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843B1 - 박스형 멸균 포장지 - Google Patents

박스형 멸균 포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843B1
KR102632843B1 KR1020230151630A KR20230151630A KR102632843B1 KR 102632843 B1 KR102632843 B1 KR 102632843B1 KR 1020230151630 A KR1020230151630 A KR 1020230151630A KR 20230151630 A KR20230151630 A KR 20230151630A KR 102632843 B1 KR102632843 B1 KR 102632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ackaging
sterilized
packag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테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테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테리코
Priority to KR1020230151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843B1/ko
Priority to KR1020240013269A priority patent/KR102656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6Linings or internal coatings, e.g. pre-formed trays provided with a blow- or thermoformed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D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1/0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면체로 구성되어 상부에는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고, 내부에는 제품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박스 본체를 포함하는 멸균 포장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박스형 멸균 포장지{Box-type sterilized packaging paper}
본 발명은 의료용품이나 의료기기 등의 제품을 보호하고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박스 형태의 멸균 포장지에 관한 것으로, 최소한의 접합으로 넓은 적재 공간을 확보하고 밀폐함으로써 제품이 멸균 후에도 유효기간(Shelf life) 동안 무균 상태와 특성 또는 성능이 제조자가 설정한 한계 이내로 유지되는 안정성(Stability) 확보를 위한 박스형 멸균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의료용품, 음식물 등은 사용자에게 위생적인 상태로 제공됨과 동시에 그 보존기간을 늘리기 위하여 멸균 처리를 실시하고, 멸균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멸균 포장방법 및 포장용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기존 종래 기술의 멸균 포장지는 같은 크기의 합성수지 필름과 반투과성 종이를 맞대고 4개의 변을 열 접합하여 사용되는 파우치형 멸균 포장지와 제품형태로 금형을 본뜨고 열가소성 플라스틱 시트를 열 진공 성형하여 사용하는 블리스터 멸균 포장지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우선 파우치형 멸균 포장지의 경우 제품이 입체적으로 부피가 크고 무거운 제품을 담기에는 포장의 내구성이 약해 접합 부위가 박리되거나 손상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으며 해당 제품을 포장하기 위해서는 제품 부피 보다 더 큰 포장지가 필요하여 포장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며, 이마저도 대형 파우치는 취급하지 않는다.
블리스터 멸균 포장지 또한 멸균 파우치 포장보다는 무거운 제품에 적합하나 부피가 큰 제품에는 동일하게 포장함에 있어 비효율적이며 열 진공 성형이라는 복잡한 공정을 통해 생산되기 때문에 일반 포장비용에 비해 생산비용이 비싸고 과도한 포장으로 비용증대로 이어진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94632호
본 발명은 부피가 큰 의료기기나 반듯하게 세워서 멸균해야 하는 의약품을 담는 바이알병, 무거운 실험 용품 등에 대하여 내부 적재 공간이 협소 문제와 일정 무게 이상의 제품을 수용할 경우 접착면이나 포장지가 버티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며, 또한 파우치형 포장지는 큰 제품을 담고 사변을 접합하기 위해서는 제품보다 큰 멸균 포장지가 필요하며, 여러 제품을 일괄적으로 포장을 원하더라도 협소한 포장지 크기로 부득이하게 포장지가 과도하게 사용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적인 문제로 인한 포장 비용의 증가와 적합한 포장지의 부재를 해결하기 위한 박스 형태의 멸균 포장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품을 포장하는 멸균 포장지에 있어서,
육면체로 구성되어 상부에는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고, 내부에는 제품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박스 본체를 포함하는 멸균 포장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박스 본체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본체구역;
상기 본체구역 상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포장구역; 및
상기 포장구역 상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밀봉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포장구역은 접는선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구역은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본체는 포장구역의 접는선에 따라 접어지고, 밀봉구역의 접합부로 접합되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박스 본체는,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및 PS(Polystyren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필름; 및
상기 필름 상에 코팅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 필름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코팅층은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58-62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ABS 수지) 8-12 중량부, 우레탄계 첨가제 3-7 중량부, 탄산칼슘 8-12 중량부,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1-5 중량부,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1-5 중량부, 펜타에리스톨-트리스-(베타-(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1-5 중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개시제 0.8-1.2 중량부 및 2-(퍼플루오로부틸)에틸 트리에톡시실란(2-(perfluorobutyl)ethyl triethoxysilane)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 2-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 및 2-포스포노옥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phosphonooxy)ethyl methacrylate)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레탄계 첨가제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디메틸올프로피온산(dimethylol propionic acid), N-메틸피놀리돈(NMP) 용액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diisocyanate)를 혼합하여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고, N-메틸피놀리돈(NMP) 용액에 희석시킨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으로 상기 프리폴리머를 중화시키고, 상기 중화된 프리폴리머에 증류수를 투입하여 수분산시킨 후, 사슬 연장제로 에틸렌디아민(ethylene diamine)을 첨가하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에 에틸메타크릴레이트(ethylmetacrylate)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을 첨가한 후 교반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육면체로 구성되어 상부에는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고, 내부에는 제품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박스 본체를 포함하는 멸균 포장지;
상기 멸균 포장지를 수용하는 외부박스; 및
상기 외부박스를 수용하고, 손잡이가 형성된 견인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본체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본체구역;
상기 본체구역 상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포장구역; 및
상기 포장구역 상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밀봉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포장구역은 접는선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구역은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본체는 포장구역의 접는선에 따라 접어지고, 밀봉구역의 접합부로 접합되어 밀폐되고,
상기 박스 본체는,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및 PS(Polystyren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필름; 및
상기 필름 상에 코팅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 필름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코팅층은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58-62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ABS 수지) 8-12 중량부, 우레탄계 첨가제 3-7 중량부, 탄산칼슘 8-12 중량부,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1-5 중량부,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1-5 중량부, 펜타에리스톨-트리스-(베타-(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1-5 중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개시제 0.8-1.2 중량부 및 2-(퍼플루오로부틸)에틸 트리에톡시실란(2-(perfluorobutyl)ethyl triethoxysilane)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 2-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 및 2-포스포노옥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phosphonooxy)ethyl methacrylate)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레탄계 첨가제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디메틸올프로피온산(dimethylol propionic acid), N-메틸피놀리돈(NMP) 용액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diisocyanate)를 혼합하여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고, N-메틸피놀리돈(NMP) 용액에 희석시킨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으로 상기 프리폴리머를 중화시키고, 상기 중화된 프리폴리머에 증류수를 투입하여 수분산시킨 후, 사슬 연장제로 에틸렌디아민(ethylene diamine)을 첨가하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에 에틸메타크릴레이트(ethylmetacrylate)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을 첨가한 후 교반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포장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멸균 포장지는 박스 내측 크기에 맞게 육면체로 제작되어 불필요한 포장지 낭비가 없다. 또한, 개봉부를 통하여 제품을 적재하고 한번의 접합으로 밀폐가 가능하며, 박스와 겹쳐서 사용함으로써 넓은 적재공간과 내구성을 확보하여 부피가 크거나 무거운 제품 적재에도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 포장지와 외부박스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멸균 포장지와 외부박스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 포장지의 접는선을 이용하여 멸균 포장지의 상부를 접어 개방부를 밀폐하는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 포장지의 접는선을 이용하여 멸균 포장지의 상부를 접어 개방부를 완전히 밀폐하여 접합부가 접합된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 포장지의 접는선을 이용하여 멸균 포장지의 상부를 접어 개방부를 밀폐하되 바깥쪽으로 접합부를 접어 밀폐하는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균 포장지의 수용공간에 형성된 칸막이, 바닥 완충제, 측면 완충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 포장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 육면체의 박스 형태가 펼쳐진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박스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제품을 포장하는 멸균 포장지에 있어서,
육면체로 구성되어 상부에는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고, 내부에는 제품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박스 본체를 포함하는 멸균 포장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멸균 포장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 포장지와 외부박스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멸균 포장지와 외부박스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 포장지의 접는선을 이용하여 멸균 포장지의 상부를 접어 개방부를 밀폐하는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 포장지의 접는선을 이용하여 멸균 포장지의 상부를 접어 개방부를 완전히 밀폐하여 접합부가 접합된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 포장지의 접는선을 이용하여 멸균 포장지의 상부를 접어 개방부를 밀폐하되 바깥쪽으로 접합부를 접어 밀폐하는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균 포장지의 수용공간에 형성된 칸막이, 바닥 완충제, 측면 완충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멸균 포장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 육면체의 박스 형태가 펼쳐진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박스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멸균 포장지는 육면체로 구성되어 상부에는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고, 내부에는 제품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박스 본체(A1)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 본체(A1)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본체구역(G1); 상기 본체구역(G1) 상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포장구역(G2); 및 상기 포장구역(G2) 상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밀봉구역(G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스 본체(A1)는 박스 본체의 하부로부터 3등분하여 구역을 구분할 수 있고, 상기 본체구역(G1)은 바닥부를 포함하여 제품 수용공간을 확보하고 보관하는 위치이고, 상기 포장구역(G2)은 접는선(F1, F2)을 포함하여 제품을 수용시킨 후 멸균 포장지를 포장하여 밀폐시키기 위한 구역이고, 상기 밀봉구역(G3)은 접합부(S1)를 포함하여 접는선(F1, F2)을 이용하여 접은 후 접은 상태에서 접합되어 내부 수용공간을 완전히 밀폐할 수 있다.
상기 박스 본체(A1)는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및 PS(Polystyren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필름 또는 반투과성 종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반투과성 종이는 의료용 종이로서, HDPE 소재의 의료용 타이벡(MEDICAL TYVEK) 또는 펄프 재질의 의료용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투과성 종이는 멸균용 가스나 빔은 통과시키고 세균 등과 같은 미생물은 차단시키는 멸균용 윈도우(window)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균의 침투를 막는 필터링 역할을 수행하여, 멸균 후 유효기간 동안 균의 침투를 막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박스 본체(A1)는 복합 필름(200)으로 형성되되, 복합 필름(200) 일측면에 반투과성 종이(100)를 결합하여 우수한 시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박스 본체(A1)는 복합 필름(200)으로 형성된 제1 벽체면과 불투과성 종이(100)로 형성된 제2 벽체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필름(200)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및 PS(Polystyren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필름; 및 상기 필름 상에 코팅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은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58-62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ABS 수지) 8-12 중량부, 우레탄계 첨가제 3-7 중량부, 탄산칼슘 8-12 중량부,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1-5 중량부,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1-5 중량부, 펜타에리스톨-트리스-(베타-(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1-5 중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개시제 0.8-1.2 중량부 및 2-(퍼플루오로부틸)에틸 트리에톡시실란(2-(perfluorobutyl)ethyl triethoxysilane)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59-61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ABS 수지) 9-11 중량부, 우레탄계 첨가제 4-6 중량부, 탄산칼슘 9-11 중량부,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2-4 중량부,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2-4 중량부, 펜타에리스톨-트리스-(베타-(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2-4 중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개시제 0.9-1.1 중량부 및 2-(퍼플루오로부틸)에틸 트리에톡시실란(2-(perfluorobutyl)ethyl triethoxysilane)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 2-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 및 2-포스포노옥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phosphonooxy)ethyl methacrylate)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를 메인 수지로 적용하여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ABS 수지를 보조 수지로 적용하여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우레탄계 첨가제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디메틸올프로피온산(dimethylol propionic acid), N-메틸피놀리돈(NMP) 용액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diisocyanate)를 혼합하여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고, N-메틸피놀리돈(NMP) 용액에 희석시킨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으로 상기 프리폴리머를 중화시키고, 상기 중화된 프리폴리머에 증류수를 투입하여 수분산시킨 후, 사슬 연장제로 에틸렌디아민(ethylene diamine)을 첨가하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에 에틸메타크릴레이트(ethylmetacrylate)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을 첨가한 후 교반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우레탄계 첨가제를 적용하여 우수한 내구성과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하여 제품 보호에 도움을 준다.
상기 탄산칼슘은 충전재로 적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펜타에리스톨-트리스-(베타-(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및 2-(퍼플루오로부틸)에틸 트리에톡시실란(2-(perfluorobutyl)ethyl triethoxysilane)을 적용하여 필름과의 접착성을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멸균 포장지(A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렉서블 박스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멸균 포장지(A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멸균할 제품을 포장지의 수용공간에 넣고, 포장구역(G2)의 접는선(F1, F2)에 따라 접되, 안쪽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구역(G2)의 접는선(F1, F2)에 따라 접은 후 최종적으로 밀봉구역(G3)의 접합부(S1)를 이용하여 열접합함으로써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멸균 포장지(A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멸균할 제품을 포장지의 수용공간에 넣고, 포장구역(G2)의 접는선(F1, F2)에 따라 접되, 바깥쪽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멸균 포장지(A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멸균 포장지의 수용공간에 형성된 내측 칸막이(300), 바닥 완충제(400) 및 측면 완충제(500)를 포함할 수 있다. 무거운 제품, 부피가 큰 제품, 깨지기 쉬운 제품, 날카로운 의료기기, 의료 폐기물 등의 제품을 수용하고 제품 및 포장지 자체를 보호하기 위해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완충제는 종이, 플라스틱, 스폰지, 폼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멸균 포장지(A1)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멸균 포장지(A1)와 외부박스(B)를 결합한 후, 육면체의 박스 형태를 펼쳐 얇은 형태로 보관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휴대성을 극대화하고 필요한 경우 박스 형태로 접어서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육면체로 구성되어 상부에는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고, 내부에는 제품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박스 본체(A1)를 포함하는 멸균 포장지;
상기 멸균 포장지를 수용하는 외부박스(B); 및
상기 외부박스(B)를 수용하고, 손잡이가 형성된 견인박스(C);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본체(A1)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본체구역(G1);
상기 본체구역(G2) 상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포장구역(G2); 및
상기 포장구역(G3) 상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밀봉구역(G3);을 포함하고,
상기 포장구역(G2)은 접는선(F1, F2)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구역(G3)은 접합부(S1)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본체(A1)는 포장구역(G2)의 접는선(F1, F2)에 따라 접어지고, 밀봉구역(G3)의 접합부(S1)로 접합되어 밀폐되고,
상기 박스 본체(A1)는,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및 PS(Polystyren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필름; 및
상기 필름 상에 코팅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 필름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코팅층은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58-62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ABS 수지) 8-12 중량부, 우레탄계 첨가제 3-7 중량부, 탄산칼슘 8-12 중량부,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1-5 중량부,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1-5 중량부, 펜타에리스톨-트리스-(베타-(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1-5 중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개시제 0.8-1.2 중량부 및 2-(퍼플루오로부틸)에틸 트리에톡시실란(2-(perfluorobutyl)ethyl triethoxysilane)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 2-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 및 2-포스포노옥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phosphonooxy)ethyl methacrylate)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레탄계 첨가제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디메틸올프로피온산(dimethylol propionic acid), N-메틸피놀리돈(NMP) 용액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diisocyanate)를 혼합하여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고, N-메틸피놀리돈(NMP) 용액에 희석시킨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으로 상기 프리폴리머를 중화시키고, 상기 중화된 프리폴리머에 증류수를 투입하여 수분산시킨 후, 사슬 연장제로 에틸렌디아민(ethylene diamine)을 첨가하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에 에틸메타크릴레이트(ethylmetacrylate)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을 첨가한 후 교반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포장 세트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멸균 포장 세트는 박스 본체(A1)를 포함하는 멸균 포장지, 상기 멸균 포장지를 수용하는 외부박스(B) 및 상기 외부박스(B)를 수용하고, 손잡이가 형성된 견인박스(C)를 포함한다. 상기 견인박스는 손잡이(H1, H2)와 바닥면(H3)을 포함한다.
상기 견인박스는 플라스틱, 금속 등의 소재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멸균 포장지는 1차적으로 외부박스(B)에 포장되고, 2차적으로 견인박스(C)에 놓여 옮겨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멸균 포장용기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제품을 포장하는 멸균 포장지에 있어서,
    육면체로 구성되어 상부에는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고, 내부에는 제품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박스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본체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본체구역;
    상기 본체구역 상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포장구역; 및
    상기 포장구역 상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밀봉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포장구역은 접는선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구역은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 본체는 포장구역의 접는선에 따라 접어지고, 밀봉구역의 접합부로 접합되어 밀폐되고,
    상기 박스 본체는,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및 PS(Polystyren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필름; 및
    상기 필름 상에 코팅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 필름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코팅층은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58-62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ABS 수지) 8-12 중량부, 우레탄계 첨가제 3-7 중량부, 탄산칼슘 8-12 중량부,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1-5 중량부,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1-5 중량부, 펜타에리스톨-트리스-(베타-(N-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1-5 중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개시제 0.8-1.2 중량부 및 2-(퍼플루오로부틸)에틸 트리에톡시실란(2-(perfluorobutyl)ethyl triethoxysilane)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 2-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 및 2-포스포노옥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phosphonooxy)ethyl methacrylate) 단량체 단위 23-2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레탄계 첨가제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디메틸올프로피온산(dimethylol propionic acid), N-메틸피놀리돈(NMP) 용액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diisocyanate)를 혼합하여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고, N-메틸피놀리돈(NMP) 용액에 희석시킨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으로 상기 프리폴리머를 중화시키고, 상기 중화된 프리폴리머에 증류수를 투입하여 수분산시킨 후, 사슬 연장제로 에틸렌디아민(ethylene diamine)을 첨가하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고, 상기 폴리우레탄에 에틸메타크릴레이트(ethylmetacrylate)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을 첨가한 후 교반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포장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151630A 2023-11-06 2023-11-06 박스형 멸균 포장지 KR102632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1630A KR102632843B1 (ko) 2023-11-06 2023-11-06 박스형 멸균 포장지
KR1020240013269A KR102656093B1 (ko) 2023-11-06 2024-01-29 의료용품과 같은 제품을 보호하고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박스 형태의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1630A KR102632843B1 (ko) 2023-11-06 2023-11-06 박스형 멸균 포장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3269A Division KR102656093B1 (ko) 2023-11-06 2024-01-29 의료용품과 같은 제품을 보호하고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박스 형태의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843B1 true KR102632843B1 (ko) 2024-02-06

Family

ID=898581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1630A KR102632843B1 (ko) 2023-11-06 2023-11-06 박스형 멸균 포장지
KR1020240013269A KR102656093B1 (ko) 2023-11-06 2024-01-29 의료용품과 같은 제품을 보호하고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박스 형태의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세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3269A KR102656093B1 (ko) 2023-11-06 2024-01-29 의료용품과 같은 제품을 보호하고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박스 형태의 포장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328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6834A (ja) * 2006-04-07 2007-10-25 Hiroyasu Osada 内袋付きの包装容器
KR100794632B1 (ko) 2007-01-19 2008-01-14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멸균 포장용기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KR20090044971A (ko) * 2007-10-30 2009-05-07 (주)월드팬시 항균 및 방충 기능을 가지는 포장지 제조 방법 및 이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장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6834A (ja) * 2006-04-07 2007-10-25 Hiroyasu Osada 内袋付きの包装容器
KR100794632B1 (ko) 2007-01-19 2008-01-14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멸균 포장용기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KR20090044971A (ko) * 2007-10-30 2009-05-07 (주)월드팬시 항균 및 방충 기능을 가지는 포장지 제조 방법 및 이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장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093B1 (ko)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6730B2 (en) Packaging for medical containers
US5375698A (en) Prefilled, resealable contact lens container
CN107428422B (zh) 用于保持产品的框架、用于包装产品的包装组件以及包装产品的方法
US3954174A (en) Unitary two-compartment package for sterile surgical articles
US20160167859A1 (en) Multi-compartment package device
IL203205A (en) Cardboard packaging with inner layer container, prefabricated cardboard unit and manufacture and process for creating this kind of cardboard packaging
EP0119314B1 (en) A re-sealable dispenser-container
US7128208B2 (en) Package for sterile reamer
JP6712101B2 (ja) ウエットシート包装体
KR102632843B1 (ko) 박스형 멸균 포장지
US5323905A (en) Package for surgical instruments
CN217970953U (zh) 防感染处置筒膜和防感染处置筒膜卷
US20040178099A1 (en) Dental mirror scratch resistant sterilizing bag
JP2006290427A (ja) 収納箱、収納体
WO2020161987A1 (ja) 包装体
ES2324581B1 (es) Bolsa isotermica para alimentos.
US5012931A (en) Z-shaped dual-compartment resealable dispensing container
AU2016200855B2 (en) Packaging for disposable soft contact lenses
US20160221724A1 (en) Re-sealable barrier bag for fragranced articles
CN210521307U (zh) 一种便于分离及固定的换药盒
EP0420301B1 (en) A re-sealable dispenser-container
JP2012176803A (ja) 包装体
KR20190004496A (ko) 다중 구획 파우치
JP3015966U (ja) 食料品ケース
WO2002026590A1 (fr) Procede d'emballage avec rembourrage, corps d'emballage avec rembourrage et sac d'emballage avec rembour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