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964B1 -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 및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 및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964B1
KR102634964B1 KR1020210129745A KR20210129745A KR102634964B1 KR 102634964 B1 KR102634964 B1 KR 102634964B1 KR 1020210129745 A KR1020210129745 A KR 1020210129745A KR 20210129745 A KR20210129745 A KR 20210129745A KR 102634964 B1 KR102634964 B1 KR 102634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wire reel
wire
drive transmission
transmission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6590A (ko
Inventor
임재학
Original Assignee
(주)비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바 filed Critical (주)비바
Priority to KR1020210129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964B1/ko
Publication of KR20230046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이동형 스마트 감시 장치는 베이스부, 제 1 폴대 및 제 2 폴대를 포함하고, 베이스부는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고, 제 1 폴대는 베이스부의 상단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제 1 폴대의 외면에 제 1 폴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제 1 폴대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가능하고, 제 1 폴대의 상단에 제 1 폴대 풀리가 고정되고, 제 1 폴대 풀리에는 구동전달 끈이 권취되어 있으며, 구동전달 끈의 일측은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구동전달 끈의 타측은 제 2 폴대의 하단에 고정되며, 제 2 폴대의 반경은 제 1 폴대의 반경보다 작으며, 제 2 폴대는 제 1 폴대에 삽입되고,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제 1 폴대가 상승하는 경우, 구동전달 끈의 타측이 제 2 폴대를 위로 끌어올린다.

Description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 및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의 동작 방법{APPARATUS FOR MOBILE SMART MONITOR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 및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정확하게 높이 제어가 가능한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 및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이동형 감시장비는 급격하게 변하는 기상상황에 대처하기 힘들었으며, 현장에 신속하게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못했다. 또한 현장 상황에 따라 이동형 감시장비의 CCTV카메라가 특정 높이에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으나, 기존의 이동형 감시장비는 CCTV카메라를 특정 높이에 위치시키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다목적 트레일러(등록특허 제10 - 1456285호)는 본체부, 차량연결부, 지지부, 폴대, 솔라모듈, 방송부 및 전원관리부로 구성되어 설치와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폴대 높이 조절을 연속적으로 할 수 없으며 폴대가 높게 설계될 시 천장이 낮거나 굴다리와 같은 차량 통과의 어려움이 있는 트레일러를 이동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는 베이스부, 제 1 폴대 및 제 2 폴대를 포함하고, 베이스부는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고, 제 1 폴대는 베이스부의 상단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제 1 폴대의 외면에 제 1 폴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제 1 폴대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가능하고, 제 1 폴대의 상단에 제 1 폴대 풀리가 고정되고, 제 1 폴대 풀리에는 구동전달 끈이 권취되어 있으며, 구동전달 끈의 일측은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구동전달 끈의 타측은 제 2 폴대의 하단에 고정되며, 제 2 폴대의 반경은 제 1 폴대의 반경보다 작으며, 제 2 폴대는 제 1 폴대에 삽입되고,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제 1 폴대가 상승하는 경우, 구동전달 끈의 타측이 제 2 폴대를 위로 끌어올린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동시에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의 일부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동시에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폴대 및 제 2 폴대의 움직임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의 베이스부에 포함된 전선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선릴 및 제 2 전선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 는 주문형 반도체 (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메모리" 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 (RAM), 판독-전용 메모리 (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 (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동시에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의 일부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동시에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베이스부(110), 제 1 폴대(120) 및 제 2 폴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태양광 패널(16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일 측면은 태양광 패널(160)일 수 있다.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160)의 상측은 힌지에 의하여 베이스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 또는 자동으로 태양광 패널(160)은 베이스부(110)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다. 사용자는 태양광 패널(160)이 태양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태양광 패널(160)이 태양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일출 시각 및 일몰 시각을 서버 또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일출 시각부터 태양의 고도가 가장 높을 때까지 태양광 패널(160)을 베이스부(110)로부터 점점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태양의 고도가 가장 높을 때부터 일몰 시각까지 태양광 패널(160)을 점점 내릴 수 있다. 태양의 고도가 가장 높을 때는 일출 시각과 일몰 시각의 중간 시각일 수 있다.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태양의 고도가 가장 높을 때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움직임이 가능한 조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 센서는 태양광 패널(160)의 상측 변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서, 태양광 패널(160)의 상측 변을 축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조도 센서를 회전시키면서 조도 센서가 측정한 조도가 가장 높을 때의 회전각을 결정할 수 있다. 회전각은 베이스부(110)의 측면과 태양광 패널(160)이 이루는 각일 수 있다.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조도 센서가 측정한 조도가 가장 높을 때의 회전각만큼 태양광 패널(160)을 들어올릴 수 있다.
조도 센서는 태양광 패널(160)의 상측 변과 직각을 이루며, 상기 태양광 패널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즉, 조도 센서는 태양광 패널(160)의 상측 변인 제 1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면서 태양광 패널(160)의 상측 변과 직각을 이루며, 상기 태양광 패널과 평행한 제 2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조도 센서를 제 1 축으로 회전시키면서 조도가 가장 높을 때의 제 1 회전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조도 센서를 제 2 축으로 회전시키면서 조도가 가장 높을 때의 제 2 회전각을 결정할 수 있다.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태양광 패널(160)을 태양광 패널(160)의 상측 변을 중심으로 제 1 회전각만큼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태양광 패널(160)을 제 2 축을 기준으로 제 2 회전각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구동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12)는 제 1 폴대(120) 및 제 2 폴대(130)가 상승 및 하강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는 구동부(112)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1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베이스부(110)의 일부만 도시하였다. 제 1 폴대(120)는 베이스부(110)의 상단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제 1 폴대(12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11)의 내경은 제 1 폴대(120)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하강 상태(220)에서 제 1 폴대(120)는 관통홀(111)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제 1 폴대(120)를 관통홀(111)로부터 상승시켜서 상승 상태(210)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하강 상태(220) 내지 상승 상태(210) 사이의 상태에서 제 1 폴대(12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정확하게 카메라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160)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에 포함된 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감시 장비(150) 및 제어부는 전기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 폴대(120)의 외면에 제 1 폴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피니언 기어(113)와 맞물리는 랙기어(12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방향은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113)의 회전에 의하여 제 1 폴대(120)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랙기어(121)와 맞물린 피니언 기어(113)가 회전함으로써, 제 1 폴대(120)를 밀어올릴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폴대(120)는 한 쌍의 랙기어(12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랙기어(121)는 제 1 폴대의 외면의 서로 반대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랙기어(121)는 제 1 폴대의 앞뒤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한 쌍의 랙기어(121)는 제 1 폴대의 좌우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피니언 기어(113)는 한 쌍의 랙기어(121)에 각각 맞물리도록 베이스부(110)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피니언 기어(113)는 구동부(112)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피니언 기어(113) 및 한 쌍의 랙기어(121)를 구비함으로써, 제 1 폴대(120)가 상승 또는 하강 할 때, 제 1 폴대(120)의 균형이 맞을 수 있다. 또한, 제 1 폴대(120)를 정확한 높이 만큼만 상승시킬 수 있으며, 제 1 폴데(120)의 상하운동 시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줄어들 수 있다.
제 1 폴대(120)는 제 1 폴대 풀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폴대 풀리(123)는 제 1 폴대 (12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폴대 풀리(123)는 제 1 폴대(12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폴대 풀리(123)에는 구동전달 끈(122)이 권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구동전달 끈(122)은 제 1 구동전달 끈(122)을 의미할 수 있다. 구동전달 끈(122)의 일측(124)은 베이스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전달 끈(122)의 일측은 베이스부(11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전달 끈(122)의 타측(125)은 제 2 폴대(130)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전달 끈(122)의 타측(125)는 제 1 폴대(120)의 외면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제 2 폴대(130)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구동전달 끈(122)은 제 1 폴대(120)의 내부에서 제 2 폴대(130)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구동전달 끈(122)의 타측(125)는 제 2 폴대의 외면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제 2 폴대(130)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구동전달 끈(122)은 제 2 폴대(130)의 내부에서 제 2 폴대(130)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됨으로써, 제 2 폴대(130)의 움직임은 제 1 폴대(120)와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폴대(120)가 상승함에 따라 제 2 폴대(130) 역시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폴대(120)가 하강함에 따라 제 2 폴대(130) 역시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폴대(120)는 제 1 폴대 풀리(123)를 한 쌍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제 1 폴대 풀리(123)는 는 제 1 폴대의 외면의 서로 반대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 1 폴대 풀리(123)는 제 1 폴대의 앞뒤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한 쌍의 제 1 폴대 풀리(123)는 제 1 폴대의 좌우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폴대(130)의 반경은 제 1 폴대(120)의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 2 폴대(130)의 외경은 제 1 폴대(120)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 2 폴대(130)는 제 1 폴대에 삽입될 수 있다.
하강 상태(220)에서 제 2 폴대(130)는 제 1 폴대(12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제 2 폴대(130)를 제 1 폴대(120)로부터 상승시켜서 상승 상태(210)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하강 상태(220) 내지 상승 상태(210) 사이의 상태에서 제 2 폴대(12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폴대 및 제 2 폴대의 움직임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내었으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각 구성은 이해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113)의 회전에 의하여 제 1 폴대(120)가 상승하는 경우, 구동전달 끈(122)의 타측(125)이 제 2 폴대(130)를 위로 끌어올릴 수 있다. 구동전달 끈(122)은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구동전달 끈(122)은 탄성이 거의 없는 재질일 수 있다. 구동 전달 끈(122)에서 제 1 폴대 풀리(123)부터 일측(124)까지를 일측 구동전달 끈 부위라고 하고, 제 1 홀대 풀리(123)부터 타측(125)까지를 타측 구동전달 끈 부위라고 하자. 하강 상태(220)에서 제 1 폴대 풀리(123)와 베이스부(110)사이의 거리는 가까울 수 있다. 따라서 일측 구동전달 끈 부위는 짧을 수 있다. 또한 하강 상태(220)에서 제 1 폴대 풀리(123)와 제 1 폴대(130)의 하단까지의 거리는 멀 수 있다. 따라서 타측 구동전달 끈 부위는 길 수 있다. 제 1 폴대(120)가 상승함에 따라, 제 1 폴대 풀리(123)와 베이스부(110)사이의 거리는 점점 멀어질 수 있다. 즉, 일측 구동전달 끈 부위는 점점 길어질 수 있다. 구동전달 끈(122)의 길이는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타측 구동전달 끈 부위는 짧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폴대(130)는 제 1 폴대(120)에 대하여 점점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폴대와 제 2 폴대의 움직임은 연동될 수 있다.
구동전달 끈(122)은 제 1 폴대(120)와 제 2 폴대(130) 사이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별도의 전선을 구비하지 않고, 베이스부(110)로부터 제 2 폴대까지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전기적인 신호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110)는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애크신호가 제 2 폴대(130)에 장착된 장비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애크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베이스부(110)는 구동전달 끈(122) 및 제 2 폴대에 장착된 장비가 정상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애크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베이스부(110)는 구동전달 끈(122) 또는 제 2 폴대에 장착된 장비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이 아님을 결정할 수 있다.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에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관리자는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구동전달 끈(122) 및 제 2 폴대(130)에 장착된 장비가 모두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관리자는 육안으로 쉽게 문제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장비의 유지보수가 쉬울 수 있다.
또한 제 1 폴대(120)가 하강하는 경우, 위와 같은 동작이 반대로 행해질 수 있다. 즉, 제 1 폴대(120)가 하강함에 따라 제 2 폴대(130)가 하강할 수 있다.
제 1 폴대(120)의 움직임은 피니언 기어(113)와 랙기어(121)의 움직임에 의하여 제어되므로 구동부의 회전수와 제 1 폴대(120)의 높이는 선형적인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제 2 폴대(130)의 움직임은 제 1 폴대(120)의 움직임에 연동되므로 제 1 폴대(120)의 높이와 제 2 폴대(130)의 높이는 선형적인 관계를 가질 수 있다. 구동부(112)의 엔코더는 구동부(112)의 회전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구동부(112)의 회전수에 따른 제 1 폴대(120)의 높이 또는 제 2 폴대(130)의 높이를 테이블로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는,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구동부(112)의 회전수에 따른 제 1 폴대(120)의 높이 또는 제 2 폴대(130)의 높이를 미리 정해진 함수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 구동부(112)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수(W)와 폴대(130)의 높이(H)는 정비례할 수 있다. 회전수(W)는 폴대가 가장 낮은 위치에 있을 때부터의 회전수일 수 있다. 함수는 H = K * W + A일 수 있다. K는 양의 실수일 수 있다. 또한 A는 상수로써 미리 결정된 실 수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제 1 폴대(120) 및 제 2 폴대(130)를 정확한 높이만큼 상승시킬 수 있다. 기존에는 공기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제 1 폴대(120) 및 제 2 폴대(130)의 높이를 조정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공기 또는 유체는 온도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거나 축소하므로 공기압이나 유압으로 높이를 정확하게 조정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본 개시의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피니언 기어, 랙기어, 풀리 또는 구동전달 끈 등을 이용하여 폴대의 높이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폴대의 총 높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총 높이의 단위는 미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에 폴대의 총 높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가 수신한 폴대의 총 높이의 단위 역시 미터일 수 있다.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상술한 테이블 또는 함수에 기반하여 구동부(112)의 회전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감시장치(100)는 구동부(112)를 결정된 회전수만큼 회전시킴으로써, 폴대의 총 높이를 사용자가 입력한 높이와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는 원하는 높이만큼 폴대를 올리기 위하여 감시장치(100)를 수동으로 높이거나 낮추는 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별도의 높이 측정장치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만큼 폴대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제 2 폴대(130)는 제 2 폴대 풀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폴대 풀리(133)의 동작 원리는 제 1 폴대 풀리(123)의 동작 원리와 같을 수 있다. 제 2 폴대 풀리(133)는 제 2 폴대(13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폴대 풀리(133)는 제 2 폴대(13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폴대 풀리(133)에는 제 2 구동전달 끈(132)이 권취되어 있을 수 있다. 제 2 구동전달 끈(132)의 일측은 제 1 폴대(120)에 고정되고, 제 2 구동전달 끈(132)의 타측은 제 3 폴대(140)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구동전달 끈(132)의 일측은 제 1 폴대(12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폴대 풀리(133) 및 제 2 구동전달 끈(132)은 제 2 폴대(130)의 움직임을 제 3 폴대(14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고, 제 1 폴대 풀리(123) 및 구동전달 끈(122)은 구동부(112)에 의한 제 1 폴대(120)의 움직임을 제 2 폴대(13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라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하지만 동작 원리는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제 3 폴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폴대(120) 내지 제 3 폴대(140)의 길이는 거의 같을 수 있다. 제 3 폴대(140)의 반경은 제 2 폴대의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3 폴대(140)의 외경은 제 2 폴대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 3 폴대는(140) 제 2 폴대(130)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 폴대(130)가 상승하는 경우, 제 2 구동전달 끈(132)의 타측이 제 3 폴대(140)를 위로 끌어올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3 폴대(140)의 움직임의 원리는 도 3에서 설명되는 제 2 폴대(130)의 움직임의 원리와 동일할 수 있다. 제 3 폴대의 상측에 감시 장비(15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에는 센서부 또는 출력부가 결합될 수 있다. 센서부는 카메라, 마이크, 온도 센서, 습도 센서, 풍속 센서, 또는 미세먼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와는 다르게 ,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제 3 폴대(14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폴대의 상측은 감시 장비(15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는 센서부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에는 출력부가 결합될 수도 있다.
제 1 폴대 및 제 2 폴대는 원통형일 수 있다. 제 1 폴대 및 제 2 폴대의 내부에 전선이 구비될 수 있다. 전선은 감시 장비(150)부터 베이스부(110)에 포함된 제어부까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에는 전원부가 포함될 수 있다. 전원부는 배터리 및 태양광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선은 신호선 및 전원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구동과 관련된 구성들이 모두 외부에 있으므로 폴대들(120, 130, 140)의 내부에 전선들이 안전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전선들은 외부의 동물 또는 공사 장비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단선에 의하여 감시장비가 동작하지 않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와 전선의 접촉이 차단되므로 전선이 마찰에 의하여 마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의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다. 장치(100)가 외부에서 사용되는 점을 고려할 때, 장치(100)가 본래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특징이다. 또한 구동부(112), 제 1 폴대 풀리(123), 구동전달 끈(122), 제 2 폴대 풀리 등 구동과 관련된 구성들이 외부에 배치되므로 구동에 문제가 있을 때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적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어 조치에 큰 노력이 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유지보수가 쉬워질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의 베이스부에 포함된 전선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왼쪽 그림은 전선릴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의 오른쪽 그림은 전선릴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10)는 전선릴(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선릴(400)은 제 1 전선릴(420) 및 제 2 전선릴(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선릴(430)의 반경은 제 1 전선릴(420)보다 반경이 작을 수 있다. 또한 제 1 전선릴(420)은 회전할 수 있으며, 제 2 전선릴(430)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전선릴(420) 및 제 2 전선릴(430)은 제 1 폴대(12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폴대(120) 및 제 2 폴대(130) 등을 포함하는 폴대의 내부의 전선(410)이 제 1 전선릴(420)까지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폴대가 상승하는 경우, 제 1 전선릴(420)로부터 전선(410)이 풀릴 수 있다. 또한 폴대가 하강하는 경우, 제 1 전선릴(420)에 전선(410)이 감길 수 있다.
제 1 전선릴(420)은 제 1 전선릴의 코어 및 제 1 전선릴의 가이드(4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선릴의 코어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선릴의 코어의 구동부는 제 1 전선릴(42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힘을 제공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전선릴(420)에 감긴 전선(410)은 자동으로 제 1 전선릴의 코어에 감질 수 있다. 폴대가 상승하는 경우, 폴대가 상승하는 힘이 제 1 전선릴의 코어의 구동부의 힘보다 세서, 제 1 전선릴(420)이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 전선릴(420)로부터 전선(410)이 풀릴 수 있다. 하지만 폴대가 하강하는 경우, 제 1 전선릴의 코어의 구동부에 의하여, 제 1 전선릴(42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선이 다시 제 1 전선릴(420)에 감길 수 있다.
제 1 전선릴의 코어의 외주면에는 제 1 전선릴의 코어의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전선릴의 가이드(42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전선(410)은 제 1 전선릴의 가이드(421)의 내에 감길 수 있다. 제 1 전선릴(420)에 감긴 전선(410)은 제 1 전선릴(420)의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제 2 전선릴(430)로 향할 수 있다. 제 1 전선릴(420)의 일측은 제 2 전선릴(430)과 마주보는 측면일 수 있다. 제 1 전선릴(420)의 일측에 형성된 홀은 제 1 전선릴(420)의 회전축으로부터 0mm이상 제 1 거리 이하로 떨어져있을 수 있다. 제 1 거리는 제 1 전선릴(420)의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거리는 제 1 전선릴(42)의 반경의 1/2일 수 있다.
전선(410)은 제 1 전선릴(420)로부터 제 2 전선릴(430)로 이어질 수 있다. 전선(410)은 제 1 전선릴(420)의 회전에 의하여 제 2 전선릴(430)의 코어(431)에 감기거나, 제 2 전선릴(430)의 코어(431)로부터 풀릴 수 있다. 제 2 전선릴(430)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선(410)을 이하와 같이 나누어 지칭한다. 전선(410)은 제 1 전선 부위, 제 2 전선 부위, 및 제 3 전선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선 부위는 폴대 위의 감시 장비(150)부터 제 1 전선릴까지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전선 부위는 폴대 위의 감시 장비(150)부터 제 1 전선릴에 감긴 부위까지를 의미할 수 있다. 제 2 전선 부위는 제 1 전선릴부터 제 2 전선릴까지를 의미할 수 있다. 제 2 전선 부위는 제 1 전선릴부터 제 2 전선릴에 감긴 부위까지를 의미할 수 있다. 제 2 전선 부위는 제 1 전선릴에 감긴 전선 부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3 전선 부위는 제 2 전선릴부터 제어부까지를 의미할 수 있다. 제 3 전선 부위는 제 전선릴에 감긴 전선 부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 폴대(120)가 상승함에 따라, 제 1 전선릴(42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전선릴(420)에 감겨있던 제 1 전선 부위가 풀릴 수 있다. 여기서 일 방향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전선 부위가 폴대를 따라 상승할 수 있다. 제 1 전선릴(420)의 측면에 고정된 제 2 전선 부위는 제 1 전선릴(42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전선릴(430)에 감길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선릴(420)의 측면은 제 1 전선릴(420)과 제 2 전선릴(430)이 마주보는 일측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폴대가 하강함에 따라, 제 1 전선릴(420)이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전선 부위가 제 1 전선릴(420)에 감길 수 있다. 여기서 타 방향은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일 수 있다. 제 1 전선릴(420)의 측면에 고정된 제 2 전선 부위는 제 1 전선릴(420)이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전선릴(430)에서 풀릴 수 있다. 풀린 부위는 제 2 전선릴(43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폴대(120)가 상승함에 따라, 제 1 전선릴(420)의 측면에 고정된 제 2 전선 부위는 제 1 전선릴(42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전선릴(430)에서 풀릴 수 있다. 또한, 제 1 폴대가 하강함에 따라 제 1 전선릴(420)의 측면에 고정된 제 2 전선 부위는 제 1 전선릴(420)이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전선릴(430)에 감길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폴대(120)가 상승함에 따라 제 2 전선부위가 제 2 전선릴(430)에 감기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며, 본 개시에서 이러한 반대의 경우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전선 부위는 제 2 전선릴(430)의 타측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 2 전선릴(430)의 일측은 제 1 전선릴(420)을 마주보는 측면일 수 있다. 제 2 전선릴(430)의 타측은 일측의 반대 측일 수 있다. 또한 제 2 전선릴(430)의 타측은 제어부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2 전선릴(430)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제 3 전선 부위 역시 고정될 수 있다. 제 3 전선 부위는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시 장비(15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감시 장비(150)로부터 영상 또는 소리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전선릴(430)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제 3 전선 부위는 꼬이지 않을 수 있으며, 제어부는 전원 및 신호를 감시 장비(150)에 안정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전선릴(400)은 슬립링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전선릴(420)이 회전하더라도 제 2 전선릴(430)에 의하여 제 3 전선 부위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전선(410)은 제어부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동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슬립링은 충격에 의하여 망가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본 개시에 따른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는 슬립링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선릴 및 제 2 전선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전선릴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제 2 전선릴(430)은 외부 박스(433)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박스(433)는 원통형일 수 있다. 외부 박스(433)의 내부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외부 박스(433)의 내주면에는 나사산(4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전선릴(430)은 외부 박스(433)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 2 전선릴의 코어(4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선릴의 코어(431)에 전선(410)이 감길 수 있다. 외부 박스(433)의 내경은 제 2 전선릴의 코어(431)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외부 박스(433)의 나사산(432)의 돌기는 외부 박스(433)의 내주면에서 제 2 전선릴의 코어(431)의 외주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전선(410)은 나사산의 돌기들 사이의 골을 따라 제 2 전선릴(43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 2 전선릴(430)의 일측은 제 1 전선릴(420)과 마주보는 측면일 수 있다. 또한 제 2 전선릴(430)의 타측은 일측의 반대면일 수 있으며, 제어부를 향한 면일 수 있다. 제 2 전선릴(430)에 포함된 전선(410)은 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위에서는 외부 박스(433)의 나사산(432)의 돌기가 제 2 전선릴의 코어(431)까지 연장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전선릴의 코어(431)는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외부 박스(433)는 원통형일 수 있다. 외부 박스(433)의 내경은 제 2 전선릴의 코어(431)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제 2 전선릴의 코어(431)의 외주면에서는 나사산(43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 2 전선릴의 코어(431)의 나사산(432)의 돌기는 제 2 전선릴의 코어(431)의 외주면부터 외부 박스(433)의 내주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전선(410)은 나사산(432)의 돌기들 사이를 따라 제 2 전선릴(43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 2 전선릴(430)에 포함된 전선(410)은 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제 2 전선릴(430)에 포함된 전선(410)은 스프링 형태로 제 2 전선릴의 코어(431)를 감고 제 2 전선릴(43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 1 폴대(120)가 상승함에 따라, 제 1 전선릴(42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전선릴(420)에 감겨있던 제 1 전선 부위가 풀릴 수 있다. 제 1 전선릴(420)의 측면에 고정된 제 2 전선 부위는 제 1 전선릴(42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전선릴(430)에 감길 수 있다. 즉, 도 5의 왼쪽 그림과 같을 수 있다.
또한, 제 1 폴대가 하강함에 따라, 제 1 전선릴(420)이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전선 부위가 제 1 전선릴(420)에 감길 수 있다. 또한, 제 1 전선릴(420)의 측면에 고정된 제 2 전선 부위는 제 1 전선릴(420)이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전선릴(430)에서 풀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전선 부위는 나사산(432)의 골을 따라 제 2 전선릴의 코어(431)에서 외부 박스(433)의 내주면으로 향할 수 있다. 제 2 전선 부위가 제 2 전선릴(430)에서 풀릴 때, 제 2 전선 부위가 형성하는 스프링의 직경은 커질 수 있다. 즉, 도 5의 오른쪽 그림과 같을 수 있다.
다시 제 1 폴대(120)가 상승함에 따라, 제 1 전선릴(42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전선릴(420)에 감겨있던 제 1 전선 부위가 풀릴 수 있다. 제 1 전선릴(420)의 측면에 고정된 제 2 전선 부위는 제 1 전선릴(42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2 전선릴(430)에 감길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전선 부위는 나사산(432)의 골을 따라 외부 박스(433)의 내주면에서 제 2 전선릴의 코어(431)로 향할 수 있다. 제 2 전선 부위가 제 2 전선릴(430)에 감질 때, 제 2 전선 부위가 형성하는 스프링의 직경은 작아질 수 있다. 즉, 다시 도 5의 왼쪽 그림과 같아질 수 있다.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지진감지센서, 풍속센서 또는 넘어짐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지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진감지센서는 지진을 감지한 경우, 지진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지진감지센서는 센서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의 폴대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으며,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가 넘어져서 감시 장비(15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폴대가 하강된 경우, 감시 장비(150)는 베이스부(110)의 하우징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으므로 감시 장비(150)가 직접 바닥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센서 신호에 포함된 지진의 강도가 임계 강도 이상인 경우에만 폴대를 하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 강도는 진도 4.0이상 5.0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는 지진을 감지한 센서가 사라진 후 임계 시간이 지난 경우, 폴대를 다시 상승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가 넘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만 폴대를 다시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감시 장비를 통하여 빠르게 피해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는 풍속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풍속센서는 풍속을 측정할 수 있다. 풍속센서는 측정된 풍속을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풍속 센서에 의해 측정된 풍속이 임계 풍속 이상인 경우,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의 폴대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람이 폴대를 밀어서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가 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으며,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가 넘어져서 감시 장비(15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폴대가 하강된 경우, 감시 장비(150)는 베이스부(110)의 하우징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으므로 감시 장비(150)가 직접 바닥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측정된 풍속이 임계 풍속 이상인 경우에만 폴대를 하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 풍속은 10m/s이상 15m/2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는 넘어짐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넘어짐 감지센서는 자이로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넘어짐 감지센서는 넘어짐이 감지된 경우 넘어짐을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넘어짐 감지센서는 생성된 센서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관리자 단말기 또는 서버에 넘어짐을 나타내는 센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관리자는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에 필요한 조치를 빠르게 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넘어짐 감지센서로부터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가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측정된 기울어진 각도가 임계 각도 이상인 경우,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의 폴대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가 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의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으며,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100)가 넘어져서 감시 장비(15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폴대가 하강된 경우, 감시 장비(150)는 베이스부(110)의 하우징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으므로 감시 장비(150)가 직접 바닥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임계 각도는 15도이상 45도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베이스부, 제 1 폴대 및 제 2 폴대를 포함하는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로써,
    상기 베이스부는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 일 측면을 형성하는 태양광 패널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폴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폴대의 외면에 제 1 폴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피니언 기어와 각각 맞물리는 한 쌍의 랙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1 폴대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 1 폴대의 상단에 제 1 폴대 풀리가 고정되고, 상기 제 1 폴대 풀리에는 구동전달 끈이 권취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전달 끈의 일측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전달 끈의 타측은 상기 제 2 폴대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폴대의 반경은 상기 제 1 폴대의 반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 2 폴대는 상기 제 1 폴대에 삽입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1 폴대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구동전달 끈의 타측이 상기 제 2 폴대를 위로 끌어올리고,
    상기 제2 폴대의 상측은 감시 장비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패널의 상측이 힌지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태양광 패널은 태양을 향하도록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들어올려 지거나 내려질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패널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상기 전원부의 배터리에 저장되고,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는 감시 장비에서 사용되며,
    상기 제 1 폴대 및 상기 제 2 폴대는 원통형이며, 상기 제 1 폴대 및 상기 제 2 폴대의 내부에 전선이 구비되며,
    상기 전선은 상기 감시 장비부터 상기 제어부까지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폴대의 높이와 상기 제 2 폴대의 높이는 선형적인 관계를 가지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폴대의 총 높이를 수신하면, 상기 높이가 되기 위한 상기 제 1 폴대의 높이와 제 2 폴대의 높이를 계산하고 이를 위한 구동부의 회전수를 결정하며 상기 구동부를 상기 회전수만큼 회전시키는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제 1 전선릴 및 상기 제 1 전선릴보다 반경이 작고 회전하지 않는 제 2 전선릴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은 상기 감시 장비부터 상기 제 1 전선릴까지의 제 1 전선 부위, 상기 제 1 전선릴부터 상기 제 2 전선릴까지의 제 2 전선 부위, 및 상기 제 2 전선릴부터 상기 제어부까지의 제 3 전선 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폴대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 1 전선릴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전선릴에 감겨있던 상기 제 1 전선 부위가 풀리고, 상기 제 1 전선릴의 측면에 고정된 상기 제 2 전선 부위는 상기 제 1 전선릴이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2 전선릴에 감기며,
    상기 제 1 폴대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 1 전선릴이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 전선 부위가 상기 제 1 전선릴에 감기고, 상기 제 1 전선릴의 측면에 고정된 상기 제 2 전선 부위는 상기 제 1 전선릴이 상기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2 전선릴에서 풀리는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선릴은,
    홀이 형성되고 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외부 박스; 및
    상기 외부 박스의 중심을 관통하는 상기 제 2 전선릴의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의 돌기는 상기 외부 박스의 내주면에서 상기 제 2 전선릴의 코어의 외주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전선은 상기 나사산의 돌기들 사이의 골을 따라 상기 제 2 전선릴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는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폴대의 상단에 제 2 폴대 풀리가 고정되고, 상기 제 2 폴대 풀리에는 제 2 구동전달 끈이 권취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구동전달 끈의 일측은 상기 제 1 폴대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구동전달 끈의 타측은 제 3 폴대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 3 폴대의 반경은 상기 제 2 폴대의 반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 3 폴대는 상기 제 2 폴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폴대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 2 구동전달 끈의 타측이 상기 제 3 폴대를 위로 끌어올리고, 상기 제 3 폴대의 상측에 감시 장비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

KR1020210129745A 2021-09-30 2021-09-30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 및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2634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745A KR102634964B1 (ko) 2021-09-30 2021-09-30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 및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745A KR102634964B1 (ko) 2021-09-30 2021-09-30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 및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590A KR20230046590A (ko) 2023-04-06
KR102634964B1 true KR102634964B1 (ko) 2024-02-07

Family

ID=8591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745A KR102634964B1 (ko) 2021-09-30 2021-09-30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 및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46149B (zh) * 2023-10-30 2024-04-05 江苏瀚天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化远程楼宇智能监控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562B1 (ko) * 2020-05-21 2020-08-18 티앤피 주식회사 촬영카메라 위치 조정용 함체 일체형 가변폴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728B1 (ko) * 2010-12-17 2013-07-31 김응욱 카메라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cctv 폴 시스템
KR20130104481A (ko) * 2012-03-14 2013-09-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용 와이어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562B1 (ko) * 2020-05-21 2020-08-18 티앤피 주식회사 촬영카메라 위치 조정용 함체 일체형 가변폴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590A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4964B1 (ko)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 및 이동형 스마트 감시장치의 동작 방법
CN102713502A (zh) 深度测定设备
ES2965630T3 (es) Detección de agua en foso de ascensor mediante sensores de foso
KR101017527B1 (ko) 보안용 촬영장치
US20130315432A1 (en) Earphone unit with box for stowing lead
CN107314351B (zh) 升降装置
KR20220117881A (ko) 테더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5197798A (zh) 具有测长功能的电缆卷筒、测长方法及起重机
EP2859307B1 (fr) Procede d'intervention pour l'installation ou la maintenance d'un dispositif d'entrainement d'un ecran et ce dispositif
CN204324727U (zh) 具有测长功能的电缆卷筒及起重机
KR20150089261A (ko) 수질측정시설용 채수기의 호스 권취장치
CN206321313U (zh) 数盘液位显示警示装置
KR20230174574A (ko) 드론의 촬영용 도르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610003B1 (ko) 수질 측정 시스템
JP3711342B2 (ja) 電磁式クラッチ装置で制御する電動カーテン
CN217780415U (zh) 一种用于球罐除锈机器人的收放线感应装置
CN220819023U (zh) 一种针对测斜设备的测试装置
KR102644791B1 (ko) 케이블 장력 조절 기능이 구비된 심도별 수질 측정 장치 및 수질 측정 방법
KR102354356B1 (ko) 비닐하우스 외력 감지 센서
CN213541845U (zh) 一种全向式双目云台结构
JPH1030385A (ja) 電動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駆動装置
JP2018028246A (ja) ローラ式水門
KR20120045787A (ko) 낚시용 전동릴 제어장치
JP3090838U (ja) 電磁式クラッチ装置で制御する電動カーテン
CN113775232A (zh) 一种安全防护性强的铁塔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