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935B1 -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935B1
KR102643935B1 KR1020230118868A KR20230118868A KR102643935B1 KR 102643935 B1 KR102643935 B1 KR 102643935B1 KR 1020230118868 A KR1020230118868 A KR 1020230118868A KR 20230118868 A KR20230118868 A KR 20230118868A KR 102643935 B1 KR102643935 B1 KR 102643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t
cooling
packaging
coo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8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1020230118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6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 B65B25/065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of meat
    • B65B25/067Packaging slices or specially-shaped pieces of meat, cheese, or other plastic or tacky products of meat combined with its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43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acting horizontally between an upper and a lower part of the container or wrapper, e.g. between container and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3/00Shrinking wrappers, containers, or container covers during or after packaging
    • B65B53/02Shrinking wrappers, containers, or container covers during or after packaging by heat
    • B65B53/04Shrinking wrappers, containers, or container covers during or after packaging by heat supplied by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24Cooling filled packages

Abstract

육류를 포장하는 포장물을 완전하게 진공상태로 포장하고, 포장된 육류를 열수축하여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을 개시한다.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은 육류를 포장하여 열수축처리 하기 위한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으로서, 그 내부에 설치공간을 공간을 갖고, 그 상부에 설치공간과 연통된 제1 개방구와 그 측부에 설치공간과 연통되는 제2 개방구를 가지는 몸체유닛, 제1 개방구를 개폐하도록 몸체유닛에 설치되는 커버유닛, 몸체유닛의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설치되고 신장되며 설치공간을 제1 설치공간과 제2 설치공간으로 구획하는 분할유닛, 분할유닛에 의해 구획되는 제1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 포장물에 수용된 육류가 안착되는 안착유닛, 일부가 포장물의 내부 기체를 흡인할 수 있도록 제1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포장물 및 육류를 가압할 수 있도록 안착유닛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커버유닛의 하면에 포장유닛, 제2 설치공간에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안착유닛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포장된 육류를 가열하여 열수축시키기 위한 열수축유닛, 제2 설치공간에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열수축유닛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열수축된 육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유닛 및 커버유닛과 분할유닛과 안착유닛과 포장유닛과 열수축유닛과 냉각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Meat packaging automation system}
본 발명은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류를 포장하여 열수축과 냉각시키는 과정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는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 자동화 장치는 내부에 육류가 수납되어 있는 비닐봉투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한 후 열봉합하여, 육류를 진공상태로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포장 자동화 장치이다. 이러한 포장 자동화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챔버식 포장기 및 노즐식 포장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종래의 포장 자동화 장치는, 비닐 등의 내부에 육류를 수납하고 비닐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함에 있어 비닐 내부에 공기가 잔존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비닐이 육류에 밀착되지 못하며 육류 주변에 공기가 남아 포장이 효과적으로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포장 자동화 장치는 육류가 포장된 후, 진공 포장된 육류를 다른 장소에 이동시켜 열수축시켜야 하였다. 이에, 공정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포장 자동화 장치는 열수축시킨 후, 즉시 냉각 과정을 진행하여야 하는데, 열수축된 육류를 건져 냉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가 해결된 포장 자동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13-0015506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육류를 포장하는 포장물을 완전하게 진공상태로 포장하고, 포장된 육류를 열수축하여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은 육류를 포장하여 열수축처리 하기 위한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으로서, 그 내부에 설치공간을 공간을 갖고, 그 상부에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된 제1 개방구와 그 측부에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는 제2 개방구를 가지는 몸체유닛; 상기 제1 개방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유닛에 설치되는 커버유닛; 상기 몸체유닛의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설치되고, 신장되며 상기 설치공간을 제1 설치공간과 제2 설치공간으로 구획하는 분할유닛; 상기 분할유닛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1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 포장물에 수용된 육류가 안착되는 안착유닛; 일부가 상기 포장물의 내부 기체를 흡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포장물 및 상기 육류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유닛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커버유닛의 하면에 포장유닛; 상기 제2 설치공간에서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유닛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포장된 상기 육류를 가열하여 열수축시키기 위한 열수축유닛; 상기 제2 설치공간에서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수축유닛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열수축된 상기 육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과 상기 분할유닛과 상기 안착유닛과 상기 포장유닛과 상기 열수축유닛과 상기 냉각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설치공간은, 상기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그 전측에 형성되는 공간이고, 상기 제2 설치공간은, 상기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그 후측에 형성되는 공간이고,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몸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상기 분할유닛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분할유닛은,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되며 상기 제1 개방구에 인접한 상기 몸체유닛의 내벽체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열수축유닛은,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유닛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그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공간을 가지는 열수축수납부; 상기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열수축수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체의 온도를 가열하기 위한 열수축가열부; 상기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열수축수납부의 하측 내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며,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상기 몸체유닛의 폭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틸팅 가능하게 형성되는 열수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수축지지부는,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열수축실린더부재; 상기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열수축실린더부재의 상부에 틸팅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된 복수의 미다공홀이 형성된 열수축안착판부재; 상기 열수축안착판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열수축안착판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열수축모터부재; 상기 열수축실린더부재에서 상기 분할유닛을 향하여 상기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고,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며, 신장되며 틸팅 회전된 상기 열수축안착판부재를 타격 가능한 열수축타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수축실린더부재는,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수축수납부의 상단부 보다 높게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되며 상기 열수축안착판부재를 상기 열수축수납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열수축모터부재는, 상기 열수축안착판부재가 상기 열수축수납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경우,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열수축안착판부재를 상기 냉각유닛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틸팅 회전시키고, 상기 열수축가열부는, 상기 열수축수납부의 하부 벽체의 내부에 인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열수축가열부는, 복수의 턴을 포함하는 열수축가열부재; 상기 열수축가열부재와 연결되는 열수축전도부재; 상기 열수축가열부재와 상기 열수축전도부재를 연결시켜주는 열수축이음부재; 및 상기 열수축가열부재가 수납되는 제1 매립홈과, 상기 열수축전도부재가 수납되는 제2 매립홈 및 상기 제1 매립홈과 상기 제2 매립홈이 연결되는 영역에 경사면을 구비하는 열수축몸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수축가열부재의 턴의 직경은, 상기 열수축전도부재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매립홈 바닥면의 높이는, 상기 제2 매립홈 바닥면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이 제2 매립홈에서 제1 매립홈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2 매립홈 보다 상기 제1 매립홈에 근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기울기 각도가, 15° 이상 내지 25°이하이다.
상기 냉각유닛은, 그 상하의 길이가 상기 열수축수납부의 상하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수축수납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공간을 가지는 냉각유닛수납부; 상기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냉각유닛수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체의 온도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유닛냉각부; 상기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냉각유닛냉각부의 하측 내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며,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상기 몸체유닛의 폭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틸팅 가능하게 형성되는 냉각유닛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닛지지부는,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냉각유닛실린더부재; 상기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냉각유닛실린더부재의 상부에 틸팅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된 복수의 미다공홀이 형성된 냉각유닛안착판부재; 상기 냉각유닛안착판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유닛안착판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냉각유닛모터부재; 상기 냉각유닛실린더부재에서 상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측을 향하여 상기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고,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며, 신장되며 틸팅 회전된 상기 냉각유닛안착판부재를 타격 가능한 냉각유닛타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닛실린더부재는,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냉각유닛수납부의 상단부보다 높게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되며 상기 냉각유닛안착판부재를 상기 냉각유닛수납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냉각유닛모터부재는, 상기 냉각유닛안착판부재가 상기 냉각유닛수납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경우,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냉각유닛안착판부재를 상기 제2 개방구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틸팅 회전시키고, 상기 냉각유닛냉각부는, 상기 냉각유닛수납부의 하부 벽체의 내부에 인입되어 형성되는 냉각유닛바디부재; 상기 냉각유닛바디부재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 상기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제2 냉각유체경로부재 및 제3 냉각유체경로부재; 그 일단이 상기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와 연통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2 냉각유체경로부재와 연통되며, 상기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각유닛바디부재의 중심부에서 점차 바깥쪽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4 냉각유체경로부재; 및 그 일단이 상기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와 연통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3 냉각유체경로부재와 연통되며, 상기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각유닛바디부재의 중심부에서 점차 바깥쪽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5 냉각유체경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냉각유체경로부재와 상기 제5 냉각유체경로부재는, 각각 환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4 냉각유체경로부재는, 상기 냉각유닛바디부재의 1/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5 냉각유체경로부재는, 상기 냉각유닛바디부재의 나머지 1/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유닛은, 상기 냉각유닛으로 부터 냉각된 상기 육류를 상기 제2 개방구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유닛의 후측 내벽체 중 상기 제2 개방구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판부재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그 단부가 상기 제2 관통구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냉각유닛안착판부재와 나란하게 경사지게 배치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판부재는, 그 연장되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포장유닛은, 상기 안착유닛에 무선 통신 제어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포장물의 내부의 공기가 흡인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육류를 포장한 포장물의 내부의 공기가 모두 흡인될 경우, 상기 안착유닛이 상기 열수축유닛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안착유닛을 제어하는 포장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몸체유닛의 내벽체 중 상기 제1 설치공간을 이루는 내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유닛의 배치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몸체유닛의 내벽체 중 상기 제2 설치공간을 이루는 내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열수축안착판부재가 상기 열수축수납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상기 몸체유닛의 내벽체 중 상기 제2 설치공간을 이루는 내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유닛안착판부재가 상기 냉각유닛수납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3 감지부; 상기 제1 감지부와 상기 제2 감지부와 상기 제3 감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감지부 내지 상기 제3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열수축실린더부재와 상기 열수축모터부재와 상기 열수축타격부재와 상기 냉각유닛실린더부재와 상기 냉각유닛모터부재와 상기 냉각유닛타격부재와 상기 가이드판부재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상기 안착유닛이 상기 열수축유닛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었다는 신호를 인가받을 경우, 상기 열수축실린더부재를 구동시켜 상기 열수축안착판부재가 상기 열수축수납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감지부로부터 상기 열수축안착판부재가 상기 열수축수납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었다는 신호를 인가받을 경우, 상기 냉각유닛실린더부재를 구동시켜 상기 냉각유닛안착판부재가 상기 냉각유닛수납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3 감지부로부터 상기 냉각유닛안착판부재가 상기 냉각유닛수납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었다는 신호를 인가받을 경우, 상기 가이드판부재를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안착유닛은, 그 상부에 상기 포장물에 수용된 육류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유닛판부; 및 그 상부가 상기 안착유닛판부의 하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그 하부가 상기 몸체유닛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안착유닛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유닛은, 상기 육류가 그 내부에 수납된 상기 포장물 내부의 기체를 흡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유닛에 설치되는 포장유닛진공부; 상기 포장물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유닛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커버유닛의 하면에 결합되는 포장유닛포장부; 및 상기 안착유닛에 안착된 상기 포장물의 적어도 일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유닛의 하면에서 상기 안착유닛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장유닛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유닛포장부는, 상기 커버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 상기 커버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며, 상기 커버유닛이 상기 몸체유닛의 상기 제1 개방구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 보다 상기 포장유닛진공부에 더 인접한 전방측에 배치되는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 상기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의 하부 및 상기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의 하부에 각각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 및 상기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며, 상기 안착유닛과 마주보는 일측이 천연 고무, 스펀지, 합성 고무, 내열성 실리콘 고무 및 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포장유닛가압부재; 및 상기 포장유닛진공부에 연결되고, 상기 포장유닛진공부가 흡인하는 기체량값에 따라, 상기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 및 상기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포장제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제어부재는, 상기 포장유닛진공부의 포장유닛흡인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포장유닛흡인부재를 통과하는 기체량을 측정하기 위한 포장부재측정체; 상기 포장부재측정체가 측정한 측정값들과 기 설정된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 및 상기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의 구동 시점을 판단하도록 상기 포장부재측정체에 연결되는 포장부재판단체; 및 상기 포장부재판단체의 판단에 따라, 상기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 및 상기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포장부재제어체;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부재판단체는, 상기 포장부재측정체가 측정한 측정값이 상기 제1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상기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가 구동할 시점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포장부재측정체가 측정한 측정값이 상기 제1 기준값 보다 큰 값인 상기 제2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상기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가 구동할 시점이라고 판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포장유닛진공부는, 상기 안착유닛의 상측에 위치하는 포장유닛흡인부재; 상기 포장유닛흡인부재에서 절곡되고, 상기 안착유닛의 측부에 위치하는 포장유닛연통관부재; 비닐로 형성되는 상기 포장물의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포장유닛연통관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포장유닛펌프부재; 및 상기 포장유닛흡인부재의 둘레를 따라 상기 포장유닛흡인부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그 내주면과 상기 포장유닛흡인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인입된 상기 포장물의 일부를 상기 포장유닛흡인부재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포장유닛고정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육류를 수용한 포장물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하고, 진공상태로 형성된 육류를 열수축시킬 수 있다. 이에, 포장물에 수용된 육류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육류를 진공포장하고 열숙축하고 이후 냉각시키는 과정이 자동적으로 진행되 수 있다. 이에, 공정 진행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형성되고,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유닛가압부재가 포장물에 수용된 육류를 가압하면서 포장유닛진공부가 포장물의 공기를 흡인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유닛절달부를 통해 진공 흡인된 포장물이 절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착유닛지지부를 통해 안착유닛판부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진공포장된 육류가 슬라이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수납부의 내부에서 열수축가열부를 통해 열수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된 육류가 열수축지지부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되고 열수축모터부재에 의해 경사지게 배치된 열수축안착판부재를 통해 슬라이딩되며 냉각유닛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유닛수납부의 내부에서 냉각유닛냉각부를 통해 냉각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된 육류가 냉각유닛지지부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되고 냉각유닛모터부재에 의해 경사지게 배치된 냉각유닛안착판부재를 통해 슬라이딩되며 회전된 가이드판부재로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판부재를 통해 제2 개방구로 배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가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유닛냉각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유닛가압부재가 포장물에 수용된 육류를 가압하면서 포장유닛진공부가 포장물의 공기를 흡인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유닛절달부를 통해 진공 흡인된 포장물이 절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착유닛지지부를 통해 안착유닛판부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진공포장된 육류가 슬라이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수납부의 내부에서 열수축가열부를 통해 열수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된 육류가 열수축지지부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되고 열수축모터부재에 의해 경사지게 배치된 열수축안착판부재를 통해 슬라이딩되며 냉각유닛으로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유닛수납부의 내부에서 냉각유닛냉각부를 통해 냉각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된 육류가 냉각유닛지지부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되고 냉각유닛모터부재에 의해 경사지게 배치된 냉각유닛안착판부재를 통해 슬라이딩되며 회전된 가이드판부재로 이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판부재를 통해 제2 개방구로 배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가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유닛냉각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1000)은 포장물(V)로 육류(M)를 포장하여 열수축처리 하기 위한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1000)은 몸체유닛(1100), 커버유닛(1200), 분할유닛(1300), 안착유닛(1400), 포장유닛(1500), 열수축유닛(1600), 냉각유닛(1700) 및 제어유닛(180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1000)은 그 내부에 설치공간(1110)을 공간을 갖고 그 상부에 설치공간(1110)과 연통된 제1 개방구(1120)와 그 측부에 설치공간(1110)과 연통되는 제2 개방구(1130)를 가지는 몸체유닛(1100), 제1 개방구(1120)를 개폐하도록 몸체유닛(1100)에 설치되는 커버유닛(1200), 몸체유닛(1100)의 내부에 상하방향(도 1 참조)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설치되고 신장되며 설치공간(1110)을 제1 설치공간(1111)과 제2 설치공간(1112)으로 구획하는 분할유닛(1300), 분할유닛(1300)에 의해 구획되는 제1 설치공간(1111)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 포장물(V)에 수용된 육류가 안착되는 안착유닛(1400), 일부가 포장물(V)의 내부 기체를 흡인할 수 있도록 제1 설치공간(1111)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포장물(V) 및 육류(M)를 가압할 수 있도록 안착유닛(1400)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커버유닛(1200)의 하면에 포장유닛(1500), 제2 설치공간(1112)에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안착유닛(1400)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포장된 육류(M)를 가열하여 열수축시키기 위한 열수축유닛(1600), 제2 설치공간(1112)에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열수축유닛(1600)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열수축된 육류(M)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유닛(1700) 및 커버유닛(1200)과 분할유닛(1300)과 안착유닛(1400)과 포장유닛(1500)과 열수축유닛(1600)과 냉각유닛(1700)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1800)을 포함한다.
몸체유닛(1100)은 설치공간(1110)을 가지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몸체유닛(1100)은 그 상부 일측에 상하로 관통된 제1 개방구(1120)를 구비하고, 타측 측부에 제2 개방구(1130)를 가진다. 여기서, 일측 및 타측은 도 1에 도시된 길이방향에 대한 일측 및 타측일 수 있다. 몸체유닛(1100)은 제2 개방구(11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몸체유닛(1100)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출커버(C)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몸체유닛(1100) 내부의 설치공간(1110)은 분할유닛(1300)에 의해 제1 설치공간(1111)과 제2 설치공간(1112)으로 구획된다. 제1 설치공간(1111)은 분할유닛(1300)과 몸체유닛(1100)과 커버유닛(1200)에 의해 몸체유닛(1100)의 내부에 밀폐 구획되는 공간으로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몸체유닛(1100)의 전측에 마련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제2 설치공간(1112)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몸체유닛(1100)의 후측에 마련되는 공간일 수 있다. 제2 설치공간(1112)은 그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몸체유닛(1100)은 냉각유닛(1700)으로 부터 냉각된 육류(M)를 제2 개방구(1130)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몸체유닛(1100)의 후측 내벽체 중 제2 개방구(113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판부재(1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이드판부재(11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그 단부가 제2 개방구(1130)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냉각유닛안착판부재(1732)와 나란하게 경사지게 배치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판부재(1140)는 그 연장되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된다.
커버유닛(1200)은 몸체유닛(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개방구(1120)를 커버할 수 있다. 즉, 커버유닛(1200)는 몸체유닛(1100)의 제1 개방구(1120)를 커버하여, 설치공간(1110) 중 제1 설치공간(1111)을 분할유닛(1300)과 함께 밀폐시킬 수 있다.
커버유닛(1200)은 몸체유닛(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개방구(1120)를 커버할 수 있다. 한편, 커버유닛(1200)은 그 하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유닛(1200)의 함몰된 내부에 후술되는 포장유닛(1500)이 설치될 수 있다.
분할유닛(1300)은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되며 제1 개방구(1120)에 인접한 몸체유닛(1100)의 내벽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분할유닛(1300)은 설치공간(1110)을 제1 설치공간(1111)과 제2 설치공간(1112)을 분할시킬 수 있다.
안착유닛(1400)은 분할유닛(1300)에 의해 구획되는 제1 설치공간(1111)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 포장물(V)에 수용된 육류(M)가 안착될 수 있다. 안착유닛(1400)은 안착유닛판부(1410) 및 안착유닛지지부(1420)를 포함한다.
안착유닛판부(1410)는 그 상부에 포장물(V)에 수용된 육류(M)가 안착될 수 있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안착유닛판부(1410)는 후술되는 한쌍의 안착유닛지지부(1420)에 의해 길이방향(도 1 참조)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한쌍의 안착유닛지지부(1420)는 그 상부가 안착유닛판부(14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그 하부가 몸체유닛(1100)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한쌍의 안착유닛지지부(1420)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우측에 배치된 안착유닛지지부(1420)가 수축되면 안착유닛판부(1410)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한쌍의 안착유닛지지부(1420)는 그 외측을 감싸는 벨로우즈관(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장유닛(1500)은 일부(후술되는 포장유닛진공부(1510))가 포장물(V)의 내부 기체를 흡인할 수 있도록 제1 설치공간(1111)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후술되는 포장유닛포장부(1520))가 포장물(V) 및 육류(M)를 가압할 수 있도록 안착유닛(1400)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커버유닛(1200)에 설치된다. 포장유닛(1500)은 포장유닛진공부(1510), 포장유닛포장부(1520), 포장유닛절단부(1530)를 포함한다.
포장유닛진공부(1510)는 육류(M)가 그 내부에 수납된 포장물(V) 내부의 기체를 흡인할 수 있도록 몸체유닛(1100)에 설치된다.
포장유닛진공부(1510)는 포장유닛흡인부재(1511), 포장유닛연통관부재(1512), 포장유닛펌프부재(1513) 및 포장유닛고정관부재(1514)를 포함한다.
포장유닛흡인부재(1511)는 안착유닛(1400)의 상측에 위치한다. 포장유닛흡인부재(1511)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포장물(V)의 개방된 부분이 결합된다.
포장유닛연통관부재(1512)는 포장유닛흡인부재(1511)에서 절곡되고, 안착유닛의 측부에 위치한다.
포장유닛펌프부재(1513)는 예컨대 비닐로 형성되는 포장물(V)의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형성할 수 있도록 포장유닛연통관부재(1512)의 단부에 결합된다. 포장유닛펌프부재(1513)는 흡인 진공 펌프로 형성될 수 있다.
포장유닛고정관부재(1514)는 포장유닛흡인부재(1511)의 둘레를 따라 포장유닛흡인부재(151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그 내주면과 포장유닛흡인부재(1511)의 외주면 사이에 인입된 포장물(V)의 일부를 포장유닛흡인부재(1511)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포장유닛포장부(1520)는 포장물(V)을 가압할 수 있도록, 안착유닛(1400)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커버유닛(1200)의 하면에 결합된다. 포장유닛포장부(1520)는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1521),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1522), 포장유닛가압부재(1523), 포장제어부재(1524)를 포함한다.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1521)는 커버유닛(1200)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1521)는 제1 포장유닛메인작동체(미도시), 제2 포장유닛메인작동체(1521a), 제3 포장유닛메인작동체(1521b) 및 제4 포장유닛메인작동체(152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장유닛메인작동체는 커버유닛(120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포장유닛메인작동체는 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포장유닛메인작동체(1521a)는 커버유닛(1200)의 내부에 삽입되며, 제1 포장유닛메인작동체에 동축상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기어이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포장유닛메인작동체(1521b)는 적어도 일부가 커버유닛(1200)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며, 제2 포장유닛메인작동체(1521a)에 치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하부가 포장유닛가압부재(15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4 포장유닛메인작동체(1521c)는 그 하단부가 제3 포장유닛메인작동체(1521b)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상단부가 커버유닛(1200)의 내벽체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할 수 있다. 제4 포장유닛메인작동체(1521c)는 제3 포장유닛메인작동체(1521b)가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3 포장유닛메인작동체(1521b)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4 포장유닛메인작동체(1521c)는 제3 포장유닛메인작동체(1521b)의 상측이 커버유닛(1200)의 내벽체와 충돌하여 마모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1522)는 커버유닛(1200)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며, 커버유닛(1200)이 몸체유닛(1100)의 제1 개방구(1120)를 커버한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1521) 보다 포장유닛진공부(1510)에 더 인접한 전방측에 배치된다.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1522)는 커버유닛(1200)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1522)는 커버유닛(1200)가 몸체유닛(1100)의 상부를 커버한 상태에서, 후술되는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1521)보다 상대적으로 포장유닛진공부(1510)로부터 가까운 위치에서 커버유닛(1200)에 결합될 수 있다.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1522)는 제1 포장유닛서브작동체(미도시), 제2 포장유닛서브작동체(1522a), 제3 포장유닛서브작동체(1522b) 및 제4 포장유닛서브작동체(152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장유닛서브작동체는 커버유닛(120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포장유닛서브작동체(1522a)는 커버유닛(1200)의 내부에 삽입되며, 제1 포장유닛서브작동체에 동축상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기어이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포장유닛서브작동체(1522b)는 적어도 일부가 커버유닛(1200)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며, 제2 포장유닛서브작동체(1522a)에 치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하부가 포장유닛가압부재(15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4 포장유닛서브작동체(1522c)는 그 하단부가 제3 포장유닛서브작동체(1522b)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상단부가 커버유닛(1200)의 내벽체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할 수 있다. 제4 포장유닛서브작동체(1522c)는 제3 포장유닛서브작동체(1522b)가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3 포장유닛서브작동체(1522b)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4 포장유닛서브작동체(1522c)는 제3 포장유닛서브작동체(1522b)의 상측이 커버유닛(1200)의 내벽체와 충돌하여 마모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포장유닛가압부재(1523)는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1521)의 하부 및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1522)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1521) 및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1522)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며, 안착유닛판부(1410)와 마주보는 일측이 탄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포장유닛가압부재(1523)는 그 하부가 육류(M)와 접촉시,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도록, 천연 고무, 스펀지, 합성 고무, 내열성 실리콘 고무 및 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포장유닛가압부재(1523)가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1521)와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1522)에 의해 그 양단부가 순차적으로 하강하며, 포장물(V)과 포장물(V)에 수납된 육류(M)와 접촉될 수 있다. 이후, 포장유닛가압부재(1523)가 더 하강하며, 안착유닛판부(141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고, 이때 포장유닛가압부재(1523)의 하부는 육류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함몰되며 포장물(V)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포장유닛가압부재(1523)의 가압에 의해 포장물(V) 내부의 기체가 더 효과적으로 포장유닛흡인부재(1511)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에, 포장물(V)의 내면이 육류(M)의 외면에 더 밀착되고, 포장물(V)의 부피가 최소인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포장유닛가압부재(1523)는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1521)와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1522)에 의해 상승하며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경우, 포장물(V)과 포장물(V)에 수납된 육류(M)와 접촉되며 함몰된 부분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다.
포장유닛가압부재(1523)는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1521)의 하부 및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1522)의 하부에 각각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1521) 및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1522)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된다. 포장유닛가압부재(1523)는 안착유닛(1400)과 마주보는 일측이 천연 고무, 스펀지, 합성 고무, 내열성 실리콘 고무 및 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포장제어부재(1524)는 포장유닛진공부(1510)에 연결되고, 포장유닛진공부(1510)가 흡인하는 기체량값에 따라,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1521) 및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1522)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포장제어부재(1524)는 안착유닛(1400)에 무선 통신 제어 방식(예컨대,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된다. 포장제어부재(1524)는 포장물(V)의 내부의 공기가 흡인되도록 제어하고, 육류(M)를 포장한 포장물(V)의 내부의 공기가 모두 흡인될 경우, 안착유닛(1400)이 열수축유닛(1600)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안착유닛(1400)을 제어한다.
포장제어부재(1524)는 포장부재측정체(1524a), 포장부재판단체(1524b), 포장부재제어체(1524c)를 포함한다.
포장부재측정체(1524a)는 포장유닛진공부(1510)의 포장유닛흡인부재(1511)에 연결되며, 포장유닛흡인부재(1511)를 통과하는 기체량을 측정한다.
포장부재판단체(1524b)는 포장부재측정체(1524a)가 측정한 측정값들과 기 설정된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을 비교하여,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1521) 및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1522)의 구동 시점을 판단하도록 포장부재측정체(1524a)에 연결된다. 또한, 포장부재판단체(1524b)는 포장부재측정체(1524a)가 측정한 측정값이 제1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1521)가 구동할 시점이라고 판단하고, 포장부재측정체(1524a)가 측정한 측정값이 제1 기준값 보다 큰 값인 제2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1522)가 구동할 시점이라고 판단한다.
포장부재제어체(1524c)는 포장부재판단체(1524b)의 판단에 따라, 포장유닛메인작동부재(1521) 및 포장유닛서브작동부재(1522)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포장유닛절단부(1530)는 안착유닛(1400)에 안착된 포장물(V)의 적어도 일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커버유닛(1200)의 하면에서 안착유닛(1400)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열수축유닛(1600)은 제2 설치공간(1112)에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안착유닛(1400)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포장된 육류(M)를 가열하여 열수축시킨다.
열수축유닛(1600)은 열수축수납부(1610), 열수축지지부(1620), 열수축가열부(1630)를 포함한다.
열수축수납부(1610)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안착유닛(1400)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그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공간(1611)을 가진다. 열수축가열부(1630)는 열수축수납부(1610)의 하부 벽체의 내부에 인입되어 형성된다.
열수축지지부(1620)는 제1 수용공간(1611)을 형성하는 열수축수납부(1610)의 하측 내벽체에 설치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며,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몸체유닛(1100)의 폭방향(도 1 참조)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틸팅 가능하게 형성된다.
열수축지지부(1620)는 열수축실린더부재(1621), 열수축안착판부재(1622), 열수축모터부재(1623), 열수축타격부재(1624)를 포함한다.
열수축실린더부재(1621)는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열수축안착판부재(1622)는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열수축실린더부재(1621)의 상부에 틸팅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된 복수의 미다공홀이 형성된다.
열수축모터부재(1623)는 열수축안착판부재(1622)에 설치되며, 열수축안착판부재(1622)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
열수축타격부재(1624)는 열수축실린더부재(1621)에서 분할유닛(1300)을 향하여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고,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며, 신장되며 틸팅 회전된 열수축안착판부재(1622)를 타격할 수 있다. 이에, 열수축안착판부재(1622)에 안착된 육류를 냉각유닛(1700)으로 더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열수축가열부(1630)는 제1 수용공간(1611)을 형성하는 열수축수납부(1610)에 설치되고, 제1 수용공간(1611)에 수용된 액체의 온도를 가열한다. 열수축가열부(1630)는 열수축가열부재(1631), 열수축전도부재(1632), 열수축이음부재(1633), 열수축몸체부재(1634)를 포함한다.
열수축가열부(1630)는 복수의 턴을 포함하는 열수축가열부재(1631), 열수축가열부재(1631)와 연결되는 열수축전도부재(1632), 열수축가열부재(1631)와 열수축전도부재(1632)를 연결시켜주는 열수축이음부재(1633) 및 열수축가열부재(1631)가 수납되는 제1 매립홈(1634a)과 열수축전도부재(1632)가 수납되는 제2 매립홈(1634b), 제1 매립홈(1634a)과 제2 매립홈(1634b)이 연결되는 영역에 경사면을 구비하는 열수축몸체부재(1634)를 포함한다.
열수축가열부재(1631)는 열수축수납부(1610)의 하부 내벽체의 전체 영역에 균일하게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열수축수납부(1610)의 하부 내벽체의 면적을 따라 배치된다. 열수축가열부재(1631)는 감기거나 굴절되는 복수의 턴을 포함하는 코일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열수축가열부재(1631)는 전기를 공급받으면 열을 발생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즉, 열수축가열부재(1631)는 저항선일 수 있고, 이에 전기를 많이 공급받을수록 열을 더 많이 발생시켜 열수축수납부(1610)의 내벽체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열수축가열부재(1631)의 형태나 열수축가열부재(1631)이 열을 발생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열수축전도부재(1632)는 열수축가열부재(1631)와 연결되어 있고, 직선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열수축전도부재(1632)는 일선으로 되어있고, 열수축가열부재(1631)의 선 굵기보다 더 굵게 형성될 수 있다. 열수축전도부재(1632)는 전기가 인가되는 부분으로 열수축가열부재(1631)에 비해 발열량이 적거나 열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다. 즉, 열수축전도부재(1632)는 거의 무저항 특성을 가지는 전기 전도성 선일 수 있다. 그러나, 열수축전도부재(1632)의 형상이나 크기, 배치되는 모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열수축이음부재(1633)는 열수축가열부재(1631)와 열수축전도부재(1632) 사이에 배치되어, 열수축가열부재(1631)와 열수축전도부재(1632)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열수축이음부재(1633)는 열수축가열부재(1631)와 열수축전도부재(1632)는 연결해주기 위해, 이들이 용접되어 일단은 열수축가열부재(1631)에 접합되고, 타단은 열수축전도부재(1632)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열수축가열부재(1631)와 열수축전도부재(1632)는 연장되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열수축이음부재(1633)가 굴절되어 열수축가열부재(1631)와 열수축전도부재(1632)를 연결해 줄 수 있다. 그러나, 열수축이음부재(1633)의 형상이나 열수축이음부재(1633)가 열수축가열부재(1631)와 열수축전도부재(1632)를 연결해주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열수축몸체부재(1634)는 그 상부에 열수축가열부재(1631) 및 열수축전도부재(1632)가 수납되고, 열수축수납부(1610)의 하부 내벽체에 구비될 수 있다. 열수축몸체부재(1634)는 원형의 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퀄츠(Quartz)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열수축몸체부재(1634)의 형상이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열수축몸체부재(1634)의 상부면에는 열수축가열부재(1631)와, 열수축전도부재(1632) 및 열수축이음부재(1633)를 수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열수축가열부재(1631)를 수납하는 제1 매립홈(1634a)과, 열수축전도부재(1632)를 수납하는 제2 매립홈(1634b)이 형성될 수 있다. 열수축이음부재(1633)는 열수축가열부재(1631)와 열수축전도부재(1632)를 연결해주기 때문에, 제1 매립홈(1634a)과 제2 매립홈(1634b)이 만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매립홈(1634a)과 제2 매립홈(1634b)이 연결되는 연결 영역에 열수축이음부재(1633)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열수축가열부재(1631)의 턴의 직경은, 열수축전도부재(1632)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제1 매립홈(1634a) 바닥면의 높이는, 제2 매립홈(1634b) 바닥면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된다. 또한, 열수축몸체부재(1634)의 경사면이 제2 매립홈(1634b)에서 제1 매립홈(1634a)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 매립홈(1634b) 보다 제1 매립홈(1634a)에 근접하게 형성되며, 경사면의 기울기 각도가 15° 이상 내지 25°이하로 형성된다.
냉각유닛(1700)은 제2 설치공간(1112)에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열수축유닛(1600)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열수축된 육류(M)를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유닛(1700)은 냉각유닛수납부(1710), 냉각유닛냉각부(1720), 냉각유닛지지부(1730)를 포함한다.
냉각유닛수납부(1710) 그 상하의 길이가 열수축수납부(1610)의 상하의 길이보다 짧고,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열수축수납부(1610)의 하측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공간(1711)을 가진다.
냉각유닛냉각부(1720)는 제2 수용공간(1711)을 형성하는 냉각유닛수납부(1710)에 설치되고, 제2 수용공간(1711)에 수용된 액체의 온도를 냉각할 수 있다. 냉각유닛냉각부(1720)가 액체를 냉각시킴에 따라, 액체에 수용된 육류(M)(및, 포장물(V))이 냉각될 수 있다.
냉각유닛냉각부(1720)는 냉각유닛바디부재(1721),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1722), 제2 냉각유체경로부재(1723), 제3 냉각유체경로부재(1724), 제4 냉각유체경로부재(1725), 제5 냉각유체경로부재(1726)를 포함한다.
냉각유닛바디부재(1721)는 냉각유닛수납부(1710)의 하부 벽체의 내부에 인입되어 형성된다. 냉각유닛바디부재(1721)는 그 상부에 내측으로 함몰된 냉각유닛냉각부인입홈(1721a)이 형성된다.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1722)는 냉각유닛바디부재(1721)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냉각유체가 유입된다.
제2 냉각유체경로부재(1723) 및 제3 냉각유체경로부재(1724)는 각각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1722)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경로일 수 있다.
제4 냉각유체경로부재(1725)는 그 일단이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1722)와 연통되고, 그 타단이 제2 냉각유체경로부재(1723)와 연통되며,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1722)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냉각유닛바디부재(1721)의 중심부에서 점차 바깥쪽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제5 냉각유체경로부재(1726)는 그 일단이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1722)와 연통되고, 그 타단이 제3 냉각유체경로부재(1724)와 연통되며,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1722)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냉각유닛바디부재(1721)의 중심부에서 점차 바깥쪽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또한, 제4 냉각유체경로부재(1725)와 제5 냉각유체경로부재(1726)는 각각 환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이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1722)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4 냉각유체경로부재(1725)는 냉각유닛바디부재(1721)의 1/2 영역에 배치된다. 제5 냉각유체경로부재(1726)는 냉각유닛바디부재(1721)의 나머지 1/2 영역에 배치된다.
냉각유닛지지부(1730)는 제2 수용공간(1711)을 형성하는 냉각유닛냉각부(1720)의 하측 내벽체에 설치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며,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몸체유닛(1100)의 폭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틸팅 가능하게 형성된다.
냉각유닛지지부(1730)는 냉각유닛실린더부재(1731), 냉각유닛안착판부재(1732), 냉각유닛모터부재(1733) 및 냉각유닛타격부재(1734)를 포함한다.
냉각유닛실린더부재(1731)는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냉각유닛실린더부재(1731)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냉각유닛수납부(1710)의 상단부보다 높게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되며 냉각유닛안착판부재(1732)를 냉각유닛수납부(171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시킨다.
냉각유닛안착판부재(1732)는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냉각유닛실린더부재(1731)의 상부에 틸팅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된 복수의 미다공홀이 형성된다.
냉각유닛모터부재(1733)는 냉각유닛안착판부재(1732)에 설치되며, 냉각유닛안착판부재(1732)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한다. 냉각유닛모터부재(1733)는 냉각유닛안착판부재(1732)가 냉각유닛수납부(171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경우,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켜 냉각유닛안착판부재(1732)를 제2 개방구(1130)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틸팅 회전시킨다.
냉각유닛타격부재(1734)는 냉각유닛실린더부재(1731)에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측을 향하여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고,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며, 신장되며 틸팅 회전된 냉각유닛안착판부재(1732)를 타격할 수 있다. 이에, 만일 경사지게 배치된 냉각유닛안착판부재(1732)로부터 육류(M)가 슬라이딩 이동되지 못할경우, 냉각유닛타격부재(1734)의 타격을 통해 냉각유닛안착판부재(1732)로부터 육류(M)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제어유닛(1800)은 커버유닛(1200)과 분할유닛(1300)과 안착유닛(1400)과 포장유닛(1500)과 열수축유닛(1600)과 냉각유닛(1700)에 각각 연결되어 커버유닛(1200)과 분할유닛(1300)과 안착유닛(1400)과 포장유닛(1500)과 열수축유닛(1600)과 냉각유닛(1700) 각각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유닛(1800)은 제1 감지부(1810), 제2 감지부(1820), 제3 감지부(1830) 및 메인제어부(1840)를 포함한다.
제1 감지부(1810)는 몸체유닛(1100)의 내벽체 중 제1 설치공간(1111)을 이루는 내벽체에 설치되고, 안착유닛(1400)의 배치를 감지한다. 즉, 제1 감지부(1810)는 안착유닛(1400)의 기울어짐 배치를 감지한다.
제2 감지부(1820)는 몸체유닛(1100)의 내벽체 중 제2 설치공간(1112)을 이루는 내벽체에 설치되고, 열수축안착판부재(1622)가 열수축수납부(161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었는지를 감지한다.
제3 감지부(1830)는 몸체유닛(1100)의 내벽체 중 제2 설치공간(1112)을 이루는 내벽체에 설치되고, 냉각유닛안착판부재(1732)가 냉각유닛수납부(171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었는지를 감지한다.
메인제어부(1840)는 제1 감지부(1810)와 제2 감지부(1820)와 제3 감지부(1830)에 연결되고, 제1 감지부(1810) 내지 제3 감지부(183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열수축실린더부재(1621)와 열수축모터부재(1623)와 열수축타격부재(1624)와 냉각유닛실린더부재(1731)와 냉각유닛모터부재(1733)와 냉각유닛타격부재(1734)와 가이드판부재(114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제어부(1840)는 제1 감지부(1810)로부터 안착유닛(1400)이 열수축유닛(1600)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었다는 신호를 인가받을 경우, 열수축실린더부재(1621)를 구동시켜 열수축안착판부재(1622)가 열수축수납부(161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한다.
메인제어부(1840)는 제2 감지부(1820)로부터 열수축안착판부재(1622)가 열수축수납부(161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었다는 신호를 인가받을 경우, 냉각유닛실린더부재(1731)를 구동시켜 냉각유닛안착판부재(1732)가 냉각유닛수납부(171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한다.
메인제어부(1840)는 제3 감지부(1830)로부터 냉각유닛안착판부재(1732)가 냉각유닛수납부(171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었다는 신호를 인가받을 경우, 가이드판부재(1140)를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제어한다.
이처럼, 육류를 수용한 포장물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하고, 진공상태로 형성된 육류를 열수축시킬 수 있다. 이에, 포장물에 수용된 육류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육류를 진공포장하고 열숙축하고 이후 냉각시키는 과정이 자동적으로 진행되 수 있다. 이에, 공정 진행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형성되고,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 1100: 몸체유닛
1200: 커버유닛 1300: 분할유닛
1400: 안착유닛 1500: 포장유닛
1600: 열수축유닛 1700: 냉각유닛
1800: 제어유닛

Claims (3)

  1. 육류를 포장하여 열수축처리 하기 위한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으로서,
    그 내부에 설치공간을 공간을 갖고, 그 상부에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된 제1 개방구와 그 측부에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는 제2 개방구를 가지는 몸체유닛;
    상기 제1 개방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유닛에 설치되는 커버유닛;
    상기 몸체유닛의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설치되고, 신장되며 상기 설치공간을 제1 설치공간과 제2 설치공간으로 구획하는 분할유닛;
    상기 분할유닛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제1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 포장물에 수용된 육류가 안착되는 안착유닛;
    일부가 상기 포장물의 내부 기체를 흡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공간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포장물 및 상기 육류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유닛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커버유닛의 하면에 포장유닛;
    상기 제2 설치공간에서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유닛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포장된 상기 육류를 가열하여 열수축시키기 위한 열수축유닛;
    상기 제2 설치공간에서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수축유닛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열수축된 상기 육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과 상기 분할유닛과 상기 안착유닛과 상기 포장유닛과 상기 열수축유닛과 상기 냉각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설치공간은, 상기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그 전측에 형성되는 공간이고,
    상기 제2 설치공간은, 상기 몸체유닛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그 후측에 형성되는 공간이고,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몸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상기 분할유닛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분할유닛은,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되며 상기 제1 개방구에 인접한 상기 몸체유닛의 내벽체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열수축유닛은,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유닛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그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공간을 가지는 열수축수납부;
    상기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열수축수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체의 온도를 가열하기 위한 열수축가열부;
    상기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열수축수납부의 하측 내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며,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상기 몸체유닛의 폭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틸팅 가능하게 형성되는 열수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수축지지부는,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열수축실린더부재;
    상기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열수축실린더부재의 상부에 틸팅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된 복수의 미다공홀이 형성된 열수축안착판부재;
    상기 열수축안착판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열수축안착판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열수축모터부재;
    상기 열수축실린더부재에서 상기 분할유닛을 향하여 상기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고,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며, 신장되며 틸팅 회전된 상기 열수축안착판부재를 타격 가능한 열수축타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수축실린더부재는,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수축수납부의 상단부 보다 높게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되며 상기 열수축안착판부재를 상기 열수축수납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열수축모터부재는, 상기 열수축안착판부재가 상기 열수축수납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경우,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열수축안착판부재를 상기 냉각유닛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틸팅 회전시키고,
    상기 열수축가열부는, 상기 열수축수납부의 하부 벽체의 내부에 인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열수축가열부는,
    복수의 턴을 포함하는 열수축가열부재;
    상기 열수축가열부재와 연결되는 열수축전도부재;
    상기 열수축가열부재와 상기 열수축전도부재를 연결시켜주는 열수축이음부재; 및
    상기 열수축가열부재가 수납되는 제1 매립홈과, 상기 열수축전도부재가 수납되는 제2 매립홈 및 상기 제1 매립홈과 상기 제2 매립홈이 연결되는 영역에 경사면을 구비하는 열수축몸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열수축가열부재의 턴의 직경은, 상기 열수축전도부재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매립홈 바닥면의 높이는, 상기 제2 매립홈 바닥면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이 제2 매립홈에서 제1 매립홈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2 매립홈 보다 상기 제1 매립홈에 근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기울기 각도가, 15° 이상 내지 25°이하인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그 상하의 길이가 상기 열수축수납부의 상하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수축수납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공간을 가지는 냉각유닛수납부;
    상기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냉각유닛수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체의 온도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유닛냉각부;
    상기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냉각유닛냉각부의 하측 내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며, 상기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상기 몸체유닛의 폭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틸팅 가능하게 형성되는 냉각유닛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닛지지부는,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냉각유닛실린더부재;
    상기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냉각유닛실린더부재의 상부에 틸팅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된 복수의 미다공홀이 형성된 냉각유닛안착판부재;
    상기 냉각유닛안착판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냉각유닛안착판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냉각유닛모터부재;
    상기 냉각유닛실린더부재에서 상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측을 향하여 상기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고,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며, 신장되며 틸팅 회전된 상기 냉각유닛안착판부재를 타격 가능한 냉각유닛타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닛실린더부재는,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냉각유닛수납부의 상단부보다 높게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되며 상기 냉각유닛안착판부재를 상기 냉각유닛수납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냉각유닛모터부재는, 상기 냉각유닛안착판부재가 상기 냉각유닛수납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경우,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냉각유닛안착판부재를 상기 제2 개방구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틸팅 회전시키고,
    상기 냉각유닛냉각부는,
    상기 냉각유닛수납부의 하부 벽체의 내부에 인입되어 형성되는 냉각유닛바디부재;
    상기 냉각유닛바디부재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
    상기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제2 냉각유체경로부재 및 제3 냉각유체경로부재;
    그 일단이 상기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와 연통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2 냉각유체경로부재와 연통되며, 상기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각유닛바디부재의 중심부에서 점차 바깥쪽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4 냉각유체경로부재; 및
    그 일단이 상기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와 연통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3 냉각유체경로부재와 연통되며, 상기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각유닛바디부재의 중심부에서 점차 바깥쪽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5 냉각유체경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냉각유체경로부재와 상기 제5 냉각유체경로부재는, 각각 환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제1 냉각유체경로부재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4 냉각유체경로부재는, 상기 냉각유닛바디부재의 1/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5 냉각유체경로부재는, 상기 냉각유닛바디부재의 나머지 1/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유닛은, 상기 냉각유닛으로 부터 냉각된 상기 육류를 상기 제2 개방구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유닛의 후측 내벽체 중 상기 제2 개방구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판부재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그 단부가 상기 제2 개방구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냉각유닛안착판부재와 나란하게 경사지게 배치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판부재는, 그 연장되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포장유닛은, 상기 안착유닛에 무선 통신 제어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포장물의 내부의 공기가 흡인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육류를 포장한 포장물의 내부의 공기가 모두 흡인될 경우, 상기 안착유닛이 상기 열수축유닛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안착유닛을 제어하는 포장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몸체유닛의 내벽체 중 상기 제1 설치공간을 이루는 내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유닛의 배치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몸체유닛의 내벽체 중 상기 제2 설치공간을 이루는 내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열수축안착판부재가 상기 열수축수납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상기 몸체유닛의 내벽체 중 상기 제2 설치공간을 이루는 내벽체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유닛안착판부재가 상기 냉각유닛수납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3 감지부;
    상기 제1 감지부와 상기 제2 감지부와 상기 제3 감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감지부 내지 상기 제3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열수축실린더부재와 상기 열수축모터부재와 상기 열수축타격부재와 상기 냉각유닛실린더부재와 상기 냉각유닛모터부재와 상기 냉각유닛타격부재와 상기 가이드판부재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
KR1020230118868A 2023-09-07 2023-09-07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 KR102643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8868A KR102643935B1 (ko) 2023-09-07 2023-09-07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8868A KR102643935B1 (ko) 2023-09-07 2023-09-07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935B1 true KR102643935B1 (ko) 2024-03-05

Family

ID=90298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8868A KR102643935B1 (ko) 2023-09-07 2023-09-07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9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633A (ja) * 1992-05-14 1994-03-08 Viskase Corp 一体の把手を有する食品パッケージ及びその形成方法及び装置
KR20130015506A (ko) 2011-08-03 2013-02-14 주식회사 제로팩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KR102430981B1 (ko) * 2022-06-22 2022-08-08 송하나 대상물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633A (ja) * 1992-05-14 1994-03-08 Viskase Corp 一体の把手を有する食品パッケージ及びその形成方法及び装置
KR20130015506A (ko) 2011-08-03 2013-02-14 주식회사 제로팩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KR102430981B1 (ko) * 2022-06-22 2022-08-08 송하나 대상물 포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7651C (en) Vertical type forming, filling and closing machine for flexible package
US20230264527A1 (en) Self-reinflating tire
KR102631811B1 (ko) 패키지를 진공화 및 밀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3950141B2 (ja) トレイに配置される製品を包装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包装機
FI68577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ostadkommande av en vakuumtillsluten foerpackning
US4754596A (en) Vacuum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643935B1 (ko)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
BR112015008923B1 (pt) Aparelho para empacotar um produto disposto em um suporte, método para empacotamento de saco a vácuo de pelo menos um produto e pacote de saco de vácuo
WO1985000338A1 (en) A high speed evacuation chamber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JP2008506606A (ja) 管封止装置
AU638780B2 (en) Vacuum packaging apparatus
BR112016001075B1 (pt) aparelho de embalagem e método para operar um aparelho de embalagem
CA2484864C (en) Bag fi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loose material into a bag
JP4179679B2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タイヤ加硫成形方法
CA26510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a container positioned about a filling spout
CN210047691U (zh) 装袋装置及具有其的封袋设备
NO313506B1 (no) Apparatur og fremgangsmåte for fylling og forsegling av poser og sekker
EP1132296B1 (en) Machine for packaging with a single-fold heat-shrinkable film
JP3118581B2 (ja) 密封包装袋のピンホール検査装置
KR102641372B1 (ko) 가스탱크 비닐 포장장치
CN108020377A (zh) 一种全自动保温水杯质检机构
CN219601766U (zh) 一种拉伸膜包装设备
JP2001052662A (ja) バッテリー素子の真空パック装置および真空パック方法
EP1486420B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emballage d'une charge par un film souple thermorétractable
CN217261050U (zh) 一种用于包装设备的夹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