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557B1 -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 - Google Patents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557B1
KR102636557B1 KR1020220035853A KR20220035853A KR102636557B1 KR 102636557 B1 KR102636557 B1 KR 102636557B1 KR 1020220035853 A KR1020220035853 A KR 1020220035853A KR 20220035853 A KR20220035853 A KR 20220035853A KR 102636557 B1 KR102636557 B1 KR 102636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igid
adjustment bolt
catenary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8163A (ko
Inventor
김명제
변병욱
장광동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주)재영테크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영테크,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재영테크
Priority to KR1020220035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557B1/ko
Publication of KR20230138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4Clamps; Splicers; Anchor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60Y2200/31Locomo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체전차선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강체전차선의 편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또한, 강체전차선을 일정 높이에 위치시켜주기 위한 브래킷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배치되는 고정 몸체부와 상기 고정 몸체부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경사 조정이 가능한 회동 몸체부와 상기 회동 몸체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강체전차선이 고정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incline adjustment support clamp for rigid bar}
본 발명은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체전차선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강체전차선의 편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유 사용에 대한 환경 문제 및 비용부담으로 인하여 전차선로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로 운영되는 전기기관차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고속화, 대용량화 및 운전 시간 간격의 단축으로 인해 전차선로의 성능과 신뢰도 그리고, 안전성 향상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전차선로는 선로를 운행하는 전동차의 집전장치와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차선 등의 선로와 이에 부속하는 설비를 총칭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동차의 주행 시 필요한 전력은 전차선로 및 차량의 집전장치인 팬터그라프(pantograph)를 통하여 공급받게 되는데, 전동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차선로는 전기를 급전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차선로는 가공식(Overhead Catenary System)과 제3 궤조식(Third Rail System)으로 구분될 수 있고, 가공식 전차선로는 다시 강체 조가 방식과 현수 조가 방식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현수 조가 방식은 조가선을 이용하여 전차선을 가선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지상 구간에 적용되고 있는데, 전차선과 조가선 및 드로퍼선을 함께 가선해야 하고, 장력 조절 장치 등 주변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소요 가선고가 높고, 복잡하여 터널 구간에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현수 조가 방식 전차선로를 터널 구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터널 단면적이 대폭적으로 증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건설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며, 또한 설치공간이 협소하므로 일상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상기 제3 궤조식은 급전용 레일을 노면 상 또는 측면에 설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터널과 같이 협소한 공간상에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급전용 레일이 지면에 배치되는 특성상 감전의 위험이 커 일부 특수한 구간에만 적용되고 있다.
한편, 강체 전차선 방식은 전차선을 강체에 일체화시켜 브래킷과 같은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해 설치하는 것으로, 조가선이 요구되지 않고, 별도의 장력 유지 장치가 필요치 않으므로 터널 등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가 어려운 구간에 적용되고 있다.
강체전차선은 Rigid Bar 를 줄여 R-Bar 라고 표현하는데, 이중 단면의 형상이 T 자와 유사한 형태의 강체전차선은 특별히 T-Bar 라고 불리우고 있다. 상기 R-Bar가 T-Bar에 비하여 시공성, 집전 성능이 우수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고, 특히 국내에서는 AC 구간에는 R-Bar 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강체전차선은 브래킷을 이용하여 강체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강체전차선은 브래킷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캔트(cant)가 있는 곡선 구간에서는 캔트에 의한 경사진 상태로 차량이 이동하면서 집전장치 또한 경사진 상태로 전차선과 접촉하게 되어 장시간 운행 시 전차선에 편마모(side wear)가 발생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특허 제10-1572374호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와 같이 브라캣을 회동시켜 전차선을 기울여주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전차선의 높이가 같이 변경되어 전차선의 기울기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미 설치되어 있는 브래킷 전체를 바꿔야함에 따라, 설비교체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브래킷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전차선의 기울기를 조절해줄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72374호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강체전차선의 편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는 강체전차선을 일정 높이에 위치시켜주기 위한 브래킷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배치되는 고정 몸체부와 상기 고정 몸체부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경사 조정이 가능한 회동 몸체부와 상기 회동 몸체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강체전차선이 고정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 몸체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고정 몸체부를 관통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 몸체부의 상부에 걸쳐지는 제1 고정너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 몸체부의 하부에 밀착되는 제2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 몸체부의 일측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고정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슬롯을 관통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 몸체부의 상부에 걸쳐지는 제1 고정너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 몸체부의 하부에 밀착되는 제2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 몸체부의 일측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고정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슬롯을 관통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고정너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 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고정너트와 상기 고정 몸체부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어 조절볼트가 관통하여 제1 고정너트와 제2 고정너트에 의해 고정 몸체부에 밀착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조절볼트가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고정 몸체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 몸체부에 밀착되는 면에 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조절볼트가 관통되는 슬롯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에 의하면, 강체전차선이 고정된 클램프의 경사 조절을 통해 강체전차선을 기울여 강체전차선의 편마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가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의 경사조절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조절 동작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가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의 경사조절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조절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100)는 강체전차선(101)을 일정 높이에 위치시켜주기 위한 브래킷(102)에 고정되어 캔트(cant)가 있는 곡선 구간에서 캔트에 의한 경사에 맞춰 강체전차선(101)을 기울여 강체전차선(101)의 편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체전차선(101)을 일정 높이에 위치시켜주기 위한 브래킷(102)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와 상기 고정부재(1)의 하단에 배치되는 고정 몸체부(2)와 상기 고정 몸체부(2)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경사 조정이 가능한 회동 몸체부(3)와 상기 회동 몸체부(3)의 하단에 배치되어 강체전차선(101)이 고정되는 클램프(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는 볼트 및 너트의 체결을 통해 브래킷(102)에 고정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 몸체부(3)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고정 몸체부(2)를 관통하는 조절볼트(13)와 상기 조절볼트(13)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 몸체부(2)의 상부에 걸쳐지는 제1 고정너트(11)와 상기 조절볼트(13)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 몸체부(2)의 하부에 밀착되는 제2 고정너트(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조절볼트(13)가 링크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고정 몸체부(2)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볼트(13)에 체결되는 제1 고정너트(11) 및 제2 고정너트(1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회동 몸체부(3)를 기울여 경사를 조정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써,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 몸체부(3)의 일측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고정 몸체부(2)의 일측에 형성된 슬롯을 관통하는 조절볼트(13)와 상기 조절볼트(13)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 몸체부(2)의 상부에 걸쳐지는 제1 고정너트(11)와 상기 조절볼트(13)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 몸체부(2)의 하부에 밀착되는 제2 고정너트(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조절볼트(13)가 회동 몸체부(13)에 수직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조절볼트(13)에 체결되는 제1 고정너트(11) 및 제2 고정너트(1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회동 몸체부(3)를 기울여 경사를 조정할 수 있도록 고정 몸체부(2)에는 조절볼트(13)의 기울어짐을 고려하여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슬롯이 형성되고 조절볼트(13)가 슬롯을 관통하여 슬롯을 따라 회동되게 된다.
또는, 상기 회동 몸체부(3)의 일측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고정 몸체부(2)의 일측에 형성된 슬롯을 관통하는 조절볼트(13)와 상기 조절볼트(13)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 몸체부(2)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고정너트(11)와 상기 조절볼트(13)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 몸체부(2)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고정너트(12)와 상기 고정 몸체부(2)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어 조절볼트(13)가 관통하여 제1 고정너트(11)와 제2 고정너트(12)에 의해 고정 몸체부(2)에 밀착되는 가이드(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14)는 조절볼트(13)가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고정 몸체부(2)에 보다 강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 몸체부(2)에 밀착되는 면에 곡면이 형성되어 기울기에 관계없이 일정한 접촉면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14)는 조절볼트(13)가 관통되는 슬롯(14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고정되는 기울기에 따라 가이드(14)가 좌,우로 일정 거리 내에서 이동되면서 보다 강하게 밀착될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고정부재
2 : 고정 몸체부
3 : 회동 몸체부
4 : 클램프
11 : 제1 고정너트
12 : 제2 고정너트
13 : 조절볼트
14 : 가이드
100 :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
101 : 강체전차선
102 : 브래킷

Claims (6)

  1. 강체전차선을 일정 높이에 위치시켜주기 위한 브래킷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배치되는 고정 몸체부와;
    상기 고정 몸체부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경사 조정이 가능한 회동 몸체부와;
    상기 회동 몸체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강체전차선이 고정되는 클램프와;
    상기 회동 몸체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고정 몸체부를 관통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 몸체부의 상부에 걸쳐지는 제1 고정너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 몸체부의 하부에 밀착되는 제2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
  2. 강체전차선을 일정 높이에 위치시켜주기 위한 브래킷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배치되는 고정 몸체부와;
    상기 고정 몸체부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경사 조정이 가능한 회동 몸체부와;
    상기 회동 몸체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강체전차선이 고정되는 클램프와;
    상기 회동 몸체부의 일측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고정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슬롯을 관통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 몸체부의 상부에 걸쳐지는 제1 고정너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 몸체부의 하부에 밀착되는 제2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
  3. 강체전차선을 일정 높이에 위치시켜주기 위한 브래킷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배치되는 고정 몸체부와;
    상기 고정 몸체부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경사 조정이 가능한 회동 몸체부와;
    상기 회동 몸체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강체전차선이 고정되는 클램프와;
    상기 회동 몸체부의 일측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고정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슬롯을 관통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 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고정너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 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고정너트와;
    상기 고정 몸체부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어 조절볼트가 관통하여 제1 고정너트와 제2 고정너트에 의해 고정 몸체부에 밀착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조절볼트가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고정 몸체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 몸체부에 밀착되는 면에 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조절볼트가 관통되는 슬롯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
  6. 삭제
KR1020220035853A 2022-03-23 2022-03-23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 KR102636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853A KR102636557B1 (ko) 2022-03-23 2022-03-23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853A KR102636557B1 (ko) 2022-03-23 2022-03-23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163A KR20230138163A (ko) 2023-10-05
KR102636557B1 true KR102636557B1 (ko) 2024-02-14

Family

ID=8829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853A KR102636557B1 (ko) 2022-03-23 2022-03-23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5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6213A (ja) * 2012-06-13 2013-12-26 Sanwa Tekki Corp 隧道内剛体電車線の支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5231Y2 (ja) * 1992-06-19 1998-03-18 八千代工機株式会社 電車線用碍子取付板の調整金具
KR101482061B1 (ko) * 2013-02-19 2015-01-13 주식회사 청우디엔시 강체전차선 장치
KR101572374B1 (ko) 2014-06-10 2015-11-26 전찬석 전차선의 편마모 방지장치
KR200497341Y1 (ko) * 2018-11-13 2023-10-1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KR20220000294U (ko) * 2020-07-24 2022-02-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6213A (ja) * 2012-06-13 2013-12-26 Sanwa Tekki Corp 隧道内剛体電車線の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163A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328B1 (ko) 강체전차선 브래킷
US7624684B2 (en) Cable suspended, self leveling tram with self-propelled tractor bogie
JP4744605B2 (ja) 剛体電車線用セクションインシュレータ
US9845024B2 (en) Gantry type movable catenary system at a railway crossing
KR100756525B1 (ko) 침목
CN1066227C (zh) 运送和装卸长钢轨用的钢轨装载列车
KR200497341Y1 (ko) 강체전차선용 지지클램프
CN1016718B (zh) 轨道引导的钢轨车辆和磁力车辆共用的双转辙系统
KR102636557B1 (ko) 강체전차선용 경사조정 지지 클램프
KR101810796B1 (ko) 고속용 강체전차선 이행장치
KR102599071B1 (ko) 고속용 강체전차선 이행장치
CN207657613U (zh) 双极刚性接触网式交通供电系统
KR101588228B1 (ko) 철도차량의 탈선 방지 장치
KR20130075577A (ko) 고속철도용 팬터그래프의 양력조절장치
KR20120099262A (ko) 지상 차량을 위한 동력차와 보조차에 전력을 끌어대는 구조물
KR102602939B1 (ko) 강체전차선 및 강체전차선 평행개소
KR20110106212A (ko) 상승 높이 제한 장치가 구비된 판토그라프
KR102579545B1 (ko) 강체전차선 브래킷 구조
ES2090719T3 (es) Via electrica colgante.
KR100934367B1 (ko) 모노레일용 절연장치
KR20230053176A (ko) 강체전차선 지지브래킷
CN213804658U (zh) 磁浮轨道支撑装置及磁浮轨道系统
KR102579541B1 (ko) 진동흡수가 용이한 강체전차선 지지클램프 구조
KR20160092200A (ko) 터널브래키트용 암지지금구 및 곡선당김금구
KR101246930B1 (ko) 경량 전철용 제3 궤조 집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