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985B1 - Height-expanding warning light with display of roll-screen type - Google Patents

Height-expanding warning light with display of roll-screen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985B1
KR101974985B1 KR1020180037494A KR20180037494A KR101974985B1 KR 101974985 B1 KR101974985 B1 KR 101974985B1 KR 1020180037494 A KR1020180037494 A KR 1020180037494A KR 20180037494 A KR20180037494 A KR 20180037494A KR 101974985 B1 KR101974985 B1 KR 101974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main body
lift
sub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욱
Original Assignee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7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9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9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1Indicating device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height extension type alarm lamp in which a roll screen type display is install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larm lamp capable of maintaining stability of the center of gravity of an alarm lamp when a vehicle is driven, while a roll screen, wound and accommodated inside an alarm lamp sub-body, is exposed to be identified, by lifting an alarm lamp sub-body to a predetermined height even when a patrol vehicle is dri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trol vehicle is driven, the patrol vehicle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adjust a height of an alarm lamp sub-body depending on road conditions and environment. Therefore, while a stable height is maintained according to a driving speed, driving stability is maintained. Meanwhile, a roll screen is operated to allow a vehicle to be driven, external discrimination is increased to perform the patrol service. Further, a progress direction or a situation of an accident scene is more easily guided to surrounding vehicles during driving.

Description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Height-expanding warning light with display of roll-screen type}[0001] Height-expanding warning light with display of roll-screen type [

본 발명은 순찰차, 응급차량 또는 도로 복구용 비상 차량의 천정에 장착 사용하는 높이 확장형 경광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광등 서브본체가 리프트부에 의해 승강시 롤스크린이 펼침 전개되면서,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측 차량에 진행유도방향 또는 사고현장의 상황을 보다 넓은 화면으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expanding warning light used for mounting on a ceiling of a patrol car, an emergency car, or an emergency vehicle for road restoration. More particularly, the warning light sub-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expanding type beacon provided with a display of a roll-screen type in which a rearward vehicle can be guided in a progress guiding direction or an accident scene by using various information on a wider screen.

일반적으로, 경찰차, 구급차, 소방차, 긴급견인차량, 도로관리차량, 고속도로 특수장비차량, 긴급재해 복구차량 등 긴급을 요하는 차량의 지붕에는 주위에 긴급한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사용하는 경광등이 장착되어 있으며,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경광등은 차량 지붕에 설치되는 브래킷에 의해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경광등은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097328 호(공개일 2011.08.31),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73556 호(공개일 2012.07.05)에 개시되어 있다.Generally, the roof of an emergency vehicle such as a police car, an ambulance, a fire truck, an emergency traction vehicle, a road management vehicle, a highway special equipment vehicle, an emergency disaster recovery vehicle, etc. is equipped with a warning light used for urgent situations, The conventional warning light is mounted and used by a bracket installed on the roof of a vehicle. Such a warning light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1-0097328 (Published on Aug. 31, 2011),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73556 (Published on July 21, 2012).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광등 장착 차량은 상기 경광등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주위에 상기 경광등의 위치보다 높은 차량이 있거나, 상기 경광등 장착 차량의 트렁크가 열려 있는 경우, 다른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경광등의 산광을 인식하지 못하여 긴급상황을 외부에 효과적으로 알리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긴급상황을 인지하지 못한 차량과의 충돌 사고 등이 발생할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beacon-equipped vehicle, when the position of the beacon is fixed and there is a vehicle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beacon, or the trunk of the beacon is open, the driver of the other beacon It is not possible to effectively notify an emergency situation to the outsid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collision accident with a vehicle not recognizing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이같은 종래 경광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경광등을 본체부와 덮개부 및 리프트로 구성한 다음, 필요에 따라 덮개부를 들어 올려 높이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5659호(공개일 2012.12.17)가 소개된 바 있고, 또 다른 실시 형태로는 경광등을 상향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승강용 리프트를 수용하기 위해 리프트 저장박스를 차량의 지붕에 고정 설치하고, 이러한 리프트 저장박스의 상측 덮개부에 경광등을 거치시켜 필요에 따라 덮개부를 들어 올리게 되면 그 위에 거치된 경광등이 조정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확장형 경광 조명장치가 등록특허공보 제10-1384622호(공고일자 2014.04.16)에 소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beacon, the beacon is composed of a main body part, a lid part and a lift, and if necessary, the lid part is lifted to extend the height,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135659 In another embodiment, the lift storage box is fix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so as to accommodate the lift for lifting the beacon upward, and the upper cover A height-expandable light guide device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384622 (Publication date 2014.04.16), in which a beacon light is mounted on a part of a ceiling and a cover part is lifted if necessary, .

그러나, 상기와 같은 높이 확장형 경광등은 단순히 덮개의 높이를 승하강시키는 것에 국한되어 있는 것이므로, 경광등의 외부 식별력을 높이는 기능을 가지기는 하지만, 공사 위치, 접근 금지 구역을 알리면서 차량의 안전한 주행을 유도하는 표시 기능은 구현하지 못하였으며, 더욱이 차량의 지붕에 고정 설치되는 리프트 저장박스 상측 덮개부에 별도의 경광등을 거치시켜서 되는 후자의 경우에는, 리프트를 수용하고 있는 저장박스 자체가 막대한 공기저항을 받게 되므로 차량의 연비를 현저히 떨어트려 긴급 차량의 기동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도 작용하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height-expanding beacon is limited to simply raising and lowering the height of the lid, the warning light has a function of increasing the external discrimination power of the beacon. However, In the latter case where a separate beacon is mounted on the upper cover of the lift storage box fixedly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the storage box itself accommodating the lift receives a large air resistance It also acts as a cause of lowering the mileage of the emergency vehicle by significantly lowering the fuel consumption of the vehicle.

따라서 차량을 안전하게 유도하는 기능을 더하고자 경우, 경광등을 장착한 차량에 화살표 형상의 LED램프로 이루어진 표시판을 별도로 설치할 수 밖에 없는데, 이 경우 표시판 설치로 인해 경광등을 장착한 차량의 주변이 복잡하고, 그 설치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securely guide the vehicle, it is inevitable to separately install a signboard consisting of an arrow-shaped LED lamp on a vehicle equipped with a warning light. In this case,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warning light is complicated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signboar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cost is increased.

이에, 본원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1930호(공개일 2015.05.13)를 제안한 바 있다.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method for impro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051930, published on May 13, 2015).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원발명은, 경광등 상부몸체를 상부로 올리고 주행하는 경우 상부몸체의 무게로 인하여 무게중심이 변화되면서 차량의 안정 주행을 방해함은 물론 중대한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과 함께,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가 제한된 면적에 표시됨으로써 현장의 상황을 충분히 전달하는데에 한계를 보이게 되는 것이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prior invention, when the upper body of the light of a beacon is raised, the center of gravity is changed due to the weight of the upper body, thereby obstructing the stable running of the vehicle,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limited area showed a limitation in sufficiently communicating the situation on the site.

따라서, 높이 확장형 경광등을 장착한 차량은 경광등을 내린 상태에서만 주행하도록 하고 있으며, 그러므로 내부에 수용되는 노출형 전광판은 정지된 상태에서 밖에 사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Therefore,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height-expanding beacon is required to travel only in the state in which the beacon is lowered, and therefore, the exposure-type electric billboard accommodated therein can be used only in a stationary sta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경광등 서브본체가 리프트부에 의해 승강시 롤스크린이 펼침 전개되면서,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측 차량에 진행유도방향 또는 사고현장의 상황을 보다 넓은 화면으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 guide for a vehicle, And a height-expanding warning light provided with a display of a roll-sourcing type which enables guidance using various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경광등 서브본체 내부에 권취되는 롤스크린의 펼침 높이를 일정 위치로 자동 조절하여 줌으로서, 차량 주행시 경광등 무게 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ll-sour-type display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unfolding height of a roll sphere wound around a sub light-emitting sub-body according to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high-intensity beacon.

다시말해, 순찰 차량이 주행시에도 경광등 서브본체를 일정 높이로 상승 이격시켜 경광등 서브 본체 내부에 권취 수용되는 롤스크린이 식별가능한 상태로 펼침 전개되도록 함으로서, 차량 주행시 경광등의 구조적 안정성과 함께 기능적 안정성을 동시에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을 제공하려는 것이다.In other words, even when the patrol vehicle is running, the warning light sub-main body is raised up to a certain height so that the roll screen accommodated in the warning light sub-main body is unfolded and deployed so that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functional stability of the warning light can be maintained And to provide a height-expanding warning light in which a display of a roll-screen type is provided.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은, 차량의 외부 천정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후방 및 좌측과 우측면에 대하여 조명부를 형성한 메인본체; 상기 메인본체내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으로서, 전후면에 조명부를 형성하고 있어 독립된 또 하나의 경광등으로 기능하게 되고, 승강을 통해 일정높이로 확장이 이루어지는 서브본체; 및, 상기 메인본체와 경광등 서브본체를 X자형의 제 1,2 승강링크로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서브본체의 높이 확장을 위해 제어패널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도록 상기 메인본체내에서 일단이 고정되는 리프트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에는 상기 리프트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서브본체가 하강시 상기 서브본체 내부에 권선 수용되고, 상기 리프트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서브본체가 승강시 펼침 전개되면서 진행유도방향 또는 사고현장의 상황을 안내하는 롤스크린부; 를 연결 구성하는 한편, 상기 롤스크린부의 펼침 전개를 위한 상기 리프트부의 승강 높이는 위치 설정부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A height-expanding warning light with a roll-screen typ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ixedly installed on an outer ceiling surface of a vehicle and includes a main body formed with front and rear, A sub main body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able to be lifted and lowered and having an illuminating portion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so as to function as another independent beacon; And one end of the sub main body is fix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driven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panel for height expansion of the sub main body, Lift portion; Wherein the sub-body and the main body are accommodated in the sub-body when the sub-body is lowered by driving the lift portion, and when the sub-body is extended and deployed by the driving of the lift portion, A roll screen section for guiding the direction or the situation of the accident scene; And the lifting height of the lifting unit for unfolding the roll sulphone unit is limited by the position setting unit.

상기 롤스크린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i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및 표시부가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가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The roll-screen portion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emitting diode (LED)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display or electronic paper, and a flexible display in which the display portion is bent or bent are selectively used.

또한, 상기 롤스크린부는 전후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oll shrink portion is formed of a pair of front and back.

또한, 상기 서브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롤스크린부가 권취되는 회전롤러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롤러는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에 따라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리프트부가 하강시 상기 회전롤러에 상기 롤스크린부가 권취되도록 제 1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상기 리프트부가 승상시 상기 회전롤러에 권취된 상기 롤스크린부가 펼침 전개되도록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the sub-body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ng roller around which the roll sourcing section is wound, and the rotating roller is rotated in a first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rive of the driving motor, The motor is driven to rotate in a first direction so that the roll screen is wound on the rotating roller when the lift part is lowered, and the second part is rotat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roll screen part,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회전롤러에 권취되는 상기 롤스크린부의 일단부는 상기 메인본체에 고정되는 고정형 또는 상기 메인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선택 분리형으로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roll shrink portion wound on the rotating roller may be a stationary type fixed to the main body or a selectively separable type selectively coupled to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롤스크린부의 일단부가 상기 메인본체에 결합되는 고정형인 경우, 상기 롤스크린부가 펼침 전개시 상기 롤스크린부에 전원이 자동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one end of the roll shrink portion is fixed to the main body, power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roll shrink portion when the roll shrink portion is unfolded.

또한, 상기 롤스크린부의 일단부가 상기 메인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선택 분리형인 경우, 상기 롤스크린부의 일단부가 상기 메인본체에 결합되면서 펼침 전개시 상기 롤스크린부에 전원이 자동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one end of the roll shrink portion i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one end of the roll shrink portion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power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roll shrink portion when the roll shrink portion is unfolded.

또한, 상기 롤스크린부의 일단부가 상기 메인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선택 분리형인 경우, 상기 리프트부에는 상기 리프트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서브본체가 하강시 상기 메인본체내에 수용되고, 상기 리프트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서브본체의 승강시에는 노출되면서 진행유도방향 또는 사고현장의 상황을 안내하는 판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one end of the roll shrink portion i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the lift portion is received in the main body when the sub body is lowered as the lift portion is driven, The display panel is coupled with a plate-like display panel which guides the progress of the driving direction or the accident scene while being exposed.

또한, 상기 리프트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1단의 상기 제 1 승강링크를 연결하는 연결로드; 1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승강링크의 일측단과 2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승강링크의 일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블럭; 상기 메인본체의 바닥면과 서브본체내의 저면 일측에 각각 형성되고 1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승강링크의 일측단과 2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승강링크의 일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슬라이드 블럭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한 쌍의 지지블럭에 각각 지지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연결로드에 구동로드로 연결되면서 일단은 메인본체에 고정되고, 2단 결합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제 1,2 승강링크가 승하강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블럭의 일측에는 센서 설치용 지지프레임을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The lift unit may include: a connection rod connecting the first lift link of one stage, which is a pair; A pair of slide blocks respective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lift link located at one end and two ends of the first lift link located at the first end; The slide block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t the bottom of the sub-body,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lift link located at one end and two ends of the first lift link, A guide rail supported on the pair of support blocks to guide linear movement; A drive uni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od by a drive rod an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main body and driven to move up and down the first and second lift links having a two-stage coupling structure; And a sensor mounting support frame is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block.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지지블럭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향 절곡되는 한 쌍의 수직부; 및, 한 쌍의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면서 직선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 블럭이 결합되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는 수평부; 로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support frame may include: a fixing part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pair of supporting blocks; A pair of vertical portions bent upward from the fixing portion; And a horizontal portion horizontally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rail to which the slide blocks linearly moving while connecting the pair of vertical portions are coupled; .

또한,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슬라이드 블럭의 상면에 결합되는 자석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수평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 블럭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자석부의 근접거리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한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어패널에 출력하는 자석센서;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The positioning unit may include: a magnet unit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lide block; And a magnet sensor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a horizontal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outputting a signal to the control panel to limit the driving of the driving portion according to a proximity distance of the magnet portion moved by the slide block; .

또한,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수평부의 하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블럭이 이송하여 접촉시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한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어패널에 출력하는 리미트스위치인 것이다.The position setting unit may be a limit switch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unit, and outputting a signal to the control panel to limit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when the slide block is transferred.

또한, 상기 제어패널은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롤스크린부의 펼침 전개 높이를 자동 조절하는 제어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includes a control progra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unfolding development height of the roll-screen portion while controlling the driving portion according to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measured from the speed measuring sensor of the traveling vehicl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경광등 서브본체가 리프트부에 의해 승강시 롤스크린이 펼침 전개되는 것이므로,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측 차량에 진행유도방향 또는 사고현장의 상황을 보다 넓은 화면으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rning lamp sub-main body is opened and unfolded when the lift section is lifted by the lift section, it is possible to guide the vehicle on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vehicle by using various information It will be possible to do.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경광등 서브본체 내부에 권취되는 롤스크린의 펼침 높이를 일정 위치로 자동 조절할 수 있어, 차량 주행시 경광등 무게 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순찰 차량이 주행시에도 경광등 서브본체를 일정 높이로 상승 이격시켜 경광등 서브 본체 내부에 권취 수용되는 롤스크린이 식별가능한 상태로 펼침 전개되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unfolding height of the roll screen wound around the sub light body in accordance with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ght of the warning light during traveling. The lamp sub-main body is lifted up to a certain height so as to be spread and deployed in a state in which the roll sulphone accommodated in the sub light main body can be recognized.

그리고 이같은 구성을 통해, 차량 주행시 경광등의 구조적 안정성과 함께 기능적 안정성을 동시에 유지하면서도 외부 식별력을 높여 순찰업무에 임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주행중인 주변 차량에게 진행유도방향 또는 사고현장의 상황을 보다 쉽게 안내하면서 안전 운전을 유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advantages. That is,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out the guiding direction or the situation of the accident scene to the neighboring vehicle in the traveling state by making it possible to carry out the patrol service by increasing the external discrimination power while maintaining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functional stability of the warning light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of inducing safe driving.

도 1은 본 발명 높이 확장형 경광등의 롤스크린 승강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높이 확장형 경광등의 롤스크린 승강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높이 확장형 경광등의 롤스크린 승강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차량 주행시 롤스크린 및/또는 판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펼침 전개와 그 전개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에 대한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높이 확장형 경광등의 판상 디스플레이 패널 수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높이 확장형 경광등의 판상 디스플레이 패널 승강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높이 확장형 경광등의 판상 디스플레이 패널 승강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높이 확장형 경광등의 판상 디스플레이 패널 승강상태를 보인 요부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판상 디스플레이 패널이 최대 높이로 펼침 전개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 9에 대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차량이 주행중인 상태에서 판상 디스플레이 패널이 최소 높이로 펼침 전개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 11에 대한 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ll-up / unfold state of a highly-extendable beac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roll-up / unfold state of the height-expanding warning 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roll-up / down state of the height-expanding warning 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spread development and a device for adjusting a spread height of a roll screen and / or a plate-shaped display panel when a vehicle is travelin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ate-like display panel is housed in a highly-expandable bea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vation of the plate-like display panel of the height-expanding beac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ion of the plate-like display panel of the height-expanding beac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elevation of the plate-like display panel of the height-expanding warning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te-shaped display panel is unfolded to a maximum height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is stopp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ide view of Figure 9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te-shaped display panel is unfolded to a minimum height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side view of Figure 11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높이 확장형 경광등의 롤스크린 승강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높이 확장형 경광등의 롤스크린 승강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높이 확장형 경광등의 롤스크린 승강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차량 주행시 롤스크린 및/또는 판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펼침 전개와 그 전개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에 대한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ll-up / unfold state of a highly-expandable beac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roll-up /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read development for a roll-screen and / or plate-shaped display panel and a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pread display during driv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높이 확장형 경광등의 판상 디스플레이 패널 수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높이 확장형 경광등의 판상 디스플레이 패널 승강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높이 확장형 경광등의 판상 디스플레이 패널 승강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높이 확장형 경광등의 판상 디스플레이 패널 승강상태를 보인 요부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te-like display panel of the high-expansion type beac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late- FIG. 8 is a detailed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elevation of the plate-like display panel of the height-expanding bea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은, 메인본체(10), 서브본체(20), 리프트부(30), 롤스크린부(40), 점등바아(50), 스피커(60), 위치설정부(7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이에 더하여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1 to 8, a height-expanding beacon light with a display of a roll-screen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sub-body 20, a lift unit 30, 40, a lighting bar 50, a speaker 60, and a position setting unit 70, and further includes a display panel 400 in a plate form.

상기 메인본체(10)는 차량의 외부 천정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전후는 물론 좌우면에 각각 조명부(10a)를 형성하는 것이다.The main body 10 is fixed to the outer ceiling surface of the vehicle, and the lighting unit 10a is form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as well as the front and rear sides.

상기 서브본체(20)는 상기 메인본체(10) 내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으로서 전후면에 조명부(20a)를 형성하고 있어 독립된 또 하나의 경광등으로 기능하는 것이며, 승강을 통해 일정높이로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The sub-main body 20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sub-main body 20 has an illuminating portion 20a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reof and serves as another independent light. .

여기서, 상기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0)에는 각각 유동방지수단으로서, 박스형의 안착부(11)와 안착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1)는 상기 메인본체(10)의 내측 양단에 돌출 형성한 것이고, 상기 안착홈(21)은 상기 서브본체(20)의 양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서브본체(20)가 상기 메인본체(10)로 하강하여 수납시 상기 안착부(11)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The main body 10 and the sub body 20 are each provided with a box-shaped seating portion 11 and a seating groove 21 as flow preventing means and the seating portion 11 is provided with the main body 10 The seating groove 21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b body 20 so that when the sub body 20 is lowered by the main body 10 and accommodated, (11) is inserted.

한편, 상기 서브본체(20)의 상면에는 복수의 격납홈(22)이 형성되며, 상기 격납홈(22)은 상기 점등바아(50)가 격납 또는 전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A plurality of retention grooves 2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nd the retention grooves 22 are formed to store or expand the lighting bar 50.

상기 리프트부(30)는 상기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0)를 한 쌍으로 이루어진 X자형으로서 2단 결합 구조를 이루는 제 1,2 승강링크(31)(31')(32)(32')로 연결하고 상기 서브본체(20)의 높이 확장을 위해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상기와 같은 리프트부(3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1단의 상기 제 1 승강링크(31)를 연결하는 연결로드(33)와, 1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승강링크(31)의 일측단과 2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승강링크(32')의 일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슬라이드 블럭(34)과, 상기 메인본체(10)의 바닥면과 경광등 서브본체(20)내의 저면 일측에 각각 형성되고 1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승강링크(31)의 일측단과 2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승강링크(32')의 일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슬라이드 블럭(34)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한 쌍의 지지블럭(35a)에 각각 지지되는 가이드레일(35)과, 상기 연결로드(33)에 구동로드(36)로 연결되면서 일단은 메인본체(10)에 고정되고, 2단 결합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제 1,2 승강링크(31)(31')(32)(32')가 승하강되도록 차량내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배치되는 제어패널(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The lift unit 30 includes first and second lifting links 31, 31 ', and 32 (hereinafter, referred to as " first lifting links ") having an X- The lift unit 30 is connected to the sub-main body 20 by connecting the first lift link 31 and the second lift link 31, A slide block 34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lift link 32 'located at one end and two ends of the first lift link 31 located at the first end, The second elevating link (31) and the second elevating link (31) located at one end and two ends of the first elevating link (31), which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re supported by a pair of support blocks 35a so as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the slide block 34, The guide rails 35 and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links 31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and lowering links 31 and 32), which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33 by the driving rod 36 and one end is fixed to the main body 10, 31 ') 32 and 32' are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panel 100 disposed in the driver's seat or the front passenger's seat.

여기서, 상기 리프트부(30)에 포함되는 상기 제 1,2 승강링크(31)(31')(32)(32')는 힌지(H1)에 의해 X자형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Here,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links 31, 31 ', 32 and 32' included in the lift portion 30 have an X-shaped structure by the hinge H1.

이때, 1단에 위치하는 제 1 승강링크(31)와 제 2 승강링크(32)의 하단은 메인본체(10)에 연결되고, 2단에 위치하는 제 1 승강링크(31')와 제 2 승강링크(32')의 상단은 서브본체(20)의 저면에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first lift link 31 and the second lift link 32 located at the first stage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and the first lift link 31 'and the second lift link 31'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link 32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main body 20.

더 구체적으로, 1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승강링크(32)의 하단과 2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승강링크(31')의 상단은 각각 상기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0)의 일측에 힌지로서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first lift link 31 'located at the lower end and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lift link 32 located at the first end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and the sub- As a hinge.

반면, 1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승강링크(31)의 하단과 2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승강링크(32')의 상단은 상기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0)의 내면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리프트부(30)에 포함되는 가이드레일(35)을 따라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ft link 32 'located at the lower end and the second end of the first lift link 31 located at the first end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ub- And is horizontally movable along the guide rails 35 included in the lift portions 30 installed.

이에 따라, 2단 결합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제 1 승강링크(31)(31')와 제 2 승강링크(32)(32')의 접힘과 펼쳐짐을 위해 필요한 이동은 1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승강링크(31)의 하단과 2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승강링크(32')의 상단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블럭(34)이 상기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0)의 내면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5)을 따라 수평이동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necessary movement for folding and unfolding the first lift link 31 (31 ') and the second lift link (32) 32' The slide block 34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ft link 32 'located at the lower end and the second end of the lift link 31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sub- The guide rails 35 can be moved horizontally.

즉, 상기 가이드레일(35)은 1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승강링크(31)의 하단과 2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승강링크(32')의 상단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블럭(34)이 움직이는 거리 내에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0)의 내면에 최소한의 길이로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That is, the guide rail 35 includes a slide block 34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ft link 32 'located at the lower end and the second end of the first lift link 31 located at the first end, The main body 10 and the sub-body 20 ar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with a minimum length.

그리고,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지지블럭(35a)에는 센서 설치용 지지프레임(38)이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프레임(38)은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지지블럭(35a)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부(38a)와, 상기 고정부(38a)로부터 상향 절곡되는 한 쌍의 수직부(38b) 및, 한 쌍의 상기 수직부(38b)를 연결하면서 직선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 블럭(34)이 결합되는 상기 가이드레일(35)과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는 수평부(38c)로 이루어진 것이다.A sensor mounting support frame 38 is fixed to the left and right support blocks 35a. The support frame 38 has a pair of support blocks 35a, A pair of vertical portions 38b that are upwardly bent from the fixing portion 38a and a pair of vertical blocks 38b that are coupled to the slide blocks 34 that linearly move while connecting the pair of vertical portions 38b, And a horizontal portion 38c horizontally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rail 35. [

상기 롤스크린부(40)는, 재료가 유연하여 접거나 말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곧 TFT LCD, 유기 EL(OLED)과 전기 영동(electrophoretic), LITI(Laser Induced Thermal Image) 기술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roll screen portion (40) is flexible and can fold or speak the material. TFT LCD, organic EL (OLED), electrophoretic and LITI (Laser Induced Thermal Image) technologies can be used.

최근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의 발달과 함께, 휘거나 롤(Roll) 형상으로 말 수 있는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 및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 본 발명이 적용하고자 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로드 등을 중심축으로 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권취되어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펼쳐서 사용할 수 있어,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flexible display devices capable of being bent or roll-shaped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along with development of display-related technologies. Among them, a roller-typ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rod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wound and stored, and the flexible display device can be used while being used, so that it is easy to store and use the flexible display device.

상기 롤스크린부(40)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i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표시부가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20 applied to the roll screen 4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emitting diode (LED)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 Display, a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display, or an electronic paper display, and the display portion is a flexible display that is bent or bent.

본 발명의 상기 롤스크린부(40)는, 유리 대신 플라스틱이나 금속박막을 기판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rnic Light Emitting Diode)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비교적 충격에도 강하며 또한 쉽게 휘어지거나 롤 형태로 감김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한 필름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부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The roll sour uni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inner and lighter th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OLED (Orgarnic Light Emitting Diode) by using plastic or metal thin film instead of glass, A flexible film type display device capable of being bent or rolled up into a roll shape. The display device is a flexible film type display device which is not shown in the figure, (E.g., a text, an image, a video, an icon, or a symbol) can be displayed by converting the R, G, and B signals into R, G,

이같은 본 발명의 롤스크린부(40)는 기존 디스플레이 패널의 1/5로 두께를 줄일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상기 서브본체(20)의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롤러(41)에 권취 수납되는 상태에서 스크린 하단지지부(45)가 상기 메인본체(10)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형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본체(10)에 설치되는 고정기구(46)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선택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roll screen portion 4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hickness of the roll screen portion 40 by 1/5 of that of the conventional display panel. Therefore, the roll screen portion 40 can be wound and housed on the rotating roller 41 formed inside the sub- The supporting portion 45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or may be selectively detachable to the fixing mechanism 46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

상기 롤스크린부(40)는 순응성이 있거나, 유연성이 있거나 또는 말릴 수 있는 것으로,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서브 픽셀들의 라인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디스플레이층을 구비하며, 각각의 라인에 할당된 관련 칼러를 가지며, 각각의 라인은 말림 방향 또는 굽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The roll screen portion 40 has a matrix display layer which is compliant, flexible or curlable and which is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 but which includes a line of subpixels, and the associated color assigned to each line And each line extends along the winding direction or the bending direction.

그리고, 상기 롤스크린부(40)를 구성하게 되는 디스플레이 효과층은 매트릭스층에 형성되며, 칼러 필터층은 말림 방향 또는 굽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라이프 칼러 필터를 포함하게 되면서, 스트라이프 칼러 필터들 각각은 디스플레이를 굽히거나 또는 마는 것에 기인하는 칼러 에러 또는 오정렬을 해결하도록 매트릭스층에 있는 서브 픽셀들의 라인들과 대응하는 필터 칼러를 포함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isplay effect layer constituting the roll shrink portion 40 is formed in the matrix layer, and the color filter layer includes a stripe color filter extending in the curling direction or the bending direction, so that each of the stripe color filters bends the display Or may include a filter color corresponding to the lines of subpixels in the matrix layer to resolve color errors or misalignment resulting from the nonlinearity or misalignment.

이같은 롤스크린부(40)는, 상기 리프트부(30)의 구동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 서브본체(20) 하강시 상기 서브본체(20) 내부에 권선 수용되고, 상기 리프트부(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서브본체(20)가 승강시 펼침 전개되면서 진행 유도방향 또는 사고 현장의 상황을 다양한 표현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The roll shed 40 is accommodated in the sub body 20 when the sub body 20 is moved downward or upward by the driving of the lift 30, The sub-main body 20 can be opened and unfolded while being guided by the driving of the sub-main body 20, thereby guiding the direction of the proceeding direction or the accident scene in various expressions.

여기서, 상기 롤스크린부(40)는 전후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브본체(20)의 내부에는 상기 롤스크린부(40)가 권취되는 회전롤러(41)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롤러(41)는 구동모터(42)의 회전 구동에 따라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구동모터(42)는 상기 리프트부(30)가 하강시 상기 회전롤러(41)에 상기 롤스크린부(40)가 권취되도록 제 1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상기 리프트부(30)가 승상시에는 상기 회전롤러(41)에 권취된 상기 롤스크린부(40)가 펼침 전개되도록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roll sour unit 40 includes a pair of front and rear parts and a rotation roller 41 around which the roll sourcing unit 40 is wound is formed in the sub body 20, The driving motor 42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or in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42. The driving motor 42 rotates the rotation roller 41 when the lifting unit 30 is lowered, The roll screen 40 is rotated and driven in a first direction so that the roll screen 40 is wound on the rotary roller 41 when the lift 30 is lifted, The second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이때, 상기 롤스크린부(40)의 하단지지부(45)에 상기 메인본체(10)에 결합되는 고정형인 경우, 상기 롤스크린부(40)가 펼침 전개시 상기 롤스크린부(40)에 전원이 자동 공급됨으로써, 상기 롤스크린부(40)는 진행유도방향 또는 사고현장의 상황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roll sreen 40 is fixed to the main body 10, the power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roll sreen 40 when the roll sreen 40 is unfolded , The roll shed 40 may be configured to guide a progress direction or an accident scene.

반면, 상기 롤스크린부(40)의 하단지지부(45)가 상기 메인본체(10)에 설치되는 고정기구(46)로부터 분리되는 선택 분리형인 경우, 상기 롤스크린부(40)의 하단에 위치하는 스크린 하단지지부(45)가 상기 메인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기구(46)에 근접 결합될 때 상기 롤스크린부(40)에 전원이 자동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메인본체(10) 내부에 수납되는 상기 롤스크린부(40)에 전원이 상시 공급되면서 야기되는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나아가서는 롤스크린의 내구 수명을 연장하는데 유익하기 때문이다. In the meantime, when the lower end supporting portion 45 of the roll splaying portion 40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mechanism 46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the screen lower portion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roll splaying portion 40 It is preferable that power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roll shed 40 when the support 45 is closely coupled to the fixing mechanism 46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In order to prevent unnecessary consumption of power caused by power supply to the roll shrink portion 40, which is stored in the roll shrink portion 40, and to prolong the durability life of the roll shrink.

그러나 스크린 보호를 위해 적용되는 이같은 전원 공급 및 차단장치는, 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또 다른 공지의 전원 제어방법으로 대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들을 통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들은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such a power supply and cutoff device applied for screen protection can be used in place of another known power supply control method widely used in this field, and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achieved through them.

상기 롤스크린부(40)의 일단부가 상기 메인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선택 분리형의 경우, 상기 리프트부(30)를 구동하기 이전에 상기 롤스크린부(40)의 하단에 위치하는 스크린 하단지지부(45)를 상기 메인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기구(46)에 결합시킬 것인지 아니면 분리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며, 이들 스크린 하단지지부(45)와 고정기구(46)는 전기적 신호에 따른 자성결합 또는 거림고리를 사용하는 기구적 동작에 따른 결합 등 다양한 결합수단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case of the selective separation type in which one end of the roll shed 40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 the screen lower end support 45 (see FIG. 4)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roll shed 40 before driving the lift 30, Of the main body 10 and the fixing mechanism 46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and the screen lower end supporting portion 45 and the fixing mechanism 4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magnetic coupling Or a combination according to a mechanical operation using a loop ring may be selectively applied.

다시말해, 상기 롤스크린부(40)는 상기 리프트부(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서브본체(20)가 하강할 때 상기 서브본체(20)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롤러(41)에 권취되면서 상기 메인본체(10)에 접근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리프트부(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서브본체(20)의 승강시에는 회전롤러(41)에 권취되어 있던 상기 롤스크린부(40)이 풀리면서 노출면에 진행유도방향 또는 사고현장의 상황을 안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when the sub main body 20 is lower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lift part 30, the roll sour main part 40 is wound on the rotating roller 41 located inside the sub main body 20, When the main body 20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lift unit 30, the roll sour unit 40 wound on the rotating roller 41 is unwound, It is possible to guide the progress direction or the situation of the accident scene.

상기 롤스크린부(40)의 일단부가 상기 메인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선택 분리형의 경우, 상기 리프트부(30) 중간부분에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0)을 추가로 결합 구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lective separable type in which one end of the roll shed 4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a plate-shaped display panel 400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lift 30.

즉, 상기 리프트부(30)를 구동하기 이전에, 상기 롤스크린부(40)의 하단에 위치하는 스크린 하단지지부(45)를 상기 메인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기구(46)에 결합한 상태라면 상기 메인본체(10)와 이격되면서 상부로 이동하는 상기 서브본체(20)로부터 상기 롤스크린부(40)가 풀리면서 노출되는 전면을 확장된 면적의 표시판으로 제공하는 것이지만, 상기 스크린 하단지지부(45)를 상기 고정기구(46)에 결합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서브본체(20)를 상향 이동하는 경우라면 상기 서브본체(20)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롤스크린부(40)는 권취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것이며, 따라서 상기 리프트부(30) 중간부분에 설치되는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0)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before driving the lift unit 30, the screen lower end supporting unit 45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roll sreen unit 40 is coupled to the fixing mechanism 46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surface of the roll sreen 40 exposed from the sub-main body 20 moving upwar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as a display panel of an enlarged area. However, the screen lower end support portion 45 When the sub main body 20 is moved upward without being coupled to the fixing mechanism 46, the roll skein part 40 accommodated in the sub main body 20 will be kept in a wound st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the plate-shaped display panel 400 installed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lift unit 30. [

여기서, 상기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0)은 상기 리프트부(30)의 2단 결합 구조를 이루는 제 1,2 승강링크(31,31')(32,32')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리프트부(30)에 포함되는 구동부(37)의 구동에 따라 상기 서브본체(20)가 하강시 상기 메인본체(10)내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부(30)에 포함되는 구동부(37)의 구동에 따라 상기 서브본체(20)의 승강시에는 노출되면서 진행유도방향 또는 사고현장의 상황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Here, the plate-shaped display panel 400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lift links 31 and 31 '(32 and 32') having a two-stage coupling structure of the lift portion 30, The sub-main body 20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 when the sub-main body 20 is lowered when the driving unit 37 included in the sub-unit 30 is driven. When the sub-main body 20 is lifted or lowered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37 included in the lift unit 30, the sub-main body 20 can be guided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r the accident scene while being exposed.

한편, 상기 회전롤러(41)에 상기 롤스크린부(40)가 권취 수납될 때, 상기 롤스크린부(4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보호부재에 의해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롤스크린부(40)와 함께 상기 회전롤러(41)에 감겨서 보관되는 경우, 상기 롤스크린부(40)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롤스크린부(4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이다.Meanwhile, when the roll shrink portion 40 is wound and stored in the rotary roller 41, the roll shrink portion 40 can be configured to be protected by a protective member (not shown) The roll sulphone 40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roll sulphone 40 to prevent the roll sulphone 40 from being damaged when the roll sulphone 40 is rolled together with the rollers 41.

이를 위해, 상기 보호부재는 롤스크린부(40)와 대략 동일한 크기와 모양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롤스크린부(40)를 보호할 수 있는 재질의 프로텍션 포일(protection foi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호부재는 상기 롤스크린부(40)가 회전롤러(41)에 권취되어 보관되는 경우에는 상기 롤스크린부(40)와 함께 권취되어 보관되지만, 상기 롤스크린부(40)가 상기 회전롤러(41)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롤스크린부(40)와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For this,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ective member is provided in substantially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roll shrink portion 40. In addition, the protective member may be formed of a protection foil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protecting the roll screen 40. This protective member is wound and held together with the roll shed 40 when the roll shed 40 is rolled up and stored on the rotary roll 41,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roll shed 40 when it is drawn out.

구체적으로, 보호부재는 상기 롤스크린부(40)와 회전롤러(41)에 감기는 경우, 보호부재의 전면이 롤스크린부(40)의 후면과 대향하고, 보호부재의 후면이 롤스크린부(40)의 전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롤스크린부(40)와 번갈아가며 상기 회전롤러(41)에 감길 수 있다. 이때, 보호부재는 후면이 상기 롤스크린부(40)의 전면과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Specifically, when the protective member is wound around the roll shed 40 and the rotary roller 41, the protective member faces the rear surface of the roll shed 4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protective sash 40 contacts the rear surface of the roll shed 40 And can be wound on the rotating roller 41 alternately with the roll shed 40 so as to face the front surface. At this time, the protective member may be provided so that the rear surface thereof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roll shrink portion 40.

한편, 상기 점등바아(50)는 LED램프(51)가 적용된 것으로, 상기 서브본체(2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격납홈(22)에 격납 또는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전개시 그 전개상태가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막대형상의 구조물로 구성한다.The lighting bar 50 is adapted to be stored or expanded in a storage groove 2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main body 20 to which the LED lamp 51 is applied, Shaped structure so as to be stably maintained without shaking.

즉, 상기 점등바아(50)는 상기 서브본체(20)의 상면 격납홈(22)에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서브본체(20)내 구동모터의 구동축 또는 구동축에 연결되는 회전축과 연결되게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가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구동시 연동되는 구동축 또는 회전축의 회전으로부터 펼침의 회전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That is, the lighting bar 5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or the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in the sub-main body 20, not shown in the figure, in the upper surface housing groove 22 of the sub- The drive motor is configured to be rotated and unrolled from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or the rotation shaft cooperating at the time of driving according to the control program.

상기 스피커(60)는 상기 메인본체(1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것으로, 여러대의 차량이 함께 출동한 듯한 느낌을 제공하도록 고음영역과 저음영역을 분할하여 동시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The speaker 60 is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0 and is configured to divide the treble region and the bass region and output them simultaneously so as to provide a feeling that a plurality of vehicles are sent together.

상기 위치설정부(70)는 차량 주행시 상기 롤스크린부(40) 및/또는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0)을 최소로 노출시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차량 주행시 상기 리프트부(30)에 포함되는 상기 제 1,2 승강링크(31,31')(32,32')의 승강높이를 제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The position setting unit 70 minimizes the roll shed 40 and / or the display panel 400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thereby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running of the vehicle during traveling. (32, 32 ') of the first and second lift links (31, 31') (32, 32 '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은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롤스크린부(40) 및/또는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을 최소 높이로 노출시켜, 최소 노출된 상기 롤스크린부(40) 및/또는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을 통해 주변에 진행유도방향 또는 사고현장의 상황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height-expanding warning light provided with the roll-screen type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oses the roll-screen portion 40 and / or the panel-shaped display panel 40 at a minimum height while maintaining the running stability of the vehicle, And can guide the proceeding direction or the situation of the accident scene to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exposed roll sreen section 40 and / or the panel display panel 4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에 있어, 상기 리프트부(30)에 포함되는 구동부(37)는 물론 구동모터(42)는 차량 운전석에 배치되는 제어패널(100)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며, 상기 제어패널(100)은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측정센서(200)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상기 구동부(37)와 상기 구동모터(42)를 제어하면서 상기 제 1,2 승강링크(31,31')(32,32')의 승강 높이, 그리고 상기 롤스크린부(40)의 펼침 전개 또는 권취 수납을 자동 조절하는 제어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하는 한편, 상기 제어패널(100)에 의한 상기 제 1,2 승강링크(31,31')(32,32')의 승강 높이 자동 조절은 상기 위치설정부(70)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height-expanding beacon with the roll-screen type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otor 42, as well as the driving unit 37 included in the lift unit 30, The control panel 100 controls the driving unit 37 and the driving motor 42 according to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measured from the speed measuring sensor 200 of the traveling vehicle, And a control progra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lifting height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links 31 and 31 '(32 and 32') and the unfolding expansion or winding storage of the roll splaying unit 40, The automatic height adjustment of the lifting height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links 31, 31 ', 32, 32' by the control panel 100 may be limited by the position setting unit 70.

이때, 상기 위치설정부(70)는 상기 슬라이드 블럭(34)의 상면에 결합되는 자석부(71)와, 상기 지지프레임(38)의 수평부(38c)의 상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블럭(34)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자석부(71)의 근접거리에 따라 상기 구동부(37)의 구동을 제한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어패널(100)에 출력하는 자석센서(72)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The positioning unit 70 includes a magnet unit 71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e block 34 and a slide unit 34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unit 38c of the support frame 38, And a magnet sensor 72 for outputting a signal for limit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37 to the control panel 100 according to the proximity distance of the magnet unit 71 moved by the magnet unit 71.

그러나, 상기 수평부(38c)의 하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블럭(34)이 이송하여 접촉시 상기 구동부(37)의 구동을 제한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어패널(100)에 출력하는 리미트스위치(73)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A limit switch 73 for outputting a signal to the control panel 100 to limit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37 when the slide block 34 is transferred a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 38c,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height-expanding beacon with the roll-screen type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FIG.

우선, 차량이 정차된 롤스크린부(40)를 최대 높이로 펼침 전개시키는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차량 실내의 제어패널(100)을 조작하여 리프트부(30)의 구동부(37)는 물론 구동모터(42)를 구동시킨다.First, the control panel 100 of the vehicle interior is operated to drive the drive section 37 of the lift section 30 as well as the drive motor (not shown) 42 are driven.

그러면, 상기 구동부(37)의 구동로드(36)를 통해 연결로드(33)를 잡아당게 되며, 상기 연결로드(3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1단에 위치하는 제 1 승강링크(31)를 연결하는 것이고, 상기 1단의 제 1 승강링크(31)에는 2단의 제 2 승강링크(32')가 연결되며, 상기 제 2 승강링크(32')의 상단에는 슬라이드 블럭(34)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드 블럭(34)은 서브본체(20)의 저면에 형성되면서 양단이 한 쌍의 구조를 이루는 지지블럭(35a)에 결합 고정되는 가이드레일(35)을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된다.Then, the connecting rod 33 is pulled through the driving rod 36 of the driving unit 37, and the connecting rod 33 connects the first lift link 31 located at the first stage, The second lift link 32 'is connected to the first lift link 31 of the first stage and the slide block 34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ft link 32' Therefore, the slide block 34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main body 20 and is linearly moved along the guide rail 35 whose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support block 35a having a pair of structures.

이때, 1단에 위치하는 제 2 승강링크(32)는 힌지(H1)를 중심으로 하여 1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승강링크(31)와 X자형의 구조물을 이룬 상태에서, 2단의 제 1 승강링크(31')와 연결됨은 물론, 2단의 상기 제 1 승강링크(31')의 상단은 서브본체(20)의 저면에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 고정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second lift link 32 located at the first stage is in the state of forming the X-shaped structure with the first lift link 31 located at the first stage with the hinge H1 as the center, The upper end of the first lift link 31 'is rotatab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main body 20 through a hinge, as well as the first lift link 31'.

그러므로, 상기 구동로드(36)에 의해 연결로드(33)가 당겨지면, 1단의 제 1 승강링크(31)와 2단에 위치하는 제 2 승강링크(32')는 슬라이드 블럭(34)을 통해 가이드레일(35)에서 직선 이동하고, 1단의 상기 제 1 승강링크(31) 및 2단의 상기 제 2 승강링크(32')의 직선이동으로부터 X자형을 이루는 1,2단의 제 1,2 승강링크(31)(31')(32)(32')는 펼침 전개가 이루어지면서, 2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1,2 승강링크(31')(32')의 상단에 결합되는 서브본체(20)는 일정높이로 승강하면서 그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connecting rod 33 is pulled by the driving rod 36, the first lift link 31 in the first stage and the second lift link 32 'located in the second stage move the slide block 34 And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links 32 and 32 'are moved linearly in the guide rails 35 through the first guide rails 35 and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links 32' , The two lift links 31, 31 ', 32 and 32' are engaged with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ft links 31 'and 32' located at the second stage, The height of the sub-main body 20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height while being raised and lowered.

이때, 상기 서브본체(20)의 승강시, 2단 결합 구조를 이루는 제 1,2 승강링크(31)(31')(32)(32')에 결합되는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0)이 최대 높이로서 외부 노출되거나 또는 서브본체(20)의 내부에서 회전롤러(41)에 권치되어 있던 롤스크린부(40)가 상기 구동모터(42)에 의해 펼침 전개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롤스크린부(40) 및/또는 상기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0)을 통해 진행유도방향 또는 사고현장의 상황을 안내하는 메세지가 디스플레이되어서, 차량의 외부 식별력을 높임은 물론, 후방 차량들의 안전한 주행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plate-shaped display panel 400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links 31, 31 ', 32 and 32' having a two-stage coupling structure at the time of lifting and lowering the sub- The roll screen portion 40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height or the roll screen portion 40 which has been held by the rotating roller 41 inside the sub-main body 20 is unfolded by the driving motor 42, A message is displayed to guide the proceeding direction or the situation of the accident scene through the display panel 400 on the plate, thereby enhancing the external discrimination power of the vehicle and inducing safe driving of the rear vehicles.

여기서, 상기 메인본체(10)의 좌우 양측에 제공되는 스피커(60)는 특정음성(예; 사고상황을 알리는 싸이렌 등)을 고음과 저음을 분할하여 동시 출력하면서 여러대의 차량이 출동한 듯한 느낌을 제공하게 되므로, 주변을 지나는 차량들에게 사고 현장의 심각성을 더욱 크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등 안전사고에 관한 경각심을 높여 안전한 주행을 보다 더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Here, the speaker 60 provided on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main body 10 can sense a plurality of vehicles while simultaneously outputting a specific voice (e.g., a siren indicating an accident situ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drive safe driving by raising awareness about safety accidents by allowing the vehicles passing around to feel the seriousness of the accident scene even more greatly.

한편, 차량 주행이 이루어지면서 롤스크린부(40) 및/또는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0)에 대한 외부 노출 높이를 최소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우선 차량실내의 제어패널(100)을 통해 리프트부(30)에 포함되는 구동부(37)와 구동모터(42)를 구동시킨다.When the external exposure height to the roll-screen portion 40 and / or the display panel 400 is desired to be minimized while the vehicle is traveling, the lift portion 30 The drive unit 37 and the drive motor 42 are driven.

그러면, 상기 구동부(37)는 구동로드(36)를 밀게 되고, 상기 구동로드(36)에 의해 연결로드(33)는 상기 구동부(3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며, 2단 결합구조를 이루는 제 1,2 승강링크(31)(31')(32)(32')에 있어서, 1단의 승강링크(31)와 2단의 제 2 승강링크(32')는 슬라이드 블럭(34)을 통해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0)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35)을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된다.Then, the driving rod 37 pushes the driving rod 36, and the connecting rod 33 moves linearl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riving unit 37 by the driving rod 36, In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links 31, 31 ', 32 and 32', the first lifting link 31 and the second lifting link 32 ' The main body 10 and the guide rails 35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sub-main body 20 move linearly.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블럭(34)이 상기 가이드레일(35)을 따라 상기 구동부(3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면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2단 결합 구조를 이루는 제 1,2 승강링크(31)(31')(32)(32')가 하강되어 접힘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 1,2 승강링크(31)(31')(32)(32')의 하강 접힘이 이루어질 때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0)이 하강하게 되고, 롤스크린부(40)는 회전롤러(41)의 권취 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롤러(41)에 권취 수납이 이루어진다.The slide blocks 34 are linearly moved along the guide rail 35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rive unit 37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lift links 31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links 31, 31 ', 32 and 32' are downwardly folded and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links 31, 31 ', 32 and 32' The panel 400 is lowered and the roll sill 40 is wound and stored on the rotary roller 41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roller 41 in the winding direction.

이때, 상기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0)의 하강 및/또는 상기 롤스크린부(40)를 권취 수납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드 블럭(34)이 상기 가이드레일(35)을 따라 직선 이동시, 상기 슬라이드 블럭(34)의 상면에 형성되는 위치설정부(70)의 자석부(71)는 지지프레임(38)의 일측 상면에 형성되는 자석센서(72)에 근접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자석센서(72)에서는 근접하는 상기 자석부(71)에 의해 구동제한신호를 발생시킨 후 이를 제어패널(100)로 출력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slide block 34 linearly moves along the guide rail 35 to lower the display panel 400 and / or retract the roll splay 40, The magnet part 71 of the positioning part 7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38 comes close to the magnet sensor 7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38. In the magnet sensor 72, And generates a driving restriction signal by the magnet unit 71, and outputs the driving restriction signal to the control panel 100.

그러면, 상기 제어패널(100)은 상기 구동부(37)와 상기 구동모터(42)의 구동을 제한하게 되면서, 상기 제 1,2 승강링크(31)(31')(32)(32')의 하강을 제한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제 1,2 승강링크(31)(31')(32)(32')에 결합되는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0)에 대한 하강 및/또는 상기 롤스크린부(40)의 권취 수납을 정지시키게 되면서, 상기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0) 및/또는 롤스크린부(40)를 상기 메인본체(10)와 상기 서브본체(20)에 수납시키는 것이 아니라, 최소 높이로 노출시키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주행중인 차량이 노출된 상기 롤스크린부(40) 및/또는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0)에 의해 주행 안정성이 침해되는 것, 즉 외부 노출된 상기 롤스크린부(40) 및/또는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0)에 의해 풍절음이 발생하거나 저항으로 인해 차량의 주행 안정성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최소 노출 높이를 유지하는 상기 롤스크린부(40) 및/또는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0)을 통해 진행유도방향 또는 사고현장의 상황을 안내하는 메세지를 표출시키면서, 주변 차량들의 안전한 주행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The control panel 100 limits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37 and the driving motor 42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links 31, 31 ', 32 and 32' The lowering of the roll screen 40 and the lowering of the display panel 400 relative to the plate-like display panel 400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lift links 31, 31 ', 32 and 32' The display panel 400 and / or the roll screen 40 are not housed in the main body 10 and the sub-body 20, but are exposed to the minimum height The driving safety is infringed by the roll shed 40 and / or the panel display panel 400 in which the vehicle during driving is exposed, that is, the roll shed 40 and / The display panel 400 of the display panel 400 generates a wind noise or the resistance of the vehicle deteriorates the running stability of the vehicle While displaying a message guiding the progress of the driving direction or the accident scene through the roll sreen 40 and / or the panel-like display panel 400 maintaining the minimum exposure height, Driving can be induced.

여기서, 상기 리프트부(30)에 포함되는 구동부(37)와 상기 구동모터(42)의 구동을 제한하기 위해 위치설정부(70)를 자석부(71)와 자석센서(72)로 구성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지지프레임(38)를 이루는 수평부(38c)의 저면에 배치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블럭(34)이 이송하여 접촉시 상기 구동부(37)와 상기 구동모터(42)의 구동을 제한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어패널(100)에 출력하는 리미트스위치(73)로 위치설정부(70)를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order to limit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37 and the driving motor 42 included in the lift unit 30, the positioning unit 70 includes the magnet unit 71 and the magnet sensor 72 The slide block 34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38c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38 so as to restrict the drive of the drive unit 37 and the drive motor 42 when the slide block 34 is contacted, The position setting unit 70 may be constituted by a limit switch 73 for outputting a signal to the control panel 100.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은 차량의 주행상태에서 차량내에서 운전자가 제어패널(100)을 조작하여 구동부(37)와 구동모터(42)를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부(37)와 구동모터(42)의 구동에 따라 제 1,2 승강링크(31)(31')(32)(32')가 접힘의 하강이 이루어질 때 그 하강 높이를 위치설정부(70)를 통해 강제적으로 제한하면서, 상기 제 1,2 승강링크(31)(31')(32)(32')에 결합된 상기 롤스크린부(40) 및/또는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0)을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최소 높이로 노출되도록 하려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That is, the height-expanding warning lamp equipped with the roll-sill type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ives the driving unit 37 and the driving motor 42 by operating the control panel 100 in the vehicle in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When the folding of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links 31, 31 ', 32 and 32'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37 and the driving motor 42, (40) and / or the plate-shaped display panel (400)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lifting links (31, 31 ', 32 and 32') while forcibly restricting the roll- To be exposed to the minimum heigh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stability of the vehicle's running.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치설정부(70)에 의해 제 1,2 승강링크(31)(31')(32)(32')의 접힘에 따른 하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차량의 속도측정센서(200)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패널(100)에 탑재된 제어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하강 높이를 자동으로 제한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ent height according to the folding of the first and second lift links 31, 31 ', 32 and 32' is limited by the position setting unit 70. However, The control program installed on the control panel 100 may automatically limit the descent height automatically using the speed measuring sensor 200. [

즉, 운행중인 차량의 주행속도는 속도측정센서(200)에 의해 감지된 후 제어패널(100)에 출력되므로, 상기 제어패널(100)은 상기 속도측정센서(200)로부터 측정되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저속인 경우 상기 롤스크린부(40) 및/또는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0)의 외부 노출 높이를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상기 구동부(37)와 상기 구동모터(42)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since the running speed of the running vehicle is detected by the speed measuring sensor 200 and then outputted to the control panel 100, the control panel 100 detects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measured from the speed measuring sensor 200 The drive unit 37 and the drive motor 37 are controlled to maintain the external exposure height of the roll screen unit 40 and / or the plate-shaped display panel 400 constan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nfringe the driving stability of the vehicle, (42) is controlled.

하지만, 차량의 주행속도가 고속인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37)와 구동모터(42)의 구동을 오프시키면서, 상기 롤스크린부(40) 및/또는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롤스크린부(40) 및/또는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400)의 외부 노출에 따른 차량의 주행 안정성 침해를 방지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However, when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s high,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37 and the driving motor 42 is turned off, and the rolling screen unit 40 and / or the plate-shaped display panel 400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infringement of the driving stability of the vehicle due to the external exposure of the roll screen portion 40 and / or the panel-shaped display panel 40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height-expanding beacon with the display of the rolled-screen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not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 described and tha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changes are, of cours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메인본체 10a; 조명부
11; 안착부 20; 서브본체
20a; 조명부 21; 안착홈
22; 격납홈 30; 리프트부
31,31'; 제 1 승강링크 32,32'; 제 2 승강링크
33; 연결로드 34; 슬라이드 블럭
35; 가이드레일 35a; 지지블럭
36; 구동로드 37; 구동부
38; 지지프레임 38a; 고정부
38b; 수직부 38c; 수평부
40; 롤스크린부 41; 회전롤러
42; 구동모터 50; 점등바아
51; LED 램프 60; 스피커
70; 위치설정부 71; 자석부
72; 자석센서 73; 리미트스위치
100; 제어패널 200; 속도측정센서
400; 판상의 디스플레이패널
10; A main body 10a; Illumination unit
11; A seating portion 20; Sub body
20a; A lighting unit 21; Seat groove
22; A containment groove 30; Lift portion
31, 31 '; First lift link 32, 32 '; The second lift link
33; Connection rod 34; Slide block
35; A guide rail 35a; Support block
36; Drive rod 37; The driving unit
38; A support frame 38a; [0035]
38b; Vertical portion 38c; Horizontal portion
40; A roll-screen section 41; Rotary roller
42; A drive motor 50; Light bar
51; LED lamp 60; speaker
70; A position setting unit 71; The magnet portion
72; A magnet sensor 73; Limit switch
100; A control panel 200; Speed measuring sensor
400; A plate-shaped display panel

Claims (13)

차량의 외부 천정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후방 및 좌측과 우측면에 대하여 조명부를 형성한 메인본체;
상기 메인본체내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으로서, 전후면에 조명부를 형성하고 있어 독립된 또 하나의 경광등으로 기능하게 되고, 승강을 통해 일정높이로 확장이 이루어지는 서브본체; 및,
상기 메인본체와 경광등 서브본체를 X자형의 제 1,2 승강링크로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서브본체의 높이 확장을 위해 제어패널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도록 상기 메인본체내에서 일단이 고정되는 리프트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본체와 상기 메인본체에는 상기 리프트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서브본체가 하강시 상기 서브본체 또는 메인본체 내부에 권선 수용되고, 상기 리프트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서브본체가 승강시 펼침 전개되면서 진행유도방향 또는 사고현장의 상황을 안내하는 롤스크린부; 를 연결 구성하는 한편,
상기 롤스크린부의 펼침 전개를 위한 상기 리프트부의 승강 높이는 위치 설정부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A main body fixedly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an outer ceiling of the vehicle, the main body having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surfaces illuminated;
A sub main body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able to be lifted and lowered and having an illuminating portion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so as to function as another independent beacon; And
The main body and the sub light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first and second X-shaped lift links, and a lift unit having one end fixed in the main body for driving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panel for height expansion of the sub- ; / RTI >
The sub main body and the main main body are accommodated in the sub main body or the main main body when the sub main body is lowered by the driving of the lift portion. When the sub main body is extended and deployed by the driving of the lift portion, A roll-screen section for guiding the situation of the accident scene; In addition,
Wherein the elevation height of the lift part for unfolding of the roll sulphone part is limited by the position sett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스크린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i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및 표시부가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가 선택적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ll-screen portion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emitting diode (LED)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display or an electronic paper, and a flexible display in which the display portion is bent or bent are selectively u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스크린부는 전후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ll screen portion is formed of a pair of front and rear backlight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롤스크린부가 권취되는 회전롤러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롤러는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에 따라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리프트부가 하강시 상기 회전롤러에 상기 롤스크린부가 권취되도록 제 1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고, 상기 리프트부가 승상시 상기 회전롤러에 권취된 상기 롤스크린부가 펼침 전개되도록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The method of claim 3,
A rotating roller on which the roll shrink portion is wound is formed in the sub-
The rotation roller is rotated in a first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rotation drive of the drive motor,
Wherein the driving motor is driven to rotate in a first direction so that the roll shrink portion is wound on the rotating roller when the lift portion descends, and the lift portion is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roll shrink portion wound on the rotating roller And wherein the display panel is rotatably driven in a second direc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에 권취되는 상기 롤스크린부의 일단부는 상기 메인본체에 고정되는 고정형 또는 상기 메인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선택 분리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one end of the roll sourcing part wound on the rotating roller is a fixed type fixed to the main body or a selectively separable type selectively coupled to the main bod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롤스크린부의 일단부가 상기 메인본체에 결합되는 고정형인 경우, 상기 롤스크린부가 펼침 전개시 상기 롤스크린부에 전원이 자동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wer supply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roll shrink portion when the roll shrink portion is unfolded when one end of the roll shrink portion is fixed to the main bod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롤스크린부의 일단부가 상기 메인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선택 분리형인 경우, 상기 롤스크린부의 일단부가 상기 메인본체에 결합되면서 펼침 전개시 상기 롤스크린부에 전원이 자동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one end of the roll sulphone unit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power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roll sulphone unit when the one end of the roll sulphone uni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Expandable beac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롤스크린부의 일단부가 상기 메인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선택 분리형인 경우, 상기 리프트부에는 상기 리프트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서브본체가 하강시 상기 메인본체내에 수용되고, 상기 리프트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서브본체의 승강시에는 노출되면서 진행유도방향 또는 사고현장의 상황을 안내하는 판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sub-main body is lowered when the lift section is driven, the lift section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when the lift section is lift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lift section, And a plate-shaped display panel for guiding the direction of the proceeding induction or the accident scene while being exposed. The height-expanding type beacon is provided with a display of a roll-screen ty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1단의 상기 제 1 승강링크를 연결하는 연결로드;
1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승강링크의 일측단과 2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승강링크의 일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블럭;
상기 메인본체의 바닥면과 서브본체내의 저면 일측에 각각 형성되고 1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승강링크의 일측단과 2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승강링크의 일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슬라이드 블럭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한 쌍의 지지블럭에 각각 지지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연결로드에 구동로드로 연결되면서 일단은 메인본체에 고정되고, 2단 결합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제 1,2 승강링크가 승하강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블럭의 일측에는 센서 설치용 지지프레임을 고정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 unit includes:
A connecting rod connecting one pair of the first lift link in a pair;
A pair of slide blocks respective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lift link located at one end and two ends of the first lift link located at the first end;
The slide block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t the bottom of the sub-body,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lift link located at one end and two ends of the first lift link, A guide rail supported on the pair of support blocks to guide linear movement;
A drive uni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od by a drive rod an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main body and driven to move up and down the first and second lift links having a two-stage coupling structure; Lt; / RTI >
And a sensor mounting support frame is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block.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지지블럭에 양단이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향 절곡되는 한 쌍의 수직부; 및,
한 쌍의 상기 수직부를 연결하면서 직선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 블럭이 결합되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는 수평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fixing part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pair of supporting blocks;
A pair of vertical portions bent upward from the fixing portion; And
A horizontal part horizontally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guide rail to which the slide block is linearly moved while connecting a pair of the vertical parts; And a height-adjustable warning lamp having a roll-screen type displa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슬라이드 블럭의 상면에 결합되는 자석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수평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 블럭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자석부의 근접거리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한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어패널에 출력하는 자석센서;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osition setting unit comprises:
A magnet unit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lide block; And
A magnet sensor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a horizontal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outputting a signal to the control panel to limit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a proximity distance of the magnet unit moved by the slide block; And a height-adjustable warning lamp having a roll-screen type displa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수평부의 하면에 결합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블럭이 이송하여 접촉시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한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어패널에 출력하는 리미트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osition setting unit is a limit switch that is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unit and outputs a signal to the control panel for limit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when the slide block is transported by contact, Expandable beac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은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롤스크린부의 펼침 전개 높이를 자동 조절하는 제어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panel is equipped with a control progra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unfolding development height of the roll-screen portion while controlling the driv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measured from the speed measuring sensor of the traveling vehicle. Height-adjustable warning light installed.
KR1020180037494A 2018-03-30 2018-03-30 Height-expanding warning light with display of roll-screen type KR1019749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494A KR101974985B1 (en) 2018-03-30 2018-03-30 Height-expanding warning light with display of roll-screen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494A KR101974985B1 (en) 2018-03-30 2018-03-30 Height-expanding warning light with display of roll-screen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985B1 true KR101974985B1 (en) 2019-05-08

Family

ID=66580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494A KR101974985B1 (en) 2018-03-30 2018-03-30 Height-expanding warning light with display of roll-screen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985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636A (en)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Emergency Sign Equipment Form Vehicle Load
KR102272634B1 (en) 2021-01-11 2021-07-06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Expandable display board for emergency vehicles
KR102450920B1 (en) * 2022-03-02 2022-10-06 김철진 Smart elevating typed light bar
KR20230030335A (en) * 2021-08-25 2023-03-06 (주)현도산업 Elevate type warning light apparatus
KR102601349B1 (en) * 2023-06-26 2023-11-14 주식회사 컴파스 Automatic folding device of road guidance indicator and its driving method
KR102641167B1 (en) 2023-05-08 2024-02-27 라동욱 Extendable warning light assembly
CN117826498A (en) * 2024-03-05 2024-04-05 惠科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494B1 (en) * 2015-10-05 2016-10-20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Height adjustable warning lamp mount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494B1 (en) * 2015-10-05 2016-10-20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Height adjustable warning lamp mounting structur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636A (en)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Emergency Sign Equipment Form Vehicle Load
KR102274534B1 (en) 2019-12-20 2021-07-07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Emergency Sign Equipment Form Vehicle Load
KR102272634B1 (en) 2021-01-11 2021-07-06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Expandable display board for emergency vehicles
KR20230030335A (en) * 2021-08-25 2023-03-06 (주)현도산업 Elevate type warning light apparatus
KR102565405B1 (en) * 2021-08-25 2023-08-09 (주)현도산업 Elevate type warning light apparatus
KR102450920B1 (en) * 2022-03-02 2022-10-06 김철진 Smart elevating typed light bar
KR102641167B1 (en) 2023-05-08 2024-02-27 라동욱 Extendable warning light assembly
KR102601349B1 (en) * 2023-06-26 2023-11-14 주식회사 컴파스 Automatic folding device of road guidance indicator and its driving method
CN117826498A (en) * 2024-03-05 2024-04-05 惠科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985B1 (en) Height-expanding warning light with display of roll-screen type
KR101667494B1 (en) Height adjustable warning lamp mounting structure
WO2020110832A1 (en) Vehicular display device
KR101559260B1 (en) Height adjustable warning lamp mounting structure
KR101772444B1 (en) Projection type virtual safety tripod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KR20130138969A (en) Curtain type tunnel entrance blocking apparatus
KR101842607B1 (en) Height adjustable warning lamp mounting structure
KR101504229B1 (en) Elevate type warninig light apparatus
KR102052407B1 (en) Smart elevate type warninig light apparatus
KR20200142718A (en) Parking breaker to prevent vehicle collision
KR20010103326A (en) control system of traffic signal lamp for protecting
KR101891617B1 (en) Elevate type warninig light apparatus and drone system using the warninig light apparatus
KR20120135659A (en) Operating device of siren for automobile
KR102006627B1 (en) Back safety display apparatus
KR101580064B1 (en) Height adjustable warning lamp mounting structure
KR101703736B1 (en) Height adjustable warning lamp mounting structure
KR102450920B1 (en) Smart elevating typed light bar
KR20230054189A (en) Smart integrated pole system having hologram type traffic information device
KR101654228B1 (en) Self propelled type electronic sign board
JP7094207B2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s
KR102365877B1 (en) Pedestrian safety system at crosswalk
WO2019199123A1 (en) Crosswalk safety system
KR200373100Y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no entrance into a tunnel
KR102641167B1 (en) Extendable warning light assembly
KR20240052584A (en) Up and down type entrance bloc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