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330B1 -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330B1
KR102640330B1 KR1020190131729A KR20190131729A KR102640330B1 KR 102640330 B1 KR102640330 B1 KR 102640330B1 KR 1020190131729 A KR1020190131729 A KR 1020190131729A KR 20190131729 A KR20190131729 A KR 20190131729A KR 102640330 B1 KR102640330 B1 KR 102640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gas
relief valve
pressure
storage tank
storag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760A (ko
Inventor
정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1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33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2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liquefi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5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press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은 액화가스 저장을 위한 저장탱크와, 저장탱크에 설치된 제1 릴리프 밸브 및 제2 릴리프 밸브를 포함한다. 제1 릴리프 밸브는 제1 압력의 최대허용 릴리프 밸브 설정값을 가지며, 액화가스의 벙커링 시 사용된다. 제2 릴리프 밸브는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의 최대허용 릴리프 밸브 설정값을 가지며, 액화가스의 저장 및 운송 시 사용된다.

Description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SOTRAGE SYSTEM FOR LIQUIFIED GA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화가스의 적재량을 늘릴 수 있는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 및 고유가로 인하여 석유에 비해 온실가스 및 유해가스의 발생이 적고 가격이 저렴한 액화천연가스(LNG)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디젤유 대신 액화천연가스를 추진연료로 사용하는 선박도 제작되고 있다. 액화가스 저장탱크는 선박 운항 시 발생할 수 있는 극심한 환경 하중에 대해 액화가스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연료공급장치에 연료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현재 액화천연가스를 저장 및 운송하는 목적으로 개발된 선박용 액화가스 저장탱크에는 멤브레인(membrane) 타입의 저장탱크와, IMO(International Marine Organization) A, B, C 타입의 독립탱크가 있다.
이 중 IMO C 타입의 독립탱크는 슬로싱에 대한 구조보강이 가능하고, 압력용기의 개념으로 설계됨에 따라 높은 탱크 내부압력에 의해 액화가스의 기화온도가 상승하여 증발가스(Boil-Off Gas) 발생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탱크 중량이 크고, 공간 효율성이 떨어져 대량의 연료를 적재해야 하는 장거리 운항용 대형선의 경우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저장탱크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액화가스의 적재량을 늘릴 수 있는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은 액화가스 저장을 위한 저장탱크와, 저장탱크에 설치된 제1 릴리프 밸브 및 제2 릴리프 밸브를 포함한다. 제1 릴리프 밸브는 제1 압력의 최대허용 릴리프 밸브 설정값을 가지며, 액화가스의 벙커링 시 사용된다. 제2 릴리프 밸브는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의 최대허용 릴리프 밸브 설정값을 가지며, 액화가스의 저장 및 운송 시 사용된다.
제1 릴리프 밸브는 저장탱크와 제1 벤트 마스트를 연결하는 제1 배출관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압력에 대응되는 크기의 탄성력을 구비한 제1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릴리프 밸브는 저장탱크와 제2 벤트 마스트를 연결하는 제2 배출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압력에 대응되는 크기의 탄성력을 구비한 제2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릴리프 밸브 전단의 제1 배출관에 제1 볼 밸브가 설치될 수 있고, 제2 릴리프 밸브 전단의 제2 배출관에 제2 볼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볼 밸브와 제2 볼 밸브는 동시에 개방되지 않도록 인터락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벙커링 단계와 저장-운송 단계를 포함한다. 벙커링 단계에서, 제1 압력의 최대허용 릴리프 밸브 설정값을 가지는 제1 릴리프 밸브가 턴-온되고, 제1 압력에 기초한 액화가스의 적재 한계가 산정되며, 산정된 적재 한계의 액화가스가 저장탱크에 적재된다. 저장-운송 단계에서, 제1 릴리프 밸브가 턴-오프되고,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의 최대허용 릴리프 밸브 설정값을 가지는 제2 릴리프 밸브가 턴-온되어 저장탱크의 최대 압력이 제2 압력으로 유지된다.
본 실시예의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은 저장탱크를 변경하지 않고도 용도가 다른 두 개의 릴리프 밸브를 번갈아 사용함으로써 액화가스의 적재량을 늘림과 동시에 액화가스의 저장 및 운송 조건을 최적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비교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액화가스’는 액화천연가스(LNG), 액화석유가스(LPG), 액화산소, 액화수소 등 모든 종류의 액화가스를 포함하며, ‘저장탱크’는 운송을 위한 탱크와 연료공급을 위한 탱크 모두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은 추진 가능한 선박, 부유식 해상구조물, 선박 이외의 다른 교통수단, 및 육상 고정식 저장탱크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100)은 액화가스 저장을 위한 저장탱크(10)와, 저장탱크(10)에 설치된 제1 릴리프 밸브(20) 및 제2 릴리프 밸브(30)를 포함한다.
저장탱크(10)는 내압을 가지는 압력용기로 이루어지며,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 의해 고정된다. 예를 들어, 저장 탱크(10)는 내부 탱크와 외부 탱크의 이중 구조일 수 있고, 내부 탱크와 외부 탱크 사이의 공간을 대략 0.05torr 이하의 진공으로 유지하여 전도 및 대류에 의한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내부 탱크와 외부 탱크 사이의 단열 공간에 펄라이트(perlite)가 충진되어 복사열을 차단함과 동시에 예상치 않은 문제로 진공성능 저하 시 급격한 내부 온도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저장탱크(10)는 전술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1 및 제2 릴리프 밸브(20, 30)는 저장탱크(10)에 설치되며, 저장탱크(10)의 내부압력이 설정 압력에 도달하면 개방되어 액화가스를 배출함으로써 저장탱크(10)를 보호한다. 제1 및 제2 릴리프 밸브(20, 30)는 서로 다른 최대허용 릴리프 밸브 설정값(Maximum Allowable Relief Valve Setting; MARVS, 이하 'MARVS'라 한다)을 가지며, 사용 용도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제1 릴리프 밸브(20)는 제1 압력의 MARVS를 가지며, 액화가스의 벙커링 시 사용된다. 제2 릴리프 밸브(30)는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의 MARVS를 가지며, 액화가스의 벙커링 이후 저장 및 운송 시(예를 들어 선박 운항 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1 압력은 대략 2barA로 설정될 수 있고, 제2 압력은 대략 5barA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릴리프 밸브(20)는 저장탱크(10)와 제1 벤트 마스트(22)를 연결하는 제1 배출관(21)에 설치되며, 제1 압력에 대응되는 크기의 탄성력을 구비한 제1 스프링(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릴리프 밸브(20)는 저장탱크(10)의 압력이 제1 압력을 초과할 때 제1 스프링(23)의 변형으로 개방되어 액화가스를 배출한다. 제1 릴리프 밸브(20)의 전단에는 제1 볼 밸브(24)가 설치되어 제1 배출관(21)을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제2 릴리프 밸브(30)는 저장탱크(10)와 제2 벤트 마스트(32)를 연결하는 제2 배출관(31)에 설치되며, 제2 압력에 대응되는 크기의 탄성력을 구비한 제2 스프링(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릴리프 밸브(30)는 저장탱크(10)의 압력이 제2 압력을 초과할 때 제2 스프링(33)의 변형으로 개방되어 액화가스를 배출한다. 제2 릴리프 밸브(30)의 전단에는 제2 볼 밸브(34)가 설치되어 제2 배출관(31)을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제1 볼 밸브(24)와 제2 볼 밸브(34)는 동시에 개방되지 않도록 인터락(interlock) 설정이 이루어져 사고를 방지한다. 제1 볼 밸브(24)는 액화가스의 벙커링 시 개방되어 제1 배출관(21)을 열고, 벙커링이 완료되면 잠금 위치로 전환되어 제1 배출관(21)을 닫는다. 제2 볼 밸브(34)는 제1 볼 밸브(24)와 반대로 작동한다.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100)은 병렬로 접속된 한 쌍의 제1 및 제2 릴리프 밸브(20, 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1 배출관(21)이 제1 벤트 마스트(22)에 접속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 배출관(21) 각각에 제1 볼 밸브(24)와 제1 릴리프 밸브(2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2 배출관(31)이 제2 벤트 마스트(32)에 접속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2 배출관(31) 각각에 제2 볼 밸브(34)와 제2 릴리프 밸브(3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어느 하나의 제1 릴리프 밸브(20) 고장 시 고장난 제1 릴리프 밸브(20)에 해당하는 제1 볼 밸브(24)를 잠그고, 다른 하나의 제1 볼 밸브(24)를 개방하여 다른 하나의 제1 릴리프 밸브(20)를 사용함과 동시에 고장난 제1 릴리프 밸브(20)를 수리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릴리프 밸브(30)에 대해서도 같은 구성이 적용된다.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100)은 벙커링 시 최대한 많은 양의 액화가스를 적재하는 것이 유리하고, 저장 및 운송 시에는 저장탱크(10)의 압력을 높이는 것이 유리하다. 저장탱크(10)의 압력이 높을수록 액화가스의 기화온도가 상승하므로 증발가스 (Boil-Off Gas) 발생을 줄일 수 있다.
MARVS는 액화가스를 벙커링할 때 액화가스를 최대로 수급받을 수 있는 양(적재 한계, loading limit)을 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적재 한계를 결정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다.
여기서, LL(%)은 액화가스의 적재 한계이고, FL(%)은 액화가스의 충진 한계(filling limit)이며, ρR은 기준 온도에서 연료의 상대밀도이고, ρL은 로딩 온도에서 연료의 상대밀도이다. 액화가스의 충진 한계(FL)는 98%로 정해질 수 있다.
액화가스의 벙커링 시 제2 릴리프 밸브(30)는 턴-오프되고, 제1 릴리프 밸브(20)가 턴-온된다. 이 상태에서 액화가스의 로딩 온도가 -163℃이고, 제1 릴리프 밸브(20)의 MARVS가 2barA인 경우, ρR은 2barA를 기준으로 425.13으로 계산되고, ρL은 1barA를 기준으로 439.19로 계산된다. 그리고 액화가스의 충진 한계(FL)는 98%이므로, 액화가스의 적재 한계(LL)는 대략 94.9%로 계산된다.
액화가스의 벙커링 이후 제1 볼 밸브(24)가 잠금 위치로 전환되어 제1 릴리프 밸브(20)가 턴-오프되고, 제2 볼 밸브(34)가 개방 위치로 전환되어 제2 릴리프 밸브(30)가 턴-온되며, 운송 시 제2 릴리프 밸브(30)가 사용된다. 제2 릴리프 밸브(30)는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의 MARVS를 가지므로, 저장탱크(10)의 압력을 높여 증발가스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비교예의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비교예의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101)은 저장탱크(10)와, 하나의 릴리프 밸브(40)를 포함한다. 릴리프 밸브(40)는 운송 시 기준에 따라 대략 5barA의 MARVS를 가질 수 있다.
비교예의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101)에서, 액화가스의 로딩 온도가 -163℃이고, 릴리프 밸브(40)의 MARVS가 5barA인 경우, 전술한 수학식 1에서 ρR은 5barA를 기준으로 400.9로 계산되고, ρL은 1barA를 기준으로 439.19로 계산된다. 그리고 액화가스의 충진 한계(FL)은 98%이므로, 액화가스의 적재 한계(LL)는 대략 89.5%로 계산된다.
비교예의 경우 저장탱크(10) 내부에 최대 89.5%의 액화가스를 적재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의 경우 저장탱크(10) 내부에 최대 94.9%의 액화가스의 적재할 수 있으므로 비교예와 동일한 저장탱크(10)에서 액화가스의 적재량을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경우 운송 시에는 비교예와 동일한 저장탱크(10)의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운항 조건을 최적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과 도 3을 참고하면,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제1 릴리프 밸브(20)가 턴-온된 상태에서 저장탱크(10)에 액화가스를 적재하는 벙커링 단계(S10)와, 제2 릴리프 밸브(30)가 턴-온된 상태에서 액화가스를 저장 및 운송하는 저장-운송 단계(S20)를 포함한다. 벙커링 단계(S10)에서 제2 릴리프 밸브(30)는 턴-오프되고, 저장-운송 단계(S20)에서 제1 릴리프 밸브(20)는 턴-오프된다.
벙커링 단계(S10)에서, 제2 릴리프 밸브(30)는 턴-오프되고, 제1 릴리프 밸브(20)는 턴-온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1 볼 밸브(24)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어 한 쌍의 제1 릴리프 밸브(20) 중 어느 하나를 턴-온시키고, 한 쌍의 제2 볼 밸브(34)는 모두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제1 릴리프 밸브(20)는 제1 압력, 예를 들어 2barA의 MARVS를 가지며, 이 경우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100)은 액화천연가스 적재 시 대략 94.9%의 적재 한계로 액화천연가스를 적재할 수 있다.
액화가스의 적재가 완료되면 개방되었던 제1 볼 밸브(24)가 닫히면서 제1 릴리프 밸브(20)를 턴-오프시킨다. 저장-운송 단계(S20)에서, 한 쌍의 제2 볼 밸브(34)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어 한 쌍의 제2 릴리프 밸브(30) 중 어느 하나를 턴-온시킨다. 제2 릴리프 밸브(30)는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 예를 들어 5barA의 MARVS를 가지며, 저장 및 운송 시 저장탱크(10)의 압력을 높여 증발가스 발생을 줄인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릴리프 밸브(20, 30)는 서로 다른 MARVS를 가지며, 용도가 상이하다. 상대적으로 낮은 MARVS를 가지는 제1 릴리프 밸브(20)는 벙커링 전용으로서, 액화가스의 적재 한계를 높여 액화가스의 적재량을 늘린다. 상대적으로 높은 MARVS를 가진 제2 릴리프 밸브(30)는 저장 및 운송 전용으로서, 저장탱크(10)의 압력을 높게 유지하여 증발가스 발생을 억제한다.
제1 및 제2 릴리프 밸브(20, 30)는 동시에 작동하지 않도록 인터락 설정이 이루어져 사고를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제1 볼 밸브(24)와 제2 볼 밸브(34)가 동시에 개방되지 않도록 인터락 설정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100)은 저장탱크(10)를 변경하지 않고도 용도가 다른 두 개의 릴리프 밸브(20, 30)를 번갈아 사용함으로써 액화가스의 적재량을 늘림과 동시에 액화가스의 저장 및 운송 조건을 최적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 10: 저장 탱크
20: 제1 릴리프 밸브 21: 제1 배출관
22: 제1 벤트 마스트 23: 제1 스프링
24: 제1 볼 밸브 30: 제2 릴리프 밸브
31: 제2 배출관 32: 제2 벤트 마스트
33: 제2 스프링 34: 제2 볼 밸브

Claims (5)

  1. 액화가스 저장을 위한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와 제1 벤트 마스트를 연결하는 제1 배출관에 설치되고, 제1 압력의 최대허용 릴리프 밸브 설정값을 가지며, 액화가스의 벙커링 시 사용되는 제1 릴리프 밸브; 및
    상기 저장탱크와 제2 벤트 마스트를 연결하는 제2 배출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의 최대허용 릴리프 밸브 설정값을 가지며, 액화가스의 저장 및 운송 시 사용되는 제2 릴리프 밸브;
    상기 제1 배출관 중 상기 제1 릴리프 밸브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1 볼 밸브; 및
    상기 제2 배출관 중 상기 제2 릴리프 밸브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볼 밸브와 동시에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볼 밸브와 인터락 설정이 이루어진 제2 볼 밸브;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릴리프 밸브는 상기 제1 압력에 대응되는 크기의 탄성력을 구비한 제1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릴리프 밸브는 상기 제2 압력에 대응되는 크기의 탄성력을 구비한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의 작동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릴리프 밸브가 턴-온되고, 상기 제1 압력에 기초한 액화가스의 적재 한계가 산정되며, 산정된 적재 한계의 액화가스가 저장탱크에 적재되는 벙커링 단계; 및
    상기 제1 릴리프 밸브가 턴-오프되고, 상기 제2 릴리프 밸브가 턴-온되어 상기 저장탱크의 최대 압력이 상기 제2 압력으로 유지되는 저장-운송 단계;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0190131729A 2019-10-22 2019-10-22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640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729A KR102640330B1 (ko) 2019-10-22 2019-10-22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729A KR102640330B1 (ko) 2019-10-22 2019-10-22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760A KR20210047760A (ko) 2021-04-30
KR102640330B1 true KR102640330B1 (ko) 2024-02-22

Family

ID=75740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729A KR102640330B1 (ko) 2019-10-22 2019-10-22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3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7990A (ja) * 2015-02-24 2018-03-22 ワルトシラ フィンランド オサケユキチュア 燃料タンク、特にlngタンクの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902B1 (ko) * 2014-06-10 2015-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재기화장치를 갖는 해양구조물 및 상기 해양구조물에서 lng 저장탱크를 운용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7990A (ja) * 2015-02-24 2018-03-22 ワルトシラ フィンランド オサケユキチュア 燃料タンク、特にlngタンクの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760A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8790B1 (ko) 벙커링 선박
EP2572974A1 (en) Floating structure having an upper deck fuel tank
JP6496489B2 (ja) Lng船またはlpg船
KR200477659Y1 (ko)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
KR20130046642A (ko) Lng 화물창
KR102217993B1 (ko) Lng 벙커링 선박 및 lng 벙커링 방법
KR102426549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카고 탱크 구조
KR102640330B1 (ko) 액화가스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404683B1 (ko) 액화가스 화물창
KR20130052937A (ko) 증발가스 저장탱크를 갖는 액화가스 운반선
KR101584568B1 (ko) 부유식 lng 생산설비 및 이를 이용한 lng 로딩 방법
KR101714671B1 (ko) 액체저장탱크의 압력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637415B1 (ko) 액체저장탱크의 압력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00431A (ko) 하이브리드 화물창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654823B1 (ko)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2654824B1 (ko)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20120000971A (ko) 안전밸브를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220099292A (ko) 이종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110136431A (ko) Lng 저장탱크의 단열박스
KR101022408B1 (ko) 서로 다른 강도를 갖는 복수의 저장탱크를 구비한 해상 구조물 및 상기 해상 구조물을 제작하는 방법
KR20170064782A (ko) Lng 화물창의 횡동요 방지를 위한 탄성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ng 화물창
KR20120000972A (ko) 안전밸브를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KR20190026443A (ko) Lng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 배치 구조
WO2024009672A1 (ja) バンカー設備、バンカー船、バンカーシステム、及び液化ガスの供給方法
KR101022409B1 (ko) 중간적재 가능 탱크를 갖춘 부유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