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649B1 - 페달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페달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649B1
KR102643649B1 KR1020220070664A KR20220070664A KR102643649B1 KR 102643649 B1 KR102643649 B1 KR 102643649B1 KR 1020220070664 A KR1020220070664 A KR 1020220070664A KR 20220070664 A KR20220070664 A KR 20220070664A KR 102643649 B1 KR102643649 B1 KR 102643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piston
housing
piston ro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70310A (ko
Inventor
김진현
차면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0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649B1/ko
Priority to US17/973,589 priority patent/US11953933B2/en
Priority to JP2022171414A priority patent/JP2023181053A/ja
Priority to EP22205833.1A priority patent/EP4289690A1/en
Priority to CN202211540719.5A priority patent/CN117207934A/zh
Publication of KR20230170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60T8/409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troke simul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250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페달 시뮬레이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부; 및 하우징에 한 쌍으로 장착되고, 이동하는 피스톤부의 접촉에 의해 압축되는 댐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페달 시뮬레이터{PEDAL SIMULATOR}
본 발명은 페달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달 타입과 형상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한 페달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페달 시뮬레이터는 전자식 브레이크(Electro-Mechanical Brake, EMB)에 장착되는 부품으로, 기존의 기계식 브레이크에서 발생되는 제동감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전자식 브레이크에서는 유압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전동 브레이크 장치(Brake-By-Wire System)와 자율 주행 자동차 관련 기술이 대두됨에 따라 비유압식 브레이크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페달은 오르간 타입과 펜던트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페달 타입과 레이아웃에 맞추어 페달 시뮬레이터를 새로 개발하여야 했다. 페달의 타입에 따라 별도의 페달 시뮬레이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생산비가 증가되고, 수리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23847호(2021.02.26 등록, 발명의 명칭: 페달 시뮬레이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 및 무효 스트로크 및 제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페달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부; 및 상기 하우징에 한 쌍으로 장착되고, 이동하는 상기 피스톤부의 접촉에 의해 압축되는 댐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스톤부는, 피스톤몸체부;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는 피스톤가압부;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댐퍼부의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제1피스톤로드부; 및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타측에 상기 제1피스톤로드부와 이격되게 장착되고, 상기 댐퍼부의 다른 하나를 가압하는 제2피스톤로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피스톤로드부와 상기 제2피스톤로드부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제1피스톤로드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댐퍼부; 및 상기 제2피스톤로드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1댐퍼부와 이격되게 장착되는 제2댐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댐퍼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댐퍼몸체부; 상기 제1댐퍼몸체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피스톤로드부에 접촉되는 제1댐퍼접촉부; 일측이 상기 제1댐퍼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제1댐퍼접촉부에 장착되는 연결부; 상기 제1댐퍼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피스톤로드부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마그넷부; 및 일측이 상기 제1댐퍼몸체부에 접하고, 타측이 상기 제1댐퍼접촉부에 접하며, 상기 제1피스톤로드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제1댐퍼접촉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댐퍼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블록부; 및 일측이 상기 연결블록부에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제1댐퍼접촉부에 장착되는 연결로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댐퍼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에 압입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스톤가압부는 상기 피스톤몸체부에 코킹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는: 페달부에 착탈 가능하게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부; 및 상기 하우징에 한 쌍으로 장착되고, 이동하는 상기 피스톤부의 접촉에 의해 압축되는 댐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댐퍼부가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부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몸체부; 및 상기 하우징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페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하우징몸체부의 테두리에 복수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에 의하면, 페달부의 타입과 형상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한 모듈화를 통해 제품의 공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로 인한 다양한 타입의 페달부에 공용화가 가능하여 제품의 수리 교체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피스톤로드부와 제2피스톤로드부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적합한 초중기 제동감과 후기 제동감을 느낄 수 있도록 튜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피스톤로드부와 제2피스톤로드부, 및 제1댐퍼부와 제2댐퍼부의 병렬 구조를 통해 하우징의 부피 축소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가 오르간 타입 페달부에 장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가 펜던트 타입 페달부에 장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부에서 피스톤가압부가 피스톤몸체부에 코킹 결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댐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에서 초중기 제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에서 후기 제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가 오르간 타입 페달부에 장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가 펜던트 타입 페달부에 장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부에서 피스톤가압부가 피스톤몸체부에 코킹 결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댐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에서 초중기 제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에서 후기 제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1)는 오르간 타입 페달부(10a), 펜던트 타입 페달부(10b) 등 페달부(10a,10b)의 타입과 형상에 관계없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1)는 모듈화하여 오르간 타입 페달부(10a)와 펜던트 타입 페달부(10b) 등의 페달부(10a,10b)에 간편하게 조립 장착되어, 제품의 공용화가 가능하다.
페달 시뮬레이터(1)의 하우징(100)의 후크부(120)가 오르간 타입 페달부(10a)의 삽입홀부(11a) 또는 펜던트 타입 페달부(10b)의 삽입홀부(11b)에 후크 결합되어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1)는 하우징(100), 피스톤부(200), 댐퍼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오르간 타입 페달부(10a)와 펜던트 타입 페달부(10b) 등의 페달부(10a,10b)에 장착된다.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에 댐퍼부(300)가 장착되고, 피스톤부(200)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오르간 타입 페달부(10a)와 펜던트 타입 페달부(10b) 등의 페달부(10a,10b)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하우징(100)은 하우징몸체부(110)와 후크부(120)를 포함한다. 하우징몸체부(110)는 일면(도 5 기준 좌측면)에 댐퍼부(300)가 장착되고, 피스톤부(200)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하우징몸체부(110)는 피스톤부(2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1가이드부(111)와 제2가이드부(113)를 구비한다. 제1가이드부(111)와 제2가이드부(113)는 원통형의 홈으로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111)의 일면(도 4 기준 좌측면)에는 댐퍼부(300)의 제1댐퍼부(310)가 장착된다. 제1가이드부(111)의 내부 공간에는 피스톤부(200)의 제1피스톤로드부(23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제1가이드부(111)의 내경은 제1피스톤로드부(2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113)의 일면(도 4 기준 좌측면)에는 댐퍼부(300)의 제2댐퍼부(320)가 장착된다. 제2가이드부(113)의 내부 공간에는 피스톤부(200)의 제2피스톤로드부(24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제2가이드부(113)의 내경은 제2피스톤로드부(24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후크부(120)는 하우징몸체부(110)의 외측에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오르간 타입 또는 펜던트 타입의 페달부(10a,10b)의 삽입홀부(11a,11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후크부(120)의 후크는 오르간 타입 페달부(10a)와 펜던트 타입 페달부(10b) 등의 페달부(10a,10b)에 간편하게 조립 장착될 수 있다.
후크부(120)는 하우징몸체부(110)의 테두리에 설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된다. 후크부(120)가 하우징몸체부(110)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페달부(10a,10b)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피스톤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피스톤부(200)는 피스톤몸체부(210), 피스톤가압부(220), 제1피스톤로드부(230), 제2피스톤로드부(240)를 포함한다.
피스톤몸체부(210)는 하우징(100)의 하우징몸체부(110)의 외측에 배치되고, 평판과 평판에서 돌출된 로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피스톤몸체부(210)의 로드 형상에는 피스톤가압부(22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피스톤가압부(220)는 피스톤몸체부(210)의 일측(도 6 기준 우측)의 로드 형상에 장착된다. 피스톤가압부(220)는 외력에 의해 좌측(도 7 기준)으로 이동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피스톤가압부(220)는 피스톤몸체부(210)에 코킹 결합된다. 즉 피스톤몸체부(210)의 양측을 피스톤가압부(220) 측으로 가압하여 코킹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피스톤가압부(220)가 피스톤몸체부(210)의 로드 형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가압부(220)는 피스톤몸체부(210)에 코킹되어 조립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제1피스톤로드부(230)는 피스톤몸체부(210)의 타측(도 6 기준 좌측)에 장착되고, 한 쌍의 댐퍼부(300)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한다. 즉 제1피스톤로드부(230)는 댐퍼부(300)의 제1댐퍼부(310)를 가압한다.
제2피스톤로드부(240)는 피스톤몸체부(210)의 타측(도 6 기준 좌측)에 상기 제1피스톤로드부(230)와 이격되게 장착되고, 한 쌍의 댐퍼부(300) 중 다른 하나를 가압한다. 즉 제2피스톤로드부(240)는 댐퍼부(300)의 제2댐퍼부(320)를 가압한다.
제1피스톤로드부(230)와 제2피스톤로드부(24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된다. 제1피스톤로드부(230)와 제2피스톤로드부(240)는 피스톤몸체부(210)의 타측에 이격된 병렬로 배치되고 각각 제1댐퍼부(310)와 제2댐퍼부(320)를 가압한다. 제1피스톤로드부(230)와 제2피스톤로드부(240)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각각 제1댐퍼부(310)와 제2댐퍼부(320)와 접촉되는 시간과 길이가 다르게 되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제동감이 다르게 되어 초중기 제동감과 후기 제동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1피스톤로드부(230)의 길이(L1)는 제2피스톤로드부(240)의 길이(L2)보다 짤게 형성된다. 제1피스톤로드부(230)는 댐퍼부(300)의 제1댐퍼부(310)를 가압하고, 제2피스톤로드부(240)는 댐퍼부(300)의 제2댐퍼부(320)를 가압한다.
상대적으로 제1댐퍼부(310)는 제2댐퍼부(320)보다 피스톤부(200) 측으로 더 돌출되어, 제1피스톤로드부(230)는 제1댐퍼부(310) 가압시 사용자에게 초중기 제동감을 제공하고, 제2피스톤로드부(240)는 제2댐퍼부(320) 가압시 사용자에게 후기 제동감을 제공한다. 제1피스톤로드부(230)의 길이(L1)와 제2피스톤로드부(240)의 길이(L2)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동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튜닝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댐퍼부(300)는 하우징(100)에 복수개로 장착되고, 이동하는 피스톤부(200)의 접촉에 의해 압축된다. 본 발명에서 복수개의 댐퍼부(300)는 제1댐퍼부(310)와 제2댐퍼부(320)인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00)에 장착된다.
제1댐퍼부(310)는 제1피스톤로드부(230)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하우징(100)의 제1가이드부(111)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 제1댐퍼부(310)는 제2댐퍼부(320)보가 상대적으로 피스톤부(200) 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댐퍼부(310)는 제1댐퍼몸체부(311), 제1댐퍼접촉부(313), 연결부(315), 마그넷부(317), 스프링부(319)를 포함한다. 제1댐퍼몸체부(311)는 하우징(100)의 하우징몸체부(110)의 제1가이드부(111)에 장착된다. 제1댐퍼몸체부(311)는 하우징몸체부(110)의 제1가이드부(111)에 볼팅, 본딩, 압입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댐퍼접촉부(313)는 제1댐퍼몸체부(311)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이동하는 제1피스톤로드부(230)에 접촉된다. 제1댐퍼접촉부(313)가 제1피스톤로드부(230)에 접촉되기 전까지는 제동의 무효 구간이다. 제1댐퍼접촉부(313)가 제1피스톤로드부(230)에 접촉된 후부터를 제동의 유효 구간으로 한다.
연결부(315)는 일측(도 4 기준 좌측)이 제1댐퍼몸체부(31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도 4 기준 우측)이 제1댐퍼접촉부(313)에 장착된다. 연결부(315)는 연결블록부(315a)와 연결로드부(315b)를 포함한다.
연결블록부(315a)는 제1댐퍼몸체부(31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연결블록부(315a)는 연결로드부(315b)를 통해 전달되는 제1피스톤로드부(230)의 가압에 의해 제1댐퍼몸체부(311)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될 수 있다. 연결블록부(315a)는 고무, 플라스틱 등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로드부(315b)는 일측(도 4 기준 좌측)이 연결블록부(315a)에 장착되고, 타측(도 4 기준 우측)이 제1댐퍼접촉부(313)에 장착되는 로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마그넷부(317)는 제1댐퍼몸체부(311)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제1피스톤로드부(230)의 위치 정보를 측정한다. 마그넷부(317)는 자력을 구비한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제1피스톤로드부(230)에 의해 이동되면서 변화되는 자기장 변화를 통해 제1피스톤로드부(230)가 가압하는 답력 또는 위치 정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스프링부(319)는 일측(도 4 기준 좌측)이 제1댐퍼몸체부(311)에 접하고, 타측(도 4 기준 우측)이 제1댐퍼접촉부(313)에 접하며, 제1피스톤로드부(230)에 의해 이동되는 제1댐퍼접촉부(313)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스프링부(319)는 제1댐퍼몸체부(311)와 제1댐퍼접촉부(313) 사이에 개재되어, 제1피스톤로드부(230)에 의해 이동되는 제1댐퍼접촉부(313)에 의해 압축된다. 압축된 스프링부(319)는 제1댐퍼접촉부(313)에 탄성력(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제1댐퍼접촉부(313)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스프링부(319)는 연결로드부(315b)의 외측을 감싸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제2댐퍼부(320)는 제2피스톤로드부(240)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하우징(100)에 제1댐퍼부(310)와 이격되게 병렬로 장착된다. 제2댐퍼부(320)는 하우징몸체부(110)의 제2가이드부(113)에 장착된다. 제2댐퍼부(32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하우징(100)의 하우징몸체부(110)의 제2가이드부(113)에 압입 결합된다. 제2댐퍼부(320)는 하우징(100)에 압입 결합되어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댐퍼부(32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고무, 실리콘,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1)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피스톤부(200)의 피스톤가압부(220)가 가압되면, 제1피스톤로드부(230)와 제2피스톤로드부(240)는 각각 댐퍼부(300)의 제1댐퍼부(310)와 제2댐퍼부(320) 측으로 향해 이동된다. 이때 제1피스톤로드부(230)와 제2피스톤로드부(240)는 제1가이드부(111)와 제2가이드부(113)를 따라 이동된다.
제2피스톤로드부(240)보다 길게 형성된 제1피스톤로드부(230)는 제1댐퍼부(310)의 제1댐퍼접촉부(313)를 가압한다. 사용자는 제1피스톤로드부(230)가 제1댐퍼접촉부(313)를 가압할 때 초기 제동감을 느낄 수 있다.
제1피스톤로드부(230)가 계속 제1댐퍼접촉부(313)를 가압시, 사용자는 중기 제동감을 느낄 수 있다. 스프링부(319)는 압축 변형된다. 제1피스톤로드부(230)에 의해 이동되면서 마그넷부(317)는 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제1피스톤로드부(230)의 위치 정보 또는 답력 정보를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피스톤로드부(230)와 병렬로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제2피스톤로드부(240)가 제2댐퍼부(320)에 접촉되면, 사용자는 후기 제동감을 느낄 수 있다. 사용자는 제2피스톤로드부(240)가 제2댐퍼부(320)에 접촉되면 제동이 완료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압축된 스프링부(319)는 제1댐퍼접촉부(313)에 탄성력(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제1댐퍼접촉부(313)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1)에 의하면, 페달부(10a,10b)의 타입과 형상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한 모듈화를 통해 제품의 공용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로 인한 다양한 타입의 페달부(10a,10b)에 공용화가 가능하여 제품의 수리 교체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피스톤로드부(230)와 제2피스톤로드부(240)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적합한 초중기 제동감과 후기 제동감을 느낄 수 있도록 튜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피스톤로드부(230)와 제2피스톤로드부(240), 및 제1댐퍼부(310)와 제2댐퍼부(320)의 병렬 구조를 통해 하우징(100)의 부피 축소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페달 시뮬레이터
10a: 오르간 타입 페달부 11a: 삽입홀부
10b: 펜던트 타입 페달부 11b: 삽입홀부
100: 하우징 110: 하우징몸체부
111: 제1가이드부 113: 제2가이드부
120: 후크부 200: 피스톤부
210: 피스톤몸체부 220: 피스톤가압부
230: 제1피스톤로드부 240: 제2피스톤로드부
300: 댐퍼부 310: 제1댐퍼부
311: 제1댐퍼몸체부 313: 제1댐퍼접촉부
315: 연결부 315a: 연결블록부
315b: 연결로드부 317: 마그넷부
319: 스프링부 320: 제2댐퍼부

Claims (11)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부; 및
    상기 하우징에 한 쌍으로 장착되고, 이동하는 상기 피스톤부의 접촉에 의해 압축되는 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부는,
    피스톤몸체부;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는 피스톤가압부;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타측에 장착되고, 상기 댐퍼부의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제1피스톤로드부; 및
    상기 피스톤몸체부의 타측에 상기 제1피스톤로드부와 이격되게 장착되고, 상기 댐퍼부의 다른 하나를 가압하는 제2피스톤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제1피스톤로드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댐퍼부; 및
    상기 제2피스톤로드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1댐퍼부와 이격되게 장착되는 제2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댐퍼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댐퍼몸체부;
    상기 제1댐퍼몸체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피스톤로드부에 접촉되는 제1댐퍼접촉부; 및
    일측이 상기 제1댐퍼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제1댐퍼접촉부에 장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댐퍼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블록부; 및
    일측이 상기 연결블록부에 장착되고, 타측이 상기 제1댐퍼접촉부에 장착되는 연결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로드부와 상기 제2피스톤로드부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부는,
    상기 제1댐퍼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피스톤로드부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마그넷부; 및
    일측이 상기 제1댐퍼몸체부에 접하고, 타측이 상기 제1댐퍼접촉부에 접하며, 상기 제1피스톤로드부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제1댐퍼접촉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댐퍼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에 압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가압부는 상기 피스톤몸체부에 코킹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페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댐퍼부가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부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몸체부; 및
    상기 하우징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페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하우징몸체부의 테두리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KR1020220070664A 2022-06-10 2022-06-10 페달 시뮬레이터 KR102643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664A KR102643649B1 (ko) 2022-06-10 2022-06-10 페달 시뮬레이터
US17/973,589 US11953933B2 (en) 2022-06-10 2022-10-26 Pedal simulator
JP2022171414A JP2023181053A (ja) 2022-06-10 2022-10-26 ペダルシミュレータ
EP22205833.1A EP4289690A1 (en) 2022-06-10 2022-11-07 Pedal simulator
CN202211540719.5A CN117207934A (zh) 2022-06-10 2022-12-02 踏板模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664A KR102643649B1 (ko) 2022-06-10 2022-06-10 페달 시뮬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310A KR20230170310A (ko) 2023-12-19
KR102643649B1 true KR102643649B1 (ko) 2024-03-05

Family

ID=84363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664A KR102643649B1 (ko) 2022-06-10 2022-06-10 페달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53933B2 (ko)
EP (1) EP4289690A1 (ko)
JP (1) JP2023181053A (ko)
KR (1) KR102643649B1 (ko)
CN (1) CN11720793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93557A (ja) * 2013-11-11 2015-05-18 日信工業株式会社 ブレーキ制御装置
CN107107883A (zh) * 2014-10-29 2017-08-29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用于在车辆的操纵元件上进行力模拟的设备,优选踏板模拟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7886B1 (en) 2000-07-27 2002-04-09 Delphi Technologies, Inc. Brake pedal emulator system and method
DE102007030312A1 (de) 2007-06-29 2009-01-02 Robert Bosch Gmbh Pedalwegsimulator
DE102008063771A1 (de) 2008-12-22 2010-06-24 Ipgate Ag Bremssystem mit Wegsimulator
KR20110021357A (ko) * 2009-08-26 2011-03-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이중 챔버타입 페달 시뮬레이터
KR102223847B1 (ko) 2014-06-23 2021-03-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페달 시뮬레이터
KR20190136653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만도 마스터 실린더 댐퍼 부재
CN110667543B (zh) * 2019-10-28 2021-04-13 吉林大学 一种用于驾驶习性分类的制动踏板感觉模拟装置及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93557A (ja) * 2013-11-11 2015-05-18 日信工業株式会社 ブレーキ制御装置
CN107107883A (zh) * 2014-10-29 2017-08-29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用于在车辆的操纵元件上进行力模拟的设备,优选踏板模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89690A1 (en) 2023-12-13
US20230409070A1 (en) 2023-12-21
KR20230170310A (ko) 2023-12-19
CN117207934A (zh) 2023-12-12
US11953933B2 (en) 2024-04-09
JP2023181053A (ja)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3939B2 (en) Pedal simulator for active brake system
KR101402538B1 (ko) 페달 시뮬레이터
CN104554200A (zh) 用于主动制动系统的踏板模拟器
US10579089B2 (en) Modular non-linear spring system
CN113619550B (zh) 使用电动助力器的制动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643649B1 (ko) 페달 시뮬레이터
US20030042085A1 (en) Automobile brake caliper for reducing noise
KR20180094274A (ko) 페달감 모사 장치
KR101665709B1 (ko) 페달 시뮬레이터장치
KR102180435B1 (ko) 제동 장치의 페달 시뮬레이터
CN114834407A (zh) 一种车辆制动踏板模拟装置及踏板感调节方法
US20240134409A1 (en) Pedal simulator
KR20240060031A (ko) 차량의 페달 시뮬레이터
KR102452656B1 (ko) 페달 스트로크 센서의 설치구조체
CN110027527B (zh) 踏板模拟器和具有其的线控制动系统、车辆
KR101437181B1 (ko) 히스테리시스 특성 구현 타입 전자 페달 장치
KR20240054694A (ko) 페달 시뮬레이터
KR20220098908A (ko) 페달시뮬레이터
US20230145896A1 (en) Non-hydraulic pedal simulator
US11999325B2 (en) Friction member and master cylinder comprising same
KR102650291B1 (ko) 마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터실린더
CN117984968A (zh) 制动行程模拟器及具有其的制动组件和车辆
JP2006168418A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100655458B1 (ko) 페달 리턴스프링이 구비된 브레이크 장치
KR20140142478A (ko) 능동형 제동 장치의 페달 시뮬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