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496B1 -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496B1
KR101315496B1 KR1020130084367A KR20130084367A KR101315496B1 KR 101315496 B1 KR101315496 B1 KR 101315496B1 KR 1020130084367 A KR1020130084367 A KR 1020130084367A KR 20130084367 A KR20130084367 A KR 20130084367A KR 101315496 B1 KR101315496 B1 KR 101315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distribution line
underground distribution
upper tub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우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우이엔지
Priority to KR1020130084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6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using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4Devices affording localised 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를 커버하고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상부관과, 지중 배전선로가 수납되고, 삽입돌기가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도록 삽입홈부가 구비되는 삽입공간부가 형성되며, 장착홈부가 형성되는 하부관과, 삽입돌기와 삽입공간부 사이에 개재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완충부재와, 장착홈부에 결합되는 로드와, 로드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고, 지중에 매설되는 실린더본체와, 로드와 실린더본체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완충실린더와, 상부관과 하부관의 단부가 압입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삽입공간부가 압입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상부관과 하부관이 결합된 다수 개의 조립체를 서로 연결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PROTECTING TUBE FOR DISTRIBUTION LINE IN UNDERGROUND}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을 굴착할 때에 굴착장치가 보호관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보호관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또는 지하수를 보호관 외부로 배출하며, 보호관의 교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가공 배전선로 지중화는 1973년 효자동에서 광화문구간까지 복잡하게 시설되어 있는 배전선로를 정비 측면에서 간선도로변의 전주를 뒷골목에 이설, 저압케이블을 사용 주상변압기로부터 인근 수용가를 공급함으로써 시작되었으며,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추세이다.
참고로, 지중 선로 공사방식은 크게 직매식과, 관로식, 전력구식 및 교량 첨가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전력구식은 암거식 또는 동도식이라고도 하며, 이러한 전력구식에는 배전선로를 배열하기 위해 이를 보호하는 보호관과 선반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배전선로 보호관은, 지중에 매설되는 관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콘크리트 구조물에 내설되는 선반으로 이루어진다.
선반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좌우측 내벽면에 벽과 밀착시켜 바닥면과 수직하게 고정배치되어, 이 선반에 배전선로들이 설치된다.
한편, 선반들 사이에는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통로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전력구식 공사에서는 단순히 선반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서 그 양측벽에 층을 이루면서 고정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누수가 발생하면 양측벽에 설치된 선반을 따라 수분이 이동하여 배전선로를 적시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상황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산화가 촉진되어 배전선로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배전선로가 젖으면 지하의 밀폐된 공간에 설치된 그 특성상 쉽게 마르지 않아 작업이 불편한 문제도 있었다.
이렇게 산화된 배전선로는 산화된 부위를 통해 전류가 흐르는 도선이 노출되는 가능성이 커지므로 정전 또는 감전사고 등의 전기사고의 발생률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종래에는 선반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측벽에 단단하게 고정되므로, 지진이나 진동이 발생하면 선반이 벽체로부터 분리될 뿐만 아니라 휘거나 절단되는 등 기타 선반이 파손이 야기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0649호(2009년 3월 27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침수방지를 위한 지중형 배전선로 보호관)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배전서로 보호관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굴착장치를 사용하여 지면을 굴착하는 작업 중에 굴착장치가 보호관을 가격하는 오작동이 발생될 때에 쉽게 파손되고, 파손된 보호관을 쉽게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지면을 굴착할 때에 굴착장치가 보호관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보호관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또는 지하수를 보호관 외부로 배출하며, 보호관의 교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를 커버하고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상부관; 상기 지중 배전선로가 수납되고, 상기 삽입돌기가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도록 삽입홈부가 구비되는 삽입공간부가 형성되며, 장착홈부가 형성되는 하부관; 상기 삽입돌기와 상기 삽입공간부 사이에 개재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완충부재; 상기 장착홈부에 결합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고, 지중에 매설되는 실린더본체와, 상기 로드와 상기 실린더본체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완충실린더; 및 상기 상부관과 상기 하부관의 단부가 압입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부가 압입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관과 상기 하부관이 결합된 다수 개의 조립체를 서로 연결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관에는 수분이 모아지도록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집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부에는 지중에 매설되는 드레인관의 슬리이딩홈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돌기부를 구비하는 배수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상부관의 하단으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공간부는 상기 삽입돌기가 슬라이딩되며 출몰될 수 있도록 양측 단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은,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부관과 하부관 사이에 완충부재가 개재되며, 완충실린더에 의해 하부관이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므로 굴착장치가 보호관을 가격하는 오작업이 발생되는 경우에 완충부재 및 완충실린더의 작용에 의해 보호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은, 하부관 바닥면에 집수부와 배수관이 구비되고, 배수관은 드레인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보호관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이 배수관 및 드레인관을 따라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굴착장치가 보호관을 가격하는 오작동에 의해 배수관과 드레인관 사이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은, 상부관과 하부관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조립체가 커플러에 의해 연결되므로 파손된 상부관 또는 하부관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의 하부관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의 하부관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의 배수관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의 커플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의 하부관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의 하부관 장착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의 배수관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의 커플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은, 지중 배전선로(10)를 커버하고 삽입돌기(32a)가 형성되는 상부관(32)과, 지중 배전선로(10)가 수납되고, 삽입돌기(32a)가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도록 삽입홈부(52)가 구비되는 삽입공간부(50)가 형성되며, 장착홈부(34a)가 형성되는 하부관(34)과, 삽입돌기(32a)와 삽입공간부(50) 사이에 개재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완충부재(54)와, 장착홈부(34a)에 결합되는 로드(74), 로드(74)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고, 지중에 매설되는 실린더본체(72) 및 로드(74)와 실린더본체(72)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76)를 포함하는 완충실린더(70)와, 상부관(32)과 하부관(34)의 단부가 압입되는 결합홈부(82)가 형성되고, 삽입공간부(50)가 압입되는 안착홈부(84)가 형성되며, 상부관(32)과 하부관(34)이 결합된 다수 개의 조립체를 서로 연결하는 커플러(80)를 포함한다.
지중 배전선로(10)를 매설할 때에는 지면을 굴착한 후에 지면에 형성되는 홈부 바닥면에 완충실린더(70)가 결합된 하부관(34)을 매설하고, 하부관(34) 내부에 지중 배전선로(10)가 수납되도록 지중 배전선로(10)를 설치한다.
이때, 다수 개의 하부관(34) 사이에 커플러(80)가 배치되도록 하부관(34)과 커플러(80)를 배치시킨다.
이후에, 상부관(32)의 삽입돌기(32a)를 하부관(34)의 삽입공간부(50)에 슬라이딩시켜 상부관(32)과 하부관(34)을 결합하는데, 이때, 삽입돌기(32a)와 삽입공간부(50) 사이에 완충부재(54)가 개재되도록 삽입돌기(32a)와 함께 완충부재(54)를 삽입공간부(50) 내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상부관(32)과 하부관(34)을 결합한다.
상부관(32)과 하부관(34)이 결합된 다수 개의 조립체가 완성되면 조립체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커플러(80)에 상부관(32)과 하부관(34)의 단부를 압입하는데, 하나의 커플러(80) 양면에는 각각 서로 다른 상부관(32)과 하부관(34)의 단부가 압입되면서 다수 개의 상부관(32)과 하부관(34)이 하나의 보호관으로 조립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중 배전선로(10)가 수납되도록 보호관이 지중에 매설된 후에 다른 배관의 시공이나 공사를 행할 때에 굴착장치를 사용하여 다시 지면을 굴착할 수 있는데, 이때, 작업자의 실수로 굴착장치가 보호관을 가격하면 완충부재(54) 및 완충실린더(70)의 작용에 의해 보호관이 유동되면서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상부관(32)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완충부재(54)가 압축되면서 충격이 하부관(34)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완충부재(54)의 압축이 이루어진 후에는 완충실린더(70)의 작동에 의해 상부관(32) 및 하부관(34)이 유동되면서 상부관(32) 및 하부관(34)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관(32) 및 하부관(34)은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변형되었다가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으며, 특히, 충격에 강한 GRP(Glass Reinforced Polyester)파이프를 사용하여 상부관(32) 및 하부관(34)을 제작하면 충격에 의한 상부관(32) 및 하부관(34)의 파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부관(34)에는 수분이 모아지도록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집수부(36)가 형성되고, 집수부(36)에는 지중에 매설되는 드레인관(38)의 슬리이딩홈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돌기부(37a)를 구비하는 배수관(37)이 형성된다.
하부관(34)의 저면에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집수부(36)가 형성되므로 보호관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은 집수부(36)에 모아지고, 집수부(36)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37)을 따라 보호관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관(37)은 지중에 매설되어 하수도로 연결되는 드레인관(38)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데, 배수관(37)에는 이동돌기부(37a)가 형성되고, 드레인관(38)에는 이동돌기부(37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홈부(38a)가 형성된다.
따라서 보호관에 충격이 전달되어 보호관이 수직방향으로 유동될 때에 이동돌기부(37a)가 슬라이딩홈부(38a)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배수관(37)이 드레인관(38)으로부터 출몰되므로 배수관(37)과 드레인관(38) 사이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삽입돌기(32a)는 상부관(32)의 하단으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고, 삽입공간부(50)는 삽입돌기(32a)가 슬라이딩되며 출몰될 수 있도록 양측 단부가 개방된다.
따라서 다수 개의 상부관(32) 중에 어느 하나의 교체작업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커플러(80)로부터 상부관(32)과 하부관(34)을 분리시키고,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는 상부관(32)과 하부관(34)의 조립체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다른 조립체와 이격시킨 후에 상부관(32)을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하부관(34)과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새로운 상부관(32)의 삽입돌기(32a)를 하부관(34)의 삽입공간부(50)에 슬랑딩시키면서 결합하여 파손된 상부관(32)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이후에, 상부관(32)과 하부관(34)이 결합된 조립체의 단부에 커플러(80)를 압입하여 상부관(32) 교체작업을 종료한다.
이로써, 지면을 굴착할 때에 굴착장치가 보호관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보호관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 또는 지하수를 보호관 외부로 배출하며, 보호관의 교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지중 배전선호 보호관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지중 배전선호 보호관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보호관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배전선로 32 : 상부관
32a : 삽입돌기 34 : 하부관
34a : 장착홈부 36 : 집수부
37 : 배수관 37a : 이동돌기부
38 : 드레인관 38a : 슬라이딩홈부
50 : 삽입공간부 52 : 삽입홈부
54 : 완충부재 70 : 완충실린더
72 : 실린더본체 74 : 로드
76 : 탄성부재 80 : 커플러
82 : 결합홈부 84 : 안착홈부

Claims (3)

  1. 지중 배전선로를 커버하고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상부관;
    상기 지중 배전선로가 수납되고, 상기 삽입돌기가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도록 삽입홈부가 구비되는 삽입공간부가 형성되며, 장착홈부가 형성되는 하부관;
    상기 삽입돌기와 상기 삽입공간부 사이에 개재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완충부재;
    상기 장착홈부에 결합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고, 지중에 매설되는 실린더본체와, 상기 로드와 상기 실린더본체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완충실린더; 및
    상기 상부관과 상기 하부관의 단부가 압입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부가 압입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관과 상기 하부관이 결합된 다수 개의 조립체를 서로 연결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에는 수분이 모아지도록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집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부에는 지중에 매설되는 드레인관의 슬리이딩홈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돌기부를 구비하는 배수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상부관의 하단으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공간부는 상기 삽입돌기가 슬라이딩되며 출몰될 수 있도록 양측 단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KR1020130084367A 2013-07-17 2013-07-17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KR101315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367A KR101315496B1 (ko) 2013-07-17 2013-07-17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367A KR101315496B1 (ko) 2013-07-17 2013-07-17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496B1 true KR101315496B1 (ko) 2013-10-08

Family

ID=49637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367A KR101315496B1 (ko) 2013-07-17 2013-07-17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49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906B1 (ko) * 2014-07-15 2015-01-27 (주)다인그룹이엔씨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KR101642272B1 (ko) * 2015-12-10 2016-07-25 주식회사 천지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KR101788842B1 (ko) 2017-05-30 2017-10-20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공동주택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2459035B1 (ko) 2022-01-13 2022-10-26 주식회사 에이치디루체 지중배전선 안정적 배치 지지 트레이기구
KR102461812B1 (ko) 2022-01-13 2022-11-01 주식회사 에이치디루체 다양한 각도 배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용 커넥팅 기구
KR102507178B1 (ko) * 2022-01-28 2023-03-07 주식회사 광림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46B1 (ko) 2007-05-30 2007-10-17 (주)한화종합기술단 지중 배전 케이블 설치구조물
KR100942724B1 (ko) 2009-11-13 2010-02-16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송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0948975B1 (ko) 2009-12-28 2010-03-23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중케이블 보호관
KR101113815B1 (ko) 2011-09-19 2012-04-02 (주)지형이엔지 지중배전전용 절연케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46B1 (ko) 2007-05-30 2007-10-17 (주)한화종합기술단 지중 배전 케이블 설치구조물
KR100942724B1 (ko) 2009-11-13 2010-02-16 주식회사 부흥기술단 송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0948975B1 (ko) 2009-12-28 2010-03-23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지중케이블 보호관
KR101113815B1 (ko) 2011-09-19 2012-04-02 (주)지형이엔지 지중배전전용 절연케이블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906B1 (ko) * 2014-07-15 2015-01-27 (주)다인그룹이엔씨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KR101642272B1 (ko) * 2015-12-10 2016-07-25 주식회사 천지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KR101788842B1 (ko) 2017-05-30 2017-10-20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공동주택의 전기배관 보호장치
KR102459035B1 (ko) 2022-01-13 2022-10-26 주식회사 에이치디루체 지중배전선 안정적 배치 지지 트레이기구
KR102461812B1 (ko) 2022-01-13 2022-11-01 주식회사 에이치디루체 다양한 각도 배치의 지중배전선 연결이 가능한 지중배전용 커넥팅 기구
KR102507178B1 (ko) * 2022-01-28 2023-03-07 주식회사 광림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496B1 (ko)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KR101016053B1 (ko)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시설
KR101448173B1 (ko) 침투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KR101101356B1 (ko) 수배전기기 케이스 커버 및 수배전 설비시스템
KR101752396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 이음부 및 균열부의 누수 유도 공법
KR10108290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1367428B1 (ko) 이중 파손 방지 구조를 갖는 송배전 케이블 파손 방지 장치
KR101264909B1 (ko) 배전 케이블 지중 설치장치
KR100928719B1 (ko)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
JP6541547B2 (ja) 坑口止水構造
KR101077284B1 (ko) 내진 구조가 구비된 맨홀과 하수관의 연결 구조
KR101306055B1 (ko) 내력 및 내진 성능 향상을 위한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구조 및 우각부 보강방법
KR100835931B1 (ko)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101509122B1 (ko) 전자파 차단 송전 전력구
KR101275193B1 (ko) 지중용 또는 지상형 개폐기 및 변압기의 야생동물 및 습기침투 방지용 차폐막
KR20110040495A (ko) 케이블 트로프
KR100740944B1 (ko) 고압케이블 보호를 위한 배열 시설구조
KR10250717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
KR100850305B1 (ko) 지중전력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KR102085579B1 (ko) 건축용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20210023517A (ko) 고전압 전선 방호관
CN108397203B (zh) 盾构区间连接通道顶管出洞整体式密封舱及其施工方法
KR100890649B1 (ko) 침수방지를 위한 지중형 배전선로 보호관
KR101247364B1 (ko) 특고압 지중 송전 및 배전선용 배전반
KR101124965B1 (ko) 접지일체형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