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416B1 -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416B1
KR102632416B1 KR1020220182406A KR20220182406A KR102632416B1 KR 102632416 B1 KR102632416 B1 KR 102632416B1 KR 1020220182406 A KR1020220182406 A KR 1020220182406A KR 20220182406 A KR20220182406 A KR 20220182406A KR 102632416 B1 KR102632416 B1 KR 102632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icrophone array
mechanical parking
parking facility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희
Original Assignee
오텍오티스파킹시스템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텍오티스파킹시스템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오텍오티스파킹시스템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20182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주차설비 관리장치는 승입된 자동차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동하여 다층 형성된 주차공간으로 주차되는 기계식주차설비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주차설비에 설치되며 소리를 인식하는 음성수집센서를 구비한 다수의 마이크어레이(100); 및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로부터 출력된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음성제어처리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제어처리부(200)는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가 설치된 각 위치와 가장 인접한 각 조명을 대응시키고,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 중 음성정보가 발생한 위치와 가장 인접한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장치{MECHANICAL PARKING EQUIPMENT MANAGEMENT APPARATUS USING MICROPHONE ARRAY}
본 발명은 기계식 주차설비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감지하는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다양한 방식의 기계식 주차설비의 전체개념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최근 도심지 등의 효율적인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하 또는 지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자동차가 다층 구조로 형성된 주차공간에 주차되는 다양한 기계식 주차설비(10)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층 구조의 주차공간이 마련된 기계식 주차설비(10)는 자동차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이 배치되고, 배치된 동력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아래에서 받치며 이동하는 승하강리프트가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등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충돌 사고 발생 등의 위험이 상당하며, 내부 조명 등이 어두워서 관리인력이 접근하는 것이 쉽지 않아 주차설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인식하기가 어렵고 또한 문제가 인식되더라도 그에 따른 문제해결이 쉽지 않아, 다층 구조로 형성된 복잡하고 다양한 기계식 주차설비에 대한 효율적인 설비 관리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다층 형성된 주차공간을 갖는 기계식 주차설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기계식 주차설비에 발생되는 소리를 인식할 수 있는 다수의 마이크어레이를 설치하고, 다수의 마이크어레이로부터 수집된 음성정보를 이용하여 인접한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주차된 자동차의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하거나, 승하강리프트 또는 동력수단의 이상징후를 확인할 수 있는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승입된 자동차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동하여 다층 형성된 주차공간으로 주차되는 기계식주차설비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주차설비에 설치되며 소리를 인식하는 음성수집센서를 구비한 다수의 마이크어레이(100); 및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로부터 출력된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음성제어처리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제어처리부(200)는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가 설치된 각 위치와 가장 인접한 각 조명을 대응시키고,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 중 음성정보가 발생한 위치와 가장 인접한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주차설비 관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100)는, 상기 기계식주차설비로 승입된 자동차가 정지하는 승입공간에 설치된 제1 마이크어레이(110); 상기 기계식주차설비의 각 주차공간마다 설치된 제2 마이크어레이(120); 상기 기계식주차설비의 자동차 수직 또는 수평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에 설치된 제3 마이크어레이(130); 및 상기 기계식주차설비의 자동차 수직이동 시 자동차를 지지하는 승하강리프트에 설치되는 제4 마이크어레이(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주차설비 관리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마이크어레이는 승입된 자동차의 둘레를 따라 삼각형태로 위치한 3개 이상의 음성수집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음성제어처리부는 상기 제1 마이크어레이의 각 음성수집센서로부터 승입된 자동차의 둘레 위치에서의 구분된 각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주차설비 관리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음성제어처리부는 상기 제1 마이크어레이로부터 상기 승입된 자동차의 둘레 위치에서의 구분된 각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자동차 차종, 운전자와 동승자의 숫자, 자동차 기준 음성발생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주차설비 관리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음성제어처리부는 상기 제2 마이크어레이로부터 각 주차공간에 주차된 자동차로부터 발생되는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각 주차공간에 주차된 자동차의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주차설비 관리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음성제어처리부는 상기 제3 마이크어레이로부터 상기 동력수단에서 발생하는 음성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동력수단의 이상징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주차설비 관리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 장치는 다수의 마이크어레이로부터 수집된 음성정보를 활용함으로써, 기계식 주차설비 내에 사람이 진입하여 작업하여 소리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작업 위치에서 인접한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작업 안정성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정 소리가 발생한 곳의 조명을 밝혀 해당 소리의 발생원인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주차된 자동차의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하여 화재발생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승하강리프트나 동력수단에서의 이상징후를 확인하여 미리 선제적으로 유지관리 조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계식 주차설비 내에서 음성이 발생한 위치를 일정 오차 범위 내에서 확인할 수 있어 기계식 주차설비 전체가 아닌 특정 제한된 위치 내에서 문제 확인을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계식 주차설비의 개념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장치에서 승입공간에 설치된 제1 마이크어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장치에서 삼각형태에 위치한 음성수집센서를 통한 음성발생 위치정보 확인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다양한 방식의 기계식 주차설비의 전체개념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장치는 승입된 자동차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동하여 다층 형성된 주차공간으로 주차되는 기계식주차설비(10)에 구비되어 작동하는 것으로, 다수의 마이크어레이(100) 및 음성제어처리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100)는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10)에 설치되며 소리를 인식하는 다수의 음성수집센서(111~114,...)를 구비한다. 상기 음성수집센서는 주변 소정의 반경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음성에 반응하여 그에 따른 출력을 제공하는 다양한 센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성수집센서는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10) 내 용도와 목적에 따라 여러 군데에 다수가 분산 배치될 수 있으며, 특정 위치나 공간에 수정의 음성수집센서들을 모아 그룹을 형성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음성수집센서가 상기 기계식주차설비 내에 배치된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는 중요한데, 해당 위치정보가 상기 음성수집센서에서 수집된 음성정보를 해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성제어처리부(200)는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100)로부터 출력된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각 음성정보를 분석하여 다양한 기능적인 제어 처리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음성제어처리부(200)는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100)가 설치된 각 위치와 가장 인접한 각 조명을 대응시키고,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 중 음성정보가 발생한 위치와 가장 인접한 조명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식주차설비(10) 내부에는 다수의 조명들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10) 내부의 문제상황이나 통상적인 상황을 육안 등으로 확인하기 위해서 조명들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10) 내부에 배치된 조명들의 각 위치정보를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를 구성하는 음성수집센서의 위치정보와 결합하여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데,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를 구성하는 세부적인 음성수집센서의 각 위치마다 그에서 가장 인접하거나 어느 정도 인접한 위치에 있는 조명이 대응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특정 위치에 배치된 음성수집센서에서 음성정보가 발생하는 경우, 그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조명의 밝기를 높이거나 낮추거나 온/오프하는 등 즉각적으로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 내에서 발생한 문제해결을 위하여 작업자가 특정 구역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해당 작업자가 발생한 음성정보를 해당 특정 구역에 배치된 음성수집센서로 수집되게 되고, 그에 따라 해당 음성수집센서와 인접한 조명의 밝기를 높여 해당 작업자가 보다 밝은 환경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대로 특정 구역에서 배치된 음성수집센서에서 아무런 음성정보가 수집되지 않는 경우에는 인접한 조명을 완전히 오프하여 제거하거나 조명의 밝기를 낮춰 전기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보다 구체적인 다른 실시예들로서,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100)는 상기 기계식주차설비(10)로 승입된 자동차가 정지하는 승입공간(50)에 배치된 제1 마이크어레이(110), 또는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10)의 각 주차공간마다 배치된 제2 마이크어레이(120), 또는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10)의 자동차 수직 또는 수평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에 배치된 제3 마이크어레이(130), 또는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10)의 자동차 수직이동 시 자동차를 지지하는 승하강리프트에 배치되는 제4 마이크어레이(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마이크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장치에서 승입공간에 설치된 제1 마이크어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마이크어레이(110)는 상기 기계식주차설비로 주차를 위해 승입된 자동차가 정지하는 승입공간(50)에 설치는데, 상기 승입된 자동차를 기준으로 그 둘레를 따라 삼각형태로 위치한 3개 이상의 음성수집센서(111, 112, 113, 또는 111, 113, 114 또는 111 ~ 11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승입공간(50)는 상기 기계식주차설비(10) 내에서도 안전이 매우 요구되는 공간으로 승입된 자동차로부터 운전자가 내려서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일 뿐만 아니라, 관리자가 상기 기계식주차설비 내의 유지 관리 등을 위해서 머무는 공간이므로, 상기 승입공간(50)에서 발생한 음성정보는 안전에 매우 민감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삼각형태로 3개 이상의 음성수집센서가 설치되는 이유는 삼각형태로 배치된 3개 이상의 음성수집센서로부터 수집된 음성정보의 강도 등을 분석하는 경우 상기 승입공간(50)을 기준으로 음성정보의 발생위치(예를들어, 승인공간을 기준으로 우측 코너 부분에서 음성정보가 발생했다든지 등)를 일정 오차범위 내에서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기도 하며, 나아가 상기 승입된 자동차를 기준으로 음성정보의 발생위치(예를들어, 승입된 자동차를 기준으로, 자동차의 좌측 앞문에서 음성정보가 발생했다든지 등)를 일정 오차범위 내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참고로 상기 승입된 자동차는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의 승입공간 내로 승입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수단(예. 자동차 바퀴의 진행가이드 레인, 추가 전진방지 스톱퍼 등)으로 이미 승입공간 내의 정해진 위치에 정차하게 되므로, 해당 승입된 자동차와 상기 3개 이상의 음성수집센서의 위치 및 상호 간의 거리 등은 이미 결정되어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장치에서 삼각형태에 위치한 음성수집센서를 통한 음성발생 위치정보 확인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와 같은 음성정보의 발생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가장 간단하게는 삼각형태로 배치된 3개 이상의 음성수집센서에서 동일한 음성정보가 수집되었을 때 가장 큰 강도로 음성이 수집된 음성수집센서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여 확인하는 것이다.
보다 복잡하게는, 도4를 참조하면, 삼각형태로 3개 이상의 음성수집센서(111, 112, 113)로부터 수집된 음성정보의 강도와 시차 등을 분석하는 경우 상기 승입공간(50)을 기준으로 음성정보의 발생위치로부터 각 음성수집센서와의 거리(d1, d2, d3)를 파악할 수 있고, 각 음성수집센서와의 거리(d1, d2, d3)를 이용하여 각 음성수집센서를 기준으로 가상의 동심원을 각각 그리는 경우, 각 음성수집센서의 가상 동심원이 만나서 형성되는 공간 내의 위치가 해당 음성정보의 발생위치로 추정할 수 있어 일정 오차범위 내에서 보다 정확한 음성정보의 발생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1 마이크어레이(110)의 각 음성수집센서(111~114)로부터 각각이 배치된 승입된 자동차의 둘레 위치에서의 각 음성수집센서에서 수집되어 구분된 각 음성정보를 상기 음성제어처리부(200)이 입력받아 처리할 수 있고, 그러한 처리로부터 승입공간(50) 내에서의 음성발생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승입된 자동차를 기준으로 음성발생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성제어처리부(200)는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100)에 구비된 음성수집센서들 중에서 서로 인접하여 삼각형 형태에 위치한 3개 이상의 음성수집센서들을 이용하여 음성이 발생한 위치를 일정 오차범위 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원리는 상기 제1 마이크어레이(110)의 상기 승입공간(50)에서 동작한 3개 이상의 음성수집센서들의 작동과 동일하며, 단지 상기 승입공간(50)을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의 전체공간으로 확장한 것에 불과하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음성제어처리부(200)는 상기 제1 마이크어레이로(110)부터 상기 승입된 자동차의 둘레 위치에서의 구분된 각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자동차 차종, 운전자와 동승자의 숫자, 자동차 기준 음성발생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상기 제1 마이크어레이는 상기 승입된 자동차의 둘레를 따라 삼각형태로 위치한 3개 이상의 음성수집센서로부터 수집된 음성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상기 승입된 자동차의 위치를 기준으로 음성이 발생한 위치를 오차범위 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마이크어레이가 배치된 승입공간(50)에서 승입된 자동차로부터 발생하는 음성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승입된 자동차가 적어도 소음이 거의 없는 전기자동차인지 등의 자동차 차종을 확인할 수 있으며, 때로는 자동차 엔진 소리를 구분하여 휘발유 차종인지 경유 차종인지 등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마이크어레이로부터 상기 승입된 자동차를 기준으로 각 위치별로 발생하는 사람 음성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운전자와 동승자의 숫자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마이크어레이(120)는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10)의 각 주차공간마다 배치되는데, 상기 음성제어처리부(200)는 상기 제2 마이크어레이(120)로부터 각 주차공간에 주차된 자동차로부터 발생되는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각 주차공간에 주차된 자동차의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이크어레이(120)는 주차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재발생이 시작될 확률이 가장 높은 주차된 자동차의 하부에 가장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마이크어레이(120)의 음성수집센서는 주차된 자동차로부터 화재발생 시에 발생하는 음성정보를 수집하여 주차된 자동차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발생한 자동차의 주차위치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화재진압을 위한 처리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 마이크어레이(130)는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10)의 자동차 수직 또는 수평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에 배치되는데, 상기 음성제어처리부(200)는 상기 제3 마이크어레이(130)로부터 상기 동력수단에서 발생하는 음성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동력수단의 이상징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3 마이크어레이는 상기 기계식주차설비에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예를들어 실린더, 유압기, 모터 등)에 배치되어 동력수단에서 발생하는 음성정보를 수집하고, 평상시와 다른 특이한 음성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해당 동력수단에 이상징후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하여 해당 동력수단에 대한 신속한 점검 등 유지관리 처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4 마이크어레이(140)는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10)의 자동차 수직이동 시 자동차를 지지하는 승하강리프트에 배치되는데, 상기 음성제어처리부(200)는 상기 제4 마이크어레이(140)로부터 상기 승하강리프트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성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승하강리프트의 이상징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4 마이크어레이는 상기 기계식주차설비에서 자동차를 수직으로 이송하기 위해 자동차를 지지하여 움직이는 상기 승하강리프트에 배치되는데, 상기 승하강리프트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성정보를 수집하고, 평상시와 다른 특이한 음성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상기 승하강리프트에 이상징후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하여 상기 승하강리프트에 대한 신속한 점검 등 유지관리 처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 장치는 다수의 마이크어레이로부터 수집된 음성정보를 활용함으로써, 기계식 주차설비 내에 사람이 진입하여 작업하여 소리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작업 위치에서 인접한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작업 안정성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정 소리가 발생한 곳의 조명을 밝혀 해당 소리의 발생원인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주차된 자동차의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하여 화재발생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승하강리프트나 동력수단에서의 이상징후를 확인하여 미리 선제적으로 유지관리 조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계식 주차설비 내에서 음성이 발생한 위치를 일정 오차 범위 내에서 확인할 수 있어 기계식 주차설비 전체가 아닌 특정 제한된 위치 내에서 문제 확인을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도 있다.
10: 기계식 주차설비 50: 승입공간
100: 다수의 마이크어레이 200: 음성제어처리부
110, 120, 130, 140: 제1 내지 4 마이크어레이
111 ~ 114 : 음성수집센서

Claims (7)

  1. 승입된 자동차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동하여 다층 형성된 주차공간으로 주차되는 기계식주차설비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계식주차설비에 설치되며 소리를 인식하는 음성수집센서를 구비한 다수의 마이크어레이(100); 및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로부터 출력된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음성제어처리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제어처리부(200)는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가 설치된 각 위치와 가장 인접한 각 조명을 대응시키고,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 중 음성정보가 발생한 위치와 가장 인접한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100)는,
    상기 기계식주차설비로 승입된 자동차가 정지하는 승입공간에 상기 승입된 자동차의 둘레를 따라 삼각형태로 위치하 3개 이상의 음성수집센서를 설치한 제1 마이크어레이(110);
    상기 기계식주차설비의 각 주차공간마다 설치된 제2 마이크어레이(120);
    상기 기계식주차설비의 자동차 수직 또는 수평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에 설치된 제3 마이크어레이(130); 및
    상기 기계식주차설비의 자동차 수직이동 시 자동차를 지지하는 승하강리프트에 설치되는 제4 마이크어레이(140)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제어처리부(200)는,
    상기 다수의 마이크어레이(100)로부터의 음성정보에 따라 자동차 차종, 운전자와 동승자의 숫자, 자동차 기준 음성발생 위치를 확인하거나, 자동차의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하거나, 동력수단의 이상징후를 확인하거나, 승하강리프트의 이상징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주차설비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제어처리부(200)는 상기 제1 마이크어레이의 각 음성수집센서로부터 승입된 자동차의 둘레 위치에서의 구분된 각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하되, 상기 구분된 각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자동차 차종, 운전자와 동승자의 숫자, 자동차 기준 음성발생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주차설비 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제어처리부(200)는 상기 제2 마이크어레이로부터 각 주차공간에 주차된 자동차로부터 발생되는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각 주차공간에 주차된 자동차의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주차설비 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제어처리부(200)는 상기 제3 마이크어레이로부터 상기 동력수단에서 발생하는 음성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동력수단의 이상징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주차설비 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제어처리부(200)는 상기 제4 마이크어레이로부터 상기 승하강리프트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성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승하강리프트의 이상징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주차설비 관리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220182406A 2022-12-23 2022-12-23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장치 KR102632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406A KR102632416B1 (ko) 2022-12-23 2022-12-23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406A KR102632416B1 (ko) 2022-12-23 2022-12-23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416B1 true KR102632416B1 (ko) 2024-02-05

Family

ID=89903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2406A KR102632416B1 (ko) 2022-12-23 2022-12-23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4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0918A (ja) * 1993-02-16 1994-08-30 Shin Meiwa Ind Co Ltd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異常検知装置
JP2004339733A (ja) * 2003-05-14 2004-12-02 Mitsubishi Heavy Ind Ltd 駐車場の安全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0918A (ja) * 1993-02-16 1994-08-30 Shin Meiwa Ind Co Ltd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異常検知装置
JP2004339733A (ja) * 2003-05-14 2004-12-02 Mitsubishi Heavy Ind Ltd 駐車場の安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31284B (zh) 用于自动化代客泊车服务的方法和装置
JP2018534200A (ja) 自動車と物体とが衝突する衝突危険性を低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2017184A (ja) 自律移動装置同乗エレベータシステム
WO2019216728A1 (ko) 자율주행차량 안전성 검사시스템 및 안전성 검사방법
CN106969715B (zh) 集装箱车辆检查系统
CN101084157B (zh) 电梯安全系统及其防止人员受伤的方法
TW200825013A (en) Safety equipment for a lift installation as well as a lift installation with such safety equipment
CN101966947B (zh) 具有减震结构部的建筑物中的电梯的控制装置
CN203347308U (zh) 智能立体停车库
CN109677377A (zh) 一种车辆道路限高探知系统及主动刹车防撞保护装置
CN110895412B (zh) 一种环卫车及其作业机构的安全控制方法和系统
KR102632416B1 (ko) 마이크어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주차설비 관리장치
CN109941307B (zh) 一种城市轨道交通车辆自动检修系统及方法
CN113699916A (zh) 一种安全的交通管控用升降路障
CN110820449A (zh) 一种基于云计算的智能高速公路应急防护方法及其系统
CN110481318A (zh) 一种防酒驾监测与控制系统
CN115262620A (zh) 一种地下一层半二通道下进站岛式车站结构
CN115817539A (zh) 一种地下一层半二通道上进站岛式车站结构
CN112900944A (zh) 一种升降横移类机械式停车设备超高检测装置
CN207292033U (zh) 地铁智能疏散系统
JP4642214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無人誘導・管理方法及び装置
KR20160065262A (ko) 개인용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비콘인식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의 탑승자 인원검출 및 행동분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12406274U (zh) 机械停车与固定停车空间耦合系统
CN213087599U (zh) 一种机械车库防止因车门打开而被剪切的装置
KR0146576B1 (ko) 차량충돌시험 제어시스템의 도어개폐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