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779B1 - Screen shelter for bus stops - Google Patents

Screen shelter for bus stop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779B1
KR102635779B1 KR1020230118199A KR20230118199A KR102635779B1 KR 102635779 B1 KR102635779 B1 KR 102635779B1 KR 1020230118199 A KR1020230118199 A KR 1020230118199A KR 20230118199 A KR20230118199 A KR 20230118199A KR 102635779 B1 KR102635779 B1 KR 102635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nit
bus stop
frame
she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81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기웅
Original Assignee
(주)이루텔럭키
남기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루텔럭키, 남기웅 filed Critical (주)이루텔럭키
Priority to KR1020230118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7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779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06B11/025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6Wireless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정류장용 스크린 셸터에 관한 것으로서, 버스 정류장의 개방형 셸터 구조물(A)의 일측 지면에 소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부(1); 상기 지주부(1)의 상단부 간을 연결하게 설치되는 연결프레임부(2); 상기 연결프레임부(2)의 하측에 설치되며, 지주부(1)를 따라 승강하는 스크린(302a)을 구비하여 지주부(1)와 연결프레임부(2)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스크린부(3); 상기 지주부(1)의 일측에 설치되어 스크린부(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형 셸터 구조물을 가진 버스 정류장에 추가 설치함으로써 버스 정류장 내에서 대기하는 승객을 비, 눈, 바람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버스 이용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shelter for a bus stop,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1) installed vertical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open shelter structure (A) of the bus stop; A connecting frame part (2) installed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holding parts (1);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frame part (2) and has a screen (302a) that goes up and down along the holding part (1)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formed by the holding part (1) and the connecting frame part (2). wealth (3); It includes a control unit (4)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unit (1)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creen unit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tionally installing an open shelter structure at a bus stop, passengers waiting at the bus stop are more effectively protected from rain, snow, and win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bus.

Description

버스 정류장용 스크린 셸터{Screen shelter for bus stops}Screen shelter for bus stops}

본 발명은 버스 정류장용 스크린 셸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방형 셸터 구조물을 가진 버스 정류장에 추가 설치함으로써 버스 정류장 내에서 대기하는 승객을 비, 눈, 바람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스 운행 정보를 비롯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버스 이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버스 정류장용 스크린 셸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shelter for a bus stop, and more specifically, by installing it additionally at a bus stop with an open shelter structure, not only can passengers waiting in the bus stop be protected from rain, snow, and wind, but it can also protect the bus while driving. This is about a screen shelter for bus stops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ing buses b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버스 정류장은 일정한 노선을 따라 운행하는 버스에 타고 내리는 승객을 위하여 버스가 정차하도록 정해진 곳으로서, 버스 정거장, 버스 승강장, 버스 정류소라고도 한다.A bus stop is a designated place where buses stop for passengers getting on and off buses running along a certain route. It is also called a bus stop, bus platform, or bus shelter.

버스 정류장은 버스 정류장임을 알리는 표지판과, 해당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의 노선명이나 노선도가 표시된 게시판이 설치된 형태였으나, 대중교통의 활성화를 위해 많은 시설 투자가 이루어지면서 근래에는 버스 정류장에서 대기하는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비, 바람을 막을 수 있는 지붕과 지붕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벽체를 가진 셸터 구조물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bus stop used to have a sign indicating that it was a bus stop and a bulletin board displaying the route name or route map of the buses stopping at the bus stop. However, as a lot of investment in facilities has been made to revitalize public transportation,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passengers waiting at the bus stop has increased. For convenience, it is common to install a shelter structure with a roof that can block rain and wind and at least one wall to support the roof.

셸터(또는 ‘쉘터’라 함)는 건축 분야에서 대피소 혹은 피난처. 천재지변을 비롯한 주변 환경이나 외부의 물리적 위험을 피하기 위한 장소를 지칭하는 단어로서, 동굴이나 초막 등 고대의 주거 형태에서 비롯되어 오늘날 넓은 의미로 텐트나 오두막 등의 임시 거주지를 모두 셸터라 부르기도 하는데,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는 셸터 구조물의 경우에, 보통 전면 또는 전면과 일측면이 개방되고, 후면 도는 후면과 일측면에 벽체가 형성된다. Shelter (or ‘shelter’) is a shelter or refuge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It is a word that refers to a place to avoi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external physical dangers, including natural disasters. It originated from ancient forms of housing such as caves and thatched huts, and today, in a broad sense, all temporary residences such as tents or huts are called shelters. In the case of a shelter structure installed at a bus stop, the front or front and one side are usually open, and a wall is formed at the back or the back and one side.

그러나 위와 같이 일반적인 버스 정류장의 셸터 구조물은 승객의 출입과 이동이 전면 또는 전면과 측면이 완전히 개방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지붕이 있더라도 강한 비나 눈, 바람이 날리는 경우에 버스 정류장 내(셸터 구조물 아래)에서 대기하는 승객이 비, 눈, 바람에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shown above, the shelter structure of a typical bus stop has a structure where the front or front and sides are completely open for passengers to enter and exit, so even if there is a roof, in case of strong rain, snow, or wind, the shelter structure can be used within the bus stop (under the shelter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with waiting passengers being exposed to rain, snow, and wind.

특히 비바람이 심하게 날리는 경우에, 버스 정류장 내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에도 우산을 접기가 어렵기 때문에 다수의 승객이 버스 정류장 내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데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Especially when it is raining heavily, it is difficult to fold an umbrella while waiting for a bus at a bus stop, which causes a lot of inconvenience to many passengers waiting for a bus at a bus stop.

또한, 추운 겨울 바람과 눈이 날리는 날에도 버스 정류장 내에서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추운 날씨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겨울철 버스 이용에 상당한 고충이 따르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even on cold winter windy and snowy days, people are exposed to the cold weather while waiting for the bus at the bus stop, which poses a significant problem in using buses in winter.

또한, 일반적인 버스 정류장에는 조명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해가 진 이후 버스 정류장 주변이 어두워지면, 운전 중인 버스기사가 버스 정류장에서 대기 중인 승객의 유무를 쉽게 확인하기 힘들어 버스 정류장에 버스가 정차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그로 인한 버스 이용 승객의 불편이 상당한 실정이며, 버스를 놓치지 않기 위해 도로까지 내려서서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으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의 위험도 큰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because lighting devices are not installed separately at general bus stops, when the area around the bus stop becomes dark after the sun sets, it is difficult for the driver of the bus to check whether there are passengers waiting at the bus stop, so the bus stops at the bus stop. There are many cases where people pass by without doing so, which causes considerable inconvenience to passengers using the bus, and there is also a serious risk of traffic accidents due to passengers waiting for the bus by getting off the road to avoid missing the bus.

그리하여 근래의 버스 정류장은 지붕과 사면의 벽체를 가진 밀폐형 구조를 가지면서, 승객의 출입을 위한 스크린도어가 벽체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조명장치를 비롯하여 냉/난방 시설, 무료 네트워크 시스템(WIFI), 공기청정기 및 버스 운행 정보와 날씨, 기온, 미세먼지 농도 등의 기상 정보나 각종 뉴스, 광고 등을 표시하는 정보전광판까지 갖춘 스마트 셸터 버스 정류장의 형태로까지 발전된 실정이다. Therefore, modern bus stops have a closed structure with a roof and walls on all sides, and a screen door is installed on the wall to allow passengers to enter and exit. Inside, there are lighting devices, cooling/heating facilities, a free network system (WIFI), It has developed into a smart shelter bus stop equipped with an air purifier and an information board that displays bus operation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such as weather, temperature, and fine dust concentration, as well as various news and advertisements.

그러나 위와 같은 스마트 셸터 버스 정류장은 초기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서울, 부산 등 재정자립도가 높은 일부 대도시에서만 설치가 이루어지고 있을 뿐, 대부분의 지방 도시에서는 높은 초기 설치 비용으로 인해 설치가 어려운 실정이다.However, due to the problem that the above smart shelter bus stops require a high initial installation cost, they are only installed in some large cities with a high level of financial independence, such as Seoul and Busan, and are difficult to install in most local cities due to the high initial installation cost. am.

등록특허 제10-2095435호Registered Patent No. 10-2095435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방형 셸터 구조물을 가진 버스 정류장에 추가 설치함으로써 버스 정류장 내에서 대기하는 승객을 비, 눈, 바람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버스 운행 정보를 비롯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버스 이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버스 정류장용 스크린 셸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passengers waiting at the bus stop from rain, snow, and wind by additionally installing an open shelter structure at a bus stop, and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bus operation inform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creen shelter for bus stops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ing buses by providing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버스 정류장용 스크린 셸터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the screen shelter for a bus stop of the present invention,

버스 정류장의 개방형 셸터 구조물(A)의 일측 지면에 소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부(1);A plurality of support parts (1) installed vertical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ground on one side of the open shelter structure (A) of the bus stop;

상기 지주부(1)의 상단부 간을 연결하게 설치되는 연결프레임부(2);A connecting frame part (2) installed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holding parts (1);

상기 연결프레임부(2)의 하측에 설치되며, 지주부(1)를 따라 승강하는 스크린(302a)을 구비하여 지주부(1)와 연결프레임부(2)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스크린부(3);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frame part (2) and has a screen (302a) that goes up and down along the holding part (1)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formed by the holding part (1) and the connecting frame part (2). wealth (3);

상기 지주부(1)의 일측에 설치되어 스크린부(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 를 포함한다. A control unit (4)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unit (1)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creen unit (3); Includ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주부(1)는,In one embodiment, the holding portion 1 is,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1);Base plate 101 installed on the ground;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세로프레임(1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vertical frame 102 formed vertically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1;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프레임부(2)는,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frame portion 2 is,

내부에 공간부(201a)가 형성된 프레임하우징(201);A frame housing (201) having a space portion (201a) formed therein;

상기 프레임하우징(201)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부(202);A lighting unit 202 installed inside the frame housing 201;

상기 프레임하우징(201)의 발광창(201b)에 설치되어 조명부(202)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표시부(2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light emitting display unit 203 installed in the light emitting window 201b of the frame housing 201 and emitting light by the lighting unit 202;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크린부(3)는, In one embodiment, the screen unit 3,

상기 연결프레임부(2)의 하측에 설치되는 스크린하우징(301);A screen housing (301)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frame portion (2);

상기 스크린하우징(301)의 내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스크린(302a)이 권취되는 권취롤러(302);a winding roller 302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screen housing 301 to wind the screen 302a;

상기 스크린하우징(301)의 일측에 설치되어 권취롤러(302)를 구동하는 구동모터(303);A drive motor 303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creen housing 301 to drive the winding roller 302;

상기 스크린(302a)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단프레임(304);A lower frame 304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creen 302a;

상기 지주부(1)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단프레임(304)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305);A guide rail (305)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support portion (1) to guide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lower frame (304);

상기 가이드레일(305)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단프레임(304)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제어부(4)에 제공하는 센서부(30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ensor unit 306 installed inside the guide rail 305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lower frame 304 and provide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 unit 4;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4)는,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4,

관제서버(S)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부(401);A communication unit (401) that exchanges data with the control server (S) through a network;

상기 관제서버(S)에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402);A memory unit 402 in which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rver (S) is stored;

상기 네트워크망을 통해 관제서버(S)와 교환되는 데이터의 처리와, 스크린부(3)의 동작 제어를 위한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유닛(4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processor unit (403) that processes data exchanged with the control server (S) through the network and processes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creen unit (3);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4)는, 지주부(1)의 일측에 설치되어 네트워크망을 통해 관제서버(S)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40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4 includes a display unit 404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unit 1 to output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rver S through a network as an im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4)는, 지주부(1)의 타측에 설치되어 네트워크망을 통해 관제서버(S)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부(40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4 includes a speaker unit 405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unit 1 to output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rver S through a network as sou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4)는,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4,

버스 정류장 내의 대기 승객을 감지하는 대기승객감지수단(406);Waiting passenger detection means (406) for detecting waiting passengers within a bus stop;

상기 지주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대기표시조명부(407); 를 더 포함하여 버스 정류장 내의 승객이 감지되면, 사전 설정된 시간 대에 대기표시조명부(407)가 점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tandby display lighting unit 407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unit; It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passengers in the bus stop are detected, the waiting display lighting unit 407 is turned on at a preset tim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4)는,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4,

버스 정류장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408); 를 더 포함하여 An illuminance sensor 408 that measures the illuminance around the bus stop; including more

버스 정류장 내의 승객이 감지되고, 조도센서(408)에서 측정된 버스 정류장 주변의 조도값이 사전 저장된 기준값보다 낮으면 대기표시조명부(407)가 점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passengers in the bus stop are detected and the illuminance value around the bus stop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408 is lower than a pre-stored reference value, the waiting display lighting unit 407 is turned on.

본 발명의 버스 정류장용 스크린 셸터는, 개방형 셸터 구조물을 가진 버스 정류장에 추가 설치함으로써 버스 정류장 내에서 대기하는 승객을 비, 눈, 바람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버스 이용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screen shelter for a bus stop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bus by more effectively protecting passengers waiting at the bus stop from rain, snow, and wind by additionally installing it at a bus stop with an open shelter structure. .

또한, 벽체 형태로 구성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비가 저렴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install because it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wall, and the installation cost is low, so it has excellent economic efficiency.

또한, 원격 제어를 통한 스크린부의 효율적인 운용을 통해 스크린의 손상 및 고장을 억제하여 보다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fficient operation of the screen unit through remote control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screen damage and failure, thereby enabling more stable operation.

또한, 디스플레이부나 스피커부를 통해 버스 운행 정보를 비롯하여 날씨, 기온, 미세먼지 농도 등의 각종 기상 정보 및 뉴스, 광고 등을 출력할 수 있게 됨으로써 버스 이용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utput bus operation information, various meteorological information such as weather, temperature, and fine dust concentration, news, and advertisements through the display unit or speaker unit, which has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bu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이 닫힌 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요부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레일 평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an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screen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a guide ra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를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several embodiment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illustrating specific embodiments.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한 특정 실시 예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 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ed thereby.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All terms us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정류장용 스크린 셸터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screen shelter for a bus st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drawing numbers and Redundant explanation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설치 상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이 닫힌 상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요부 측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레일 평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an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front view of a closed state of the scree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a guide rai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shows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버스 정류장용 스크린 셸터는 지주부(1), 연결프레임부(2), 스크린부(3), 제어부(4)를 포함한다.The screen shelter for a bus st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 portion (1), a connection frame portion (2), a screen portion (3), and a control portion (4).

상기 지주부(1)는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개방형 셸터 구조물(A)의 일측 지면에 복수 개가 소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며, 베이스플레이트(101), 세로프레임(10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1 is installed vertical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open shelter structure A installed at a bus stop, and may include a base plate 101 and a vertical frame 102.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는 지면 또는 지면에 매립 설치되는 베이스블록에 앵커볼트로 고정 설치된다.The base plate 101 is fixed to the ground or a base block installed buried in the ground with anchor bolts.

베이스플레이트(101)는 평면상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되, 지면이나 베이스블록에 앵커볼트로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다수의 설치공이 원주 방향으로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e plate 101 is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in plan, but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installation holes are formed radial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order to be fixed to the ground or base block with anchor bolts.

상기 설치공은 장공형 또는 원호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앵커볼트 체결 시 베이스플레이트(101)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체결할 수 있게 되어 체결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By forming the installation hole in a long hole or arc shape, the anchor bolt can be fastened while rotating the base plate 101 at a predetermined angl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fastening work.

상기 세로프레임(102)은 소정 직경의 관체로 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상면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다.The vertical frame 102 is made of a tubular body with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is integrally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1.

세로프레임(102)의 평면 단면 형상은 한정하지 않으나, 사각형 단면의 관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lanar cross-sectional shape of the vertical frame 102 is not limited, but is preferably formed as a tubular body with a square cross-section.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상면과, 세로프레임(102)의 측면 간에는 복수 개의 보강리브를 형성함으로써 강성을 보강하여 지주부(1)의 구조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o improv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support portion 1 by reinforcing rigidity by form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1 and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102.

한편, 도면 상에서는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개방형 셸터 구조물(A)의 전방에 2개의 지주부(1)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게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개방형 셸터 구조물(A)의 가로(길이) 방향의 길이에 따라 2개 이상의 지주부(1)가 등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Meanwhile, in the drawing, two struts (1) are shown to b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front of the open shelter structure (A) installed at the bus stop, but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width (length) of the open shelter structure (A) It should be noted in advance that two or more struts (1) may be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direction.

또한, 지지부(1)의 설치 위치는 버스 정류장에 설치된 개방형 셸터 구조물(A)의 전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방, 측방, 후방에도 설치 가능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upport part 1 is not limited to the front of the open shelter structure A installed at the bus stop, and of course it can be installed in the front, side, and rear.

상기 연결프레임부(2)는 지주부(1)의 상단부 간을 연결하게 설치되며, 프레임하우징(201), 조명부(202), 발광표시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frame portion 2 is installed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support portion 1, and may include a frame housing 201, a lighting portion 202, and a light emitting display portion 203.

상기 프레임하우징(201)은 금속 판재를 이용해 내부에 공간부(201a)가 형성되게 형성된다.The frame housing 201 is formed using a metal plate so that a space 201a is formed therein.

즉, 프레임하우징(201)의 형상은 가로 방향으로 긴 육면체의 상자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조명부(202), 발광표시부(203)의 설치 및 미감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That is, the shape of the frame housing 201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al box that is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options are availabl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lighting unit 202 and the light-emitting display unit 203 and for improving aesthetics. Please make it clear in advance that shapes can be formed.

또한, 프레임하우징(201)의 전면, 전후면, 또는 양측면에는 프레임하우징(201)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부(202)의 빛이 투과되도록 발광창(201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form a light-emitting window 201b on the front, front, back, or both sides of the frame housing 201 to transmit light from the lighting unit 202 installed inside the frame housing 201.

한편, 프레임하우징(201)의 저면과 지주부(1)의 상단부 간 결합은 프레임하우징(201)을 지주부(1)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it is desirable to apply a screw coupling method to connect the bottom of the frame housing 201 and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ortion 1 so that the frame housing 201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support portion 1.

상기 조명부(202)는 프레임하우징(201)의 내부에 설치된다.The lighting unit 202 is installed inside the frame housing 201.

조명부(202)의 종류나 형태는 한정하지 않으나, 내구성 및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하여 LED모듈을 사용하여 적어도 한 방향 이상으로 발광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ype or form of the lighting unit 202 is not limited, but considering durability and energy efficiency, it is desirable to use an LED module to emit light in at least one direction.

상기 발광표시부(203)는 프레임하우징(201)의 발광창(201b)에 설치되어 조명부(202)에 의해 발광된다. The light emitting display unit 203 is installed in the light emitting window 201b of the frame housing 201 and emits light by the lighting unit 202.

발광표시부(203)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발광표시부(203)의 외표면에는 문자나 도형이 표시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isplay unit 203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lucent plastic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letters or figures may be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unit 203.

일 예로서, 발광표시부(203)의 외표면에 버스 정류장이 이름이나 노선 등이 표시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bus stop name, route, etc. may be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unit 203.

상기 스크린부(3)는 연결프레임부(2)의 하측에 설치되되, 지주부(1)를 따라 승강하는 스크린(302a)을 구비하여 지주부(1)와 연결프레임부(2)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며, 스크린하우징(301), 권취롤러(302), 구동모터(303), 하단프레임(304), 가이드레일(305), 센서부(306)를 포함한다.The screen part (3)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frame part (2) and has a screen (302a) that rises and falls along the support part (1) and is formed by the support part (1) and the connection frame part (2). I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and includes a screen housing 301, a winding roller 302, a drive motor 303, a lower frame 304, a guide rail 305, and a sensor unit 306.

상기 스크린하우징(301)은 육면체 형상으로 되되 저면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연결프레임부(2)의 하측에 설치된다. The screen housing 301 has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bottom and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frame portion 2.

상기 권취롤러(302)는 스크린하우징(301)의 내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스크린(302a)이 권취된다. The winding roller 302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screen housing 301 to wind the screen 302a.

권취롤러(302)를 회전 가능케 지지하기 위하여 스크린하우징(301)의 내벽에는 권취롤러(302)를 지지하는 베어링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rotatably support the winding roller 302,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wall of the screen housing 301 be provided with a bearing means for supporting the winding roller 302.

따라서, 권취롤러(30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크린(302a)이 권취롤러(302)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스크린하우징(301) 저면의 개구부를 통해 승강하게 된다.Therefore,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inding roller 302, the screen 302a is wound or unwound around the winding roller 302 and is raised and lowered through the opening in the bottom of the screen housing 301.

스크린(302a)은 두께 1 내지 5㎜의 투명한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합성섬유나 펄프 등 유연성을 가짐으로써 권취롤러(302)에 권취가 가능한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든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It is desirable to use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film with a thickness of 1 to 5 mm for the screen 302a,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y material that has flexibility and can be wound on the winding roller 302, such as synthetic fiber or pulp, can be used. Be clear in advance.

상기 구동모터(303)는 스크린하우징(301)의 일측에 설치되어 권취롤러(302)를 구동한다. The drive motor 303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creen housing 301 and drives the winding roller 302.

상기 하단프레임(304)은 상단부가 권취롤러(302)에 고정되는 스크린(302a)의 하단부에 설치됨으로써 구동모터(303)에 의한 권취롤러(302)의 정회전이나 역회전으로 인해 스크린(302a)이 권취롤러(302)에 감기거나 풀릴 때, 스크린(302a)과 함께 승강하게 된다. The lower frame 304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creen 302a, the upper part of which is fixed to the winding roller 302, so that the screen 302a is formed due to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winding roller 302 by the drive motor 303. When wound or unwound by this winding roller 302, it go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creen 302a.

하단프레임(304)은 내구성과 강한 강도를 위하여 각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in advance that the lower frame 304 is preferably formed of a square pipe for durability and strength,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 예에서, 하단프레임(304)은 완충부재(30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wer frame 304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304a.

상기 완충부재(304a)는 스펀지나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 유연성과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되어 하단프레임(304)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uffer member 304a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elasticity, such as sponge, rubber, urethane, or silicon, and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frame 304.

따라서 권취롤러(302)에 권취된 스크린(302a)이 풀리면서 하단프레임(304)이 하강하여 지면과 근접할 때, 평탄하지 않은 요철부나 지면의 쓰레기, 이물질 등에 하단프레임(304)이 직접 접촉되면서 손상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screen 302a wound on the winding roller 302 is unwound and the lower frame 304 lowers and approaches the ground, the lower frame 304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uneven uneven parts, trash, foreign substances, etc. on the ground. This can prevent damage or noise.

일 실시 예에서, 하단프레임(304)은 안내롤러(30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wer frame 304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oller 304b.

상기 안내롤러(304b)는 하단프레임(304)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어 지주부(1)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05)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하단프레임(304)의 승강 시 진동이 억제되어 하단프레임(304)의 승강 및 스크린(302a)의 권취가 더욱 원활하게 된다.The guide roller 304b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304 and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rail 305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portion 1, thereby suppressing vibration when the lower frame 304 is raised and lowered.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lower frame 304 and the winding of the screen 302a become more smooth.

일 실시 예에서, 하단프레임(304)은 발광수단(304c)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wer frame 304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means (304c).

상기 발광수단(304c)은 하단프레임(304)의 내부에 설치되며, 발광수단의 종류나 형태는 한정하지 않으나, 내구성 및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하여 LED모듈을 사용하여 적어도 한 방향 이상으로 발광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ght emitting means 304c is installed inside the lower frame 304, and the type or form of the light emitting means is not limited, but in consideration of durability and energy efficiency, an LED module is used to emit light in at least one direction. It is desirable to do so.

한편, 발광수단(304c)의 발광 방향은 하단프레임(304)의 상측에 고정된 스크린(302a)의 하단부를 향하게 하여 펼쳐진 스크린(302a)이 발광수단(304c)에 의해 빛나게 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rection of light emission of the light emitting means 304c is directe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screen 302a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304, so that the unfolded screen 302a can be illuminated by the light emitting means 304c.

따라서 버스 정류장에서 대기중인 승객의 주의를 환기시켜 승객의 부주의로 인한 스크린(302a)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alert the attention of passengers waiting at the bus stop and prevent collisions with the screen 302a due to the passengers' carelessness.

상기 가이드레일(305)은 지면에 복수 개가 소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지주부(1)의 내면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하단프레임(304)의 승강을 안내한다. The guide rails 305 are symmetrical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 which is installed vertical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ground, and guide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lower frame 304.

가이드레일(305)은 내측면이 개구된 C형 단면의 찬넬과 같은 프레임부재를 사용하되, 개구된 부분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rail 305 uses a frame member such as a channel of C-shaped cross-section with an opening on the inner sid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be provided with mohair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상기 센서부(306)는 가이드레일(305)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단프레임(304)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제어부(4)에 제공한다. The sensor unit 306 is installed inside the guide rail 305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lower frame 304 and provides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 unit 4.

즉, 센서부(306)는 가이드레일(305)의 상단부에 설치됨으로써 구동모터(303)에 의해 권취롤러(302)가 회전하여 스크린(302a)이 감기면서 하단프레임(304)이 상승하여 하단프레임(304)이 가이드레일(305)의 최고점에 도달하면 센서부(306)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에 제공함으로써 제어부(4)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303)가 정지함에 따라 구동모터(303)의 과회전과 그로 인한 스크린(302a)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sensor unit 306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rail 305, so that the winding roller 302 rotates by the drive motor 303 and the screen 302a is wound, and the lower frame 304 rises to form the lower frame. When (304) reaches the highest point of the guide rail (305), the sensor unit (306) detects this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 unit (4), so that the drive motor (303) is stopp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 and the drive motor ( Over-rotation of 303) and resulting damage to the screen 302a can be prevented.

또한, 센서부(306)는 가이드레일(305)의 하단부에도 설치됨으로써 구동모터(303)에 의해 권취롤러(302)가 회전하여 스크린(302a)이 풀리면서 하단프레임(304)이 하강하여 하단프레임(304)이 가이드레일(305)의 최저점에 도달하면 센서부(306)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에 제공함으로써 제어부(4)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303)가 정지함에 따라 구동모터(303)의 과회전과 그로 인한 스크린(302a)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sensor unit 306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guide rail 305, so that the winding roller 302 rotates by the drive motor 303, the screen 302a is released, and the lower frame 304 is lowered. When (304) reaches the lowest point of the guide rail (305), the sensor unit (306) detects this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 unit (4). As the drive motor (303) is stopp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 the drive motor ( Over-rotation of 303) and resulting damage to the screen 302a can be prevented.

센서부(306)는 터치센서, 리미트센서, 광센서 등 하단프레임(304)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Of course, any sensor that can detect the position of the lower frame 304, such as a touch sensor, a limit sensor, or an optical sensor, can be used as the sensor unit 306.

상기 제어부(4)는 지주부(1)의 일측에 설치되어 스크린부(3)의 동작을 제어하며, 통신부(401), 메모리부(402), 프로세서유닛(403)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unit 1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creen unit 3, and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401, a memory unit 402, and a processor unit 403.

상기 통신부(401)는 관제서버(S)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401 exchanges data with the control server (S) through a network.

즉, 통신부(401)는 전용통신모듈을 구비하여 데이터의 장거리 전송이 가능한 통신사의 인터넷(Internet)망이나, WCDMA망, 3G LTE망, 4G망, 5G망 등 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거리에 위치한 관제서버(S)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mmunication unit 401 is a control server located at a distance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network of a telecommunication company equipped with a dedicated communication module and capable of long-distance transmission of data, a WCDMA network, a 3G LTE network, a 4G network, and a 5G network. Data can be exchanged with (S).

또한 통신부(401)는 와이파이나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을 더 구비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관리자단말기(M)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401 is further equipped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Wi-Fi, Bluetooth, or ZigBee, and can exchange data with a manager terminal (M) located nearby.

상기 관리자단말기(M)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이나 전용통신모듈을 구비하여 근거리무선통신이나 인터넷망 및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유·무선 방식으로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함과 동시에 화면표시부, 입력부, 출력부를 모두 가지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나, 데스크톱, 노트북 등일 수 있다. The manager terminal (M) is equipped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dedicated communication module, enabling data exchange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by connecting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net network, 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t the same time, it has a screen display unit, an input unit, and an output unit. The branch can be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a desktop, or a laptop.

상기 메모리부(402)는 관제서버(S)에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The memory unit 402 stores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rver (S).

상기 프로세서유닛(403)은 네트워크망을 통해 관제서버(S)와 교환되는 데이터의 처리와, 스크린부(3)의 동작 제어를 위한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한다. The processor unit 403 processes data exchanged with the control server (S) through a network and processes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creen unit (3).

따라서 제어부(4)는 관제서버(S)에서 전달되는 데이터에 따라 스크린부(3)의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스크린부(3)의 동작 상태를 관제서버(S)로 전달함으로써 관제서버(S) 관리자는 스크린부(3)의 개폐(스크린(302a)의 승강) 상태를 원격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control unit 4 not on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creen unit 3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rver (S), but also transmits the operating status of the screen unit 3 to the control server (S), thereby controlling the control server ( S) The manager can remotely manage and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status of the screen unit 3 (elevating and lowering the screen 302a).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4)는 디스플레이부(4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4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404.

상기 디스플레이부(404)는 지주부(1)의 일측에 설치되며, 네트워크망을 통해 관제서버(S)와 교환되는 데이터의 저장 및 출력을 처리하는 프로세서유닛(403)이 메모리부(402)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404)를 통해 영상으로 출력되게 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404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unit 1, and a processor unit 403, which processes the storage and output of data exchanged with the control server (S) through a network, is located in the memory unit 402. The stored data can be processed and output as an image through the display unit 404.

따라서, 디스플레이부(404)를 통해 버스 운행 정보나, 날씨, 기온, 미세먼지 농도 등의 각종 기상 정보 및 뉴스, 광고 등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display unit 404 can display bus operation information, various meteorological information such as weather, temperature, and fine dust concentration, news, advertisements, etc.

한편, 디스플레이부(404)는 주지된 TFT-LCD, PDP, OLED 등과 같은 다양한 평판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404 preferably uses various flat display devices such as well-known TFT-LCD, PDP, OLED, etc.

또한, 디스플레이부(404)의 화면은 버스 정류장 내에서 대기하는 승객을 위하여 버스 정류장의 내측을 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 등에 대한 홍보, 광고 등을 위하여 화면을 버스 정류장의 외측을 향하게 설치하거나, 양면으로도 설치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In addi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404 be installed facing the inside of the bus stop for passengers waiting within the bus stop,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not limited to promotional and advertising purposes for drivers of vehicles traveling on the road. For this purpose, it should be noted in advance that the screen can be installed facing the outside of the bus stop or installed on both side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4)는 스피커부(4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4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unit 405.

상기 스피커부(405)는 지주부(1)의 타측에 설치되며, 네트워크망을 통해 관제서버(S)와 교환되는 데이터의 저장 및 출력을 처리하는 프로세서유닛(403)이 메모리부(402)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스피커부(405)를 통해 음향으로 출력되게 할 수 있다.The speaker unit 405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unit 1, and a processor unit 403, which processes the storage and output of data exchanged with the control server (S) through a network, is located in the memory unit 402. The stored data can be processed and output as sound through the speaker unit 405.

따라서, 스피커부(405)를 통해 버스 운행 정보나, 날씨, 기온, 미세먼지 농도 등의 각종 기상 정보 및 뉴스, 광고, 음악, 음향 등을 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명이나 사회생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지진 등과 같은 긴급 사태가 발생했을 때 시민들에게 긴급한 경계경보를 신속,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not only can various weather information such as bus operation information, weather, temperature, and fine dust concentration, news, advertisements, music, and sound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unit 405, but als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uman life and social life. When an emergency such as an earthquake occurs, urgent alerts can be delivered quickly and accurately to citizen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버스 정류장용 스크린 셸터는 개방형 셸터 구조물을 가진 버스 정류장에 추가 설치함으로써 버스 정류장 내에서 대기하는 승객을 비, 눈, 바람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버스 이용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shelter for a bus sto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itionally installed at a bus stop with an open shelter structure, thereby more effectively protecting passengers waiting at the bus stop from rain, snow, and win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bus. There is.

또한, 벽체 형태로 구성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비가 저렴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install because it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wall, and the installation cost is low, so it has excellent economic efficiency.

또한, 원격 제어를 통한 스크린부(3)의 효율적인 운용을 통해 스크린(302a)의 손상 및 고장을 억제하여 더욱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fficient operation of the screen unit 3 through remote control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damage and failure of the screen 302a, thereby enabling more stable operation.

또한, 디스플레이부(404)나 스피커부(405)를 통해 버스 운행 정보를 비롯하여 날씨, 기온, 미세먼지 농도 등의 각종 기상 정보 및 뉴스, 광고 등을 출력할 수 있게 됨으로써 버스 이용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404 or speaker unit 405 can output bus operation information, various weather information such as weather, temperature, and fine dust concentration, news, and advertisements,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bus. There is an effec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4)는, 대기승객감지수단(406), 대기표시조명부(4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4 may further include a waiting passenger detection means 406 and a waiting display lighting unit 407.

상기 대기승객감지수단(406)은 버스 정류장 내의 대기 승객을 감지한다. The waiting passenger detection means 406 detects waiting passengers within the bus stop.

대기승객감지수단(406)은 지주부의 일측이나, 연결프레임부의 일측 등 버스 정류장 내에 대기 중인 승객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든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waiting passenger detection means 406 can be installed at any location that can accurately detect waiting passengers within the bus stop, such as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or one side of the connecting frame portion.

한편, 대기승객감지수단(406)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데 사용하는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버스 정류장 내의 대기 승객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Meanwhile, the waiting passenger detection means 406 is preferably a microwave sensor used to detect the movement of an object,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ny means that can detect waiting passengers within a bus stop. Of course it can be used.

상기 대기표시조명부(407)는 지주부의 외측에 설치된다.The standby display lighting unit 407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unit.

대기표시조명부(407)의 종류나 형태는 한정하지 않으나, 내구성 및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하여 LED모듈을 사용하여 적어도 한 방향 이상으로 발광이 이루어짐으로써 원거리에서 버스 정류장에 접근하는 버스의 버스기사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ype or form of the waiting display lighting unit 407 is not limited, but in consideration of durability and energy efficiency, an LED module is used to emit light in at least one direction, so that the bus driver of the bus approaching the bus stop from a distance can easily identify it.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do so.

따라서, 제어부(4)는 버스 정류장 내의 승객이 감지되면, 사전 설정된 시간 대에 대기표시조명부(407)가 점등되게 함으로써 일몰이나 날씨 등으로 인하여 버스 정류장 주변이 어두울 때도, 운전 중인 버스기사가 대기표시조명부(407)의 점등을 통해 버스 정류장에서 대기 중인 승객의 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버스의 불필요한 가감속 및 차선 변경 등을 하지 않아도 되어 버스 운행의 효율성 향상 및 버스기사의 운전 피로도 감소에도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버스의 무정차 통과를 방지하여 버스 이용 승객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when the control unit 4 detects passengers in the bus stop, the waiting display lighting unit 407 turns on at a preset time, so that the bus driver driving the bus displays the waiting display even when the area around the bus stop is dark due to sunset or weather. Since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ssengers waiting at the bus stop can be easily confirmed through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unit 407, unnecessary acceleration/deceleration and lane changes of the bus are not required,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bus operation and reducing driving fatigue of bus drivers. 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relieving the inconvenience of bus passengers by preventing buses from passing without stopp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4)는 조도센서(4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4 may further include an illumination sensor 408.

상기 조도센서(408)는 지주부의 일측이나, 연결프레임부의 일측 등 버스 정류장 주변의 조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든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illuminance sensor 408 can be installed at any location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illuminance around the bus stop, such as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or one side of the connecting frame portion.

따라서, 제어부(4)는 버스 정류장 내의 승객이 감지되면, 조도센서(408)에서 측정된 버스 정류장 주변의 조도값이 사전 저장된 기준값보다 낮으면 대기표시조명부(407)가 점등되게 함으로써 일몰이나 날씨 뿐만 아니라, 주변 사물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버스 정류장 주변이 어두울 때 대기표시조명부(407)가 자동으로 점등되게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a passenger in the bus stop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4 turns on the standby display light unit 407 when the illuminance value around the bus stop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408 is lower than the pre-stored reference value, thereby not only displaying sunset or weather conditions. Alternatively, the waiting display lighting unit 407 can be turned on automatically when the area around the bus stop is dark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surrounding objects.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의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다양한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limit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laims below ar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 scope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버스 정류장 셸터 구조물 1: 지주부
101: 베이스플레이트 102: 세로프레임
2: 연결프레임부 201: 프레임하우징
201a: 공간부 201b: 발광창
202: 조명부 203: 발광표시부
3: 스크린부 301: 스크린하우징
302: 권취롤러 302a: 스크린
303: 구동모터 304: 하단프레임
304a: 완충부재 304b: 안내롤러
305: 가이드레일 306: 센서부
4: 제어부 401: 통신부
402: 메모리부 403: 프로세서유닛
404: 디스플레이부 405: 스피커부
406: 대기승객감지수단 407: 대기표시조명부
S: 관제서버 M: 관리자단말기
A: Bus stop shelter structure 1: Support part
101: Base plate 102: Vertical frame
2: Connection frame part 201: Frame housing
201a: space 201b: light emitting window
202: lighting unit 203: light emitting display unit
3: Screen unit 301: Screen housing
302: winding roller 302a: screen
303: Drive motor 304: Bottom frame
304a: Buffer member 304b: Guide roller
305: Guide rail 306: Sensor unit
4: Control unit 401: Communication unit
402: memory unit 403: processor unit
404: Display unit 405: Speaker unit
406: Waiting passenger detection means 407: Waiting display lighting unit
S: Control server M: Administrator terminal

Claims (5)

버스 정류장의 개방형 셸터 구조물(A)의 일측 지면에 소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부(1);
상기 지주부(1)의 상단부 간을 연결하게 설치되는 연결프레임부(2);
상기 연결프레임부(2)의 하측에 설치되며, 지주부(1)를 따라 승강하는 스크린(302a)을 구비하여 지주부(1)와 연결프레임부(2)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스크린부(3);
상기 지주부(1)의 일측에 설치되어 스크린부(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프레임부(2)는,
내부에 공간부(201a)가 형성된 프레임하우징(201);
상기 프레임하우징(201)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부(202);
상기 프레임하우징(201)의 발광창(201b)에 설치되어 조명부(202)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표시부(2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류장용 스크린 셸터.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1) installed vertical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ground on one side of the open shelter structure (A) of the bus stop;
A connecting frame part (2) installed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holding parts (1);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frame part (2) and has a screen (302a) that goes up and down along the holding part (1)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formed by the holding part (1) and the connecting frame part (2). wealth (3);
A control unit (4)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unit (1)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creen unit (3); It is composed including,
The connection frame portion (2) is,
A frame housing (201) having a space portion (201a) formed therein;
A lighting unit 202 installed inside the frame housing 201;
a light emitting display unit 203 installed in the light emitting window 201b of the frame housing 201 and emitting light by the lighting unit 202; A screen shelter for a bus stop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1)는,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1);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의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세로프레임(1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류장용 스크린 셸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olding portion (1) is,
Base plate 101 installed on the ground;
A vertical frame 102 formed vertically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1; A screen shelter for a bus stop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3)는,
상기 연결프레임부(2)의 하측에 설치되는 스크린하우징(301);
상기 스크린하우징(301)의 내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스크린(302a)이 권취되는 권취롤러(302);
상기 스크린하우징(301)의 일측에 설치되어 권취롤러(302)를 구동하는 구동모터(303);
상기 스크린(302a)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단프레임(304);
상기 지주부(1)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단프레임(304)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305);
상기 가이드레일(305)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단프레임(304)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제어부(4)에 제공하는 센서부(30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류장용 스크린 셸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creen unit 3 is,
A screen housing (301)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frame portion (2);
a winding roller 302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screen housing 301 to wind the screen 302a;
A drive motor 303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creen housing 301 to drive the winding roller 302;
A lower frame 304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creen 302a;
A guide rail (305)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support portion (1) to guide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lower frame (304);
A sensor unit 306 installed inside the guide rail 305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lower frame 304 and provide the detected value to the control unit 4; A screen shelter for a bus stop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는,
관제서버(S)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부(401);
상기 관제서버(S)에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402);
상기 네트워크망을 통해 관제서버(S)와 교환되는 데이터의 처리와, 스크린부(3)의 동작 제어를 위한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유닛(4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정류장용 스크린 셸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4,
A communication unit (401) that exchanges data with the control server (S) through a network;
A memory unit 402 in which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rver (S) is stored;
a processor unit (403) that processes data exchanged with the control server (S) through the network and processes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creen unit (3); A screen shelter for a bus stop comprising a.
KR1020230118199A 2023-09-06 2023-09-06 Screen shelter for bus stops KR1026357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8199A KR102635779B1 (en) 2023-09-06 2023-09-06 Screen shelter for bus stop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8199A KR102635779B1 (en) 2023-09-06 2023-09-06 Screen shelter for bus stop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779B1 true KR102635779B1 (en) 2024-02-13

Family

ID=8989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8199A KR102635779B1 (en) 2023-09-06 2023-09-06 Screen shelter for bus stop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77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712B1 (en) * 2013-02-08 2014-08-08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Getting on and off facilities of station for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KR101995687B1 (en) * 2019-01-30 2019-07-02 정국 Non-threshold fireproof screen shutter
KR20190102629A (en) * 2018-02-26 2019-09-04 디엠테크 주식회사 Booth for busstop
KR102095435B1 (en) 2019-03-05 2020-03-31 (주)씨큐메이드 Station smart shel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712B1 (en) * 2013-02-08 2014-08-08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Getting on and off facilities of station for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KR20190102629A (en) * 2018-02-26 2019-09-04 디엠테크 주식회사 Booth for busstop
KR101995687B1 (en) * 2019-01-30 2019-07-02 정국 Non-threshold fireproof screen shutter
KR102095435B1 (en) 2019-03-05 2020-03-31 (주)씨큐메이드 Station smart shel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7553B1 (en) Automatic control type tunnel entrance blocking apparatus
KR101974985B1 (en) Height-expanding warning light with display of roll-screen type
KR102245778B1 (en) Smart tunnel entrance blocking apparatus
JP2016057719A (en) Sign for road surface
KR102324942B1 (en) Parking breaker to prevent vehicle collision
KR102143972B1 (en) Entry and exit blocking gate apparatus
KR102635779B1 (en) Screen shelter for bus stops
KR101970997B1 (en) A attached/insertion type railing advertisement device using transparent led film
KR101168132B1 (en) A crosswalk canopy to reduce traffic accidents
KR20130000173U (en) Integrated Road Traffic Equipment
CN205582419U (en) Advertisement barrier gate
CN213806780U (en) Bus station
ES1141658U (en) Multifunctional street lighting pole.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KR102274056B1 (en) Smart cover for boundary stone
JP3368533B2 (en) Automatic guidance method in outdoor parking lot and automatic guidance device
JP2009098421A (en) Guiding display board and guiding display lamp
KR200336504Y1 (en) Billboards and placard posts using apartment sidewalls
KR102645032B1 (en) Dock safety railing device
KR102484562B1 (en) Dual system and method for tunnel entry blocking alarm
CN213709280U (en) Intelligent transportation device with height limit prompt function for bridge tunnel
KR102439544B1 (en) LED canopy for underground parking lot
KR102602977B1 (en) Safety facilities of parking zone for children and installing methods thereof
KR102438651B1 (en) A device that blocks cars from entering in the event of a fire in a road tunnel
KR200430371Y1 (en) Control booth for use in rest stops of highway
KR102451503B1 (en) Safety controlling system of bus st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