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853B1 -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853B1
KR102643853B1 KR1020230090261A KR20230090261A KR102643853B1 KR 102643853 B1 KR102643853 B1 KR 102643853B1 KR 1020230090261 A KR1020230090261 A KR 1020230090261A KR 20230090261 A KR20230090261 A KR 20230090261A KR 102643853 B1 KR102643853 B1 KR 102643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disaster
evacuation
train
movement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생
Original Assignee
(주)원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원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30090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은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구조물에서 발생한 재난 발생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소방 설비;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며 열차 운행정보 및 능동형 이동방향을 표출하는 열차행선안내표시기; 상기 복수 개의 소방 설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피경로를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센서 중 상기 재난 발생 신호를 생성한 지점이 상기 대피경로에 존재하지 않도록 하며, 열차행선안내표시기가 설치된 지점을 출발점으로 하고, 상기 구조물의 출구를 도착점으로 한 최단 경로를 상기 대피경로로 생성하며, 상기 능동형 이동방향은 상기 서버에 의해 생성된 상기 대피경로와 연동되어 표출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 {Train destination information system with dynamic evacuation guidance and movement direction display function in case of disaster}
본 발명은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난 발생시 표출되는 대피경로에 따른 이동방향을 이용객이 인지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역 또는 기차역에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의 열차행선안내표시기는 지하철 또는 기차역 각 역사의 승강장 또는 통로 등에 설치되어 열차의 번호 표시, 행선지 표시, 열차의 현재 위치 표시, 열차 지연 정보 표시 등 열차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표출함으로써 이용객에 대한 열차 이용상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열차행선안내표시기는 기본적으로 LSE(Local Station Equipment)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표출하며, 열차 운행정보 외에 공지사항 등이 텍스트 또는 이미지, 동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열차행선안내표시기는 평상시에는 이용객들의 열차 이용상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나, 재난 발생시에는 적절한 재난 대응 안내를 제공하지 못하고 화재 발생 문자 정보만 표출하는 실태이다.
최근 지하철 또는 공공시설물 등의 지하 보행로는 점점 더 깊은 지하화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이동경로를 복잡하게 할 수밖에 없으며 재난 발생시 이용객들이 최단 시간에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방안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항시 정해진 방향을 안내하는 기존의 유도등으로는 이용객의 대피 안내가 적절히 이루어지기 매우 힘들며,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만일 기존의 고정된 방향을 표시하는 유도등의 이동방향 쪽에 재난이 발행한 경우 이용객들이 잘못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더 큰 재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이태원 참사 이후에 혼잡으로 인한 사고 예방을 위한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중대재해처벌법 이후 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수준 역시 증가하고 있다.
결국, 재난 발생시 이용객들이 우왕좌왕하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몰리는 혼잡을 예방하고, 최단 시간에 이용객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안내를 위한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28936호(2020.11.17.)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재난 발생시 능동적으로 변경되는 능동형 이동방향이 대피경로에 따라 표출되고, 이용객은 이렇게 표출되는 능동형 이동방향을 인지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은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구조물에서 발생한 재난 발생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소방 설비;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며 능동형 이동방향을 표출하는 열차행선안내표시기; 상기 복수 개의 소방 설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피경로를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소방 설비 중 상기 재난 발생 신호를 생성한 지점이 상기 대피경로에 존재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열차행선안내표시기가 설치된 지점을 출발점으로 하고, 상기 구조물의 출구를 도착점으로 한 최단 경로를 상기 대피경로로 생성하며, 상기 능동형 이동방향은 상기 서버에 의해 생성된 상기 대피경로와 연동되어 표출되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은 상기 능동형 이동방향은 상기 서버에 의해 생성된 대피경로와 연동되며, 상기 열차행선안내표시기는 상기 도착점을 향하는 방향의 화살표 및 문자, 이미지를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은 상기 서버와 송수신하는 운영자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소방 설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재난 발생 신호를 상기 운영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은 상기 구조물이 지하철역이고, 지하철 승강장 및 통로에 상기 열차행선안내표시기가 설치되어 효율적으로 상기 능동형 이동방향이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시스템은 재난 발생시 능동적으로 변경되는 능동형 이동방향이 대피경로에 따라 표출되고, 이용객은 이렇게 표출되는 능동형 이동방향을 인지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시스템은 대피경로 중 특정 지점에 이용객의 밀집도가 높아지면 해당 특정 지점을 회피하도록 대안경로를 생성하여 능동형 이동방향으로 안내함으로써 특정 지점에 이용객이 몰려 2차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시스템은 소방 설비가 설치되는 모든 지점에 대한 정보 등록 및 재난 발생 시 대피경로를 미리 등록함으로써, 간단한 수 조작만으로 재난 발생 지점에 따른 대피 안내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물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행선안내표시기에 표출되는 능동형 이동방향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조물이 지하철역인 경우 스크린 도어의 출입문 위치의 승차 방향 천장에 열차행선안내표시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의 시나리오 설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물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은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구조물에서 발생한 재난 발생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소방 설비(100);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며 열차 운행정보 및 능동형 이동방향을 표출하는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 복수 개의 소방 설비(1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피경로를 생성하는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서버(300)는 복수 개의 소방 설비(100) 중 재난 발생 신호를 생성한 지점이 대피경로에 존재하지 않도록 하며,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가 설치된 지점을 출발점으로 하고, 구조물의 출구를 도착점으로 한 최단 경로를 상기 대피경로로 생성할 수 있고, 능동형 이동방향은 서버(300)에 의해 생성된 대피경로와 연동되어 표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 각각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먼저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는 지하철역과 같은 구조물에 설치된 복수 개의 소방 설비(100)는 서버(300)와 통신을 소방 설비(100)가 감지하는 정보들이 서버(300)로 전송되도록 구성되며, 복수 개의 소방 설비(100) 각각은 다양한 센서를 구비하여 재난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느 하나의 소방 설비(100)가 재난 발생을 감지하게 되면(S10), 소방 설비로부터 정보가 수집되어(S20), 서버(300)로 수집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S30)
그리고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운영자단말기(400)로 전송될 수 있고, 운영자 는 운영자단말기(400)를 통하여 재난 발생지점 및 경고 알람,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에 대피이동방향이 표출되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S35)
서버(300)는 수집된 정보(재난 발생 정보)를 바탕으로 대피경로를 생성하는데, 대피경로는 재난 발생 지점을 회피하면서 출입구까지 최단경로로 대피가 가능한 경로인 것이 바람직하다.(S40)
이렇게 생성된 대피경로는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로 전송되고,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는 대피경로에 따른 능동형 이동방향을 표출하게 된다.(S50)
그리고 출입구 및 이동 계단에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가 설치되어 있다면, 출입구 및 이동 계단에 설치된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를 통해 진입 가능 또는 금지 안내를 할 수 있다.(S60)
또한 상기 서버(300)는 인접한 역의 서버로 재난 발생 정보를 전송하여, 인접한 역에서도 어떠한 역에서 재난이 발생했는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인접 역의 철도관계자가 재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역사 이용객이 다른 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S70)
본 발명에서 복수 개의 소방 설비(100)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화재와 같은 재난을 감지할 수 있다. 소방 설비(100)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소정 온도 이상을 감지하는 온도 센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 센서, 소정 감도 이상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소방 설비(100)는 기본적인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방 장비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응급 시 필요한 장비들도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소방 설비(100) 각각은 소정 수치 이상의 온도, 연기, 진동 중 하나를 감지하는 경우 재난 발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재난 발생 신호는 서버(300)로 전송된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에서 구조물은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역과 같은 구조물일 수 있고, 지하철역이 아닌 지하화된 이동로일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건물 내부의 이동로를 포함한 구조물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구조물은 지하철역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용객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가 있는 구조물이면 어디든 적용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로 표출되는 능동형 이동방향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는 구조물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능동형 이동방향을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평상시에는 열차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고, 재난 발생 시에는 대피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가 표출하는 능동형 이동방향에 대해 설명하면, 능동형 이동방향은 상기 서버(300)가 생성하는 대피경로와 연동되는 이동방향으로, 대피경로에 따라 방향이 능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능동형 이동방향은 서버(300)가 소방설비(100)로부터 수신된 재난 발생지점에 대한 대피경로를 생성한 대피경로가 '←'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소방설비(100)로부터 재난 발생지점 추가 또는 변경되는 경우에는 서버(300)가 대피경로를 새로 생성할 수 있고, 새롭게 생성된 대피경로가 '→'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버(300)가 대피경로를 생성하고, 대피경로와 능동형 이동방향이 연동되도록 하여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는 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능동형 이동방향을 표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300)가 대피경로, 능동형 이동방향에 대해 주된 제어를 할 수 있고,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는 서버(30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능동형 이동방향을 표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능동형 이동방향은 문자 및 이미지, '←', '→', '↑',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동금지를 표시하는 'X'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꺽은선이 포함된 화살표가 능동형 이동방향에 포함되어, 재난 발생 시 표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는 능동형 이동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LED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능동형 이동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LED 모듈 외에 다른 디스플레이도 적용이 가능하며, 능동형 이동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어떠한 구성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는 표출 내용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표출 밝기(휘도)는 2,000 cd/m2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는 능동형 이동방향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점멸 방식의 표출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순차적 표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 표출 내용의 인지성이 뛰어날 수록 이용객들에게 대피경로를 명료하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결국에는 경로 선택과 이동에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전체적인 피난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조물이 지하철역인 경우 스크린도어 출입문 위치의 승차 방향 천장에 열차행선안내표시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는 지하철 승차 위치의 승차 방향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철 스크린 도어 승차출입문 위치 승차 방향 천장에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가 설치되어 능동형 이동방향을 표출할 수 있다. 이때 표출은 평상시에는 열차 운행정보 및 지하철에 대한 안내를 할 수 있으며, 재난 발생 시에는 대피경로와 연동되어, 출입구까지 최단 경로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는 재난 발생 시, 재난이 발생한 상황 또는 긴급 대피가 필요한 상황에 대한 안내 문자를 추가적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가 평상시에는 기본적인 열차 운행정보 표출이 이루어지고, 재난 발생시에만 재난 모드로 동작하여 대피경로에 따른 능동형 이동방향을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버(300)는 복수 개의 소방 설비(1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대피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가 생성하는 대피경로는 적어도 하나이거나 그 이상일 수 있다.
즉, 서버(300)는 복수 개의 소방 설비(100) 중 재난을 감지한 소방 설비(100)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대피경로를 생성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은 지하철역에 적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구조물이 지하철역인 경우 서버(300)는 하나의 LSE(Local System Equipment)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버(300)는 복수 개의 소방 설비(100) 중 재난 발생 신호를 생성한 소방 설비(100)가 위치한 지점이 대피경로에 존재하지 않도록 대피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복수 개의 소방 설비(100) 중 재난 발생 신호를 생성한 소방 설비(100)가 위치한 지점이 재난 발생 지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가 설치된 지점을 출발점으로 하고, 구조물의 출구를 도착점으로 한 최단 경로를 상기 대피경로로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대피경로에는 재난 발생 신호를 생성한 소방 설비(100)가 위치한 지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대피경로를 따라 이용객이 대피하면 재난 발생지점을 피하여 대피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 서버(300)는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가 설치된 지점을 출발점으로 하고, 구조물의 출구를 도착점으로 한 최단 경로를 미리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는데, 평상시에는 출구 방향의 최단 경로 안내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재난 발생시에는 이용객이 출구까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운영을 위해 본 발명에서 서버(300)는 구조물의 맵(도면, 이미지 등)이 먼저 저장될 수 있고, 소방 설비(100)와 관련된 데이터들도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조물에 있어 복수 개의 소방 설비(100)가 설치된 지점이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조물의 맵에 매칭되어 복수 개의 소방 설비(100)가 설치된 지점이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출구(또는 입구) 지점이 서버(300)에 저장된 구조물의 맵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계단에 대한 지점이 서버(300)에 저장된 구조물의 맵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서버(300)에는 출입 불가 지점이 구조물의 맵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고,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가 설치된 지점이 구조물의 맵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재난 발생 시 대피경로 생성하는데, 재난 발생 시 이외에 필요에 따라 통제상황 발생 시에도 대피경로에 준하는 우회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통제는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닌 계획적으로 진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운영자단말기(400)를 통해 통제 지점이 서버(300)로 입력되고, 서버(300)는 통제 지점이 입력되면, 구조물의 맵에 상기 통제 지점을 매칭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통제 지점 저장(등록) 이후, 통제 지점이 우회경로에 존재하지 않도록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가 상기 우회경로와 연동되어 능동형 이동방향을 표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위와 같은 동작들은 재난 발생 시 또는 통제 발생 시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나리오 A는 재난 발생 시 생성되는 시나리오로, 재난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재난 발생 지점을 피할 수 있는 대피경로를 생성하고, 대피경로와 연동된 능동형 이동방향을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에 표출하여 재난이 발생했을 때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시나리오 B는 통제상황 발생 시 생성되는 시나리오로, 통제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통제 지점을 우회할 수 있는 우회경로를 생성하고, 우회경로와 연동된 능동형 이동방향을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에 표출하여 이용객의 통제 지점을 우회하는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대피경로 생성 및 능동형 이동방향 표출은 이용객의 분산 이동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대피경로를 생성하고 능동형 이동방향을 표출하였을 때 어는 한쪽으로 많은 이용객이 몰리게 되면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2차 피해가 가중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피경로 생성 및 능동형 이동방향 표출은 이용객의 분산 이동을 고려하여 운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물에 복수 개의 카메라가 설치되고, 서버(300)가 복수 개의 카메라에서 획득하는 촬영 영상(이미지)에 기초하여 대피경로 상의 이용객의 수를 파악한 다음, 특정 지점에 이용객의 밀집도가 높아지면(이용객의 수가 증가하면) 해당 특정 지점을 회피하도록 대안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대안경로가 생성되면 새로 생성된 대안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능동형 이동방향이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에 표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구조물에 설치된 복수 개의 소방 설비(100)가 설치된 지점을 촬영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카메라가 설치되고, 복수 개의 카메라가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촬영 영상(이미지)를 분석하여 소정 시간 동안 소정 수치 이상의 이용객의 수가 증가하면 해당 소방 설비(100)가 설치된 지점을 밀집 지점으로 설정하고, 상기 밀집 지점이 대피경로에 존재하지 않도록 하여 새롭게 대안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서버(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능동형 이동방향이 상기 서버(300)가 생성하는 대안경로와 연동되어, 대안경로에 따른 이동방향이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를 통해 표출될 수 있다.
즉, 열차행선안내시기(200)는 서버(300)와 연동되며, 대피경로가 대안경로 변경되는 경우, 대안경로를 우선 순위로 하여 능동형 이동방향이 대안경로와 연동되어 대안경로가 표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조물에 출구가 복수 개일 수 있기 때문에 대피경로가 복수 개로 생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구조물이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대피경로가 복수 개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재난을 감지하여 재난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소방 설비(100)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대피경로에서 피해야할 재난 발생 지점이 여러 개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재난 발생 지점인 경우 대피경로는 모든 재난 발생 지점을 회피하여 생성되어야 한다.
이때 하나의 대피경로로 모든 재난 발생 지점의 회피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복수 개의 대피경로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대피경로가 생성되는 경우에도, 재난 발생 신호를 생성한 모든 지점이 대피경로에 존재하지 않도록 하며,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가 설치된 지점을 출발점으로 하고, 구조물의 출구를 도착점으로 한 최단 경로를 대피경로로 생성하고, 능동형 이동방향은 상기 대피경로와 연동되어 표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대피경로 생성, 우회경로 생성, 대안경로 생성에 대한 동작이 각각의 시나리오로 관리될 수 있으며, 이는 서버(300) 및 운영자단말기(400)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운영자단말기(400)를 통해 수동으로 재난 발생 신호를 생성한 지점을 등록하고, 가상의 대피경로 생성, 우회경로 생성, 대안경로 생성이 가능하며, 가상의 대피경로 생성, 우회경로 생성, 대안경로 생성을 통해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가 적절하게 능동형 이동방향을 표출하는지 확인이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실제 운영 전에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재난 발생 시에 따른 시험 운영이 가능하고, 통제상황 발생 시에 따른 시험 운영도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의 시나리오 설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위와 같은 일련의 동작을 도 6에 도시된 순서도를 통해 살펴보면, 자료 입수 단계(S100), 지점 등록 단계(S200), 지점 정보 등록 단계(S300), 시나리오 설정 단계(S400), 시뮬레이션 단계(S500)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자료 입수 단계(S100)는 서버(300)에 구조물의 맵(도면, 이미지 등), 소방 설비(100)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단계이다.
지점 등록 단계(S200)는 구조물에 있어 복수 개의 소방 설비(100)가 설치된 지점이 저장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구조물의 맵에 매칭되어 상기 복수 개의 소방 설비(100)가 설치된 지점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출구(또는 입구) 지점이 서버(300)에 저장된 구조물의 맵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계단에 대한 지점이 서버(300)에 저장된 구조물의 맵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구조물의 맵에 매칭되어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가 설치된 지점이 저장될 수 있다.
지점 정보 등록 단계(S300)는 등록된 모든 지점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를 통해 능동형 이동방향 이외에 다른 부가적인 정보들이 표출될 수 있는데, 이렇게 표출되는 부가적인 정보들이 서버(300)에 등록될 수 있다.
시나리오 설정 단계(S400)는 재난 발생에 따른 시나리오 또는 통제상황 발생에 따른 시나리오가 서버(300)에 설정될 수 있는데, 재난 발생에 따른 시나리오는 재난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통제상황 발생에 따른 시나리오는 통제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단계(S500)는 운영자단말기(400)를 통해 수동으로 재난 발생 신호를 생성한 지점을 등록하고, 가상의 대피경로 생성, 우회경로 생성, 대안경로 생성을 통해 열차행선안내표시기(200)가 적절하게 능동형 이동방향을 표출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대피경로, 우회경로, 대안경로 생성에 있어 최단 경로를 찾기 위한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Dijkstra's Algorithm), 벨만-포드 알고리즘 (Bellman-Ford Algorithm), A* 알고리즘 (A-Star Algorith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Dijkstra's Algorithm)은 하나의 출발점에서 다른 모든 정점까지의 최단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으로, 출발점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정점을 선택하고, 해당 정점과 연결된 정점들의 거리를 계산하여 최단 경로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 과정을 모든 정점에 대해 반복하여 최단 경로를 구한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가중 그래프에서 사용되며, 음의 가중치를 가진 간선이 없을 때에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게 된다.
벨만-포드 알고리즘(Bellman-Ford Algorithm)은 음의 가중치를 가진 그래프에서 최단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으로, 다익스트라 알고리즘과 달리 음의 가중치를 가진 간선을 처리할 수 있다. 벨만-포드 알고리즘은 출발점에서 도착점까지의 경로를 한 단계씩 확장하며, 경로의 길이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이다. 이를 정점의 개수만큼 반복하여 최단 경로를 찾게 된다.
A* 알고리즘 (A-Star Algorithm)은 출발점에서 도착점까지의 최단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으로, 휴리스틱 함수를 사용하여 탐색 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A* 알고리즘은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의 개선된 버전으로, 출발점에서부터 각 정점까지의 예상 비용과 도착점까지의 예상 비용을 고려하여 탐색하는데,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최단 경로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0: 센서
200: 안내표시기
300: 서버(역단위 LSE)
400: 운영자단말기

Claims (4)

  1.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구조물에서 발생한 재난 발생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소방 설비;
    상기 구조물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열차 운행정보 및 능동형 이동방향을 표출하는 열차행선안내표시기;
    상기 복수 개의 소방 설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피경로를 생성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소방 설비 중 상기 재난 발생 신호를 생성한 지점이 상기 대피경로에 존재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열차행선안내표시기가 설치된 지점을 출발점으로 하고, 상기 구조물의 출구를 도착점으로 한 최단 경로를 상기 대피경로로 생성하며,
    상기 능동형 이동방향은 상기 서버에 의해 생성된 상기 대피경로와 연동되어, 상기 열차행선안내표시기가 설치된 지점을 출발점으로 하여 상기 도착점을 향하는 방향의 화살표를 표출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열차행선안내표시기가 설치된 지점을 출발점으로 하고, 구조물의 출구를 도착점으로 한 최단 경로를 미리 등록하여 관리하되, 상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출구 방향의 최단 경로 안내를 위해 사용하고, 상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최단 경로를 대피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송수신하는 운영자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소방 설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재난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재난 발생 신호를 상기 운영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이 지하철역이고,
    지하철 승차 위치에 승차 방향 천장에 상기 열차행선안내표시기가 설치되어 효율적으로 상기 능동형 이동방향이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
KR1020230090261A 2023-07-12 2023-07-12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 KR102643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261A KR102643853B1 (ko) 2023-07-12 2023-07-12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261A KR102643853B1 (ko) 2023-07-12 2023-07-12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853B1 true KR102643853B1 (ko) 2024-03-07

Family

ID=9027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0261A KR102643853B1 (ko) 2023-07-12 2023-07-12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8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362B1 (ko) * 2018-04-30 2018-11-16 (주)텔코코리아아이에스 지하철 역사의 안전 모니터링 및 피난유도 시스템
KR102086811B1 (ko) * 2018-10-17 2020-04-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128936A (ko) 2019-05-07 2020-11-17 김영호 역사 내 이동 편의를 위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362B1 (ko) * 2018-04-30 2018-11-16 (주)텔코코리아아이에스 지하철 역사의 안전 모니터링 및 피난유도 시스템
KR102086811B1 (ko) * 2018-10-17 2020-04-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128936A (ko) 2019-05-07 2020-11-17 김영호 역사 내 이동 편의를 위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6947B2 (en) Building emergency path finding systems and method
KR101475134B1 (ko)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KR101145438B1 (ko)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KR102314900B1 (ko) 터널 사고 통합 경보시스템 및 이에 대한 제어방법
JP466866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6111172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KR101893040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05165701A (ja) 誘導システム及び誘導方法
WO2018156003A1 (es) Método de trazado de rutas para evacuación personalizada óptima basado en propagación de gases en espacios confinados
CN109697807A (zh) 一种智能火情探测分析的物联网逃生引导系统
KR20200038873A (ko) 터널 배연설비 연동 터널 내 피난 유도 시스템
KR102643853B1 (ko)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
US10127780B2 (en) Guidance assistance system, guidance assistan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P2253937B1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information in a navigation system
GB2214681A (en) Emergency evacuation and guidance means
CN109816913A (zh) 火灾报警信号传输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102471645B1 (ko) 지능형 비상구 표시등 관리시스템
KR102472802B1 (ko) 승선자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CN115662027A (zh) 铁路车站应急事件的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210055428A (ko) 대피 경로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233045B1 (ko)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9498A (ko)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대피안내기능을 가지는 방독면
KR102616075B1 (ko) 안내장치를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시스템
KR102142982B1 (ko) 건축물에 설치된 uwb 통신망을 이용한 재난용 통신 시스템
KR102618950B1 (ko)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