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141B1 -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 - Google Patents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141B1
KR102635141B1 KR1020220070487A KR20220070487A KR102635141B1 KR 102635141 B1 KR102635141 B1 KR 102635141B1 KR 1020220070487 A KR1020220070487 A KR 1020220070487A KR 20220070487 A KR20220070487 A KR 20220070487A KR 102635141 B1 KR102635141 B1 KR 102635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older device
guide space
inspec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70237A (ko
Inventor
김진웅
유동균
Original Assignee
테크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크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0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141B1/ko
Publication of KR20230170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2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using diffra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crystal structure; by using scattering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e.g. for investigating non-crystalline materials; by using reflection of the radiation by the materials
    • G01N23/20008Constructional details of analysers, e.g. characterised by X-ray source, detector or optical system; Accessories therefor; Preparing specimens therefor
    • G01N23/20025Sample holders or suppor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의 생산 또는 검사 공정에서 시계열적으로 이송되는 실린더형 배터리의 지지가 가능한 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 외면의 일부를 자력에 의하여 부착하는 홀딩부와, 상기 홀딩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전후로 회전을 가이드하는 기구의 입출이 가능한 공간을 가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후측으로 연장되어 이송수단에 연결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HOLDER DEVICE FOR CYLINDRICAL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의 검사 및 이송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의 생산 또는 검사 공정에서 시계열적으로 이송되는 실린더형 배터리의 지지 및 공정에의 적용이 가능한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2차전지(secondary cell)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외부의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도 하고, 방전되었을 때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적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바꾸어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전지를 가리킨다.
건전지처럼 한 번 쓰고 버리는 1차전지와 달리 2차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거듭하며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양한 물질을 활용하는 2차전지가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 상용화된 것 중에서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리튬이온전지다. 리튬이온전지로서의 2차전지는 휴대성이 강조되는 스마트폰, 노트북 같은 제품은 물론 대용량 저장이 가능하므로 전력저장장치인 ESS(Energy Storage System)까지 활용되고 있다. 다양한 산업의 전동화 요구에 맞추어 현재까지 리튬이온전지는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와 화석연료 고갈 등에 대비할 수 있는 강력한 에너지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최근 ESS의 화재 등으로 인하여 여러 종류의 검사 성능이 요구됨에 따라 다양한 전파 또는 광학적 방식을 이용하여 2차전지를 검사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비전 카메라(Vision Camera)를 이용하여 외관 품질을 검사하고 있으며 X선을 이용하여 내부 전극과 같은 구조를 검사하고 있다.
비전검사 과정에서 종래에는 바닥에서 2차전지를 롤러로 돌리면서 외관검사를 수행하여왔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 방식의 경우 롤러에 이물이 있는 경우 2차전지의 외관에 불량이 오히려 발생할 가능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문제가 있으며, 연속적인 검사에 있어서도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52058호는 종래기술의 원통형 전지 자동검사 장치를 공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개념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회전하면서 이송 중인 원통형 전지를 사이에 두고, 일측의 조명부(20)에서 출사된 광을 상기 원통형 전지에 조사하면서, 타측에서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부(30)로 상기 원통형 전지를 복수 회에 걸쳐 연속 촬영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원통형 전지 각각을 수직하게 지지하면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수의 회전 지지부(10)를 가지고 있다.
상기한 기술에서는 종래에 눕혀서 여러개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개별 전지를 직립하여 지지하기 때문에 검사의 정확성을 향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다수의 전지를 연속적으로 검사하기에는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컨베이어 이송이나 회전구동의 적용에 있어서 구조적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실제 생산현장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특히 내부 불량 검출을 위하여 X선 검사를 적용하기에는 상기 제안된 컨셉만으로는 공정에 적용이 매우 어렵다.
더군다나, 근래 2차전지가 특정 국가 및 기업에서 집중 생산되고 있고 그 수요가 전세계적으로 폭증하고 있어 대량 생산체계에 맞추어 신속하게 이송 가능하면서도 신속한 검사가 가능한 검사장비의 요구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린더형 배터리의 내외관 검사시 연속 이송공정에 적용이 쉽고 배터리의 지지 및 회전검사의 효율성이 증가될 수 있는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외면 일부를 지지하는 안착면(2122)을 구비하는 홀딩부(2120), 상기 홀딩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의 입출이 가능한 하측가이드공간(2113)을 가지는 상부프레임(2114)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고 배터리 저면을 지지하는 저판부(2111)를 구비하는 베이스부(2110) 및 상기 베이스부의 후측으로 연장되어 이송수단에 연결될 수 있는 연장부(2130)를 포함하는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홀딩부는, 배터리의 상측을 상부로 노출하여 상측가이드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상측가이드공간 또는 하측가이드공간에 선택적으로 가이드롤러가 진입하여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딩부가 상기 안착면에 배치되어 배터리가 자력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마그네트부(214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판부가 검사위치에서 배터리의 저면을 회전지지하는 푸시부가 입출될 수 있는 삽입홈부(2112)를 구비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저판부의 전방 단부는 배터리의 전후 중심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홀딩부의 전방 단부는 배터리의 전후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부는 하측가이드공간에 가이드롤러가 진입하여 구동롤러에 의한 회전시 상측가이드공간측에서 엑스레이 조사에 의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측가이드공간에 가이드롤러가 진입하여 구동롤러에 의한 회전시 하측가이드공간측에서 엑스레이 조사에 의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검사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롤러가 하측가이드공간 또는 상측가이드공간에 진입하면 배터리의 외면이 안착면에서 이격되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검사위치에서 상기 푸시부가 삽입홈부에서 승강되어 배터리의 저면이 저판부에서 이격되어 푸시부의 말단에 의하여 회전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의 다양한 검사공정은 물론 생산공정 배터리의 정확한 지지와 이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른 공정으로의 연결도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설비의 적응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의 지지부위를 최소화하여 다양한 검사과정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회전을 위한 지지 및 동력전달의 공간을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어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원통형 전지 자동검사 장치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가 검사공정에 배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실린더 형태의 배터리를 직립 지지하여 이송 및 검사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홀더장치로서, 배터리 외면의 일부를 자력에 의하여 부착하는 홀딩부와, 상기 홀딩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전후로 회전을 가이드하는 기구의 입출이 가능한 공간을 가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후측으로 연장되어 이송수단에 연결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터리를 홀더장치가 지지한 상태에서 엑스레이 검사장비에 의한 내부 비파괴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주요한 예로 설명하나, 여기서 검사장비란 다양한 파장의 광에 의한 비전검사 방식도 본 발명의 홀더장치가 적용되는 검사장비의 예에 포함하는 것으로 될 수 있으며, 소정의 프로브가 접촉하는 방식으로 검사하는 장비도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홀더장치가 연결될 수 있는 이송수단이란 체인이나 벨트 방식의 컨베이어 또는 롤러는 물론 로봇과 같이 연속 생산 및 검사공정에서 배터리를 이송할 수 있는 공지의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전방에서 바라볼 때 홀더장치(2100)는 상측에서 직접 실린더형 배터리를 부착 및 지지하는 홀딩부(2120)와, 상기 홀딩부(212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베이스부(2110)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가 탈착될 수 있는 홀딩부(2120)가 바라보는 방향을 전방으로, 베이스부(2110)에 대해 연장부(2130)가 연장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이러한 홀더장치(2100)는 홀딩부(2120), 베이스부(2110) 및 연장부(2130)가 일체로 사출되어 성형되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재질은 선택적이나, 엑스레이 검사공정에 적용시 검사에 장애가 되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홀딩부(2120)는 전방에 안착면(2122)을 가지며 상기 안착면은 배터리의 외면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실린더 배터리의 외면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안착면(2122)이 배터리의 원주방향으로 180°이상의 거리를 커버하여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하여 이송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는데, 이 경우 후술될 바와 같이 회전 검사시 과도한 마찰이 발생하기 때문에 직경의 절반 미만의 전후 길이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이송시 부착력의 유지를 고려하여 상기 안착면(2122)의 일부에는 마그네트부(2140)가 배치되어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부(2140)는 안착면(2122)의 폭방향 중심에 형성되는 소정의 홈 내지는 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부(2140)는 부착의 확실성을 고려하여 네오디뮴 소재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홀딩부(2120)가 폭방향으로는 배터리의 외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안착면(2122)을 가짐은 상기한 바와 같고, 높이방향으로의 지지 범위는 실질적으로 안착면(2122)의 높이 내지 홀딩부(2120)의 높이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터리(100)의 상하측 검사가 동시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터리(100)의 상하측에 소정의 검사 및 회전구동과 지지가 가능한 공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상기 홀딩부(2120)는 대략 배터리의 높이방향 중심에서 전체 높이의 1/3 이하의 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공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홀딩부(2120)를 하측에서 베이스부(2110)가 지지하며, 이러한 베이스부(2110)는 실질적으로 배터리의 하중을 지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베이스부(2110)는 상측에서 직접 홀딩부(2120)를 연결하는 상부프레임(2114)과 상부프레임(2114)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터리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는 저판부(211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114)의 높이는 안착면(2122)의 하단과 저판부(2111)의 상면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며, 상기 간격은 실질적으로 배터리 검사가 수행될 수 있는 하측의 공간이 될 수 있다.
근래에는 단순 투시의 2차원 검사보다는 3D CT 방식을 통하여 영상을 조합하고 인공지능을 통하여 불량 패턴을 인식하는 방식에 대한 시도들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광학적인, 육안검사에 비하여 비약적으로 빠른 속도의 검사가 가능하며, 이를 위하여 소정의 회전이 정확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홀더장치(2100)의 전방측에서 소정의 구동 회전동력을 실린더 배터리의 외면에 전달하면, 후측에서도 회전을 보조할 수 있는 가이드롤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프레임(2114)은 가이드롤러의 입출을 위한 하측가이드공간(2113)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상기 상부프레임(2114)은 사각 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은 가이드롤러 부위의 형상에 의하여 선택적일 수 있다.
상기 하측가이드공간(2113)에 대응하여 실린더 배터리의 상부, 더욱 정확하게는 홀딩부(2120)의 상측에도 소정의 검사가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며 이를 상측가이드공간(2124)으로 정의한다. 상기 상측가이드공간(2124)은 실린더 배터리의 상측이 노출되는 개방 공간을 의미하며 소정의 가이드롤러가 상기 공간으로 입출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2114)의 하측으로는 배터리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저판부(2111)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저판부(2111)의 상면은 평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판부(2111)의 폭방향 중심에는 배터리의 저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푸시 및 회전지지장치가 입출될 수 있는 홀 내지는 홈 형태의 삽입홈부(2112)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가 홀더장치(2100)의 전방으로 입출 및 탈착될 수 있도록 개방된 공간을 마련하고 있으며, 상기 저판부(2111)도 배터리의 저면 전체를 지지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기 저판부(2111)의 전후방의 길이는 선택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저판부(2111)의 전방 단부가 홀딩부(2120)의 전방 단부보다 더 돌출되는 길이로 이루졌으며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삽입홈부(2112)의 전방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2110)의 후측으로 연장되어 연장부(2130)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2130)는 실질적으로 이송수단에 결합될 수 있는 체결구조를 가지고 전체적인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하를 관통하는 체결홀(2131)이 복수의 개소에 구성되어 이송수단 또는 이송수단에 결합될 수 있는 소정의 지지체에 볼팅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가 배터리를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배터리(100)는 실린더 형태로 이루어지고 저면이 저판부(2111)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으며 측면, 더욱 정확하게는 후측의 면이 홀딩부(2120)의 안착면(2122)에 밀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안착면(2122)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는 마그네트부(2140)의 자력에 의하여 배터리(100)를 후측으로 견인 및 부착하는 힘이 발생한다.
저판부(2111)에는 저부로부터 소정의 부재가 입출될 수 있는 공간인 삽입홈부(2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배터리(100)의 저면 중심부위는 하측으로 개방된 공간에 노출된다. 이러한 배터리(100) 저면의 중심측 지지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한다.
상부프레임(2114)은 직접적으로 배터리(100)에 접촉하지 않으며 홀딩부(2120)와 저판부(2111)의 간격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측가이드공간(2124)을 개방하는 기능을 수행함은 상기와 같다.
한편, 도면에서는 배터리(100)에 대해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가상의 중심선을 표시하였다.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보면 저판부(2111)의 전방 단부(도면에서 좌측)는 상기 중심선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있으며, 홀딩부(2120)의 전방 단부는 상기 중심선보다 후측으로 더 물러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검사 과정에서 회전 지지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것인데, 안착면(2122)이 일부 높이 및 일부 원주방향의 면에 대해서만 지지를 하더라도 마그네트부(2140)의 자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송간 충분히 위치와 배열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가 검사 위치에서 회전 지지를 위하여 작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소정의 이송수단에 의하여 홀더장치(2100)가 이송되고 검사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홀더장치(2100)의 연장부(2130)는 지지프레임부(2200)에 체결되어 이송수단에 결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홀더장치(2100)의 전방측으로는 배터리(100)의 외면에 마찰하여 회전동력의 전달을 위한 구동롤러(1111)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롤러(1111)는 전후 및/또는 좌우로 이동하여 검사위치에 배치된 배터리(100)에 접촉 및 접촉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홀더장치(2100)의 후측으로는 가이드롤러(1511)가 배치되며, 전방에서 구동롤러(1111)가 후측으로 밀어내는 힘에 대향하여 배터리(100)의 후측에서 회전을 지지한다. 이에, 상기 가이드롤러(1511)는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가이드롤러(1511)의 개수 및 배열은 선택적이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가이드롤러(1511)의 구조물은 상측가이드공간(2124)에 배치되어 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배터리(100)의 후방 및/또는 측방에 밀착될 수 있다. 이 경우는 하측가이드공간(2113)측으로 엑스레이가 조사되어 회전되는 과정에서 이미지를 생성하고 소정의 제어부에서 이를 검출하여 검사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상측을 검사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가이드롤러(1511)가 하측가이드공간(2113)으로 진입하여 배터리(100)의 하측 외면에 밀착될 수 있고, 소정의 튜브가 상측가이드공간(2124) 측으로 엑스레이를 조사하여 배터리(100)의 상부를 검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구동롤러(1111)에 의한 배터리(100)의 회전시 회전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롤러(1511)는 안착면(2122)으로부터 배터리(100)를 소정 간격 이격시키도록 작동거리가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100)가 저판부(2111)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배터리(100) 저면측에서의 마찰력을 감소할 수 있는 장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삽입홈부(2112)측으로 푸시부(2310)가 진입 및 승강하여 배터리(100)의 저면을 회전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푸시부(2310)의 말단에는 예를 들어 볼베어링이 구성되고 상기 볼베어링이 배터리(100)의 저면 중심부위에 접촉하면, 푸시부(2310)가 저판부(211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배터리(100)의 전방측에서는 구동롤러(1111)가 밀착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고, 후측에서는 가이드롤러(1511)가 회전을 지지하는 동시에 하측에서는 푸시부(2310)의 말단에서 배터리(100)의 저면을 회전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에 의하여, 배터리의 다양한 검사공정은 물론 생산공정 배터리의 정확한 지지와 이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른 공정으로의 연결도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설비의 적응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의 지지부위를 최소화하여 다양한 검사과정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회전을 위한 지지 및 동력전달의 공간을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어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배터리 1111....구동롤러
1511...가이드롤러 2100...홀더장치
2110...베이스부 2111...저판부
2112...삽입홈부 2113...하측가이드공간
2114...상부프레임 2120...홀딩부
2121...바디 2122...안착면부
2124...상측가이드공간 2130...연장부
2131...체결홀 2140...마그네트부
2200...지지프레임부 2310...푸시부

Claims (6)

  1. 실린더 형태의 배터리를 지지하여 이송 및 검사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홀더장치로서,
    배터리 외면 일부를 지지하는 안착면(2122)을 구비하는 홀딩부(2120);
    상기 홀딩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의 입출이 가능한 하측가이드공간(2113)을 가지는 상부프레임(2114)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측에 연결되고 배터리 저면을 지지하는 저판부(2111)를 구비하는 베이스부(2110);
    상기 베이스부의 후측으로 연장되어 이송수단에 연결될 수 있는 연장부(2130);를 포함하며,
    상기 홀딩부는,
    배터리의 상측을 상부로 노출하여 상측가이드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상측가이드공간 또는 하측가이드공간에 선택적으로 가이드롤러가 진입하여 회전을 지지하는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안착면에 배치되어 배터리가 자력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마그네트부(2140)를 구비하는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부는,
    검사위치에서 배터리의 저면을 회전지지하는 푸시부가 입출될 수 있는 삽입홈부(2112)를 구비하는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부의 전방 단부는 배터리의 전후 중심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홀딩부의 전방 단부는 배터리의 전후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하측가이드공간에 가이드롤러가 진입하여 구동롤러에 의한 회전시 상측가이드공간측에서 엑스레이 조사에 의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측가이드공간에 가이드롤러가 진입하여 구동롤러에 의한 회전시 하측가이드공간측에서 엑스레이 조사에 의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검사위치에서 상기 가이드롤러가 하측가이드공간 또는 상측가이드공간에 진입되면 배터리의 외면이 안착면에서 이격되어 회전되고 상기 푸시부가 삽입홈부에서 승강되어 배터리의 저면이 저판부에서 이격되어 회전되는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
KR1020220070487A 2022-06-10 2022-06-10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 KR102635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487A KR102635141B1 (ko) 2022-06-10 2022-06-10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487A KR102635141B1 (ko) 2022-06-10 2022-06-10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237A KR20230170237A (ko) 2023-12-19
KR102635141B1 true KR102635141B1 (ko) 2024-02-08

Family

ID=89385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487A KR102635141B1 (ko) 2022-06-10 2022-06-10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1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0017B1 (ko) * 1996-11-15 1999-07-15 왕중일 배터리 검사 장치
KR19980075096A (ko) * 1997-03-28 1998-11-05 배순훈 리튬전지용 단자정렬장치
KR19990057474A (ko) * 1997-12-30 1999-07-15 왕중일 전지 가이드 장치
KR102639996B1 (ko) * 2022-02-09 2024-02-23 (주) 제이이엔지 배터리셀 외관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237A (ko)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138B1 (ko) 태양전지 시험장비
KR100982025B1 (ko) 이차전지용 엑스-레이 검사장치
KR101380858B1 (ko) 전지 검사장치
KR20220102026A (ko) 전지셀의 외관 검사 시스템
CN109759344A (zh) 一种检测电池正负极片对齐度的x-ray检测设备
KR102635141B1 (ko) 실린더 배터리의 홀더장치
CN109461946A (zh) 电芯配组输送系统及其输送方法
CN117686517B (zh) 合芯装置中裸电芯极耳背部检测的检测系统和检测方法
CN109552714B (zh) Type-C连接器自动检测包装机
CN219224609U (zh) 一种裸电芯检测机
CN116577360A (zh) 电芯检测设备及检测系统
KR102257019B1 (ko) 2차 전지용 오버행 검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2차 전지 제조 시스템
KR102653313B1 (ko) 원통형 배터리의 3d ct 검사장치
CN210072019U (zh) 圆柱电池电性能检测装置
CN217505684U (zh) 外观检测装置、外观检测设备及电池单体外观检测设备
KR102635146B1 (ko) 배터리 검사장비의 회전제어장치
KR102628806B1 (ko) 원형 배터리 검사장치
CN112444217A (zh) 一种x-ray检测机
KR20190105299A (ko) 무인운반차용 배터리 교체 장치
KR102470513B1 (ko) 2차 전지용 오버행 검사장치를 구비하는 2차 전지 제조 시스템
KR102635136B1 (ko) 배터리 정렬구조를 포함하는 검사장치
KR102635138B1 (ko) 실린더형 배터리의 연속검사 시스템
CN210126851U (zh) 样品运输检测装置及系统
CN209112989U (zh) 电芯配组输送系统
KR101129650B1 (ko) 태양광 모듈 생산 설비용 트랜스퍼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