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297B1 - System of on-line billiards gam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of on-line billiards gam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297B1
KR102637297B1 KR1020210120135A KR20210120135A KR102637297B1 KR 102637297 B1 KR102637297 B1 KR 102637297B1 KR 1020210120135 A KR1020210120135 A KR 1020210120135A KR 20210120135 A KR20210120135 A KR 20210120135A KR 102637297 B1 KR102637297 B1 KR 102637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score
inning
play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1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37719A (en
Inventor
남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빌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빌리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빌리츠
Priority to KR1020210120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297B1/en
Publication of KR20230037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7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2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6Computing the game s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7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involving branching, e.g. choosing one of several possible scenarios at a given point in ti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9Saving the game status; Pausing or ending the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문제 출제자로부터 챌린지 문제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챌린지를 난이도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플레이어 단말기로부터 게임 요청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플레이어에 의해 선택된 게임 진행 방법 및 난이도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챌린지 문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챌린지 문제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게임 제공부, 플레이어로부터 골프 모드 방식 또는 볼링 모드 방식을 선택받는 모드 선택부, 당구대의 일측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당구대의 상면을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되는 게임의 진행 방법에 따라 득점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득점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면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해당 이닝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고, 이닝별로 산출된 점수를 합산하여 전체 획득 점수를 산출하는 게임 진행부, 그리고 제공되는 챌린지 문제에 해당되는 수구 및 2개의 목적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빔프로젝터를 통해 출력시키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billiards game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game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a database that collects challenge problems from a plurality of problem solvers, classifies and stores the collected challenges according to difficulty, and a player terminal, the game progress method and difficulty level selected by the player are provided. Accordingly, a game providing unit that extracts and provides one challenge problem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hallenge problems stored in the database, a mode selection unit that selects a golf mode method or a bowling mode method from the player, and a camera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illiard table A video receiving unit that acquires an image captured from the top, a judgment unit that analyzes the acquired video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core was successful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ogressing the gam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core was successful, it responds to the selected mode and A game progress unit that calculates the score and calculates the total score by adding up the scores calculated for each inning, and a device that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challenge problem and displays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Or, it includes an output unit that outputs data through a beam projector.

Description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OF ON-LINE BILLIARDS GAME AND METHOD THEREOF}Online billiards game system and method {SYSTEM OF ON-LINE BILLIARDS GA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당구 게임으로써, 플레이어로부터 골프 모드 방식 또는 볼링 모드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 받아 게임을 진행하며, 선택된 모드에 따라 득점 점수를 산출하는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billiards game system and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billiards game provided online, where the player selects either a golf mode or a bowling mode to play the game, and the selected It relates to an online billiards game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scoring points depending on the mode.

당구는 수평이 유지되는 사각 당구대 안에 공을 게임의 종류에 따라 놓고 인원수를 정해 게임에 참여된 사람의 순서대로 큐(Cue)를 이용하여 당구공을 쳐서 점수가 달성되면 게임이 종료되는 스포츠의 한 종류이다.Billiards is a sport in which the balls are placed on a horizontal, square billiard table according to the type of game, the number of people is set, and the game ends when the score is achieved by hitting the billiard balls using a cue in the order of the people participating in the game. It's kind.

모든 당구 경기는 그 종목에 따라 다소 특수한 조건이 붙는 이외에 서브권(權)의 선택방법, 무효, 유효, 실격(失格) 조건 등의 룰은 모두 같다. 적색 공과 백색 공을 각 2개씩으로 하는 4구 경기 이외의 종목은 모두 적색 공 1개, 백색 공 2개로 한다. 단, 포켓 게임은 공의 개수 및 색이 상이하다. 백색 공 1개는 내공이 되고 이것은 경기가 끝날 때까지 변함이 없으며, 만일 상대의 내공으로 쳤을 때는 무효가 된다. In all billiards games, other than having somewhat special conditions depending on the game, the rules such as how to select the right to serve, invalidity, validity, and disqualification conditions are all the same. Except for the 4-ball game, which uses 2 red balls and 2 white balls, all games use 1 red ball and 2 white balls. However, pocket games have different numbers and colors of balls. One white ball becomes an inside ball and this does not change until the end of the game. If it is hit by an opponent's inside ball, it is invalid.

득점은 내공으로 다른 2개의 공을 맞혔을 때 얻는다. 1회의 득점은 4구의 경우 백색공과 적색공을 맞혔을 때는 2점, 적색공 2개를 맞혔을 때는 3점, 3개 모두 맞혔을 때는 5점이다. 실패하지 않으면 연속하여 득점을 해나가며, 각자의 점수를 빨리 딴 쪽이 승자가 된다. A point is scored when you hit two other balls with an inside attack. In the case of 4 balls, the score for one game is 2 points if a white ball and a red ball are hit, 3 points if two red balls are hit, and 5 points if all three balls are hit. If you do not fail, you will continue to score points, and the player who gets their points the fastest will be the winner.

이러한 당구 게임은 게임을 하는 자들이 번갈아 가며 수구를 타격하기 때문에, 득점이 용이한 상황과 득점이 어려운 상황이 랜덤하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게임을 하는 자들은 자신의 당구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정확한 가이드 라인을 가지기 어려울 뿐 아니라 당구 게임을 체계적으로 배우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In this billiards game, players take turns hitting the cue ball, so situations in which scoring is easy and situations in which scoring is difficult appear at random. Therefore, not only is it difficult for those who play the game to have accurate guidelines for their billiards skills, but it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making it difficult to systematically learn the billiards gam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국내 등록특허 10-2273581(2021.07.07.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behind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Domestic Patent No. 10-2273581 (announced on July 7, 202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당구 게임으로써, 플레이어로부터 골프 모드 방식 또는 볼링 모드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 받아 게임을 진행하며, 선택된 모드에 따라 득점 점수를 산출하는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billiards game provided online, where the player selects either a golf mode or a bowling mode to play the game, and calculates the score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It relates to game systems and methods.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문제 출제자로부터 챌린지 문제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챌린지를 난이도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플레이어 단말기로부터 게임 요청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플레이어에 의해 선택된 게임 진행 방법 및 난이도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챌린지 문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챌린지 문제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게임 제공부, 플레이어로부터 골프 모드 방식 또는 볼링 모드 방식을 선택받는 모드 선택부, 당구대의 일측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당구대의 상면을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되는 게임의 진행 방법에 따라 득점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득점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면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해당 이닝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고, 이닝별로 산출된 점수를 합산하여 전체 획득 점수를 산출하는 게임 진행부, 그리고 제공되는 챌린지 문제에 해당되는 수구 및 2개의 목적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빔프로젝터를 통해 출력시키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is technical problem, when a game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a database and a player terminal that collects challenge problems from a plurality of problem questioners and classifies and stores the collected challenges according to difficulty, A game providing unit that extracts and provides one challenge problem from a plurality of challenge problems stor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game progress method and difficulty selected by the player; a mode selection unit that receives the golf mode method or bowling mode method from the player; A video receiving unit that acquires an ima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illiard table from a camera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illiard table; a judgment unit that analyzes the acquired video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core was successful depending on how the game is play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core was successful, A game progress section that calculates the score for the inning in response to the selected mode and calculates the total score by adding up the scores calculated for each inning, and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challenge problem. and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device or beam projector.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이용하여 플레이어가 당구대에 위치시킨 수구 및 2개의 목적구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빔프로젝터를 통해 출력되는 수구 및 2개의 목적구의 위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구 및 2개의 목적구가 표시된 위치와 일치하면, 플레이 시작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Using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placed on the billiard table by the player match the positions of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output through the display device or beam projector, and the cue ball and If the two object balls match the displayed positions,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hat outputs a play start command.

상기 게임 진행부는, 상기 플레이어에 의해 골프 모드가 선택되면, 각 이닝 별로 도전 횟수를 상이하게 설정하고, 성공할 때까지 같은 포지션에서 반복적으로 게임을 수행하며, 샷 수가 적은 플레이어가 승리하도록 게임을 진행하고, 상기 플레이어에 의해 볼링 모드가 선택되면, 각 이닝 별로 득점을 성공한 샷의 횟수에 따라 점수를 수여하며, 전체 이닝의 점수를 합하여 고득점을 한 플레이어가 승리하도록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When the golf mode is selected by the player, the game progress unit sets a different number of challenges for each inning, repeatedly plays the game in the same position until success, and proceeds the game so that the player with the fewest shots wins. , when the bowling mode is selected by the player, points are awar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hots that successfully score points for each inning, and the game can be played so that the player with the highest score wins by adding up the scores of all innings.

상기 게임 진행부는, 해당되는 게임이 골프 모드 방식일 경우, 득점을 성공할 때까지 수행된 샷 수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이닝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If the game in question is a golf mode, the game progress unit may calculate the score of the corresponding inning using the number of shots performed until a score is achieved.

상기 게임 진행부는, 해당되는 게임이 볼링 모드 방식일 경우, 해당 이닝에 설정된 샷 횟수마다 각각 상이한 가중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이닝의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If the game in question is a bowling mode, the game progress unit may set different weights for each number of shots set in the relevant inning and calculate the score of the relevant inning using the set weights.

상기 게임 진행부는, 해당되는 게임이 볼링 모드 방식일 경우, 해당 이닝에서 첫 번째 샷으로 득점을 하면 이전의 2개의 이닝에서 획득한 점수를 가산하고, 두 번째 샷으로 득점을 하면 이전의 1개의 이닝에서 획득한 점수를 가산하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If the game in question is in bowling mode, the game progress unit adds the points obtained in the previous two innings if a point is scored with the first shot in the relevant inning, and if a point is scored with the second shot, the points obtained in the previous one inning are added. The score can be calculated by adding the points obtained.

상기 게임 진행부는, 볼링 모드 방식일 경우, 득점을 한 샷의 횟수에 따라 각각 상이한 색으로 성공 샷 수를 표시할 수 있다. When using the bowling mode, the game progress unit may display the number of successful shots in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number of shots that score poin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당구 게임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문제 출제자로부터 챌린지 문제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챌린지를 난이도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플레이어 단말기로부터 게임 요청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플레이어에 의해 선택된 게임 진행 방법 및 난이도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챌린지 문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챌린지 문제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 플레이어로부터 골프 모드 방식 또는 볼링 모드 방식을 선택받는 단계, 제공되는 챌린지 문제에 해당되는 수구 및 2개의 목적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빔프로젝터를 통해 출력시키는 단계, 당구대의 일측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당구대의 상면을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되는 게임의 진행 방법에 따라 득점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득점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면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해당 이닝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고, 이닝별로 산출된 점수를 합산하여 전체 획득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nline billiards game method using an online billiards game system, collecting challenge problems from a plurality of problem testers, classifying and storing the collected challenges according to difficulty level, a player terminal Upon receiving a game request signal from the player, extracting and providing one challenge problem from among a plurality of challenge problems stor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game progress method and difficulty level selected by the player, a golf mode method or a bowling mode method from the player. A step of selecting,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challenge problem, and outputting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device or beam projector, captu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illiard table from a camera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illiard table. Obtaining the captured video, analyzing the acquired video to determine whether the score was successful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ogressing the gam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core was successful, the score for the inning is calculated in response to the selected mode. It includes the step of calculating the total score obtained by adding up the scores calculated for each inning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 모드 방식 또는 볼링 모드 방식으로 게임을 제공하므로 플레이어로 하여금 모드 선택이 가능하고, 선택된 모드에 따라 이닝별 득점 방법이 상이하여 플레이어로 하여금 흥미를 유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me is provided in a golf mode or a bowling mode, allowing the player to select a mode, and the scoring method for each inning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lected mode, thereby inducing interest in the play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닝별 득점 방법이 상이한 복수의 게임 종류를 제공하며, 같은 게임을 참여하는 참가자들에게 동일한 난이도 및 동일한 문제를 적용하고, 적용된 게임 룰에 따른 득점 점수를 자동적으로 산출하므로 복수의 플레이어들이 각각 상이한 장소에서 온라인을 통해 당구 게임을 즐길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game types with different scoring methods for each inning are provided, the same difficulty level and the same problems are applied to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ame game, and the scoring score is automatically calculated according to the applied game rules. Multiple players can enjoy billiards games online at different loc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온라인 당구 게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당구 게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S340단계에서 당구대에 수구 및 2개의 목적구를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S350단계에서 골프 모드 방식으로 진행하였을 때의 점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는 도 3의 S350단계에서 볼링 모드 방식으로 진행하였을 때의 점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nline billiards g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nline billiard game device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nline billiards game method using an online billiards g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are placed on the billiard table in step S340 of Figure 3.
FIG. 5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score when the golf mode is used in step S350 of FIG. 3 .
FIG. 6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alculating scores when the bowling mode is used in step S350 of FIG. 3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Then,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nline billiards g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FIG.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nline billiards g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당구게임 시스템은 카메라(100), 게임 서버(200), 디스플레이 장치(300), 복수의 제1 사용자 단말기(400) 및 복수의 제2 사용자 단말기(5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online billiard g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100, a game server 200, a display device 300, a plurality of first user terminals 400, and a plurality of first user terminals 400. 2 Includes a user terminal (500).

카메라(100)는 실제 당구대의 상측에 설치되어 당구대 위의 사용자 당구 플레이를 촬영한다.The camera 1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actual billiard table and captures the user's billiard play on the billiard table.

카메라(100)는 당구대 전체를 포함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촬영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The camera 100 generates a captured image including the entire billiard table, and can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gam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카메라(100)는 수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샷 마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100)는 당구공의 움직임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당구공의 움직임이 종료되는 시점까지를 한번의 샷으로 감지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mera 100 can detect the movement of the cue ball and generate an image for each user's shot. For example, the camera 100 can generate an image by detecting the time from the start of the movement of the billiard ball to the end of the movement of the billiard ball in one shot.

다음으로 게임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챌린지 문제를 제공하되 플레이어에 의해 선택된 골프 모드 방식 또는 볼링 모드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한다. Next, the game server 200 provides challenge problems stored in the database and proceeds with the game in the golf mode or bowling mode selected by the player.

이를 다시 설명하면, 게임 서버(200)는 플레이어로부터 게임 진행 요청을 입력받으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챌린지 문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챌린지 문제를 제공한다. 이때, 게임 서버(200)는 제공되는 챌린지 문제에 대응하는 수구 및 2개의 목적구에 대한 위치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출력시킨다. To explain this again, when the game server 200 receives a game progress request from a player, it provides one challenge problem among a plurality of challenge problems stored in the database. At this time, the game server 200 outputs the positions of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challenge problem through the display device 300.

플레이어가 수구 및 2개의 목적구를 지정 위치에 위치시킨 다음, 득점을 위해 샷을 수행한다. 그러면 카메라(100)는 수구 및 2개의 목적구의 이동을 촬영하여 게임 서버(200)에 전달한다. The player places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in designated positions and then takes a shot to score. Then, the camera 100 films the movement of the cue ball and the two object balls and transmits the film to the game server 200.

그러면, 게임 서버(200)는 카메라(10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여 득점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게임 서버(200)는 골프 모드 방식 또는 볼링 모드 방식 중에서 플레이어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득점 여부를 판단하고 결과를 점수화한다. Then, the game server 200 analyzes the video received from the camera 100 and determines whether a score has been scored. At this time, the game server 200 determines whether a score is scored according to the mode selected by the player among the golf mode or bowling mode and scores the result.

그리고, 게임 서버(200)는 득점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출력시킨다. Then, the game server 200 outputs the scoring result through the display device 300.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플레이어의 샷에 대한 득점 여부 또는 기 설정된 횟수에 따라 득점 여부를 화면 일부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스마트폰부터 TV, 모니터 및 빔 프로젝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display device 300 may display on a portion of the screen whether a player scores a shot or whether a player scores a shot according to a preset number of shots. Meanwhile, the display device 300 includes at least one of a smartphone, a TV, a monitor, and a beam projector.

그 다음, 제1 사용자 단말기(400)는 문제 출제자들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로서, 게임 서버(200)에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제1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하여 복수의 문제 출제자가 챌린지 문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first user terminal 400 is a user terminal for problem testers, and is connected to the game server 200 through a network, and a plurality of problem testers can input challenge problems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200. Let it happen.

마지막으로, 제2 사용자 단말기(500)는 플레이어들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로서, 게임 서버(200)에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플레이어는 제2 사용자 단말기(500)를 통해 게임 진행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플레이어는 게임 도중에 기존의 출제된 문제 이외에 새로운 문제를 제2 사용자 단말기(500)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Lastly, the second user terminal 500 is a user terminal for players and is connected to the game server 200 through a network. The player transmits a game progress request signal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500. Additionally, the player may provide new problems in addition to existing problems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500 during the game.

한편, 제1 사용자 단말기(400)와 제2 사용자 단말기(50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용자 단말기일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사용 주체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기(400)와 제2 사용자 단말기(500)로 구분하여 명명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first user terminal 4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50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user terminal, 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y are divided into the first user terminal 4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500 depending on the user. Be sure to name them separately.

또한, 제1 사용자 단말기(40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500)는 휴대가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로서,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이동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user terminal 4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500 are portable user terminals, such as laptop computers, workstations, palmtop computer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web computers. It can be implemented as a device that can exchange information by connecting to a network wired or wirelessly, such as a pad 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에서는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당구 게임 장치(2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nline billiard game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FIG. 2.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온라인 당구 게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nline billiard game device shown in FIG.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당구 게임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210), 게임제공부(220), 모드 선택부(230), 영상 수신부(240), 판단부(250), 게임 진행부(260), 제어부(270) 및 출력부(28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line billiards game device 200 includes a database 210, a game providing unit 220, a mode selection unit 230, an image receiving unit 240, and a judgment. It includes a unit 250, a game progress unit 260, a control unit 270, and an output unit 280.

먼저, 데이터베이스(210)는 챌린지 문제를 수집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데이터베이스(210)는 복수의 제1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챌린지 문제릴 수신하고, 수신된 챌린지 문제를 난이도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한다. First, the database 210 collects challenge problems. To explain this again, the database 210 receives challenge problem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first user terminals 400, classifies the received challenge problems according to difficulty level, and stores them.

게임제공부(220)는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복수의 챌린지 문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챌린지 문제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부연하자면, 게임제공부(220)는 플레이어가 사용하고 있는 제2 사용자 단말기(500)로부터 게임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플레이어는 개인 구력 및 난이도를 입력한다. 그러면, 게임제공부(220)는 입력된 개인 구력 및 난이도에 따라 챌린지 문제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The game providing unit 220 extracts and provides one challenge problem from among a plurality of challenge problems stored in the database 210. To elaborate, the game provider 220 receives a game request signal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500 that the player is using. At this time, the player inputs personal skill and difficulty level. Then, the game providing unit 220 extracts and provides challenge problems according to the input personal experience and level of difficulty.

모드 선택부(230)는 당구 게임을 골프 모드 방식 또는 볼링 모드 방식으로 분류하고, 플레이어로부터 게임 진행 방식을 선택받는다. The mode selection unit 230 classifies the billiard game into a golf mode or a bowling mode and receives a selection of the game progress method from the player.

여기서 골프 모드 방식은 각 이닝 별로 도전 횟수를 상이하게 설정하고, 성공할 때까지 같은 포지션에서 반복적으로 게임을 수행하며, 샷 수가 적은 플레이어가 승리하도록 하는 게임 방식을 나타낸다. Here, the golf mode method refers to a game method in which the number of challenges is set differently for each inning, the game is played repeatedly in the same position until success, and the player with fewer shots wins.

그리고, 볼링 모드 방식은 각 이닝 별로 득점을 성공한 샷의 횟수에 따라 점수를 수여하며, 전체 이닝의 점수를 합하여 고득점을 한 플레이어가 승리하도록 하는 게임 방식을 나타낸다. In addition, the bowling mode method refers to a game method in which points are awar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uccessful shots in each inning, and the scores of all innings are added together so that the player with the highest score wins.

영상 수신부(240)는 카메라(100)로부터 당구대의 상면을 촬영한 게임 영상을 수신한다. The image receiver 240 receives a game image captured from the camera 100 of the top surface of the billiard table.

판단부(250)는 수신된 게임 영상을 이용하여 수구의 움직임을 추출하고, 추출된 수구의 움직임에 따라 득점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각 게임마다 수구 및 2개의 목적구는 시작 위치를 설정시킨다. The determination unit 250 extracts the movement of the cue ball using the received game video,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core was successful based on the extracted movement of the cue ball. To explain this again, for each game,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are set at starting positions.

게임 진행부(260)는 이닝마다 득점에 따른 점수를 산출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 게임은 게임 방식에 따라 득점 점수를 산출하는 방법이 상이하므로, 게임 진행부(260)는 플레이어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이닝에 대응하는 점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게임 진행부(260)는 각 이닝마다 산출된 점수를 합산한다. The game progress unit 260 calculates a score according to the score for each inning. At this time, since the billiard g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t method of calculating the score depending on the game method, the game progress unit 260 calculates the score corresponding to the inning in response to the mode selected by the player. Then, the game progress unit 260 adds up the scores calculated for each inning.

제어부(270)는 플레이어로부터 게인 진행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추출된 챌린지 문제에 따라 수구 및 2개의 목적구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출력시킨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카메라(100)로부터 수신된 게임 영상을 이용하여 수구 및 2개의 목적구가 해당 지정 위치에 놓여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지정 위치에 놓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플레이 시작 명령을 출력한다. When the control unit 270 receives a gain progress request signal from the player, it outputs the positions of the cue ball and the two object balls according to the extracted challenge problem through the display device 300. Then, the control unit 270 uses the game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100 to determine whether the cue ball and the two object balls are placed at the designated positions. Th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ice is placed at the designated position, the control unit 270 outputs a play start command.

마지막으로 출력부(280)는 제어부(270)로부터 수구 및 2개의 목적구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출력시킨다. 또한, 출력부(280)는 게임 진행부(260)를 통해 획득한 점수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출력시킨다.Finally, the output unit 280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cue ball and the two object balls from the control unit 270 and outputs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device 300. Additionally, the output unit 280 outputs the score obtained through the game progress unit 260 through the display device 300.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당구 게임 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nline billiards game method using an online billiards g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FIGS. 3 to 6.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당구 게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ure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nline billiards game method using an online billiards gam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200)는 복수의 챌린지 문제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S310).As shown in FIG. 3, the gam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 plurality of challenge problems and builds a database (S310).

부연하자면, 문제 출제자는 제1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출제하고자 하는 문제를 입력한다. 여기서, 문제 출제자는 프로 당구 선수들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출제자가 포함될 수 있다. To elaborate, the problem tester inputs the question to be presented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400. Here, the problem testers may be professional billiards players, and various question posers may be included to arouse the user's interest and interest.

게임 서버(200)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210)에 입력된 챌린지 문제를 난이도별로 저장한다. The game server 200 stores the challenge problems entered into the constructed database 210 by level of difficulty.

그 다음, 플레이어로부터 게임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게임 서버(200)는 게임하고자 하는 챌린지 문제를 추출한다(S320).Next, upon receiving a game request signal from the player, the game server 200 extracts a challenge problem to be played (S320).

이를 다시 설명하면, 플레이어는 소지하고 있는 제2 사용자 단말기(500)을 이용하여 게임 서버(200)에 접속한다. 그리고, 플레이어는 게임 요청 신호와 함께 자신의 구력 및 점수를 입력한다. To explain this again, the player connects to the game server 200 using the second user terminal 500 owned by the player. Then, the player inputs his/her performance and score along with a game request signal.

그러면, 게임 제공부(260)는 게임을 요청한 플레이어의 구력 및 점수를 이용하여 적정한 챌린지 문제를 추출한다. Then, the game provider 260 extracts an appropriate challenge problem using the skill and score of the player who requested the game.

S320 단계가 완료되면, 모드 선택부(230)는 해당되는 플레이어의 제2 사용자 단말기(500)에 게임 방식에 따른 모드 정보를 제공하여 플레이어로 하여금 게임 모드를 선택하게 한다(S330).When step S320 is completed, the mode selection unit 230 provides mod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ame metho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500 of the corresponding player, allowing the player to select a game mode (S3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200)는 골프 모드 방식 또는 볼링 모드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드를 통해 당구 게임을 진행한다. The gam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lays a billiards game through either a golf mode or a bowling mode.

여기서 골프 모드 방식은 이닝 횟수와 각 이닝마다 도전 횟수가 설정되며, 설정된 도전 횟수를 기준횟수로 하여 점수가 산출된다. 그리고, 골프 모드 방식은 각 이닝마다 산출된 점수를 합산하여 획득한 전체 획득 점수 낮은 플레이어가 승리하도록 하는 게임 방식을 나타낸다. Here, in the golf mode method, the number of innings and the number of challenges for each inning are set, and the score is calculated using the set number of challenges as the standard number. In addition, the golf mode method represents a game method in which the score calculated for each inning is added up and the player with the lowest total score wins.

그리고, 볼링 모드 방식은 골프 모드 방식과 달리 이닝 횟수만 설정된다. 그리고, 볼링 모드 방식은 각 이닝 별로 득점을 성공한 횟수에 따라 가중치가 부여된 점수를 획득하며, 각 이닝마다 산출된 점수를 합산하여 획득한 전체 획득 점수가 높은 플레이어가 승리하도록 하는 게임 방식을 나타낸다. Also, in the bowling mode method, unlike the golf mode method, only the number of innings is set. In addition, the bowling mode method represents a game method in which weighted points are obta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uccessful runs scored in each inning, and the player with the highest total points obtained by adding up the points calculated for each inning wins.

모드 선택부(230)는 모드 종류와, 해당 모드에 대한 경기 진행 방법, 이닝 횟수, 점수 산출 방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드 정보를 해당되는 플레이어의 제2 사용자 단말기(500)에 제공한다. 그러면, 플레이어는 골프 모드 방식 또는 볼링 모드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결과를 제2 사용자 단말기(500)을 통해 전달한다. The mode selection unit 230 provides mod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mode type, the game progress method for the mode, the number of innings, and the score calculation metho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500 of the corresponding player. Then, the player selects either the golf mode or the bowling mode and transmits the selected result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500.

S33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270)는 추출된 챌린지 문제에 따라 수구 및 2개의 목적구가 지정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지정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플레이 시작 명령을 출력한다(S340).When step S330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270 determines whether the cue ball and the two object balls are located in the designated position according to the extracted challenge problem, and outputs a play start comm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y are located in the designated position (S340 ).

먼저, 제어부(270)는 챌린지 문제에 따른 수구 및 2개의 목적구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획득한 위치 정보를 출력부(280)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출력한다. First, the control unit 270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according to the challenge problem. Then, the control unit 270 transmits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utput unit 280 and outputs it through the display device 300.

도 4는 도 3의 S340 단계에서 당구대에 수구 및 2개의 목적구를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are placed on the billiard table in step S340 of Figure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280)는 평판 디스플레이 형태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화면을 통해 수구 및 2개의 목적구에 대한 위치를 표시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빔프로젝트 형태일 경우에는 당구대에 빛을 조사하여 수구 및 2개의 목적구의 위치를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4, the output unit 280 displays the positions of the cue ball and the two object balls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300, which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display. Meanwhile, when the display device 300 is in the form of a beam projector, light is irradiated to the billiard table to display the positions of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그러면, 플레이어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출력된 수구 및 목적구에 대한 지정 위치 표시를 직접 확인해가면서 해당되는 수구 및 2개의 목적구를 당구대 상의 지정 위치에 위치시킨다. Then, the player directly checks the indication of the designated positions for the cue ball and object balls output through the display device 300 and places the corresponding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at the designated positions on the billiard table.

플레이어가 수구 및 2개의 목적구를 위치시키는 과정은 카메라(100)를 통해 촬영되며, 카메라(100)는 촬영한 영상을 게임서버(200)에 전달한다. The process of the player positioning the cue ball and the two object balls is filmed through the camera 100, and the camera 100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o the game server 200.

그러면, 제어부(270)는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여 수구 및 2개의 목적구가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n, the control unit 270 analyzes the received image and determines whether the cue ball and the two object balls are accurately located at the designated positions.

수구 및 2개의 목적구가 지정된 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음성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 플레이 시작 명령을 출력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e ball and the two object balls are located at the designated positions, the control unit 270 outputs a play start command through voice or the display device 300.

반면에, 수구 및 2개의 목적구가 지정된 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음성으로 메시지를 출력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e ball and the two object balls are not located in the designated positions, the control unit 270 outputs a message by voice.

플레이어가 게임을 시작하게 되면, 카메라(100)는 플레이 장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게임 영상을 게임 서버(200)에 전달한다. When the player starts the game, the camera 100 captures the play scene and transmits the captured game video to the game server 200.

그러면, 게임 서버(200)는 전달받은 게임 영상을 분석하여 각 이닝마다 득점된 점수를 산출한다(S350).Then, the game server 200 analyzes the received game video and calculates the score for each inning (S350).

부연하자면, 게임 진행부(260)는 플레이어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각 이닝별 점수를 산출한다. To elaborate, the game progress unit 260 calculates the score for each inning according to the mode selected by the player.

먼저, 이하에서는 골프 모드 방식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First, the following describes how to play the game using the golf mode method.

골프 모드 방식은 한정된 이닝을 경기하며, 각 이닝별로 기준 샷 수를 정할 수 있다. 이때, 이닝 수 및 이닝별 기준 샷 수는 플레이어에 의해 정해질 수도 있고, 상기 게임 진행부(260)에서 기 설정할 수도 있다. In golf mode, a limited number of innings are played, and a standard number of shots can be set for each inning. At this time, the number of innings and the standard number of shots per inning may be determined by the player, or may be preset by the game progress unit 260.

그 다음, 판단부(250)는 수신된 게임 영상을 분석하여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Next, the determination unit 250 analyzes the received game video and determines whether the challenge problem has been solved.

자세히는, 챌린지 문제마다 수구 및 2개 목적구에 대한 최초 위치가 설정된다. 이때, 수구 및 2개 목적구에 대한 위치는 좌표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 다음, 판단부(250)는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여 플레이한 다음의 수구 및 2개 목적구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수구 및 2개 목적구의 위치 정보와 최초의 위치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수구 및 2개 목적구의 이동 경로 및 움직임 여부를 획득한다. 그리고, 판단부(250)는 획득한 이동 경로 및 움직임 여부를 이용하여 챌린지 문제에 대한 해결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한 결과는 게임 진행부(260)에 전달된다. In detail, for each challenge problem, the initial positions for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are set. At this time, the positions of the cue ball and the two object balls can be set as coordinate values. Next, the judgment unit 250 analyzes the received video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next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played, and mutually exchanges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with the original location information. By comparison, the movement path and movement of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are obtained. Then, the determination unit 2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hallenge problem is solved using the obtained movement path and movement, and the judgment result is delivered to the game progress unit 260.

그러면, 게임 진행부(260)는 해당되는 플레이어가 챌린지 문제를 해결했을 때의 샷수를 획득하고, 획득한 샷수와 기준 샷수를 비교하여 점수를 산출한다. Then, the game progress unit 260 obtains the number of shots when the relevant player solves the challenge problem, and calculates the score by comparing the obtained number of shots with the standard number of shots.

즉, 게임 진행부(260)는 기준 샷 수 미만의 샷수로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면 "-1"을 부여하고, 기준 샷 수에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면 "0"을 부여한다. That is, the game progress unit 260 gives “-1” when the challenge problem is solved with a number of shots less than the standard number of shots, and gives “0” when the challenge problem is solved with the number of shots less than the standard number of shots.

그리고, 게임 진행부(260)는 기준 샷 수를 초과한 상태에서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면 초과된 샷수를 점수로 산출한다. Additionally, if the challenge problem is solved while exceeding the standard number of shots, the game progress unit 260 calculates the number of excess shots as a score.

도 5는 도 3의 S350단계에서 골프 모드 방식으로 진행하였을 때의 점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 5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score when the golf mode is used in step S350 of FIG. 3 .

이하에서는 도 5를 이용하여 골프 모드 방식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golf mode metho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using FIG. 5.

도 5와 같이, 설명의 편의상 해당되는 당구 게임을 진행하는 플레이어는 4명이고, 총 이닝수는 20이닝이며, 각 이닝 별 기준 샷 수는 2회인 것으로 예시하였다. As shown in Figure 5,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4 players playing the corresponding billiards game, the total number of innings is 20 innings, and the standard number of shots for each inning is 2.

그리고, 20번째 이닝에서 "A" 플레이어는 첫 번째 샷에서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였고, "B" 플레이어 및 "C"플레이어는 세 번째 샷에서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D"플레이어는 두 번째 샷에서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였다고 가정한다. Then, in the 20th inning, player "A" solved the challenge on the first shot, player "B" and "C" solved the challenge on the third shot, and player "D" solved the challenge on the second shot. Assume that you have solved the challenge problem.

그러면, 게임 진행부(260)는 "A" 플레이어에 의해 챌린지 문제를 해결한 샷 수가 기준 샷 수 미만에 해당하므로 "-1"로 점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게임 진행부(260)는 "B" 플레이어 및 "C"플레이어에 의해 챌린지 문제를 해결한 샷 수가 각각 기준 샷 수를 1번씩 초과하였으므로 "+1"로 점수를 산출한다. Then, the game progress unit 260 calculates the score as "-1" because the number of shots solved by player "A" to solve the challenge problem is less than the standard number of shots. And, the game progress unit 260 calculates the score as "+1" because the number of shots that solved the challenge problem by player "B" and player "C" each exceeded the standard number of shots by one.

마지막으로, 게임 진행부(260)는 "D"플레이어에 의해 챌린지 문제를 해결한 샷 수가 기준 샷 수에 해당하므로 "0"으로 점수를 산출한다. Finally, the game progress unit 260 calculates the score as "0" because the number of shots in which the challenge problem is solved by player "D" corresponds to the standard number of shots.

한편, 골프 모드 방식으로 당구 게임을 진행할 경우에는 같은 이닝에서 순서대로 한번씩 샷을 하고, 득점에 성공한 플레이어는 해당 이닝에서 샷을 더 이상 수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실패한 플레이어끼리 득점에 성공할 때까지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샷을 수행한다. 즉, "A" 플레이어부터 "D"플레이어까지 한번씩 순차적으로 샷을 시도하고, "A"플레이어가 첫 번째 샷에서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였다고 가정하면, "A"플레이어는 "B"플레이어, "C"플레이어 및 "D" 플레이어가 챌린지 문제를 해결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나머지 "B"플레이어, "C"플레이어 및 "D" 플레이어가 모두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여 득점을 획득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다음 이닝에 해당하는 챌린지 문제를 제공한다. Meanwhile, when playing a billiards game in golf mode, shots are played one at a time in order in the same inning, and the player who succeeds in scoring does not make any more shots in that inning. Then, the failed players repeatedly perform shots sequentially until they succeed in scoring. In other words, players "A" through "D" attempt shots sequentially, and assuming that player "A" solves the challenge on the first shot, player "A" is followed by players "B" and "C". Player and "D" remain on standby until they solve the challenge problem. Th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maining “B” players, “C” players, and “D” players have all earned points by solving the challenge problems, the control unit 270 provides challenge problems corresponding to the next inning.

예를 들어, 기준 샷에 2회로 설정된 이닝에서 "A"플레이어가 첫 번째 샷에 득점에 성공하였고, "B"와 "C" 플레이어가 세 번째 샷에 득점에 성공하였고, "D"플레이어가 두 번째 샷에 득점에 성공하였다고 가정하면, "A"플레이어는 해당 이닝에서 -1점을 획득하고, "B"와 "C" 플레이어는 해당 이닝에서 각각 +1점을 획득한다. 그리고, "D"플레이어는 해당 이닝에서 0점을 획득한다. 이하에서는 볼링 모드 방식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For example, in an inning set at 2 base shots, player "A" scores on the first shot, players "B" and "C" score on the third shot, and player "D" scores on both shots. Assuming that he succeeds in scoring on the second shot, player "A" scores -1 point for that inning, and players "B" and "C" each score +1 point for that inning. Then, the “D” player scores 0 points in that inning. Below, we will explain how to play the game using the bowling mode method.

볼링 모드 방식은 골프 모드 방식과 마찬가지로 한정된 이닝을 경기한다. 다만, 볼링 모드 방식은 골프 모드 방식과 달리 기준 샷 수를 따로 설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판단부(250)는 수신된 게임 영상을 분석하여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한 결과를 전달받은 게임 진행부(260)는 챌린지 문제를 해결한 샷 수에 대응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여 점수를 산출한다.Bowling mode, like golf mode, involves playing a limited number of innings. However, unlike the golf mode, the bowling mode method does not set a separate standard number of shots. Likewise, the determination unit 250 analyzes the received game video and determines whether the challenge problem has been solved. Then, the game progress unit 260, which has received the judgment result, calculates a score by assign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hots that solve the challenge problem.

도 6는 도 3의 S350단계에서 볼링 모드 방식으로 진행하였을 때의 점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 6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alculating scores when the bowling mode is used in step S350 of FIG. 3 .

이하에서는 도 6을 이용하여 볼링 모드 방식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bowling mode metho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using FIG. 6.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게임에 "김행직", "쿠드롱", "산체스"및 "야스퍼스"라는 플레이어가 입장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때, 첫 이닝은 로그인 순서대로 플레이하고, 그 이후에는 이전 이닝까지의 합산 점수가 가장 높은플레이어가 먼저 플레이하며, 합산 점수가 같은 플레이어는 이전 이닝의 순서대로 플레이한다. As shown in FIG. 6, it is assumed that players named “Haengjik Kim,” “Caudron,” “Sanchez,” and “Jaspers” have entered the game. At this time, the first inning is played in order of login, and thereafter, the player with the highest total score from the previous inning plays first, and players with the same total score play in the order of the previous inning.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링 모드 방식은 챌린지 문제를 해결한 샷 수에 따라 각각 상이한 색상으로 해당 이닝을 표시하고, 그에 대응하는 점수를 부여한다. In addition, the bowling mod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each inning in a different color according to the number of shots that solve the challenge problem, and gives a corresponding score.

즉, 첫 번째 샷에서 챌린지 문제를 성공할 경우, 게임 진행부(260)는 해당 이닝을 파란색으로 표시하며, 그에 대응하여 3점을 부여한다. That is, if the challenge problem is successful in the first shot, the game progress unit 260 displays the relevant inning in blue and grants 3 points correspondingly.

두 번째 샷에서 챌린지 문제를 성공할 경우, 게임 진행부(260)는 해당 이닝을 노란색으로 표시하며, 그에 대응하여 2점을 부여한다. If the challenge problem is successful in the second shot, the game progress unit 260 displays the relevant inning in yellow and grants 2 points correspondingly.

세 번째 샷에서 챌린지 문제를 성공할 경우, 게임 진행부(260)는 해당 이닝을 빨간색으로 표시하며, 그에 대응하여 1점을 부여한다. If the challenge problem is successful on the third shot, the game progress unit 260 displays the relevant inning in red and grants 1 point correspondingly.

만약, 세 번째 샷에서도 챌린지 문제를 성공하지 못할 경우, 게임 진행부(260)는 해당이닝에 별도의 색을 이용하여 표시를 하지 않으며, 그에 대응하여 0점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챌린지 문제 해결 샷수에 대응하여 파란색, 노란색,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그에 대응하는 점수를 3점, 2점 1점으로 부여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색으로 표시할 수 있고, 그에 대한 가중치도 다양한 점수로 부여될 수 있다. If the challenge problem is not successful even on the third shot, the game progress unit 260 does not mark the relevant inning using a separate color and gives 0 points corresponding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challenge problem solving shots is displayed in blue, yellow, and red, and the corresponding scores are given as 3 points, 2 points, and 1 point.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displayed in various colors, The weight can also be assigned various scores.

한편, 해당되는 게임의 첫 번째 이닝에서 "김행직", "쿠드롱"및 "산체스"는 첫 번째 샷에서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였고, "야스퍼스"는 세 번째 샷에서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였다고 가정한다. Meanwhile, assume that in the first inning of the game, “Haengjik Kim,” “Caudron,” and “Sanchez” solved the challenge problem on the first shot, and “Jaspers” solved the challenge problem on the third shot.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진행부(260)는 "김행직", "쿠드롱"및 "산체스"의 점수판에 각각 파란색으로 표시하고, 그에 대응하여 각각 "3"점을 부여한다. Then, as shown in FIG. 6, the game progress unit 260 marks “Haengjik Kim,” “Caudron,” and “Sanchez” in blue on the scoreboard, and gives them a score of “3” correspondingly. do.

반면에, 게임 진행부(260)는 "야스퍼스"의 점수판에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그에 대응하여 "1"점을 부여한다. On the other hand, the game progress unit 260 marks “Jaspers” in red on the scoreboard and gives “1” point correspondingly.

세 번째 이닝에서는 "김행직", "쿠드롱", "산체스" 및 "야스퍼스"는 모두 첫 번째 샷에서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였다고 가정한다.In the third inning, it is assumed that Kim Haeng-jik, Coudron, Sánchez and Jaspers all solved the challenge on the first shot.

그러면, 게임 진행부(260)는 "김행직", "쿠드롱", "산체스" 및 "야스퍼스"의 점수판에 각각 파란색으로 표시하고 그에 대응하여 각각 "3"점을 부여한다. 다만, 게임 진행부(260)는 세번째 이닝에서 첫 번째 샷을 이용하여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였으므로 이전 두 개의 이닝에서 획득한 점수를 합산하여 제공한다. Then, the game progress unit 260 displays “Kim Haeng-jik,” “Caudron,” “Sanchez,” and “Jaspers” in blue on the scoreboard and gives them a score of “3” correspondingly. However, since the game progress unit 260 solved the challenge problem using the first shot in the third inning, it provides the total of the scores obtained in the previous two innings.

이를 다시 설명하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김행직"플레이어는 첫 번째 이닝에서 3점을 획득한 상태에서 두번째 이닝에서는 첫번째 샷에서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였다고 가정한다. To explain this again, as shown in FIG. 6, assume that player "Haengjik Kim" scored 3 points in the first inning and solved the challenge problem on the first shot in the second inning.

그러면, 두번째 이닝의 경우, 첫번째 샷 성공에 따른 3점과 이전의 이닝에서 획득한 3점을 합산하여 총 6점을 획득하게 된다. Then, in the second inning, a total of 6 points is earned by adding 3 points from the successful first shot and 3 points from the previous inning.

또한, "김행직"플레이어가 세 번째 이닝에서 첫 번째 샷에서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였다고 가정하면, 세 번째 이닝의 경우, 첫 번째 샷 성공에 따른 3점과 앞선 2번의 이닝에서 획득한 각각의 3점을 합산하여 총 9점을 획득하게 된다. Additionally, assuming that player "Haengjik Kim" solves the challenge problem on the first shot in the third inning, in the third inning, 3 points for the successful first shot and 3 points for each of the previous two innings By adding up, you get a total of 9 points.

"쿠드롱" 및 "산체스" 플레이어도 "김행직"플레이어와 마찬가지로 첫 번째 이닝부터 세 번째 이닝까지 모두 첫 번째 샷에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였으므로, 게임 진행부(260)는 "쿠드롱" 및 "산체스" 플레이어의 점수판에 각각 "9"점을 부여한다. Since the players “Coudron” and “Sanchez” also solved the challenge problem on the first shot from the first to the third inning, like the player “Haengjik Kim”, the game progress unit 260 is “Coudron” and “Sanchez” "Assign a score of "9" to each player's scoreboard.

마지막으로, "야스퍼스"플레이어는 첫 번째 이닝에서 세 번째 샷을 통해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여 1점을 획득한 상태에서 두번째 이닝에서는 두 번째 샷에서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였다고 가정한다. Finally, assume that player "Jaspers" scores 1 point by solving the challenge on his third shot in the first inning, and then solves the challenge on his second shot in the second inning.

그러면, 두번째 이닝의 경우, 두 번째 샷 성공에 따른 2점과 이전의 이닝에서 획득한 1점을 합산하여 총 3점을 획득하게 된다. Then, in the second inning, a total of 3 points is earned by adding 2 points from the successful second shot and 1 point from the previous inning.

또한, "야스퍼스"플레이어가 세번째 이닝에서 첫번째 샷에서 챌린지 문제를 해결하였다고 가정하면, 세번째 이닝의 경우, 첫번째 샷 성공에 따른 3점과 앞선 2번의 이닝에서 획득한 1점과 3점을 각각 합산하여 총 7점을 획득하게 된다. Additionally, assuming that the "Jaspers" player solved the challenge problem on the first shot in the third inning, in the third inning, the 3 points for the successful first shot and the 1 and 3 points earned in the previous two innings are added together. You will receive a total of 7 points.

즉, 게임 진행부(260)는 해당 이닝에서 첫 번째 샷으로 득점을 하면 이전의 2개의 이닝에서 획득한 점수를 가산하고, 두 번째 샷으로 득점을 하면 이전의 1개의 이닝에서 획득한 점수를 가산하여 점수를 산출한다. In other words, the game progress unit 260 adds the points obtained in the previous two innings when a point is scored with the first shot in the inning, and when a point is scored with the second shot, the game progress unit 260 adds the points obtained in the previous one inning. to calculate the score.

S350단계가 완료되면, 게임 진행부(260)는 각 이닝별로 산출된 점수를 합산하여 해당 당구 게임의 승자를 추출하고, 해당 게임을 종료시킨다(S360).When step S350 is completed, the game progress unit 260 extracts the winner of the billiard game by adding up the scores calculated for each inning and ends the game (S360).

게임 진행부(260)는 한정된 이닝을 종료하게 되면, 이닝마다 산출된 점수를 합산하여 전체 획득 점수를 산출한다. When the game progress unit 260 ends a limited inning, it calculates the total score by adding up the scores calculated for each inning.

이때, 해당 당구 게임이 골프 모드 방식으로 진행되었을 경우, 게임 진행부(260)는 전체 획득 점수가 가장 낮은 점수의 플레이어를 승자로 표시한다. At this time, if the billiards game is played in golf mode, the game progress unit 260 displays the player with the lowest total points as the winner.

반면에, 해당 당구 게임이 볼링 모드 방식으로 진행되었을 경우, 게임 진행부(260)는 전체 획득 점수가 가장 높은 점수의 플레이어를 승자로 표시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billiards game is played in bowling mode, the game progress unit 260 displays the player with the highest total points as the winne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은 골프 모드 방식 또는 볼링 모드 방식으로 게임을 제공하므로 플레이어로 하여금 모드 선택이 가능하고, 선택된 모드에 따라 이닝별 득점 방법이 상이하여 플레이어로 하여금 흥미를 유도할 수 있다. As such, the online billiards g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me in a golf mode or a bowling mode, allowing the player to select a mode, and the scoring method for each inning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lected mode, thereby attracting interest to the player. You ca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은 이닝별 득점 방법이 상이한 복수의 게임 종류를 제공하며, 같은 게임을 참여하는 참가자들에게 동일한 난이도 및 동일한 문제를 적용하고, 적용된 게임 룰에 따른 득점 점수를 자동적으로 산출하므로 복수의 플레이어들이 각각 상이한 장소에서 온라인을 통해 당구 게임을 즐길 수 있다. In addition, the online billiards gam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game types with different scoring methods for each inning, applies the same difficulty level and the same problems to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same game, and scores points according to the applied game rules. Because it is calculated automatically, multiple players can enjoy billiards games online at different location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100: 카메라
200 : 게임 서버
210 : 데이터베이스
220 : 게임제공부
230 : 모드 선택부
240 : 영상 수신부
250 : 판단부
260 : 게임 진행부
270 : 제어부
280 : 출력부
300 : 디스플레이 장치
400 : 복수의 제1 사용자 단말기
500 : 복수의 제2 사용자 단말기
100: Camera
200: Game server
210: database
220: Game provision department
230: Mode selection unit
240: video receiver
250: Judgment unit
260: Game progress section
270: control unit
280: output unit
300: display device
400: plurality of first user terminals
500: plurality of second user terminals

Claims (14)

복수의 문제 출제자로부터 챌린지 문제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챌린지를 난이도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게임 요청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플레이어에 의해 선택된 게임 진행 방법 및 난이도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챌린지 문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챌린지 문제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게임 제공부,
플레이어로부터 골프 모드 방식 또는 볼링 모드 방식을 선택받는 모드 선택부,
당구대의 일측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당구대의 상면을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되는 게임의 진행 방법에 따라 득점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득점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면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해당 이닝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고, 이닝별로 산출된 점수를 합산하여 전체 획득 점수를 산출하는 게임 진행부, 그리고
제공되는 챌린지 문제에 해당되는 수구 및 2개의 목적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빔프로젝터를 통해 출력시키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 진행부는
상기 플레이어에 의해 골프 모드가 선택되면, 각 이닝 별로 도전 횟수를 상이하게 설정하고, 성공할 때까지 같은 포지션에서 반복적으로 게임을 수행하며, 샷 수가 적은 플레이어가 승리하도록 게임을 진행하고,
상기 플레이어에 의해 볼링 모드가 선택되면, 각 이닝 별로 득점을 성공한 샷의 횟수에 따라 점수를 수여하며, 전체 이닝의 점수를 합하여 고득점을 한 플레이어가 승리하도록 게임을 진행하는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
A database that collects challenge problems from a plurality of problem testers, classifies the collected challenges according to difficulty level, and stores them;
When receiving a game request signal from a user terminal, a game providing unit that extracts and provides one challenge problem from among a plurality of challenge problems stor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game progress method and difficulty selected by the player;
A mode selection unit that allows the player to select a golf mode or a bowling mode,
An image receiver that acquires an ima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illiard table from a camera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illiard table,
A judgment unit that analyzes the acquired video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core was successful according to how the game is play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core has been successfully scored, the game progress section calculates the score for that inning in response to the selected mode and calculates the total score by adding up the scores calculated for each inning, and
It includes an output unit that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challenge problem and outputs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device or beam projector,
The game progress section
When the golf mode is selected by the player, the number of challenges is set differently for each inning, the game is played repeatedly in the same position until success, and the game is played so that the player with fewer shots wins,
When the bowling mode is selected by the player, points are awar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uccessful shots in each inning, and the game is played so that the player with the highest score wins by adding up the scores of all innings. An online billiards gam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이용하여 플레이어가 당구대에 위치시킨 수구 및 2개의 목적구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빔프로젝터를 통해 출력되는 수구 및 2개의 목적구의 위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구 및 2개의 목적구가 표시된 위치와 일치하면, 플레이 시작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Using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placed on the billiard table by the player match the positions of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output through the display device or beam projector, and the cue ball and An online billiards gam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outputs a play start command when the two object balls match the displayed position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진행부는
해당되는 게임이 골프 모드 방식일 경우, 득점을 성공할 때까지 수행된 샷 수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이닝의 점수를 산출하는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game progress section
An online billiards game system that calculates the score of the relevant inning using the number of shots performed until a score is achieved when the relevant game is in golf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진행부는
해당되는 게임이 볼링 모드 방식일 경우, 해당 이닝에 설정된 샷 횟수마다 각각 상이한 가중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이닝의 점수를 산출하는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game progress section
An online billiards game system that sets different weights for each number of shots set in the relevant inning when the relevant game is in bowling mode, and calculates the score for the relevant inning using the set weigh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진행부는
해당되는 게임이 볼링 모드 방식일 경우, 해당 이닝에서 첫 번째 샷으로 득점을 하면 이전의 2개의 이닝에서 획득한 점수를 가산하고, 두 번째 샷으로 득점을 하면 이전의 1개의 이닝에서 획득한 점수를 가산하여 점수를 산출하는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game progress section
If the game is in bowling mode, if you score with the first shot in the inning, the score from the previous two innings is added, and if you score with the second shot, the score from the previous one inning is added to the score. An online billiards game system that calculates scores by adding up.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진행부는
볼링 모드 방식일 경우, 득점을 한 샷의 횟수에 따라 각각 상이한 색으로 성공 샷 수를 표시하는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6,
The game progress section
In bowling mode, an online billiards game system that displays the number of successful shots in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number of shots that score points.
온라인 당구 게임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당구 게임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문제 출제자로부터 챌린지 문제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챌린지를 난이도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플레이어 단말기로부터 게임 요청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플레이어에 의해 선택된 게임 진행 방법 및 난이도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챌린지 문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챌린지 문제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
플레이어로부터 골프 모드 방식 또는 볼링 모드 방식을 선택받는 단계,
제공되는 챌린지 문제에 해당되는 수구 및 2개의 목적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빔프로젝터를 통해 출력시키는 단계,
당구대의 일측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당구대의 상면을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되는 게임의 진행 방법에 따라 득점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득점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면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해당 이닝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고, 이닝별로 산출된 점수를 합산하여 전체 획득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체 획득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플레이어에 의해 골프 모드가 선택되면, 각 이닝 별로 도전 횟수를 상이하게 설정하고, 성공할 때까지 같은 포지션에서 반복적으로 게임을 수행하며, 샷 수가 적은 플레이어가 승리하도록 게임을 진행하고,
상기 플레이어에 의해 볼링 모드가 선택되면, 각 이닝 별로 득점을 성공한 샷의 횟수에 따라 점수를 수여하며, 전체 이닝의 점수를 합하여 고득점을 한 플레이어가 승리하도록 게임을 진행하는 온라인 당구 게임 방법.
In an online billiards game method using an online billiards game system,
Collecting challenge problems from a plurality of problem testers, classifying and storing the collected challenges according to difficulty,
When receiving a game request signal from the player terminal, extracting and providing one challenge problem from a plurality of challenge problems stor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game progress method and difficulty selected by the player;
A step of selecting a golf mode method or a bowling mode method from the playe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challenge problem, and outputting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device or beam projector;
Obtaining an ima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illiard table from a camera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illiard table,
Analyzing the acquired video to determine whether the score was successful according to how the game is play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core was successful, calculating the score for the corresponding inning in response to the selected mode, and calculating the total score by adding up the scores calculated for each inn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total obtained score is
When the golf mode is selected by the player, the number of challenges is set differently for each inning, the game is played repeatedly in the same position until success, and the game is played so that the player with fewer shots wins,
When the bowling mode is selected by the player, points are awar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uccessful shots in each inning, and the game is played so that the player with the highest score by adding up the scores of all innings win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이용하여 플레이어가 당구대에 위치시킨 수구 및 2개의 목적구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빔프로젝터를 통해 출력되는 수구 및 2개의 목적구의 위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구 및 2개의 목적구가 표시된 위치와 일치하면, 플레이 시작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당구 게임 방법.
According to clause 8,
Using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placed on the billiard table by the player match the positions of the cue ball and two object balls output through the display device or beam projector, and the cue ball and An online billiards game method further comprising outputting a play start command when the two object balls match the displayed positions.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획득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해당되는 게임이 골프 모드 방식일 경우, 득점을 성공할 때까지 수행된 샷 수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이닝의 점수를 산출하는 온라인 당구 게임 방법.
According to clause 8,
The step of calculating the total obtained score is,
An online billiards game method that calculates the score of the relevant inning using the number of shots performed until a score is achieved when the relevant game is in golf mo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획득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해당되는 게임이 볼링 모드 방식일 경우, 해당 이닝에 설정된 샷 횟수마다 각각 상이한 가중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해당되는 이닝의 점수를 산출하는 온라인 당구 게임 방법
According to clause 8,
The step of calculating the total obtained score is,
If the relevant game is in bowling mode, an online billiards game method that sets different weights for each number of shots set in the relevant inning and calculates the score for the relevant inning using the set weight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획득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해당되는 게임이 볼링 모드 방식일 경우, 해당 이닝에서 첫 번째 샷으로 득점을 하면 이전의 2개의 이닝에서 획득한 점수를 가산하고, 두 번째 샷으로 득점을 하면 이전의 1개의 이닝에서 획득한 점수를 가산하여 점수를 산출하는 온라인 당구 게임 방법
According to clause 8,
The step of calculating the total obtained score is,
If the game is in bowling mode, if you score with the first shot in the inning, the score from the previous two innings is added, and if you score with the second shot, the score from the previous one inning is added to the score. How to play online billiards by calculating scores by adding up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획득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볼링 모드 방식일 경우, 득점을 한 샷의 횟수에 따라 각각 상이한 색으로 성공 샷 수를 표시하는 온라인 당구 게임 방법.
According to clause 13,
The step of calculating the total obtained score is,
An online billiards game method that displays the number of successful shots in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number of shots that scored in the bowling mode.
KR1020210120135A 2021-09-09 2021-09-09 System of on-line billiards game and method thereof KR1026372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135A KR102637297B1 (en) 2021-09-09 2021-09-09 System of on-line billiards gam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135A KR102637297B1 (en) 2021-09-09 2021-09-09 System of on-line billiards gam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719A KR20230037719A (en) 2023-03-17
KR102637297B1 true KR102637297B1 (en) 2024-02-20

Family

ID=8587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135A KR102637297B1 (en) 2021-09-09 2021-09-09 System of on-line billiards gam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29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902B1 (en) * 2016-07-19 2018-04-05 주식회사 빌리츠 Apparatus of on-line billiards game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688B1 (en) * 2006-05-15 2008-03-07 김일구 Multiple billiard table
KR102240733B1 (en) * 2019-02-13 2021-04-16 주식회사 빌리츠 System of billiard learning and method for improcing the skill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902B1 (en) * 2016-07-19 2018-04-05 주식회사 빌리츠 Apparatus of on-line billiards gam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719A (en)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126B1 (en) Billiadrs teaching system and method
KR101546666B1 (en) A screen baseball system operating method
US20090191929A1 (en) Golf simulator connected to the internet
JP2001300135A (en) Video game device, character relating degree display method and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character relating degree display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0830830B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user game service using motion capture
KR102240733B1 (en) System of billiard learning and method for improcing the skill using the same
KR101177640B1 (en) Online golf game system
KR20180064142A (en) Screen game method and screen game apparatus linking online and offline
KR101561958B1 (en) Billiard game system using network
US20210031083A1 (en) Putting practice tracking and analysis system
KR102637297B1 (en) System of on-line billiards game and method thereof
Müller et al. Goalkeepers’ reputations bias shot placement in soccer penalties
KR101051251B1 (en) Real time biiliards game system and the method
KR20210039084A (en) Electionic dart board game device and method that changes rules by turns
KR101975512B1 (en) System for Playing Billiard Game and Method thereof
KR102322409B1 (en) Virtual golf system, method for creating virtual golf intro image and method for calculating information on player of virtual golf
KR101845902B1 (en) Apparatus of on-line billiards game and method thereof
KR20130046306A (en) Remote match golf simulator
JP6405439B1 (en) GAME PROGRAM,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2455948B1 (en) System for managing billiards game
KR20200009720A (en) A system for management and assistance of billiard game
JP2020099448A (en) Game program,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2273581B1 (en) Apparatus of on-line billiards game and method for skills validation using the same
KR101969764B1 (en) System for managing billiards game
JP7427039B2 (en) Programs, game devices, game management devices, and gam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