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902A -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902A
KR20210025902A KR1020190105900A KR20190105900A KR20210025902A KR 20210025902 A KR20210025902 A KR 20210025902A KR 1020190105900 A KR1020190105900 A KR 1020190105900A KR 20190105900 A KR20190105900 A KR 20190105900A KR 20210025902 A KR20210025902 A KR 20210025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target building
detecting
escape rout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3045B1 (ko
Inventor
김봉주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05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04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화재 등의 위험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안전하고 사람들을 대피시킬 수 있는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은, 대상 건물에 설치되는 복수의 위치 감지부, 상기 대상 건물 내부에서 화재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검출하는 위험 감지부, 및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119센터, 경찰서를 포함하여 등록된 센터에 위험 상황 발생을 자동으로 전송하고, 상기 대상 건물 내부에 알람을 발생시키고, 대상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장치에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음과, 위험 발생 위치를 포함하는 알람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대상 건물에서 탈출 경로를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위치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건물 내부에서 상기 대상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대상자 위치 검출부, 상기 위험 감지부를 통해 위험 발생 위치를 검출하는 위험 위치 검출부, 및 상기 대상자 위치 검출부와 상기 위험 위치 검출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대상 건물의 약도, 비상구 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대상 건물에서의 탈출 경로를 검출하고, 상기 대상자의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탈출 경로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EMERGENCY EVACU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이하의 설명은 화재 등의 위험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안전하고 사람들을 대피시킬 수 있는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등의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구와, 비상 유도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현대 건물이 점차 복잡화 및 대형화됨에 따라 실제로 화재 등의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을 대 비상구 위치를 찾기 어렵고, 비상 유도등을 식별하기 어려워서 안전하게 탈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비상 유도등은 단순히 비상구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으로, 위험 상황이 발생한 위치는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이 비상 유도등만을 보고 대피하고자 할 때, 도리어 위험 발생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것이 아니라, 위험 상황으로부터 안전하게 탈출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인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의 목적은,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은, 대상 건물에 설치되는 복수의 위치 감지부, 상기 대상 건물 내부에서 화재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검출하는 위험 감지부, 및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119센터, 경찰서를 포함하여 등록된 센터에 위험 상황 발생을 자동으로 전송하고, 상기 대상 건물 내부에 알람을 발생시키고, 대상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장치에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음과, 위험 발생 위치를 포함하는 알람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대상 건물에서 탈출 경로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위치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건물 내부에서 상기 대상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대상자 위치 검출부, 상기 위험 감지부를 통해 위험 발생 위치를 검출하는 위험 위치 검출부, 및 상기 대상자 위치 검출부와 상기 위험 위치 검출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대상 건물의 약도, 비상구 위치, 그리고 최단 및 최적의 탈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대상자의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탈출 경로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상기 대상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비상구 위치, 상기 위험 발생 위치에서 먼 비상구 위치, 최단 및 최적의 탈출 경로 및 탈출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상기 대상자가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행동 지침에 대한 정보도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의 위치를 등록된 센터에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비상 대피 유도 방법은, 대상 건물 내부에서 화재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119센터, 경찰서를 포함하여 등록된 센터에 위험 상황 발생을 자동으로 전송하고, 상기 대상 건물 내부에 알람을 발생시키고, 위험 발생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위치 감지부로부터 대상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 건물의 약도, 비상구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대상 건물에서의 탈출 경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자가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 장치에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람 정보와, 검출된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상기 대상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비상구 위치, 상기 위험 발생 위치에서 먼 비상구 위치, 최적의 탈출 경로 및 탈출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상기 대상자가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행동 지침에 대한 정보도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대상자의 위치를 등록된 센터에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또는 상기 대상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또는 상기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화재 등의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현재 위치와 가까운 비상구 위치, 위험 발생 위치로부터 먼 비상구 위치 등을 고려하여 최단이고 안전한 최적의 최단 탈출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를 안전하게 탈출 시킬 수 있다.
또한, 탈출 경로뿐만 아니라, 해당 탈출 경로에 대한 탈출 소요 시간, 사용자가 탈출 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행동 지침 등의 정보도 같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대상자의 위치를 등록된 센터에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탈출이 어려운 경우에 등록 센터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구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10)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10)은, 대상 건물(1)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위치 감지부(11)와, 화재 등의 위험 상황을 검출하는 위험 감지부(12) 및 제어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치 감지부(11)는 대상 건물(1) 내부에서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대피시킬 대상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장치(16)가 복수의 위치 감지부(11)와 통신함으로써 대상자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감지부(11)는 사용자 장치(16)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비콘일 수 있다. 여기서, 대상자 위치는 대상 건물(1) 내부에서의 평면 위치뿐만 아니라 몇 층에 위치하는 지를 알 수 있도록 수직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감지부(11)는 서로 통신이 가능하여, 대상 건물(1) 내부에서 층별, 층간 및 구획 내의 위치 감지부(11)끼리 통신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대상자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위험 감지부(12)는 대상 건물(1) 내부에서 복수에 설치되어 있고,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위험 감지부(12)는 폭발, 지진 등의 다양한 위험 상황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감지부(11)끼리 뿐만 아니라, 위험 감지부(13)와 서로 통신함으로써 근거리 센싱망을 형성한다.
여기서, 사용자 장치(16)에는 제어부(13)에서 전송되는 정보들을 수신하고 표시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 장치(16)는 위치 감지부(11)과 통신이 가능하고, 대상 건물(1)에 진입하였을 때, 아니면 적어도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위치 감지부(11)과 지속적으로 통신을 유지하게 된다.
제어부(13)는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119센터, 경찰서 등을 포함하는 등록된 센터(15)에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자동적으로 전송하여 알린다. 그리고 동시에 대상 건물(1) 내부에 있는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대상 건물(1) 내부에서도 알람(14)을 발생시킨다. 또한, 제어부(13)는 사용자 장치(16)에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고, 위험 발생 위치 및 대상 건물(1)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탈출 경로를 제공한다.
탈출 경로는 소정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검출될 수 있다. 제어부(16)는 수신 또는 검출된 대상자의 위치와 위험 상황 발생 위치와, 대상 건물(1)의 약도, 비상구 위치 등의 건물에 대한 정보들로부터 대상 건물(1)에서의 최적의 탈출 경로를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최적 탈출 경로"라 함은, 대상자 위치에서 가까운 비상구를 포함하는 최단의 경로이며, 대상 건물(1) 내의 인구 밀집도와 인구 유동 등을 고려하여 사람이 너무 몰리지 않도록 하여서, 대상자가 탈출하기에 가장 최적화된 탈출 경로이다.
또한, 제어부(13)는 사용자 장치(16)와 양방향으로 통신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3)는, 대상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대상자 위치 검출부(131)와 위험 발생 위치를 검출하는 위험 위치 검출부(132) 및 사용자 장치(16)에 위험 발생 정보 및 탈출 경로에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탈출 경로 제공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대상자 위치 검출부(131)는 사용자 장치(16)와 복수의 위치 감지부(11) 사이에서의 통신을 통해 대상 건물(1) 내부에서 대상자의 위치를 검출한다.
위험 위치 검출부(132)는 위험 상황을 감지한 위험 감지부(12)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대상 건물(1) 내부에서 위험 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검출한다. 여기서, 위험 위치 검출부(132)는 위험 상황의 종류도 검출할 수 있다. 즉, 화재나 폭발, 지진 등의 위험의 종류도 검출하고 사용자 장치(16)에 제공할 수 있다.
탈출 경로 제공부(133)는 대상자 위치 검출부(131)와 위험 위치 검출부(132)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대상 건물(1)의 약도, 비상구 위치 등의 건물에 대한 정보 및 수집된 정보들로부터 대상 건물(1)에서의 탈출 경로가 제어부(13)로부터 전송되면, 이를 사용자 장치(16)에 전송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부(13)는 대상자 위치에서 가까운 비상구 위치, 위험 발생 위치로부터 먼 비상구 위치를 고려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고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최적의 탈출 경로를 검출하여 탈출경로 제공부(133)에 전송하게 된다. 또한, 탈출 경로 제공부(133)는 탈출 경로 외에도 대상자가 탈출 경로를 통해 탈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대상자가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행동 지침(예를 들어, 계단 이용 등)에 대한 정보도 같이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3)는 대상자에게 정보를 알림과 더불어, 대상자 위치를 등록된 센터(15)에도 제공함으로써 등록된 센터(15)에서 대상자를 구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3)는 사용자 장치(16)뿐만 아니라, 등록된 센터(15)에서 출동한 사람들에게 대상 건물(1) 내부에서의 대상자들의 위치, 인원 및 이동 중인지에 대한 정보들을 취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는 필요한 경우, 사용자 장치(16)에 탈출 경로 등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직접 설치할 수도 있지만,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제어부(13)에서 강제로 사용자 장치(16)에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 대피 유도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대상 건물(1) 내부에서 화재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한다.
위험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대상 건물(1)에 설치되어 있는 위험 감지부(12)를 통해 위험 발생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제어부(13)에서 119센터, 경찰서를 포함하여 등록된 센터(15)에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자동으로 전송하여 알린다. 여기서, 제어부(13)는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음과, 위험 상황의 종류 및 검출된 위험 발생 위치 등을 포함하는 위험 상황에 관련된 정보들을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3)는 대상 건물(1) 내부에 있는 사람들이 알 수 있도록 대상 건물(1) 내부에 소리나 빛 등을 이용하여 알람(14)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대상 건물(1)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위치 감지부(11)를 통해 대상자의 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대상 건물(1)의 약도와 비상구 위치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고, 상기에서 검출된 대상자의 위치와 위험 발생 위치를 고려하여 대상자가 대상 건물(1)에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탈출 경로를 검출한다.
여기서, 탈출 경로는 대상자 위치에서 가까운 비상구 위치, 위험 발생 위치로부터 먼 비상구 위치를 고려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고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최적의 탈출 경로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장치(16)에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람 정보와, 탈출 경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알람 정보는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음과, 위험 상황의 종류 및 위험 상황의 발생 위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탈출 경로를 제공할 때, 대상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비상구 위치, 위험 발생 위치에서 먼 비상구 위치, 최적 탈출 경로 및 탈출 시간을 포함한다. 또한, 탈출 경로를 제공할 때, 대상자가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행동 지침(예를 들어, 계단 이용 등)에 대한 정보도 같이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탈출 경로를 사용자 장치(16)에 제공함과 더불어, 대상자의 위치를 등록된 센터(15)에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상자의 위치뿐만 아니라, 등록된 센터(15)에서 출동한 사람들에게 대상 건물(1) 내부에서 있는 복수의 대상자의 위치와, 인원 등에 관한 정보들을 취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탈출 경로를 사용자 장치(16)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장치(16)에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직접 설치할 수도 있지만,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제어부(13)에서 강제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는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였을 때, 또는 대상자의 위치를 검출할 때, 또는 검출된 탈출 경로를 제공할 때 설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상의 단계 이외에도 다른 단계에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대상 건물
10: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11: 위치 감지부
12: 위험 감지부
13: 제어부
14: 알람
15: 등록 센터
16: 사용자 장치

Claims (8)

  1. 대상 건물에 설치되는 복수의 위치 감지부;
    상기 대상 건물 내부에서 화재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검출하는 위험 감지부; 및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119센터, 경찰서를 포함하여 등록된 센터에 위험 상황 발생을 자동으로 전송하고, 상기 대상 건물 내부에 알람을 발생시키고, 대상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장치에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음과, 위험 발생 위치를 포함하는 알람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대상 건물에서 탈출 경로를 검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위치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건물 내부에서 상기 대상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대상자 위치 검출부;
    상기 위험 감지부를 통해 위험 발생 위치를 검출하는 위험 위치 검출부; 및
    상기 대상자 위치 검출부와 상기 위험 위치 검출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대상 건물의 약도, 비상구 위치, 그리고 최적의 탈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대상자의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탈출 경로 제공부;
    를 포함하는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상기 대상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비상구 위치, 상기 위험 발생 위치에서 먼 비상구 위치, 최적 탈출 경로 및 탈출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상기 대상자가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행동 지침에 대한 정보도 같이 제공하는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의 위치를 등록된 센터에도 제공하는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5. 대상 건물 내부에서 화재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119센터, 경찰서를 포함하여 등록된 센터에 위험 상황 발생을 자동으로 전송하고, 상기 대상 건물 내부에 알람을 발생시키고, 위험 발생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위치 감지부로부터 대상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 건물의 약도, 비상구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대상 건물에서의 탈출 경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자가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 장치에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람 정보와, 검출된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상기 대상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비상구 위치, 상기 위험 발생 위치에서 먼 비상구 위치, 최적 탈출 경로 및 탈출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대상자의 위치를 등록된 센터에도 제공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또는 상기 대상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또는 상기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실행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KR1020190105900A 2019-08-28 2019-08-28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102233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900A KR102233045B1 (ko) 2019-08-28 2019-08-28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900A KR102233045B1 (ko) 2019-08-28 2019-08-28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902A true KR20210025902A (ko) 2021-03-10
KR102233045B1 KR102233045B1 (ko) 2021-03-29

Family

ID=75147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900A KR102233045B1 (ko) 2019-08-28 2019-08-28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0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2033A1 (ko) 2021-02-25 2022-09-01 주식회사 바이오앱 식물 발현 시스템을 이용한 알팔파 모자이크 바이러스 유사 입자 제조 방법 및 이의 활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2511A (ko) * 2013-01-10 2014-07-24 (주)스마트테크놀로지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KR20190092200A (ko) * 2018-01-30 2019-08-07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감지시 스마트앱을 통한 안전탈출시스템
KR20190093715A (ko) * 2018-01-08 2019-08-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시 실내에서의 이동 경로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2511A (ko) * 2013-01-10 2014-07-24 (주)스마트테크놀로지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KR20190093715A (ko) * 2018-01-08 2019-08-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 시 실내에서의 이동 경로 제공 방법
KR20190092200A (ko) * 2018-01-30 2019-08-07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감지시 스마트앱을 통한 안전탈출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2033A1 (ko) 2021-02-25 2022-09-01 주식회사 바이오앱 식물 발현 시스템을 이용한 알팔파 모자이크 바이러스 유사 입자 제조 방법 및 이의 활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045B1 (ko) 202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134B1 (ko)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KR102101698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062462B1 (ko) IoT 화재감지기와 이를 이용한 IoT 스마트안전관리시스템
KR102392733B1 (ko) 재난 현장에서 요구조자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893040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772806B1 (ko)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90933A (ko) 지능형 가스 누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NO317973B1 (no) Brannalarm og brannalarmsystem
KR20170106665A (ko) 지능형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34387B1 (ko) 화재 발생시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37708B1 (ko) 실시간 소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소방 정보 제공 단말장치
KR101725802B1 (ko) 아이씨티 기반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24849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인명구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917215B1 (ko) 재난 대처 안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20110045893A (ko) 지능형 방향유도 제어 시스템
KR20200041849A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7175128B2 (ja) 防災システム
KR102133442B1 (ko) 화재 대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재 대피 시스템
KR101650774B1 (ko) 안전 대피 경로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62295B1 (ko)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KR102233045B1 (ko)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CN102530668B (zh) 电梯系统
KR102424174B1 (ko) 양방향 비콘의 위치 기반을 이용한 스마트 방향 지시 유도등을 구비하는 대피 경로 유도 제어 시스템
CN111915823A (zh) 消防系统、服务器及移动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