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811B1 -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811B1
KR102086811B1 KR1020180124040A KR20180124040A KR102086811B1 KR 102086811 B1 KR102086811 B1 KR 102086811B1 KR 1020180124040 A KR1020180124040 A KR 1020180124040A KR 20180124040 A KR20180124040 A KR 20180124040A KR 102086811 B1 KR102086811 B1 KR 102086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mergency
railway
vehicle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은경
박찬우
곽상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24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B61K13/04Passenger-warning devices attached to vehicles;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accidents to passengers when entering or leav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는 철도 차량 내 환경을 감지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싱부; 센싱부에 의해 생성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철도 차량이 비상상황임을 인식하고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비상상황 분석부; 철도 역사에 설치되어 비상상황시 철도 역사로부터 대피하기 위한 비상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 철도 역사에 설치되어 정보 출력부를 통해 비상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철도 역사 시스템; 및 비상상황 분석부에 의해 생성된 상황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비상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비상상황 정보를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의 철도 역사 시스템에 비상상황 정보를 전달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INFORMATION}
본 발명은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차량에 비상상황 발생시 해당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의 이용자들에게 철도 차량의 비상상황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는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역사 내부에는 화재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철도 역사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고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화재발생에 대한 안전 장치로는 건물내 천장에 부착되어 있는 열감지센서를 통해 실내의 온도가 고온으로 상승하는 경우 자동으로 고음의 차임벨을 울리게 되거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하도록 하여 이용자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안전 장치는 열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이용자들에게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되었다는 사실을 안내하여 이용자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철도 역사 내에서 발생되는 화재 발생에 대해서만 이용자들에게 안내하고 있고, 운행 중인 철도 차량 예를 들어 현재 철도 역사에 진입하고 있는 철도차량에 발생된 화재 등을 이용자들이 인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는 철도 차량을 운행하는 기관사가 철도 역사 시스템에 화재 발생 사실을 전파하고, 철도 역사 시스템이 역내 방송 등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안내하고 있으나, 기관사의 실수나 철도 차량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에는 화재 발생 사실이 정확하게 전파되지 않아, 철도 차량에 발생된 화재가 철도 역사에 있는 이용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그 피해가 더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115716호(2005.12.08)의 '화재발생시의 비상탈출 유도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철도 차량에 비상상황 발생시 비상상황 정보를 현재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의 이용자들에게 신속하게 전달하는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는 철도 차량 내 환경을 감지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 의해 생성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철도 차량이 비상상황임을 인식하고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비상상황 분석부; 철도 역사에 설치되어 비상상황시 철도 역사로부터 대피하기 위한 비상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 철도 역사에 설치되어 상기 정보 출력부를 통해 상기 비상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철도 역사 시스템; 및 상기 비상상황 분석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비상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비상상황 정보를 상기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의 철도 역사 시스템에 상기 비상상황 정보를 전달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정보 출력부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비상상황 정보는 현재 철도 차량에 발생된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철도차량의 현재 위치, 대피 지시 정보, 및 대피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비상상황 분석부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에 비상상황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철도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차량 정보 및 센싱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비상상황 분석부로부터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의 철도 역사 시스템을 검출하고 상기 비상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분석부; 및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정보 분석부를 의해 상기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 및 상기 비상상황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의 철도 역사 시스템에 상기 비상상황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통해 철도 차량에 비상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인식하고,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운행 스케쥴로부터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상황 정보 제공 방법은 센싱부가 철도 차량 내 환경을 감지하는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비상상황 분석부가 상기 센싱 정보를 통해 철도 차량이 비상상황임을 인식하여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메인 서버가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비상상황시 철도 역사로부터 대피하기 위한 비상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철도 역사 시스템이 상기 비상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비상상황 정보는 현재 철도 차량에 발생된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철도차량의 현재 위치, 대피 지시 정보, 및 대피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에 비상상황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철도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차량 정보 및 센싱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비상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운행 스케쥴로부터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를 검출하고, 검출된 철도 역사의 철도 역사 시스템으로 상기 비상상황 정보를 전달하여 정보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철도 차량에 비상상황 발생시 비상상황 정보를 현재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의 이용자들에 신속하게 전달하여 이용자들이 비상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철도 차량이 철도 역사에 진입하기 전에 비상상황 정보를 철도 역사의 이용자들에게 전달하여 비상상황에 의한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는 센싱부(10), 메인 서버(20), 정보 출력부(30), 비상상황 분석부(40) 및 철도 역사 시스템(50)을 포함한다.
센싱부(10)는 철도 차량 등에 복수 개가 설치된다.
센싱부(10) 각각은 철도 차량 내 화재 등의 비상상황이 감지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공기질을 감지하는 공기질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센싱부(10)로는 철도 차량의 비상상황을 유추하거나 추정할 수 있는 요소를 감지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상상황 분석부(40)는 센싱부(10)에 의해 센싱 정보가 생성되면 이들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에 비상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메인 서버에 전달한다.
이 경우, 비상상황 분석부(40)는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나,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 또는 공기질 센서에 의해 감지된 공기질이 각각에 기 설정된 조건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아울러, 비상상황 분석부(40)는 실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 정보를 검출하고, 이 차량 정보 및 센싱 정보를 결합하여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상황 발생 정보를 메인 서버에 전달한다.
여기서, 차량 정보에는 열차번호와 차량번호가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차량번호를 통해 철도 역사의 관리자 등이 전체 철도 차량 중 실제 화재가 발생한 차량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철도 차량이 철도 역사에 진입할 때 해당 차량번호를 참고하여 대기함으로써, 비상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정보 출력부(30)는 철도 역사의 플랫폼 등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메인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비상상황 정보를 출력한다. 정보 출력부(30)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가 채용될 수 있다.
비상상황 정보에는 현재 철도 차량에 발생된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철도차량의 현재 위치, 대피 지시 정보, 및 대피 경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철도 차량을 이용하거나 철도 역사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현재 철도 역사에 진입하는 철도 차량에 화재 등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하고, 해당 철도 역사로부터 대피하거나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정보 출력부(30)는 비상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광고 정보나 기타 철도 역사 이용에 도움이 되는 안내 정보 등을 출력한다.
철도 역사 시스템(50)은 철도 역사 각각에 설치되어 철도 차량의 운행 및 정보 출력부(30)의 동작을 관리한다.
즉, 철도 역사 시스템(50)은 메인 서버(20)로부터 전달된 비상상황 정보에 따라 철도 역사 플랫폼의 스크린 도어의 동작을 관리하고, 현재 정보 출력부(30)를 통해 출력 중인 정보나 방송 등을 중단하고, 해당 비상상황 정보를 출력한다.
메인 서버(20)는 센싱부(10)로부터 상황 발생 정보를 전달받고, 이 상황 발생 정보를 분석하여 비상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즉, 메인 서버(20)는 센싱부(10)로부터 상황 발생 정보를 전달받으면, 이 상황 발생 정보, 즉 차량 정보 및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를 검출함과 더불어 비상상황 정보, 즉 철도 차량에 발생된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철도차량의 현재 위치, 대피 지시 정보, 및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 메인 서버(20)는 해당 철도 역사의 철도 역사 시스템(50)에 비상상황 정보를 전달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메인 서버(20)는 정보 수집부(21), 정보 분석부(23), 통신 인터페이스부(24) 및 제어부(22)를 포함한다.
정보 수집부(21)는 각 철도 차량에 설치된 비상상황 분석부(40)로부터 상황 발생 정보를 수집한다.
정보 분석부(23)는 정보 수집부(21)에 의해 수집된 상황 발생 정보를 분석하여 비상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즉, 정보 분석부(23)는 상황 발생 정보를 통해 현재 철도 차량에 비상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인식하고,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운행 스케쥴로부터 현재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철도 역사가 검출되면, 정보 분석부(23)는 이용자들이 철도 역사에 진입하는 철도 차량에 발생된 비상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상황 정보, 즉 현재 철도 차량에 발생된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철도차량의 현재 위치, 대피 지시 정보, 및 대피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4)는 비상상황 분석부(40)와 철도 역사 시스템(50)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4)는 각 철도 차량의 비상상황 분석부(40)로부터 상황 발생 정보를 전달받고, 정보 분석부(23)에 의해 생성된 비상상황 정보를 철도 역사 시스템(50)에 전달한다.
제어부(22)는 정보 수집부(21)를 통해 철도 차량의 비상상황 분석부(40)로부터 상황발생 정보를 수집하고, 정보 분석부(23)를 제어하여 해당 상황발생 정보를 통해 비상상황 정보를 생성하도록 한다.
정보 분석부(23)에 의해 비상상황 정보가 검출되면, 제어부(22)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4)를 통해 해당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의 철도 역사 시스템(50)에 비상상황 정보를 전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정보 제공 방법을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먼저 철도 차량에 설치된 센싱부(10)는 철도 차량 내 영상을 촬영하고, 온도를 감지하며, 공기질을 감지하는 등 센싱 정보를 생성하고(S10), 생성된 센싱 정보를 비상상황 분석부(40)에 입력한다.
비상상황 분석부(40)는 센싱부(10)에 의해 센싱 정보가 생성되면 이들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비상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20)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S30)하여 메인 서버(2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비상상황 분석부(40)는 촬영된 영상이나, 철도 차량 내부의 온도, 또는 철도 차량 내부의 공기질이 각각에 기 설정된 조건에 만족하면 철도 차량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어, 비상상황 분석부(40)는 철도 차량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 정보를 검출하고, 이 차량 정보 및 센싱 정보를 결합하여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한 후, 메인 서버(20)에 전달한다.
메인 서버(20)는 센싱부(10)로부터 상황 발생 정보를 전달받으면, 상황 발생 정보, 즉 차량 정보와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철도 운행 스케쥴을 통해 해당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를 검출(S40)함과 더불어, 비상상황 정보를 생성한다(S50).
여기서, 비상상황 정보에는 철도 차량에 발생된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철도차량의 현재 위치, 대피 지시 정보, 및 대피 경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메인 서버(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비상상황 정보를 검출한 후에는, 검출된 철도 역사의 철도 운영 시스템에 비상상황 정보를 전달한다.
철도 역사 시스템(50)은 메인 서버(20)로부터 비상상황 정보를 전달받으면, 해당 비상상황 정보를 정보 출력부(30)를 통해 출력한다(S60).
즉, 철도 역사 시스템(50)은 메인 서버(20)로부터 전달받은 비상상황 정보에 따라 현재 정보 출력부(30)를 통해 출력 중인 정보나 방송 등을 중단하고, 해당 비상상황 정보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철도 차량을 이용하거나 철도 역사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정보 출력부(30)를 통해 출력된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및 철도차량의 현재 위치를 통해 현재 철도 역사에 진입하는 철도 차량에 화재 등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하고, 대피 지시 정보와 대피 경로 정보에 따라 해당 철도 역사로부터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철도 차량에 비상상황 발생시 비상상황 정보를 현재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의 이용자들에 신속하게 전달하여 이용자들이 비상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철도 차량이 철도 역사에 진입하기 전에 비상상황 정보를 철도 역사의 이용자들에게 전달하여 비상상황에 의한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센싱부 20: 메인 서버
21: 정보 수집부 22: 제어부
23: 정보 분석부 24: 통신 인터페이스부
30: 정보 출력부 40: 비상상황 분석부
50: 철도 역사 시스템

Claims (10)

  1. 철도 차량 내 환경을 감지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 의해 생성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철도 차량이 비상상황임을 인식하고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비상상황 분석부;
    철도 역사에 설치되어 비상상황시 철도 역사로부터 대피하기 위한 비상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
    철도 역사에 설치되어 상기 정보 출력부를 통해 상기 비상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철도 역사 시스템; 및
    상기 비상상황 분석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비상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비상상황 정보를 상기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의 철도 역사 시스템에 전달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상황 정보는 현재 철도 차량에 발생된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철도차량의 현재 위치, 대피 지시 정보, 및 대피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상황 분석부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에 비상상황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철도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차량정보는 열차번호와 차량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번호는 전체 철도차량 중 실제 비상상황이 발생한 철도차량의 차량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비상상황 분석부로부터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의 철도 역사 시스템을 검출하고 상기 비상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분석부; 및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정보 분석부를 의해 상기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 및 상기 비상상황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의 철도 역사 시스템에 상기 비상상황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통해 철도 차량에 비상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인식하고,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운행 스케쥴로부터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7. 센싱부가 철도 차량 내 환경을 감지하는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비상상황 분석부가 상기 센싱 정보를 통해 철도 차량이 비상상황임을 인식하여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메인 서버가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비상상황시 철도 역사로부터 대피하기 위한 비상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철도 역사 시스템이 상기 비상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상황 정보는 현재 철도 차량에 발생된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철도차량의 현재 위치, 대피 지시 정보, 및 대피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에 비상상황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철도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센싱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차량 정보는 열차 번호와 차량 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번호는 전체 철도차량 중 실제 비상상황이 발생한 철도차량의 차량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정보 제공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상황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운행 스케쥴로부터 철도 차량이 진입하는 철도 역사를 검출하고, 검출된 철도 역사의 철도 역사 시스템으로 상기 비상상황 정보를 전달하여 정보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상황 정보 제공 방법.
KR1020180124040A 2018-10-17 2018-10-17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86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040A KR102086811B1 (ko) 2018-10-17 2018-10-17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040A KR102086811B1 (ko) 2018-10-17 2018-10-17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811B1 true KR102086811B1 (ko) 2020-04-24

Family

ID=70465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040A KR102086811B1 (ko) 2018-10-17 2018-10-17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853B1 (ko) * 2023-07-12 2024-03-07 (주)원테크놀로지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7339A (ko) * 2005-06-07 2006-12-12 주식회사 마니정보 열차운행정보를 이용한 열차안전관제시스템 및열차안전관제방법
KR20170126527A (ko) * 2016-05-09 2017-11-20 주식회사 큐브인 스크린도어 비상탈출 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7339A (ko) * 2005-06-07 2006-12-12 주식회사 마니정보 열차운행정보를 이용한 열차안전관제시스템 및열차안전관제방법
KR20170126527A (ko) * 2016-05-09 2017-11-20 주식회사 큐브인 스크린도어 비상탈출 안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853B1 (ko) * 2023-07-12 2024-03-07 (주)원테크놀로지 재난시 동적 대피유도 이동방향 안내표시 기능을 갖는 열차행선안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2247B2 (ja) 避難誘導システム、及び、避難誘導方法
US9950719B2 (en) Operator control system for operator control of functional units for a rail vehicle
KR102192028B1 (ko) 디지털 트윈 기반의 층별 재난대응시스템
US20130049930A1 (en) Emergency guiding system and method
KR100916960B1 (ko) 승강장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98601B1 (ko) 도시철도의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27339A (ko) 열차운행정보를 이용한 열차안전관제시스템 및열차안전관제방법
CN112464859B (zh) 站台引导系统及方法
KR102086811B1 (ko) 비상상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6036208A1 (ko) 승객 대피방향 안내 시스템
KR100927581B1 (ko) 원격 방재 관리 시스템
KR101093022B1 (ko) 철도의 객차 내부 감시 시스템
KR101687701B1 (ko) 소방 차량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20057684A (ko) 열차 접근 경보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23786A (ko) 열차운행 안전관리시스템
KR20180055016A (ko) 선박 손상 및 화재시 실시간 사고대응시스템
KR20080061034A (ko) 비상 개폐 제어 열차 승강장 스크린도어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1694072B1 (ko) 지하철 승하차 상황 안내 영상표출 장애 제어 시스템
KR101947100B1 (ko) 다른 관리 시스템과 연계되는 실시간 변전설비 안전관리 시스템
CN105527909A (zh) 一种数据监控装置、数据监控方法和监控系统
KR20170102403A (ko) 차량용 빅데이터 처리방법 및 차량용 빅데이터 시스템
KR20120057339A (ko) 열차 차량 내의 소음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889875B1 (ko) 역사의 통합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60125763A (ko) 엘리베이터용 보안 및 감시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9086895A (ja) ドライブレコーダ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車両、情報収集装置、ならび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