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083B1 - 양날 커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단 커팅방법 - Google Patents

양날 커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단 커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083B1
KR102634083B1 KR1020230008548A KR20230008548A KR102634083B1 KR 102634083 B1 KR102634083 B1 KR 102634083B1 KR 1020230008548 A KR1020230008548 A KR 1020230008548A KR 20230008548 A KR20230008548 A KR 20230008548A KR 102634083 B1 KR102634083 B1 KR 102634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utting device
cutting
weight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8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협심
오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협심, 오성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협심
Priority to KR1020230008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14Cutting fabrics by cutting the weft or warp threads while making special provision to avoid cutting warp or weft threads, respectively, adjacent to the c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날 커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단 커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팅장치, 상기 커팅날의 후방에 형성되어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 롤러, 상기 커팅날의 전방에 형성되어 원단을 배출하는 원단 배출 롤러, 상기 커팅장치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상기 원단 공급롤러 및 상기 원단 배출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양날 커팅장치.

Description

양날 커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단 커팅방법{APPARATUS FOR CUTTING DOUBLE-EDGED AND METHOD FOR CUTTING FABRIC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양날 커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단 커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사로부터 직조 단계를 거쳐 원단이 만들어지는데, 원단은 일련의 연속 공정을 거쳐 제조가 이루어짐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연속 공정으로 인출되는 원단은, 일정한 제품 규격에 맞추어 절단 및 권취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연속적으로 생산되는 원단을 롤에 권취한 다음 작업자가 일정 길이 또는 일정 두께 여부를 확인하고절단하고, 새로운 롤에 원단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시작하여 권취시키는 작업을 수행한 바 있다.
그러나, 원단을 커팅하고 새로운 더미롤에 걸어주어 권취시키는 작업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행되게 되면 회전하는 롤에 손이 말려들어 가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작업으로 커팅 및 권취 작업이 수행되면 공정 전반에 걸쳐 제품의 품질이 일정하지 않고 전체 제조 공정의 택트 타임(tact time)이 증가될 수 밖에 없어 제품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원단 커팅장치의 경우, 한쪽에만 날이 형성되어 있어 원단을 커팅할경우에는 왕복 1회에 하나만 커팅이 가능해 커팅시 드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1222호(2016.09.01.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한번의 왕복 동작으로 원단을 복수회 커팅하기 위한 양날 커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단 커팅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팅장치, 상기 커팅날의 후방에 형성되어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 롤러, 상기 커팅날의 전방에 형성되어 원단을 배출하는 원단 배출 롤러, 상기 커팅장치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상기 원단 공급롤러 및 상기 원단 배출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팅장치는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바닥면의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단에서 상기 결합부의 중앙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굴곡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팅장치는 상기 수직부에 커팅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양날 커팅장치를 이용한 원단 커팅방법에 있어서, 원단 공급롤러를 통해 원단을 커팅장치 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원단을 원단 배출롤러를 통해 일정길이만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커팅장치를 통해 상기 원단을 커팅하는 단계 및 상기 커팅된 원단을 상기 배출롤러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양날을 포함하는 커팅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커팅장치가 왕복으로 이동하여 하나의 원단을 두 번 커팅할 수 있어 정확하게 커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커팅장치가 한반대측으로 이동할 때 1회로 자르고난 이후에 다시 원단이 이동되면, 커팅장치는 원 위치로 복귀하면서 1회를 통해 원단을 잘라 2회를 자를 수 있다.
특히, 원단을 자를때의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날 커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단 커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날 커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날 커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단 커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날 커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날 커팅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원단 커팅방법은 원단 이동단계(S110), 커팅단계(S120) 및 배출단계(S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날 커팅장치(100)는 커팅장치(110), 원단공급롤러(120), 원단 배출롤러(130), 이동부재(140) 및 회전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원단 이동단계(S110)는 원단공급롤러(120) 및 원단 배출롤러(130)를 이용하여 터렛 형태로 감겨져 있는 원단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원단공급롤러(120)의 후측에 커팅장치(110)가 위치하고 있으며, 커팅장치(110)의 후측에 원단 배출롤러(130)가 각각 배치된다. 즉, 원단 이동단계(S110)는 원단공급롤러(120)와 원단배출롤러(130)를 통해 원단이 이동한다. 또한, 원단 공급롤러(120) 및 원단 배출롤러(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포함하고 있으며, 복수의 롤러는 일정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때, 이격된 간격은 원단의 두께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즉,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롤러는 그대로둔 상태에서 상측의 롤러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켜 형성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롤러사이의 이격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복수의 크기를 가지는 원단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면, 원단 이동단계(S110)는 원단 공급롤러(120)와 원단 배출롤러(130)를 함께 회전시켜 인입된 원단을 이동시킨다. 이때, 원단 공급롤러(120)와 원단 배출롤러(130)는 회전부(150)를 통해 회전하며,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롤러에 각각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는 회전부(150)를 통해 동작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150)는 모터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며, 회전부(150)의 동작에따라 원단의 공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커팅단계(S120)는 커팅장치(110)를 통해 공급된 원단을 커팅한다. 이때,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커팅장치(110)는 결합부(111), 수직부(112) 및 굴곡부(113)를 포함한다. 먼저 결합부(111)는 이동부재(140)에 결합된다. 이때, 이동부재(140)는 커팅장치(1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원단의 상측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부(112)는 결합부로부터 바닥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굴곡부(113)는 수직부(112)의 단부에서 결합부(111)의 중앙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굴곡부가 결합부의 반대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부(112)에는 원단을 커팅하기 위한 커팅부분(1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커팅 부분을 양측에 형성된 수직부(112)에 구비됨으로써, 커팅작업시 수평이동에 따라 원단을 두 번 커팅할 수 있다. 즉, 커팅작업시 이동부재(140)가 일측으로 이동할 때 이동방향에 형성된 커팅부분(112-1)을 통해 1차로 커팅되며, 이동부재(140)가 원위치로 돌아오는 커팅작업시 이동방향에 형성된 커팅부분(112-1)을 통해 2차로 커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배출단계(S130)는 커팅이 완료된 원단을 원단배출롤러(130)를 동작시켜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커팅이 완료된 원단이 배출됨과 동시에 원단공급롤러(120)가 동작하여 새로운 원단을 커팅장치(110) 및 원단배출롤러(130)에 원단을 공급하고, 공급된 원단을 커팅장치(110)가 원위치로 돌아오면서 커팅한다. 즉, 커팅장치(110)가 1회 동작하면 원단을 2회 커팅할 수 있다.
양날을 포함하는 커팅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커팅장치가 왕복으로 이동하여 하나의 원단을 두 번 커팅할 수 있어 정확하게 커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커팅장치가 반대측으로 이동할 때 1회로 자르고난 이후에 다시 원단이 이동되면, 커팅장치는 원 위치로 복귀하면서 1회를 통해 원단을 잘라 2회를 자를 수 있다. 특히, 원단을 자를때의 속도를 더욱 빠르게 자를 수 있다.
한편, 커팅장치(110)의 외면에 도포되는 방수재(GS) 및 기능성첨가재(G)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재(GS)는 커팅장치(110)의 외면에 도포되고 우레탄 5 중량부를 포함(후술하는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 대비)할 수 있다. 방수재(GS)는 우레탄을 포함하여 커팅장치(110)에 방수성을 부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완충재(G1); 상기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 대비, 폴리프로필렌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완충재(G1)를 감싸는 내피재(G2); 라텍스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를 감싸되 섬유상이고, 상기 방수재(GS)와 혼합되는 외피재(G3); 테트라데케인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와 외피재(G3)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완충재(G4); 알루미늄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포스트(G5);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포스트(G5) 각각의 외측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다수의 결합부재(G6);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 및 폴리에틸렌이민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다른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양이온성 물질(G8);을 포함한다.
기능성첨가재(G)의 상기한 폴리프로필렌, 라텍스, 테트라데케인, 알루미늄,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피-스티렌술포닉산, 폴리에틸렌이민 등의 중량부는 상기한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를 기준으로 서술하기로 한다.
제1완충재(G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을 포함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내피재(G2)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폴리우레탄 폼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다공질이어서 기능성첨가재(G)에서 완충성과 방음성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상기한 폴리우레탄 폼은 0.1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한 완충성 및 방음성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없으며,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후술하는 내피재(G2)를 터지게 하여 내피재(G2)에서 유출될 위험이 있다.
상기한 내피재(G2)는 후술하는 외피재(G3)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감싸는 것이다.
상기한 폴리프로필렌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충분히 감싸지 못해 제1완충재(G1)가 소실될 우려가 있고,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폴리프로필렌은 필름 형태로 제조되어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감싼 상태로 열융착 등에 의한 방법 등에 의해 상기한 제1완충재(G1)를 감쌀 수 있다. 즉, 제1완충재(G1)는 내피재(G2)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외피재(G3)는 라텍스 0.1 중량부를 포함하여 신축 가능한 재질이며, 상기한 내피재(G2)(내피재(G2) 및 후술하는 제2완충재(G4))를 감싸되 섬유상일 수 있다. 상기한 외피재(G3)는 상기한 방수재(GS)와 혼합된다.
상기한 외피재(G3)가 섬유상이어서 기능성첨가재(G)에 강인성을 부가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외피재(G3)와 내피재(G2)의 사이에는 제2완충재(G4)가 배치되는데, 따라서 외피재(G3)는 상기한 제2완충재(G4)를 감쌀 수 있으며, 라텍스가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기한 제2완충재(G4)를 충분히 감싸지 못하여 제2완충재(G4)가 소실될 위험이 있고,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자체 중량을 지나치게 증가시켜 기능성첨가재(G)의 분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제2완충재(G4)는 테트라데케인(Tetradecane)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와 외피재(G3) 사이에 배치된다.
테트라데케인은 융점이 약 4~6℃인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이다.
상변화물질은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Phase)이 변할 때, 온도의 변화 없이 잠열(Latent heat)의 형태로 외부 요인 없이 능동적으로 열을 저장·방출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상변화가 일어날 때 온도변화 없이 출입하는 열인 잠열(Latent heat)은, 상변화를 수반하지 않고 온도변화를 보이며 출입하는 열인 현열(Sensible heat)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은 열량을 갖는다. 이 특징을 이용해서 높은 양의 열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온도를 유지 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상기한 융점을 변화시키기 위해 테트라데케인 이외에 운데칸(Undecane), 도데칸(Dodecane), 트리데칸(Tridecane), 펜타데칸(Pentadecane), 헥사데칸(Hexadecane), 헵타데칸(Heptadecane), 옥타데칸(Octadecane), 노나데칸(Nonadecane) 및 에이코산(Eicosane), 트라이아콘테인(Triacontane)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완충재(G4)의 융점은 상온인 1~30℃ 범위 내에서 조절 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고상 상태로 상기 내피재(G2)를 감쌀 수 있고, 상기한 외피재(G3)에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한 라텍스는 시트 상에서 고상의 제2완충재(G4)를 감싼 상태로 접착제 또는 융착(열융착)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한 제2완충재(G4)를 감쌀 수 있다.
상기한 제1완충재(G1)는 온도가 변화됨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는데, 특히 기공에 수용되는 공기의 부피 또한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다. 상기한 제1완충재(G1)가 수축되는 경우 충격을 완화 시키는 완충 효과가 저감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제2완충재(G4)가 상기한 제1완충재(G1)에 잠열을 공급하여 제2완충재(G4)가 열수축되는 것을 억제하여 제2완충재(G4)의 완충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완충재(G4)가 외부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상기한 제1완충재(G1)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팽창되어 내피재(G2)에서 손상시키고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융점이 4~6℃어서 방수재(GS)가 0℃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결로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방수재(GS)가 열팽창 되거나 열수축되는 것을 억제하여 방수재(GS)가 우글쭈글해지거나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제1완충재(G1)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한 제1완충재(G1)는 단열 성능이 있기 때문에 제2완충재(G4)가 제1완충재(G1)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한 방수재(GS)와 제2완충재(G4)의 열 교환을 방해하여 상술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한 제2완충재(G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테트라데케인 0.2 중량부를 포함하는데, 0.2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완충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0.2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한 외피재(G3) 내측에 배치되기 어렵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은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측 단부(도 x의 좌측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피-스티렌술포닉산을 포함 할 수 있는데, 더하여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은 피-스티렌술포닉산과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혼합(1:19 비율)하고 UV 경화된 것일 수 있다.
피-스티렌술포닉산은 0.1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1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음전하가 충분하지 않으며, 0.1 중량부가 초과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분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양이온성 물질(G8)은 외피재(G3)의 양측 단부 중 다른 한측 단부(도 5에서 우측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양이온성 물질(G8)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은 에틸렌이민을 중합한 폴리머로 현존하는 소재 중 양이온 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한 양이온성 물질(G8) 및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각각은 폴리에틸렌(PE) 필름 또는 라텍스 등에 쌓여진 상태로 상기한 외피재(G3)와 열융착 되거나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어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포스트(G5)는 알루미늄 0.1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외피재(G3)의 외측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알루미늄은 가벼운 금속이어서 사용된 것으로 0.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능성첨가재(G)가 지나치게 무거워져 분산성이 저하되며,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그 길이나 폭이 지나치게 감소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시적으로 포스트(G5)는 내측 단부가 공지된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한 외피재(G3) 외측에 부착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으로 상기한 외피재(G3)는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한 포스트(G5)의 내측단부가 상기한 끼움홈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다수의 결합부재(G6) 각각은 다수의 포스트(G5) 각각의 외측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은 기능성첨가재(G)의 중심측을 의미하고 외측은 상기 중심측에서 방사상 방향 측을 의미할 수 있다.
방수재(GS)에 기능성첨가재(G)의 단위체(GU)가 다수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한 단위체(GU)는 방수재(GS)에서 교반 시에 전단력에 의해 이웃하는 단위체(GU)가 분리되어 방수재(GS), 기능성첨가재(G) 및 기타 첨가재들의 교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혼합 후 또는 방수재(GS)가 커팅장치(110)에 도포되는 과정 또는 커팅장치(110)에 도포된 이후 이웃하는 단위체(GU)은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 및 양이온성 물질(G8) 간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호 가까워지게 되고, 이웃하는 단위체(GU) 중 어느 하나(이하 제1단위체)의 상기한 결합부재(G6)가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를 포함함으로 탄성 변형(압축변형)되어 이웃하는 단위체(GU) 중 다른 하나(이하 제2단위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결합부재(G6)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제1단위체의 결합부재(G6)가 제2단위체의 결합부재(G6) 사이를 통과하게 된 경우 제1단위체의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가 제2단위체의 양이온성 물질(G8)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상호 부착될 수 있고, 상기한 제1단위체의 결합부재(G6)는 탄성 복원되어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원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제1단위체의 결합부재(G6)의 내측단과 제2단위체 결합부재(G6)들의 내측단이 상호 지지되어 걸어지게 되어(걸림 결합) 제1단위체와 제2단위체가 상호 분리되는 것이 억제되어 이웃하는 단위체(GU)들이 상호 결합되고 이웃하는 단위체(GU)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방수재(GS)가 열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억제하고 방수재(GS)에 강인성을 부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청구범위를 통해 한정되지 않은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양날 커팅장치
110: 커팅장치
111: 결합부
112: 수직부
112-1: 커팅부분
113: 굴곡부
130: 원단 배출롤러
140: 이동부재
150: 회전부

Claims (4)

  1. 커팅날을 포함하는 커팅장치;
    상기 커팅날의 후방에 형성되어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 롤러;
    상기 커팅날의 전방에 형성되어 원단을 배출하는 원단 배출 롤러;
    상기 커팅장치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재; 및
    상기 원단 공급롤러 및 상기 원단 배출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장치(110) 외면에 도포되는 방수재(GS) 및 기능성첨가재(G)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완충재(G1); 상기 폴리우레탄 폼 0.1 중량부 대비, 폴리프로필렌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완충재(G1)를 감싸는 내피재(G2); 라텍스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를 감싸되 섬유상이고, 상기 방수재(GS)와 혼합되는 외피재(G3); 테트라데케인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2)와 외피재(G3)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완충재(G4); 알루미늄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외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포스트(G5);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포스트(G5) 각각의 외측에 구비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되는 다수의 결합부재(G6);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어느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7); 및 폴리에틸렌이민 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재(G3)의 양 측 단부 중 다른 한측 단부에 구비되는 양이온성 물질(G8);을 포함하는 양날커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팅장치는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바닥면의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단에서 상기 결합부의 중앙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양날 커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팅장치는,
    상기 수직부에 커팅부분을 더 포함하는 양날 커팅장치.
  4. 청구항 1의 양날 커팅장치를 이용한 원단 커팅방법에 있어서,
    원단 공급롤러를 통해 원단을 커팅장치 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원단을 원단 배출롤러를 통해 일정길이만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커팅장치를 통해 상기 원단을 커팅하는 단계; 및
    상기 커팅된 원단을 상기 배출롤러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단커팅방법.
KR1020230008548A 2023-01-20 2023-01-20 양날 커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단 커팅방법 KR102634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8548A KR102634083B1 (ko) 2023-01-20 2023-01-20 양날 커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단 커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8548A KR102634083B1 (ko) 2023-01-20 2023-01-20 양날 커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단 커팅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083B1 true KR102634083B1 (ko) 2024-02-06

Family

ID=8985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8548A KR102634083B1 (ko) 2023-01-20 2023-01-20 양날 커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단 커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0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7894A (ja) * 1986-11-19 1988-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ロ−ルシ−ト用カツタ−
KR20040051981A (ko) * 2002-12-13 2004-06-19 우진Act주식회사 크린룸용 와이퍼 횡방향 커팅기
KR101654728B1 (ko) * 2016-02-18 2016-09-06 (주)월드브라인드 블라인드의 원단 절단용 커터 장치
KR20170111469A (ko) * 2016-03-28 2017-10-12 김동수 원단 자동 절단장치
KR102216027B1 (ko) * 2015-04-08 2021-02-15 황중국 다축 보강 적층시트 제조용 시트절단 및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7894A (ja) * 1986-11-19 1988-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ロ−ルシ−ト用カツタ−
KR20040051981A (ko) * 2002-12-13 2004-06-19 우진Act주식회사 크린룸용 와이퍼 횡방향 커팅기
KR102216027B1 (ko) * 2015-04-08 2021-02-15 황중국 다축 보강 적층시트 제조용 시트절단 및 이송장치
KR101654728B1 (ko) * 2016-02-18 2016-09-06 (주)월드브라인드 블라인드의 원단 절단용 커터 장치
KR20170111469A (ko) * 2016-03-28 2017-10-12 김동수 원단 자동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81613B1 (en) Resin foamed particles, resin foam molded body, and laminated body
KR101168192B1 (ko)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발포 입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입자 성형체의 제조 방법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발포입자 성형체
JP5974010B2 (ja) 型内発泡成形用芳香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発泡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型内発泡成形体、複合構造部材、並びに、自動車用部材
EP246307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mally expandable base material for vehicle interior
JP6982972B2 (ja) 積層体
EP3062983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a thermoplastic sandwich structure comprising a thermoplastic foam layer and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ver layers
KR102634083B1 (ko) 양날 커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단 커팅방법
WO2020031803A1 (ja) ポリアミド予備発泡粒子、並びにポリアミド発泡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2163574B1 (en) Polyolefin resin pre-foamed particle having antistatic property, and molded article produced from the particle
US20070082960A1 (en) Expandable styrene resin particles, expandable beads, and foamed article
JP2018131620A (ja) 樹脂発泡粒子および樹脂発泡成形体
US20200032025A1 (en) Foaming particle molded body
KR102584969B1 (ko) 금속 가공 방법
JPS6052929B2 (ja) 発泡ポリスチレンシ−トの製造方法
JP2004001401A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積層発泡体の製造方法及びポリエチレン系樹脂積層発泡体
US20230407035A1 (en) Method for producing polyamide-based resin multi-stage-expanded beads
JP4567509B2 (ja) 短繊維の製造方法
JP4954831B2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
JP4837404B2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377824B1 (ko) 슬릿 장치 및 세퍼레이터 권회체의 제조 방법
KR20240116068A (ko) 수직 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지방법
KR102630361B1 (ko) 선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보관 방법
EP3219475B1 (en) Molding method
JP5394089B2 (ja) 無架橋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浮力材及び救命胴衣
WO2013174908A2 (en) Roll drum for roller winding device with elastomeric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