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318B1 -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 Google Patents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318B1
KR102638318B1 KR1020200163647A KR20200163647A KR102638318B1 KR 102638318 B1 KR102638318 B1 KR 102638318B1 KR 1020200163647 A KR1020200163647 A KR 1020200163647A KR 20200163647 A KR20200163647 A KR 20200163647A KR 102638318 B1 KR102638318 B1 KR 102638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sion
arthroscopic surgery
cannula device
fixture
cann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793A (ko
Inventor
채창영
Original Assignee
채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창영 filed Critical 채창영
Priority to PCT/KR2021/00900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25485A1/ko
Priority to CN202110839248.7A priority patent/CN114052853A/zh
Publication of KR2022001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 A61B1/31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for bones or joints, e.g. osteoscopes, arth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2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bones, e.g. intraosseus in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8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2017/564Methods for bone or joint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경 수술시 절개부에 삽입되는 캐뉼라 장치에 있어서, 관절경 수술시 절개부에 삽입되는 캐뉼라 장치에 있어서, 중심부에 삽입중공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의 바깥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상기 바디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것으로, 상기 바디를 상기 절개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관절경 수술시 시술 공간 확보 및 주변 공간 확보를 위한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를 제공하며, 바디를 따라 위치 조절이 용이한 고정체를 형성함으로써, 인체 부위에 따라 캐뉼라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Cannula for arthroscopic}
본 발명은 관절경 수술시 시술 공간 확보 및 주변 공간 확보를 위한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관절 부위 예컨대, 어깨의 회전근개(rotator cuff) 수술이나, 습관성 탈구(Bankart Repair), 무릎뼈, 연골, 십자인대 등의 경우에는 해부학적 형태의 특이함과 협소함으로 인해 시술 공간 확보 및 주변 공간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관절 부위의 수술을 위해 관절경(Arthroscope)이라고 불리는 작은 망원경을 사용하여 신체내부를 보면서 수행하는 관절경 수술(Minimally invasive surgery)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관절경 수술을 위한 시술 공간의 확보와 주변 공간 확보를 위해서, 의료용 캐뉼러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캐뉼러(cannula)는 작은 튜브 또는 삽입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피부를 절개하고 인체 내부로 삽입 고정하면, 상기 삽입된 캐뉼러에 의해 절개부를 확보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캐뉼러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인입공을 통해 각종 시술 도구를 삽입하여 필요한 의료 시술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종래의 캐뉼러의 경우 내부에 시술 기구가 삽입되는 삽입중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관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구비된 외측 지지판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구비된 내측 지지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캐뉼러의 경우, 그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서 다양한 관절 부위에의 적용시 피부 두께 차이 등에 따라 제대로 고정이 되지 않거나 상기 지지판 등이 내시경 시각을 가리는 경우가 있다.
이에 의해 안정적인 시술 공간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아 시술이 어렵고 시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술 중 캐뉼러가 움직일 수가 있어 피부 조직의 절개부에 상처를 줄 수 있다.
또한 해당 관절 부위의 피부 두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의 캐뉼라를 준비하여야 하거나, 맞지 않는 캐뉼라를 장착하였을 경우 다른 캐뉼라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피부 절개부가 확장되어 예후 기간이 길어지거나, 흉터가 크게 남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관절경 수술시 시술 공간 확보 및 주변 공간 확보를 위한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를 제공하며, 바디를 따라 위치 조절이 용이한 고정체를 형성함으로써, 인체 부위에 따라 캐뉼라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관절경 수술시 절개부에 삽입되는 캐뉼라 장치에 있어서, 관절경 수술시 절개부에 삽입되는 캐뉼라 장치에 있어서, 중심부에 삽입중공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의 바깥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상기 바디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것으로, 상기 바디를 상기 절개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체의 회전과 고정을 위한 결합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결합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구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돌기가 복수개로 형성된 경우,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체는, 일측이 열린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는, 내시경 시야 확보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절삭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지지부는, 위치 표시를 위한 표시부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에는, 상기 삽입중공과 연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는, 상기 삽입중공 내부에 지지막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막은, 하나 이상의 절개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선의 중심부에는 인입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관절경 수술시 시술 공간 확보 및 주변 공간 확보를 위한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를 제공하며, 바디를 따라 위치 조절이 용이한 고정체를 형성함으로써, 인체 부위에 따라 캐뉼라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을 위한 절개부를 유지시키고 내시경 등의 수술용 의료기기의 진입 및 절개부 주변의 상처악화를 예방할 수 있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 -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A-A' 단면도.
도 3 - 도 1의 실시예의 고정체의 위치 변경에 따른 사시도.
도 4 -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6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7 및 도 8 - 본 발명의 지지막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
본 발명은 관절경 수술시 시술 공간 확보 및 주변 공간 확보를 위한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를 제공하며, 바디를 따라 위치 조절이 용이한 고정체를 형성함으로써, 인체 부위에 따라 캐뉼라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고정체의 위치 변경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지지막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는, 관절경 수술시 절개부에 삽입되는 캐뉼라 장치에 있어서, 중심부에 삽입중공(110)이 형성된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제1지지부(200)와, 상기 바디(100)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의 바깥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300)와, 상기 바디(100)에 결합되어,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상기 바디(100)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것으로, 상기 바디(100)를 상기 절개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체(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100)는, 상기 바디(100)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외주면을 4개의 영역으로 나누는 때, 상기 외주면에서, 서로로부터 반대 방향을 향하는 두 개의 영역에 결합홈(120)을 반복적으로 가지고, 나머지 영역에 상기 두 개의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평평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고정체(400)는, 상기 바디(100)의 상기 외주면을 고리 형상으로 둘러싸며 상기 고리 형상의 둘레를 따라 볼 때 상기 둘레에서 일부분에 열린 구조 그리고 상기 고리 형상의 내측벽을 따라 볼 때 상기 내측벽에서 마주하는 부분에 결합구(410)를 갖는다.
또한, 상기 고정체(400)는, 상기 바디(100)에 고정 시 상기 열린 구조를 상기 바디(100)에서 상기 나머지 영역 중 하나에 위치시키고 상기 결합구(410)를 상기 바디(100)에서 상기 두 개의 영역에 위치시켜 상기 결합홈(120)에 상기 결합구(410)를 결합시키거나, 상기 바디(100)에 비고정 시 상기 열린 구조를 상기 두 개의 영역 중 하나에 위치시키고 상기 결합구(410)를 상기 나머지 영역에 위치시켜 상기 바디(100)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는, 바디(100)와, 제1지지부(200)와, 제2지지부(300) 그리고 고정체(4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한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바디(100)는 관절경 수술시 형성된 절개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중심부에는 삽입중공(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100)는 관절이 있는 인체의 어느 부위에라도 적용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 예컨대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0)의 삽입중공(110)에는 내시경 등이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200)는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지지부(300)는 상기 바디(100)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의 바깥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지지부(200)와 상기 제1지지부(200)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바디(100)는 상기 제1지지부(200)가 먼저 절개부에 삽입되고, 상기 바디(100)는 절개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2지지부(300)는 절개부의 바깥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절개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부(200) 및 제2지지부(300)는 상기 바디(100)보다는 넓은 단면적을 갖게 되며, 인체 조직에 무리없이 고정되도록 얇은 판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부(200) 및 제2지지부(300)의 형상은 인체 조직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원형 또는 부드러운 모서리를 가지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400)는 상기 바디(100)에 결합되어,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상기 바디(100)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것으로, 상기 바디(100)를 상기 절개부에 고정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절개부의 높이나 인체 피부의 두께, 시술 위치 등에 따라 상기 바디(100)가 절개부에 삽입되는 정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상기 고정체(400)와 상기 바디(100)의 결합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바디(100)를 절개부에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지지부(200)와 바디(100)를 절개부에 삽입하고, 상기 고정체(400)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고정체(400)는 피부 조직과 접촉되어 상기 바디(100)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1지지부(200)와 함께 피부조직을 눌러 수술 시야를 확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디(100)를 절개부 외측으로 인출하거나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체(400)를 상기 바디(100)로부터 결합해제시킴으로써 상기 바디(100)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바디(100)와 고정체(400)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바디(1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체(400)의 회전과 고정을 위한 결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400)에는 상기 결합홈(120)에 대응되는 결합구(4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20)은 상기 바디(10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수평으로 형성되고, 높이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바디(100)에 결합된 고정체(40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바디(100)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 영역에는 상기 결합홈(120)이 돌출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존재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0)의 외주면보다 더 확장되게 상기 결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20)은 상기 바디(100)의 일부 영역 예컨대 4등분되어 마주보는 두 영역에만 형성되고, 다른 마주보는 두 영역에는 확장되지 않은 상기 바디(100)의 외주면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고정체(400)에는 상기 결합홈(120)에 대응되는 결합구(410)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체(400)가 상기 바디(100)에 고정될 때는 상기 결합홈(120)과 상기 결합구(410)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체(400)가 상기 바디(100)에 고정되지 않을 때는 상기 고정체(400)를 회전시켜 상기 결합홈(120)이 형성되지 않은 바디(100) 영역으로 상기 결합구(41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바디(100)에서 고정체(400)가 결합해제되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체(400)의 결합구(410)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체(400)가 상기 바디(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400)는 일측이 열린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100)와의 결합, 고정 및 결합해제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200)는 상기 절개부 내부에 안정적인 안착을 위해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인체에 무리를 주지 않는 둥근 형태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부드러운 모서리를 가지는 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 시야 확보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절삭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표시를 위한 하나 이상의 표시부(2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20)는 상기 제1지지부(200)의 방향을 표시하는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는 상기 절삭부(210)와는 구분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내시경 시야도 확보할 수 있도록 제1지지부(200)의 일부가 절삭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지지부(200)에 내시경 시야 확보를 위한 절삭부(210)가 대향되게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삭부(210)가 대향되게 형성되고, 그 사이에 위치 표시를 위한 대향되게 형성된 표시부(220)가 더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의해 절개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캐뉼라의 위치나 방향의 인식이 용이하도록 하며, 내시경의 시야 확보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300)에는 상기 삽입중공(110)과 연통되는 삽입공(3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공(310)으로 내시경 등이 삽입되어 상기 삽입중공(110)을 통해 절개부 내부를 지나 수술부위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제2지지부(300) 및 상기 바디(100)는 일체로 성형되거나 따로 성형되어 초음파 융착되어 접합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00)는 상기 삽입중공(110) 내부에 지지막(130)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막(130)은 내시경 등이 삽입시 이를 안정적으로 잡아주고, 내시경 주변을 밀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막(130)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선(131)이 형성되어 상기 내시경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면서, 내시경 주변을 밀폐시키도록 한다.
도 7(a)는 단일 절개선(131)이 형성된 것이고, 도 7(b)는 3개의 절개선(131)을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7(c)는 4개의 절개선(131)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막(130)에는 내시경의 원활한 움직임을 위해 상기 절개선(131)의 중심부에 인입공(132)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a)는 단일 절개선(131)의 중심부에 인입공(132)이 형성된 것이고, 도 8(b)는 3개의 절개선(131) 중심부에 인입공(132)이 형성된 것이고, 도 8(c)는 4개의 절개선(131) 중심부에 인입공(132)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는, 상기 바디(100)와 제1지지부(200)는 절개부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체(400)를 상기 바디(100)에 결합하여 회전시켜 인체의 피부조직의 두께나 형태에 따라 상기 바디(100)의 특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즉, 절개부 주변의 피부조직은 상기 고정체(400)와 상기 제1지지부(200)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고정체(400)의 바디(100)에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체(400)와 상기 제1지지부(200)가 어느 정도 피부조직을 압박하여 내시경 시야 확보 및 수술 주변 공간 확보가 용이하도록 한다.
도 3은 절개부의 피부조직의 두께에 따라 상기 고정체(4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정체(400)를 상기 바디(100)로부터 결합해제시킬때는 상기 고정체(400)를 90도 회전시켜 상기 결합홈(120)이 없는 영역의 바디(100) 외주면으로 상기 결합구(410)를 이동시켜 상기 고정체(400)를 상하로 움직여 위치를 잡은 후 다시 상기 고정체(400)를 90도 회전시켜 상기 결합홈(120)에 상기 결합구(410)를 결합시키면 상기 고정체(400)는 상기 바디(100)에 고정되게 된다.
즉, 피부조직의 두께에 따라 상기 고정체(400)에 의해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상기 바디(100)의 높이를 가변시킴으로써, 피부조직이나 인체 부위에 상관없이 절개부에 바디(1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는, 바디를 따라 위치 조절이 용이한 고정체를 형성함으로써, 인체 부위에 따라 캐뉼라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관절경 수술시 시술 공간 확보 및 주변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을 위한 절개부를 유지시키고 내시경 등의 수술용 의료기기의 진입 및 절개부 주변의 상처악화를 예방할 수 있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100 : 바디 110 : 삽입중공
120 : 결합홈 130 : 지지막
131 : 절개선 132 : 인입공
200 : 제1지지부 210 : 절삭부
220 : 표시부 300 : 제2지지부
310 : 삽입공 400 : 고정체
410 : 결합구

Claims (12)

  1. 관절경 수술시 절개부에 삽입되는 캐뉼라 장치에 있어서,
    중심부에 삽입중공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제1지지부;
    상기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의 바깥에 위치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는 상기 바디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것으로, 상기 바디를 상기 절개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외주면을 4개의 영역으로 나누는 때, 상기 외주면에서, 서로로부터 반대 방향을 향하는 두 개의 영역에 결합홈을 반복적으로 가지고, 나머지 영역에 상기 두 개의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평평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바디의 상기 외주면을 고리 형상으로 둘러싸며 상기 고리 형상의 둘레를 따라 볼 때 상기 둘레에서 일부분에 열린 구조 그리고 상기 고리 형상의 내측벽을 따라 볼 때 상기 내측벽에서 마주하는 부분에 결합구를 가지고,
    상기 바디에 고정 시 상기 열린 구조를 상기 바디에서 상기 나머지 영역 중 하나에 위치시키고 상기 결합구를 상기 바디에서 상기 두 개의 영역에 위치시켜 상기 결합홈에 상기 결합구를 결합시키거나,
    상기 바디에 비고정 시 상기 열린 구조를 상기 두 개의 영역 중 하나에 위치시키고 상기 결합구를 상기 나머지 영역에 위치시켜 상기 바디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가 복수개로 형성된 경우,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내시경 시야 확보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절삭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위치 표시를 위한 표시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에는,
    상기 삽입중공과 연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삽입중공 내부에 지지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막은,
    하나 이상의 절개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중심부에 인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KR1020200163647A 2020-07-29 2020-11-30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KR102638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9003 WO2022025485A1 (ko) 2020-07-29 2021-07-13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CN202110839248.7A CN114052853A (zh) 2020-07-29 2021-07-23 关节镜手术用套管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94760 2020-07-29
KR1020200094760 2020-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793A KR20220014793A (ko) 2022-02-07
KR102638318B1 true KR102638318B1 (ko) 2024-02-19

Family

ID=8025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647A KR102638318B1 (ko) 2020-07-29 2020-11-30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3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8796A1 (en) 2008-10-23 2011-02-03 Patton Surgical Corporation Cannula Anchor
WO2012157878A2 (ko) 2011-05-18 2012-11-22 Son Jung-Wan 길이 조절형 캐뉼러
JP2014155681A (ja) * 2013-02-14 2014-08-28 Nition:Kk 内視鏡下手術用器具保持クリップ
KR101625371B1 (ko) * 2014-05-09 2016-05-31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68162A1 (en) * 2009-04-15 2010-10-21 Ethicon Endo-Surgery, Inc. Cannula with sealing elements
GB2553045B (en) * 2016-08-17 2019-02-13 Rebound Therapeutics Corp Cannula with proximally mounted camera
KR102533174B1 (ko) * 2020-06-11 2023-05-17 서예명 수술용 보온병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용 보온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8796A1 (en) 2008-10-23 2011-02-03 Patton Surgical Corporation Cannula Anchor
WO2012157878A2 (ko) 2011-05-18 2012-11-22 Son Jung-Wan 길이 조절형 캐뉼러
JP2014155681A (ja) * 2013-02-14 2014-08-28 Nition:Kk 内視鏡下手術用器具保持クリップ
KR101625371B1 (ko) * 2014-05-09 2016-05-31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793A (ko)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17931B (zh) 光学套管针可视化系统及设备
JP5327749B2 (ja) 取り外し可能な光学穿刺部材を有するアクセスシース
US8038652B2 (en) Button cannula
US7766824B2 (en) Surgical hand access apparatus
US20090036738A1 (en) Device for creating a free transcutaneous access to an endoscopic operating area
US20100274081A1 (en) Visual veress needle assembly
JP2004195037A (ja) 医療用処置器具の挿入ポート
JP2008504051A (ja) 外科手術用ハンドアクセス装置
US20080277853A1 (en) Clip for coupling a surgical tool and scope
BRPI0904882A2 (pt) dispositivo de acesso cirúrgico
BR112012000457B1 (pt) Acessório para encerrar parcialmente uma haste de um endoscópio e endoscópio
JP2016513501A (ja) 関節鏡視下フレキシブルポータルカニューレ装置及び送給システム
US9414830B2 (en) Surgical access assembly including adhesive members for secure attachment to skin surfaces
CA2690769A1 (en) Access port with sutur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flapper with inserts
BRPI0704529B1 (pt) montagem compreendendo um dispositivo de iluminação percutâneo
KR102638318B1 (ko)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US20070162054A1 (en) Suture thread shifting device
EP2630906B1 (en) Surgical support assembly
CN114052853A (zh) 关节镜手术用套管装置
US20100262079A1 (en) Bendable veress needle assembly
US11529040B2 (en) Endoscope attachment mechanisms and methods of use
KR102293147B1 (ko) 복강경 수술용 운드 리트랙터
US20200268412A1 (en) Access assembly including flexible cannula
KR101737926B1 (ko) 의료용 관절경 및 이를 위한 캐뉼라
AU2011239219B2 (en) Surgical hand access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