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991B1 -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991B1
KR102642991B1 KR1020230188329A KR20230188329A KR102642991B1 KR 102642991 B1 KR102642991 B1 KR 102642991B1 KR 1020230188329 A KR1020230188329 A KR 1020230188329A KR 20230188329 A KR20230188329 A KR 20230188329A KR 102642991 B1 KR102642991 B1 KR 102642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aterproofing
bridge
asph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8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래
Original Assignee
김종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래 filed Critical 김종래
Priority to KR1020230188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70 내지 80 중량%, 고분자 개질제 5 내지 15 중량%, 무기 필러 1 내지 10 중량%, 석유수지 1 내지 10 중량% 및 가소제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고분자 개질제는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20 내지 3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20 내지 30 중량부; 폴리헥사메틸렌비구아니드와 폴리아미노프로필비구아니드가 1 : 0.5 내지 1 중량비로 혼합된 비구아니드계 화합물 1 내지 10 중량부; 테르펜 페놀수지 1 내지 10 중량부; 및 디카페오일퀴닉산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무기 필러는 탄산칼슘 100 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1 내지 30 중량부; 월라스토나이트 1 내지 30 중량부; 및 소석회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함으로써,
온도 및 기후 변화에 따른 방수 도막의 신축 거동에 대한 추종성을 개선하여 물성 등의 성능 저하를 감소시키므로 인장 접착강도, 전단접착강도 등의 부착성능과, 인장강도, 신장률, 전단접착 변형률(%) 및 내열 치수 안정성 등의 복원력 향상시킬 수 있고, 방수, 발수 기능, 알칼리, 산에 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어 외부로부터의 열화 인자(수분, 화학적 물질 등)가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방법{Modified asphalt-based coating material composition for waterproofing bridge surfaces and constructing method of bridge surface waterproof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온도 및 기후 변화에 따른 방수 도막의 신축 거동에 대한 추종성을 개선하여 물성 등의 성능 저하를 감소시키므로 인장 접착강도, 전단접착강도 등의 부착성능과, 인장강도, 신장률, 전단접착 변형률(%) 및 내열 치수 안정성 등의 복원력 향상시킬 수 있고, 방수, 발수 기능, 알칼리, 산에 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어 외부로부터의 열화 인자(수분, 화학적 물질 등)가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설 및 보수의 교면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막 방수재(Waterproofing Compound)라 함은 수성 또는 유성의 액상 형태의 방수재를 각종의 건축물 및 구조벽의 표면에 도포하고 수분 또는 용제가 증발되고 남은 피막을 이용하여 방수효과를 거두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도막 방수재는 통상적으로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옥상방수 및 외부방수, 지하구조물의 옹벽 내지 천장 방수 및 화장실, 욕실 및 베란다 등의 실내방수 또는 콘크리트 교면 방수 등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중, 상기 콘크리트 교면은 교통 차량에 의한 반복하중, 진동, 충격 및 전단 등의 역학적 작용과 온도 변화에 의한 수축 팽창 등이 복잡하게 작용하고 있다. 상기 콘크리트 교면은 공용년수가 증가할수록 빗물 침투와 제설재의 침투, 누적된 하중 등에 의해 재료간의 결합력이 저하되고 온도변화에 의한 물의 체적변화에 따라 균열 등의 손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손상은 시간경과에 따라 균열 및 변형이 확대되어 구조물의 강도저하 및 수명저하를 초래하며, 우수 등이 아스팔트 공극 균열부분과 중앙분리대 및 조인트 부위의 틈새를 통해 침투함으로써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을 부식시켜 구조물의 수명단축 및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교면에 적용되는 방수시공은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고자 적용되는 것으로, 아스팔트 포장으로부터 침투되는 물과 염화물에 의한 바닥판 콘크리트의 열화 및 철근의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한편, 최근에 널리 보급된 도막 방수재로서는 고무화 아스팔트, 아크릴고무 또는 아크릴수지 등이 주성분인 에멀젼형과, 클로로프렌이나 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이 함유되어 있으며 우레탄이나 에폭시수지가 주성분인 반응형이 있으며, 이들 중 우레탄계 도막 방수재와 고무화 아스팔트계 도막 방수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무화 아스팔트계 도막 방수재는 아스팔트에 스티렌 계통의 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등을 혼합함으로써 아스팔트가 가질 수 없는 성질, 즉 우수한 신장율, 내균열성, 내한성 및 접합성 등을 가지도록 개질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무화 아스팔트계 도막 방수재는 신장율, 내균열성, 내한성 및 접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는 반면, 복원력이 약하며 내화학성, 내오존성 및 내자외선성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클로로프렌 고무(Chloroprene Rubber Latex; CR)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막 방수재의 경우 내한성(Freezing Resistance)이 약하여 주변의 온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689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392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83508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클로로프렌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막 방수재의 낮은 내한성을 개선하여 온도 및 기후 변화에 따른 물성 등의 성능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콘크리트 교면과 방수제 계면의 결합과 투수 저항성이 향상된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70 내지 80 중량%, 고분자 개질제 5 내지 15 중량%, 무기 필러 1 내지 10 중량%, 석유수지 1 내지 10 중량% 및 가소제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고분자 개질제는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20 내지 3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20 내지 30 중량부; 폴리헥사메틸렌비구아니드와 폴리아미노프로필비구아니드가 1 : 0.5 내지 1 중량비로 혼합된 비구아니드계 화합물 1 내지 10 중량부; 테르펜 페놀수지 1 내지 10 중량부; 및 디카페오일퀴닉산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무기 필러는
탄산칼슘 100 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1 내지 30 중량부; 월라스토나이트 1 내지 30 중량부; 및 소석회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인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월라스토나이트는
질소함유 탄소막으로 피복된 월라스토나이트이고,
상기 질소함유 탄소막으로 피복된 월라스토나이트는
월라스토나이트 100 중량부, 도파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용액(고형분 함량 50 중량%) 50 내지 100 중량부, 멜라민 수지 50 내지 100 중량부 및 카르베딜롤(Carvedilol) 1 내지 10 중량부를 20 내지 40 시간동안 교반한 후, 250 내지 350 ℃에서 열분해하여 질소함유 탄소막으로 피복된 월라스토나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카페오일퀴닉산은
1,5-디카페오일퀴닉산, 3,4-디카페오일퀴닉산, 3,5-디카페오일퀴닉산 및 4,5-디카페오일퀴닉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표면 처리된 티탄산칼륨위스커 1 내지 10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하고;
상기 표면 처리된 티탄산칼륨위스커는
티탄산칼륨위스커 100 중량부, 실리콘 오일 100 내지 300 중량부, 헤스페리딘(Hesperidine) 1 내지 10 중량부를 볼 밀링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톨루엔에 분산시킨 후 원심분리기로 분리하여 표면 처리된 티탄산칼륨위스커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을 이용한 신설 및 보수 교면방수 시공방법으로서,
교면 시공대상의 열화부위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소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을 도포하여 아스팔트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보호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아스콘을 포설 및 다짐하여 교면을 포장함으로써, 아스콘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면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신설 및 보수 교면방수 시공방법은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으로서,
교면 시공대상의 열화부위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소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을 도포하여 아스팔트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보호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아스콘을 포설 및 다짐하여 교면을 포장함으로써, 아스콘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방법에 의하면, 온도 및 기후 변화에 따른 방수 도막의 신축 거동에 대한 추종성을 개선하여 물성 등의 성능 저하를 감소시키므로 우수한 부착성능 및 복원력을 구현할 수 있고 내한성 및 강도 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하중이나 충격 등으로 손상받기 쉬운 콘크리트 교면과 방수제 계면의 결합과, 투수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인장 접착강도, 전단접착강도 등의 부착성능과, 인장강도, 신장률, 전단접착 변형률(%) 및 내열 치수 안정성 등의 복원력 향상시킬 수 있고, 물과 염화물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교량 또는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방수, 발수 기능, 알칼리, 산에 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어 외부로부터의 열화 인자(수분, 화학적 물질 등)가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균열, 변형 등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교면방수 시공방법의 개략적인 시공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교면방수 시공방법의 개략적인 시공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70 내지 80 중량%, 고분자 개질제 5 내지 15 중량%, 무기 필러 1 내지 10 중량%, 석유수지 1 내지 10 중량% 및 가소제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고분자 개질제는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20 내지 3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20 내지 30 중량부; 폴리헥사메틸렌비구아니드와 폴리아미노프로필비구아니드가 1 : 0.5 내지 1 중량비로 혼합된 비구아니드계 화합물 1 내지 10 중량부; 테르펜 페놀수지 1 내지 10 중량부; 및 디카페오일퀴닉산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무기 필러는 탄산칼슘 100 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1 내지 30 중량부; 월라스토나이트 1 내지 30 중량부; 및 소석회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인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방법에 의하면, 온도 및 기후 변화에 따른 방수 도막의 신축 거동에 대한 추종성을 개선하여 물성 등의 성능 저하를 감소시키므로 우수한 부착성능 및 복원력을 구현할 수 있고 내한성 및 강도 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하중이나 충격 등으로 손상받기 쉬운 콘크리트 교면과 방수제 계면의 결합과, 투수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인장 접착강도, 전단접착강도 등의 부착성능과, 인장강도, 신장률, 전단접착 변형률(%) 및 내열 치수 안정성 등의 복원력 향상시킬 수 있고, 물과 염화물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교량 또는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방수, 발수 기능, 알칼리, 산에 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어 외부로부터의 열화 인자(수분, 화학적 물질 등)가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균열, 변형 등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70 내지 80 중량%, 고분자 개질제 5 내지 15 중량%, 무기 필러 1 내지 10 중량%, 석유수지 1 내지 10 중량% 및 가소제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 발명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우수한 방수성을 제공하고, 아스콘 포장층과의 상용성이 좋아 점착성, 접착성 및 인장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용융점을 낮추어 유동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작업성능을 제공할 수 있고, 신도(伸度)가 우수하여, 전단응력에 의한 균열 추종성이 매우 뛰어나, 균열, 들뜸 또는 박리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AP-3 또는 AP-5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본 발명의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에 70 내지 80 중량%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접착성능이 감소되고 경도가 지나치게 상승되어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고분자 개질제는 온도 및 기후 변화에 따른 성능 저하없이 우수한 인장 접착강도, 전단접착강도 등의 부착성능과, 인장강도, 신장률, 전단접착 변형률(%) 및 내열 치수 안정성 등의 복원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포장층으로부터 침투되는 물과 염화물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아스팔트 방수층을 제공하고, 바탕면의 균열에 대한 대응성 및 온도 및 기후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신축 거동에 대한 추종성을 개선하고, 방수, 발수 기능, 알칼리, 산에 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분자 개질제는 본 발명의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에 5 내지 15 중량%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개질제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고분자 개질제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더 이상의 개선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워,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고분자 개질제는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20 내지 3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20 내지 30 중량부; 폴리헥사메틸렌비구아니드와 폴리아미노프로필비구아니드가 1 : 0.5 내지 1 중량비로 혼합된 비구아니드계 화합물 1 내지 10 중량부; 테르펜 페놀수지 1 내지 10 중량부; 및 디카페오일퀴닉산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는 내후성, 내오존성, 내열성, 내약품성 및 내노화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접착력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교면과 방수제 계면의 결합을 장기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 고분자 개질제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성분들의 함량은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는 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제어하여 유동성을 향상시키므로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고 점착성, 저온성능 및 신축성을 향상시켜 저온 및 고온에서 모두 우수한 전단 접착강도, 인장 접착강도 및 인장강도를 구현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균열 발생을 억제하고, 방수성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직접 합성하거나 상품화(Dow사, HM7387 제품)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는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 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내수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은 우수한 강성, 내화학약품성, 내충격성 뿐만 아니라 방수성, 인장성능을 제공하고, 내열성, 열 안정성 및 전단접착 변형률(%)이 개선되어, 우수한 내열치수 안정성, 소성변형저항성 및 휨 추정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직접 합성하거나 상품화(Dow사, ABS Resins)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은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 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내수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비구아니드계 화합물은 고온에서의 인장 성능(인장강도, 신장률) 뿐만 아니라, 저온에서의 접착 성능, 저온 굴곡성 등의 저온 특성을 개질하고, 내수성 및 방수 기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유연성이 개선되어 작업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비구아니드계 화합물은 폴리헥사메틸렌비구아니드와 폴리아미노프로필비구아니드가 1 : 0.5 내지 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리아미노프로필비구아니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내화학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비구아니드계 화합물은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구아니드계 화합물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 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비구아니드계 화합물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내마모성 및 내움푹 패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테르펜 페놀수지는 우수한 방수 및 발수 기능을 구현하고, 알칼리, 산에 대하여 내구성, 염화 이온 침투 저항성이 우수하며, 우수한 부식 및 노화 방지 효과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테르펜 페놀수지는 테르펜 화합물과 페놀 화합물과의 공중합체로, 일반적으로 테르펜 화합물과 페놀 화합물을 산성 촉매(예를 들어 염산, 황산, 양이온 교환 수지 등)의 존재 하에 20 내지 150 ℃에서 1 내지 20 시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야스하라 케미컬사의 YS포리스타 T30 제품, YS포리스타 T80 제품 등이 있다.
상기 테르펜 페놀수지는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르펜 페놀수지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 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테르펜 페놀수지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더 이상의 성능개선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워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디카페오일퀴닉산은 내수성, 염화 이온 침투 저항성, 알칼리, 산에 대하여 내구성, 내후성이 뛰어난 방수도막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방수기능을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디카페오일퀴닉산은 1,5-디카페오일퀴닉산, 3,4-디카페오일퀴닉산, 3,5-디카페오일퀴닉산 및 4,5-디카페오일퀴닉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디카페오일퀴닉산은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카페오일퀴닉산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 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디카페오일퀴닉산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강도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무기 필러는 도막 방수층 내의 공극을 충전시켜 수밀하고, 안정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뛰어난 방수 성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방수도막의 고온 및 저온에서의 강도성능, 경도, 내마모성, 내움푹 패임성능 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내화학성, 염화이온 침투저항성, 방수 및 발수 기능, 내후성, 내투수성, 내열치수 안정성, 저온 굴곡성 등의 내구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기 필러는 본 발명의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에 1 내지 10 중량%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필러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무기 필러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균열저항성능이 저하되거나,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필러는 탄산칼슘 100 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1 내지 30 중량부; 월라스토나이트 1 내지 30 중량부; 및 소석회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산칼슘은 도막 방수층 내의 공극을 충전시켜 수밀하고, 안정한 도막을 형성하고, 압축강도를 개선하며, 흡수율을 높여 우수한 접착성능, 열적 안정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내알칼리 성능, 부식 방지성능 및 염화이온 침투저항성을 개선하며, 점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 상기 무기 필러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성분들의 함량은 상기 탄산칼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수산화 마그네슘은 수밀한 방수층을 형성하고, 내열성, 전단 접착 변형률(%), 내열치수 안정성을 개선하여, 방수도막의 고온 및 저온에서의 강도 성능, 경도, 내마모성, 내움푹 패임성능, 저온 굴곡성 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산화 마그네슘은 상기 탄산칼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산화 마그네슘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 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수산화 마그네슘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더이상의 성능개선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워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월라스토나이트는 공극을 충전시켜 수밀하고, 안정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뛰어난 방수 성능을 제공하고, 방수 도막의 고온 및 저온에서의 강도 성능, 경도, 내마모성, 내움푹 패임성능 등을 향상시키고, 우수한 발수 기능, 내후성, 내열치수 안정성, 저온 굴곡성 등의 내구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월라스토나이트는 질소함유 탄소막으로 피복된 월라스토나이트를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화학성, 염화이온 침투저항성, 발수기능, 내후성, 내투수성 등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질소함유 탄소막으로 피복된 월라스토나이트는 월라스토나이트 100 중량부, 도파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용액(고형분 함량 50 중량%) 50 내지 100 중량부, 멜라민 수지 50 내지 100 중량부 및 카르베딜롤(Carvedilol) 1 내지 10 중량부를 20 내지 40 시간동안 교반한 후, 250 내지 350 ℃에서 열분해하여 질소함유 탄소막으로 피복된 월라스토나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파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용액과 멜라민 수지는 고강도의 접착성을 가져, 교반시키는 공정만으로도 표면에 피복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르베딜롤(Carvedilol)은 도파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용액과 멜라민 용액의 혼화성 및 분산성을 증가시켜, 월라스토나이트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피복층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질소함유 탄소막으로 피복된 월라스토나이트는 월라스토나이트 100 중량부와 도파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용액(고형분 함량 50 중량%) 50 내지 100 중량부를 20 내지 40 시간동안 교반하여 표면에 폴리도파민이 코팅된 월라스토나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에 폴리도파민이 코팅된 월라스토나이트와 멜라민 수지 50 내지 100 중량부를 20 내지 40 시간동안 교반한 후, 250 내지 350 ℃에서 열분해하여 질소함유 탄소막으로 피복된 월라스토나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파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용액과 멜라민 수지를 혼합하여 월라스토나이트 표면에 단일층을 형성한 것에 비해, 도파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용액으로 폴리도파민 코팅층을 형성한 후,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층 상에 멜라민 수지층이 형성된 경우 고온 및 저온에서의 강도 성능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월라스토나이트는 상기 탄산칼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월라스토나이트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 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월라스토나이트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더이상의 성능개선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워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소석회는 도막 방수층 내의 공극을 충전시켜 수밀하고, 안정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수분을 흡수하여, 열적 안정성과 작업성을 개선하고, 도막의 강도 및 부식 방지성능을 개선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소석회는 상기 탄산칼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석회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 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소석회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강도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기 필러는 기능 향상을 위하여 표면 처리된 티탄산칼륨위스커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티탄산칼륨위스커는 우수한 내화학성, 염화이온 침투저항성, 내후성, 내투수성, 내열치수 안정성, 저온 굴곡성 등의 내구성을 제공하고, 용융점을 낮추어 우수한 작업성을 제공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표면 처리되어 방수재 도막에 상기 기능이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된 티탄산칼륨위스커는 티탄산칼륨위스커 100 중량부, 실리콘 오일 100 내지 300 중량부, 헤스페리딘(Hesperidine) 1 내지 10 중량부를 볼 밀링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톨루엔에 분산시킨 후 원심분리기로 분리하여 표면 처리된 티탄산칼륨위스커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티탄산칼륨위스커의 표면에 실리콘 오일이 코팅 처리되어 티탄산칼륨위스커 간의 뭉침을 방지하여 균일한 분산을 유도하고, 기능성 수지계 혼화제 성분과의 혼화성을 증가시켜 방수재 도막의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헤스페리딘(Hesperidine)은 온도 변화에 대한 물성 변화를 감소시켜 방수재의 성능 저하를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티탄산칼륨위스커는 상기 탄산칼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석유수지는 점성을 줄이고, 폴리머 간의 상용성, 혼합 및 가공성을 증대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내열성을 상승시켜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강력한 점착 성능, 균열 방지, 특히, 저온에서의 균열방지 성능, 방수성 및 장기 저장성을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석유수지는 C5 석유수지, C9 석유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석유수지는 본 발명의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에 1 내지 10 중량%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유수지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석유수지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강도 성능이 감소되거나 가격이 상승되어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가소제는 점성을 줄이고, 폴리머간의 상용성, 혼합 및 가공성을 증대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저온 굴곡성 및 점착 성능을 더욱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가소제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상기 가소제의 비제한적인 예를들면,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 등과 같은 프탈산 에스테르; 글리콜유(Glycol Oil), 미네랄 스프리트 오일(Mireral Sprit Oi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본 발명의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가소제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강도 및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방법으로서,
교면 시공대상의 열화부위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소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을 도포하여 아스팔트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보호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아스콘을 포설 및 다짐하여 교면을 포장함으로써, 아스콘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교면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교면 시공대상은 교량 상판의 바탕면으로서 콘크리트 상판, 강상판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은 바탕면에 대한 충분한 접착력을 구현할 수 있는 바, 프라이머의 도포를 생략할 수 있으나, 바탕면에 대한 더욱 우수한 접착력 개선효과 및 일체화 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보다 우수한 강도 보강 효과, 수분 상승의 방지, 접착력 강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프라이머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교면방수 시공방법은 교면 시공대상의 열화부위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소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을 도포하여 아스팔트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보호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아스콘을 포설 및 다짐하여 교면을 포장함으로써, 아스콘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의 도포를 생략한 경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방법의 다양한 시공 순서도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교면방수 시공방법의 다양한 시공 순서도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교면방수 시공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방법의 다양한 시공순서도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교면방수 시공방법의 다양한 시공순서도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교면방수 시공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을 도포하여 아스팔트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아스팔트 도막방수 가열식 장비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은 180 내지 220 ℃의 온도범위로 가열용융하여 서로 완전하게 혼합한 이후,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은 상기 아스팔트 방수층이 3 내지 4 mm의 두께를 가질 때까지 1 내지 5회 범위로 다수회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보호재를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호재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예를들면,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바잘트(Basalt) 섬유 및 이들의 혼합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재를 기반으로, 망 또는 그리드 형상으로 제작된 것 및/또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아스팔트 방수층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교면의 강도를 더욱 보강하며, 균열진행 및 변형을 더욱 억제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호재를 설치하는 단계 이후에는 아스콘을 포설 및 다짐하여 교면을 포장함으로써, 아스콘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방법에 의하면, 온도 및 기후 변화에 따른 방수 도막의 신축 거동에 대한 추종성을 개선하여 물성 등의 성능 저하를 감소시키므로 우수한 부착성능 및 복원력을 구현할 수 있고 내한성 및 강도 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하중이나 충격 등으로 손상받기 쉬운 콘크리트 교면과 방수제 계면의 결합과, 투수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인장 접착강도, 전단접착강도 등의 부착성능과, 인장강도, 신장률, 전단접착 변형률(%) 및 내열 치수 안정성 등의 복원력 향상시킬 수 있고, 물과 염화물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교량 또는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방수, 발수 기능, 알칼리, 산에 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어 외부로부터의 열화 인자(수분, 화학적 물질 등)가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균열, 변형 등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제조예 1] 질소함유 탄소막으로 피복된 월라스토나이트
pH 8.5 완충용액(TrizmaTM base, Primary Standard and buffer, Sigma) 1 L에 도파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Dopamin hydrochloride) 50 g를 용해시킨 도파민 용액을 준비하였다. 이후에 월라스토나이트(도영세라믹스사) 100 중량부, 상기 도파민 용액 80 중량부, 멜라민 수지 70 중량부 및 카르베딜롤(Carvedilol) 6 중량부를 24 시간동안 교반한 후, 300 ℃에서 열분해하여 질소함유 탄소막으로 피복된 월라스토나이트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질소함유 탄소막으로 피복된 월라스토나이트
pH 8.5 완충용액(TrizmaTM base, Primary Standard and buffer, Sigma) 1L에 도파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Dopamin hydrochloride) 50 g를 용해시킨 도파민 용액을 준비하였다. 이후에 월라스토나이트(도영세라믹스사) 100 중량부와 상기 도파민 용액 80 중량부를 24 시간동안 교반하여 표면에 폴리도파민이 코팅된 월라스토나이트를 제조하였다. 이후에 상기 표면에 폴리도파민이 코팅된 월라스토나이트와 폴리멜라민 용액 70 중량부를 24 시간동안 교반한 후, 300 ℃에서 열분해하여 질소함유 탄소막으로 피복된 월라스토나이트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표면 처리된 티탄산칼륨위스커
티탄산칼륨위스커 100 중량부, 실리콘 오일(Polydimethylsiloxane, trimethylsiloxy terminated, 점도: 100cSt) 200 중량부, 헤스페리딘(Hesperidine) 7 중량부를 상온 상압에서 24시간동안 볼 밀링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후에 상기 혼합물을 톨루엔에 분산시킨 후 원심분리기로 분리하여 표면 처리된 티탄산칼륨위스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교반한 후, 약 200 ℃의 온도에서 혼합 및 용융함으로써,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및 비교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스트레이트 아스팔트[AP-3] 72 72 72 72 72
고분자 개질제 14 14 14 14 14
중량부 클로로프렌 고무 100 100 100 100 100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24 24 24 - 24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22 22 22 - 22
비구아니드계 화합물 7 7 7 - 7
중량비 폴리헥사메틸렌비구아니드 1 1 1 - 1
폴리아미노프로필비구아니드 0.7 0.7 0.8 - -
테르펜 페놀수지 5 5 5 - -
디카페오일퀴닉산 1,5-디카페오일퀴닉산 5 5 3 - -
3,5-디카페오일퀴닉산 - - 2 - -
무기 필러 6 6 6 6 6
중량부 탄산칼슘 100 100 100 50 100
실리카 - - - 50 -
수산화마그네슘 22 22 22 22
월라스토나이트 25 25
[제조예1]
25
[제조예2]
- -
소석회 4 4 4 - 4
표면 처리된 티탄산칼륨위스커 - - 3
[제조예3]
- -
C5 석유수지 5 5 5 5 5
가소제_미네랄 스프리트 오일(Mireral Sprit Oil) 3 3 3 3 3
클로로프렌 고무: 아키츠 공업사(AKITSUKOGYO), CR 제품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Dow사, HM7387 제품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Dow사, ABS Resins 제품
테르펜 페놀수지: 야스하라 케미컬사, YS포리스타 T30 제품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의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과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비교용 조성물의 특성을 비교한 실험결과들을 나타낸 것이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및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비교용 조성물에 대하여, 콘크리트 교면용 도막 방수재 품질기준(KS F 4932)에 따른 물성 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작업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휘발성(%) 89 88 91 66 74
인장
성능
인장강도
(N/㎟)
무처리 44 45 48 24 35
알칼리처리 41 40 45 21 28
가열처리 43 45 46 20 26
신장률
(%)
무처리 564 570 581 181 286
알칼리처리 549 558 567 154 257
가열처리 550 552 573 159 261
전단
접착
성능
전단접착강도
(N/㎟)
-20℃ 2.4 2.6 2.6 0.7 1.3
20℃ 1.9 1.9 2.2 0.5 1.0
전단접착
변형률(%)
-20℃ 0.8 0.8 1.0 0.5 0.4
20℃ 1.6 1.7 1.7 0.6 0.7
인장 접착 강도
(N/㎟)
-20℃ 1.7 1.9 2.0 0.5 0.8
20℃ 1.0 1.1 1.2 0.4 0.6
내투수성 투수되지
않음
투수되지
않음
투수되지
않음
투수발생 투수되지
않음
염화 이온 침투 저항성(coulombs) 64 67 54 109 92
내약품성(10% 황산)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들뜸발생 들뜸발생
내약품성(10% HCl)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들뜸발생 이상없음
내약품성(10% 가성소다)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들뜸발생 이상없음
내움푹 패임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구멍발생 구멍발생
내열치수
안정성(%)
150℃
30분
1.1 1.0 0.9 2.5 1.9
내피로성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잔금발생 잔금발생
내균열성 -20℃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잔금발생 잔금발생
저온 굴곡성 -10℃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균열발생 이상없음
수침 7일후의 인장접착성 20℃ 0.7 0.9 1.0 0.2 0.3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은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비교용 조성물과 비교하여,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70 내지 80 중량%, 고분자 개질제 5 내지 15 중량%, 무기 필러 1 내지 10 중량%, 석유수지 1 내지 10 중량% 및 가소제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고분자 개질제는
    클로로프렌 고무 100 중량부;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20 내지 3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20 내지 30 중량부; 폴리헥사메틸렌비구아니드와 폴리아미노프로필비구아니드가 1 : 0.5 내지 1 중량비로 혼합된 비구아니드계 화합물 1 내지 10 중량부; 테르펜 페놀수지 1 내지 10 중량부; 및 디카페오일퀴닉산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고,
    상기 무기 필러는
    탄산칼슘 100 중량부; 수산화마그네슘 1 내지 30 중량부; 월라스토나이트 1 내지 30 중량부; 및 소석회 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라스토나이트는
    질소함유 탄소막으로 피복된 월라스토나이트이고,
    상기 질소함유 탄소막으로 피복된 월라스토나이트는
    월라스토나이트 100 중량부, 도파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용액(고형분 함량 50 중량%) 50 내지 100 중량부, 멜라민 수지 50 내지 100 중량부 및 카르베딜롤(Carvedilol) 1 내지 10 중량부를 20 내지 40 시간동안 교반한 후,
    250 내지 350 ℃에서 열분해하여 질소함유 탄소막으로 피복된 월라스토나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카페오일퀴닉산은
    1,5-디카페오일퀴닉산, 3,4-디카페오일퀴닉산, 3,5-디카페오일퀴닉산 및 4,5-디카페오일퀴닉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는
    표면 처리된 티탄산칼륨위스커 1 내지 10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하고;
    상기 표면 처리된 티탄산칼륨위스커는
    티탄산칼륨위스커 100 중량부, 실리콘 오일 100 내지 300 중량부, 헤스페리딘(Hesperidine) 1 내지 10 중량부를 볼 밀링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톨루엔에 분산시킨 후 원심분리기로 분리하여 표면 처리된 티탄산칼륨위스커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항에 따른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방법으로서,
    교면 시공대상의 열화부위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소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을 도포하여 아스팔트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보호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아스콘을 포설 및 다짐하여 교면을 포장함으로써, 아스콘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설 및 보수 교면방수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면방수 시공방법은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으로서,
    교면 시공대상의 열화부위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소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을 도포하여 아스팔트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보호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아스콘을 포설 및 다짐하여 교면을 포장함으로써, 아스콘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설 및 보수 교면방수 시공방법.
KR1020230188329A 2023-12-21 2023-12-21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방법 KR102642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8329A KR102642991B1 (ko) 2023-12-21 2023-12-21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8329A KR102642991B1 (ko) 2023-12-21 2023-12-21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991B1 true KR102642991B1 (ko) 2024-02-29

Family

ID=9004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8329A KR102642991B1 (ko) 2023-12-21 2023-12-21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99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763A (ko) * 2011-01-10 2012-08-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먼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페닐프로파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JP2014001358A (ja) * 2012-05-22 2014-01-09 Kaneka Corp 硬化性組成物
KR101773920B1 (ko) 2017-03-27 2017-09-01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고등급 방수 칼라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 보수공법
KR101776893B1 (ko) 2017-02-20 2017-09-08 주식회사 라온건설기술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835081B1 (ko) 2017-10-11 2018-04-19 주식회사 한국도로기술 균열저감 효과가 우수한 고등급 저온 경화형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1592826A (zh) * 2020-05-19 2020-08-28 厦门稀土材料研究所 一种反应型自粘接阻燃防水沥青涂料
JP2021035974A (ja) * 2016-07-11 2021-03-04 スパータン・ケミカル・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抗菌性犠牲的フロアコーティング材システム
CN114953679A (zh) * 2022-06-09 2022-08-30 四川新三亚建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屋面用高分子复合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CN116535807A (zh) * 2022-11-30 2023-08-04 华东理工大学 一种浓缩长效抗菌抗污abs母粒及其制备方法
KR102574266B1 (ko) * 2023-08-07 2023-09-01 설현민 우수한 방수성능을 갖는 고기능성 개질 아스팔트계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교면방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763A (ko) * 2011-01-10 2012-08-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먼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페닐프로파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JP2014001358A (ja) * 2012-05-22 2014-01-09 Kaneka Corp 硬化性組成物
JP2021035974A (ja) * 2016-07-11 2021-03-04 スパータン・ケミカル・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抗菌性犠牲的フロアコーティング材システム
KR101776893B1 (ko) 2017-02-20 2017-09-08 주식회사 라온건설기술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773920B1 (ko) 2017-03-27 2017-09-01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고등급 방수 칼라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 보수공법
KR101835081B1 (ko) 2017-10-11 2018-04-19 주식회사 한국도로기술 균열저감 효과가 우수한 고등급 저온 경화형 방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1592826A (zh) * 2020-05-19 2020-08-28 厦门稀土材料研究所 一种反应型自粘接阻燃防水沥青涂料
CN114953679A (zh) * 2022-06-09 2022-08-30 四川新三亚建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屋面用高分子复合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CN116535807A (zh) * 2022-11-30 2023-08-04 华东理工大学 一种浓缩长效抗菌抗污abs母粒及其制备方法
KR102574266B1 (ko) * 2023-08-07 2023-09-01 설현민 우수한 방수성능을 갖는 고기능성 개질 아스팔트계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교면방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624B1 (ko) 교면 복합방수용 개질 아스팔트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1744500B1 (ko) 실란커플링제로 표면이 개질된 무기질 충진재를 포함하는 균열보수용 고탄성 퍼티재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공법
KR101744067B1 (ko) 균열과 파임으로 열화된 고층 건축물 및 아파트 외벽의 보수공법
KR101578086B1 (ko) 도막 방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13759B1 (ko) 고기능성 아스팔트계 도막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교면방수 시공방법
KR102072939B1 (ko) 고점도 고탄성 크랙 보수용 퍼티재를 이용한 아파트 외벽의 보수 공법
KR102092905B1 (ko) 폴리우레아 복합방수공법
KR10219446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방법
KR102036879B1 (ko)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574272B1 (ko) 접착 및 인장강도 성능이 우수한 가열식 아스팔트계도막 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교면 방수 시공방법
KR102574266B1 (ko) 우수한 방수성능을 갖는 고기능성 개질 아스팔트계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교면방수 시공방법
KR101864293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강 섬유 메쉬의 제조방법 및 보강 섬유 메쉬와 보수보강용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2187346B1 (ko) 콘크리트 교면방수재,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 방법
KR101671467B1 (ko) 폴리우레탄 발포 지수제, 그 제조방법 및 그 지수제를 이용한 지수공법
KR100922137B1 (ko) 초속경형 도로 보수제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56706B1 (ko) 내화학성·내후성·부착성을 갖는 다가알코올을 이용하여 제조된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방수방식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78147B1 (ko)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119756B1 (ko) Sis, se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20753B1 (ko) 침투결합형 구체강화제, 고성능 아스팔트계 도막 방수재 및 섬유그리드 보강재를 이용한 아스팔트 교면방수 시공방법
KR101747660B1 (ko) 자기 지수 및 보수성을 가지는 교면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KR102362578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외벽 방수방법
KR101643520B1 (ko) 슈퍼마이크로섬유 바탕조정재를 이용한 폴리우레아방수 코팅공법
KR102642991B1 (ko) 교면 방수용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방법
KR102176331B1 (ko) 나노섬유 티슈를 이용한 교면 또는 건축물 방수용 자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2214479B1 (ko) 수용성 단열 탄성 방수제 및 그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