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214B1 -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214B1
KR102641214B1 KR1020220123356A KR20220123356A KR102641214B1 KR 102641214 B1 KR102641214 B1 KR 102641214B1 KR 1020220123356 A KR1020220123356 A KR 1020220123356A KR 20220123356 A KR20220123356 A KR 20220123356A KR 102641214 B1 KR102641214 B1 KR 102641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electric furnace
ceiling
repair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영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영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영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123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2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2Crowns; Roofs
    • F27D1/025Roofs supported around their periphery, e.g. arched roo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12Working chambers or casings; Supports therefor
    • F27B3/16Walls; Roo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F27D1/1678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Means for prot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1/00Arrangement of elements for electric heating in or on furnaces
    • F27D11/08Heating by electric discharge, e.g. arc discharge
    • F27D11/10Disposition of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는 전기로의 상단에서 가스와 열을 차단하는 내화연화가 손상되는 경우 손상부위를 수리하기 위한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내부에 내화물이 투입되도록 철재로 성형되며, 본체가 행거에 고정되도록 제1홈과 제2홈을 포함하고, 내화연화의 크기로 규격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MOLD FOR REPAIRING ELECTRIC FURNACE ROOF AND METHOD FOR REPAIRING ELECTRIC FURNACE RO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로 천정의 손상부위를 수리하는 규격화된 몰드와 이를 이용한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금속이나 합금을 가열, 용해하는 노를 말하는 것이다. 전기로의 노체는 노저부, 측벽부, 천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체의 외피는 철판으로 만들어지며, 철판 내면에는 내화물이 시공되어 있다. 전기로는 상부를 덮는 천정에 수직하게 연결된 다수 개의 전극봉을 구비하고, 전극봉에 고전압을 가하면 고열의 아크열이 발생되면서 전기로체의 금속이나 합금을 용해하게 된다.
전기로의 천정 중앙에는 전극이 지나가는 홀이 다수 형성되며, 이 부분을 소천청이라 하고 나머지 부분을 대천정이라고 하기도 한다. 상기 천정은 노체에 고철류를 장입하여 용해 작업 시 발생되는 대량의 흄(Fume)을 효과적으로 차단 배출시키고, 융해작업 시 발생되는 소음과 스프래쉬 슬래그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내화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천정은 전기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 고압의 흄(Fume)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손상을 입게 된다.
특허 제10-0923839 "전기로의 소천정"에서는 소천정과 대천정이 결합되는 구조를 개선하여 손상을 입은 소천정이 대천정에서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 기술은 소천정이 대천정에서 붕괴되는 사고를 막기 위한 것으로 천정의 내화물은 계속적으로 손상을 입기 때문에 내화물을 계속 수리하여 할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전기로의 천정 내화물은 일정한 크기의 정형화된 내화연와를 주로 사용하며, 전근봉 인근 등 일부에 비정형 내화물을 사용한다. 전기로는 주기적으로 가동을 멈추고 점검 및 수리하게 되며, 천정의 손상이 있을 때 손상이 커지기 전에 천정의 내화연와를 교체하는 작업을 진행하여 수리하게 된다. 상기 내화연와는 4개를 한 세트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화연와는 중량물로서 고온 고소의 환경인 전기로 천정에서 교체 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내화연화는 주문과 제작 기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어 전기로 천장의 수리를 대비하여 사전에 내화연와를 주문해서 보관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KR 10-0923839 B KR 10-1257580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몰드를 사용하여 전기로의 천정을 수리하는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천정 수리용 몰드를 규격화하고 천정 수리가 필요할 때 규격화한 몰드를 생산하여 전기로의 천정을 수리하는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는 전기로의 상단에서 가스와 열을 차단하는 내화연화을 포함하고, 상기 내화연화가 스퀘어바 및 행잉파이프에 연결된 행거에 고정된 전기로 천정에 있어서, 상기 내화연화가 손상되는 경우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로 수리하기 위하여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내부에 내화물이 투입되도록 철재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는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기둥 형상인 본체가 행거에 고정되도록 제1홈과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홈은 행거가 밀착되도록 본체의 개방된 투입구측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홈은 행거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본체의 중심으로 연장된 제2홈의 끝단에서 투입구 방향으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는 내화연화의 크기로 규격화된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를 이용한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은 전기로 천정의 손상부위를 확인하고 손상부위의 넓이를 측정하는 손상 확인 단계와, 상기 손상 확인 단계에서 측정된 손상부위에 들어갈 수 있는 몰드의 개수를 파악하는 필요수량 확인 단계와, 상기 필요수량 확인 단계에서 확인된 수량의 몰드를 제작하는 몰드 제작 단계와, 상기 몰드 제작 단계에서 제작된 몰드를 행거에 결합하고 몰드가 결합된 행거를 연결줄에 결합하는 몰드 결합 단계와, 상기 몰드 결합 단계에서 행거와 몰드가 결합된 연결줄을 거는 안착 단계와, 상기 안착 단계에서 행잉파이프에 걸린 몰드 내부 및 몰드 주위에 내화물을 분사하는 타설 단계와 상기 타설 단계에서 타설 된 내화물을 상온에서 30분 내지 40분 건조하는 건조 단계와, 상기 건조 단계에서 건조를 마친 후 전기로가 가동하면 고열로 몰드가 용융되어 전기로 내부로 떨어지고, 건조된 내화물이 팽창하여 몰드가 용융되어 생긴 빈 공간이 매워지면서 주위의 내화물과 밀착하는 용융 및 팽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몰드 결합 단계에서 몰드 및 행거가 결합된 연결줄을 걸기 위한 행잉파이프를 손상부위 주위에 추가 설치되는 파이프 추가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에 따르면, 고소·고열의 작업조건인 전기로 천정 수리를 중량물인 내화연와에 비하여 경량인 몰드를 사용하여 수리하므로 작업이 원활해 진다.
본 발명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에 따르면, 전기로 천정의 손상부위를 이미 규격화된 몰드를 제작하여 수리하므로 수리에 필요한 몰드를 주문하고 납품받는 시간이 단축되어 수리시간이 줄어든다.
또한 본 발명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에 따르면, 천정 수리에 필요한 몰드를 수리가 필요할 때마다 제작하므로, 창고에 몰드를 보관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부품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전기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로에서 전극봉을 제거한 전기로 천정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도2에서 H영역의 수리를 위하여 종래의 방법으로 수리하는 단면(a)과 본 발명의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를 이용하여 수리하는 단면(b)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전기로 천정 수리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전기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전기로에서 전극봉을 제거한 전기로 천정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는 도2에서 H영역의 수리를 위하여 종래의 방법으로 수리하는 단면(a)과 본 발명의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를 이용하여 수리하는 단면(b)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기로(1)에는 상단에 가스와 열을 차단하는 천정(10)이 있다. 상기 천정(10)은 고전압을 가하면 고열의 아크열이 발생되는 전극봉(11),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덕트(13), 노체 내부를 점검하는 점검구(15), 원료를 투입할 수 있는 원료투입구(17), 열을 차단하는 정형 내화물인 내화연와(19)를 포함한다.
또한, 도 2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천정(10)에는 내화연와(19)를 고정하기 위해서 스퀘어바(120) 및 행잉파이프(1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 1에서 전기로(1)를 도시한 사시도에는 스퀘어바(120) 및 행잉파이프(130) 도시를 생략한 것이다.
상기 스퀘어바(120)는 천정(10) 상부에 이격되어 형성된 구조물이다. 상기 스퀘어바(120)는 천정(10)에서 이격되어 고정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퀘어바(120)는 천정(10)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스퀘어바(120)들은 상호 고정되도록 용접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퀘어바(120)는 천정(10)에서 수직 혹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때 덕트(13), 전극봉(11)이 삽입되는 홀의 상측에 위치되는 스퀘어바(120)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천정(10)에는 복수개의 스퀘어바(120)가 바둑판 모양으로 다수의 사각형 형상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행잉파이프(130)는 스퀘어바(120)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 행잉파이프(130)는 스퀘어바(120)가 사각형(M) 안에 복수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행잉파이프(130)는 양 끝단 각각을 스퀘어바(120)에 고정시킨다.
도 3(a)를 참조하면 종래의 수리 방법은 천정(10)을 구성하는 정형 내화물인 내화연와(19)가 손상을 입으면, 내화연와(19)를 손상부위에 삽입하여 수리를 하였다.
상기 내화연와(19)는 정형 내화물로 행거(140) 및 연결줄(150)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줄(150)에는 양측에 행거(140)가 연결되며, 행거(140)는 하단에 내화연와(19)와 결합하는 두개의 돌기가 있어 각 행거(140)에는 두 개의 내화연와(19)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연결줄(150)은 행잉파이프(130)에 걸리면서 내화연와(19)가 전기로(1) 내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내화연와(19)는 14.1Kg인 중량물로 하나의 연결줄(150)에 걸리는 내화연와(19) 네 개의 총 무게는 56.4kg이다. 고온·고소의 환경인 전기로(1) 천정(10)에서 내화연와(19)를 사용하여 수리하는 작업은 무게로 인하여 작업자에게 많은 부담이 되므로, 수리작업의 속도가 지체되어 수리기간이 길어진다. 상기 내화연와(19)는 주문과 제작 기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어 수리에 대비하여 사전에 내화연와(19)를 주문해서 창고에 보관하고 관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b)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천정(10)의 내화연와(19)가 손상을 입으면 정형화된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110,하기에는 '몰드'로 설명한다)로 수리한다.
상기 몰드(110)는 사전에 제작하여 창고에 보관할 필요 없이 천정(10)에서 수리에 필요한 공간에 따라 몰드(110)를 제작하므로 자재 관리가 용이하다.
상기 몰드(110)는 내화연와(19)의 크기로 규격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내화연와(19)를 천정(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했던 구성인 행거(140), 연결줄(150), 행잉파이프(130) 및 스퀘어바(120)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110)는 철재로 구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내화연화(19)보다 무게가 가볍다. 예를들면, 몰드(110)의 무게는 3.8kg으로 하나의 연결줄(150)에 걸리는 몰드(110) 네 개의 총 무게는 15.2kg이다. 상기 몰드(110)는 내화연와(19) 무게의 20~30%인 경량으로 고온·고소의 환경인 천정(10) 수리 작업시 작업자가 받는 무게 부담을 완화시켜 작업 진행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몰드(110)는, 성형된 형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기둥 형상인 본체(117), 제1홈(113) 및 제2홈(115)을 포함한다. 상기 몰드(110)는 행거(140)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한 개의 행거(140)에는 두 개의 몰드(110)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본체(117)에는 몰드(110)의 개방된 곳에 형성된 투입구(111)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구(111)는 몰드(110)의 내측으로 내화물(160)이 투입되는 관통홀이다.
상기 제1홈(113)은 몰드(110)의 길이 방향으로 외측에 형성된 홈이다. 상기 제1홈(113)은 행거(140)가 밀착되도록 형성된 홈이다. 상기 제1홈(113)은 투입구(111)와 하기에 설명될 제2홈(115)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2홈(115)는 행거(140)의 하단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어 몰드(110)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다. 상기 제2홈(115)는 내측 끝단으로 갈수록 투입구(111) 방향으로 인접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몰드(110)가 행거(14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내화물(160)은 몰드(110)가 설치된 후 몰드(110)에 분사하여 몰드(110)가 보이지 않도록 덮는다.
상기 몰드(110)는 내화물(160) 타설 및 건조 이후 별도의 제거 작업이 필요치 않다. 상기 몰드(110)는 철재로 전기로(1)가 작동하면 전기로(1)에 발생하는 고열에 의하여 용융되어 전기로(1) 내측으로 떨어진다. 상기 몰드(110)가 용융된 빈 공간은 내화물(160)이 팽창하여 채워지며 주위의 내화물(160) 및 내화연와(19)와 밀착되어 천정(10)의 수리가 완료된다.
도 5는 본 발명 전기로 천정 수리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를 이용한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은 손상 확인 단계(S10), 필요수량 확인 단계(S20), 몰드 제작 단계(S30), 몰드 결합 단계(S40), 안착 단계(S60), 타설 단계(S70), 건조 단계(S80) 및 용융 및 팽창 단계(S90)을 포함한다.
상기 손상 확인 단계(S10)는 전기로 천정(10)의 손상부위를 확인하고 손상부위의 넓이를 측정한다. 도 5(c)에는 전기로 천정(10)의 손상부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필요수량 확인 단계(S20)는 손상 확인 단계(S10)에서 측정된 손상부위에 들어갈 수 있는 몰드(110)의 개수를 파악한다.
상기 몰드 제작 단계(S30)는 필요수량 확인 단계(20)에서 확인된 몰드(110)의 수량에 맞게 몰드를 제작한다. 상기 몰드(110)는 천정(10)에 장착되어 있는 내화연와(19)와 유사한 크기를 가지도록 제작된다. 상기 몰드(110)는 사전에 제작하여 보관할 필요 없이 몰드 제작 단계(S30)에서 손상이 확인된 부위의 넓이에 따라 수리에 필요한 수량을 제작한다.
상기 몰드 결합 단계(S40)는 몰드 제작 단계(S30)에서 제작된 몰드(110)를 행거(140) 및 연결줄(150)에 결합한다. 상기 연결줄(150)은 양측에 하나씩 총 두 개의 행거(140)가 결합되고, 행거(140)는 두 개의 몰드(110)가 결합되어 연결줄(150)에는 총 네 개의 몰드(11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착 단계(S60)는 몰드 결합 단계(S40)에서 몰드(110) 및 행거(140)가 결합된 연결줄(150)을 행잉파이프(130)에 건다. 상기 몰드(110)는 손상부위에 들어갈 수 있는 최대치를 건다. 도 5(d)에는 전기로 천정(10)의 손상부위에 몰드(110)가 안착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손상부위 넓이를 정밀하게 측정해야 하는 경우 또는 행잉파이프(130)에 손상이 있는 경우는 손상 확인 단계(S10)에서 확인된 도 5(c)와 같은 손상부위 주위에 상기 몰드 결합 단계(S40)에서 몰드(110) 및 행거(140)가 결합된 연결줄(150)을 걸기 위한 행잉파이프(130)를 추가 설치하는 파이프 추가 설치 단계(S50)를 안착 단계(S60) 이전에 설치한다. 상기 행잉파이프(130)는 손상부위 상부에 설치되며, 양측이 스퀘어바(120) 상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행잉파이프(130)는 손상부위의 넓이에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타설 단계(S70)는 안착 단계(S60)에서 행잉파이프(130)에 걸린 몰드(110)에 내화물(160)이 분사된다. 상기 내화물(160)은 몰드(110) 내부와 몰드(110) 주위의 내화연와(19)까지 분사된다. 상기 내화물(160)은 몰드(110)의 상부를 덮어 몰드(110)가 보이지 않을 때까지 손상부위를 덮도록 분사된다. 상기 내화물(160)은 몰드(110) 내측과 외측 그리고 몰드(110) 주위에 형성된 내화연와(19)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도 5(e)에는 전기로 천정(10) 손상부위에 내화물(160)을 분사를 마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내화물(160)은 부착력이 강한 스프레이계 캐스터블로 알류미나(Al2O3) 70% 및 이산화규소(SiO2) 20%를 주성분으로 한다.
상기 건조 단계(S80)는 타설 단계(S70)에서 타설 된 내화물(160)을 건조한다. 상기 내화물(160)은 상온에서 30분 내지 40분 동안 건조한다. 상기 몰드(110) 내부에서 건조된 내화물(160)은 내화연와(19)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용융 및 팽창 단계(S90)는 건조 단계(S80)를 마친 전기로(1)가 가동을 시작한다. 상기 전기로(1)가 가동하면서 전기로(1) 내부에 고열이 발생한다. 상기 몰드(110)는 고열에 의하여 쇳물로 용융되며, 쇳물은 전기로(1) 내부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몰드(110)가 용융되어 생긴 빈 공간은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내화물(160)이 팽창하면서 매워지게 된다. 상기 내화물(160)은 팽창으로 내화물(160)과 내화물(160)이 밀착되며, 또한 내화물(160) 주위의 내화연와(19)와 밀착되게 된다. 상기 내화물(160)이 주위와 밀착되면서 손상부위는 빈 공간이 사라지고 천정(10)은 전기로(1) 내부의 열과 가스를 막을 수 있도록 수리가 완료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수리 방법을 통하여 수리를 하면, 철재로 이루어진 경량인 몰드(110)를 사용하여 수리하므로 타설 후 별도로 몰드(110) 제거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이 원활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 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반할 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전기로 10 : 천정
11 : 전극봉 13 : 덕트
15 : 점검구 17 : 원료투입구
19 : 내화연와 110 : 몰드
111 : 투입구 113 : 제1홈
115 : 제2홈 117 : 본체
120 : 스퀘어바 130 : 행잉파이프
140 : 행거 150 : 연결줄
160 : 내화물

Claims (5)

  1. 전기로의 상단에서 가스와 열을 차단하는 내화연화를 포함하고, 상기 내화연화가 스퀘어바 및 행잉파이프에 연결된 행거에 고정된 전기로 천정에 있어서,
    상기 내화연화가 손상되는 경우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로 수리하기 위하여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철재로 구성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내화물이 투입되고, 전기로가 작동하면 전기로에 발생하는 고열에 의하여 용융되어 전기로 내측으로 떨어지고, 용융된 빈 공간은 내화물이 팽창하여 채워지며 주위의 내화물 및 내화연와와 밀착되어 별도의 제거 작업이 필요치 않고 천정의 수리가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는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기둥 형상인 본체가 행거에 고정되도록 제1홈과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홈은 행거가 밀착되도록 본체의 개방된 투입구측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홈은 행거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본체의 중심으로 연장된 제2홈의 끝단에서 투입구 방향으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는 내화연화의 크기로 규격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
  4. 전기로 천정 손상부위 보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손상 확인 단계에서 측정된 손상부위에 들어갈 수 있는 몰드의 개수를 파악하는 수량 확인 단계;
    상기 수량 확인 단계에서 확인된 수량에 맞게 철재로 구성되고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며 내화연와와 유사한 크기를 가지는 몰드를 제작하는 몰드 제작 단계;
    상기 몰드 제작 단계에서 제작된 몰드를 행거에 결합하고 몰드가 결합된 행거를 연결줄에 결합하는 몰드 결합 단계;
    상기 몰드 결합 단계에서 행거와 몰드가 결합된 연결줄을 행잉파이프에 걸며, 상기 몰드는 손상부위에 들어갈 수 있는 최대치를 거는 안착 단계;
    상기 안착 단계에서 행잉파이프에 걸린 몰드 내부 및 몰드 주위에 내화물을 몰드의 상부를 덮어 몰드가 보이지 않을 때까지 손상부위를 덮도록 분사하며, 상기 내화물은 몰드 내측과 외측 그리고 몰드 주위에 형성된 내화연와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타설 단계;
    상기 타설 단계에서 타설 된 내화물을 상온에서 30분 내지 40분 건조하는 건조 단계;
    상기 건조 단계에서 건조를 마친 후 전기로가 가동하면 고열로 몰드가 용융되어 전기로 내부로 떨어지고, 건조된 내화물이 팽창하여 몰드가 용융되어 생긴 빈 공간이 매워지고 주위의 내화물과 밀착되면서 손상부위는 빈 공간이 사라지고 천정은 전기로 내부의 열과 가스를 막을 수 있도록 수리가 완료되는 용융 및 팽창 단계;를 포함하며 별도로 몰드 제거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수리가 완료되는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를 이용한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결합 단계에서 몰드 및 행거가 결합된 연결줄을 걸기 위한 행잉파이프를 손상부위 주위에 추가 설치되는 파이프 추가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를 이용한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
KR1020220123356A 2022-09-28 2022-09-28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 KR102641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356A KR102641214B1 (ko) 2022-09-28 2022-09-28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356A KR102641214B1 (ko) 2022-09-28 2022-09-28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214B1 true KR102641214B1 (ko) 2024-02-27

Family

ID=9005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356A KR102641214B1 (ko) 2022-09-28 2022-09-28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2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839B1 (ko) 2007-12-24 2009-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기로의 소천정
KR101257580B1 (ko) 2011-05-30 2013-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기로의 소천장 내화물 축조용 안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839B1 (ko) 2007-12-24 2009-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기로의 소천정
KR101257580B1 (ko) 2011-05-30 2013-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기로의 소천장 내화물 축조용 안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59961B (zh) 电炉的顶盖
CN204174222U (zh) 炼铁热风炉热风管道的修复结构及其修复模具
KR102641214B1 (ko) 전기로 천정 수리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천정 수리방법
JPWO2013179409A1 (ja) 大迫天井構造
CN110863083A (zh) 一种单嘴双孔结构浸渍管及其制造方法
CN106440823A (zh) 一种铜杆生产用溜槽结构及铜杆制造方法
CN210458242U (zh) 用于铁沟的排残铁装置
CN109628704B (zh) 一种rh真空精炼炉及其砌筑方法
KR200412232Y1 (ko) 열차단 게이트
JP6438283B2 (ja)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構造体
KR101158877B1 (ko) 래들 구조체
JP6834502B2 (ja) 不定形耐火物構造体、不定形耐火物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耐熱繊維製支持材
KR100967054B1 (ko)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
JPS6154510B2 (ko)
KR200426624Y1 (ko) 알미늄 용해 및 보온 전기로
CN218879811U (zh) 耐火材料焦罐
CN212930997U (zh) 一种新型有色冶炼炉吊挂砖
JP2001091164A (ja) 耐火物のパネル施工方法
CN212431767U (zh) 迷宫式可调节膨胀缝模板
CN203866243U (zh) 一种干熄焦耐高温膨胀节
CN216745460U (zh) 电石炉炉嘴
CN219624484U (zh) 一种点火炉炉衬及点火炉
CN220560406U (zh) 钢包
CN219319009U (zh) 回转窑窑尾用护口铁及用于连接回转窑窑尾的砌筑结构
CN202973875U (zh) 适合于连铸连轧工艺的矩形铝液保温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