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694A - 페달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페달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694A
KR20240054694A KR1020220134950A KR20220134950A KR20240054694A KR 20240054694 A KR20240054694 A KR 20240054694A KR 1020220134950 A KR1020220134950 A KR 1020220134950A KR 20220134950 A KR20220134950 A KR 20220134950A KR 20240054694 A KR20240054694 A KR 20240054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simulator
piston rod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현
차면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4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694A/ko
Publication of KR20240054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60T8/4086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the stroke simulating device being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 the driver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4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pivo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페달 시뮬레이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는: 페달하우징; 페달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페달부; 및 페달하우징에 장착되고, 페달부에 연결된 복수개의 로드가 페달부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는 시뮬레이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페달 시뮬레이터{PEDAL SIMULATOR}
본 발명은 페달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병렬식 페달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페달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페달 시뮬레이터는 전자식 브레이크(Electro-Mechanical Brake, EMB)에 장착되는 부품으로, 기존의 기계식 브레이크에서 발생되는 제동감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전자식 브레이크에서는 유압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전동 브레이크 장치(Brake-By-Wire System)와 자율 주행 자동차 관련 기술이 대두됨에 따라 비유압식 브레이크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비유압식 페달시뮬레이터는 기존 유압 시스템에서와 동일한 제동감을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부품이다. 브레이크 오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과 댐퍼만으로 온전히 제동감을 구현해야한다는 점에서 유압식 페달시뮬레이터와 차이가 있다. 브레이크 페달과 센서와 페달시뮬레이터를 하나로 통합한 부품이 e-페달 앗세이이다.
종래 기술에서 페달시뮬레이터는 병렬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서의 일체형 로드는 양쪽 챔버의 반력의 차이가 클 경우 모멘트 발생에 의해 작동성이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23847호(2021.02.26 등록, 발명의 명칭: 페달 시뮬레이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병렬식 페달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페달 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는: 페달하우징; 상기 페달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페달부; 및 상기 페달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페달부에 연결된 복수개의 로드가 상기 페달부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는 시뮬레이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뮬레이터부는, 상기 페달하우징에 장착되는 시뮬레이터하우징; 상기 시뮬레이터하우징에 한 쌍으로 장착되고, 이동 가능한 피스톤부; 상기 시뮬레이터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피스톤부에 대향되게 장착되고, 이동되는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 압축되는 댐퍼부; 및 한 쌍의 상기 피스톤부를 연결하고, 상기 페달부에 장착되며, 상기 페달부의 가압을 상기 피스톤부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달부는, 한 쌍의 상기 피스톤부(500)를 연결하고, 상기 페달부(200)에 장착되는 봉 형상의 밸런스바; 상기 밸런스바의 양단에 장착되는 밸런스고정너트; 및 상기 밸런스바의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페달부와 접하는 밸런스바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밸런스바가이드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전달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로드부; 한 쌍의 상기 작동로드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댐퍼부의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제1피스톤로드부; 및 한 쌍의 상기 작동로드부 중 다른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댐퍼부의 다른 하나를 가압하는 제2피스톤로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피스톤로드부는, 상기 시뮬레이터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한 쌍의 상기 작동로드부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며, 상기 댐퍼부의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제1피스톤로드몸체부; 한 쌍의 상기 작동로드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피스톤로드몸체부에 고정하는 제1피스톤로드고정부; 및 상기 제1피스톤로드몸체부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시뮬레이터하우징의 내측면과 접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피스톤로드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피스톤로드부는, 상기 시뮬레이터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에 한 쌍의 상기 작동로드부 중 다른 하나를 수용하며, 타측에 상기 댐퍼부의 다른 하나를 수용하는 제2피스톤로드몸체부; 및 한 쌍의 상기 작동로드부 중 다른 하나를 상기 제2피스톤로드몸체부에 고정하는 제2피스톤로드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피스톤로드몸체부와 상기 제2피스톤로드몸체부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제1피스톤로드몸체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시뮬레이터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댐퍼부; 및 상기 제2피스톤로드몸체부에 장착되는 제2댐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댐퍼부는, 상기 시뮬레이터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댐퍼몸체부; 상기 제1댐퍼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피스톤로드몸체부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마그넷부; 및 일측이 상기 제1댐퍼몸체부에 접하고, 타측이 상기 제1피스톤로드몸체부에 접하며, 상기 제1피스톤로드몸체부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댐퍼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피스톤로드몸체부에 압입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피스톤로드고정부와 상기 제2피스톤로드고정부는 상기 작동로드부의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상기 작동로드부의 외측면을 감쌀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페달하우징은, 페달하우징몸체부; 상기 페달하우징몸체부의 내측에 상기 시뮬레이터부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페달하우징수용부; 상기 페달하우징몸체부에 관통 형성되는 페달하우징홀부; 및 상기 페달하우징홀부와 상기 페달부에 장착되어 상기 페달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동지지부는, 상기 페달하우징홀부와 상기 페달부에 장착되어 상기 페달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봉 형상의 회동지지바; 상기 회동지지바에 장착되는 회동지지고정너트; 및 상기 회동지지바의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페달부와 접하는 회동지지바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동지지바가이드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페달부는, 페달몸체부; 상기 페달몸체부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회동지지부가 삽입되는 제1페달몸체홀부; 및 상기 페달몸체부의 타측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시뮬레이터부에 연결되는 제2페달몸체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에 의하면, 병렬로 배치된 페달부와 시뮬레이터부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뮬레이터에서 복수의 피스톤부의 답력차에서도 전달부를 통해 고르게 댐퍼부로 전달되게 하여 원할한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뮬레이터에서 전달부의 복수의 피스톤부의 답력차에서도 전달부를 통해 고르게 댐퍼부로 전달되게 하여 원할한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뮬레이터에서 전달부의 위치를 변경하여 다양한 타입의 페달부에 적용 가능하여 설계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피스톤로드부와 제2피스톤로드부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적합한 초중기 제동감과 후기 제동감을 느낄 수 있도록 튜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피스톤로드부와 제2피스톤로드부, 및 제1댐퍼부와 제2댐퍼부의 병렬 구조를 통해 시뮬레이터하우징의 부피 축소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C-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B-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C-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는 페달하우징(100), 페달부(200), 및 시뮬레이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페달하우징(100)은 내부 공간에 시뮬레이터부(300)를 수용하고, 페달부(2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페달하우징(100)은 페달하우징몸체부(110), 페달하우징수용부(120), 페달하우징홀부(130), 및 회동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페달하우징몸체부(110)는 일측(도 2 기준 상측)에 페달부(2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페달하우징수용부(120)는 페달하우징몸체부(110)의 내측에 시뮬레이터부(300)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페달하우징수용부(120)는 시뮬레이터부(300)의 시뮬레이터하우징(400)을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페달하우징수용부(120)는 일면(도 2 기준 전면)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페달하우징홀부(130)는 페달하우징몸체부(110)에 관통 형성된다. 페달하우징홀부(130)에는 회동지지부(140)의 회동지지바(141)가 삽입된다. 페달하우징홀부(130)의 내경은 회동지지부(140)의 회동지지바(141)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된다.
회동지지부(140)는 페달하우징홀부(130)와 페달부(200)에 장착되어 페달부(2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회동지지부(140)는 회동지지바(141), 회동지지고정너트(143), 및 회동지지바가이드(145)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지지바(141)는 페달하우징홀부(130)와 페달부(200)의 제1페달몸체홀부(220)에 장착되어 페달부(2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회동지지바(141)의 단부(도 2 기준 좌측단부)에는 회동지지고정너트(143)와 나사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회동지지고정너트(143)는 회동지지바(141)의 단부(도 2 기준 좌측단부)에 장착된다. 회동지지고정너트(143)는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동지지바(141)의 단부와 나사 체결된다.
회동지지바가이드(145)는 회동지지바(141)의 외측면을 감싸고, 페달부(200)와 접한다. 회동지지바가이드(145)는 회동지지바(141)와 페달부(200) 사이에 개재되어 회동지지바(141)와 페달부(200) 사이에 밀착된다. 회동지지바가이드(145)는 회동지지바(141)와 페달부(200) 사이에 밀착되어, 회동지지바(141)와 페달부(200) 사이에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회동지지바가이드(145)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회동지지바가이드(145)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회동지지바(141)와 페달부(200) 사이에서 이음 발생을 방지하고, 회동지지바(141)의 모멘트를 흡수할 수 있다. 회동지지바가이드(145)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고무, 실리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페달부(200)는 페달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페달부(200)는 페달몸체부(210), 제1페달몸체홀부(220), 및 제2페달몸체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페달몸체부(210)는 페달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페달몸체홀부(220)는 페달몸체부(210)의 일측(도 2 기준 상측)에 관통 형성되고, 회동지지부(140)가 삽입된다.
제2페달몸체홀부(230)는 페달몸체부(210)의 타측(도 2 기준 중심부측)에 관통 형성되고, 시뮬레이터부(300)의 전달부(700)의 밸런스바(710)에 연결된다.
페달부(200)는 페달(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페달(240)은 페달몸체부(210)의 하측에 형성된다. 사용자가 페달(240)을 가압하여 페달몸체부(210)가 회동될 수 있다.
시뮬레이터부(300)는 페달하우징(100)에 장착되고, 페달부(200)에 연결된 복수개의 로드가 페달부(200)의 가압에 의해 압축된다. 시뮬레이터부(300)는 시뮬레이터하우징(400), 피스톤부(500), 댐퍼부(600), 및 전달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시뮬레이터하우징(400)은 페달하우징(100)의 페달하우징수용부(120)에 장착된다. 시뮬레이터하우징(400)은 페달하우징수용부(120)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시뮬레이터하우징(400)은 페달하우징수용부(120)에 압입 결합되거나, 볼팅, 본딩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시뮬레이터하우징(400)은 제1수용부(410)와 제2수용부(420)를 포함한다. 제1수용부(410)에는 제1댐퍼부(610)가 장착되고, 제1피스톤로드부(520)가 이동될 수 있다. 제2수용부(420)에는 제2댐퍼부(620)가 장착된 제2피스톤로드부(530)가 이동될 수 있다.
피스톤부(500)는 시뮬레이터하우징(400)에 한 쌍으로 장착되고, 시뮬레이터하우징(400)에 이동 가능하다. 피스톤부(500)는 작동로드부(510), 제1피스톤로드부(520), 및 제2피스톤로드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로드부(510)는 전달부(700)에 연결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작동로드부(510)는 제1작동로드부(511)와 제2작동로드부(513)를 포함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제1작동로드부(511)와 제2작동로드부(513)는 페달몸체부(210)의 양측에 배치되고, 전달부(700)에 의해 페달몸체부(210)에 연결된다.
제1작동로드부(511)와 제2작동로드부(513)의 단부에는 각각 볼 형상의 제1작동회동부(512)와 제2작동회동부(514)가 장착된다. 제1작동회동부(512)와 제2작동회동부(514)는 각각 제1피스톤로드부(520)의 제1피스톤로드고정부(523)와 제2피스톤로드부(530)의 제2피스톤로드고정부(53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피스톤로드부(520)는 한 쌍의 작동로드부(510)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댐퍼부(600)의 어느 하나를 가압한다. 제1피스톤로드부(520)는 한 쌍의 작동로드부(510) 중 제1작동로드부(511)에 장착되고, 댐퍼부(600) 중 제1댐퍼부(610)를 가압한다.
제1피스톤로드부(520)는 제1피스톤로드몸체부(521), 제1피스톤로드고정부(523), 및 제1피스톤로드오링부(5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피스톤로드몸체부(521)는 시뮬레이터하우징(4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한 쌍의 작동로드부(510) 중 어느 하나인 제1작동로드부(511)를 수용하며, 댐퍼부(600)의 어느 하나인 제1댐퍼부(610)를 가압한다.
제1피스톤로드고정부(523)는 한 쌍의 작동로드부(510) 중 어느 하나인 제1작동로드부(511)를 제1피스톤로드몸체부(521)에 고정한다. 제1피스톤로드고정부(523)는 내부 공간에 제1작동로드부(511)의 제1작동회동부(512)를 감싸게 수용하고, 제1작동로드부(511)의 외측면에 코킹 결합된다.
제1피스톤로드오링부(525)는 제1피스톤로드몸체부(521)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시뮬레이터하우징(400)의 내측면과 접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피스톤로드오링부(525)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제1피스톤로드몸체부(521)와 시뮬레이터하우징(40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1피스톤로드오링부(525)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고무, 실리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피스톤로드부(530)는 한 쌍의 작동로드부(510) 중 다른 하나에 장착되고, 댐퍼부(600)의 다른 하나를 가압한다. 제2피스톤로드부(530)는 한 쌍의 작동로드부(510) 중 제2작동로드부(513)에 장착되고, 댐퍼부(600) 중 제2댐퍼부(620)를 가압한다.
제2피스톤로드부(530)는 제2피스톤로드몸체부(531)와 제2피스톤로드고정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피스톤로드몸체부(531)는 시뮬레이터하우징(4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도 8 기준 좌측)에 한 쌍의 작동로드부(510) 중 다른 하나인 제2작동로드부(513)를 수용하며, 타측(도 8 기준 우측)에 댐퍼부(600)의 다른 하나인 제2댐퍼부(620)를 수용한다.
제2피스톤로드고정부(533)는 한 쌍의 작동로드부(510) 중 다른 하나인 제2작동로드부(513)를 제2피스톤로드몸체부(531)에 고정한다. 제2피스톤로드고정부(533)는 내부 공간에 제2작동로드부(513)의 제2작동회동부(514)를 감싸게 수용하고, 제2작동로드부(513)의 외측면에 코킹 결합된다.
제1피스톤로드고정부(523)와 제2피스톤로드고정부(533)는 작동로드부(510)의 제1작동로드부(511)와 제2작동로드부(513)의 단부인 제1작동회동부(512)와 제2작동회동부(514)가 회동 가능하게 작동로드부(510)의 제1작동로드부(511)와 제2작동로드부(513)의 외측면을 감싼다. 제1피스톤로드고정부(523)와 제2피스톤로드고정부(533)는 제1작동로드부(511)와 제2작동로드부(513)의 외측면을 코킹 결합한다.
제1피스톤로드몸체부(521)와 제2피스톤로드몸체부(531)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피스톤로드몸체부(521)와 제2피스톤로드몸체부(531)는 이격된 병렬로 배치되고, 각각 제1댐퍼부(610)와 제2댐퍼부(620)를 가압한다.
제1피스톤로드몸체부(521)와 제2피스톤로드몸체부(531)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각각 제1댐퍼부(610)와 제2댐퍼부(620)와 접촉되는 시간과 길이가 다르게 되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제동감이 다르게 되어 초중기 제동감과 후기 제동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1피스톤로드몸체부(521)의 길이는 제2피스톤로드몸체부(531)의 길이보다 짤게 형성된다. 제1피스톤로드몸체부(521)는 댐퍼부(600)의 제1댐퍼부(610)를 가압하고, 제2피스톤로드몸체부(531)는 댐퍼부(600)의 제2댐퍼부(620)를 가압한다.
제1피스톤로드몸체부(521)는 제1댐퍼부(610) 가압시 사용자에게 초중기 제동감을 제공하고, 제2피스톤로드몸체부(531)는 제2댐퍼부(620) 가압시 사용자에게 후기 제동감을 제공한다. 제1피스톤로드몸체부(521)의 길이와 제2피스톤로드몸체부(531)의 길이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동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튜닝할 수 있다.
댐퍼부(600)는 시뮬레이터하우징(400)의 내측에 피스톤부(500)에 대향되게 장착되고, 이동되는 피스톤부(500)에 의해 압축된다. 댐퍼부(600)는 제1댐퍼부(610)와 제2댐퍼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댐퍼부(310)는 제2댐퍼부(320)보가 탄성 변형되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길 수 있다.
제1댐퍼부(610)는 제1피스톤로드몸체부(521)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시뮬레이터하우징(400)에 장착된다. 제1댐퍼부(610)는 제1댐퍼몸체부(611), 마그넷부(613), 및 스프링부(617)를 포함한다.
제1댐퍼몸체부(611)는 시뮬레이터하우징(400)에 장착된다. 제1댐퍼몸체부(611)는 시뮬레이터하우징(400)에 볼팅, 본딩, 압입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마그넷부(613)는 제1댐퍼몸체부(611)에 장착되고, 제1피스톤로드몸체부(311)의 위치 정보를 측정한다. 마그넷부(613)는 자력을 구비한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제1피스톤로드몸체부(311)에 의해 이동되면서 변화되는 자기장 변화를 통해 제1피스톤로드몸체부(311)가 가압하는 답력 또는 위치 정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스프링부(617)는 일측(도 7 기준 우측)이 제1댐퍼몸체부(611)에 접하고, 타측(도 7 기준 좌측)이 제1피스톤로드몸체부(521)에 접하며, 제1피스톤로드몸체부(521)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스프링부(617)는 제1댐퍼몸체부(611)와 제1피스톤로드몸체부(521) 사이에 개재되어, 우측으로 이동하는 제1피스톤로드몸체부(521)에 의해 압축된다. 압축된 스프링부(617)는 제1피스톤로드몸체부(521)에 탄성력(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제1피스톤로드몸체부(521)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스프링부(617)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제2댐퍼부(620)는 제2피스톤로드몸체부(531)에 장착된다. 제2댐퍼부(62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2피스톤로드몸체부(531)에 압입 결합된다. 제2댐퍼부(620)는 제2피스톤로드몸체부(531)에 압입 결합되어, 제2피스톤로드몸체부(531)와 함께 이동되어 시뮬레이터하우징(400)의 일면(또 8 기주 우측면)과 접한다. 제2댐퍼부(62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고무, 실리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달부(700)는 한 쌍의 피스톤부(500)를 연결하고, 페달부(200)에 장착되며, 페달부(200)의 가압을 피스톤부(500)로 전달한다. 전달부(700)는 밸런스바(710), 밸런스고정너트(720), 및 밸런스바가이드(730)를 포함한다.
밸런스바(710)는 한 쌍의 피스톤부(500)를 연결하고, 페달부(200)에 장착되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밸런스바(710)는 피스톤부(500)의 한 쌍의 작동로드부(510)를 연결한다. 즉 밸런스바(710)는 제1작동로드부(511)와 제2작동로드부(513)를 연결한다. 밸런스바(710)는 제1작동로드부(511)와 제2작동로드부(513)를 페달몸체부(210)에 연결한다. 밸런스바(710)는 제2페달몸체홀부(230)에 삽입된다.
밸런스고정너트(720)는 밸런스바(710)의 양단에 장착된다. 밸런스바(710)의 양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밸런스고정너트(720)는 밸런스바(710)의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밸런스고정너트(720)는 밸런스바(710)에 나사 결합된다.
밸런스바가이드(730)는 밸런스바(710)의 외측면을 감싸고, 페달부(200)와 접한다. 밸런스바가이드(730)는 밸런스바(710)와 페달부(200)의 제2페달몸체홀부(230) 사이에 개재되어 밸런스바(710)와 페달부(200)의 제2페달몸체홀부(230) 사이에 밀착된다. 밸런스바가이드(730)는 밸런스바(710)와 페달부(200)의 제2페달몸체홀부(230) 사이에 밀착되어, 밸런스바(710)와 페달부(200)의 제2페달몸체홀부(230) 사이에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밸런스바가이드(73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밸런스바가이드(730)는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밸런스바(710)와 페달부(200)의 제2페달몸체홀부(230) 사이에서 이음 발생을 방지하고, 밸런스바(710)의 모멘트를 흡수할 수 있다. 밸런스바가이드(73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고무, 실리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를 설명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에서 페달부(200)와 시뮬레이터부(300)의 작동 방향이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9 및 도 10에서의 페달 시뮬레이터에서는 페달부(200)와 시뮬레이터부(300)의 작동 방향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다. 페달부(200)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연결부(800)에 의해 페달하우징(100)에 연결되어, 페달부(200)와 시뮬레이터부(300)의 작동 방향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800)는 페달부(2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페달하우징(100)은 각각 회동되어 장착대상물(미도시)에 따라 장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시뮬레이터에 의하면, 병렬로 배치된 페달부와 시뮬레이터부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뮬레이터에서 복수의 피스톤부의 답력차에서도 전달부를 통해 고르게 댐퍼부로 전달되게 하여 원할한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뮬레이터에서 전달부의 복수의 피스톤부의 답력차에서도 전달부를 통해 고르게 댐퍼부로 전달되게 하여 원할한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뮬레이터에서 전달부의 위치를 변경하여 다양한 타입의 페달부에 적용 가능하여 설계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피스톤로드부와 제2피스톤로드부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적합한 초중기 제동감과 후기 제동감을 느낄 수 있도록 튜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피스톤로드부와 제2피스톤로드부, 및 제1댐퍼부와 제2댐퍼부의 병렬 구조를 통해 시뮬레이터하우징의 부피 축소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페달하우징 110: 페달하우징몸체부
120: 페달하우징수용부 130: 페달하우징홀부
140: 회동지지부 141: 회동지지바
143: 회동지지고정너트 145: 회동지지바가이드
200: 페달부 210: 페달몸체부
220: 제1페달몸체홀부 230: 제2페달몸체홀부
240: 페달 300: 시뮬레이터부
400: 시뮬레이터하우징 410: 제1수용부
420: 제2수용부 500: 댐퍼부
510: 작동로드부 511: 제1작동로드부
512: 제1작동회동부 513: 제2작동로드부
514: 제2작동회동부 520: 제1피스톤로드부
521: 제1피스톤로드몸체부 523: 제1피스톤로드고정부
525: 제1피스톤로드오링부 530: 제2피스톤로드부
531: 제2피스톤로드몸체부 533: 제2피스톤로드고정부
600: 댐퍼부 610: 제1댐퍼부
611: 제1댐퍼몸체부 613: 마그넷부
615: 스프링부 620: 제2댐퍼부
700: 전달부 710: 밸런스바
720: 밸런스고정너트 730: 밸런스바가이드
800: 연결부

Claims (16)

  1. 페달하우징;
    상기 페달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페달부; 및
    상기 페달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페달부에 연결된 복수개의 로드가 상기 페달부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는 시뮬레이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부는,
    상기 페달하우징에 장착되는 시뮬레이터하우징;
    상기 시뮬레이터하우징에 한 쌍으로 장착되고, 이동 가능한 피스톤부;
    상기 시뮬레이터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피스톤부에 대향되게 장착되고, 이동되는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 압축되는 댐퍼부; 및
    한 쌍의 상기 피스톤부를 연결하고, 상기 페달부에 장착되며, 상기 페달부의 가압을 상기 피스톤부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한 쌍의 상기 피스톤부를 연결하고, 상기 페달부에 장착되는 봉 형상의 밸런스바;
    상기 밸런스바의 양단에 장착되는 밸런스고정너트; 및
    상기 밸런스바의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페달부와 접하는 밸런스바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바가이드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전달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로드부;
    한 쌍의 상기 작동로드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댐퍼부의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제1피스톤로드부; 및
    한 쌍의 상기 작동로드부 중 다른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댐퍼부의 다른 하나를 가압하는 제2피스톤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로드부는,
    상기 시뮬레이터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한 쌍의 상기 작동로드부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며, 상기 댐퍼부의 어느 하나를 가압하는 제1피스톤로드몸체부;
    한 쌍의 상기 작동로드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피스톤로드몸체부에 고정하는 제1피스톤로드고정부; 및
    상기 제1피스톤로드몸체부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시뮬레이터하우징의 내측면과 접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피스톤로드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스톤로드부는,
    상기 시뮬레이터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에 한 쌍의 상기 작동로드부 중 다른 하나를 수용하며, 타측에 상기 댐퍼부의 다른 하나를 수용하는 제2피스톤로드몸체부; 및
    한 쌍의 상기 작동로드부 중 다른 하나를 상기 제2피스톤로드몸체부에 고정하는 제2피스톤로드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로드몸체부와 상기 제2피스톤로드몸체부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제1피스톤로드몸체부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시뮬레이터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댐퍼부; 및
    상기 제2피스톤로드몸체부에 장착되는 제2댐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부는,
    상기 시뮬레이터하우징에 장착되는 제1댐퍼몸체부;
    상기 제1댐퍼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피스톤로드몸체부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마그넷부; 및
    일측이 상기 제1댐퍼몸체부에 접하고, 타측이 상기 제1피스톤로드몸체부에 접하며, 상기 제1피스톤로드몸체부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댐퍼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피스톤로드몸체부에 압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로드고정부와 상기 제2피스톤로드고정부는 상기 작동로드부의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상기 작동로드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하우징은,
    페달하우징몸체부;
    상기 페달하우징몸체부의 내측에 상기 시뮬레이터부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페달하우징수용부;
    상기 페달하우징몸체부에 관통 형성되는 페달하우징홀부; 및
    상기 페달하우징홀부와 상기 페달부에 장착되어 상기 페달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부는,
    상기 페달하우징홀부와 상기 페달부에 장착되어 상기 페달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봉 형상의 회동지지바;
    상기 회동지지바에 장착되는 회동지지고정너트; 및
    상기 회동지지바의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페달부와 접하는 회동지지바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바가이드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부는,
    페달몸체부;
    상기 페달몸체부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회동지지부가 삽입되는 제1페달몸체홀부; 및
    상기 페달몸체부의 타측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시뮬레이터부에 연결되는 제2페달몸체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시뮬레이터.
KR1020220134950A 2022-10-19 2022-10-19 페달 시뮬레이터 KR20240054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950A KR20240054694A (ko) 2022-10-19 2022-10-19 페달 시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950A KR20240054694A (ko) 2022-10-19 2022-10-19 페달 시뮬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694A true KR20240054694A (ko) 2024-04-26

Family

ID=90883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950A KR20240054694A (ko) 2022-10-19 2022-10-19 페달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46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62097B1 (en) Pedal reaction force device
KR100851321B1 (ko) 답력 및 히스테리시스 조절기능을 갖춘 페달장치
KR100851320B1 (ko) 답력 및 히스테리시스 조절기능을 갖춘 페달장치
US20010043009A1 (en) Pedal assemblies for vehicle braking systems
CN113302572A (zh) 用于车辆的踏板仿真器
US20230415712A1 (en) Passive pedal force emulator pedal assembly
KR101405209B1 (ko)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 시뮬레이터
KR20240054694A (ko) 페달 시뮬레이터
KR101327103B1 (ko) 운전자 운전성향 감응형 가속페달 제어 유닛트
US20240134409A1 (en) Pedal simulator
KR101665709B1 (ko) 페달 시뮬레이터장치
CN213008070U (zh) 一种踏板感模拟系统的负载装置及踏板感模拟系统
KR101526377B1 (ko) 페달비 가변형 브레이크 페달유닛
KR102643649B1 (ko) 페달 시뮬레이터
US20230035196A1 (en) Adjustable pressure simulator device for vehicle braking systems of the brake-by-wire type
KR20040079701A (ko) 브레이크 페달 에뮬레이터
CN115675391A (zh) 制动踏板模块
KR100614525B1 (ko)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CN117120310B (zh) 包括两个集成的腔室的制动缸
KR20130139696A (ko)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장치
US20220332296A1 (en) Brake cylinder comprising a mechanical stop
KR20240060031A (ko) 차량의 페달 시뮬레이터
US20240182009A1 (en) Brake cylinder comprising a mechanical stop
WO2022218727A1 (en) Brake cylinder comprising two integrated chambers
EP4323243A1 (en) Brake cylinder comprising two integrated cham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