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508B1 - 자동차용 그로밋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그로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508B1
KR102633508B1 KR1020220004567A KR20220004567A KR102633508B1 KR 102633508 B1 KR102633508 B1 KR 102633508B1 KR 1020220004567 A KR1020220004567 A KR 1020220004567A KR 20220004567 A KR20220004567 A KR 20220004567A KR 102633508 B1 KR102633508 B1 KR 102633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upling
fixing
grommet
seal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4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8897A (ko
Inventor
김선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04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508B1/ko
Publication of KR20230108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5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4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62D27/065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wel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그로밋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자동차를 운행시 발생되는 진동이 효과적으로 흡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수밀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외장 부품에 설치된 브라켓(300)이 삽입되는 삽입홈(113)이 외측면에 형성된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의 하부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부(120)와; 상기 결합부(120)와 고정부(110)의 내부 중앙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체결공(130)과; 상기 체결공(130)에 체결되는 스크류(400)의 체결량에 따라 차체패널(200)의 결합공(210)에 결합부(120)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체결부(14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의 외측면에 씰링패드(150)가 일체로 이색 사출되고; 상기 씰링패드(150)가 일체로 이색 사출된 고정부(11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부(140)는 결합공(210)에 삽입이 이루어진 결합부(120)가 인출되지 않도록 체결공(130)에 삽입되면서 체결되는 스크류(400)의 체결량에 따라 외측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그로밋{Grommets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그로밋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를 운행시 발생되는 진동이 효과적으로 흡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수밀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그로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업계에서는 자동차의 다양한 내,외장 부품 등을 결합 또는 장착하거나 각각의 부품을 연결하고 분리하는 작업을 손쉽게 하기 위하여 그로밋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동차의 내부는 장식효과와 함께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소재로 이루어진 천장재, 벽재, 바닥재 등을 포함하는 내장 부품으로 마감되는데, 이러한 내장 부품은 자동차의 구조재인 차체패널에 그로밋을 통해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상기 자동차의 외장 부품으로 범퍼, 휠 가드, 테일게이트 트림, 도어 트림, 카울 탑 커버 등이 있으며, 이를 차체패널에 결합하기 위하여 그로밋을 사용한다.
이러한 그로밋은 내,외장 부품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차체패널에 결합되는 고정부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그로밋은 상기 내,외장 부품과의 사이에 실링을 위하여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러버패드를 접합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그로밋은 상기 러버패드가 종종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그로밋은 상기 러버패드의 이탈 시, 수밀 불량, 바람 소리 유입 및 직접적인 바람의 유입으로 인하여 상품성이 저하되고 불량률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러버패드의 이탈 시, 이를 교체하기 위하여 별도의 작업자가 필요하며, 이는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로 이어진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92582호 (등록일자 : 2020년 11월 02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를 운행시 발생되는 진동이 효과적으로 흡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수밀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그로밋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외장 부품에 설치된 브라켓(300)이 삽입되는 삽입홈(113)이 외측면에 형성된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의 하부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부(120)와; 상기 결합부(120)와 고정부(110)의 내부 중앙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체결공(130)과; 상기 체결공(130)에 체결되는 스크류(400)의 체결량에 따라 차체패널(200)의 결합공(210)에 결합부(120)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체결부(140)로 구성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110)의 외측면에 씰링패드(150)가 일체로 이색 사출되고; 상기 씰링패드(150)가 일체로 이색 사출된 고정부(11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부(140)는 결합공(210)에 삽입이 이루어진 결합부(120)가 인출되지 않도록 체결공(130)에 삽입되면서 체결되는 스크류(400)의 체결량에 따라 외측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140)가 형성된 그로밋(100)의 고정부(110)는 차체패널(200)에 지지되는 플랜지(112)와; 상기 플랜지(112)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원판형의 고정판(111)과; 상기 고정판(111)과 플랜지(112)에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113)으로 구성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고정부(110)의 외측면에 일체로 이색 사출되는 씰링패드(150)는 플랜지의 외측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151)을 가지며 하부로 연장되게 절곡 형성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고정부(110)는 차체패널(200)에 지지되는 플랜지(112)와; 상기 플랜지(112)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원판형의 고정판(111)과; 상기 고정판(111)과 플랜지(112)에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113)으로 구성됨을 밝혀 둔다.
삭제
또한, 상기 씰링패드(150)가 일체로 외측면에 이색 사출된 고정부(110)의 삽입홈(113)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자동차의 내,외장 부품에 설치된 브라켓(300)를 삽입시 조립공차가 흡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씰링이 이루어지게 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플랜지(112)는 고정판(111)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차체패널(200)에 효과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이 바람직 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체결공(130)에 체결되는 스크류(400)의 체결량에 따라 외측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차체패널(200)에 접촉되는 접촉부위(141)가 체결부(140)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크류(400)를 체결공(130)에 체결시 체결부(140)의 접촉부위(141)에 의해 차체패널(200)을 상부방향으로 밀어주면서 스크류(400)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씰링패드(150)는 자체탄성력을 갖고 있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소재로 이루어짐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내,외장 부품에 설치된 브라켓을 삽입홈에 삽입시 조립공차가 흡수되어 조립성이 향상되어지게 됨은 물론, 차량운행시 발생되는 진동이 씰링패드에 의해 진동이 효과적으로 흡수됨과 동시이에 이음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자동차에 타고있는 승원이 안락함을 느끼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그로밋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그로밋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그로밋에 브라켓과 차체패널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그로밋에 브라켓과 차체패널이 조립된 상태에서 스크류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를 보인 확대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표현한 형상 이외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아니하였음을 일러둔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그로밋을 보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그로밋을 보인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그로밋에 브라켓과 차체패널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를 보인 확대단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그로밋에 브라켓과 차체패널이 조립된 상태에서 스크류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를 보인 확대단면도 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그로밋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내,외장 부품에 설치된 브라켓(300)이 삽입되는 삽입홈(113)이 외측면에 형성된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의 하부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부(120)와; 상기 결합부(120)와 고정부(110)의 내부 중앙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체결공(130)과; 상기 체결공(130)에 체결되는 스크류(400)의 체결량에 따라 차체패널(200)의 결합공(210)에 결합부(120)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체결부(14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의 외측면에 씰링패드(150)가 일체로 이색 사출되고; 상기 씰링패드(150)가 일체로 이색 사출된 고정부(11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부(140)는 결합공(210)에 삽입이 이루어진 결합부(120)가 인출되지 않도록 체결공(130)에 삽입되면서 체결되는 스크류(400)의 체결량에 따라 외측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40)는 체결공(130)에 체결되는 스크류(400)의 체결량에 따라 외측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차체패널(200)에 접촉되는 접촉부위(141)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40)가 형성된 그로밋(100)의 고정부(110)는 차체패널(200)에 지지되는 플랜지(112)와; 상기 플랜지(112)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원판형의 고정판(111)과; 상기 고정판(111)과 플랜지(112)에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113)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110)의 외측면에 일체로 이색 사출되는 씰링패드(150)는 플랜지의 외측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151)을 가지며 하부로 연장되게 절곡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110)의 외측면에 씰링패드(150)가 일체로 이색 사출되고; 상기 씰링패드(150)가 일체로 이색 사출된 고정부(11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부(140)는 결합공(210)에 삽입이 이루어진 결합부(120)가 인출되지 않도록 체결공(130)에 삽입되면서 체결되는 스크류(400)의 체결량에 따라 외측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씰링패드(150)가 일체로 외측면에 이색 사출된 고정부(110)의 삽입홈(113)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플랜지(112)는 고정판(111)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시켜 차체패널(200)에 효과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결공(130)에 체결되는 스크류(400)의 체결량에 따라 외측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차체패널(200)에 접촉되는 접촉부위(141)가 체결부(140)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씰링패드(150)는 자체탄성력을 갖고 있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자동차의 다양한 내,외장 부품 등을 결합 또는 장착하거나 각각의 부품을 연결하고자 하는 작업을 수행시,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그로밋(100)의 고정부(110)에 형성된 삽입홈(113)에 자동차의 내,외장 부품에 설치된 브라켓(300)을 삽입시키고, 상기 그로밋(100)의 고정부(110)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120)를 차체패널(200)에 관통되게 형성된 결합공(210)에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삽입홈(113)에 삽입되는 브라켓(300)의 상부면과 하부면 및 단부가 씰링패드(150)에 의해 기밀상태가 유지되도록 삽입된다.
이러한 씰링패드(40)는 TPE(Thermo Plasic Elastomer)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TPE는 고무와 플라스틱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고무보다 단단하고, 플라스틱보다 유연하며 부드러운 성질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씰링패드(150)는 극성 TPE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극성 TPE는 대전성(electrificating)을 띈다.
이러한 씰링패드(150)는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인하여 밀착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300)을 삽입홈(113)에 삽입시 조립오차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씰링패드(150)가 자체탄성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조립공차를 흡수하게 됨으로써, 조립시 작업성이 향상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그로밋(100)의 고정부(110)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120)는 차체패널(200)에 관통되게 형성된 결합공(210)에 삽입시 체결부(140)는 체결공(130)의 중심방향으로 탄성변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결합부(120)에 의해 안내되면서 보다 원활하게 결합공(210)에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110)에는 브라켓(300)을 결합시키고 결합부(120)는 차체패널(200)에 형성된 결합공(210)에 삽입시킨 후에는, 그로밋(100)의 체결공(130)에 스크류(400)를 삽입시면서 체결시켜주면서 체결부(140)의 접촉부위(141)가 차체패널(200)과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크류(400)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스크류(400)의 머리 외측단부는 씰링패드(150)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어 수밀성이 향상되어지게 되고, 상기 스크류(400)가 체결공(130)에 체결되는 체결양만큼 체결부(140)가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접촉부위(141)에 의해 차체패널(200)을 상측방향으로 밀어주면서 가압시키는 것에 의해 결합력이 향상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그로밋(100)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씰링패드(150)에 의해 실링 성능, 방풍 성능 및 이음 성능이 향상되면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그로밋(100)은 상기 씰링패드(150)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의 불만이 해소되고, 생산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그로밋
110 : 고정부
120 : 결합부
130 : 체결공
140 : 체결부
150 : 씰링패드
200 : 차체패널
210 : 결합공
300 : 브라켓
400 : 스크류

Claims (6)

  1. 자동차의 내,외장 부품에 설치된 브라켓(300)이 삽입되는 삽입홈(113)이 외측면에 형성된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의 하부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부(120)와; 상기 결합부(120)와 고정부(110)의 내부 중앙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체결공(130)과; 상기 체결공(130)에 체결되는 스크류(400)의 체결량에 따라 차체패널(200)의 결합공(210)에 결합부(120)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체결부(14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의 외측면에 씰링패드(150)가 일체로 이색 사출되고; 상기 씰링패드(150)가 일체로 이색 사출된 고정부(110)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부(140)는 결합공(210)에 삽입이 이루어진 결합부(120)가 인출되지 않도록 체결공(130)에 삽입되면서 체결되는 스크류(400)의 체결량에 따라 외측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140)는 체결공(130)에 체결되는 스크류(400)의 체결량에 따라 외측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차체패널(200)에 접촉되는 접촉부위(141)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40)가 형성된 그로밋(100)의 고정부(110)는 차체패널(200)에 지지되는 플랜지(112)와; 상기 플랜지(112)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원판형의 고정판(111)과; 상기 고정판(111)과 플랜지(112)에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113)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110)의 외측면에 일체로 이색 사출되는 씰링패드(150)는
    플랜지의 외측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151)을 가지며 하부로 연장되게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그로밋.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씰링패드(150)가 일체로 외측면에 이색 사출된 고정부(110)의 삽입홈(113)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그로밋.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12)는 고정판(111)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차체패널(200)에 효과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그로밋.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씰링패드(150)는 자체탄성력을 갖고 있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소재로 이색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그로밋.
KR1020220004567A 2022-01-12 2022-01-12 자동차용 그로밋 KR102633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567A KR102633508B1 (ko) 2022-01-12 2022-01-12 자동차용 그로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567A KR102633508B1 (ko) 2022-01-12 2022-01-12 자동차용 그로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897A KR20230108897A (ko) 2023-07-19
KR102633508B1 true KR102633508B1 (ko) 2024-02-06

Family

ID=8742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567A KR102633508B1 (ko) 2022-01-12 2022-01-12 자동차용 그로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5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152B1 (ko) * 2003-03-31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트림 장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047A (ja) * 1993-07-23 1995-02-03 Mazda Motor Corp サスペンションクロスメンバ取付け構造
KR20180072393A (ko) * 2016-12-21 2018-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훼스너
KR200492582Y1 (ko) 2020-06-02 2020-11-06 주식회사 대현테크노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해물질을 방지하기 위한 패널 연결용 성형 몰딩 화스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152B1 (ko) * 2003-03-31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트림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897A (ko) 202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2028B2 (ja) 自動車のウェザーストリップ
US20060099051A1 (en) Sealing fastener
US7344181B2 (en) Structure for attaching weather strip molded part
US20030042755A1 (en) Structure of roof-side portion of motor vehicle
JP4254318B2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US20190061503A1 (en) Outer belt molding design for hidden flange door
JP2011140279A (ja) 車両用カウルルーバ
US20200338972A1 (en) Seal component for vehicle door window
CN112158267A (zh) 车辆
KR102633508B1 (ko) 자동차용 그로밋
CN101675255A (zh) 固定扣件
KR102440731B1 (ko) 자동차 루프 지지구조
US20060186608A1 (en) Weather strip with cushion member
US11872872B2 (en) Automotive door sealing member
JP2015117009A (ja) 車両用モールディング及び車両におけるモールディングの取付構造
KR20180072393A (ko) 훼스너
JP2020050226A (ja) ドアウェザストリップ
JP2007030588A (ja) 自動車用ウエザーストリップ
JP6910147B2 (ja) ガーニッシュ固定構造
CN220517958U (zh) 一种车门防水膜、汽车车门及汽车
KR20070040487A (ko) 에스유브이 차량의 쿼터 글래스의 인캡설레이션 몰딩의장착구조
KR20050004577A (ko) 하이브리드 수지성형품의 보강구조
JP4155384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
KR102456787B1 (ko) 패스너 홀더와 패스너의 결합 구조
JP2004314968A (ja) ウエザスト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