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636B1 - 감초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초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636B1
KR102632636B1 KR1020200187269A KR20200187269A KR102632636B1 KR 102632636 B1 KR102632636 B1 KR 102632636B1 KR 1020200187269 A KR1020200187269 A KR 1020200187269A KR 20200187269 A KR20200187269 A KR 20200187269A KR 102632636 B1 KR102632636 B1 KR 102632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orice
composition
acne
hot water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5599A (ko
Inventor
서정훈
차정단
고은실
조상민
정종훈
강제란
이솔
신동규
Original Assignee
제너럴바이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바이오(주) filed Critical 제너럴바이오(주)
Priority to KR1020200187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636B1/ko
Publication of KR20220095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초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LPS와 P. acnes lysates에 의해 염증 유발된 대식세포에서 NO와 PGE2 생성을 억제하고, iNOS 및 COX-2 단백질 발현이 억제한다. 상기 조성물은, 염증관련 사이토카인 TNF-α, IL-1β, 그리고 IL-6의 생성을 억제하며, 관련 발현 유전자들의 발현을 억제한다.

Description

감초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acne dermatitis comprising Glycyrrhiza uralensis leaf extract}
본 발명은 감초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증반응은 생체의 세포나 조직에 어떠한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자극이 가해질 때 생체를 보호하기 위한 방어 시스템이다. 정상적인 염증반응은 생체 방어기작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염증반응이 종결되지 않고 지속으로 진행되면 질병을 일으키게 된다.
염증성 질환의 대표적인 경우로 여드름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여드름은 피지의 과다 분비로 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지는 피지선에서 분비되는 물질로서 정상적인 양만큼 분비되면 피부 외부의 유해 물질이 각질 세포 사이를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하지만 사춘기, 월경 전후, 임신 초기나 피임약 복용, 스트레스 등의 환경하에서는 과다 분비되어 여드름의 원인균이 증식하기 용이한 상태가 되고 증식한 여드름균은 약해진 피부를 통해 화농성 염증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한 여드름은 증상에 따라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1단계는 과다 분비된 피지가 피지선 주변의 모공에 쌓이면서, 면포를 형성하게 되는 면포성 여드름인데, 이 단계에서는 잘 관리해주면 염증으로의 발전을 억제할 수도 있다. 2단계인 구진성 여드름 단계에서는 여드름균이 번식되어 붉은 여드름이 나타나는데, 이때 적절한 관리가 되지 않을 경우 피부에 흉터가 생길 수 있다. 3단계인 화농성 여드름 단계에서는 염증 반응이 더 심해지면서 내부에 고름 주머니(농포)가 생기는데 치료 후에도 흉터가 남게 될 수 있으므로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마지막 4단계 결절성 여드름은 고름 주머니가 피부 안에서 터져 여드름 환부 주변에 더 많은 염증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보다 전문적인 치료를 요하며 치료 시기도 장기화 될 수 있다.
일반적인 여드름 치료는 국소 제제 도포 요법 및 경구 약물 복용 요법과 최근 시행되고 있는 레이저 시술, 박피술 등 수술 요법 등이 있다. 국소 제제 도포 요법은 여드름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 작용 목적으로 아젤라익 애씨드(azelaic acid), 살리실산 등의 항균제를 사용하거나 면포 용해 작용을 위해 벤조일퍼록사이드(benzoyl peroxide) 등을 외용 연고 타입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연고 타입으로로 가장 많이 상용화되고 있는 것은 스테로이드 제제이다. 그러나 스테로이드 제제는 장기적 사용 시 부신억제, 체액의 저류와 같은 부작용을 수반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염증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 및 천연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출원인은 천연물질인 감초잎을 활용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는바 이에 대한 선행기술문헌은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27653 "감초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는 만주감초(Glycyrrhiza uralensis)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만주감초 분획물은 만주감초를 70 중량%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으로 분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감초의 뿌리(감초의 약용부위이므로 일반적으로 감초라고 하면 이 부분을 의미함)를 에탄올로 추출한 후 다시 디클로로메탄으로 분획한 분획물을 이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17565 "감초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청구범위에는 감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흉터 억제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고, 상세한 설명에는 감초 뿌리를 잘 씻어 에탄올에 담가 추출한 후 여과 감압 농축한 농축된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이용하여 에틸아세테이트에 녹는 분획을 재추출하며, 다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레진 컬럼을 사용해 분리한 뒤, 여과, 농축, 건조하여 감초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들은 감초의 뿌리를 에탄올 추출 후 분획하는 방식으로 감초 추출물을 이용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감초잎을 이용하여 여드름성 피부염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고, 특히 감초잎을 이용하면서 분획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업적인 효과가 큰 바, 상기 문헌들과는 상이하다고 하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27653 (2019.09.25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17565 (2011.02.22 공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수단은, 감초(Glycyrrhizae uralensis)의 잎을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이다.
상기 추출물은, 열수 또는 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물은 RAW 264.7 대식세포 2.0 X 105 cells/㎖ 기준으로 100~200 μg/ml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과제의 해결수단은, 감초(Glycyrrhizae uralensis)의 잎을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피부 외용제이다.
과제의 해결수단은, 감초(Glycyrrhizae uralensis)의 잎을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여드름성 피부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여드름균인 P. acnes(Propionibacterium acnes) 로 인한 여드름성 피부염에 대한 억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상기 조성물은, LPS와 P. acnes lysates에 의해 염증 유발된 대식세포에서 NO와 PGE2 생성을 억제하고, iNOS 및 COX-2 단백질 발현이 억제한다.
상기 조성물은, 염증관련 사이토카인 TNF-α, IL-1β, 그리고 IL-6의 생성을 억제하며, 관련 발현 유전자들의 발현을 억제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실험결과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험예 및 실시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 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예와 청구항에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기술적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 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감초(Glycyrrhizae Radix, Licorice, Glycrrhiza)는 학명(scientific name)이 Glycyrrhizae uralensis Fisch Et, D.C로 알려져 있고, 콩과(Leguminosae)류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Glycyrrhizae uralensis Fisch., Glycyrrhizae inlata Bat., Glycyrrhizae glabra L. 등이 있다.
감초의 주요 활성 성분으로는 glycyrrhizin을 대표적 성분으로 하는 triterpenoid계 saponin과 saponin이 가수분해에 의해 생기는 glabric acid, gabrolide 등의 saponin이 있으며, flavonoid류로서 flavonoid배당체인 liquiritin, 이에 대응하는 chalcone배당체인 isoliquiritin 및 그 aglycone체들이 있다.
flavon류로서 licoflavone, isoflavon류로서 licoricone, isoflavan류로서 licoricidin, coumestan류로서 glycyrol, isoglycyrol등과 이외에 coumarin, 계피산유도체, 아미노산, 당류 등이 보고되어 있다.
실험예 1. 감초잎 추출물의 여드름성 피부염 개선 실험
[세포독성]
본 발명에서는 96 well 기준으로 RAW 264.7 대식세포 2.0 x 105 cells/㎖에 분주배양 하였다. 분주 배양하고, 24시간 뒤에 LPS (0.5 μg/mL)와 P. acnes lysates (1 μg/mL)와 각 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MTT용액을 첨가하고 다시 3-4시간 배양한 후 formazan 생성물은 DMSO로 용해했다. Formazan 용해액을 96-well plate에 loading한 후,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40 nm에 흡수되는 양을 측정하였다. 세포의 생존율은 어떠한 처리도 가하지 않은 naive cell (나이브 만능성 줄기세포)과의 비율로 나타내었다.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감초잎 열수추출물에서 1.6mg/ml농도에서부터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 참조)
[NO 생성 억제]
LPS와 P. acnes lysate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 억제에 대한 각 조성물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ELISA 분석을 수행하였다. RAW 264.7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2.0 x 105 cells/ml로 조절한 후 24 well plate에 분주 배양하고, LPS 또는 P. acnes lysates를 처리한 후 각 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에서 NO를 측정하기 위해 Griess 시약[1% (w/v) sulfanilamide, 0.1% (w/v) naphylethyleneduamine in 2.5% (v/v) phosphoric acid]를 사용하여 배양액에 녹아있는 NO2 -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세포배양액 100 uL와 Griess시약 100 uL를 혼합하여 96 well plate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iNOS에 의해 생성된 NO는 박테리아를 죽이거나 종양을 제거하고, 혈압을 조절하거나 신경 전달을 매개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과도하게 생성된 NO는 염증을 유발시켜 조직의 손상, 유전자 변이, 신경 손상 등을 유발하고,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켜 부종 등의 염증반응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 매개체의 생성을 촉진하여 염증을 악화한다. 또 다른 염증인자인 PGE2는 통증과 발열에 주로 관여하는 염증 매개체로서 염증반응과 면역반응에 관여하며, 혈관신생 (angiogene sis)을 촉진하는 등 암 발생에도 관여하고 있다. 이러한 역할을 가진 PGE2는 염증반응이 시작되면서 생성되는 COX-2에 의해 발현된다.
Nitric oxide 생성을 확인한 결과, 감초잎 열수추출물에서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100μg/mL농도에서부터 30%이상 감소하는것을 확인하였다. (도 2 참조)
[PGE2 생성 억제]
RAW 264.7 세포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2.0 x 105 cells/mL로 조절한 후 24 well plate에 접종하고, 5% CO2 항온기에서 18시간 전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각 조성물을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처리한 후, 그람-음성 박테리아 내독소인 LPS 또는 P. acnes lysates로 RAW 264.7 대식세포를 자극한 후 세포부유액을 원심분리하여 세포들을 침전시켜 상층액을 수집하고, 상층액내 PGE2 생성량을 EIA kit (R&D Systems Inc., Minneapolis,MN, USA)를 이용하여 사용자 매뉴얼에 기재된 방법대로 정량해 분석하였다.
Prostaglandin E2 (PGE2)생성을 확인한 결과, 감초잎 열수추출물에서 농도의존적으로 PGE2 생성이 억제되는것을 확인하였으며, 100μg/mL 농도에서부터 35%이상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참조)
[TNF-α생성 억제]
Cell culture시 나온 상등액을 사용하며 TNF-α, IL-1β 및 IL-6 검출시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검출시약의 capture antibody를 96 well 플레이트에 50 μl씩 넣은 후 다음날까지 4℃에 보관하였다. 각 well을 wash buffer (1x PBS + 0.05% tween-20)을 이용하여 세척 후 assay buffer (100μL) 처리하고 인큐베이터에 1시간 보관하였다. 이후에 다시 세척세포의 상등액과 standard solution (50μL/well)를 플레이트에 넣은 뒤 인큐베이터에 2시간 동안 보관 후 세척하였다. 그 후 antibody 와 enzyme ragent를 섞은 후 50 μL/well 인큐베이터에 1시간 보관하고 마지막 세척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TMB substrate reagen tset 50 μl/well 넣고, 어두운 곳에 30분 동안 차광한 뒤 stop buffer (0.5M H2SO4)을 50 μl/well 주입하고, 플레이트를 450 nm파장에서 측정하였다.
여드름 원인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 (P.acnes)에서 분리한 독성물질을 대식세포 RAW264.7에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시킨 후 감초잎 열수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사이토카인 TNF-α생성을 확인한 결과, 12시간 처리시 농도의존적으로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4 참조)
[IL-6 생성 억제]
여드름 원인균인 P.acnes에서 분리한 독성물질을 대식세포 RAW264.7에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시킨 후 감초잎 열수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사이토카인 IL-6 생성을 확인한 결과, 12시간 처리시 농도의존적으로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 참조)
[IL-1β 생성 억제]
여드름 원인균인 P.acnes에서 분리한 독성물질을 대식세포 RAW264.7에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시킨 후 감초잎 열수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사이토카인 IL-1β생성을 확인한 결과, 12시간 처리시 농도의존적으로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참조)
[COX-2 및 iNOS 발현 억제]
100 mm dish에 2 X 106 cells/well 배양하고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감초 열수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1시간 전처리한 후 P. acnes lysates (1 μg/mL)를 사용하여 염증을 유발시킨다. 각 처리군 별로 cell을 모은 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세포만 모으고, lysis buffer (50 mM Tris-HCl(PH 7.4),150 mM NaCl,5 mM EDTA, 0.1% TritonX-100, protease 및 phosphatase inhibitor cocktail)를 이용하여 단백질만 취하였다. 단백질은 BCA protein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샘플의 단백질양을 20 μg로 정하였고 그 뒤, 10% sodium dodecylsulphate (SDS) polyacrylamide gels을 이용하여 전기연동기기를 통하여 내린 뒤 poly vibylidene fluoride membrane (PVDF; Biorad)에 electrophoretically transfer 기기를 사용하여 단백질을 이전시켰다. 그런 다음, membrane에 5% skim milk 용액을 사용하여 블로킹시키고 antibodies against COX-2와 iNOS (Cell Signaling Technology, USA)의 각각 보고자 하는 항체를 사용하였다.
1차 항체를 처리하여 4℃에서 overnight 한 후 TBST (TBS에 0.05 % tween-20가 들어있는 용액)를 사용하여 세척하였다. 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의 2차 항체에 1시간 붙인 뒤, 다시 TBST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마지막으로 chemiluminescence방식을 이용하여 단백질 밴드를 확인하였다.
염증 관련 인자인 PGE2와 NO 생성에 관여하는 COX-2와 iNOS의 효소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들 효소의 세포 내 발현을 측정하였다. RAW 264.7 macrophage cell에 조성물을 농도별로 1시간 전처리한 후 P. acnes lysates를 처리한 후, 세포 내 단백질을 분리를 하여 웨스턴 블롯 분석 방법을 통하여 이들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이들 효소 단백질 발현은 densitometry assay를 통하여 그래프로 정량화하였다.
여드름 원인균인 P.acnes에서 분리한 독성물질을 대식세포 RAW264.7에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시킨 후 감초잎 열수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염증관련 단백질 발현을 확인한 결과, COX-2 단백질 발현은 200μg/mL농도에서 억제되었으며, iNOS 단백질 발현은 25μg/mL 농도부터 농도의존적으로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참조)
[iNOS 유전자 발현 억제]
세포를 획득한 후, Easy Blue (intron biotechnology, USA)용액을 1 ml 넣어서 세포를 용해시킨 후 100 ㎕의 chloroform 용액을 가하고 잘 섞어준 뒤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한다. 그 후 2-propanol과 섞은 뒤 원심 분리하여 위에 상층액은 버리고 남은 침전물에 80% ethanol로 2회 씻고 침전물을 건조시켰다. 그리고 침전물에 DEPC 처리한 증류수를 넣어 RNA를 용해시키고 정량하였다.
RNA의 발현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정량 중합 효소 반응을 측정하였다. 합성된 cDNA 1 ㎕, Real time PCR master mix 4 ㎕ (ABI), primer 및 probe를 넣고 PCR 조건으로 반응 시켰다. PCR 조건은 92℃에서 30초, 58℃에서 45초, 그 후에 72℃에서 30초를 35 cycle로 하였다. 정량 중합 효소 반응에 쓰인 customtaqmanprobe(Cat.#4331182) 및 TaqMan master mix는 ABI (CA, USA)에서 구입하였다.
여드름 원인균인 P.acnes에서 분리한 독성물질을 대식세포 RAW264.7에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시킨 후 감초잎 열수추출물 (GULD)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iNOS 유전자발현을 확인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발현이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8 참조)
[COX-2 유전자 발현 억제]
여드름 원인균인 P.acnes에서 분리한 독성물질을 대식세포 RAW264.7에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시킨 후 감초잎 열수추출물 (GULD)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COX-2 유전자발현을 확인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발현이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9 참조)
[TNF-α 유전자 발현 억제]
여드름 원인균인 P.acnes에서 분리한 독성물질을 대식세포 RAW264.7에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시킨 후 감초잎 열수추출물 (GULD)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TNF-α 유전자발현을 확인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발현이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10 참조)
[IL-1β 유전자 발현 억제]
여드름 원인균인 P.acnes에서 분리한 독성물질을 대식세포 RAW264.7에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시킨 후 감초잎 열수추출물 (GULD)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IL-1β 유전자발현을 확인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발현이 강하게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11 참조)
실시예 1. 감초잎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감초잎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감초 열수추출물은 RAW 264.7 대식세포 2.0 X 10 5 cells/㎖ 기준으로 100~200 μg/ml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 감초잎 열수추출물 대신에 감초잎을 주정으로 추출한 감초잎 주정 추출물이 이용되거나, 감초잎 열수추출물과 감초잎 주정추출물이 복합적으로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감초잎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을 추가하여 약제학적 단위 투여형으로 제형화 된 면역증강 및 항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담체, 부형제, 희석제로는 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투여 형태는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을 제제화 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 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투여 형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은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 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 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연령, 성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0.001 내지 3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고,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식품 보조 첨가제를 추가하여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는 미백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유효성분의 양은 전체 식품 또는 음료 중량의 0.01 내지 20 중량%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의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에 향미제로써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도 제공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험예,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Claims (5)

  1. 감초(Glycyrrhizae uralensis)의 잎을 열수 추출한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열수 추출물은 100~200 μg/m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에 감초의 잎을 주정으로 추출한 주정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삭제
  4. 감초(Glycyrrhizae uralensis)의 잎을 열수 추출한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열수 추출물은 100~200 μg/m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피부 외용제.
  5. 감초(Glycyrrhizae uralensis)의 잎을 열수 추출한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열수 추출물은 100~200 μg/m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187269A 2020-12-30 2020-12-30 감초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632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269A KR102632636B1 (ko) 2020-12-30 2020-12-30 감초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269A KR102632636B1 (ko) 2020-12-30 2020-12-30 감초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599A KR20220095599A (ko) 2022-07-07
KR102632636B1 true KR102632636B1 (ko) 2024-02-02

Family

ID=8239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269A KR102632636B1 (ko) 2020-12-30 2020-12-30 감초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6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498A (ja) * 1998-12-24 2000-07-11 Maruzen Pharmaceut Co Ltd コラ―ゲン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565A (ko) 2009-08-14 2011-02-22 (주)아모레퍼시픽 감초 추출물 함유 조성물
KR102027653B1 (ko) * 2017-11-16 2019-11-0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초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498A (ja) * 1998-12-24 2000-07-11 Maruzen Pharmaceut Co Ltd コラ―ゲン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 S. Kim et al., Asian J Beauty Cosmetol 2017, 15, 11-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599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595B1 (ko)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143707A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파킨슨 질환 또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6943B1 (ko)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 또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64651B1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30064882A (ko) 한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2636B1 (ko) 감초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032110B1 (ko) 인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58283B1 (ko)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2347B1 (ko) 가지 발효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장벽 기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272425B1 (ko) 사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쇼그렌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8665B1 (ko) 산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WO2013115534A1 (ko)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31432B1 (ko)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아세틸시코닌을 포함하는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547554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해동피, 갈화, 옻나무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US10406187B2 (en) Method for treating neuroinflammation with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Portulaca grandiflora hook.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KR102227261B1 (ko) 고욤 효소처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22661B1 (ko) 발효감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조성물
KR20200020405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373173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585779B1 (ko) 울금 및 홍화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 및 항염증 조성물
KR102588131B1 (ko) 쑥 및 삼백초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8130B1 (ko) 쑥 및 삼백초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염증성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68561B1 (ko) 퇴행성 뇌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계지, 지모 및 양강의 생약 혼합 추출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