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913B1 -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안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913B1
KR102636913B1 KR1020230036867A KR20230036867A KR102636913B1 KR 102636913 B1 KR102636913 B1 KR 102636913B1 KR 1020230036867 A KR1020230036867 A KR 1020230036867A KR 20230036867 A KR20230036867 A KR 20230036867A KR 102636913 B1 KR102636913 B1 KR 102636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subject
optometrist
optometry
eye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혜
장동진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036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75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adjusting devices, e.g. operated by control le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83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means for patient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 내에 포함된 검안사 및 피검자의 신체 및 얼굴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에 따라 검안사 및 피검자의 안구가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각 높이조절부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안 방법{AUTOMATIC HEIGHT ADJUSTMENT OPTOMETRY SYSTEM AND OPTOMETRY METHOD USING THE SAME}
본 실시예들은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검안기(Optometer, 안구 굴절계)는 피검자의 눈에 광을 조사하고, 피검자의 망막에서 반사된 광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시력을 측정하거나 안구의 상태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검안기에는 피검자의 이마를 고정시키는 이마 받침대와, 피검자의 턱을 고정시키는 턱 받침대와, 턱 받침대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이스틱과, 굴절력, 난시력, 난시축 등 시력정보를 측정하거나, 각막, 망막, 안압 등의 상태를 검사하는 광학계가 구비되어 있다.
피검자가 검사를 받기 위해 이마를 이마 받침대에 밀착시키고 턱을 턱 받침대에 고정시키면, 검안사가 광학계를 통하여 피검자의 안구를 확인하면서 조이스틱을 조작하여 턱 받침대를 이동시켜 안구를 찾게 된다.
안구를 찾게 되면, 검안기는 검안사가 광학계를 통하여 안구의 굴절력, 난시력, 난시축 등 시력정보를 측정하거나, 각막, 망막, 안압 등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검안기는 검안사가 의자 및 테이블의 높이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피검자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검사를 진행하여야 함으로 피검자 시력을 측정하거나 안구의 상태를 측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들은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 내에 포함된 검안사 및 피검자의 신체 및 얼굴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에 따라 검안사 및 피검자의 안구가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각 높이조절부를 자동 제어하는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검안사 및 피검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획득하는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검안사 및 상기 피검자의 신체 및 얼굴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체 및 얼굴 정보로 상기 검안사 및 상기 피검자의 하체길이, 상체길이, 앉은키, 앉은오금높이, 안구높이를 계산하고, 상기 검안사의 안구가 검안기의 광학계의 촬영 축 높이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검안사가 착석된 검안사 의자 및 상기 검안기가 설치된 테이블의 높이를 제어하고, 상기 피검자의 안구가 상기 검안기의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피검자가 착석된 피검자 의자의 높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체 및 얼굴 정보로 상기 검안사의 안구높이를 계산하고, 상기 검안사의 안구가 상기 검안기의 광학계를 통하여 피검자를 측정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1제어값을 연산하여 출력하며, 상기 검안사 의자는, 상기 제1제어값을 입력받아 상기 검안사가 착석된 좌판의 높이를 입력된 상기 제1제어값에 따라 제1높이조절부를 통해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체 및 얼굴 정보로 상기 검안사의 안구높이를 계산하고, 상기 검안기 광학계의 촬영 축 높이가 상기 검안사의 안구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2제어값을 연산하여 출력하며, 상기 테이블은, 상기 제2제어값을 입력받아 상판의 높이를 입력된 상기 제2제어값에 따라 제2높이조절부를 통해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체 및 얼굴 정보로 상기 피검자의 안구높이를 계산하고, 상기 피검자의 안구가 상기 검안기의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3제어값을 연산하여 출력하며, 상기 피검자 의자는, 상기 제3제어값을 입력받아 상기 피검자가 착석된 좌판의 높이를 입력된 상기 제3제어값에 따라 제3높이조절부를 통해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검안기는, 피검자의 이마를 지지하는 이마 받침대와 결합하여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는 턱 받침대; 및 상기 턱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4높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얼굴 정보로 상기 피검자의 턱의 하단부 경계에서 안구까지의 높이와 고개숙임 각도를 계산하고, 상기 피검자의 안구가 검안기 광학계의 촬영 축 높이와 대응되는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4제어값을 연산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4높이조절부는, 입력된 상기 제4제어값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턱을 지지하는 상기 턱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턱 받침대는, 상기 피검자의 턱이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피검자의 안구가 상기 검안기 광학계의 촬영 축 높이와 대응되는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4제어값을 연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카메라가 검안사 및 피검자를 촬영하는 단계;(S10) 검출부가 획득된 영상을 수신하여 검안사 및 피검자의 신체 및 얼굴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S20) 제어부가 검출된 신체 및 얼굴 정보로 검안사 및 피검자의 하체길이, 상체길이, 앉은키, 앉은오금높이, 안구높이를 계산하는 단계;(S30) 제어부가 계산된 안구높이를 토대로 검안사의 안구가 검안기의 광학계의 촬영 축 높이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검안사가 착석된 검안사 의자의 높이를 제하는 단계;(S40) 제어부가 계산된 안구높이를 토대로 검안기가 설치된 테이블의 높이를 제어하는 단계;(S50) 및 제어부가 계산된 안구높이를 토대로 피검자의 안구가 검안기의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피검자가 착석된 피검자 의자의 높이를 제어하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을 이용한 검안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제어부가 검출부에서 검출된 얼굴 정보로 피검자의 턱의 하단부 경계에서 안구까지의 높이와 고개숙임 각도를 계산하고, 피검자의 안구가 검안기 광학계의 촬영 축 높이와 대응되는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4제어값을 연산하여 출력하는 단계;(S70) 및 제4높이조절부가 입력된 제4제어값에 따라 피검자의 턱을 지지하는 턱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하는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을 이용한 검안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 내에 포함된 검안사 및 피검자의 신체 및 얼굴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에 따라 검안사 및 피검자의 안구가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각 높이조절부를 자동 제어하는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의 계략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검안기와 테이블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의 신체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의 얼굴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한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등이 된다고 기재된 경우,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가 더 "개재"되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다른 구성 요소는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이나, 동작 방법이나 제작 방법 등과 관련한 시간적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 또는 흐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예: 레벨 등)가 언급된 경우,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는 각종 요인(예: 공정상의 요인, 내부 또는 외부 충격,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의 계략도,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검안기와 테이블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의 블록도,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의 신체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의 얼굴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은 안과, 안경원 등에 설치되어 시력을 측정하거나 안구의 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카메라(100)를 통하여 획득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 내에 포함된 검안사(10) 및 피검자(20)의 신체 및 얼굴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에 따라 검안사(10) 및 피검자(20)의 안구가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각 높이조절부를 자동 제어하는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안사 의자(200), 테이블(300), 검안기(400) 및 피검자 의자(500)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카메라(100)는 검안사(10) 및 피검자(20)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며, 검안사(10) 및 피검자(20)를 촬영하게 된다.
이때, 카메라(100)가 획득하는 영상은 검안사 의자(200)와 검안사(10), 피검자 의자(500)와 피검자(20) 및 테이블(300)과 검안기(400)의 형상을 인식하게 된다.
검출부(110)는 카메라(100)가 획득하는 영상을 수신하여 검안사(10) 및 피검자(20)의 신체 및 얼굴 정보를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신체정보는 검안사(10)의 하체길이, 상체길이, 앉은키, 안구높이, 앉은오금높이, 위팔수직길이, 아래팔수평길이, 앉은팔꿈치높이, 앉은엉덩이무릎수평길이, 앉은무릎높이 및 피검자(20)의 하체길이, 상체길이, 앉은키, 안구높이, 앉은오금높이, 위팔수직길이, 아래팔수평길이, 앉은팔꿈치높이, 앉은엉덩이무릎수평길이, 앉은무릎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얼굴 정보는 검안사(10)의 턱의 하단부 경계, 양안의 외안각을 연결한 선 및 피검자(20)의 턱의 하단부 경계, 양안의 외안각을 연결한 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신체 및 얼굴 정보로 검안사(10) 및 피검자(20)의 하체길이, 상체길이, 앉은키, 앉은오금높이, 안구높이를 계산하고, 검안사(10)의 안구가 검안기(400)의 광학계(460) 촬영 축 높이(X)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검안사(10)가 착석된 검안사 의자(200) 및 검안기(400)가 설치된 테이블(300)의 높이를 제어하고, 피검자(20)의 안구가 검안기(400)의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피검자(20)가 착석된 피검자 의자(500)의 높이를 제어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600)는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신체 및 얼굴 정보로 검안사(10)의 안구높이를 계산하고, 검안사(10)의 안구가 검안기(400)의 광학계(460)를 통하여 피검자(20)를 측정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1제어값을 연산하여 출력한다.
이때, 검안사 의자(200)는 제1제어값을 입력받아 검안사(10)가 착석된 좌판(210)의 높이를 입력된 제1제어값에 따라 제1높이조절부(220)를 통해 조절하게 된다.
즉, 제1높이조절부(220)는 입력된 제1제어값에 따라 검안사(10)가 착석된 좌판(21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검안사(1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제어부(600)는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신체 및 얼굴 정보로 검안사(10)의 안구높이를 계산하고, 검안기(400)의 광학계(460) 촬영 축 높이(X)가 검안사(10)의 안구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2제어값을 연산하여 출력한다.
이때, 테이블(300)은 제2제어값을 입력받아 상판(310)의 높이를 입력된 제2제어값에 따라 제2높이조절부(320)를 통해 조절하게 된다.
즉, 제2높이조절부(320)는 입력된 제2제어값에 따라 테이블(30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검안기(40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제어부(600)는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신체 및 얼굴 정보로 피검자(20)의 안구높이를 계산하고, 피검자(20)의 안구가 검안기(400)의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3제어값을 연산하여 출력한다.
이때, 피검자 의자(500)는 제3제어값을 입력받아 피검자(20)가 착석된 좌판(510)의 높이를 입력된 제3제어값에 따라 제3높이조절부(520)를 통해 조절하게 된다.
즉, 제3높이조절부(520)는 입력된 제3제어값에 따라 피검자(20)가 착석된 좌판(51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피검자(2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높이 조절을 통한 검안사(10) 및 피검자(20)의 높이 조절은 검안사(10)의 안구와 피검자(20)의 안구가 검안기(400)의 광학계(460) 촬영 축 높이(X)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일예로, 제어부(600)는 검안사(10)의 앉은오금높이에 따라 검안사 의자(200)의 높이를 조절하고, 앉은오금높이로부터 안구높이를 계산하여 검안기(400)의 광학계(460) 촬영 축 높이(X)가 검안사(10)의 안구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테이블(300)의 높이를 조절하며, 피검자(20)의 안구가 검안기(400)의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피검자 의자(50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600)는 검안사(10)의 하체길이, 상체길이 및 앉은키, 안구높이, 앉은오금높이, 위팔수직길이, 아래팔수평길이, 앉은팔꿈치높이, 앉은엉덩이무릎수평길이, 앉은무릎높이 등의 신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신체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신체 정보에 설정된 검안사 의자(200)의 높이로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부(600)는 입력부(610)를 통해 검안사(10)의 신체 및 얼굴 정보를 입력받아 검안사 의자(200)의 높이를 조절하며, 검안사(10)의 안구높이를 기준으로 검안기(400)가 설치된 테이블(300)의 높이를 제어하고, 피검자(20)의 안구가 검안기(400)의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피검자(20)가 착석된 피검자 의자(500)의 높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검안기(400)는, 피검자(20)의 이마를 지지하는 이마 받침대(410)와 결합하여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는 턱 받침대(420); 및 턱 받침대(4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4높이조절부(430)를 포함한다.
검안기(400)는 피검자(20)의 이마를 고정시키는 이마 받침대(410)와, 피검자(20)의 턱을 고정시키는 턱 받침대(420)와, 턱 받침대(4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이스틱(450)과, 굴절력, 난시력, 난시축 등 시력정보를 측정하거나, 각막, 망막, 안압 등의 상태를 검사하는 광학계(460)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검안기(400)는 피검자(20)가 검사를 받기 위해 이마를 이마 받침대(410)에 밀착시키고 턱을 턱 받침대(420)에 고정시키면, 검안사(10)가 광학계(460)를 통하여 표시되는 피검자(20)의 안구를 확인하면서 조이스틱(450)을 조작하여 턱 받침대(420)를 이동시켜 안구를 찾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600)는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신체 및 얼굴 정보로 피검자(20)의 턱의 하단부 경계에서 안구 또는 양안의 외안각을 연결한 선까지의 높이와 고개숙임 각도를 계산하고, 피검자(20)의 안구가 검안기(400) 광학계(460) 촬영 축 높이(X)와 대응되는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4제어값을 연산하여 출력한다.
이때, 제4높이조절부(430)는 입력된 제4제어값에 따라 피검자(20)의 턱을 지지하는 턱 받침대(42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턱 받침대(420)는 피검자(20)의 턱이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600)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센서(44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600)는 센서(44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송되면, 피검자(20)의 안구가 검안기(400)의 광학계(460) 촬영 축 높이(X)와 대응되는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4제어값을 연산하여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제4높이조절부(430)는 입력된 제4제어값에 따라 피검자(20)의 턱을 지지하는 턱 받침대(42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1높이조절부(220), 제2높이조절부(320), 제3높이조절부(520), 제4높이조절부(430)는 전기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볼스크류와 볼너트로 이루어지거나, 유압펌프의 유압을 이용하여 피스톤 또는 플런저(plunger)를 상하 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펌프의 공압을 이용하여 피스톤 또는 플런저(plunger)를 상하 이동시키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을 이용한 검안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100)가 검안사(10) 및 피검자(20)를 촬영하는 단계;(S10) 검출부(110)가 획득된 영상을 수신하여 검안사(10) 및 피검자(20)의 신체 및 얼굴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S20) 제어부(600)가 검출된 신체 및 얼굴 정보로 검안사(10) 및 피검자(20)의 안구높이를 계산하는 단계;(S30) 제어부(600)가 계산된 앉은오금높이와 안구높이를 토대로 검안기(400)의 광학계(460) 촬영 축 높이(X)와 대응되는 위치 즉, 앉은오금높이와 안구높이를 더한 높이로 검안사(10)의 안구가 이동하도록 검안사(10)가 착석된 검안사 의자(200)의 높이를 제어하는 단계;(S40) 제어부(600)가 계산된 안구높이를 토대로 검안기(400)가 설치된 테이블(300)의 높이를 제어하는 단계;(S50) 및 제어부(600)가 계산된 안구높이를 토대로 피검자(20)의 안구가 검안기(400)의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피검자(20)가 착석된 피검자 의자(500)의 높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60)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600)가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신체 및 얼굴 정보로 피검자(20)의 턱의 하단부 경계에서 안구 또는 양안의 외안각을 연결한 선까지의 높이와 고개숙임 각도를 계산하고, 피검자(20)의 안구가 검안기(400)의 광학계(460) 촬영 축 높이(X)와 대응되는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4제어값을 연산하여 출력하는 단계;(S70) 및 제4높이조절부(430)가 입력된 제4제어값에 따라 피검자(20)의 턱을 지지하는 턱 받침대(4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100)를 통해 검안사(10) 및 피검자(20)를 촬영하고,(S10) 검출부(110)에서 획득된 영상을 수신하여 검안사(10) 및 피검자(20)의 신체 및 얼굴 정보를 검출하며,(S20) 제어부(600)에서 검출된 신체 및 얼굴 정보로 검안사(10) 및 피검자(20)의 안구높이를 계산하게 된다.(S30)
그리고, 제어부(600)는 계산된 앉은오금높이와 안구높이를 토대로 검안사(10)의 안구가 검안기(400)의 광학계(460) 촬영 축 높이(X)와 대응되는 위치 즉, 앉은오금높이와 안구높이를 더한 높이로 이동하도록 검안사(10)가 착석된 검안사 의자(200)의 높이를 제어함과 동시에,(S40) 검안기(400)가 설치된 테이블(300)의 높이를 제어하게 된다.(S50)
그리고, 제어부(600)는 계산된 안구높이를 토대로 피검자(20)의 안구가 검안기(400)의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피검자(20)가 착석된 피검자 의자(500)의 높이를 제어하게 된다.(S60)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제어부(600)가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얼굴 정보로 피검자(20)의 턱의 하단부 경계에서 안구 또는 양안의 외안각을 연결한 선까지의 높이와 고개숙임 각도를 계산하고, 피검자(20)의 안구가 검안기(400)의 광학계(460) 촬영 축 높이(X)와 대응되는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4제어값을 연산하여 출력하며,(S70) 제4높이조절부(430)가 입력된 제4제어값에 따라 피검자(20)의 턱을 지지하는 턱 받침대(42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S80)
이와 같은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에 의하면, 카메라(100)를 통하여 획득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 내에 포함된 검안사(10) 및 피검자(20)의 신체 및 얼굴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에 따라 검안사(10) 및 피검자(20)의 안구가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각 높이조절부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기술 사상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검안사 20 : 피검자
100 : 카메라 110 : 검출부
200 : 검안사 의자 210 : 좌판
220 : 제1높이조절부 300 : 테이블
310 : 상판 320 : 제2높이조절부
400 : 검안기 410 : 이마 받침대
420 : 턱 받침대 430 : 제4높이조절부
440 : 센서 450 : 조이스틱
460 : 광학계 500 : 피검자 의자
510 : 좌판 520 : 제3높이조절부
600 : 제어부 610 : 입력부

Claims (8)

  1. 검안사 및 피검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획득하는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검안사 및 상기 피검자의 신체 및 얼굴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체 및 얼굴 정보로 상기 검안사 및 상기 피검자의 하체길이, 상체길이, 앉은키, 앉은오금높이, 안구높이를 계산하고, 상기 검안사의 안구가 검안기의 광학계의 촬영 축 높이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검안사가 착석된 검안사 의자 및 상기 검안기가 설치된 테이블의 높이를 제어하고, 상기 피검자의 안구가 상기 검안기의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피검자가 착석된 피검자 의자의 높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체 및 얼굴 정보로 상기 검안사의 안구높이를 계산하고, 상기 검안사의 안구가 상기 검안기의 광학계를 통하여 피검자를 측정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1제어값을 연산하여 출력하며,
    상기 검안사 의자는,
    상기 제1제어값을 입력받아 상기 검안사가 착석된 좌판의 높이를 입력된 상기 제1제어값에 따라 제1높이조절부를 통해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체 및 얼굴 정보로 상기 검안사의 안구높이를 계산하고, 상기 검안기 광학계의 촬영 축 높이가 상기 검안사의 안구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2제어값을 연산하여 출력하며,
    상기 테이블은,
    상기 제2제어값을 입력받아 상판의 높이를 입력된 상기 제2제어값에 따라 제2높이조절부를 통해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신체 및 얼굴 정보로 상기 피검자의 안구높이를 계산하고, 상기 피검자의 안구가 상기 검안기의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3제어값을 연산하여 출력하며,
    상기 피검자 의자는,
    상기 제3제어값을 입력받아 상기 피검자가 착석된 좌판의 높이를 입력된 상기 제3제어값에 따라 제3높이조절부를 통해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안기는,
    피검자의 이마를 지지하는 이마 받침대와 결합하여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는 턱 받침대; 및
    상기 턱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4높이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얼굴 정보로 상기 피검자의 턱의 하단부 경계에서 안구까지의 높이와 고개숙임 각도를 계산하고, 상기 피검자의 안구가 검안기 광학계의 촬영 축 높이와 대응되는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4제어값을 연산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4높이조절부는,
    입력된 상기 제4제어값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턱을 지지하는 상기 턱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턱 받침대는,
    상기 피검자의 턱이 위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피검자의 안구가 상기 검안기 광학계의 촬영 축 높이와 대응되는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4제어값을 연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
  7. 카메라가 검안사 및 피검자를 촬영하는 단계;(S10)
    검출부가 획득된 영상을 수신하여 검안사 및 피검자의 신체 및 얼굴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S20)
    제어부가 검출된 신체 및 얼굴 정보로 검안사 및 피검자의 하체길이, 상체길이, 앉은키, 앉은오금높이, 안구높이를 계산하는 단계;(S30)
    제어부가 계산된 안구높이를 토대로 검안사의 안구가 검안기의 광학계의 촬영 축 높이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검안사가 착석된 검안사 의자의 높이를 제하는 단계;(S40)
    제어부가 계산된 안구높이를 토대로 검안기가 설치된 테이블의 높이를 제어하는 단계;(S50) 및
    제어부가 계산된 안구높이를 토대로 피검자의 안구가 검안기의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피검자가 착석된 피검자 의자의 높이를 제어하는 단계;(S60)
    를 포함하는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을 이용한 검안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S60 단계후,
    제어부가 검출부에서 검출된 얼굴 정보로 피검자의 턱의 하단부 경계에서 안구까지의 높이와 고개숙임 각도를 계산하고, 피검자의 안구가 검안기 광학계의 촬영 축 높이와 대응되는 검사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4제어값을 연산하여 출력하는 단계;(S70) 및
    제4높이조절부가 입력된 제4제어값에 따라 피검자의 턱을 지지하는 턱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S80)
    를 더 포함하는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을 이용한 검안 방법.
KR1020230036867A 2023-03-21 2023-03-21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안 방법 KR102636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867A KR102636913B1 (ko) 2023-03-21 2023-03-21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867A KR102636913B1 (ko) 2023-03-21 2023-03-21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913B1 true KR102636913B1 (ko) 2024-02-14

Family

ID=89896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6867A KR102636913B1 (ko) 2023-03-21 2023-03-21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9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48711A (ja) * 2018-09-25 2020-04-02 株式会社トプコン 検眼用テーブル及び眼科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48711A (ja) * 2018-09-25 2020-04-02 株式会社トプコン 検眼用テーブル及び眼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6737B2 (ja) 白内障手術用の取り外し可能な小型の顕微鏡搭載型ケラトメータ
US9357914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ophthalmolog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585552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at least one objective ocular refraction characteristic of a patient for a plurality of visual ranges
CN107495919B (zh) 眼科装置
US11382498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of eye
JP2014079495A (ja) 眼科装置および眼科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444069B2 (ja) 眼科装置及び瞳孔間距離算出方法
JP2017217121A (ja)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制御プログラム
KR102636913B1 (ko) 자동높이조절 검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안 방법
JP7437555B2 (ja) 眼科装置及び眼科システム
JP7300950B2 (ja) 被検者情報取得装置、眼科装置及び眼科システム
JP7344055B2 (ja) 眼科装置及び眼科装置の制御方法
JP3431969B2 (ja) 眼科装置
JP7365778B2 (ja) 眼科装置
JP2012217710A (ja) 眼科検査装置における顎台と光学ヘッドの設定制御システム
JP2017217122A (ja) 眼科装置
JP5706508B2 (ja) 眼科装置
JP6862685B2 (ja)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制御プログラム
CN215584101U (zh) 具有双眼自动定位跟踪机构的主客观一体式精准验光装置
Miro et al. Pupil meter and tracking system based in a fast image processing algorithm
CN219021146U (zh) 一种测量人眼调节状态下的像差仪
WO2022209991A1 (ja) 眼科装置
US20240090761A1 (en) Ophthalmologic apparatus
JP7447555B2 (ja) 眼検査システム制御用プログラム
US20230309828A1 (en) Ophthalmolog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