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360B1 -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360B1
KR102633360B1 KR1020230004715A KR20230004715A KR102633360B1 KR 102633360 B1 KR102633360 B1 KR 102633360B1 KR 1020230004715 A KR1020230004715 A KR 1020230004715A KR 20230004715 A KR20230004715 A KR 20230004715A KR 102633360 B1 KR102633360 B1 KR 102633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hydrocolloid
line
unit patch
releas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4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티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티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티와이
Priority to KR1020230004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manufacturing of adhesive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1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the fluid retention member being a layer of hydrocolloid, gel form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28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adhesive or cohesive tape or fabrics therefor, e.g. coating or mechanical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27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 A61F2013/00748Plasters means for wound humidity control with hydrocolloids or superabsor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부착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단위패치(100)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단위패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을 타공하여 제작하며,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은 약액이 함유되어 피부면에 붙이는 하면과 공기 중에 노출되는 상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의 하면을 이형지(120)의 일면에 부착하여 제작원단을 제작하는 제1단계(S110)와, 원형칼(300)을 이용하여 상기 이형지(120)에 제1라인(301)을 형성하는 제2단계(S120)와,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에 미리 정해진 크기로 베벨링 가공을 하는 제3단계(S130)와, 상기 베벨링 가공이 된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을 단위패치 크기로 타공하는 제4단계(S140) 및 상기 제4단계(S140)에서 타공된 단위패치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을 제거하여 상기 이형지에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이 제거된 제거부위(340)가 형성되는 제5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hydro colloid}
본 발명은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드로콜로이드제품을 접촉하지 않고 환부에 부착할 수 있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하이드로콜로이드 제품은 밴드 본체를 이형지로부터 손가락으로 직접 분리하는 과정에서 손가락과의 접촉에 의해 2차 오염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처 부위를 오히려 약화시키거나 상처 치유 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24562호를 들 수 있다. 상기 선행 기술은 단위패치(11)에 손잡이부(12)가 겹쳐 있으며 손잡이부(12)를 파지하여 단위패치(11)를 쉽게 분리한 뒤 상처부위에 부착하면서 손가락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제품은 제조과정에서 손잡이부(12)와 단위패치(11)는 각각 타공하여 형성되는데 손잡이부(12)가 단위패치(11)의 상부에 겹쳐져 있어 단위패치 타공과 손잡이부의 타공이 서로 반대방향에서 별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12)와 단위패치(11)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작원단을 상부와 하부를 바꾸어 타공해야 하며 이에 따라 단위패치와 손잡이부를 각기 다른 타발기에서 타공해야 하므로 정밀하게 타공하지 못할 경우 단위패치의 위치에 손잡이부가 정확히 타공되지 못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2456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873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4738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위패치를 피부에 부착하기 쉽도록 이형지에 손잡이를 제작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제조공정에서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과 이형지의 배치가 상하가 바뀌지 않으면서 상방에서 타공을 진행할 수 있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부에 부착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단위패치(100)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단위패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을 타공하여 제작하며,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은 약액이 함유되어 피부면에 붙이는 하면과 공기 중에 노출되는 상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의 하면을 이형지(120)의 일면에 부착하여 제작원단을 제작하는 제1단계(S110)와, 원형칼(300)을 이용하여 상기 이형지(120)에 제1라인(301)을 형성하는 제2단계(S120)와,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에 미리 정해진 크기로 베벨링 가공을 하는 제3단계(S130)와, 상기 베벨링 가공이 된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을 단위패치 크기로 타공하는 제4단계(S140) 및 상기 제4단계(S140)에서 타공된 단위패치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을 제거하여 상기 이형지에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이 제거된 제거부위(340)가 형성되는 제5단계(S150)를 포함하여, 상기 단위패치를 피부에 부착하기 쉽도록 상기 이형지에 손잡이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작원단의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은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이형지(120)는 아래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제1단계(S110)에서 상기 제5단계(S150)까지 진행하되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과 상기 이형지(120)의 배치는 상하가 바뀌지 않으면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단계(S120)에서 사용되는 원형칼(300)은 테두리에 톱니형태의 날이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이형지(120)에 점선타발을 수행하여 제1라인(301)을 형성시키되, 상기 원형칼(300)은 상기 제작원단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작원단의 이동속도와 동기되어 회전하면서 점선타발을 진행하며,
상기 제작원단의 이동방향을 길이방향, 이동방향의 90도 방향을 폭방향이라 할 때, 상기 단위패치(100)는 폭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열지어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라인(301)은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단계(S130)의 베벨링 가공을 위한 베벨링헤드(310)는 상기 제작원단의 위쪽에 배치되어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에서 상기 단위패치(100)가 형성될 위치를 베벨링하여 두께가 얇은 제1베벨링부(311)와 두께가 두꺼운 제2베벨링부(3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단계(S140)의 단위패치 크기로 타공하는 제1타공헤드(330)는 상기 제작원단의 위쪽에서 상기 베벨링된 부위를 타공하여 단위패치 경계라인(33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5단계(S150)의 손잡이를 타공하는 제2타공헤드(350)는 상기 제작원단의 위쪽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 부위를 타공하되 제2타공헤드(350)로 타공된 제2라인(351)은 상기 제2타공헤드(350)가 제작원단의 위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형지(120)에 타공함에 따라 상기 타공된 단위패치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을 제거하는 제4단계(S140) 이후에 진행한다.
또한, 상기 제2라인(351)은 상기 제4단계(S140)의 상기 타공된 단위패치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을 제거한 제거부위(340)에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단위패치 부위와는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5단계(S150) 이후에 포장을 위해 포장크기로 외곽라인(371)을 타공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라인(351)은 제1라인(301) 및 상기 외곽라인(371)과 겹치도록 타공되어 상기 제1라인(301)과 상기 제2라인(351) 또는 상기 제1라인(301)과 상기 제2라인(351) 및 상기 외곽라인(371)으로 둘러싸인 손잡이부(3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패치에 손잡이를 제작함으로써 이형지로부터 단위패치 분리시 손잡이를 손으로 파지함으로써 이형지로부터 분리가 쉽고 손가락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조공정에서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과 이형지의 배치가 상하가 바뀌지 않으면서 한 번의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어 종래의 공정에 비해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손잡이부(12)를 타공할 때 단위패치(11)와 겹쳐지지 안도록 타공할 수 있는 제조공법을 설계함으로써 손잡이부와 단위패치를 상부에서 타공을 진행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이드로콜로이드 제품의 형태를 보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콜로이드 제품의 형태를 보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패치가 분리된 제품의 형태를 보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패치와 손잡이부의 형태를 보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콜로이드 제품의 형태를 보이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패치가 분리된 제품의 형태를 보이는 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패치와 손잡이부의 형태를 보이는 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단위패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을 타공하여 제작하며,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은 약액이 함유되어 피부면에 붙이는 하면과 공기 중에 노출되는 상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하이드로 콜로이드 단위패치(100)를 제작하는 방법은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의 하면을 이형지(120)의 일면에 부착하여 제작원단을 제작하는 제1단계(S110)와, 원형칼(300)을 이용하여 상기 이형지(120)에 제1라인(301)을 반칼로 형성하는 제2단계(S120)와,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에 미리 정해진 크기로 베벨링 가공을 하는 제3단계(S130)와, 상기 베벨링 가공이 된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을 단위패치 크기로 타공하는 제4단계(S140) 및
상기 제4단계(S140)에서 타공된 단위패치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을 제거하여 상기 이형지에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이 제거된 제거부위(340)가 형성되는 제5단계(S150)를 포함하여 상기 단위패치를 피부에 부착하기 쉽도록 상기 이형지에 손잡이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되는 상기 원형칼(300)은 원통형 금형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가공되어 회전함에 따라 제1라인(301)을 한꺼번에 다수개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작원단은 상기 제1라인과 평행하게 이동하며 상기 원통형 금형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원형칼이 회전하면서 다수개의 제1라인을 반칼로 형성하는데 상기 다수개의 원형칼의 반대편에는 회전롤러가 배치되어 상기 제작원단은 상기 회전롤러와 다수개의 원형칼 사이로 투입된다.
여기서 제3단계 내지 제5단계는 하나의 장비 또는 인접장비에서 함께 가공하는 것이 유리하며 상기 제2단계는 별도로 작업하거나 위 3단계 내지 제5단계와 함께 작업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파지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작원단의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은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이형지(120)는 아래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제1단계(S110)에서 상기 제5단계(S150)까지 진행하되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과 상기 이형지(120)의 배치는 상하가 바뀌지 않으면서 진행된다.
또한, 상기 제2단계(S120)에서 사용되는 원형칼(300)은 테두리에 톱니형태의 날이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이형지(120)에 점선타발을 수행하여 제1라인(301)을 형성시키되, 상기 원형칼(300)은 상기 제작원단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작원단의 이동속도와 동기되어 회전하면서 점선타발(파선)을 진행한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작원단의 이동방향을 길이방향, 이동방향의 90도 방향을 폭방향이라 할 때, 상기 단위패치(100)는 폭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열지어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라인(301)은 다수개 형성되고 이때 상기 제1라인의 숫자는 폭방향으로 배치된 단위패치의 숫자와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제1라인(301)은 상기 폭방향을 배치된 단위패치(100)를 지나가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3단계(S130)의 베벨링 가공을 위한 베벨링헤드(310)는 상기 제작원단의 위쪽에 배치되어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에서 상기 단위패치(100)가 형성될 위치를 베벨링하여 두께가 얇은 제1베벨링부(311)와 두께가 두꺼운 제2베벨링부(3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단계(S140)의 단위패치 크기로 타공하는 제1타공헤드(330)는 상기 제작원단의 위쪽에서 상기 베벨링된 부위를 타공하여 단위패치 경계라인(33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5단계(S150)의 손잡이를 타공하는 제2타공헤드(350)는 상기 제작원단의 위쪽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 부위를 타공한다.
상기 제2타공헤드(350)로 타공된 제2라인(351)은 상기 제2타공헤드(350)가 제작원단의 위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형지(120)를 타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5단계는 상기 타공된 단위패치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을 제거하는 제4단계(S140) 이후에 진행된다.
또한, 상기 제2라인(351)은 상기 제4단계(S140)의 상기 타공된 단위패치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을 제거한 제거부위(340)에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단위패치 부위와는 겹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5단계(S150) 이후에 포장을 위해 포장크기로 외곽라인(371)을 타공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라인(351)은 상기 단위패치(100)를 감싸도록 타공되나 상기 단위패치가 위치한 방향을 개방되도록 타공된다.
또한, 상기 제2라인(351)은 제1라인(301) 및 상기 외곽라인(371)과 겹치도록 타공되어 상기 제1라인(301)과 상기 제2라인(351) 또는 상기 제1라인(301)과 상기 제2라인(351) 및 상기 외곽라인(371)으로 둘러싸인 손잡이부(37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벨링헤드(310)와 상기 제1타공헤드(330)와 상기 제2타공헤드(350)가 하나의 타발기의 테이블(400)에서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제1베벨링부(311) 및 제2베벨링부(312)와, 단위패치 경계라인(331)과 제2라인(351)의 위치가 정위치에 작업이 진행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370)는 상기 단위패치(100)와 겹쳐지지 않게 형성되어 이형지로부터 단위패치 분리시 손잡이부를 손으로 파지함으로써 이형지로부터 분리가 쉽고 손가락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70)는 상기 단위패치(100)와 겹쳐지지 않게 형성함으로써 제1타공헤드(330) 및 제2타공헤드(350)는 제작원단의 위쪽에 배치되어 이동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단위패치와 손잡이부가 제작될 수 있다.
즉 제조공정에서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과 이형지의 배치가 상하가 바뀌지 않으면서 한 번의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어 종래의 공정에 비해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단위패치(100)의 전체면적을 A라하고 상기 단위패치 중에 상기 손잡이부(370)에 부착된 부위의 면적을 A1 이라 하며, 상기 단위패치 중에 상기 손잡이부(370)에 부착되지 않은 부위의 면적을 A2 라고 할 때, A1 < A2 가 되도록 손잡이부(370)를 배치함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를 활용하여 상기 단위패치를 피부에 붙인 후 상기 손잡이부의 탈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70) 중에 상기 단위패치가 부착되지 않은 부위의 면적을 A4 라고 할 때 A4 > A1 이 되도록 손잡이부를 배치함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를 잡기가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단위패치 110 :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
120 : 이형지 300 : 원형칼
301 : 제1라인 310 : 베벨링헤드
311 : 제1베벨링부 312 : 제2베벨링부
330 : 제1타공헤드 331 : 경계라인
340 : 제거부위 350 : 제2타공헤드
351 : 제2라인 370 : 손잡이부
371 : 외곽라인 400 : 테이블

Claims (9)

  1. 피부에 부착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단위패치(100)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단위패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을 타공하여 제작하며,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은 약액이 함유되어 피부면에 붙이는 하면과 공기 중에 노출되는 상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의 하면을 이형지(120)의 일면에 부착하여 제작원단을 제작하는 제1단계(S110);
    원형칼(300)을 이용하여 상기 이형지(120)에 제1라인(301)을 형성하는 제2단계(S120);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에 미리 정해진 크기로 베벨링 가공을 하는 제3단계(S130);
    상기 베벨링 가공이 된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을 단위패치 크기로 타공하는 제4단계(S140); 및
    상기 제4단계(S140)에서 타공된 단위패치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을 제거하여 상기 이형지에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이 제거된 제거부위(340)가 형성되는 제5단계(S150)를 포함하여,
    상기 단위패치를 피부에 부착하기 쉽도록 상기 이형지에 손잡이를 제작하되
    상기 제작원단의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은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이형지(120)는 아래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제1단계(S110)에서 상기 제5단계(S150)까지 진행하되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과 상기 이형지(120)의 배치는 상하가 바뀌지 않으면서 진행되며
    상기 제2단계(S120)에서 사용되는 원형칼(300)은 테두리에 톱니형태의 날이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이형지(120)에 점선타발을 수행하여 제1라인(301)을 형성시키되, 상기 원형칼(300)은 상기 제작원단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작원단의 이동속도와 동기되어 회전하면서 점선타발을 진행하고
    상기 제4단계(S140)의 단위패치 크기로 타공하는 제1타공헤드(330)는 상기 제작원단의 위쪽에서 상기 베벨링된 부위를 타공하여 단위패치 경계라인(331)을 형성하며
    상기 제5단계(S150)의 손잡이를 타공하는 제2타공헤드(350)는 상기 제작원단의 위쪽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 부위를 타공하되 제2타공헤드(350)로 타공된 제2라인(351)이 상기 제2타공헤드(350)가 제작원단의 위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형지(120)에 타공됨에 따라 상기 타공된 단위패치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을 제거하는 제4단계(S140) 이후에 진행하고
    상기 제2라인(351)은 상기 제4단계(S140)의 상기 타공된 단위패치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을 제거한 제거부위(340)에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단위패치 부위와는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라인(351)은 상기 단위패치(100)와 겹치지 않고 감싸도록 타공되되
    제1라인(301) 및 포장크기로 타공된 외곽라인(371)과 겹치도록 타공되어 상기 제1라인(301)과 상기 제2라인(351) 또는 상기 제1라인(301)과 상기 제2라인(351) 및 상기 외곽라인(371)으로 둘러싸인 손잡이부(37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원단의 이동방향을 길이방향, 이동방향의 90도 방향을 폭방향이라 할 때, 상기 단위패치(100)는 폭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면서 길이방향으로 열지어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라인(301)은 다수개 형성되고 이때 상기 제1라인의 숫자는 폭방향으로 배치된 단위패치의 숫자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1라인(301)은 상기 폭방향을 배치된 단위패치(100)를 지나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S130)의 베벨링 가공을 위한 베벨링헤드(310)는 상기 제작원단의 위쪽에 배치되어 상기 하이드로 콜로이드 원단(110)에서 상기 단위패치(100)가 형성될 위치를 베벨링하여 두께가 얇은 제1베벨링부(311)와 두께가 두꺼운 제2베벨링부(3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30004715A 2023-01-12 2023-01-12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 KR102633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4715A KR102633360B1 (ko) 2023-01-12 2023-01-12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4715A KR102633360B1 (ko) 2023-01-12 2023-01-12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360B1 true KR102633360B1 (ko) 2024-02-05

Family

ID=8990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4715A KR102633360B1 (ko) 2023-01-12 2023-01-12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36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358B1 (ko) 2012-06-12 2012-10-08 김연택 전사보호 필름을 구비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밴드
KR20150134030A (ko) * 2014-05-21 2015-12-01 박지혜 의료용 드레싱 밴드의 제조방법
KR101624562B1 (ko) 2015-07-08 2016-05-26 김연택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조방법 및 그의 제품
KR20170000168A (ko) * 2015-06-23 2017-01-02 주식회사 누리메딕스 롤형 의료밴드
KR20180040588A (ko) * 2015-08-12 2018-04-20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체의 제조장치
KR101947389B1 (ko) 2018-10-08 2019-02-13 김복선 하이드로 콜로이드 패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하이드로 콜로이드 패치
KR20190133420A (ko) * 2018-05-23 2019-12-03 주식회사 제이와이팜 원형 하이드로 콜로이드 패치가 낱개로 분리되는 스트립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358B1 (ko) 2012-06-12 2012-10-08 김연택 전사보호 필름을 구비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밴드
KR20150134030A (ko) * 2014-05-21 2015-12-01 박지혜 의료용 드레싱 밴드의 제조방법
KR20170000168A (ko) * 2015-06-23 2017-01-02 주식회사 누리메딕스 롤형 의료밴드
KR101624562B1 (ko) 2015-07-08 2016-05-26 김연택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조방법 및 그의 제품
KR20180040588A (ko) * 2015-08-12 2018-04-20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체의 제조장치
KR20190133420A (ko) * 2018-05-23 2019-12-03 주식회사 제이와이팜 원형 하이드로 콜로이드 패치가 낱개로 분리되는 스트립 및 그 제조방법
KR101947389B1 (ko) 2018-10-08 2019-02-13 김복선 하이드로 콜로이드 패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하이드로 콜로이드 패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43478B (zh) 条形泡棉模切件的生产工艺
JP3123753B2 (ja) ダイカットされたブランクからのスクラップのストリッピング装置
US20120285306A1 (en) Rotary die cutter insert
GB2075468A (en) Opening means for filled and sealed flexible pouches
KR102633360B1 (ko)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의 제조방법
US2997904A (en) Method of severing a continuous tube into can bodies
US3052146A (en) Slot perforating cutters
JP3447740B2 (ja) 膏薬テープ孔開け装置
JP2019034405A (ja) 被印刷物から材料片を打ち抜く回転式打抜き機
US6357346B1 (en) Meat skinning machine
JP3934806B2 (ja) ウエブ材の加工装置
US3686988A (en) Bag making machine
CN104441057B (zh) 一种自动排废的载板生产装置
US3630122A (en) Method and means for producing blanks
CN110355821A (zh) 一种用于矫正自动化排布产品的对贴刀印工艺
JP2003025287A (ja) 打ち抜き刃の構造および打ち抜き型
EP3455039B1 (en) Machine for cutting vegetables into lines
CN206104071U (zh) 碎纸机切纸刀片、刀片组及切刀装置
CN105966759B (zh) 一种屏蔽膜加工工艺和带把手屏蔽膜
JPH057944A (ja) 絞り加工方法
CN205630842U (zh) 一种模切结构
GB2185382A (en) Method and means of skinning meat
CN207441462U (zh) 一种自动包胶机
US10744723B2 (en) Method for producing sanitary cover for beverage can
JP2000166735A (ja) 紙製スプ―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