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791B1 -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791B1
KR102639791B1 KR1020180105846A KR20180105846A KR102639791B1 KR 102639791 B1 KR102639791 B1 KR 102639791B1 KR 1020180105846 A KR1020180105846 A KR 1020180105846A KR 20180105846 A KR20180105846 A KR 20180105846A KR 102639791 B1 KR102639791 B1 KR 102639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hole
keyhole
angular pin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7708A (ko
Inventor
이상권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5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791B1/ko
Priority to US16/547,816 priority patent/US11992984B2/en
Priority to CN201910832434.0A priority patent/CN110893658A/zh
Publication of KR20200027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147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using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rough th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579Power supply for the keyless data carrier
    • G07C2009/00587Power supply for the keyless data carrier by batte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96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 G07C2009/0097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차량용 카드키의 PCB기판 상부에 배치된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상기 PCB기판의 하부에 고정된 하부금형;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일단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용 카드키의 기계식키 삽입되는 키홀을 형성시키는 키홀슬라이드; 및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타단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용 카드키의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홀을 형성시키는 배터리홀슬라이드; 상기 상부금형의 일단방향과 상기 키홀슬라이드 및 상기 하부금형의 일단방향을 관통하는 제1앵귤러핀; 및 상기 상부금형의 타단방향과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 및 상기 하부금형의 타단방향을 관통하는 제2앵귤러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APPARATUS FOR CARD KEY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ARD KEY FOR VEH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 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키 시스템의 차량용 카드키는 무선 송수기를 탑재한다.
이러한 차량용 카드키는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어 사용자가 차량으로 들어갈 때 차량에 배치된 통제부와 통신하여 차량의 도어를 잠금 해제하고, 엔진의 시동을 켜거나 다른 작업을 수해할 수 있다.
차량용 카드키는 수지 케이스 내에 회로부를 장착하기 위한 회로 기판과, 전원으로서 전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무선 송수신기는 전지 용량 소진, 송수신기 파손 또는 이와 유사한 상황과 같은 돌발 사태에 사용하기 위해 내부에 보관된 기계식키를 포함한다.
기계식키는 수지 케이스 내의 별도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다.
기계식키는 비상시, 사용자가 수지 케이스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기계식키를 꺼내서 도어를 잠금 해제하거나 다른 작업을 위해 기계식키를 사용한다.
최근 차량용 카드키 내의 무선 송수신기는 더 많은 수의 부품을 사용하는 보다 복잡하고 정교한 시스템을 사용하면서도 무선 송수신기 자체의 체적은 사용자가 간편히 소지할 수 있도록 훨씬 소형화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차량용 카드키 제조 시, 부품이 실장되지 않은 PCB기판의 부품 비실장면을 금형 하판에 밀착시켜 고정하고, PCB기판에서 부품이 실장된 부품 실장면 위에 기 설정된 공간을 두고 금형 상판을 덮어 기 설정된 공간에 성형 재료를 투입함으로써 케이스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케이스에 기계식키와 배터리가 각각 케이스에 수용되어 PCB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기계식키 홀 슬라이드 또는 배터리 홀 슬라이드를 PCB기판에 결합 시킨 후 케이스를 성형하여 생성된 기계식키 홀 또는 배터리 홀을 형성하였다.
한편, 기계식키 홀 슬라이드 또는 배터리 홀 슬라이드는 걸림자와 맞물려 결합된다.
상기 걸림자는 금형 하판에 형성되어 PCB기판의 관통홀을 통해 PCB기판 상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기계식키 홀 슬라이드 또는 배터리 홀 슬라이드와 걸림자가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성형됨으로 금형의 정밀도가 매우 높아야 하고, 성형 시, 기계식키 홀 슬라이드 또는 배터리 홀 슬라이드와 걸림자가 상호 맞물리는 과정에서 걸림자 또는 슬라이드의 접합면이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정교합이 되지 않아 PCB기판의 들뜸 현상의 주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용 카드키 제조 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치는, 상기 차량용 카드키의 PCB기판 상부에 배치된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상기 PCB기판의 하부에 고정된 하부금형;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일단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용 카드키의 기계식키 삽입되는 키홀을 형성시키는 키홀슬라이드; 및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타단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용 카드키의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홀을 형성시키는 배터리홀슬라이드; 상기 상부금형의 일단방향과 상기 키홀슬라이드 및 상기 하부금형의 일단방향을 관통하는 제1앵귤러핀; 및 상기 상부금형의 타단방향과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 및 상기 하부금형의 타단방향을 관통하는 제2앵귤러핀;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금형은, 중앙영역 상면에 상기 PCB기판이 안착되는 기판안착부; 상기 기판안착부를 기준으로 일단방향 상면에 상기 키홀슬라이드가 안착되는 제1슬라이드안착부; 및 상기 기판안착부를 기준으로 타단방향 상면에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가 안착되는 제2슬라이드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슬라이드안착부는, 상기 키홀슬라이드의 하면이 접하는 제1바닥면; 상기 제1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키홀슬라이드의 양측면이 접하는 제1내측면; 상기 제1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키홀슬라이드에서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가 배치된 방향의 면이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제1내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키홀슬라이드가 상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가이드홈;을 포함한다.
상기 제2슬라이드안착부는,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의 하면이 접하는 제2바닥면; 상기 제2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의 양측면이 접하는 제2내측면; 상기 제2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에서 상기 키홀슬라이드가 배치된 방향의 면이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2스토퍼; 및 상기 제2내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가 상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가이드홈;을 포함한다.
상기 키홀슬라이드는, 상기 제1슬라이드안착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안착되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양측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이드돌기; 상기 제1몸체부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몸체부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로 이루어진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몸체부의 양측면과 상기 제1돌출부의 양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스토퍼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1접촉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는, 상기 제2슬라이드안착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안착되는 제2몸체부; 상기 제2몸체부의 양측면에서 상기 제2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가이드돌기; 상기 제2몸체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몸체부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로 이루어진 제2돌출부; 및 상기 제2몸체부의 양측면과 상기 제2돌출부의 양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스토퍼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금형은, 일단방향에 상기 제1앵귤러핀이 관통되는 제1상부관통홀 및 타단방향에 상기 제2앵귤러핀이 관통되는 제2상부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키홀슬라이드는 상기 제1상부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제1앵귤러핀이 관통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는 상기 제2상부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제2앵귤러핀이 관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부금형은, 상기 제1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제1앵귤러핀이 관통되는 제1하부관통홀 및 상기 제2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제2앵귤러핀이 관통되는 제2하부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앵귤러핀과 상기 제2앵귤러핀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상호 거리가 멀어지도록 경사진다.
상기 제1하부관통홀 및 상기 제2하부관통홀은 장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금형이 하강하면, 상기 제1앵귤러핀 및 상기 제2앵귤러핀이 상기 제1하부관통홀 및 상기 제2하부관통홀에서 바깥방향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앵귤러핀 및 상기 제2앵귤러핀을 따라 상기 키홀슬라이드 및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가 각각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은,한 쪽면에는 차량과의 무선 송수신을 위한 각종 회로 소자 탑재되고, 다른 한 쪽 면에는 회로 소자가 탑재되지 않은 PCB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PCB기판에서 회로 소자가 탑재되지 않은 면을 하부금형의 기판안착부에 고정시키는 단계; PCB기판에 기계식키가 삽입되도록 키홀을 형성시키는 키홀슬라이드가 하부금형의 일단방향에 형성된 제1슬라이드안착부에 삽입되고, 배터리가 삽입되록 배터리홀을 형성시키는 배터리홀슬라이드가 하부금형의 타단방향에 형성된 제2슬라이드안착부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PCB기판에서 회로 소자가 탑재된 면 위에 상부금형을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금형의 일방향과 상기 키홀슬라이드 및 하부금형의 일방향에 제1앵귤러핀을 관통시키고, 상기 상부금형의 타방향과 배터리홀슬라이드 및 하부금형의 타방향에 제2앵귤러핀을 관통시키는 단계; 상부금형을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 내부에 성형재료를 투입하여 차량용 카드키의 케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를 경화시킨 후 취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은, 제1스토퍼는 제1바닥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기판안착부와 제1내측면 사이에서 제1내측면으로부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스토퍼가 키홀슬라이드의 타면과 선택적으로 접함으로써, 제1스토퍼는 키홀슬라이드가 타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키홀슬라이드의 타면이 제1스토퍼와 접함으로써, 키홀슬라이드가 타단방향으로 과도하게의 슬라이딩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스토퍼는 한 쌍의 제1내측면으로부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바닥면과 상호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키홀슬라이드의 타면이 접할 때, 키홀슬라이드의 과도한 슬라이딩으로 인한 제1스토퍼의 파손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접촉부는 키홀슬라이드가 타단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제1스토퍼와 선택적으로 접하여 키홀슬라이드가 타단방향으로 과도하게 슬라이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1접촉부와 제1스토퍼의 역할 및 제1가이드홈과 제1가이드돌기의 결합구조에 의해 키홀슬라이드가 제1슬라이드안착부에서 정해진 영역 외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됨으로써, 제1접촉부와 제1스토퍼와 제1가이드홈 및 제1가이드돌기는 차량용 카드키의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성형재료가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 사이에 주입될 때, 키홀슬라이드의 잘못된 이동으로 인한 PCB기판의 들뜸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앵귤러핀과 제2앵귤러핀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상호 거리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1하부관통홀 및 제2하부관통홀은 장공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성형재료를 주입하기 위해 상부금형이 하부금형으로 하강하면, 키홀슬라이드의 제1돌출부 및 배터리홀슬라이드의 제2돌출부가 각각 기판안착부 영역으로 삽입됨으로써, PCB기판에서 키홀이 배치되는 영역과 배터리홀이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케이스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2스토퍼는 제2바닥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기판안착부와 제2내측면 사이에서 제2내측면으로부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스토퍼가 키홀슬라이드의 일면과 선택적으로 접함으로써, 제2스토퍼는 키홀슬라이드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키홀슬라이드의 일면이 제2스토퍼와 접함으로써, 키홀슬라이드가 일단방향으로 과도하게의 슬라이딩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2스토퍼는 한 쌍의 제2내측면으로부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바닥면과 상호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키홀슬라이드의 일면이 접할 때, 키홀슬라이드의 과도한 슬라이딩으로 인한 제2스토퍼의 파손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접촉부는 키홀슬라이드가 일단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제2스토퍼와 선택적으로 접하여 키홀슬라이드가 일단방향으로 과도하게 슬라이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2접촉부와 제2스토퍼의 역할 및 제2가이드홈과 제2가이드돌기의 결합구조에 의해 키홀슬라이드가 제2슬라이드안착부에서 정해진 영역 외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됨으로써, 제2접촉부와 제2스토퍼와 제2가이드홈 및 제2가이드돌기는 차량용 카드키의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성형재료가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 사이에 주입될 때, 키홀슬라이드의 잘못된 이동으로 인한 PCB기판의 들뜸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2에 표시된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5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의 키홀슬라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의 배터리홀슬라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 제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에 표시된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5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의 키홀슬라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의 배터리홀슬라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 제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차량용 카드키를 제조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는 상부금형(100)과 하부금형(200)과 키홀슬라이드(300)와 배터리홀슬라이드(400)와 제1앵귤러핀(500) 및 제2앵귤러핀(600)을 포함한다.
상부금형(100)은 차량용 카드키의 케이스를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차량용 카드키의 PCB기판(10)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된다.
하부금형(200)은 상부금형(100)과 함께 차량용 카드키의 케이스를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부금형(100)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차량용 카드키의 PCB기판(10) 하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하부금형(200)은 기판안착부(210)와 제1슬라이드안착부(220) 및 제2슬라이드안착부(230)를 포함한다.
기판안착부(210)는 하부금형(200)의 중심영역에 형성된 것으로서, PCB기판(10)이 안착되는 영역이다.
한편, PCB기판(10)은 한 쪽면에 차량과의 무선 송수신을 위한 각종 회로 소자가 탑재되고, 다른 한 쪽면에는 회로 소자가 탑재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기판안착부(210)에는 PCB기판(10)에서 회로 소자가 탑재되지 않은 면이 안착된다.
즉, 기판안착부(210)에는 PCB기판(10)에서 회로 소자가 탑재되지 않은 면이 안착됨으로써, 차량용 카드키의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성형재료가 상부금형(100) 및 하부금형(200) 사이에 주입되면, 성형재료가 충진되면서 PCB기판(10)의 각종 회로 소자를 실링(SEALING)한다.
한편, 상기 성형재료는 에폭시 몰딩 컴파운드(EPOXY MOLDING COMPOUND; EMC)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EMC는 반도체 내부의 칩과 회로를 습기, 충격, 산화 등의 각종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플라스틱 재료이며, 에폭시 수지에 실리카, 에폭시수지, 페놀수지, 카본블랙, 난연제 등 10여 가지의 원료가 사용되는 복합소재로서, 높은 생산성 및 안정성과 제조 원가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제1슬라이드안착부(220)는 키홀슬라이드(300)가 안착되는 영역으로써, 하부금형(200)에서 기판안착부(210)를 기준으로 일단방향 상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슬라이드안착부(220)는 제1내측면(222)과 제1바닥면(221)과 제1스토퍼(223) 및 제1가이드홈(224)을 포함한다.
제1바닥면(221)은 키홀슬라이드(300)가 제1슬라이드안착부(220)에 안착되면 키홀슬라이드(300)의 하면이 접한다.
제1내측면(222)은 제1바닥면(221)의 양측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키홀슬라이드(300)가 제1슬라이드안착부(220)에 안착되면 키홀슬라이드(300)의 양측면이 접한다.
그리고, 제1내측면(222)은 키홀슬라이드(300)의 너비와 동일한 너비로 상호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내측면(222)은 제1슬라이드안착부(220)에 안착된 키홀슬라이드(300)가 양측면에 유격이 발생되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스토퍼(2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닥면(221)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기판안착부(210)와 제1내측면(222) 사이에서 제1내측면(222)으로부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스토퍼(223)는 제1슬라이드안착부(220)에 안착된 키홀슬라이드(300)에서 배터리홀슬라이드(400)가 배치된 방향, 즉 키홀슬라이드(300)의 타면과 선택적으로 접한다.
따라서, 제1스토퍼(223)는 키홀슬라이드(300)가 타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키홀슬라이드(300)의 타면이 제1스토퍼(223)와 접함으로써, 키홀슬라이드(300)가 타단방향으로 과도하게의 슬라이딩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토퍼(223)는 한 쌍의 제1내측면(222)으로부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바닥면(221)과 상호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키홀슬라이드(300)의 타면이 접할 때, 키홀슬라이드(300)의 과도한 슬라이딩으로 인한 제1스토퍼(22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가이드홈(22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측면(222)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서, 제1슬라이드안착부(220)에 안착된 키홀슬라이드(300)가 상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키홀슬라이드(300)가 제1내측면(222)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제2슬라이드안착부(230)는 배터리홀슬라이드(400)가 안착되는 영역으로써, 하부금형(200)에서 기판안착부(210)를 기준으로 타단방향 상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2슬라이드안착부(230)는 제2내측면(232)과 제2바닥면(231)과 제2스토퍼(233) 및 제2가이드홈(234)을 포함한다.
제2바닥면(231)은 배터리홀슬라이드(400)가 제2슬라이드안착부(230)에 안착되면 배터리홀슬라이드(400)의 하면이 접한다.
제2내측면(232)은 제2바닥면(231)의 양측면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배터리홀슬라이드(400)가 제2슬라이드안착부(230)에 안착되면 배터리홀슬라이드(400)의 양측면이 접한다.
그리고, 제2내측면(232)은 배터리홀슬라이드(400)의 너비와 동일한 너비로 상호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내측면(232)은 제2슬라이드안착부(230)에 안착된 배터리홀슬라이드(400)가 양측면에 유격이 발생되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스토퍼(2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바닥면(231)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기판안착부(210)와 제2내측면(232) 사이에서 제2내측면(232)으로부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스토퍼(233)는 제2슬라이드안착부(230)에 안착된 배터리홀슬라이드(400)에서 키홀슬라이드(300)가 배치된 방향, 즉 배터리홀슬라이드(400)의 일면과 선택적으로 접한다.
따라서, 제2스토퍼(233)는 배터리홀슬라이드(400)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배터리홀슬라이드(400)의 일면이 제2스토퍼(233)와 접함으로써, 배터리홀슬라이드(400)가 일단방향으로 과도하게의 슬라이딩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2스토퍼(233)는 한 쌍의 제2내측면(232)으로부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바닥면(231)과 상호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배터리홀슬라이드(400)의 일면이 접할 때, 배터리홀슬라이드(400)의 과도한 슬라이딩으로 인한 제2스토퍼(23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가이드홈(23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내측면(232)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서, 제2슬라이드안착부(230)에 안착된 배터리홀슬라이드(400)가 상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터리홀슬라이드(400)가 제2내측면(232)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키홀슬라이드(300)는 상부금형(100)과 하부금형(200)의 일단방향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서, 차량용 카드키의 기계식키가 삽입되는 키홀을 형성시킨다.
구체적으로 키홀슬라이드(300)는 차량용 카드키의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성형재료가 상부금형(100) 및 하부금형(200) 사이에 주입되고, 성형재료가 경화되면, 경화된 케이스 내에 빈 공간을 형성시킨다.
이로 인해, 키홀슬라이드(300)는 PCB기판(10)에서 기계식키가 삽입되는 키홀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키홀슬라이드(3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310)와 제1돌출부(330) 및 제1접촉부(340)를 포함한다.
제1몸체부(310)는 키홀슬라이드(3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제1슬라이드안착부(22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안착된다.
따라서, 제1몸체부(310)의 너비는 제1슬라이드안착부(220)의 너비와 동일한 너비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제1슬라이드안착부(220)에 안착된 제1몸체부(310)가 제1슬라이드안착부(220)의 내부에서 효과적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다.
제1가이드돌기(320)는 제1가이드홈(224)과 대응되도록 제1몸체부(310)의 양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것으로서, 제1가이드홈(224)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돌출부(330)는 제1몸체부(310)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으로서, 제1몸체부(310)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돌출부(330)는 키홀슬라이드(300)가 타방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제1스토퍼(223)를 관통하여 기판안착부(210) 영역으로 삽입된다.
이로 인해, 제1돌출부(330)는 케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재료가 투입될 때, PCB기판(10)에 기계식키 삽입되는 키홀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1접촉부(340)는 제1몸체부(310)의 양측면과 제1돌출부(330)의 양측면 사이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서, 키홀슬라이드(300)가 타단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제1스토퍼(223)와 선택적으로 접한다.
즉, 제1접촉부(340)는 키홀슬라이드(300)가 타단방향으로 과도하게 슬라이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접촉부(340)와 제1스토퍼(223)의 역할 및 제1가이드홈(224)과 제1가이드돌기(320)의 결합구조에 의해 키홀슬라이드(300)가 제1슬라이드안착부(220)에서 정해진 영역 외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된다.
이로 인해, 제1접촉부(340)와 제1스토퍼(223)와 제1가이드홈(224) 및 제1가이드돌기(320)는 차량용 카드키의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성형재료가 상부금형(100) 및 하부금형(200) 사이에 주입될 때, 키홀슬라이드(300)의 잘못된 이동으로 인한 PCB기판(10)의 들뜸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배터리홀슬라이드(400)는 상부금형(100)과 하부금형(200) 사이에서 키홀슬라이드(300)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인 타단방향에 배치된다.
그리고, 차량용 카드키의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홀을 형성시킨다.
구체적으로 배터리홀슬라이드(400)는 키홀슬라이드(300)와 마찬가지로 차량용 카드키의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성형재료가 상부금형(100) 및 하부금형(200) 사이에 주입되고, 성형재료가 경화되면, 경화된 케이스 내에 빈 공간을 형성시킨다.
이로 인해, 배터리홀슬라이드(400)는 PCB기판(10)에서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홀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홀슬라이드(40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부(410)와 제2돌출부(430) 및 제2접촉부(440)를 포함한다.
제2몸체부(410)는 배터리홀슬라이드(4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제2슬라이드안착부(23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안착된다.
따라서, 제2몸체부(410)의 너비는 제2슬라이드안착부(230)의 너비와 동일한 너비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제2슬라이드안착부(230)에 안착된 제2몸체부(410)가 제2슬라이드안착부(230)의 내부에서 효과적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다.
제2가이드돌기(420)는 제2가이드홈(234)과 대응되도록 제2몸체부(410)의 양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것으로서, 제2가이드홈(234)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돌출부(430)는 제2몸체부(4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으로서, 제2몸체부(410)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돌출부(430)는 배터리홀슬라이드(400)가 일방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제2스토퍼(233)를 관통하여 기판안착부(210) 영역으로 삽입된다.
이로 인해, 제2돌출부(430)는 케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재료가 투입될 때, PCB기판(10)에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홀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2접촉부(440)는 제2몸체부(410)의 양측면과 제2돌출부(430)의 양측면 사이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서, 배터리홀슬라이드(400)가 일단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제2스토퍼(233)와 선택적으로 접한다.
즉, 제2접촉부(440)는 배터리홀슬라이드(400)가 일단방향으로 과도하게 슬라이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접촉부(440)와 제2스토퍼(233)의 역할 및 제2가이드홈(234)과 제2가이드돌기(420)의 결합구조에 의해 배터리홀슬라이드(400)가 제2슬라이드안착부(230)에서 정해진 영역 외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된다.
이로 인해, 제2접촉부(440)와 제2스토퍼(233)와 제2가이드홈(234) 및 제2가이드돌기(420)는 차량용 카드키의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성형재료가 상부금형(100) 및 하부금형(200) 사이에 주입될 때, 배터리홀슬라이드(400)의 잘못된 이동으로 인한 PCB기판(10)의 들뜸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제1앵귤러핀(500)은 상부금형(100)의 일단방향과 키홀슬라이드(300) 및 하부금형(200)의 일단방향을 관통하고, 제2앵귤러핀(600) 상부금형(100)의 타단방향과 배터리홀슬라이드(400) 및 하부금형(200)의 타단방향을 관통한다.
구체적으로 상부금형(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방향에 제1앵귤러핀(500)이 관통되는 제1상부관통홀(110) 및 타단방향에 제2앵귤러핀(600)이 관통되는 제2상부관통홀(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키홀슬라이드(300)의 제1몸체부(310)는 도 2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부관통홀(110)을 관통한 제1앵귤러핀(500)이 관통되는 제1관통홀(311)이 형성되며, 제2몸체부(410)는 도 2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상부관통홀(120)을 관통한 제2앵귤러핀(600)이 관통되는 제2관통홀(411)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금형(200)은 도 2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부관통홀(110)과 제1관통홀(311)을 관통한 제1앵귤러핀(500)이 관통되는 제1하부관통홀(225) 및 제2상부관통홀(120)과 제2관통홀(411)을 관통한 제2앵귤러핀(600)이 관통되는 제2하부관통홀(235)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앵귤러핀(500)과 제2앵귤러핀(600)은 상부로부터 도 6A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상호 거리가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그리고, 제1하부관통홀(225) 및 제2하부관통홀(235)은 장공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100)이 하부금형(200)으로부터 이격되고, 제1앵귤러핀(500) 및 키홀슬라이드(300)가 일단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앵귤러핀(600) 및 배터리홀슬라이드(400)가 타단방향에 배치된 최초 상태에서 차량용 카드키의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성형재료를 주입하기 위해 상부금형(100)이 하부금형(200)으로 하강하면, 상부금형(100)의 제1상부관통홀(110) 및 제2상부관통홀(120)이 제1앵귤러핀(500) 및 제2앵귤러핀(600)의 상단부를 각각 가압하여 하강시키고, 이로 인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앵귤러핀(500)과 제2앵귤러핀(600)이 장공으로 이루어진 제1하부관통홀(225) 및 제2하부관통홀(235)을 따라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키홀슬라이드(300) 및 배터리홀슬라이드(400)는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앵귤러핀(500) 및 제2앵귤러핀(600)을 따라 각각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로 인해, 키홀슬라이드(300)의 제1돌출부(330) 및 배터리홀슬라이드(400)의 제2돌출부(430)가 각각 기판안착부(210) 영역으로 삽입됨으로써, PCB기판(10)에서 키홀이 배치되는 영역과 배터리홀이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케이스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는 상부금형이 삭제된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한 쪽면에는 차량과의 무선 송수신을 위한 각종 회로 소자가 탑재되고, 나머지 다른 한 쪽면에는 회로 소자가 탑재되지 않은 PCB기판(10)을 마련된다.(S110)
이어서, PCB기판(10)에서 회로 소자가 탑재되지 않은 면을 하부금형(200)의 기판안착부(210)에 고정시킨다.(S120)
이어서, PCB기판(10)에 차량용 카드키의 기계식키가 삽입되도록 키홀을 형성시키는 키홀슬라이드(300)가 하부금형(200)의 일단방향에 형성된 제1슬라이드안착부(220)에 삽입된다.
그리고, PCB기판(10)에 차량용 카드키의 배터리가 삽입되도록 배터리홀을 형성시키는 배터리홀슬라이드(400)가 하부금형(200)의 타단방향에 형성된 제2슬라이드안착부(230)에 삽입된다.(S130)
이어서, PCB기판(10)에서 회로 소자가 탑재된 면 위에 상부금형(100)을 배치시킨다.(S140)
이어서, 상부금형(100)의 일방향과 키홀슬라이드(300) 및 하부금형(200)의 일방향에 제1앵귤러핀(500)을 관통시키고, 상부금형(100)의 타방향과 배터리홀슬라이드(400) 및 하부금형(200)의 타방향에 제2앵귤러핀(600)을 관통시킨다.(S150)
그리고, 상부금형(100)과 키홀슬라이드(300)와 배터리홀슬라이드(400) 및 하부금형(200)에 제1앵귤러핀(500)과 제2앵귤러핀(600)이 삽입되면, 상부금형(100)을 하부금형(200) 방향으로 하강시킨다.(S160)
한편, 하부금형(200)에는 제1앵귤러핀(500)과 제2앵귤러핀(600)이 삽입되는 장공형상의 제1하부관통홀(225) 및 제2하부관통홀(235)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금형(100)이 하부금형(200)으로 하강하면, 상부금형(100)이 제1앵귤러핀(500) 및 제2앵귤러핀(600)의 상단부를 각각 가압하여 하강시키고, 이로 인해 제1앵귤러핀(500)과 제2앵귤러핀(600)이 장공으로 이루어진 제1하부관통홀(225) 및 제2하부관통홀(235)을 따라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앵귤러핀(500)과 제2앵귤러핀(600)이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키홀슬라이드(300) 및 배터리홀슬라이드(400)는 제1앵귤러핀(500) 및 제2앵귤러핀(600)을 따라 각각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로 인해, 키홀슬라이드(300)의 제1돌출부(330) 및 배터리홀슬라이드(400)의 제2돌출부(430)가 각각 기판안착부(210) 영역으로 삽입됨으로써, PCB기판(10)에서 키홀이 배치되는 영역과 배터리홀이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케이스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키홀슬라이드(300) 및 배터리홀슬라이드(400)가 제1슬라이드안착부(220) 및 제2슬라이드안착부(2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제1슬라이드안착부(220)에 형성된 제1스토퍼(223)와 키홀슬라이드(300)가 상호 접하게 되고, 제2슬라이드안착부(230)에 형성된 제2스토퍼(233)와 배터리홀슬라이드(400)가 상호 접하게 됨으로써, 키홀슬라이드(300)는 타방향을 과도하게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고, 배터리홀슬라이드(400)는 일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제1스토퍼(223) 및 제2스토퍼(233)는 한 쌍의 제1내측면(222)과 한 쌍의 제2내측면(232)으로부터 각각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바닥면(221) 및 제2바닥면(231)과 각각 상호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키홀슬라이드(300) 및 배터리홀슬라이드(400)의 과도한 슬라이딩으로 인한 제1스토퍼(223) 및 제2스토퍼(233)의 파손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부금형(100) 및 하부금형(200) 내부에 성형재료를 투입하여 차량용 카드키의 케이스를 형성한다.(S170)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은 제1스토퍼(223)는 제1바닥면(221)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기판안착부(210)와 제1내측면(222) 사이에서 제1내측면(222)으로부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스토퍼(223)가 키홀슬라이드(300)의 타면과 선택적으로 접함으로써, 제1스토퍼(223)는 키홀슬라이드(300)가 타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키홀슬라이드(300)의 타면이 제1스토퍼(223)와 접함으로써, 키홀슬라이드(300)가 타단방향으로 과도하게의 슬라이딩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토퍼(223)는 한 쌍의 제1내측면(222)으로부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바닥면(221)과 상호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키홀슬라이드(300)의 타면이 접할 때, 키홀슬라이드(300)의 과도한 슬라이딩으로 인한 제1스토퍼(223)의 파손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접촉부(340)는 키홀슬라이드(300)가 타단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제1스토퍼(223)와 선택적으로 접하여 키홀슬라이드(300)가 타단방향으로 과도하게 슬라이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접촉부(340)와 제1스토퍼(223)의 역할 및 제1가이드홈(224)과 제1가이드돌기(320)의 결합구조에 의해 키홀슬라이드(300)가 제1슬라이드안착부(220)에서 정해진 영역 외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됨으로써, 제1접촉부(340)와 제1스토퍼(223)와 제1가이드홈(224) 및 제1가이드돌기(320)는 차량용 카드키의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성형재료가 상부금형(100) 및 하부금형(200) 사이에 주입될 때, 키홀슬라이드(300)의 잘못된 이동으로 인한 PCB기판(10)의 들뜸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앵귤러핀(500)과 제2앵귤러핀(600)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상호 거리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1하부관통홀(225) 및 제2하부관통홀(235)은 장공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성형재료를 주입하기 위해 상부금형(100)이 하부금형(200)으로 하강하면, 키홀슬라이드(300)의 제1돌출부(330) 및 배터리홀슬라이드(400)의 제2돌출부(430)가 각각 기판안착부(210) 영역으로 삽입됨으로써, PCB기판(10)에서 키홀이 배치되는 영역과 배터리홀이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케이스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스토퍼(233)는 제2바닥면(231)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기판안착부(210)와 제2내측면(232) 사이에서 제2내측면(232)으로부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스토퍼(233)가 키홀슬라이드(300)의 일면과 선택적으로 접함으로써, 제2스토퍼(233)는 키홀슬라이드(300)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키홀슬라이드(300)의 일면이 제2스토퍼(233)와 접함으로써, 키홀슬라이드(300)가 일단방향으로 과도하게의 슬라이딩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아울러, 제2스토퍼(233)는 한 쌍의 제2내측면(232)으로부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바닥면(231)과 상호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키홀슬라이드(300)의 일면이 접할 때, 키홀슬라이드(300)의 과도한 슬라이딩으로 인한 제2스토퍼(233)의 파손을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접촉부(440)는 키홀슬라이드(300)가 일단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제2스토퍼(233)와 선택적으로 접하여 키홀슬라이드(300)가 일단방향으로 과도하게 슬라이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접촉부(440)와 제2스토퍼(233)의 역할 및 제2가이드홈(234)과 제2가이드돌기(420)의 결합구조에 의해 키홀슬라이드(300)가 제2슬라이드안착부(230)에서 정해진 영역 외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됨으로써, 제2접촉부(440)와 제2스토퍼(233)와 제2가이드홈(234) 및 제2가이드돌기(420)는 차량용 카드키의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성형재료가 상부금형(100) 및 하부금형(200) 사이에 주입될 때, 키홀슬라이드(300)의 잘못된 이동으로 인한 PCB기판(10)의 들뜸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PCB기판 100: 상부금형
110: 제1상부관통홀 120: 제2상부관통홀
200: 하부금형 210: 기판안착부
220: 제1슬라이드안착부 221: 제1바닥면
222: 제1내측면 223: 제1스토퍼
224: 제1가이드홈 225: 제1하부관통홀
230: 제2슬라이드안착부 231: 제2바닥면
232: 제2내측면 233: 제2스토퍼
234: 제2가이드홈 235: 제2하부관통홀
300: 키홀슬라이드 310: 제1몸체부
311: 제1관통홀 320: 제1가이드돌기
330: 제1돌출부 340: 제1접촉부
400: 배터리홀슬라이드 410: 제2몸체부
411: 제2관통홀 420: 제2가이드돌기
430: 제2돌출부 440: 제2접촉부
500: 제1앵귤러핀 600: 제2앵귤러핀

Claims (19)

  1. 차량용 카드키를 제조하는 차량용 카드키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카드키의 PCB기판 상부에 배치된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상기 PCB기판의 하부에 고정된 하부금형;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일단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용 카드키의 기계식키 삽입되는 키홀을 형성시키는 키홀슬라이드; 및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타단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용 카드키의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홀을 형성시키는 배터리홀슬라이드;
    상기 상부금형의 일단방향과 상기 키홀슬라이드 및 상기 하부금형의 일단방향을 관통하는 제1앵귤러핀; 및
    상기 상부금형의 타단방향과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 및 상기 하부금형의 타단방향을 관통하는 제2앵귤러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은, 제1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제1앵귤러핀이 관통되는 제1하부관통홀 및 제2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제2앵귤러핀이 관통되는 제2하부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앵귤러핀과 상기 제2앵귤러핀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상호 거리가 멀어지도록 경사지고,
    상기 제1하부관통홀 및 상기 제2하부관통홀은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금형이 하강하면, 상기 키홀슬라이드 및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의 상면은 상기 상부금형의 하면과 접하고, 상기 키홀슬라이드 및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의 하면은 상기 하부금형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제1앵귤러핀 및 상기 제2앵귤러핀이 상기 제1하부관통홀 및 상기 제2하부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앵귤러핀 및 상기 제2앵귤러핀이 상기 제1하부관통홀 및 상기 제2하부관통홀에서 바깥방향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앵귤러핀 및 상기 제2앵귤러핀을 따라 상기 키홀슬라이드 및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가 각각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
    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은,
    중앙영역 상면에 상기 PCB기판이 안착되는 기판안착부;
    상기 기판안착부를 기준으로 일단방향 상면에 상기 키홀슬라이드가 안착되는 제1슬라이드안착부; 및
    상기 기판안착부를 기준으로 타단방향 상면에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가 안착되는 제2슬라이드안착부;가 형성된 것
    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드안착부는,
    상기 키홀슬라이드의 하면이 접하는 제1바닥면;
    상기 제1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키홀슬라이드의 양측면이 접하는 제1내측면;
    상기 제1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키홀슬라이드에서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가 배치된 방향의 면이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제1내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키홀슬라이드가 상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
    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드안착부는,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의 하면이 접하는 제2바닥면;
    상기 제2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의 양측면이 접하는 제2내측면;
    상기 제2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에서 상기 키홀슬라이드가 배치된 방향의 면이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2스토퍼; 및
    상기 제2내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가 상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
    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홀슬라이드는,
    상기 제1슬라이드안착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안착되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양측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이드돌기;
    상기 제1몸체부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몸체부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로 이루어진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몸체부의 양측면과 상기 제1돌출부의 양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스토퍼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1접촉부;를 포함하는 것
    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는,
    상기 제2슬라이드안착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안착되는 제2몸체부;
    상기 제2몸체부의 양측면에서 상기 제2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가이드돌기;
    상기 제2몸체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몸체부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로 이루어진 제2돌출부; 및
    상기 제2몸체부의 양측면과 상기 제2돌출부의 양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스토퍼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것
    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은, 일단방향에 상기 제1앵귤러핀이 관통되는 제1상부관통홀 및 타단방향에 상기 제2앵귤러핀이 관통되는 제2상부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키홀슬라이드는 상기 제1상부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제1앵귤러핀이 관통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는 상기 제2상부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제2앵귤러핀이 관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것
    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한 쪽면에는 차량과의 무선 송수신을 위한 각종 회로 소자 탑재되고, 다른 한 쪽 면에는 회로 소자가 탑재되지 않은 PCB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PCB기판에서 회로 소자가 탑재되지 않은 면을 하부금형의 기판안착부에 고정시키는 단계;
    PCB기판에 기계식키가 삽입되도록 키홀을 형성시키는 키홀슬라이드가 하부금형의 일단방향에 형성된 제1슬라이드안착부에 삽입되고, 배터리가 삽입되록 배터리홀을 형성시키는 배터리홀슬라이드가 하부금형의 타단방향에 형성된 제2슬라이드안착부에 삽입되는 단계;
    상기 PCB기판에서 회로 소자가 탑재된 면 위에 상부금형을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금형의 일방향과 상기 키홀슬라이드 및 하부금형의 일방향에 제1앵귤러핀을 관통시키고, 상기 상부금형의 타방향과 배터리홀슬라이드 및 하부금형의 타방향에 제2앵귤러핀을 관통시키는 단계;
    상부금형을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 내부에 성형재료를 투입하여 차량용 카드키의 케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를 경화시킨 후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하부금형은, 제1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제1앵귤러핀이 관통되는 제1하부관통홀 및 제2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제2앵귤러핀이 관통되는 제2하부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앵귤러핀과 상기 제2앵귤러핀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상호 거리가 멀어지도록 경사지고,
    상기 제1하부관통홀 및 상기 제2하부관통홀은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금형이 하강하면, 상기 키홀슬라이드 및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의 상면은 상기 상부금형의 하면과 접하고, 상기 키홀슬라이드 및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의 하면은 상기 하부금형의 상면과 접하고, 상기 제1앵귤러핀 및 상기 제2앵귤러핀이 상기 제1하부관통홀 및 상기 제2하부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앵귤러핀 및 상기 제2앵귤러핀이 상기 제1하부관통홀 및 상기 제2하부관통홀에서 바깥방향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1앵귤러핀 및 상기 제2앵귤러핀을 따라 상기 키홀슬라이드 및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가 각각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
    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드안착부는,
    상기 키홀슬라이드의 하면이 접하는 제1바닥면;
    상기 제1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키홀슬라이드의 양측면이 접하는 제1내측면;
    상기 제1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키홀슬라이드에서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가 배치된 방향의 면이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제1내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키홀슬라이드가 상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
    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드안착부는,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의 하면이 접하는 제2바닥면;
    상기 제2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의 양측면이 접하는 제2내측면;
    상기 제2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에서 상기 키홀슬라이드가 배치된 방향의 면이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2스토퍼; 및
    상기 제2내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가 상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
    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키홀슬라이드는,
    상기 제1슬라이드안착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안착되는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양측면에서 상기 제1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이드돌기;
    상기 제1몸체부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몸체부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로 이루어진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몸체부의 양측면과 상기 제1돌출부의 양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스토퍼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1접촉부;를 포함하는 것
    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홀슬라이드는,
    상기 제2슬라이드안착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안착되는 제2몸체부;
    상기 제2몸체부의 양측면에서 상기 제2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가이드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가이드돌기;
    상기 제2몸체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몸체부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로 이루어진 제2돌출부; 및
    상기 제2몸체부의 양측면과 상기 제2돌출부의 양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스토퍼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것
    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관통홀 및 상기 제2하부관통홀은 장공으로 이루어진 것
    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앵귤러핀과 상기 제2앵귤러핀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상호 거리가 멀어지도록 경사진 것
    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은, 일단방향에 상기 제1앵귤러핀이 관통되는 제1상부관통홀 및 타단방향에 상기 제2앵귤러핀이 관통되는 제2상부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는 상기 제1상부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제1앵귤러핀이 관통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제2상부관통홀을 관통한 상기 제2앵귤러핀이 관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것
    인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

  19. 삭제
KR1020180105846A 2018-09-05 2018-09-05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 KR102639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846A KR102639791B1 (ko) 2018-09-05 2018-09-05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
US16/547,816 US11992984B2 (en) 2018-09-05 2019-08-22 Apparatus for manufacturing vehicle card ke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vehicle card key using the same
CN201910832434.0A CN110893658A (zh) 2018-09-05 2019-09-04 制造卡片钥匙的装置以及使用其制造卡片钥匙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846A KR102639791B1 (ko) 2018-09-05 2018-09-05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708A KR20200027708A (ko) 2020-03-13
KR102639791B1 true KR102639791B1 (ko) 2024-02-22

Family

ID=6964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846A KR102639791B1 (ko) 2018-09-05 2018-09-05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92984B2 (ko)
KR (1) KR102639791B1 (ko)
CN (1) CN11089365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1578A (ja) * 1999-04-20 2000-10-31 Micro Seiko:Kk インサート成形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14008727A (ja) * 2012-07-02 2014-01-20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二色成形品の製造装置並びに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7344A (en) * 1993-07-12 1995-04-18 Lake Center Industries, Inc. Single direction cam for insert molding machine
JP2003266502A (ja) 2002-03-14 2003-09-24 Sumitomo Heavy Ind Ltd 型開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447391B2 (ja) * 2003-10-23 2010-04-07 アイシン高丘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タ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0838787B1 (ko) * 2007-03-23 2008-06-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서트사출용 슬라이드코어조립체와 이를 구비한금형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인서트사출방법
JP5163776B2 (ja) * 2010-07-13 2013-03-13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ードキー
JP5637648B2 (ja) * 2011-06-03 2014-12-10 株式会社江東彫刻 二色成形金型
DE102015015507A1 (de) * 2015-11-30 2017-06-01 Audi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dienteils für ein Kraftfahrzeug und Bedienteil für ein Kraftfahrzeug
CN108372632A (zh) 2018-03-13 2018-08-07 苏州经贸职业技术学院 非对称式双向斜抽芯机构及对称式斜向复合抽芯模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1578A (ja) * 1999-04-20 2000-10-31 Micro Seiko:Kk インサート成形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14008727A (ja) * 2012-07-02 2014-01-20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二色成形品の製造装置並びに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70390A1 (en) 2020-03-05
KR20200027708A (ko) 2020-03-13
US11992984B2 (en) 2024-05-28
CN110893658A (zh) 2020-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95841B (zh) 车辆卡片钥匙及其制造方法
US6195269B1 (en) Noise suppressing apparatus
KR102639791B1 (ko)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드키의 제조방법
CN209617319U (zh) 一种后背门装配辅助工装
US9419369B2 (en) Plug-in connec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trol apparatus
JP2010093057A (ja) 樹脂封止電気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95662A (ko) 슬라이드 방식의 내부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CN111630575B (zh) 保护车辆的卡片钥匙免于损坏
KR101853765B1 (ko) 차량용 스마트키
JP6366071B2 (ja) 電子装置
US20060156540A1 (en) Method for aligning a component on a printed circuit board
KR20090051645A (ko) 금형조립체
JP2021190185A (ja) ケース内回路基板への端子接続構造
CN210195474U (zh) 一种遥控钥匙
JP2610448B2 (ja) シールドガラスの位置決め用クリップ
KR101974120B1 (ko) 차량용 스마트키, 차량용 스마트키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10451645B2 (en) Remote sensor construction via integrated vacuum manufacture process
KR101393067B1 (ko) 차량의 무선통신장치
KR101584066B1 (ko)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스위치 제조 방법
KR20170043535A (ko) 전자 제어 유닛, 전자 제어 유닛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 공구 및 방법
KR102324583B1 (ko) 전자 제어 장치
JP2014239103A (ja) 電子制御装置および電子制御ユニット並びに電子制御装置の製造方法
KR102030990B1 (ko) 지지안내부를 구비하는 기판 연결 장치
JP6900785B2 (ja) 複合材料成形品、複合材料組立体、および複合材料成形品の脱型方法
CN209912919U (zh) 电池固定机构、电池结构及浮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