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990B1 - 비닐하우스 작업용 굴삭기 버켓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작업용 굴삭기 버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990B1
KR102640990B1 KR1020210176923A KR20210176923A KR102640990B1 KR 102640990 B1 KR102640990 B1 KR 102640990B1 KR 1020210176923 A KR1020210176923 A KR 1020210176923A KR 20210176923 A KR20210176923 A KR 20210176923A KR 102640990 B1 KR102640990 B1 KR 102640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sides
excavator
blades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8075A (ko
Inventor
하용완
Original Assignee
하용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용완 filed Critical 하용완
Priority to KR1020210176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990B1/ko
Publication of KR20230088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 또는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거나 토사를 운반하는 굴삭기용 버켓(excavator bucket)에 관한 기술로서, 버켓의 양측부에 각각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유압 실린더의 작동으로 블레이드가 접히거나 또는 수평으로 펴지게 구성됨으로써, 비닐하우스용 농지에서 고랑과 이랑을 만드는 작업에 적합하고, 작업성을 높이는 한편 작업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비닐하우스 작업용 굴삭기 버켓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내부 공간에 토사가 담기도록 바가지 형상을 갖는 버켓; 상기 버켓의 상부에 형성되며, 굴삭기의 암에 장착되는 링크바가 설치된 러그; 상기 버켓의 양측부에 각각 회전가능케 설치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버켓에서 블레이드를 접거나 또는 수평상으로 펼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 작업용 굴삭기 버켓 {vinyl house excavator bucket}
본 발명은 토목 또는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거나 토사를 운반하는 굴삭기용 버켓(excavator bucket)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버켓의 양측부에 각각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유압 실린더의 작동으로 블레이드가 접히거나 또는 수평으로 펴지게 구성됨으로써, 비닐하우스용 농지에서 고랑과 이랑을 만드는 작업에 적합하고, 작업성을 높이는 한편 작업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비닐하우스 작업용 굴삭기 버켓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Excavator)는 토목, 건축, 건설 등의 작업 현장에서 땅을 파거나 또는 토사를 운반하고, 건물을 해체하는 한편 지면을 정리하는 건설기계로서, 굴삭기는 주행 방식에 따라 무한궤도식 크롤러 굴삭기와 타이어식 휠 굴삭기로 구분된다.
크롤러 굴착기(Crawler Excavator)는 작업이 안정적이고, 작업 생산성이 높기 때문에 소형(1t)부터 초대형(100t)에 이르기까지 작업 현장에 폭넓게 사용되는 장점이 있으나, 단독주행이 불가하여 트레일러를 통해 이동하는 단점이 있다.
휠 굴착기(Wheel Excavator)는 도로 주행이 가능하여 트레일러가 없어도 작업 현장까지 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크롤러 굴착기에 비해 안정성과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굴삭기는 암(arm)에 버켓을 장착하여 유압 실린더의 작동으로 땅을 파거나 토사를 운반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필요한 작업의 종류에 따라 일반 버켓이나 또는 틸트 버켓을 커플러에 장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기존 내구성을 보강하고, 멀티 기능의 커플러를 적용하기 위한 굴삭기용 버켓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8029호(굴삭기용 버켓)가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굴삭기의 일반 커플러 및 틸트 커플러를 모두 적용할 수 있고, 커버부와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동부가 사각형 이상 다각형 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되며, 결합 브라켓이 배면까지 연장되어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 내마모성을 보강하고, 작업 범용성을 높이기 위한 굴삭기용 버켓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3531호(굴삭기의 조립식 버켓)가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버켓의 등판이 고강도 강판을 절단한 여러개의 디스크로 이루어짐으로써, 기존 강판을 밴딩하여 버켓의 등판을 형성하는 용접된 버켓이나, 또는 주조 공법으로 만들어진 버켓에 비하여 제조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을 크게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기존 일반적인 굴삭기용 버켓은 토목, 건축, 건설 등의 작업 현장에 적합한 용도로 제작되며, 또한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굴삭기용 버켓은 내구성을 보강하고, 작업의 범용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으나, 논이나 밭 등의 농지에 고랑과 이랑을 만드는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일반적인 굴삭기용 버켓은 땅을 파거나 또는 토사를 운반하는 목적으로 제작됨에 따라 농지에 고랑을 만들고, 평탄하게 흙을 쌓아 이랑을 만드는 작업에는 적합하지 못하며, 또한 작업시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398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40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353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8029호.
본 발명은 기존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굴삭기용 버켓"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버켓의 양측부에 각각 힌지부를 통해 블레이드가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양측부 블레이드가 유압 실린더의 작동으로 접히거나 또는 수평으로 펴지게 구성됨으로써, 비닐하우스용 농지에서 고랑과 이랑을 만드는 작업에 매우 적합하고, 작업성을 높이는 한편 작업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비닐하우스 작업용 굴삭기 버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내부 공간에 토사가 담기도록 바가지 형상을 갖는 버켓; 상기 버켓의 상부에 형성되며, 굴삭기의 암에 장착되는 링크바가 설치된 러그; 상기 버켓의 양측부에 각각 회전가능케 설치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버켓에서 블레이드를 접거나 또는 수평상으로 펼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버켓은 하단부가 소정의 면적으로 평탄하고, 그 양측부는 상향 경사진 마름모 형태의 바가지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버켓은 양측부의 중간 부분 외측에 각각 사이드 브라켓이 부착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브라켓에 힌지부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블레이드는 버켓의 양측부 중간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소정 길이로 길쭉한 패널형태로 구성되고, 일측에 힌지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버켓의 양측부에 각각 블레이드가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양측부 블레이드가 유압 실린더의 작동으로 접히거나 또는 수평으로 펴지게 구성됨으로써, 비닐하우스용 농지에서 고랑과 이랑을 만드는 작업에 매우 적합하고, 작업성을 높이는 한편 작업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블레이드의 내구성을 높이므로, 비닐하우스 농지에서 고랑이나 이랑을 성형하는 작업 과정에서 블레이드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며, 특히 유압 실린더를 통해 블레이드를 자동으로 접거나 또는 수평상으로 펼치므로,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할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블레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블레이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버켓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버켓의 작업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은, 내부 공간에 토사가 담기도록 바가지 형상을 갖는 버켓(10); 상기 버켓(10)의 상부에 형성되고, 굴삭기의 암(50)에 장착되는 링크바(21)가 설치된 러그(20); 상기 버켓(10)의 양측부에 각각 회전가능케 설치되는 블레이드(30); 및 상기 버켓(10)에서 블레이드(30)를 접거나 또는 수평상으로 펼치는 유압 실린더(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버켓(10)은 땅을 파거나 또는 토사를 운반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버켓(1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내부 공간에 토사가 담기도록 바가지 형상으로 구성되고,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스틸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버켓(10)은 논이나 밭 등의 비닐하우스 농지에서 움푹 파이는 고랑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하단부는 소정의 면적으로 평탄하고, 그 양측부는 상향 경사진 마름모 형태의 바가지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버켓(10)의 굴삭 작업을 통해 농지에서 쉽게 고랑을 성형할 수 있도록 버켓(10)의 하부 외형이 고랑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반적인 버켓은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 형태이나, 본 발명에서 버켓(10)은 상부와 하부가 소정의 면적으로 평탄한 마름모 형태를 갖는다.
한편 버켓(10)은 양측부의 중간 부분 외측에 각각 사이드 브라켓(11)이 용접으로 부착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브라켓(11)에 힌지부(12)가 설치되며, 상기 힌지부(12)에 후술하는 블레이드(30)가 회전가능케 설치된다.
따라서, 버켓(10)의 하부 외형이 고랑의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버켓(10)의 굴삭 작업을 통해 농지에서 쉽게 고랑을 성형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한편 작업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러그(20)(Lug)는 굴삭기의 암(50)에 버켓(10)을 장착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러그(2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버켓(10)의 상부에 한쌍으로 형성되고, 굴삭기의 암(50)에 장착되는 링크바(21)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러그(20)는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한쌍으로 구성되며, 버켓(10)의 상부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제작되고, 상기 소정 거리로 이격된 러그(20)들 사이에 복수개의 링크바(21)가 나란히 설치된다.
러그(20)는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링크바(21)가 나란히 설치되어 굴삭기 암(50)의 버켓링크에 장착됨으로써, 버켓(10)이 유압 실린더의 작동으로 통해 암(50)에서 전후로 회전하여 굴삭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블레이드(30)는 비닐하우스 농지에서 이랑을 평탄하게 성형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블레이드(3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버켓(10)의 양측부 중간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버켓(10)의 힌지부(12)에 회전가능케 설치된다.
상기에서 블레이드(30)는 도면에서 도 5와 같이, 소정 길이로 길쭉한 패널형태로 구성되고, 일측에 힌지부(31)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힌지부(31)를 구성하는 힌지홀(34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힌지홀(34a)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후방부에 힌지 브라켓(32)이 부착 설치된다.
한편 블레이드(30)는 힌지홀(34a)이 위치한 후방부 끝부분에 서포트(33)가 돌출 형성되며, 이와 인접한 모서리 부분에 힌지홀(34)이 관통 형성되어 버켓(10)의 힌지부(12)가 끼워져 회전가능케 결합 설치된다.
상기에서 일측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힌지홀(34)은 버켓(10)의 힌지부(12)가 끼워져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이와 인접한 힌지홀(34a)은 후술하는 유압 실린더(40)의 로드(41)가 회전가능케 설치되는 힌지부(31)가 끼워져 설치된다.
따라서, 블레이드(30)는 버켓(10)의 양측부 사이드 브라켓(11)에서 힌지부(12)를 통해 각각 회전가능케 설치되며, 상기 힌지부(12)와 인접한 후방부 끝부분에 서포트(33)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블레이드(30)의 내구성을 높이므로, 비닐하우스 농지에서 고랑이나 또는 이랑을 성형하는 작업 과정에서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서포트(33)는 후술하는 유압 실린더(40)의 작동으로 블레이드(30)를 수평상으로 펼치면, 돌출된 외측면이 버켓(10)의 외측면에 지지됨으로써, 작업 과정에서 블레이드(30)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유압 실린더(40)는 블레이드(30)를 접거나 또는 수평상으로 펼치는 기능으로서, 상기 유압 실린더(4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버켓(10)의 상부에 위치한 러그(20)와 양측부 블레이드(30) 사이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에서 유압 실린더(40)는 굴삭기의 유압장치에서 유압이 공급되어 로드(41)가 신축 작동하며, 상기 러그(20)의 외측부에 브라켓(42)이 부착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42)에 유압 실린더(40)가 장착된다.
한편 유압 실린더(40)에서 로드(41)의 끝부분이 블레이드(30)의 힌지 브라켓(32)과 힌지홀(34a) 사이에 배치되고, 여기에 힌지부(31)가 끼워져 회전가능케 설치된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40)는 굴삭기의 유압장치에서 유압이 공급되어 로드(41)가 신축 작동함으로써, 도면에서 도 6과 같이, 버켓(10)의 힌지부(12)에서 블레이드(3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접거나 또는 하측으로 회전시켜 수평상으로 펼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서 도 7과 같이, 굴삭기의 암(50)에 회전식 로터(60)를 설치하고, 상기 로터(60)에 링크바(21)를 장착하여 버켓(10)을 설치할 경우, 좌우 방항으로 버켓(10)이 회전됨으로써, 논이나 밭 등의 비닐하우스 농지에서 작업이 더욱 용이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서 도 8과 같이, 먼저 블레이드를 상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버켓을 이용해 굴삭 작업을 수행하여 농지에 고랑(70)을 성형하고, 다음은 블레이드를 수평상으로 펼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여 이랑(80)을 평탄하게 성형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한편 작업 시간을 단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압 실린더를 통해 블레이드를 자동으로 접거나 또는 수평상으로 펼치므로,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할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버켓 11: 사이드 브라켓
12: 힌지부 20: 러그(Lug)
21: 링크바 30: 블레이드
31: 힌지부 32: 힌지 브라켓
33: 서포트 34(34a): 힌지홀
40: 유압 실린더 41: 로드
42: 브라켓 50: 암(arm)
60: 로터 70: 고랑
80: 이랑

Claims (4)

  1. 내부 공간에 토사가 담기도록 바가지 형상을 갖는 버켓(10); 상기 버켓(10)의 상부에 형성되고, 굴삭기의 암(50)에 장착되는 링크바(21)가 설치된 러그(20); 상기 버켓(10)의 양측부에 각각 회전가능케 설치되는 블레이드(30); 및 상기 버켓(10)에서 블레이드(30)를 접거나 수평상으로 펼치는 유압 실린더(40);를 포함하며,
    상기 버켓(10)은 하단부가 소정의 면적으로 평탄하고, 그 양측부는 상향 경사진 마름모 형태의 바가지 형상으로 구성되며, 양측부의 중간 부분 외측에 각각 사이드 브라켓(11)이 부착 설치되는 한편 상기 사이드 브라켓(11)에 힌지부(12)가 설치되고,
    상기 블레이드(30)는 버켓(10)의 양측부 중간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소정 길이로 길쭉한 패널형태로 구성되고, 일측에 힌지부(31)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버켓(10)의 양측부 사이드 브라켓(11)에 회전가능케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30)는 힌지부(31)를 구성하는 힌지홀(34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힌지홀(34a)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후방부에 힌지 브라켓(32)이 부착 설치되며, 상기 힌지홀(34a)이 위치한 후방부 끝부분에 서포트(33)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이와 인접한 모서리 부분에 힌지홀(34)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40)는 버켓(10)의 상부에 위치한 러그(20)와 양측부 블레이드(30) 사이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작업용 굴삭기 버켓.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176923A 2021-12-10 2021-12-10 비닐하우스 작업용 굴삭기 버켓 KR102640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923A KR102640990B1 (ko) 2021-12-10 2021-12-10 비닐하우스 작업용 굴삭기 버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923A KR102640990B1 (ko) 2021-12-10 2021-12-10 비닐하우스 작업용 굴삭기 버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075A KR20230088075A (ko) 2023-06-19
KR102640990B1 true KR102640990B1 (ko) 2024-02-23

Family

ID=86988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923A KR102640990B1 (ko) 2021-12-10 2021-12-10 비닐하우스 작업용 굴삭기 버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990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985B1 (ko) 2005-02-21 2005-09-08 흥진산업(주) 주조공법으로 제작된 내마모·내충격용 굴삭기 버켓 및 그제조방법
KR20090107188A (ko) * 2008-04-08 2009-10-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분리형 도저 블레이드 장치
KR101274059B1 (ko) 2011-11-23 2013-06-12 정일성 굴삭기용 밭고랑 굴토 버켓
KR101515302B1 (ko) * 2013-10-01 2015-04-24 장병희 버켓 조절장치가 설치된 굴삭기용 버켓
KR101893531B1 (ko) 2018-04-13 2018-08-30 주식회사 티앤테크 굴삭기의 조립식 버켓
KR102078029B1 (ko) 2019-09-23 2020-02-17 이강준 굴삭기용 버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075A (ko) 202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257B1 (ko) 이동 가능한 조립식 흙막이 장치
JP4566935B2 (ja) 掘削作業機のブーム
CN103189574A (zh) 工程机械的回转框架
KR102640990B1 (ko) 비닐하우스 작업용 굴삭기 버켓
JP4296182B2 (ja) 掘削作業機のアーム
JP6734223B2 (ja) 油圧ショベル
US5711096A (en) Working machine of a hydraulic backhoe having increased blade tip force
JP4949756B2 (ja) 拡径掘削用バケット
JP2004183312A (ja) 杭打ち装置
KR102027731B1 (ko) 굴착기용 절단 장치
US6523619B1 (en) Dirt grading implement
JP2008202325A (ja) 掘削機械のブームシリンダ支持構造及び運転方法
KR20090054063A (ko) 트랙터용 굴절형 로우더
CN106400868A (zh) 一种正铲反铲可转换的多用途挖掘机
KR101124473B1 (ko) 다목적 중장비
CN214832981U (zh) 一种推铲中间支架
US20170121934A1 (en) Accessory for excavation of a ditch and related methods
CN215669751U (zh) 一种360度超窄爬行挖机
CN106400869A (zh) 一种可对侧方位进行挖掘的挖掘机
CN210712996U (zh) 一种市政施工用推土机
JP2003034945A (ja) オフセットブーム式建設機械
JP2011074745A (ja) 建設機械
KR20240070239A (ko) 쇼벨기능을 갖는 굴삭기 도저블레이드장치
KR20170101494A (ko) 스키드로더
JP2022033380A (ja) 作業機械の接続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