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099B1 -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099B1
KR102640099B1 KR1020220154884A KR20220154884A KR102640099B1 KR 102640099 B1 KR102640099 B1 KR 102640099B1 KR 1020220154884 A KR1020220154884 A KR 1020220154884A KR 20220154884 A KR20220154884 A KR 20220154884A KR 102640099 B1 KR102640099 B1 KR 102640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repair
powder formulation
polymer
per unit
molecul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훈
고석연
박나정
윤혜성
이종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Priority to KR1020220154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099B1/ko
Priority to PCT/KR2023/018442 priority patent/WO202410697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0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2Anaestetics, analgesics, e.g. lid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분말 제형으로서, 그 분말 제형을 특정 농도로 포함하는 기준 용액을 일련의 증가하는 희석 배율들에 따라 희석시, 희석된 용액 내의 고분자 입자 개수가, 특정 희석 배율 구간에서는 기준 용액 내의 고분자 입자 개수 이상이고, 이후 희석 배율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거동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제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Powder preparation for tissue repair treatment, and injection composition for tissue repair treatmen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분말 제형으로서, 그 분말 제형을 특정 농도로 포함하는 기준 용액을 일련의 증가하는 희석 배율들에 따라 희석시, 희석된 용액 내의 고분자 입자 개수가, 특정 희석 배율 구간에서는 기준 용액 내의 고분자 입자 개수 이상이고, 이후 희석 배율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거동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제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젊을 때부터 멋지게 나이 드는 웰에이징(well-aging)에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보인다. 현재 뷰티 시장은 천천히, 그리고 아름답고 건강하게 나이 드는 항노화에 집중하는 시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노화의 현상으로 손꼽히는 것이 볼륨의 감소다. 특히, 얼굴에 볼륨이 없으면 나이가 더 들어 보이고 초라해 보일 수 있기 때문에 볼륨을 채워 줄 수 있는 필러에 사람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필러 시장도 매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전세계적으로 2조 이상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현재 필러에 사용되는 소재로 다양한 물질들이 활용되고 있는데, 그 중 히알루론산 필러는 세계적으로 필러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나, 체내 반감기가 1일 내지 3일 이내로 지속성이 매우 낮고 매우 빠르게 생체 내 재흡수가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이에, 히알루론산과 가교 물질을 서로 가교 연결하여 재흡수 기간을 연장시킨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교 제품의 경우, 가교 물질인 BDDE(1,4-butanediol diglycidyl ether)가 독성이 있는 발암물질이기 때문에, 그 제거 공정에 따른 공정 비용 상승, 미생물 오염에 의한 제품 폐기, 잔류물 검출에 따른 제품 폐기 등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생체 내 분해가 되는 고분자를 이용한 조직 수복용 제품도 다수 개발되었으며, 기존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이용한 필러 제형으로서, 물에 녹지 않는 고분자를 마이크로사이즈의 입자로 가공한 후 점도가 있는 부형제 또는 증점제를 통해 분산시킨 제형이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20 내지 50 마이크로미터 직경의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입자를 카복시메틸셀룰로우스(Carboxymethylcellulose, CMC) 수용액에 분산시킨 제형 또는 20 내지 50 마이크로미터 직경의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입자를 CMC 및 글리세린(Glycerin) 수용액에 분산시킨 제형이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제형은 주사시 마이크로 입자에 의해 바늘이 막히는 시술상의 불편함 및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아 균일한 조직 수복 효과가 나오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성 발생 우려가 없고, 조직수복용 생체 재료에 적합한 기능성, 물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조직 수복 효과를 나타내면서 운반, 보관 및 취급도 용이한 조직 수복용 제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공중합체인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분말 제형으로서,
상기 분말 제형을 7.5 중량% 농도로 포함하는 기준 용액을,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일련의 희석 배율들에 따라 희석시,
4 내지 8의 희석 배율 구간에서는,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상기 기준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 이상이고,
16 이상의 희석 배율 구간에서는,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희석 배율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주사용 담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주사용 담체를 실온에서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은 독성이 없고, 운반,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며, 실온의 수성 매질에서 쉽게 분산되어 용해되는 고분자 입자를 형성하며, 체내에 도입된 이후에는 대식세포에 탐식되지 않고 콜라겐을 유도하여 우수한 조직 수복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2에서 행한 제조예 1 내지 4의 입자 수 측정 결과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에서 행한 비교예 1 내지 5의 입자 수 측정 결과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3에서 행한 조직 수복 효과에 대한 동물 실험 결과들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은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공중합체인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은, 이를 7.5 중량% 농도로 포함하는 기준 용액으로 제조한 뒤,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일련의 희석 배율들(a series of subsequently increasing dilution factors)에 따라 희석시, (i) 4 내지 8의 희석 배율 구간(dilution factor range of 4 to 8)에서는,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상기 기준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 이상이고, (ii) 16 이상의 희석 배율 구간(dilution factor range of 8 or higher)에서는,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희석 배율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기준 용액의 제조 및 이를 희석하는 데에 사용되는 매질은 수성 매질, 예컨대, 인산완충액, 주사용수, 생리식염수, 증류수, 정제수, 또는 포도당 수액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일련의 희석 배율들은 2, 4, 8, 16, 32 및 64의 희석 배율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희석 배율”은 기준 용액의 희석시 기준 용액 부피 대비 희석 용액의 부피 배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희석 배율이 4인 희석 용액”은 기준 용액 부피의 3배에 해당하는 매질을 기준 용액에 투입하여 최종 부피가 기준 용액 부피의 4배가 되도록 준비된 희석 용액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희석 배율 구간”은 기준 용액의 희석시 적용되는 희석 배율들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4 내지 8의 희석 배율 구간”에는 희석 배율이 최소 4이고 최대 8인 희석 용액들이 포함되고, “16 이상의 희석 배율 구간”에는 희석 배율이 16 또는 그보다 높은 희석 용액들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희석 배율 구간 내에서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희석 배율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한다”는 것은, 그 희석 배율 구간 내의 한 희석 배율을 갖는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그보다 높은 희석 배율을 갖는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보다 많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16 이상의 희석 배율 구간 내에서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희석 배율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므로, 예를 들어, 희석 배율이 16인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는, 희석 배율이 32인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보다 많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은, 4 내지 16의 희석 배율 구간에서,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상기 기준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은, 4 내지 32의 희석 배율 구간에서,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상기 기준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은, 8 이상의 희석 배율 구간에서,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희석 배율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은, 4 이상의 희석 배율 구간에서,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희석 배율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은, 32의 희석 배율에서,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상기 기준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를 100%로 하였을 때, 60% 이상(예컨대, 60 내지 99%)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은, 32의 희석 배율에서,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상기 기준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를 100%로 하였을 때, 65% 이상, 70% 이상, 75% 이상 또는 80% 이상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은, 64의 희석 배율에서,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상기 기준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를 100%로 하였을 때, 40% 이상(예컨대, 40 내지 59%)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은, 64의 희석 배율에서,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상기 기준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를 100%로 하였을 때, 45% 이상, 50% 이상 또는 55%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의 개수는 유동 세포 계측법(Flow Cytometer, FC)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유동 세포 계측법은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특정 유속으로 특정 시간동안 유동시키면서 레이저를 조사하고, 검출 영역으로 산란된 경우(event)의 수를 세어 입자수로서 측정하는 방법으로, 예컨대, APOGEE 장비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APOGEE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 20 내지 5000 nm 범위 내의 평균 직경을 갖는 입자의 개수가 측정될 수 있다. 즉,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에 포함되는 고분자 입자는 20 내지 5000 nm의 평균 직경을 갖는 입자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그의 유도체(예컨대, 알콕시- 또는 히드록시-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PEG)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알파(α)-히드록시산 유래 단량체의 고분자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락틱-글리콜라이드), 폴리만델릭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디옥산-2-온, 폴리아미노산, 폴리오르소에스터, 폴리언하이드라이드,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락틱-글리콜라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GPC에 의한 수평균분자량(Mn1)(단위: g/mol)은 1,000 이상, 2,000 이상, 3,000 이상 또는 4,000 이상일 수 있고, 또한 30,000 이하, 25,000 이하, 20,000 이하, 19,000 이하, 18,000 이하, 17,000 이하, 16,000 이하 또는 15,00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GPC에 의한 수평균분자량(Mn2)(단위: g/mol)은 500 이상, 1,000 이상, 1,500 이상 또는 2,000 이상일 수 있고, 또한 30,000 이하, 25,000 이하, 20,000 이하, 19,000 이하, 18,000 이하, 17,000 이하, 16,000 이하 또는 15,000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적합성 공중합체의 GPC에 의한 총 수평균분자량은 2,000 이상, 5,000 이상, 8,000 이상 또는 10,000 이상일 수 있고, 또한 40,000 이하, 35,000 이하, 30,000 이하 또는 25,000 이하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생체적합성 공중합체 내의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수평균분자량(Mn1) 대 상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수평균분자량(Mn2)의 비율(Mn1/Mn2)은 2.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및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들의 수평균분자량은, 예컨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의하여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란, 분석 성분의 hydrodynamic volume의 size에 의해서 큰 성분이 먼저 나오고 작은 성분이 나중에 나오는 물리적인 전개 mechanism으로 크기가 큰 분자는 다공성 겔의 구멍으로 들어갈 수 없어 빨리 통과하고, 작은 분자는 겔의 구멍을 들어갈 수 있어 머무름이 생겨 천천히 통과하여 더 빠르게 컬럼을 통과하는 분자 순으로 상대분자량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체적합성 공중합체 내의 Mn1/Mn2 비율은 2.5 이하, 2.3 이하, 2.1 이하, 2.0 이하 또는 1.8 이하일 수 있다. 상기 Mn1/Mn2 비율의 하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0.5 이상, 0.6 이상, 0.7 이상, 0.8 이상 또는 0.9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은, 상기 생체적합성 공중합체 이외에 약학적 분말 제형에 통상 사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은 동결건조 보조제(동결건조화제라고도 한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결건조 보조제는 락토스, 말토스, 슈크로스, 트레할로스, 만니톨, 솔비톨, 말티톨, 자일리톨 및 락티톨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은 국소 마취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국소 마취제는 암부카인(ambucaine), 아몰라논(amolanone), 아밀로카인(amylocaine), 베녹시 네이트(benoxinate), 벤조카인(benzocaine), 베톡시카인(betoxycaine), 비페나민(biphenamine), 부피바카인(bupivacaine), 부타카인(butacaine), 부탐벤(butamben), 부타닐리카인(butanilicaine), 부테타민 (butethamine), 부톡시카인(butoxycaine), 카르티카인(carticaine), 클로로프로카인(chloroprocaine), 코카에틸렌(cocaethylene), 코카인(cocaine), 사이클로메티카인(cyclomethycaine), 다이부카인(dibucaine), 다이메티소퀸(dimethysoquin), 다이메토카인(dimethocaine), 디페로돈(diperodon), 다이사이클로닌(dycyclonine), 에크고니딘(ecgonidine), 에크고닌(ecgonine), 에틸 클로라이드(ethyl chloride), 에티도카인(etidocaine), 베타유카인(beta-eucaine), 유프로신(euprocin), 페날코민(fenalcomine), 포르모카인(formocaine), 헥실카인(hexylcaine), 하이드록시테트라카인(hydroxytetracaine), 이소부틸 p-아미노벤조에이트(isobutyl paminobenzoate), 류시노카인 메실레이트(leucinocaine mesylate), 레복사드롤(levoxadrol), 리도카인(lidocaine), 메피바카인(mepivacaine), 메프릴카인(meprylcaine), 메타부톡시카인(metabutoxycaine), 메틸 클로라이드(methyl chloride), 미르테카인(myrtecaine), 나에파인(naepaine), 옥타카인(octacaine), 오르소카인(orthocaine), 옥세타자인(oxethazaine), 파레톡시카인(parethoxycaine), 페나카인(phenacaine), 페놀(phenol), 피페로카인(piperocaine), 피리도카인(piridocaine), 폴리도카놀(polidocanol), 프라목신(pramoxine), 프릴로카인(prilocaine), 프로카인(procaine), 프로파노카인(propanocaine), 프로파라카인(proparacaine), 프로피오카인(propipocaine), 프로록시카인(propoxycaine), 슈도코카인(psuedococaine), 피로카인(pyrrocaine), 로피바카인(ropivacaine), 살리실 알코올(salicyl alcohol), 테트라카인(tetracaine), 톨릴카인(tolycaine), 트리메카인(trimecaine), 졸라민(zolamine),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은, 동결건조 또는 기타 건조 방법(예: spin drying 등)에 의해 건조되어 분말 성상을 갖는 제형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은, 앞서 설명한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존재하에 앞서 설명한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용 단량체를 중합하여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공중합체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존재하에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용 단량체를 중합하는 단계는 알려진 방법 및 조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체적합성 공중합체의 건조는 동결건조 또는 기타 건조 방법(예: spin drying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결건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지는 않는다. 생체적합성 공중합체의 동결건조는 상기한 동결건조 보조제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은 실온의 수성 매질에서 쉽게 용해되어 고분자 입자(예컨대, 20 nm 내지 5000 nm 범위 내의 평균 직경을 나타내는 입자)를 형성하며, 체내에 도입된 이후에는 체내 환경의 영향으로 소수성 고분자의 소수성 응집을 통하여 입자가 자가 조립(self-assembly)되어 커다란 구조체를 형성하여 대식세포에 탐식되지 않고 콜라겐을 유도하여 우수한 조직 수복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이론상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의 상기 특징(즉, 7.5 중량% 농도로 포함하는 기준 용액으로 제조한 뒤,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일련의 희석 배율들에 따라 희석시, (i) 4 내지 8의 희석 배율 구간에서는,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상기 기준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 이상이고, (ii) 8 이상의 희석 배율 구간에서는,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희석 배율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것)은, 이러한 고분자 입자의 자가 조립(self-assembly) 특성에 따른 것이라고 여겨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은, 용액으로 상기 기준 용액의 농도 또는 그 이상 농도의 용액으로 제조시, 용액 내의 고분자 입자들이 자가 조립되어 있다가, 이를 희석함에 따라 4 내지 8의 희석 배율 구간에서는 자가 조립된 입자 클러스터들이 나뉘어지면서 희석에도 불구하고 용액의 단위 부피당 입자 개수가 증가하거나 동일하게 유지되고, 8 이상의 희석 배율 구간에서 계속 희석되면 더 이상 나뉘어질 입자 클러스터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 희석이 진행됨에 따라 용액의 단위 부피당 입자 개수가 감소하는 것이라고 여겨진다. 반면, 용액 내의 고분자 입자들이 자가 조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희석이 진행됨에 따라 용액의 단위 부피당 입자 개수가 일관되게 감소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직 수복 효과란, 외상이나 염증, 노화 등의 원인으로 피부 조직 등에 괴사, 결손 등이 생겼을 때에 그 조직을 본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효과를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주사용 담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주사용 담체로는 통상의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주사용 증류수, 생리 식염수, 5% 포도당, 완충액(예컨대, 인산 완충액 (PBS)), 히알루론산 용액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 주사용 제제에 사용 가능한 통상의 첨가제를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주사용 담체를 실온에서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실온”은 1 내지 30°C, 20 내지 30°C, 22 내지 28°C, 보다 구체적으로는 24 내지 26°C(예컨대, 25°C)를 의미한다.
기존의 조직 수복용 고분자 제품의 분말 제형은 가열해야(예컨대, 고분자의 녹는점에서 물의 끓는점 사이로 온도를 올려야) 수용액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은 실온에서도 수성 매질에 쉽게 용해되므로, 그의 수용액 형태의 주사제 조성물을 실온에서 쉽게 제조 및 사용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제조예 1: 분말 제형의 제조
목표 수평균분자량(Mn)이 15,000g/mol인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를 얻기 위하여,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로서 수평균분자량(Mn1)이 9,850g/mol(GPC 측정)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methoxypolyethyleneglycol, mPEG)의 존재하에 D,L-락타이드(D,L-lactide) 단량체를 촉매하에서 중합한 후, 결과 공중합체를 건조하여 분말 제형을 얻었다. GPC 측정결과, 제조된 mPEG-Poly(D,L-lactide) 공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Mn)은 15,500g/mol이었고, 소수성 고분자 분자량의 경우 측정된 공중합체의 분자량에서 친수성 고분자 분자량을 뺀 것으로 계산하였다. 공중합체 내의 친수성 고분자인 mPEG의 수평균분자량(Mn1) 대 소수성 고분자인 Poly(D,L-lactide)의 수평균분자량(Mn2)의 비율(Mn1/Mn2)은 1.74이었다.
제조예 2: 분말 제형의 제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분말 제형을 제조하되, 생체적합성 공중합체의 목표 수평균분자량(Mn)을 17,000g/mol으로 하였다. GPC 측정결과, 제조된 mPEG-Poly(D,L-lactide) 공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Mn)은 17,200g/mol이었고, 소수성 고분자 분자량의 경우 측정된 공중합체의 분자량에서 친수성 고분자 분자량을 뺀 것으로 계산하였다. 공중합체 내의 친수성 고분자인 mPEG의 수평균분자량(Mn1) 대 소수성 고분자인 Poly(D,L-lactide)의 수평균분자량(Mn2)의 비율(Mn1/Mn2)은 1.34이었다.
제조예 3: 분말 제형의 제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분말 제형을 제조하되, 생체적합성 공중합체의 목표 수평균분자량(Mn)을 20,000g/mol으로 하였다. GPC 측정결과, 제조된 mPEG-Poly(D,L-lactide) 공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Mn)은 20,200g/mol이었고, 소수성 고분자 분자량의 경우 측정된 공중합체의 분자량에서 친수성 고분자 분자량을 뺀 것으로 계산하였다. 공중합체 내의 친수성 고분자인 mPEG의 수평균분자량(Mn1) 대 소수성 고분자인 Poly(D,L-lactide)의 수평균분자량(Mn2)의 비율(Mn1/Mn2)은 0.95이었다.
제조예 4: 분말 제형의 제조
목표 수평균분자량(Mn)이 30,000g/mol인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를 얻기 위하여,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로서 수평균분자량(Mn1)이 20,000g/mol(GPC 측정)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methoxypolyethyleneglycol, mPEG)의 존재하에 D,L-락타이드(D,L-lactide) 단량체를 촉매하에서 중합한 후, 결과 공중합체를 건조하여 분말 제형을 얻었다. GPC 측정결과, 제조된 mPEG-Poly(D,L-lactide) 공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Mn)은 29,550g/mol이었고, 소수성 고분자 분자량의 경우 측정된 공중합체의 분자량에서 친수성 고분자 분자량을 뺀 것으로 계산하였다. 공중합체 내의 친수성 고분자인 mPEG의 수평균분자량(Mn1) 대 소수성 고분자인 Poly(D,L-lactide)의 수평균분자량(Mn2)의 비율(Mn1/Mn2)은 2.1이었다.
비교예 1
mPEG-Polycaprolactone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제품(Miracle L, Dexlevo社)을 동결건조 시켜 분말로 제조한 제형을 비교예 1로 사용하였다.
상기 비교예 1의 mPEG-Polycaprolactone 분말 제형을 상온에서 혼합하여 수용액으로 제조한 경우, 분산 안정성이 떨어져 침전되어 입자크기 분석이 어려웠으며, 결과값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졌다. 따라서, 상기 mPEG-Polycaprolactone 분말 제형에 물을 가하고 80℃온도로 가열한 후 혼합하여 고분자 콜로이드 수용액을 제조한 후, 분석을 수행하였다.
비교예 2: 분말 제형의 제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분말 제형을 제조하되, 생체적합성 공중합체의 목표 수평균분자량(Mn)을 12,000g/mol으로 하였다. GPC 측정결과, 제조된 mPEG-Poly(D,L-lactide) 공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Mn)은 12,350g/mol이었고, 소수성 고분자 분자량의 경우 측정된 공중합체의 분자량에서 친수성 고분자 분자량을 뺀 것으로 계산하였다. 공중합체 내의 친수성 고분자인 mPEG의 수평균분자량(Mn1) 대 소수성 고분자인 Poly(D,L-lactide)의 수평균분자량(Mn2)의 비율(Mn1/Mn2)은 2.8이었다.
비교예 3: 분말 제형의 제조
목표 수평균분자량(Mn)이 25,000g/mol인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를 얻기 위하여,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로서 수평균분자량(Mn1)이 20,000g/mol(GPC 측정)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methoxypolyethyleneglycol, mPEG)의 존재하에 D,L-락타이드(D,L-lactide) 단량체를 촉매하에서 중합한 후, 결과 공중합체를 건조하여 분말 제형을 얻었다. GPC 측정결과, 제조된 mPEG-Poly(D,L-lactide) 공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Mn)은 25,650g/mol이었고, 소수성 고분자 분자량의 경우 측정된 공중합체의 분자량에서 친수성 고분자 분자량을 뺀 것으로 계산하였다. 공중합체 내의 친수성 고분자인 mPEG의 수평균분자량(Mn1) 대 소수성 고분자인 Poly(D,L-lactide)의 수평균분자량(Mn2)의 비율(Mn1/Mn2)은 3.5이었다.
비교예 4: 분말 제형의 제조
목표 수평균분자량(Mn)이 23,000g/mol인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를 얻기 위하여,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로서 수평균분자량(Mn1)이 20,000g/mol(GPC 측정)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methoxypolyethyleneglycol, mPEG)의 존재하에 D,L-락타이드(D,L-lactide) 단량체를 촉매하에서 중합한 후, 결과 공중합체를 건조하여 분말 제형을 얻었다. GPC 측정결과, 제조된 mPEG-Poly(D,L-lactide) 공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Mn)은 23,500g/mol이었고, 소수성 고분자 분자량의 경우 측정된 공중합체의 분자량에서 친수성 고분자 분자량을 뺀 것으로 계산하였다. 공중합체 내의 친수성 고분자인 mPEG의 수평균분자량(Mn1) 대 소수성 고분자인 Poly(D,L-lactide)의 수평균분자량(Mn2)의 비율(Mn1/Mn2)은 5.7이었다.
비교예 5: PCL 나노입자 분말 제형
Sigma-aldrich에서 평균 입경 200nm의 폴리카프로락톤(PCL) 나노입자(제품번호 PCL200-5ML-A)를 구매한 후, 동결건조시켜 분말 제형을 얻었다.
실험예 1: 고분자 분자량 분석
하기 표에 나타낸 조건으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를 수행하여, 제조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중합체들의 수평균분자량(Mn)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분말 제형의 수성 매질 희석에 따른 용액 내 고분자 입자 수 측정
제조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제형들 각각을 수성 매질로서 주사용수에 투입하여 7.5중량% 농도로 만든 후(기준 용액), 유동 세포 계측법(Flow Cytometer, FC)에 따라 APOGEE 장비(모델명: A60 Micro Plus, 제조원: APOGEE flow systems)를 사용하여 용액의 단위 부피 내에 존재하는 평균 직경 20 내지 5000 nm의 입자 개수를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1) 장비 조건 및 파라미터 설정
1) Laser source: 405 nm (Violet) / 70mW
2) Flow rate: 0.75 μl/min
3) Injection volume: 100 μl
4) PMT: SALS: 415V / MALS: 400V / LALS: 400V (STD: 약 40,000ets/μl로 고정)
5) 측정 시간(Acquisition time): 120s
6) Thresholds: SALS-5, MALS-13, LALS-3
(2) APOGEE STD 측정
표준물질: Cat #1527, APOGEE Mix 25 ml (PS80, 110, 500 & SI80, 240, 30, 590, 880, 1300nm)
Lot: CAL0145
(3) Events 수 측정 및 환산
동일 ROD 영역내의 Events 수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시간이 120s에 미치지 못한 경우, 120s까지 측정한 것으로 환산하여 Events 수를 정하였다.
이후, 기준 용액을 2, 4, 8, 16, 32 및 64의 희석 배율에 따라 주사용수로 희석한 각각의 희석 용액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용액의 단위 부피 내에 존재하는 평균 직경 20 내지 5000 nm의 입자 개수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혹은 측정 후 환산된 Events 수를 입자 수로서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기준 용액 내의 입자 수를 100%로 하였을 때, 희석 용액 내의 입자 수를 상대적 %로 하여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으며, 희석 배율의 증가에 따른 희석 용액 내의 입자 수의 상대적 % 변화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1]
[표 2]
[표 3]
실험예 3: 동물실험을 통한 조직 수복용 제형으로서의 효능 검증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제형의 조직 수복용 효능을 동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동물 실험은 생후 5주의 SD Rat(오리엔트 바이오에서 구입)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동물 실험은 생후 5주의 SD Rat 한 개체당 양측으로 식염수 (saline)과 시험 물질을 투여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사육 환경은 온도 24±2℃상대습도 50±10%, 조명 시간 12시간으로 설정하였고, 먹이는 자유롭게 먹을 수 있게 하였다.
Control로서 생리식염수(saline), 시험 물질로서 상기 제조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분말 제형을 주사용수에 녹인 수용액(10% 농도), 및 비교군으로서 비교예 1 제품(Miracle L, 20% 농도로 제조됨) 및 비교예 2 내지 5의 분말 제형을 주사용수에 녹인 수용액(10% 농도)을 100㎕씩 일정하게 주입한 뒤, 6주 경과 후에 실험동물을 희생시키고, 신생 콜라겐 생합성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료 주입 부위의 피부 조직(도 3의 위쪽 도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을 Masson's Trichorme(MT)으로 염색한 후 조직 내의 콜라겐 형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3(도 3의 아래쪽 도)에 나타내었다.
도 3으로부터, 비교예들, 특히, Miracle L 대비, 제조예 제형들의 수용액이 우수한 콜라겐 형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제조예 3 제형의 경우 비교예들 보다, 특히, Miracle L보다 현저히 굵은 다수의 콜라겐 섬유 형성을 나타내었음이 확인되었다.
즉, 비교예들, 특히, Miracle L과 대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제형은 운반,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은 물론, 실온의 수성 매질에서 쉽게 용해되며, 체내에 도입시 콜라겐 형성을 보다 우수하게 유도하여, 보다 우수한 조직 수복 효과를 나타냄이 이로써 확인되었다.

Claims (16)

  1.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공중합체인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분말 제형으로서,
    상기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알콕시-폴리에틸렌글리콜, 히드록시-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상기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락틱-글리콜라이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디옥산-2-온, 폴리아미노산, 폴리오르소에스터, 폴리언하이드라이드,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며,
    상기 생체적합성 공중합체 내의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수평균분자량(Mn1) 대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수평균분자량(Mn2)의 비율(Mn1/Mn2)이 2.1 이하이고,
    상기 분말 제형을 7.5 중량% 농도로 포함하는 기준 용액을,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일련의 희석 배율들에 따라 희석시,
    4 내지 8의 희석 배율 구간에서는,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상기 기준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 이상이고,
    16 이상의 희석 배율 구간에서는,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희석 배율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2. 제1항에 있어서, 4 내지 16의 희석 배율 구간에서,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상기 기준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 이상인,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3. 제1항에 있어서, 4 내지 32의 희석 배율 구간에서,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상기 기준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 이상인,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4. 제1항에 있어서, 8 이상의 희석 배율 구간에서,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희석 배율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5. 제1항에 있어서, 4 이상의 희석 배율 구간에서, 희석 용액 내의 단위 부피당 고분자 입자 개수가 희석 배율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6. 제1항에 있어서,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PEG)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7. 제1항에 있어서,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락틱-글리콜라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8. 제1항에 있어서,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PEG)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락틱-글리콜라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9. 제1항에 있어서, 친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수평균분자량은 1,000 g/mol 내지 30,000 g/mol인,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10. 제1항에 있어서, 소수성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수평균분자량은 500 g/mol 내지 30,000 g/mol인,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11. 제1항에 있어서, 생체적합성 공중합체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수평균분자량은 2,000 g/mol 내지 40,000 g/mol인,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12. 제1항에 있어서, 동결건조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13. 제1항에 있어서, 국소 마취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주사용 담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주사용 담체를 실온에서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삭제
KR1020220154884A 2022-11-17 2022-11-17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 KR102640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884A KR102640099B1 (ko) 2022-11-17 2022-11-17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
PCT/KR2023/018442 WO2024106970A1 (ko) 2022-11-17 2023-11-16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884A KR102640099B1 (ko) 2022-11-17 2022-11-17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099B1 true KR102640099B1 (ko) 2024-02-23

Family

ID=9004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884A KR102640099B1 (ko) 2022-11-17 2022-11-17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0099B1 (ko)
WO (1) WO2024106970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3970A (ko) * 2007-12-31 2009-07-03 주식회사 삼양사 탁산 함유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 미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3514377A (ja) * 2009-12-15 2013-04-25 バインド バイオサイエンシ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いガラス転移温度または高分子量のコポリマーを有する治療用ポリマーナノ粒子組成物
KR20150005540A (ko) * 2012-04-11 2015-01-14 인터자인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안정된 미셀을 위한 블록 공중합체
JP2015098493A (ja) * 2008-06-16 2015-05-28 バインド セラピューティ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ビンカアルカロイド含有治療用ポリマーナノ粒子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JP2016104764A (ja) * 2009-12-11 2016-06-09 バインド セラピューティ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治療用粒子の凍結乾燥に対する安定製剤
KR20190133937A (ko) *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덱스레보 조직 수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1482B1 (ko) * 2019-07-29 2021-01-13 주식회사 피움바이오 주입력이 우수한 가교된 히알루론산 기반 기능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078B1 (ko) * 2019-06-26 2020-02-14 주식회사 로즈랩 생분해성 고분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수복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3970A (ko) * 2007-12-31 2009-07-03 주식회사 삼양사 탁산 함유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 미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5098493A (ja) * 2008-06-16 2015-05-28 バインド セラピューティ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ビンカアルカロイド含有治療用ポリマーナノ粒子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
JP2016104764A (ja) * 2009-12-11 2016-06-09 バインド セラピューティ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治療用粒子の凍結乾燥に対する安定製剤
JP2013514377A (ja) * 2009-12-15 2013-04-25 バインド バイオサイエンシ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いガラス転移温度または高分子量のコポリマーを有する治療用ポリマーナノ粒子組成物
KR20150005540A (ko) * 2012-04-11 2015-01-14 인터자인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안정된 미셀을 위한 블록 공중합체
KR20190133937A (ko) *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덱스레보 조직 수복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1482B1 (ko) * 2019-07-29 2021-01-13 주식회사 피움바이오 주입력이 우수한 가교된 히알루론산 기반 기능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06970A1 (ko) 202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1121C (en) Crosslinked hyaluronic acid compositions for tissue augmentation
Agrawal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in situ gel system for nasal insulin delivery
KR102215375B1 (ko) 음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폴리머 또는 펩티드를 포함하는 복합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20153B1 (ko) 이중 가교를 통한 히알루론산 겔 및 이의 제조방법
US11382853B2 (en) Hyaluronic acid dermal fillers crosslinked with citric acid, method for making same and uses thereof
KR102201482B1 (ko) 주입력이 우수한 가교된 히알루론산 기반 기능성 생체 적합성 고분자 복합체의 제조 방법
US11672750B2 (en) Dermal filler based on crosslinked hyaluronic acid, calcium phosphate material particles and carboxymethyl cellulose, a process for preparing same and uses thereof
KR102640099B1 (ko) 조직 수복용 분말 제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수복용 주사제 조성물
KR20190073977A (ko) 국소 마취제 및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사전충전형 주사기의 제조방법
WO2021156345A1 (en) Injectable composition for skin and soft tissue augmentation
EP4374885A1 (en) Powder formulation for tissue repair,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injectable composition for tissue repair, comprising same
EP4119585A1 (en) Crosslinked hyaluronic acid and use thereof
KR102099846B1 (ko) 덱스트란과 단백질 복합체가 코팅된 생분해성 고분자 지지체의 제조방법
KR102652905B1 (ko) 주사용 사전-제형 및 이를 이용한 도네페질 초기방출 억제형 키트
WO2024136537A1 (ko) 조직 수복용 건조 제형
US20240074954A1 (en) Calcium hydroxyapatite particles and use thereof
JP6956478B2 (ja) アニオン性ポリマー及びカチオン性ポリマーを含む複合粒子
KR102336680B1 (ko) 자극의 강도에 따라 변화하는 물성을 가지는 코어-쉘 구조의 히알루론산 겔 및 이의 제조방법
EP4362993A1 (en) Hyaluronic acid dermal fillers crosslinked with 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method for making same and uses thereof
WO2024006819A1 (en) Calcium hydroxyapatite particles and use thereof for juvenation
JP2024521484A (ja) ヒアルロン酸架橋体、及びそれを含む充填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