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981B1 - 대상물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대상물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981B1
KR102430981B1 KR1020220075923A KR20220075923A KR102430981B1 KR 102430981 B1 KR102430981 B1 KR 102430981B1 KR 1020220075923 A KR1020220075923 A KR 1020220075923A KR 20220075923 A KR20220075923 A KR 20220075923A KR 102430981 B1 KR102430981 B1 KR 102430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cover
coupled
vinyl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하나
Original Assignee
송하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하나 filed Critical 송하나
Priority to KR1020220075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5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9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vertically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2Immersing contents in protectiv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6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 B65B2220/18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the primary packaging being bags the subsequent secondary packaging being rigid containers, e.g. cardboard box

Abstract

포장용기의 내부를 완전하게 진공상태로 형성하여, 음식물을 포장하는 대상물 포장장치 개시한다.
대상물 포장장치는 유기체로 이루어진 대상물을 포장용기에 포장하기 위한 대상물 포장장치로서, 내부공간을 갖고 일측 상부에 개방된 유입구를 구비하고 타측 측부에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배출구를 구비하는 바디부, 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바디부에 결합되는 커버부,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비닐 및 비닐에 수용된 대상물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 적어도 일부가 비닐의 내부 기체를 흡인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비닐 및 대상물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제1 안착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커버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 포장부,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대상물이 유입되기 위한 포장용기의 수납체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 및 적어도 일부가 포장용기의 커버를 지지하고 제2 안착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며 나머지 일부가 커버와 수납체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바디부의 내벽체에 결합되는 제2 포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상물 포장장치{Apparatus for packaging object}
본 발명은 대상물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포장용기의 내부에 수납된 대상물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대상물을 포장하는 대상물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기는 내부에 유기체 대상체(예컨데, 음식물 등)이 수납되어 있는 비닐봉투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한 후 열봉합하여, 음식물 등이 진공상태로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박스에 포장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포장기는 일반적으로 챔버식 포장기 및 노즐식 포장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중 챔버식 포장기는 비닐봉투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형성하도록 펌프를 구비하고, 이를 밀봉하기 위한 열선을 구비하고, 밀봉된 음식물을 작업자가 박스에 포장하였다.
종래의 챔버식 포장기는, 비닐 등의 내부에 음식물을 수납하고 비닐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함에 있어 비닐 내부에 공기가 잔존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비닐이 음식물에 밀착되지 못하며 음식물 주변에 공기가 남아 포장이 효과적으로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챔버식 포장기는 음식물이 포장된 후, 포장된 음식물을 작업자가 박스를 포장하기 때문에, 포장 공정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KR 10-2013-0015506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포장용기의 내부를 완전하게 진공상태로 형성하여, 음식물을 포장할 수 있는 대상물 포장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봉된 음식물을 자동으로 박스에 포장할 수 있는 대상물 포장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포장장치는 유기체로 이루어진 대상물을 포장용기에 포장하기 위한 대상물 포장장치로서, 내부공간을 갖고, 일측 상부에 개방된 유입구를 구비하고 타측 측부에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배출구를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비닐 및 상기 비닐에 수용된 대상물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비닐의 내부 기체를 흡인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비닐 및 상기 대상물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안착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 포장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대상물이 유입되기 위한 상기 포장용기의 수납체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포장용기의 커버를 지지하고 상기 제2 안착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며, 나머지 일부가 상기 커버와 상기 수납체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벽체에 결합되는 제2 포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1 안착부재; 상기 제2-1 안착부재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1 안착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2 안착부재; 및
상기 제2-2 안착부재의 상부에 고정되고, 그 상부에 상기 수납체가 안착되고, 안착된 상기 수납체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복수의 롤러 및 상기 복수의 롤러를 연결시키는 벨트를 구비하는 레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1 안착부재는, 그 상부에 상기 제2-2 안착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제2-2 안착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2-1 실린더; 상기 2-1 실린더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1 회전기어; 그 외주면에 기어이를 구비하며, 상기 2-1 실린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1 회전기어에 치합되는 제2-2 회전기어; 및 상기 제2-2 회전기어에 동축상으로 결합되는 제2-1 회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장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2 실린더; 상기 제2-2 실린더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를 지지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상기 커버의 상부를 흡착하기 위한 흡착체를 구비하는 제2-1 지지부재;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바디부의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하기 위한 제2-1 진공부재; 상기 바디부의 측부에 고정되며, 서로 접촉된 상기 커버 및 상기 수납체의 접촉부위를 가열하여 상기 커버와 상기 수납체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및 상기 수납체의 접촉 부위에 레이저를 조사 가능한 접착부재; 및 상기 바디부의 측부에서 상기 접착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체를 향하여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수납체의 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에 액체를 주입하여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는, 에폭시 계열로서,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이다.
상기 제1 안착부는, 그 상부에 상기 수납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체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1-1 안착부재; 및 그 상부가 상기 제1-1 안착부재의 하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그 하부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제1-1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제1-1 지지부재는, 일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그 일단이 상기 제1-1 안착부재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신축관; 및 상기 신축관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고, 그 일단이 상기 제1-1 안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각각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1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장부는, 상기 대상물이 그 내부에 수납된 상기 비닐 내부의 기체를 흡인 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는 제1-1 진공부재; 상기 비닐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안착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래핑부재; 및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비닐의 적어도 일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서 상기 제1 안착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절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래핑부재는,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1 작동기;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바디부의 상부를 커버한 상태에서, 일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1 작동기보다 상기 제1-1 진공부재 더 인접한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1-2 작동기; 상기 제1-1 작동기의 하부 및 상기 제1-2 작동기의 하부에 각각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1 작동기 및 상기 제1-2 작동기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며, 상기 제1 안착부와 마주보는 일측이 천연 고무, 스펀지, 합성 고무, 내열성 실리콘 고무 및 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압착기; 및 상기 제1-1 진공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1 진공부재가 흡인하는 기체량값에 따라, 상기 제1-1 작동기 및 상기 제1-2 작동기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1 진공부재의 흡인배관에 연결되며, 상기 흡인배관을 통과하는 기체량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모듈; 상기 측정모듈이 측정한 측정값들과 기 설정된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1 작동기 및 상기 제1-2 작동기의 구동 시점을 판단하도록 상기 측정모듈에 연결되는 판단모듈; 및 상기 판단모듈의 판단에 따라, 상기 제1-1 작동기 및 상기 제1-2 작동기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측정모듈이 측정한 측정값이 상기 제1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상기 제1-1 작동기가 구동할 시점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측정모듈이 측정한 측정값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 큰 값인 상기 제2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상기 제1-2 작동기가 구동할 시점이라고 판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1 진공부재는, 상기 제1 안착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흡인배관; 상기 흡인배관에서 절곡되고 상기 제1 안착부의 측부에 위치하는 연통배관; 상기 비닐의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연통배관의 단부에 결합되는 흡인펌프; 및 상기 흡인배관의 둘레를 따라 상기 흡인배관으로 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그 내주면과 상기 흡인배관의 외주면 사이에 인입된 상기 비닐의 일부를 상기 흡인배관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배관은, 상기 흡인배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흡인배관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몸체기; 상기 몸체기의 관통된 내부에서 상기 관통된 내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흡인배관의 외주면을 향하여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구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통배관은, 상기 흡인펌프에 의해 내부 기체량이 감소되는 상기 비닐로부터 공급되는 기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통배관은, 상기 흡인배관에 연결되며, 상기 흡인배관을 통과한 기체가 유입되는 제1 배관; 상기 흡인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배관을 통과한 상기 기체가 상기 흡인펌프로 배출되며, 상기 제1 배관 보다 직경이 작은 제2 배관; 및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제2 배관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배관에서 상기 제1 배과에서 상기 제2 배관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감소하며, 상기 제1 배관에서 상기 제2 배관으로 흐르는 상기 기체의 불규칙한 흐름을 일정한 흐름으로 조절 가능한 분사판을 구비하는 제3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판은, 상기 제3 배관의 직경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분리막과, 상기 분리막을 관통하며 상기 제1 배관에서 상기 제2 배관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작게 형성되는 복수의 분사홀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및 상기 수납체는, 스티로폼의 재질로 구성되는 내피층; 상기 내피층의 내, 외주연에 도포되며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다공성 광물 분말과 무기항균제가 포함된 단열코팅층;을 포함하며,상기 단열코팅층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100중량부에 대해 다공성 광물분말 50 내지 80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20 내지 50중량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20 내지 50중량부, 광촉매 5 내지 10중량부, 규산 5 내지 10중량부, 아세트산 5 내지 10중량부, 무기항균제 1 내지 5중량부, 멜라닌 0.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층은, 2중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피층에는 사이에는 판형으로 복수의 간극이 형성되는 섬유층이 게재되고, 상기 섬유층은, 유리섬유의 직조에 의해 형성되되, 각각 메쉬를 형성하는 외피와 내피가 연결사에 의해 이격이 형성되도록 이중층의 구조로 직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봉된 대상물을 포장용기에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다. 이에, 포장 공정이 간결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이 수용된 포장용기의 내부를 충진하여, 포장용기 내부에 대상물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대상물의 위치가 움직이지 않으며, 대상물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포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포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안착부에 안착된 대상물을 제1 포장부로 포장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안착부에서 밀봉된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포장용기의 내부에 대상물을 수납하여 그 내부를 밀봉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포장용기에 의해 포장된 대상물을 배출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 안착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포장장치는 대상물을 밀봉하여, 포장용기로 밀봉된 대상물을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대상물을 유기체로 이루어진 대상물로서 예컨데, 과일, 육류 등일 수 있다. 또한, 포장용기는 예컨데 박스 등의 내부공간을 갖는 수납용기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포장장치의 사시도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포장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제1 안착부에 안착된 대상물을 제1 포장부로 포장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1 안착부에서 밀봉된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포장용기의 내부에 대상물을 수납하여 그 내부를 밀봉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포장용기에 의해 포장된 대상물을 배출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제2 안착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포장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포장장치(1000)는 유기체로 이루어진 대상물(20)을 포장용기에 포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내부공간(1110)을 갖고 일측 상부에 개방된 유입구(1120)를 구비하고 타측 측부에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배출구(1130)를 구비하는 바디부(1100), 유입구(1120)를 개폐하기 위해 바디부(1100)에 결합되는 커버부(1200), 내부공간(1110)에 배치되고 비닐(P) 및 비닐(P)에 수용된 대상물(20)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1300), 적어도 일부가 비닐(P)의 내부 기체를 흡인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1110)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비닐(P) 및 대상물(20)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제1 안착부(1300)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커버부(120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 포장부(1400), 내부공간(1110)에 배치되고 대상물(20)이 유입되기 위한 포장용기(10)의 수납체(11)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1500) 및 적어도 일부가 포장용기(10)의 커버(12)를 지지하고 제2 안착부(1500)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며 나머지 일부가 커버(12)와 수납체(11)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바디부(1100)의 내벽체에 결합되는 제2 포장부(16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0)는 내부공간(1110)을 가지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100)는 그 상부 일측에 상하로 관통된 유입구(1120)를 구비하고, 타측 측부에 배출구(1130)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일측 및 타측은 도 1에 도시된 길이방향에 대한 일측 및 타측일 수 있다. 바디부(1100)는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배출커버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1200)는 바디부(1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유입구(1120)를 커버할 수 있다. 즉, 커버부(1200)는 바디부(1100)의 유입구(1120)를 커버하여, 내부공간(1110)을 밀폐시킬 수 있다.
한편, 커버부(1200)는 그 하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커버부(1200)의 함몰된 내부에 후술되는 제1 포장부(14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300)는 내부공간(1110)의 일측에 배치되고, 비닐(P) 및 비닐(P)에 수용된 대상물(20)이 안착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300)는 제1-1 안착부재(1310) 및 제1-1 지지부재(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안착부재(1310)는 그 상부에 수납체(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수납체(11)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1 안착부재(1310)는 후술되는 제1-1 지지부재(1320)에 의해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틸팅되거나 우측으로 틸팅될 수 있다. 이때, 제1-1 안착부재(1310)는 제1-1 지지부재(1320)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틸팅될 수 있고, 이때 안착된 대상물(20)이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제1-1 지지부재(1320)는 그 상부가 제1-1 안착부재(13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그 하부가 바디부(1100)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1 지지부재(1320)는 한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1 지지부재(1320)는 신축관(1321) 및 제1-1 실린더(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신축관(1321)은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그 일단이 제1-1 안착부재(1310)의 하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신축관(1321)은 그 중심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1 실린더(1322)는 신축관(1321)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일단이 제1-1 안착부재(1310)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각각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한쌍의 제1-1 지지부재(1320)의 제1-1 실린더(1322)들 중 상대적으로 우측에 배치된 제1-1 실린더(1322)가 수축되면, 제1-1 안착부재(1310)는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1 실린더(1322)의 수축되는 길이에 비율은, 제1-1 실린더(1322)가 신장되었을 때 길이의 0.3 초과 내지 0.5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포장부(1400)는 적어도 일부가 비닐(P)의 내부 기체를 흡인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1110)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비닐(P) 및 대상물(20)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제1 안착부(1300)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커버부(12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포장부(1400)는 제1-1 진공부재(1410), 래핑부재(1420) 및 절단부재(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진공부재(1410)는 대상물(20)이 그 내부에 수납된 비닐(P) 내부의 기체를 흡인 할 수 있도록 바디부(1100)에 설치될 수 있다.
흡인배관(1411)은 적어도 일부가 제1 안착부(1300)의 상측에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비닐(P)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연통배관(1412)은 제1 안착부(1300)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상부가 흡인배관(1411)에 연통되고, 그 하부가 흡인펌프(1413)에 연통될 수 있다. 즉, 연통배관(1412)은 흡인배관(1411)을 통해, 흡인된 비닐(P) 내부의 기체가 흡인펌프(1413)로 이동하는 통로일 수 있다.
한편, 연통배관(1412)은 흡인펌프(1413)에 의해 내부 기체량이 감소되는 비닐(P)으로부터 공급되는 기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와류는 흐르는 유체와 정지해 있는 유체가 접하는 경계면에서, 흐르는 유체가 정지해 있는 유체와 충돌하며 진행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돌게되는 현상을 지칭한다. 와류현상은 관의 내부에서 관의 외부로 유체가 배출될 때 혹은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의 폭이 좁은 곳에서 넓은 곳으로 바뀌는 곳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흡인배관(1411)을 통과한 기체가 연통배관(1412)으로 유입되면서 기체에 와류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만일, 연통배관(1412)을 내부에서 기체에 와류현상이 발생될 경우, 흡인펌프(1413)가 기체를 원활하게 흡인하지 못할 수 있고, 포장용품의 내부 기체가 효과적으로 배출되지 못하여 포장용품의 내부가 진공을 형성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흡인배관(1411)으로부터 공급된 기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연통배관(1412)의 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통배관(1412)은 제1 배관(1412a), 제2 배관(1412b) 및 제3 배관(1412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배관(1412a)은 흡인배관(1411)과 연결되며, 연통배관(1412)으로 기체가 유입되는 통로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배관(1412a)의 내경은 흡인배관(1411)의 내경의 크기와 같거나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관(1412b)은 흡인펌프(1413)와 연결되며, 연통배관(1412)으로 유입된 기체가 흡인펌프(1413)로 배출되는 통로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배관(1412b)의 내경은 제1 배관(1412a)의 내경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배관(1412b)은 제1 배관(1412a) 보다 내경이 작고 제3 배관(1412c)을 통해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결된 관에서 유체는 동일한 유량일 때, 통과하는 단면적이 넓을수록 이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릴 수 있고, 통과하는 단면적이 좁을수록 유체의 이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를 수 있다. 이에, 유체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내부 압력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구간의 압력보다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은 구간의 압력이 더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배관(1412b)에서의 압력이 제1 배관(1412a)에서의 압력보다 높을 수 있다.
한편, 제2 배관(1412b)과 연결된 흡인펌프(1413)의 유입구는 제2 배관(1412b)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제3 배관(1412c)은 제1 배관(1412a) 및 제2 배관에 각각 연결되며, 제1 배관(1412a)과 제2 배관(1412b)을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배관(1412c)은 제1 배관(1412a)에서 제2 배관(1412b)을 향하는 기체 이동방향(즉, 도면상 상하방향)을 따라 내경이 점차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통배관(1412)은 제3 배관(1412c)은 내부에 기체의 불규칙한 흐름을 일정한 흐름으로 조절할 수 있는 분사판(1412d)을 구비할 수 있다.
분사판(1412d)은 제3 배관(1412c)의 내경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분리막(1412da) 및 분리막(1412da)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복수의 분사홀(1412db)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분리막(1412da)의 직경이 제3 배관(1412c)의 내경들 중 길이가 제일 짧은 내경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인배관(1411)을 통과한 후, 제1 배관(1412a)으로 유입된 기체에는 와류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에, 분사판(1412d)을 통해 분사판(1412d)의 후단에서부터 흡인펌프(1413)에 이르기까지 기체의 원활한 가스 흐름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체가 제1 배관(1412a)로 유입되면 기체는 제3 배관(1412c)를 통과해 제2 배관(1412b)로 이동하려고 할 수 있다. 이때, 기체는 제3 배관(1412c)에 구비된 분리막(1412da)에 의해 일시적으로 이동이 멈출 수 있다. 즉, 분리막(1412da)에 의해 기체는 분리막(1412da)의 전단에 체류하며 일시적으로 응축될 수 있다.
한편, 제1 배관(1412a)과 제2 배관(1412b)은 그 내경의 크기 차이로 인해, 제1 배관(1412a)의 내부 압력보다 제3 배관(1412c)의 내부압력이 낮을 수 있고, 제3 배관(1412c)의 내부 압력보다 제2 배관(1412b)의 내부 압력이 낮을 수 있다. 이에, 고압에서 저압으로 흐르는 유체의 특성에 따라, 분리막(1412da)의 전단에서 일시적으로 응축된 기체가 분리막(1412da)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분사홀(1412db)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다. 즉, 분리막(1412da)이 기체를 순간적으로 압축하고, 분사홀(1412db)로 기체를 배출하여 분사판(1412d)의 후단인 제2 배관(1412b)에서 기체의 흐름을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흡인펌프(1413)까지 기체의 원활한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사홀(1412db)은 이동방향을 따라 내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기체가 분사홀(1412db)을 통과하며 이동속도가 점점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체가 분사홀(1412db)을 더 원활하고 신속하게 통과하여 제2 배관(1412b)에서 기체의 흐름을 더 효과적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배관(1412a), 제2 배관(1412b) 및 제3 배관(1412c)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흡인펌프(1413)는 비닐(P)의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형성할 수 있도록, 연통배관(1412)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흡인펌프(1413)는 내부공간(1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안착부(1300)의 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배관(1414)은 흡인배관(1411)의 둘레를 따라 흡인배관(1411)으로 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그 내주면과 흡인배관(1411)의 외주면 사이에 인입된 비닐(P)의 일부를 흡인배관(1411)에 밀착시킬 수 있다. 고정배관(1414)은 몸체기(1414a), 고정기(1414b) 및 구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기(1414a)는 흡인배관(1411)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흡인배관(1411)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그 단부가 흡인배관(141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몸체기(1414a)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제1 안착부(1300)를 향하는 일측이 개방되고, 일측과 정반대의 위치인 타측이 폐쇄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기(1414a)는 O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기(1414b)는 몸체기(1414a)의 관통된 내부에서 관통된 내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흡인배관(1411)의 외주면을 향하여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고정기(1414b)는 몸체기(1414a)의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구동부재에 의해 몸체기(1414a)의 관통된 내부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기(1414b)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몸체기(1414a)의 관통된 내부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흡인배관(1411)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고정기(1414b)는 몸체기(1414a)의 관통된 내부의 중심부, 즉 흡인배관(1411)을 향하여 기체가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기(1414b)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고정기(1414b)의 일부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고정기(1414b)들은 몸체기(1414a)의 관통된 내부에서 몸체기(1414a)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균등한 각도로 배치되며, 기체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고정기(1414b)는 일측이 몸체기(1414a)에 구비되는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하며 기체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전개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고정기(1414b)들의 타측은 일부가 서로 포개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고정기(1414b)들은 몸체기(1414a)의 관통된 내부에 비닐(P)이 삽입되면, 비닐(P)이 흡인배관(1411)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고정기(1414b)들이 포개지는 부분이 균일한 비율로 증감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고정기(1414b)는 몸체기(1414a)와 흡인배관(1411)의 사이에 삽입된 비닐(P)을 흡인배관(1411)을 향하여 가압하여, 비닐(P)을 흡인배관(1411)의 외주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비닐(P)이 흡인배관(1411)에 밀착되며, 비닐(P)과 흡인배관(1411) 사이에 틈새가 사라지며, 비닐(P)의 내부가 더 효과적으로 진공분위기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재는 고정기(1414b)를 이동시키도록, 고정기(1414b)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구동부재는, 회전체, 모터, 제1 톱니, 제2 톱니, 및 제3 톱니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는 몸체기(1414a) 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체의 중심은 냉각재가 통과되도록 개방되며, 개방된 중심 영역은 몸체기(1414a)의 관통된 내부 내에 몸체기(1414a) 동축상에 배치된 흡인배관(1411)과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회전체는 모터로부터 제1 톱니와 제2 톱니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회전체 외주면에는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산은 제2 톱니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린다. 따라서, 제2 기어가 회전되면,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톱니는 모터의 중심축에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톱니와 제2 톱니 및 회전체는 서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산은 제3 톱니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린다. 따라서,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제3 톱니가 회전한다. 즉, 제1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제3 톱니가 회전체의 내측에서 회전한다.
제3 톱니는 회전체의 내측벽을 따라 고정기(1414b)들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설치된다. 각각의 제3 톱니들은 서로 균등한 각도로 설치된다. 제3 톱니는 몸체기(1414a) 내부의 회전축에 설치된다. 각각의 회전축들은 제3 톱니의 회전 중심과 수직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축들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고정기(1414b)들은 흡인배관(1411)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재가 고정기(1414b)들을 구동시키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래핑부재(1420)는 비닐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제1 안착부(1300)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커버부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래핑부재(1420)는 제1-1 작동기(1421), 제1-2 작동기(1422), 압착기(1423) 및 제어기(14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작동기(1421)는 커버부(1200)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1 작동기(1421)는 커버부(1200)가 바디부(1100)의 상부를 커버한 상태에서, 후술되는 제1-2 작동기(1422)보다 상대적으로 제1-1 진공부재(1410)로부터 먼 위치에서 커버부(1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1 작동기(1421)는 제1 액추에이터(미도시), 제1-1 구동기어(1421a), 제1-1 종동기어(1421b) 및 제1-1 탄성체(142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는 커버부(120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1 구동기어(1421a)는 커버부(1200)의 내부에 삽입되며, 제1 액추에이터에 동축상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기어이를 구비할 수 있다.
제1-1 종동기어(1421b)는 적어도 일부가 커버부(1200)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며, 제1-1 구동기어(1421a)에 치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하부가 압착기(14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1 탄성체(1421c)는 그 하단부가 제1-1 종동기어(1421b)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상단부가 커버부(1200)의 내벽체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할 수 있다. 제1-1 탄성체(1421c)는 제1-1 종동기어(1421b)가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1-1 종동기어(1421b)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1 탄성체(1421c)는 제1-1 종동기어(1421b)의 상측이 커버부(1200)의 내벽체와 충돌하여 마모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제1-2 작동기(1422)는 커버부(1200)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2 작동기(1422)는 커버부(1200)가 바디부(1100)의 상부를 커버한 상태에서, 후술되는 제1-1 작동기(1421)보다 상대적으로 제1-1 진공부재(1410)로부터 가까운 위치에서 커버부(1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2 작동기(1422)는 제2 액추에이터(미도시), 제1-2 구동기어(1422a), 제1-2 종동기어(1422b) 및 제1-2 탄성체(142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는 커버부(120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2 구동기어(1422a)는 커버부(1200)의 내부에 삽입되며, 제2 액추에이터에 동축상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기어이를 구비할 수 있다.
제1-2 종동기어(1422b)는 적어도 일부가 커버부(1200)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며, 제1-2 구동기어(1422a)에 치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하부가 압착기(14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2 탄성체(1422c)은 그 하단부가 제1-2 종동기어(1422b)의 상부에 결합되고, 그 상단부가 커버부(1200)의 내벽체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할 수 있다. 제1-2 탄성체(1422c)은 제1-2 종동기어(1422b)가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1-2 종동기어(1422b)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2 탄성체(1422c)은 제1-2 종동기어(1422b)의 상측이 커버부(1200)의 내벽체와 충돌하여 마모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압착기(1423)는 제1-1 작동기(1421)의 하부 및 제1-2 작동기(1422)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제1-1 작동기(1421) 및 제1-2 작동기(1422)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며, 제1-1 안착부재(1310)와 마주보는 일측이 탄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압착기(1423)는 그 하부가 식품과 접촉시, 그 형상이 변경될 수 있도록, 천연 고무, 스펀지, 합성 고무, 내열성 실리콘 고무 및 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압착기(1423)가 제1-1 작동기(1421)와 제1-2 작동기(1422)에 의해 그 양단부가 순차적으로 하강하며, 비닐(P)과 비닐(P)에 수납된 대상물(20)과 접촉될 수 있다. 이후, 압착기(1423)가 더 하강하며, 제1-1 안착부재(131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고, 이때 압착기(1423)의 하부는 식품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함몰되며 비닐(P)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압착기(1423)의 가압에 의해 비닐(P) 내부의 기체가 더 효과적으로 흡인배관(1411)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에, 비닐(P)의 내면이 대상물(20)의 외면에 더 밀착되고, 비닐(P)의 부피가 최소인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압착기(1423)는 제1-1 작동기(1421)와 제1-2 작동기(1422)에 의해 상승하며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경우, 비닐(P)과 비닐(P)에 수납된 대상물(20)과 접촉되며 함몰된 부분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다.
제어기는 제1-1 진공부재(1410)에 연결되고, 제1-1 진공부재(1410)가 흡인하는 기체량값에 따라, 제1-1 작동기(1421) 및 제1-2 작동기(1422)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기는 측정유닛, 판단유닛 및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유닛은 흡인배관(1411)에 연결되며, 흡인배관(1411)을 통과하는 기체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유닛은 유량 디지털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판단유닛은 측정유닛이 측정한 측정값들과 기 설정된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을 비교하여, 제1-1 작동기(1421) 및 제1-2 작동기(1422)의 구동 시점을 판단하도록 측정유닛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판단유닛은 측정유닛이 측정한 측정값이 상기 제1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제1-1 작동기(1421)가 구동할 시점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유닛은 측정유닛이 측정한 측정값이 제1 기준값보다 큰 값인 제2 기준값과 동일할 경우 제1-2 작동기(1422)가 구동할 시점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유닛은 판단유닛의 판단에 따라, 제1-1 작동기(1421) 및 제1-2 작동기(1422)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닐(P)의 내부로부터 기체가 흡인배관(1411)으로 배출되면, 흡인배관(1411)에서 측정유닛을 통해 측정되는 기체량값은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측정되는 측정값이 제1 기준값과 동일해졌다고 판단유닛이 판단하면, 제어유닛을 통해 제1-1 작동기(1421)를 작동시켜, 압착기(1423)의 일측으로 비닐(P)을 가압할 수 있다. 즉, 비닐(P)에서 기체가 배출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먼 부분을 압착기(1423)가 가압할 수 있다.
이후, 비닐(P)의 내부로부터 기체가 점차적으로 더 많이 배출됨에 따라, 흡인배관(1411)에서 측정유닛을 통해 측정되는 기체량값은 제1 기준값보다 더 큰 값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측정되는 측정값이 제2 기준값과 동일해졌다고 판단유닛이 판단하면, 제어유닛을 통해 제1-2 작동기(1422)를 작동시켜, 압착기(1423)의 타측으로 비닐(P)을 가압할 수 있다. 즉, 비닐(P)에서 기체가 배출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분을 압착기(1423)가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압착기(1423)가 비닐(P)을 전체적으로 가압하며, 그 내부의 기체를 흡인배관(1411)으로 모두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닐(P)의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더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비닐(P)이 대상물(20)에 밀착된 상태가 되게 할 수 있고. 식품(10)이 비닐(P)에 의해 진공포장될 수 있다.
절단부재(1430)는 제1 안착부에 안착된 비닐(P)의 적어도 일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커버부(1200)의 하면에서 제1 안착부(1300)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절단부재(1430)는 비닐(P) 중 제1-1 진공부재(1410)에 삽입된 부분과 인접한 위치에서 비닐(P)을 커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부재(1430)는 비닐(P)을 열융착시켜 비닐(P)을 커팅할 수 있다. 이에,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된 비닐(P)이 절단 폐쇄되며 그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절단부재(1430)는 비닐(P)의 개방된 부분(즉, 제1-1 진공부재(1410)에 삽입되는 부분)을 밀봉시켜, 그 내부가 진공상태를 형성한 비닐(P)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비닐(P)은 대상물(20)에 밀착된 상태로서, 그 부피가 최소일 수 있다.
제2 안착부(1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된 포장용기(10)를 회전시키거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안착부(1500)는 제2-1 안착부재(1510), 제2-2 안착부재(1520) 및 레일부재(1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안착부재(1510)는 바디부(11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1 안착부재(1510)는 제2-1 실린더(1511), 제2-1 회전기어(1512), 제2-1 회전모터(15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실린더(1511)는 그 상부에 제2-2 안착부재(1520)가 결합되며, 제2-2 안착부재(15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2-1 안착부재(1510)는 제2-1 실린더(1511)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1 회전기어(15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1 안착부재(1510)는 제2-1 실린더(151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기어이를 형성하며 제2-1 회전기어(1512)에 치합되는 제2-2 회전기어(151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1 안착부재(1510)는 제2-2 회전기어(1513)에 동축상으로 결합되는 제2-1 회전모터(1514)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제2-1 안착부재(1510)가 제2-2 안착부재(15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의 둘레 방향으로 자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레일부재(1530)에 안착된 포장용기(10)의 커버(12) 및 수납체(11)가 함께 회전하며 후술된는 접착부재(1640)에 의해 서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제2-2 안착부재(1520)는 상기 제2-1 실린더(1511)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실린더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2-2 안착부재(1520)는 그 상부에 레일부재(1530)가 결합될 수 있다.
레일부재(1530)는 제2-2 안착부재(1520)의 상부에 결합되며, 그 상부에 수납체(11)가 안착되고, 안착된 수납체(11)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복수의 롤러(1531) 및 복수의 롤러(1531)를 연결시키는 벨트(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레일부재(1530)에 안착된 수납체(11) 및 수납체(11)에 결합된 커버(12)가 제2-1 안착부재(1510)에 의해 하강이동하고, 레일부재(1530)에 의해 길일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술한 배출구(1130)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포장부(1600)는 적어도 일부가 포장용기(10)의 커버(12)를 지지하고 제2 안착부(1500)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며, 나머지 일부가 커버(12)와 수납체(11)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바디부(1100)의 내벽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포장부(1600)는 제2-2 실린더(1610), 제2-1 지지부재(1620), 제2-1 진공부재(1630), 접착부재(1640) 및 충진부재(16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2 실린더(1610)는 바디부(1100)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1 지지부재(1620)는 제2-2 실린더(16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커버(12)를 지지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커버(12)의 상부를 흡착하기 위한 흡착체(162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흡착체(1621)는 빨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그 하부에 접착물질이 도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1 진공부재(1630)는 바디부(1100)의 상부에 고정되며, 바디부(1100)의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접착부재(1640)는 바디부(1100)의 측부에 고정되며, 서로 접촉된 커버(12) 및 수납체(11)의 접촉부위를 가열하여 커버(12)와 수납체(11)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도록 커버(12) 및 수납체(11)의 접촉 부위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재(1640)는 레이저등을 조사할 수 있는 기구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레일부재(1530)에 안착된 수납체(11) 및 수납체(11)에 상부에 안착된 커버(12)가 제2-1 안착부재(1510)에 의해 회전하고, 접착부재(1640)가 레이저를 조사하며, 커버(12)와 수납체(11)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충진부재(1650)는 바디부(1100)의 측부에서 접착부재(1640)의 하부에 배치되고, 수납체(11)를 향하여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수납체(11)의 벽체를 관통하여, 포장용기(10)의 내부에 액체(E)를 주입하여 포장용기(10)의 내부를 충진할 수 있다. 충진부재(165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할 수 있는 주입노즐(1651)을 구비하며, 주입노즐(1651)은 외부의 액체 공급원(미도시)에 연결되어 액체 공급원으로부터 액체(E)를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충진부재(1650)는 대상물(20)이 수납된 포장용기(10)의 내부에 빈 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포장용기(10)의 내부에 액체(E)를 주입하여 포장용기(10)의 내부를 채울 수 있다. 이에, 포장용기(10) 내부의 대상물(20)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액체(E)는, 에폭시 계열로서,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포장용기(10)는 스티로폼의 재질로 구성되는 내피층(12a)과, 내피층의 내, 외주연에 도포되며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다공성 광물 분말과 무기항균제가 포함된 단열코팅층(12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열코팅층(12b)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100중량부에 대해 다공성 광물분말 50 내지 80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20 내지 50중량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20 내지 50중량부, 광촉매 5 내지 10중량부, 규산 5 내지 10중량부, 아세트산 5 내지 10중량부, 무기항균제 1 내지 5중량부, 멜라닌 0.1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피층(12a)은, 2중층으로 구성되며 내피층에는 사이에는 판형으로 복수의 간극이 형성되는 섬유층(미도시)이 게재될 수 있다. 또한, 섬유층은, 유리섬유의 직조에 의해 형성되되, 각각 메쉬를 형성하는 외피와 내피가 연결사에 의해 이격이 형성되도록 이중층의 구조로 직조될 수 있다.
이처럼, 밀봉된 대상물을 포장용기에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다. 이에, 포장 공정이 간결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대상물이 수용된 포장용기의 내부를 충진하여, 포장용기 내부에 대상물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대상물의 위치가 움직이지 않으며, 대상물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대상물 포장장치 1100: 바디부
1200: 커버부 1300: 제1 안착부
1400: 제1 포장부 1500: 제2 안착부
1600: 제2 포장부 10: 포장용기
20: 대상물 P: 비닐

Claims (3)

  1. 유기체로 이루어진 대상물을 포장용기에 포장하기 위한 대상물 포장장치로서,
    내부공간을 갖고, 일측 상부에 개방된 유입구를 구비하고 타측 측부에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배출구를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는 커버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비닐 및 상기 비닐에 수용된 대상물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비닐의 내부 기체를 흡인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비닐 및 상기 대상물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안착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 포장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대상물이 유입되기 위한 상기 포장용기의 수납체가 안착되는 제2 안착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포장용기의 커버를 지지하고 상기 제2 안착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며, 나머지 일부가 상기 커버와 상기 수납체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벽체에 결합되는 제2 포장부;를 포함하는 대상물 포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2-1 안착부재;
    상기 제2-1 안착부재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1 안착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2 안착부재; 및
    상기 제2-2 안착부재의 상부에 고정되고, 그 상부에 상기 수납체가 안착되고, 안착된 상기 수납체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복수의 롤러 및 상기 복수의 롤러를 연결시키는 벨트를 구비하는 레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1 안착부재는,
    그 상부에 상기 제2-2 안착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제2-2 안착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2-1 실린더;
    상기 2-1 실린더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방향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1 회전기어;
    그 외주면에 기어이를 구비하며, 상기 2-1 실린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1 회전기어에 치합되는 제2-2 회전기어; 및
    상기 제2-2 회전기어에 동축상으로 결합되는 제2-1 회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장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2 실린더;
    상기 제2-2 실린더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를 지지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상기 커버의 상부를 흡착하기 위한 흡착체를 구비하는 제2-1 지지부재;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바디부의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하기 위한 제2-1 진공부재;
    상기 바디부의 측부에 고정되며, 서로 접촉된 상기 커버 및 상기 수납체의 접촉부위를 가열하여 상기 커버와 상기 수납체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및 상기 수납체의 접촉 부위에 레이저를 조사 가능한 접착부재; 및
    상기 바디부의 측부에서 상기 접착부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체를 향하여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수납체의 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에 액체를 주입하여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는, 에폭시 계열로서,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인 대상물 포장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는,
    그 상부에 상기 수납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체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1-1 안착부재; 및
    그 상부가 상기 제1-1 안착부재의 하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며, 그 하부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제1-1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제1-1 지지부재는,
    일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그 일단이 상기 제1-1 안착부재의 내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신축관; 및
    상기 신축관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고, 그 일단이 상기 제1-1 안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각각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1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장부는,
    상기 대상물이 그 내부에 수납된 상기 비닐 내부의 기체를 흡인 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는 제1-1 진공부재;
    상기 비닐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안착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래핑부재; 및
    상기 제1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비닐의 적어도 일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의 하면에서 상기 제1 안착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절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래핑부재는,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1 작동기;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 수축 가능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바디부의 상부를 커버한 상태에서, 일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1 작동기보다 상기 제1-1 진공부재 더 인접한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1-2 작동기;
    상기 제1-1 작동기의 하부 및 상기 제1-2 작동기의 하부에 각각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1 작동기 및 상기 제1-2 작동기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며, 상기 제1 안착부와 마주보는 일측이 천연 고무, 스펀지, 합성 고무, 내열성 실리콘 고무 및 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압착기; 및
    상기 제1-1 진공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1 진공부재가 흡인하는 기체량값에 따라, 상기 제1-1 작동기 및 상기 제1-2 작동기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대상물 포장장치.
KR1020220075923A 2022-06-22 2022-06-22 대상물 포장장치 KR102430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923A KR102430981B1 (ko) 2022-06-22 2022-06-22 대상물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923A KR102430981B1 (ko) 2022-06-22 2022-06-22 대상물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981B1 true KR102430981B1 (ko) 2022-08-08

Family

ID=8284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923A KR102430981B1 (ko) 2022-06-22 2022-06-22 대상물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935B1 (ko) * 2023-09-07 2024-03-05 김종석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3005U (ko) * 1985-01-22 1986-08-02
KR20120051814A (ko) * 2010-11-15 2012-05-23 이종형 식품의 가스충전 포장방법과 포장장치 및 가스충전 포장된 식품
KR20130015506A (ko) 2011-08-03 2013-02-14 주식회사 제로팩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KR20140136015A (ko) * 2012-03-27 2014-11-27 가부시키가이샤 토세이 진공 포장 방법 및 진공 포장 장치
KR20150014694A (ko) * 2013-07-30 2015-02-09 에코브라인 주식회사 자동연속식 진공포장장치
KR20170074247A (ko) * 2015-11-12 2017-06-30 에코프릭션웰딩 (주) 무한궤도 타입의 회전 구조를 갖는 자동 진공포장장치
KR101868300B1 (ko) * 2017-12-28 2018-06-15 이장성 진공 포장 장치
CN111634466A (zh) * 2020-06-01 2020-09-08 海宁市富连机械有限公司 一种食品包装用抽真空设备
KR102419200B1 (ko) * 2022-04-14 2022-07-08 주식회사 진성플랜트 식품용 진공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3005U (ko) * 1985-01-22 1986-08-02
KR20120051814A (ko) * 2010-11-15 2012-05-23 이종형 식품의 가스충전 포장방법과 포장장치 및 가스충전 포장된 식품
KR20130015506A (ko) 2011-08-03 2013-02-14 주식회사 제로팩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KR20140136015A (ko) * 2012-03-27 2014-11-27 가부시키가이샤 토세이 진공 포장 방법 및 진공 포장 장치
KR20150014694A (ko) * 2013-07-30 2015-02-09 에코브라인 주식회사 자동연속식 진공포장장치
KR20170074247A (ko) * 2015-11-12 2017-06-30 에코프릭션웰딩 (주) 무한궤도 타입의 회전 구조를 갖는 자동 진공포장장치
KR101868300B1 (ko) * 2017-12-28 2018-06-15 이장성 진공 포장 장치
CN111634466A (zh) * 2020-06-01 2020-09-08 海宁市富连机械有限公司 一种食品包装用抽真空设备
KR102419200B1 (ko) * 2022-04-14 2022-07-08 주식회사 진성플랜트 식품용 진공포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935B1 (ko) * 2023-09-07 2024-03-05 김종석 육류 포장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0981B1 (ko) 대상물 포장장치
JP7262450B2 (ja) 密封されたパッケージを形成するためのパッケージ装置
KR102419200B1 (ko) 식품용 진공포장장치
ES2382142T3 (es) Máquina de envasado con un dispositivo de ultrasonidos
CA2595753A1 (en) Inflation device for forming inflated containers
JP7447123B2 (ja) 密封されたパッケージを形成するためのパッケージ装置
CN1219678C (zh) 包装装置
CN102089211A (zh) 包装和充填机器
US7140167B2 (en) Positive pressure fresh meat packaging system
CN103407692B (zh) 空气包装装置及其制造方法
EP2177438B1 (en) Device for vacuum packaging, particularly of food products
JP4987983B2 (ja) 液体または固体製品の個々の包装品を高速製造する方法および手段
US7455577B2 (en) Retention device with crank transmission
KR100938154B1 (ko) 파우치 포장장치
CN108516127A (zh) 一套挂面生产系统
CN113084442B (zh) 管道焊接辅助工装
CN110375932A (zh) 一种高分子塑料瓶漏气快速检测机
CN108290728A (zh) 用于填充和密封容器的装置和方法
EP2253458B1 (en) Cloth bonding apparatus
KR100508219B1 (ko) 포장재의 체크밸브 장착장치
WO2016069870A1 (en) Bellows fluid seal
EP2361750B1 (en) Cloth bonding apparatus and cartridge
CN115285396A (zh) 一种水性粘合剂生产用灌装设备
ITMI20000338A1 (it) Ugello di riempimento con intercettazione di liquidi in alimentazioneper macchine riempitrici
CN111589644B (zh) 一种汽车零件胶液粘接、封闭用的点胶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