installation support device | |
KR102472684B1 (ko) | 전력구 내 배치가 편리한 편의성 향상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 |
JP2010078737A (ja) | 薄型表示装置とその支持装置 | |
CN212986585U (zh) | 一种便于使用的视频会议一体机 | |
CN219016421U (zh) | 一种电压监测仪 | |
KR20220115484A (ko) | 낚시대 앞받침대 각도 조절장치 | |
JPH0881125A (ja) | リール台 | |
GB2439913A (en) | Wall mounted monitor bracket | |
KR200413707Y1 (ko) | 평판형디스플레이 거치대 | |
CN210084606U (zh) | 一种通信线缆放线装置 | |
KR200327266Y1 (ko) | 팔 지지장치 | |
JP2002194872A (ja) | 手摺り及び接続具 | |
JP2016213754A (ja) | 機器支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