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054B1 -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054B1
KR100967054B1 KR1020070128126A KR20070128126A KR100967054B1 KR 100967054 B1 KR100967054 B1 KR 100967054B1 KR 1020070128126 A KR1020070128126 A KR 1020070128126A KR 20070128126 A KR20070128126 A KR 20070128126A KR 100967054 B1 KR100967054 B1 KR 100967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water collecting
wall
fireproof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1209A (ko
Inventor
김수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128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054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2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9Mould materials or pl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30Accessories for supplying molten metal, e.g. in 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3/00Mechanical cleaning, e.g. skimming of molten me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쇳물용기(1)를 이루는 내화벽체(4)와 같이 축조되되 상기 내화벽체(4)에 잔류하는 수분을 포집하도록, 내화물로 된 수분포집부재(21)와, 상기 수분포집부재(21)에 형성되며 상기 내화벽체(4)의 외부로 갈수록 아래로 경사진 수분배출용 구멍(22), 상기 수분배출용 구멍(22)과 연통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수분포집용 구멍(23) 및, 상기 수분포집용 구멍(23)에 수분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상기 수분포집용 구멍(23)이 형성된 상기 수분포집부재(21)의 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된 수분포집구(24)를 포함하는 수분포집수단(20); 및 상기 수분포집수단(20)과 연결되어 상기 수분포집수단(20)에 의해서 모아진 수분을 쇳물용기(1)의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수분배출용 구멍(22)에 연결되는 연결구(31)와, 상기 연결구(31)와 연통된 수분배출관(32)을 포함하는 수분배출수단(3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쇳물용기를 이루는 내화벽체 내에 잔류하는 수분을 쇳물용기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고, 쇳물용기에 수용되는 쇳물에 수분이 침투하여 발생할 수 있는, 생산된 제품의 품질결함과 조업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제품의 일부가 유출되어 터지는 조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쇳물용기, 내화벽체, 수분제거, 턴디쉬

Description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water from fireproofing wall of molten-metal container}
본 발명은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턴디쉬 등과 같은 쇳물용기의 내화벽체에 잔류하는 수분을 용이하게 내화벽체 외부로 즉, 쇳물용기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는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연속주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용광로에서 녹은 후, 여러 가지 처리를 한 용강이라 불리우는 쇳물(2)은 래들(200)에 담겨져 운반된다.
래들(200)에 담겨진 쇳물(2)은 내화벽체(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턴디쉬 등의 쇳물용기(1)로 이동하고, 턴디쉬 등의 쇳물용기(1)의 아래에 설치된 주형(300)으로 이동하면서 연주롤(400)에 의해서 주편(500)으로 연속주조되게 된다.
턴디쉬 등의 쇳물용기(1)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쇳물용기(1)의 외형을 이루며 수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유출공(9)이 다수 형성된 철피(3)와 철피(3) 내측 에 위치하는 내화벽체(4)와 내화벽체(4)의 내측에 코팅되는 코팅재(8)로 이루어져 있다.
내화벽체(4)는 철피(3)의 안쪽에 위치하는 세라믹내화재(5)와, 세라믹내화재(5)의 안쪽에 위치하는 내화벽돌로 이루어진 제1내화벽(6) 및, 제1내화벽(6)을 이루는 내화벽돌과 크기 등이 다른 내화벽돌로 이루어진 제2내화벽(7)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쇳물용기(1)에 쇳물(2)이 수용되고, 수용된 쇳물(2)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해서 쇳물용기(1)가 녹거나 파손되지 않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연속주조공정에 사용되는 턴디쉬 등의 쇳물용기(1)는 연속주조공정 후에 쇳물용기(1) 내에 남아 있는 잔존물과 지금 등을 제거한 다음, 내화벽체(4)의 보수작업을 거쳐 연속주조공정에 재사용하게 된다.
새로운 턴디쉬 등의 쇳물용기(1)나 상기와 같이 보수된 턴디쉬 등의 쇳물용기(1)는 연속주조공정에 사용되기 전에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600)를 사용하여 반드시 예열공정을 거쳐서, 내화벽돌로 이루어진 내화벽체(4)에 잔존하거나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거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열시멘트로 된 내화벽체(4)의 내열시멘트를 건조시키게 된다.
예열과정은 건조, 중간예열, 승열의 순서로 5 내지 7시간 소요되며, 열원으로 코크스 오븐 가스(Cokes Oven Gas)나, LPG, LNG 또는 경유 등을 사용한다.
이러한 턴디쉬 등의 쇳물용기(1)를 예열하는 작업은 쇳물용기(1)로 공급되는 쇳물 온도의 급격한 하락을 예방하고, 쇳물(2)과 쇠물용기(1)의 높은 온도차에 따 른 쇳물용기(1)의 내화벽체(4)를 이루는 내화물의 탈락 및 쇳물(2) 폭발의 위험성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며, 동시에 내화벽체(4)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여 수분이 쇳물(2)에 침투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예열작업만으로는 턴디쉬 등의 쇳물용기(1)를 이루는, 내화벽돌 등으로 이루어진 내화벽체(4)에 잔류하는 수분이나 내열시멘트로 된 내화벽체(4)의 내열시멘트에 함유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내화벽체(4)에 수분이 잔류하게 되면, 쇳물용기(1)에 수분이 침투할 수 있어서 예컨대, 연속주조공정과 같은 경우에는 좋지 않은 품질을 가지는 주편이 생산될 수 있고, 조업 중 쇳물이 유출되어 터지는 조업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예열작업만으로는 제거할 수 없는, 내화벽체(4) 내에 잔류하는 수분이나, 내열시멘트로 이루어진 내화벽체(4)의 내열시멘트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턴디쉬 등의 쇳물용기(1)의 외형을 이루는 철피(3)에 다수의 유출공(9)을 형성하여 수분이 배출되게 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으로도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열시멘트로 된 내화벽체(4)에 쇳물용기 내화벽체(4)의 수분제거장치(100)로 Y형상의 스터디를 철피(3)의 유출공(9)과 연통되게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Y형상으로 된 스터디는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어서, 쇳물용기(1)에 수용되는 쇳물(2)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서 녹아서 융착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쇳물용기(1)의 내화벽체(4)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데에는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턴디쉬 등의 내화벽체 내에 잔류하는 수분을 내화벽체 외부로 즉, 쇳물용기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는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쇳물용기를 이루는 내화벽체와 같이 축조되되 상기 내화벽체에 잔류하는 수분을 포집하도록, 내화물로 된 수분포집부재와, 상기 수분포집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내화벽체의 외부로 갈수록 아래로 경사진 수분배출용 구멍, 상기 수분배출용 구멍과 연통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수분포집용 구멍 및, 상기 수분포집용 구멍에 수분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상기 수분포집용 구멍이 형성된 상기 수분포집부재의 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된 수분포집구를 포함하는 수분포집수단; 및
상기 수분포집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수분포집수단에 의해서 모아진 수분을 쇳물용기의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수분배출용 구멍에 연결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와 연통된 수분배출관을 포함하는 수분배출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더 바람직하게, 상기 수분배출용 구멍에는 격자가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수분포집부재는 상부와 하부가 나뉘어진 상태에서 결합된다.
삭제
더 바람직하게, 상기 수분배출수단은 상기 수분배출관의 일측에 위치하여 수분배출관을 보호하는 보호부재; 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수분배출용 구멍으로 포집되는 수분을 모아서 수분배출관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구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수분배출용 구멍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내화벽체 내에 지그재그로 삽입되거나 상기 내화벽체와 함께 지그재그로 축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턴디쉬 등의 쇳물용기의 내화벽체 내에 잔류하는 수분을 용이하게 내화벽체 외부로 즉, 쇳물용기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쇳물용기 내에 수용된 쇳물에 침투할 수 있는 수분이 제거되기 때문에 쇳물의 침투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쇳물의 품질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연속주조공정의 경우 좋은 품질을 가지는 주편 등, 좋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쇳물에 수분이 침투해서 발생할 수 있는, 예컨대 연속주조공정의 경우 주편의 일부가 유출되어서 터지는 조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5는 도4의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내화벽체와 같이 축조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8은 도6과 도7의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내화벽체와 같이 축조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10)는 쇳물용기(1)를 이루는 내화벽체(4)에 삽입되거나 내화벽체(4)와 같이 축조되어 내화벽체(4)에 잔류하는 수분을 포집하도록 제공되는 수분포집수단(20)과, 수분포집수단(20)과 연결되어 수분포집수단(20)에 의해서 모아진 수분을 쇳물용기(1)의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수분배출수단(30)을 포함한다.
따라서, 다수의 유출공(9)이 형성된 철피(3)와, 세락믹내화재(5)와 제1내화벽(6) 및 제2내화벽(7)으로 이루어진 내화벽체(4) 및, MgO(산화마그네슘) 등으로 이루어진 코딩재(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턴디쉬 등의 쇳물용기(1)의 내화벽체(4)에 잔류하는 수분을 수분포집수단(20)에 의해서 포집하여 모으고 이를 수분배출수단(30)을 통하여 쇳물용기(1)의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
수분포집수단(20)은 도4와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화물로 된 수분포집부재(21)와, 수분포집부재(21)에 형성된 수분배출용 구멍(22) 및, 수분포집부재(21)의 상부에 수분배출용 구멍(22)과 연통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수분포집용 구멍(23)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포집수단(20)은 수분포집용 구멍(23)에 수분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수분포집용 구멍(23)이 형성된 수분포집부재(21)의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수분포집구(24)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내화벽체(4)에 잔류하는 수분은 수분포집구(24)의 오목한 면을 따라 이에 형성된 수분포집용 구멍(23)으로 유입되고, 수분포집용 구멍(23)으로 유입된 수분은 수분배출용 구멍(22)으로 모아져서, 후술할 수분배출수단(30)에 의해서 내 화벽체(4)의 외부로 즉, 쇳물용기(1) 밖으로 배출되어 제거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의 수분포집부재(21)는 상하로 분리되어 있고, 상하로 분리된 수분포집부재(21)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수분배출용 구멍(22)도 상하로 분리된 수분포집부재(21)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상하로 분리된 수분포집부재(21)의 결합으로 인하여 수분배출용 구멍(22)이 완전히 형성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6과 도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수분포집부재(21)는 상하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되어 있으며, 일체로 된 수분포집부재(21)에 수분배출용 구멍(22)을 형성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외에도 수분포집부재(21)의 구조는 본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쇳물용기(1)의 내화벽체(4)에 잔류하는 수분을 포집하고 모을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포집부재(21)에 형성된 수분배출용 구멍(22)은 수평하게 되어 있어도 크게 지장은 없으나,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화벽체(4)의 외부로 갈수록 아래로 경사져 있는 것이, 포집되고 모아진 수분 을 이에 연결된 수분배출수단(30)을 통하여 내화벽체(4) 외부로 즉, 쇳물용기(1)의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시키는 것이 더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포집부재(21)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분리되어 결합되는 구조가 아닌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배출수단(30)에 포함되는 연결구(31)가 수분배출용 구멍(22)에 깊숙이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내화벽체(4)에 같이 축조되는 경우에 이의 상부에 축조된 내화벽체(4)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수분포집부재(21)가 받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서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포집부재(21)의 수분배출용 구멍(22)에는 격자(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자(25)는 본 실시예에서는 십자형으로 되어 있으나, 벌집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이 하중분산을 위해서 더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분포집부재(21)가 받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의 수분배출수단(30)은 도4와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포집부재(21)의 수분배출용 구멍(22)에 연결되는 연결구(31)와, 연결구(31)와 연통된 수분배출관(32)을 포함한다.
따라서, 수분포집수단(20)에 의해서 포집되고 모아진, 내화벽체(4) 내에 잔 류하는 수분은 연결구(31)를 통해 수분배출관(32)으로 이동하게 된다.
수분배출관(32)은 후술할 쇳물용기(1)의 내화벽체(4)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철피(3)에 형성된 유출공(9)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배출관(32)으로 이동한 수분은 내화벽체(4)의 외부로 즉, 쇳물용기(1)의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되게 된다.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포집부재(21)가 상하로 분리되어 결합되는 구조인 경우에 수분배출수단(30)의 연결구(31)는 수분포집부재(21)의 수분배출용 구멍(22)에 깊숙이 삽입되게 되고, 수분포집부재(21)의 수분포집용 구멍(23)으로 유입된 수분을 모아서 수분배출관(32)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개구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분배출용 구멍(22)에 연결구(31)가 깊숙이 삽입되기 때문에, 전술된 바와 같이 수분포집부재(21)의 상부에 축조된 내화벽체(4)의 하중에 의해서 수분배출용 구멍(22)이 파손될 염려가 없게 된다.
그러나,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포집부재(21)가 상하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된 경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수분포집부재(21)의 상부에 축조된 내화벽체(4)의 하중에 의해서 수분배출용 구멍(22)이 파손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배출용 구멍(22)에 격자(25)를 형성시키면, 수분포집부재(21)의 상부에 축조된 내화벽체(4)의 하중에 의해서 수분배출용 구멍(22)이 파손될 염려가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수분배출수단(30)은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배출관(32)의 일측 에 위치하여 수분배출관(32)을 보호하는 보호부재(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 우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배출관(32) 위에 축조되는 내화벽체(4)의 하중에 의해서 수분배출관(32)이 파손될 염려가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보호부재(33)는 상하로 분리되어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수분배출관(32)을 보호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5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의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를 쇳물용기(1)의 내화벽체(4)에 삽입하거나, 내화벽체(4)와 같이 축조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재(33)가 없는 경우에 수분포집부재(21)는 제1내화벽(6)과 제2내화벽(7)에 위치하고, 수분포집부재(21)의 수분배출용 구멍(22)에 삽입되어 연결된 연결구(31)와 연통된 수분배출관(32)은 세라믹내화재(5)의 구멍을 통해 철피(3)에 형성된 유출공(9)과 연통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내화벽체(4)에 잔류하는 수분은 수분포집부재(21)에 형성된 오목한 수분포집구(24)를 따라 수분포집용 구멍(23)으로 유입하게 되고, 수분포집용 구멍(23)으로 유입된 수분은 수분포집부재(21)의 수분배출용 구멍(22)에 깊숙이 삽입된 연결구(31)의 개구부(34)를 통해 모아져서, 연결구(31)에 연결되고 쇳물용기(1)의 철피(3)에 형성된 유출공(9)에 연결된 수분배출관(32)을 지나 내화벽체(4) 외부로 즉, 쇳물용기(1)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재(33)가 있는 경우에 수분포집부재(21)는 제 2내화벽(7)에 위치하고 보호부재(33)는 제1내화벽(6)에 위치하게 된다. 보호부재(33)에 의해서 보호되는 수분배출관(32)은 전술된 바와 같이 세라믹내화재(5)에 형성된 구멍을 지나서 쇳물용기(1)의 철피(3)에 형성된 유출공(9)에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쇳물(2)이 있는 쪽의 수분포집부재(21)에는 코팅재(8)가 코팅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연결구(31)가 수분배출용 구멍(22)에 깊숙이 삽입되어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전술된 바와 같이 수분배출용 구멍(22)에 격자(2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된 바와 같이, 내화벽체(4)에 잔류하는 수분은 수분포집부재(21)의 수분포집구(24)를 따라 수분포집용 구멍(23)에 유입되고, 수분배출용 구멍(22)에 형성된 격자(25)를 지나 연결구(31)를 통해 수분배출관(32)으로 이동하게 된다.
수분배출관(32)으로 이동한 수분은 이에 연결된 쇳물용기(1)의 철피(3)에 형성된 유출공(9)을 지나서 내화벽체(4) 외부로 즉, 쇳물용기(1)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10)는 내화벽체(4) 내에 지그재그로 삽입되거나 지그재그로 내화벽체(4)와 함께 축조되는 것이 내화벽체(4) 내에 잔류하는 수분을 충분히 모아서 내화벽체(4) 외부로 즉, 쇳물용기(1)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10)를 내화벽체(4)에 삽입하거나 내화벽체(4)와 함께 축조하는 방법은 전술된 바에 한정하지 않고, 내화벽체(4)에 잔류하는 수분을 원활하게 내화벽체(4) 외부로 즉, 쇳물용기(1)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10)를 내화벽체(4) 내에 삽입하거나 내화벽체(4)와 함께 축조하는 경우에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10)의 내화벽체(4)에서의 위치나 각 구성부분의 크기는 본 실시예의 위치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고 가변적일 수 있으며, 쇳물용기 내화벽체(4)에서 수분을 포집하고 모아서 내화벽체(4) 외부로 즉, 쇳물용기(1)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는 위치나 크기라면 어떠한 위치나 크기라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1은 일반적인 연속주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쇳물용기의 일례로 내화벽체로 이루어진 턴디쉬를 예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종래에 턴디쉬 내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내화벽체와 같이 축조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8은 도6과 도7의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내화벽체와 같이 축조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쇳물용기 2 : 쇳물
3 : 철피 4 : 내화벽체
5 : 세라믹내화재 6 : 제1내화벽
7 : 제2내화벽 8 : 코팅재
9 : 유출공 10, 100 : 수분제거장치
20 : 수분포집수단 21 : 수분포집부재
22 : 수분배출용 구멍 23 : 수분포집용 구멍
24 : 수분포집구 25 : 격자
30 : 수분배출수단 31 : 연결구
32 : 수분배출관 33 : 보호부재
34 : 개구부 200 : 래들
300 : 주형 400 : 연주롤
500 : 주편 600 : 버너

Claims (10)

  1. 쇳물용기(1)를 이루는 내화벽체(4)와 같이 축조되되 상기 내화벽체(4)에 잔류하는 수분을 포집하도록, 내화물로 된 수분포집부재(21)와, 상기 수분포집부재(21)에 형성되며 상기 내화벽체(4)의 외부로 갈수록 아래로 경사진 수분배출용 구멍(22), 상기 수분배출용 구멍(22)과 연통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수분포집용 구멍(23) 및, 상기 수분포집용 구멍(23)에 수분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상기 수분포집용 구멍(23)이 형성된 상기 수분포집부재(21)의 부분에 오목하게 형성된 수분포집구(24)를 포함하는 수분포집수단(20); 및
    상기 수분포집수단(20)과 연결되어 상기 수분포집수단(20)에 의해서 모아진 수분을 쇳물용기(1)의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수분배출용 구멍(22)에 연결되는 연결구(31)와, 상기 연결구(31)와 연통된 수분배출관(32)을 포함하는 수분배출수단(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배출용 구멍(22)에는 격자(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포집부재(21)는 상부와 하부가 나뉘어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배출수단(30)은
    상기 수분배출관(32)의 일측에 위치하여 수분배출관(32)을 보호하는 보호부재(3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배출용 구멍(22)으로 포집되는 수분을 모아서 수분배출관(32)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구(31)에는 개구부(34)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31)는 상기 수분배출용 구멍(22)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벽체(4)와 함께 지그재그로 축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
KR1020070128126A 2007-12-11 2007-12-11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 KR100967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126A KR100967054B1 (ko) 2007-12-11 2007-12-11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126A KR100967054B1 (ko) 2007-12-11 2007-12-11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209A KR20090061209A (ko) 2009-06-16
KR100967054B1 true KR100967054B1 (ko) 2010-06-29

Family

ID=40990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126A KR100967054B1 (ko) 2007-12-11 2007-12-11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130A (ko) 2014-08-19 2016-02-29 주식회사 포스코 수분 배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쇳물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639B1 (ko) * 2012-09-24 2014-07-31 주식회사 포스코 내화물 수분 제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464Y1 (ko) * 1999-08-12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연속주조용 턴디쉬의 내화벽돌 건조 장치
KR20010067464A (ko) * 1999-12-24 2001-07-12 김효근 굴절률 구배를 가진 플라스틱 광섬유 모재의 제조방법
KR20050093484A (ko) * 2004-03-19 2005-09-23 주식회사 포스코 턴디시 내화물의 수분통로 형성용 y스터디 및 이를이용한 턴디시 내화물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464Y1 (ko) * 1999-08-12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연속주조용 턴디쉬의 내화벽돌 건조 장치
KR20010067464A (ko) * 1999-12-24 2001-07-12 김효근 굴절률 구배를 가진 플라스틱 광섬유 모재의 제조방법
KR20050093484A (ko) * 2004-03-19 2005-09-23 주식회사 포스코 턴디시 내화물의 수분통로 형성용 y스터디 및 이를이용한 턴디시 내화물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130A (ko) 2014-08-19 2016-02-29 주식회사 포스코 수분 배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쇳물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209A (ko) 200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739861A3 (ru) Водоохлаждаема панель в виде закрытого короба с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ыми стенками дл плавильных печей и способ охлаждени в плавильных печах панели в виде короба
EP3274111B1 (en) Metallurgical vessel lining with configured perforation structure
KR100967054B1 (ko) 쇳물용기 내화벽체의 수분제거장치
JP4628303B2 (ja) 溶融金属搬送取鍋
CN111778373A (zh) 高炉主沟的维护方法
RU13409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нной продувки металла газом
CN104334750B (zh) 熔融金属容器的衬里构造
JP4506607B2 (ja) 溶融金属収容容器
US4422625A (en) Foundry pouring ladle protective liner
EP1372888B1 (en) Refractory plug or brick for injecting gas into molten metal
CN111235335B (zh) 一种在线修补撇渣器的方法
JP7186959B2 (ja) 酸素洗浄パイプ及び酸素洗浄装置
KR20210119547A (ko) 용융 금속 여과 박스 가열 장치
JP6419680B2 (ja) 製鋼スラグの冷却方法
KR100960321B1 (ko) 래들 벽체 내화물 잔존치 판정장치
RU214151U1 (ru) Промежуточный ковш
KR102294056B1 (ko) 용기, 용기 처리 방법 및 용융물 처리 방법
US3343827A (en) Taphole for a metallurgical vessel
EP3504498B1 (en) Metallurgical vessel lining with enclosed metal layer
KR200184881Y1 (ko) 턴디쉬용 내화물
RU2238494C1 (ru) Подина вагранки
RU2083324C1 (ru) Сталеразливочный ковш
KR20120032940A (ko) 래들의 습식 보수재 및 이를 이용한 보수방법
AU2002244555B2 (en) Refractory plug or brick for injecting gas into molten metal
KR100649324B1 (ko) 수분배수로가 형성된 턴디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