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586B1 - 상부 및 저부 스티칭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상부 및 저부 스티칭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586B1
KR102631586B1 KR1020237019678A KR20237019678A KR102631586B1 KR 102631586 B1 KR102631586 B1 KR 102631586B1 KR 1020237019678 A KR1020237019678 A KR 1020237019678A KR 20237019678 A KR20237019678 A KR 20237019678A KR 102631586 B1 KR102631586 B1 KR 102631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w
electrical
connector
plug
electrical cont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3065A (ko
Inventor
랜달 이. 무저
조나단 이. 벅
Original Assignee
샘텍,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샘텍,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샘텍,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47002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8838B1/ko
Publication of KR20230093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005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requiring successive relative motions to complete the coupling, e.g. bayonet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lastomeric conne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with a panel or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 H05K1/116Lands, clearance holes or other lay-out details concerning the surrounding of a vi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01R13/6453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comprising pin-shaped elements, capable of being orientated in different angular positions around their own longitudinal axes, e.g. pins with hexagonal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신호 무결성의 유지 및 개선을 돕기 위해서, 커넥터 하우징은 비대칭 키잉 피처; 비대칭 정렬 피처, 및 교대로 스트칭된 콘택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부 및 저부 스티칭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Connector with top- and bottom-stitched contacts}
본 출원은 2018년 7월 6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번호 62/694,832, 2018년 11월 5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번호 62/704,031호; 및 2018년 12월 17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번호 62/704,038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각각의 출원의 전체 내용이 전부 참고로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서로 통신하는 전기 장치를 배열하는 데 사용된다. 커넥터는 전기 장치 또는 다른 커넥터에 신호를 전송하는 콘택트 및 콘택트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커넥터의 콘택트는 하우징 내에서 콘택트를 고정하고 위치시키는 것을 돕는 융기 부분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땜납이 콘택트에 부착될 수 있다. 땜납은 인쇄 회로 기판(PCB)에서 패드와 콘택트 사이에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을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공지된 콘택트(20)의 단부도이고, 도 2는 측면도이다. 도 1은 가용성 부재(40)가 없는 콘택트(20)를 나타내고, 도 2는 가용성 부재(40)가 있는 콘택트(20)를 나타낸다. 콘택트(20)는 헤드(21), 및 헤드(21)의 반대쪽 단부에 테일(22)을 포함한다. 헤드(21)는 콘택트 빔(23)을 포함한다. 콘택트(20)의 중앙 부분은 윙(24), 웨지(25), 리드인(26) 및 범프(27)를 포함한다. 윙(24)은 콘택트(20)의 테일 부분(22)과 하우징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의 코어의 저부와 계합된다. 웨지(25)는 하우징의 코어 내에 콘택트(20)의 위치를 고정하고 콘택트(20)를 유지하기 위해서 코어의 측벽에 계합된다. 웨지(25)는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할 수 없는 접속으로 이어질 수 있는 코플래너리티(co-planarity)의 문제를 방지하도록, 콘택트(20)를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코어에 고정한다. 리드인(26)은 콘택트 또는 단자(20)를 하우징의 코어에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경사진 에지에 의해 형성된다. 범프(27)는 하우징에 대해 원하는 위치 및 배향으로 콘택트(20)을 위치 및 안정화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커넥터는 행으로 배열된 콘택트(20)의 어레이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콘택트(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콘택트(20)와 다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30)는 헤드(31) 및 헤드(31)의 반대쪽 단부에 테일(32)을 포함한다. 헤드(31)는 콘택트빔(33)을 포함한다. 콘택트(30)의 중앙 부분은 웨지(35) 및 리드인(36)을 포함하고, 테일(32)은 가용성 부재(39)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콘택트(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콘택트(20)에 포함된 것과 같은 윙(24) 또는 범프(27)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도 1 및 2에 도시된 콘택트(20)가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에 사용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웨지(25) 및 리드인(26)(및 도 1 및 2에 도시된 콘택트(20)의 윙(24)이 사용됨)의 방향 때문에, 콘택트(20)는 하우징의 저부로부터 스티칭되거나 또는 삽입되도록 설계된다. 콘택트(20)는 일반적으로 스풀에 포함되는 콘택트 리본의 일부이다. 콘택트(20)는 한 번에 일행씩 저부로부터 스티칭되거나 또는 로딩된다. 단일 행에서, 콘택트(20)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로딩된다.
소형 커넥터에 있어서, 더 넓은 빔을 가진 콘택트가 더욱 우수한 전기적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더 넓은 빔은 콘택트의 피치가 한정된다. 콘택트의 빔이 넓어지면, 콘택트와 계합할 수 있는 하우징으로부터의 재료가 더욱 줄어들어서, 더욱 작은 피치로 하는 것은 더욱 어려워진다.
상술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개선된 임피던스 및 복귀 손실, 더 작은 피치, 및 더 넓은 빔을 갖는 콘택트를 각각 달성하는 커넥터 및 커넥터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한 가지 접근법은 커넥터의 상부와 저부로부터 2개의 다른 유형의 콘택트를 공통 행을 따라 연속하여 교대로 스티칭하는 것이다. 공통 선형 어레이를 따라 놓인 콘택트는 하우징 내에 2개의 방향으로부터 이중 스티칭된다. 제 1 및 제 3 콘택트가 제 1 방향으로 하우징 내의 대응하는 제 1 코어 내로 스티칭되고, 제 1 및 제 3 콘택트 사이에 위치된 제 2 콘택트는 제 1 방향에 정반대측 또는 180°반대측인 제 2 방향으로 하우징 내의 대응하는 제 2 코어 내로 스티칭된다. 제 1 및 제 3 콘택트는 각각 제 1 고정 구조를 규정하고, 또한 제 2 콘택트는 각각 제 2 고정 구조를 규정한다. 제 1 고정 구조에 의해 규정된 윙, 웨지, 돌출부, 리드인 또는 범프는 제 2 고정 구조에 의해 규정된 윙, 웨지, 돌출부, 리드인 또는 범프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커넥터는 적어도 3개의 콘택트의 선형 어레이, 열 또는 행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적어도 3개의 콘택트는 제 1 고정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콘택트 및 제 2 고정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구조는 하우징의 상이한 높이에서 하우징과 계합되고; 제 1 및 제 2 고정 구조는 동일하다.
제 1 및 제 2 고정 구조가 동일하지 않고, 제 1 및 제 2 고정 구조가 다를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고정 구조는 각각 윙, 웨지, 돌출부, 리드인 또는 범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는 적어도 3개의 콘택트의 적어도 하나 또는 각각에 부착된 가용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하우징은 제 1 및 제 2 코어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콘택트는 제 1 코어 내에 포함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콘택트는 제 2 코어 내에 포함되고; 제 1 제 2 코어의 형상은 다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코어의 행을 하우징에 제공하는 단계, 및 코어의 행 내로 적어도 3개의 콘택트를 스티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콘택트는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스티칭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콘택트는 하우징의 저부로부터 스티칭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콘택트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콘택트는 교대로 스티칭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콘택트의 전부가 우선 스티칭된 다음, 적어도 하나의 제 2 콘택트의 전부가 이어서 스티칭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콘택트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콘택트는 동일할 수 있고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콘택트는 제 1 고정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콘택트는 제 2 고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고정 구조는 하우징의 상이한 높이에서 하우징에 계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고정 구조는 동일할 수 있고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고정 구조는 각각 윙, 웨지, 돌출부, 리드인 또는 범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는 적어도 3개의 콘택트 각각에 부착된 가용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제 1 및 제 2 코어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콘택트는 제 1 코어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콘택트는 제 2 코어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제 1 코어와 제 2 코어의 형상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커넥터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스탠드오프를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 각각 100개의 콘택트를 포함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콘택트행; 및 커넥터 하우징의 저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정렬 페그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콘택트행에 있어서의 인접한 콘택트 사이의 콘택트 피치는 대략 0.63mm이고; 제 1 및 제 4 콘택트행은 외부 콘택트행이고, 제 2 및 제 3 콘택트행은 내부 콘택트행이고; 제 1 콘택트행과 제 2 콘택트행 사이의 제 1 행 피치는 대략 2.2mm이고, 제 2 콘택트행과 제 3 콘택트행 사이의 제 2 행 피치는 대략 2.4mm이고, 제 3 콘택트행과 제 4 콘택트행 사이의 제 3 행 피치는 대략 2.2mm이고;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콘택트행의 각각은 콘택트의 첨단에서부터 측정했을 때 대략 62.8mm의 길이를 갖고; 제 1 정렬 페그의 저부와 제 1 스탠드오프의 저부 사이의 거리, 제 1 정렬 페그의 저부와 제 2 스탠드오프의 저부 사이의 거리, 제 2 정렬 페그의 저부와 제 3 스탠드오프의 저부 사이의 거리, 및 제 2 정렬 페그의 저부와 제 4 스탠드오프의 저부 사이의 거리는 각각 대략 0.74mm이고; 제 1 정렬 페그와 제 2 정렬 페그 사이의 거리는 대략 67.1mm이고; 커넥터의 길이를 따른 제 1 정렬 페그와 중심선 사이의 제 1 거리 및 커넥터의 길이를 따른 제 2 정렬 페그와 중심선 사이의 제 2 거리 중 적어도 하나는 대략 1.2mm∼대략 1.3mm이고; 제 1 정렬 페그는 직경이 대략 0.8mm인 원형 형상을 갖고;제 2 정렬 페그는 직경이 대략 0.6mm 및 대략 0.8mm인 타원 형상을 갖는다.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일 수 있고; 제 1 및 제 2 행의 콘택트의 첨단 사이의 최단 거리와 제 3 및 제 4 행의 콘택트의 첨단 사이의 최단 거리는 각각 대략 1.8mm일 수 있고; 커넥터 하우징은 폭이 대략 7.1mm이고 길이가 대략 65.7mm인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고; 커넥터 하우징은 대략 3.7mm의 높이, 대략 68.6mm의 길이, 대략 9.0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일 수 있고; 커넥터 하우징은 각각 폭이 대략 2.3mm이고 길이가 대략 65.5mm인 제 1 및 제 2 리브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 키잉 구조는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대략 0.7mm 연장될 수 있고; 제 1 키잉 구조의 면취면 및 커넥터 하우징의 제 1 면취면은 반대방향으로 대향할 수 있고, 제 2 키잉 구조의 면취면 및 커넥터 하우징의 제 2 면취면은 반대방향으로 대향할 수 있고; 커넥터 하우징은 대략 8.4mm의 높이, 대략 68.6mm의 길이 및 대략 8.7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제 2 거리는 대략 1.2mm∼대략 1.3mm일 수 있고, 제 1 거리는 대략 0mm일 수 있다.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하우징에 서로 평행하게 포함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행은 100개의 전기 콘택트를 포함해도 좋다. 제 1 전기 콘택트의 행은 대략 2.1mm∼대략 2.3mm 만큼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다.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은 대략 2.35mm∼대략 2.5mm 만큼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다.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은 대략 2.1mm∼대략 2.3mm 만큼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은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고, 2개의 실장 인터페이스 포스트 및 2개의 키잉 구조를 더 포함해도 좋다. 2개의 키잉 구조 중 하나 및 2개의 실장 인터페이스 포스트는 종방향 중심선의 일측 상에 위치될 수 있고, 2개의 키잉 구조 중 다른 하나는 종방향 중심선의 반대측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은 제 1 면취면 및 제 1 키잉 구조를 더 규정할 수 있다. 제 1 키잉 구조는 제 2 면취면을 규정할 수 있고, 제 1 키잉 구조의 제 2 면취면 및 커넥터 하우징의 제 1 면취면은 반대방향으로 대향할 수 있다.
제 1 행에 있어서의 전기 콘택트는 대략 0.63±0.05mm 중심선 상에서 이간되어 있다. 전기 콘택트는 전기 하우징의 상부 및 전기 하우징의 저부 내로 교대로 스티칭될 수 있다. 제 1 전기 콘택트의 행은 대략 2.2mm 만큼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고,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은 대략 2.4mm 만큼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고,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은 대략 2.2mm 만큼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플러그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장 풋프린트와 일치하는 인쇄 회로 기판 풋프린트를 제공한다. PCB 풋프린트는 서로 평행하게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포함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가용성 요소 패드의 행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제 2, 제 3 및 제 4 가용성 요소 패드의 행의 각각은 100개의 가용성 요소 패드를 포함한다. 제 1 가용성 요소 패드의 행은 대략 2.1mm∼대략 2.3mm 만큼 제 2 가용성 요소 패드의 행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다. 제 3 가용성 요소 패드의 행은 대략 2.35mm∼대략 2.5mm 만큼 제 2 가용성 요소 패드의 행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다. 제 4 가용성 요소 패드의 행은 대략 2.1mm∼대략 2.3mm 만큼 제 3 가용성 요소 패드의 행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다.
제 1 가용성 요소 패드의 행은 대략 2.2mm 만큼 제 2 가용성 요소 패드의 행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고, 제 3 가용성 요소 패드의 행은 대략 2.4mm 만큼 제 2 가용성 요소 패드의 행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고, 제 4 가용성 요소 패드의 행은 대략 2.2mm 만큼 제 3 가용성 요소 패드의 행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는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종벽을 포함하는 커넥터 보디;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단벽(end wall)을 통해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해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단벽; 정합 인터페이스; 정합 인터페이스에 위치되고 중심선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 1 키잉 구조; 제 1 키잉 구조와 같이 중심선의 반대측 상에 정합 인터페이스에 위치되고 중심선에 접하여 있는 제 2 키잉 구조; 실장 인터페이스; 제 1 정렬 페그; 및 제 2 정렬 페그; 및 서로 평행하게 커넥터 보디 내에 포함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은 100개의 전기 콘택트를 포함한다. 중심선은 제 1 정렬 페그를 통과하지만, 제 2 정렬 페그와 교차하지 않는다. 제 2 정렬 페그는 제 1 키잉 구조 하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제 1 정렬 페그는 제 2 키잉 구조 하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제 1 전기 콘택트의 행은 대략 2.1mm∼대략 2.3mm 만큼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된다.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은 대략 2.35mm∼약 2.5mm 만큼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된다.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은 대략 2.1mm∼대략 2.3mm 만큼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된다. 공통 중심선이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 중 하나 및 제 2 정렬 페그를 통과하도록, 제 2 정렬 페그와,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 중 하나는 모두 중심선으로부터 평행하게 이간된 공통 중심선을 따라 위치한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키잉 구조는 제 1 평행 측벽의 세트, 제 2 평행 측벽의 세트, 및 제 1 평행 측벽의 세트의 첫번째 것과 제 2 평행 측벽의 세트의 첫번째 것을 연결하는 경사진 측벽을 포함하는 5개의 측면의 둘레를 가진 오목부일 수 있고; 제 2 평행 측벽의 세트는 제 1 평행 측벽의 세트의 두번째 것과 각각 직각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제 1 평행 측벽의 세트의 첫번째 것은 제 2 평행 측벽의 세트의 두번째 것과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평행 측벽의 세트의 첫번째 것은 중심선에 접할 수 있다. 제 1 평행 측벽의 세트의 두번째 것은 중심선에 접할 수 있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키잉 구조는 제 1 평행 측벽의 세트, 제 2 평행 측벽의 세트, 및 제 1 평행 측벽의 세트의 첫번째 것과 제 2 평행 측벽의 세트의 첫번째 것을 연결하는 경사진 측벽을 포함하는 5개의 측면의 둘레를 가진 돌출부일 수 있고; 제 2 평행 측벽의 세트는 제 1 평행 측벽의 세트의 두번째 것과 각각 직각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제 1 평행 측벽의 세트의 첫번째 것은 제 2 평행 측벽의 세트의 두번째 것과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평행 측벽의 세트의 첫번째 것은 중심선에 접할 수 있다. 제 1 평행 측벽의 세트의 두번째 것은 중심선에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는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종벽을 포함하는 커넥터 보디;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2개의 종벽에 평행한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단벽을 통해 연장되는 중심선을 갖는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단벽; 정합 인터페이스; 제 1 키잉 구조가 중심선에 대해 비대칭이되도록 중심선 상에 위치되는 제 1 키잉 구조; 및 상기 제 1 키잉 구조와 같이 상기 중심선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제 2 키잉 구조; 및 서로 평행하게 커넥터 하우징 내에 포함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을 포함하고,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의 각각은 100개의 전기 콘택트를 포함한다. 제 2 키잉 구조는 중심선에 대해 비대칭이다. 제 1 키잉 구조 및 제 2 키잉 구조는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다. 제 1 전기 콘택트의 행은 대략 2.1mm∼대략 2.3mm 만큼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된다.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은 대략 2.35mm∼대략 2.5mm 만큼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된다.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은 대략 2.1mm∼대략 2.3mm 만큼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된다. 제 1 키잉 구조는 제 1 평행 측벽의 세트, 제 2 평행 측벽의 세트, 및 제 1 평행 측벽의 세트의 첫번째 것과 제 2 평행 측벽의 세트의 첫번째 것을 연결하는 경사진 측벽을 포함한다. 제 2 키잉 구조는 제 1 평행 측벽의 세트, 제 2 평행 측벽의 세트, 및 제 1 평행 측벽의 세트의 첫번째 것과 제 2 평행 측벽의 세트의 첫번째 것을 연결하는 경사진 측벽에 의해 규정된다. 제 1 키잉 구조의 제 1 평행 벽의 세트는 둘 다 중심선으로부터 균등하게 이간된다. 제 2 키잉 구조의 제 1 평행 벽의 세트는 둘 다 중심선으로부터 불균등하게 이간된다. 중심선은 제 2 평행 측벽의 세트의 각각의 것과 제 2 키잉 구조만의 경사진 측벽의 교차점을 통과한다.
커넥터 본체의 실장 인터페이스는 제 1 정렬 페그 및 제 2 정렬 페그를 포함할 수 있고; 중심선은 제 1 정렬 페그의 중심점을 통과할 수 있고; 또한 제 2 정렬 페그는 중심선이 제 2 정렬 페그와 교차하지 않도록 중심선의 어느 한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정렬 페그는 제 1 평행 측벽의 세트, 제 2 평행 측벽의 세트, 및 제 1 키잉 구조의 경사진 측벽에 의해 규정된 둘레 하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어떠한 제 1 정렬 페그의 일부도 제 1 평행 측벽의 세트, 제 2 평행 측벽의 세트 및 제 2 키잉 구조의 경사진 측벽에 의해 규정된 둘레 하방에 위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는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고, 종방향 중심선에 수직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중앙 중심선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으로서, 제 1 단벽 및 제 1 단벽에 대향하는 제 2 단벽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 평행한 행으로 이간되어 있고, 각각은 종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서, 상기 제 1 전기 콘택트의 행은 제 1 행 피치만큼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되고, 상기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은 제 1 행 피치보다 큰 제 2 행 피치만큼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되고, 상기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은 제 1 행 피치만큼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제 1 단벽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정합측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1 키잉 구조;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제 2 단벽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정합측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2 키잉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키잉 구조 및 상기 제 2 키잉 구조는 종방향 중심선과 중앙 중심선 둘 다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위치된다. 제 2 행 피치에 대한 제 1 행 피치에 의해 규정된 비율은 대략 0.9, 또는 2.4mm에 대해 2.2mm일 수 있다.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의 제 1 단벽에 인접하고 또한 커넥터 하우징의 실장측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1 정렬 페그, 및 커넥터 하우징의 제 2 단벽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실장측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2 정렬 페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정렬 페그 및 상기 제 2 정렬 페그는 둘 다 종방향 중심선과 중앙 중심선 둘 다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위치된다.
커넥터 하우징은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 및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을 담지하는 내부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내부 리브는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극을 규정할 수 있고, 공극은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에 있어서의 전기 콘택트의 정합 단부와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에 있어서의 전기 콘택트의 정합 단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은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 및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을 담지하는 내부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내부 리브는 적어도 하나의 공극을 규정할 수 있고, 또한 공극은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에 있어서의 전기 콘택트의 실장 단부와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에 있어서의 전기 콘택트의 실장 단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은 종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제 1 전기 콘택트의 행 및 제 2 전기콘택트의 행을 담지하는 제 1 플러그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1 플러그 리브는 종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극을 규정할 수 있고, 또한 공극은 제 1 전기 콘택트의 행에 있어서의 전기 콘택트의 정합 단부와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에 있어서의 전기 콘택트의 정합 단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커넥터 하우징은 종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 및 제 4 전기콘택트의 행을 담지하는 제 2 플러그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2 플러그 리브는 또한 종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극을 규정할 수 있고, 또한 공극은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에 있어서의 전기 콘택트의 정합 단부와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에 있어서의 전기 콘택트의 정합 단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에는 제 1 전기 콘택트의 행과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 사이에 실드 및 전력 콘택트가 없을 수 있다. 전기 커넥터에는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과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 사이에 실드 및 전력 콘택트가 없을 수 있다.
제 1 키잉 구조 및 제 2 키잉 구조는 중앙 중심선에 대해 오프셋 미러 이미지일 수 있다. 공극은 복수의 공극일 수 있다. 제 1 키잉 구조는 제 1 오목부일 수 있다. 제 1 오목부는 적어도 4개의 측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제 1 오목부는 적어도 5개의 측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제 2 키잉 구조는 제 2 오목부일 수 있다. 제 2 오목부는 적어도 4개의 측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제 2 오목부는 적어도 5개의 측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제 1 키잉 구조는 제 1 돌출부일 수 있다. 제 1 돌출부는 적어도 4개의 측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제 1 돌출부는 적어도 5개의 측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제 2 키잉 구조는 제 2 돌출부일 수 있다. 제 2 돌출부는 적어도 4개의 측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제 2 돌출부는 적어도 5개의 측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제 1 키잉 구조는 전체적으로 종방향 중심선의 제 1 측에 위치될 수 있고, 제 2 키잉 구조는 전체적으로 제 1 측의 반대측에 있는 종방향 중심선의 제 2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키잉 구조는 종방향 중심선에 접할 수 있다. 제 2 키잉 구조는 종방향 중심선에 접할 수 있다. 종방향 중심선은 제 1 키잉 구조의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종방향 중심선은 제 2 키잉 구조의 일부를 통과할 수 있다.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의 각각은 각각의 가용성 요소로 각각종단되는 적어도 100개의 전기 콘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행 피치는 2.2±0.1mm 또는 2.2±0.05mm일 수 있고, 제 2 행 피치는 2.4±0.1mm 또는 2.4±0.05mm일 수 있다.
전기 커넥터는 적어도 32Gbits/sec의 데이터 레이트를 갖고, 0dB∼-1.5dB의 삽입 손실을 가질 수 있다. 전기 커넥터는 적어도 4096Gbits/sec의 총 데이터 레이트를 갖고, 0dB∼-1.5dB의 삽입 손실을 가질 수 있다. 전기 커넥터의 데이터 레이트 밀도는 적어도 평방 인치당 2088Gbit 또는 평방 센티미터 당 13467Gbits이고, 삽입 손실은 0dB∼-1.5dB일 수 있다.
제 1 전기 콘택트의 행에 있어서의 전기 콘택트는 전기 하우징의 상부와 전기 하우징의 저부 내로 교대로 스티칭될 수 있다. 각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의 각각은 각각의 압입 핀으로 각각 종단되는 적어도 100개의 전기 콘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는 공통 라인에 위치된 적어도 4개의 연속하고 바로 인접하여 있는 코어를 규정하는 하우징; 제 1 유지 형상을 규정하는 제 1 전기 콘택트로서, 4개의 연속하고 바로 인접하여 있는 코어 중 첫번째 코어에 위치된 제 1 전기 콘택트; 제 2 유지 형상을 규정하는 제 2 전기 콘택트로서, 4개의 연속하고 바로 인접하여 있는 코어 중 두번째 코어에 위치되고, 제 1 전기 콘택트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된 제 2 전기 콘택트; 제 1 유지 형상을 규정하는 제 3 전기 콘택트로서, 4개의 연속하고 바로 인접하여 있는 코어 중 세번째 코어에 위치되고, 제 2 전기 콘택트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된 제 3 전기 콘택트; 및 제 2 유지 형상을 규정하는 제 4 전기 콘택트로서, 4개의 연속하고 바로 인접하여 있는 코어 중 네번째 코어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전기 콘택트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된 제 4 전기 콘택트를 포함한다. 제 1 전기 콘택트 및 제 3 전기 콘택트는 제 1 방향으로 하우징 내로 삽입되고, 제 2 전기 콘택트 및 제 4 전기 콘택트는 제 1 방향과 반대측인 제 2 방향으로 하우징 내로 삽입되고, 또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는 모두 공통 중심선 상에 놓인다.
제 2 전기 콘택트의 제 2 유지 형상은 4개의 연속하고 바로 인접한 코어 중 두번째 코어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는 다른 메자닌 커넥터와 정합되는 메자닌 커넥터일 수 있다. 전기 커넥터는 리플로우 이전에 제 1 전기 콘택트에 부착된 가용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는 개방형 핀 필드 커넥터일 수 있다. 전기 커넥터에는 크로스토크 실드가 없을 수 있다. 제 1, 제 2, 제 3 및 전기 콘택트는 각각 압입 핀으로 종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는 적어도 3개의 콘택트의 선형 어레이, 열 또는 행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적어도 3개의 콘택트는 제 1 고정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콘택트 및 제 2 고정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콘택트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고정 구조는 하우징의 다른 높이에서 하우징과 계합되고, 제 1 및 제 2 고정 구조는 동일하다.
제 1 및 제 2 고정 구조는 각각 윙, 웨지, 돌출부, 리드인 또는 범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는 적어도 3개의 콘택트의 각각에 부착된 가용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제 1 및 제 2 코어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콘택트는 제 1 코어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콘택트는 제 2 코어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코어의 형상은 상이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는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종방향 중심선에 수직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중앙 중심선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커넥터 하우징은 제 1 단벽 및 제 1 단벽에 대향하는 제 2 단벽; 평행한 행으로 이간되어 있고, 각각은 종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서, 제 1 전기 콘택트의 행은 2.2±0.1mm 또는 2.2±0.05mm의 제 1 행 피치만큼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되고,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은 2.4±0.1mm 또는 2.4±0.05mm의 제 2 행 피치만큼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되고,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은 2.2±0.1mm 또는 2.2±0.05mm의 제 1 행 피치만큼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 커넥터 하우징의 제 1 단벽에 인접하고, 커넥터 하우징의 정합측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1 키잉 구조; 커넥터 하우징의 제 2 단벽에 인접하고, 커넥터 하우징의 정합측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2 키잉 구조를 포함하고; 제 1 키잉 구조 및 제 2 키잉 구조는 종방향 중심선과 중앙 중심선 둘 다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위치되고, 또한 제 1 키잉 구조 및 제 2 키잉 구조는 중앙 중심선에 대해 미러 이미지이다.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의 제 1 단벽에 인접하고 또한 커넥터 하우징의 실장측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1 정렬 페그; 및 커넥터 하우징의 제 2 단벽에 인접하고 또한 커넥터 하우징의 실장측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2 정렬 페그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정렬 페그 및 제 2 정렬 페그는 둘 다 종방향 중심선과 중앙 중심선 둘 다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위치된다.
제 1 정렬 페그는 0.8±0.05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제 2 정렬 페그는 0.8±0.05mm×0.6±0.05mm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은 각각 각각의 압입 핀으로 각각 종단될 수 있다. 각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은 각각 각각의 가용성 요소로 각각 종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쇄 회로 기판 풋프린트는 적어도 100개의 패드의 제 1 패드행; 적어도 100개의 패드의 제 2 패드행; 적어도 100개의 패드의 제 3 패드행; 적어도 100개의 패드의 제 4 패드행; 2.2±0.1mm 또는 2.2±0.05mm의 제 1 패드행 피치만큼 패드의 제 2 패드행으로부터 이간된 패드의 제 1 패드행; 2.4±0.1mm 또는 2.4±0.05mm의 제 2 패드행 피치만큼 패드의 제 2 패드행으로부터 이간된 패드의 제 3 패드행; 2.2±0.1mm 또는 2.2±0.05mm의 제 1 패드행 피치만큼 패드의 제 3 패드행으로부터 이간된 패드의 제 4 패드행; 제 1 정렬 구멍; 및 제 2 정렬 구멍을 포함한다. 제 1 정렬 구멍은 0.8±0.05mm의 직경을 갖고, 제 3 패드행과 동일한 라인을 따라 위치되고; 제 2 정렬 구멍은 0.8±0.05mm×0.6±0.05mm의 치수를 갖고, 제 2 패드행과 제 3 패드행 사이에 등거리로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된 중심선 상에 위치되고, 또한 제 2 패드행에 있어서의 첫번째 패드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쇄 회로 기판 풋프린트는 적어도 100개의 패드의 제 1 패드행; 적어도 100개의 패드의 제 2 패드행; 적어도 100개의 패드의 제 3 패드행; 적어도 100개의 패드의 제 4 패드행; 2.2±0.1mm 또는 2.2±0.05mm의 제 1 패드행 피치만큼 패드의 제 2 패드행으로부터 이간된 패드의 제 1 패드행; 2.4±0.1mm 또는 2.4±0.05mm의 제 2 패드행 피치만큼 패드의 제 2 패드행으로부터 이간된 패드의 제 3 패드행; 2.2±0.1mm 또는 2.2±0.05mm의 제 1 패드행 피치만큼 패드의 제 3 패드행으로부터 이간된 패드의 제 4 패드행; 제 1 정렬 구멍; 및 제 2 정렬 구멍을 포함한다. 제 1 정렬 구멍은 0.8±0.05mm의 직경을 갖고, 제 2 패드행과 제 3 패드행 사이에 등거리로 평행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된 중심선 상에 위치되고, 제 2 패드행의 마지막 패드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또한 제 2 정렬 구멍은 패드의 제 2 패드행과 동일한 라인을 따라 위치되고, 제 2 정렬 구멍은 0.8±0.05mm×0.6±0.05mm의 치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 요소, 특징, 단계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일 방향으로부터 커넥터 하우징 내에 스티칭될 수 있는 공지된 전기 콘택트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방향으로부터 스티칭된 전기 콘택트를 갖는 공지된 커넥터 하우징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2개의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스티치된 전기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로부터 스티칭될 수 있는 전기 콘택트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커넥터 하우징의 저부로부터 스티칭될 수 있는 다른 전기 콘택트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메자닌 커넥터의 정합 쌍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도 12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0∼도 13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10∼도 14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6∼도 18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6∼도 19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23은 도 21∼도 22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26은 도 24∼도 26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31∼도 3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다양한 기판 풋프린트 패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업적으로 쓸모없는 레벨에 대한 신호 무결성(signal integrity)을 저하시키지 않고 전기 콘택트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커넥터 하우징 내의 코어의 공통행을 따라 연속적으로 교대로 스티칭된 전기 콘택트; 크로스토크를 저감시키고,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기판에서의 접지 비아를 더욱 허용하고, 전기 컨덕터 밀도를 유지하고, 전기 콘택트의 교대 스티칭을 돕고, 또한 인쇄 회로 기판에서 차동 신호 라우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및 대응하는 기판 풋프린트에서의 최적화된 행과 행 간격; 및 싱글-엔디드(single-ended) 또는 차동 임피던스를 개선시키고, 대략 32Gbits/sec 이상의 전기 콘택트의 인접한 행 사이의 커플링을 감소시킴으로써 인접한 전기 콘택트의 행 사이의 근단 크로스토크(near-end crosstalk)(NEXT)를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 리브에서의 공극 배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행과 행의 간격에 의해 인접한 행에서의 전기 콘택트가 30℃ 라이즈 타임에서 더 많은 전력 또는 전류 또는 전압이 운반되게 된다.
우선, 교대로 스티칭된 전기 콘택트(110, 120)에 대해 논의한다. 도 4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하우징(102) 내의 단일 콘택트행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리브(106)에 의해 규정된 오목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106)는 각각 전기 콘택트(110, 120)의 콘택트 정합 단부(116)를 초과하여 연장된다. 리브(106)는 행을 따라 2개의 바로 인접한 전기 콘택트(110, 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전기 콘택트(110)는 각각 하우징(102)의 상부 또는 정합측(108)으로부터 하우징(102)의 저부 또는 실장측(112)을 향해 제 1 방향으로 하우징(102) 내로 스티칭될 수 있다. 전기 콘택트(120)는 하우징(102)의 저부 또는 실장측(112)으로부터 하우징(102)의 상부 또는 정합측(108)을 향해 제 2 방향으로 스티칭될 수 있다. 전기 콘택트(110, 120)의 각각의 행은 3개 이상의 전기 콘택트를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전기 콘택트(110,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전기 콘택트(110, 120)는 각각 고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구조는 전기 콘택트(110, 120)가 코어(118)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고, 및/또는 코어(118) 내에 전기 콘택트(110, 120)가 위치하도록, 하우징(102) 내의 코어(118)와 계합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윙, 웨지, 돌출부, 리드인 및 범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콘택트(110, 120)는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하우징(102) 내에 유지될 수 있다.
전기 콘택트(110)는 정합측(108)으로부터 하우징(102)의 코어(118) 내로 전기 콘택트(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배향되는 고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콘택트(110)는 하우징(102) 내에 전기 콘택트(110)를 고정하도록 하우징(102)과 계합하는 윙(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콘택트(120)는 전기 콘택트(110)가 실장측(112)으로부터 하우징(102)의 코어(118)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배향되는 고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콘택트(120)는 하우징(102) 내에 전기 콘택트(120)를 고정하도록 하우징(102)과 계합하는 웨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전기 콘택트(110)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정합 단부(116) 및 윙(54)을 포함하는 전기 콘택트(110)를 도시한다. 도 5는 전기 콘택트(110)의 유지부(56)가 제 1 폭(W1), 제 2 폭(W2), 제 3 폭(W3), 및 제 4 폭(W4)을 규정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제 1 폭(W1)은 제 2 폭(W2), 제 3 폭(W3) 또는 제 4 폭(W4) 중 임의의 것보다 길이가 더 클 수 있다. 제 2 폭(W2)은 제 3 폭(W3) 또는 제 4 폭 중 임의의 것보다 길이가 더 클 수 있다. 제 3 폭(W3)은 제 4 폭(W4)보다 길이가 더 클 수 있다. 전기 콘택트(110)의 실장 단부(58)는 제 1 폭(W1), 제 2 폭(W2), 제 3 폭(W3), 또는 제 4 폭(W4) 중 임의의 것보다 길이가 더 짧은 제 5 폭(W5)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2 폭(W2)과 제 3 폭(W3)은 동일한 길이 또는 대략 동일한 길이일 수 있다.
예시적인 전기 콘택트(120)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정합 단부(116), 및 전기 콘택트(120)의 재료 두께(MT)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웨지(75)를 포함하는 전기 콘택트(120)를 도시한다. 웨지(75)는 각각 전기 콘택트(120)의 재료 두께(MT)보다 길이가 짧은 부분 폭(PW)을 갖는 부분(78)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콘택트(110, 120)는 다른 고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기 콘택트(110, 120)는 하우징(102)의 코어(118) 내에 콘택트를 위치시키는 범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전기 콘택트(110, 120)는 상이한 고정 구조, 즉 윙(114) 및 웨지(125)를 포함하지만, 전기 콘택트(110, 120)는, 예를 들면 들 다 윙(114)을 갖거나 또는 둘 다 웨지(125)를 갖는 동일한 고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2) 내의 코어(118)는 전기 콘택트(110, 120)를 수용하도록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콘택트(110)를 수용하는 코어(118)는 전기 콘택트(120)를 수용하는 코어(118)와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전기 콘택트(110, 120)의 유지부(56, 56A)의 형상 또는 폭에 관계없이, 2개의 바로 인접한 전기 콘택트(110, 120)의 중간부(60)는 동일한 제 6 폭(W6)일 수 있다. 이는 각각 대략 동일한 제 7 폭(W7)을 각각 규정할 수 있는 2개 이상 또는 3개 이상의 바로 인접한 오목부(104)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전기 콘택트(110, 12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중간부(60) 및 동일한 형상의 정합 단부(116) 외에,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된 유지부(56, 56A)도 규정할 수 있다.
가용성 부재(130, 140)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전기 콘택트(110, 120)의 실장 단부(58)에 부착될 수 있다. 가용성 부재(130, 140)는 기판, 예를 들면 PCB,가요성 회로 기판, 또는 케이블과 같은 다른 장치에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땜납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콘택트(110, 120)를 하우징(102)의 정합측(108) 및 실장측(112)으로부터 스티칭함으로써, 전기 콘택트(110, 120)는 종래 기술에 의해 허용되는 것보다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어서, 전기 콘택트(110, 120)가 단지 한 방향으로만 스티칭되는 전기 콘택트보다 더 넓은 중간부(60) 또는 정합 단부(116)를 갖는 경우에서도, 전기 콘택트(110, 120)의 피치가 감소된다. 콘택트 피치에 대한 제 6 폭(W6)의 비율은 콘택트 피치의 50∼75%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저부 스티칭은 인접한 전기 콘택트(110, 120)의 유지부(56, 56A)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전기 콘택트(110, 120)가 코어(118) 내의 상이한 높이에서 계합하는 고정 구조 또는 유지부(56, 56A)를 포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4에 있어서, 윙(114)은 코어(118)의 상부와 계합하고, 웨지(125)는 코어(118)의 중간과 결합하여, 코어(118)가 서로 더 가깝게 배치되게 되어, 32Gbits/sec 이상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서 신호 무결성을 희생시키지 않고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피치가 감소된다.
고정 피치에 대해서는, 넓은 폭(W6)을 갖는 전기 콘택트(110, 120), 중간부(60) 및 정합 단부(116)는 개선된 임피던스/개선된 복귀 손실을 포함한 개선된 전기 성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차동 신호가 전기 콘택트(110, 120)를 통해 전송, 즉 송신 및/또는 수신되면, 시간 도메인 임피던스는 17ps(10%-90%)에서 약 85 Ω∼약 100Ω 또는 17ps(10%-90%)에서 약 86Ω∼약 99Ω일 수 있다. 시뮬레이팅된 삽입 손실은 1GHz∼17GHzm 이하의 주파수(대략 34Gbits/sec 또는 2배의 주파수)에서 0dB∼1.5dB 및 23GHz(대략 46Gbits/sec)를 통해 0dB∼-3dB이다. 시뮬레이팅된 차동 복귀 손실은 1GHz∼23GHz 이하의 주파수에서 -10dB∼-60dB이다. 시뮬레이팅된 차동 벡터 합계 크로스토크는 진폭을 갖는 1GHz∼19GHz 이하의 주파수에서 -40dB∼-100dB이고, 1GHz∼34GHz 이하의 주파수에서 -30dB∼-100dB이며, 1GHz∼50GHz 이하의 주파수에서 -20dB∼-100dB이다. 채널당 데이터 레이트는 대략 32Gbits/sec이고, 총 데이터 레이트는 대략 4096Gbits/sec일 수 있고, 또한 데이터 레이트 밀도는 상술한 적어도 32Gbit/sec가 가능한 임피던스, 삽입 손실, 차동 복귀 손실, 벡터 합계 크로스토크 값 중 임의의 것에서 평방인치당 대략 2088Gbits/sec일 수 있다. 전기 커넥터는 금속, 금속 크로스토크 실드, 전력 콘택트, 및 손실 크로스토크 실드가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는 개방형 핀 필드를 가질 수 있다. 전기 콘택트(110, 120)는 신호-접지-신호(S-G-S), S-S-G-S-S, S-S-G-G-S-S의 패턴으로 전기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또는 전력, 참조 또는 접지 전기 콘택트(110, 120)로서 전기적으로 담지 또는 할당될 수 있다.
단일 행에 있어서, 상이한 스티칭 프로세스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콘택트(110 또는 120)가 전부 스티칭될 수 있고, 그 다음 나머지 전기 콘택트(120 또는 110)가 전부 스티칭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기 콘택트(110, 120)가 연속적으로 교대로 스티칭될 수 있다: 전체 행이 스티칭될 때까지, 단일 전기 콘택트(110 또는 120)가 스티칭될 수 있고, 그 다음 단일 전기 콘택트(120 또는 110) 등등이 스티칭될 수 있다.
가용성 부재(130, 140)는 전기 콘택트(110, 12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 내로 스티칭된 후에 전기 콘택트(110, 120)에 부착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예를 들면 제조 공차 내에서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2개의 기판, 예를 들면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메자닌 커넥터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커넥터일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일 방향으로만 스티칭되는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와 연결되는 암수 동체형 커넥터(hermaphroditic connector)일 수 있다
도 9는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두 방향으로부터 스티칭되는 전기 콘택트를 갖고, 플러그 커넥터(300)가 일측으로부터만 스티칭되는 전기 콘택트를 갖는 메자닌 커넥터의 예를 도시한다. 선택적으로, 커넥터는 직각 커넥터일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300)는 스티칭된 전기 콘택트를 가질 수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리셉터클 하우징(202)의 실장측(212)과 같이 일측으로부터만 스티칭되는 전기 콘택트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각각의 기판(400) 상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200) 및 플러그 커넥터(300)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의 저부 부분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4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전기 콘택트(110, 120)의 리셉터클행(204, 210, 220, 206)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콘택트(110, 120)의 제 1 리셉터클행(204) 및 전기 콘택트(110, 120)의 제 4 리셉터클행(206)이 리셉터클 하우징(202)의 외측면의 내부를 따라 연장된다. 전기 콘택트(110, 120)의 제 2 리셉터클행(210) 및 전기 콘택트(110, 120)의 제 3 리셉터클행은 서로 배면을 맞대고 있고, 종방향 중심선(CL)을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중간 하방에 단부에서 단부까지 연장되는 내부 리브(250)를 따라 연장된다. 도 9에서의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4개의 평행하고 이간되고 실드없는 행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수의 전기 콘택트(110, 120)의 행이 사용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전기 콘택트(110, 120)는 도 4∼8에 대해서 기재된 바와 같이 2개의 방향으로부터 스티칭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어떠한 크로스토크 실드 및 자기 흡수 손실 재료가 없을 수 있고, 또는 임의의 수의 크로스토크 실드 또는 전기전도성 또는 비전도성 자기 흡수 손실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솔더볼과 같은 가용성 부재(230, 240)는 전기 콘택트(110, 120)의 각각의 것에 부착될 수 있다.
도 9의 상부 부분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300)는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의 4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플러그행(304, 310, 320, 306)의 플러그 하우징(302)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의 제 1 플러그행(304) 및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의 제 2 플러그행(310)은 각각 플러그 커넥터(300)의 단부로부터 단부로 연장되는 각각의 플러그 리브(350)를 따라 연장된다.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의 제 3 플러그행(320) 및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의 제 4 플러그행(306)은 각각 플러그 커넥터(300)의 단부로부터 단부로 연장되는 각각의 플러그 리브(350)를 따라 연장된다.
도 9의 플러그 커넥터(300)는 4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실드없는 전기 플러그콘택트(308)의 행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수의 행이 사용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300)의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는 도 4∼8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2개의 방향으로부터 스티칭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300)는 어떠한 크로스토크 실드 및 자기 흡수 손실 재료도 없을 수 있고, 또는 임의의 수의 크로스토크 실드 또는 전기전도성 또는 비전도성 자기 흡수 손실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솔더볼과 같은 가용성 요소(330, 340)는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의 각각의 것에 부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플러그 커넥터(30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0)에 있어서의 행과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의 수는 동일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용성 부재(230, 240, 330, 340)는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를 기판(400)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플러그 커넥터(300)에 의해 담지되는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는 일측으로부터 또는 플러그 하우징(302)의 실장측(312)으로부터만 스티칭될 수 있다.
도 10 및 11은 전기 콘택트(110, 120)과 같은 스티칭된 전기 콘택트의 제 1 리셉터클행(204A), 제 2 리셉터클행(210A), 제 3 리셉터클행(220A) 및 제 4 리셉터클행(206A)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커넥터(200A)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셉터클행(204A) 및 제 2 리셉터클행(210A)은 제 1 행 피치(RP1)만큼 이간될 수 있다. 제 2 리셉터클행(210A) 및 제 3 리셉터클행(220A)은 제 1 행 피치(RP1)보다 수치적으로 더 큰 제 2 행 피치(RP2)만큼 이간될 수 있다. 제 3 리셉터클행(220A)은 제 1 행 피치(RP1)와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 동일한 제 3 행 피치(RP3)만큼 제 4 리셉터클행(206A)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다. 제 1 행 피치는 2.2±0.05mm, 2.2±0.1mm, 또는 2.2±0.05mm 또는 2.2±0.005mm와 같은 2.2mm와 대략 동일한 일부 다른 값일 수 있다. 제 2 행 피치는 2.4±0.005mm, 2.4±0.05mm, 2.4±0.1mm, 또는 2.4mm와 대략 동일한 일부 다른 값일 수 있다. 제 3 행 피치는 2.2±0.005mm, 2.2±0.05mm, 2.2±0.1mm, 또는 2.2mm와 대략 동일한 일부 다른 값과 같은 제 1 행 피치와 동일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 및 대응하는 기판 풋프린트에서의 행 피치를 서로 동일하지 않게 함으로써, 적어도 32Gbits/sec의 데이터 레이트가 허용 가능한 레벨의 임피던스, 삽입 손실, 차동 복귀 손실 또는 크로스토크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전기 커넥터 및 풋프린트에서의 크로스토크를 저감시키고,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기판에서 더 많은 접지 비아를 허용하고, 전기전도체 밀도를 유지하고, 인쇄 회로 기판에서의 차동 신호 라우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돕는다.
도 10의 상부 사시도는 리셉터클 커넥터(200A)가 리셉터클 하우징(202A)의 외측면의 내부를 따라 각각 연장되는 제 1 리셉터클행(204A) 및 제 4 리셉터클행(206A)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전기 콘택트(110, 120)의 제 2 리셉터클행 및 전기 콘택트(110, 120)의 제 3 리셉터클행은 종방향 중심선(CL)을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200A)의 중간 하방에 단부로부터 단부까지 연장되는 내부 리브(250A)를 따라 서로 배면을 맞대로 연장되게 위치된다.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200A) 또는 리셉터클 하우징(202)은 4행의 전기 콘택트(110, 120)를 포함하지만, 임의의 수의 행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전기 콘택트(110, 120)의 각각의 행은 0.63±0.1mm 또는 0.065±0.05 콘택트 피치(PI) 상에 위치된 적어도 100개의 균일하게 이간된 콘택트를 포함할 수 있지만, 임의의 수의 전기 콘택트가 행마다 사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바로 인접한 전기 콘택트(110, 120)의 정합 단부(116A)는 동일한 피치 상에 있을 수 있지만, 전기 콘택트(110)와 같이 3개의 전기 콘택트 중 2개가 리셉터클 하우징(202A)의 정합측(108A)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리셉터클 하우징(202A)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또한 전기 콘택트(120)와 같이 3개의 전기 콘택트 중 세번째 것이 제 1 방향과 반대측인 제 2 방향으로부터 리셉터클 하우징(202A)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202A)은 제 1 종벽(260A) 및 제 2 종벽(260B)과 같이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종벽과, 제 1 단벽(262A) 및 제 2 단벽(262B)과 같이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단벽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2개의 평행한 제 1 및 제 2 이간된 단벽(262A, 262B)은 2개의 평행한 제 1 및 제 2 이간된 종벽(260A, 260B)보다 길이가 더 짧다. 중심선(CL)은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단벽(262A, 262B)을 통해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종벽(260A, 260B)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리셉터클 하우징(202A)의 리셉터클 정합측(208A)은 제 1 키잉 구조(270A) 및 제 2 키잉 구조(27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키잉 구조(270A)는 중심선(CL)의 일측 상에 놓이고, 중심선(CL)이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지만, 제 1 키잉 구조(270A)의 전체 경계 영역을 이등분하지 않도록, 중심선(CL)에 접하거나 또는 중심선(CL)을 가로질러도 좋다. 제 2 키잉 구조(270B)는 제 1 키잉 구조(270A)와 비교하여 중심선의 반대측 상의 리셉터클 하우징(202A)의 리셉터클 정합측(208A)에 위치되어도 좋고, 또한 중심선(CL)이 제 2 키잉 구조(270B)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지만, 전체 경계 영역을 이등분하지 않도록, 중심선(CL)에 접하거나 또는 중심선(CL)을 가로질러도 좋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키잉 구조(270A, 270B)는 각각의 제 1 오목부(272A) 및 제 2 오목부(272B)일 수 있으며, 적어도 3개의 측면 또는 표면은 리셉터클 하우징(202A) 및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단벽(262A, 262B)의 각각의 부분에 의해 규정된다. 적어도 3개의 측면의 제 1 및 제 2 오목부(272A, 272B)의 각각은 제 1 측벽, 라인 또는 표면(274), 제 1 측벽(274)과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는 제 2 측벽, 라인 또는 표면(276), 및 제 2 측벽(276)과 교차하는 경사진 측벽, 라인 또는 표면(278)에 의해 규정될 수 있고 또는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일 수 있는 제 1 및 제 2 키잉 구조(270A, 270B)의 각각은 정합 플러그 커넥터의 포스트일 수 있는 대응하는 제 1 키잉 구조 또는 제 2 키잉 구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 1 키잉 구조(270A) 및 제 2 키잉 구조(270B)는 종방향 중심선(CL)과 중앙 중심선(ML) 모두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오프셋의 한 가지 이점은 제 1 및 제 2 키잉 구조(270A, 270B) 및 그 정합 대응부에 존재하는 플라스틱 및 공기를 신호 무결성을 돕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제 1 단벽(262A)에 인접한 리셉터클 하우징(202A)의 일측 상에서는, 경사진 측벽(278)은 중심선(CL)에 접할 수 있고, 중심선(CL)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거나, 또는 중심선(CL)을 통과할 수 있다. 제 2 단벽(262B)에 인접한 리셉터클 하우징(202A)의 대향측 상에서, 제 1 측벽(274)은 중심선(CL)에 접할 수 있고, 일치할 수 있고, 평행할 수 있고, 또는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지만, 중심선(CL)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다. 제 1 키잉 구조(270A) 및 제 2 키잉 구조(270B)는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선(CL)에 수직하고 리셉터클행(204, 210, 220, 206)에 걸쳐 있는 중심선에 대해 미러 이미지일 수 있고, 또는 오프셋 미러 이미지일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200A)의 저부 사시도이다. 가용성 부재(230, 240)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전기 콘택트(110, 120)에 부착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00A)는 하나 이상의 스탠드오프(20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오프(201)는 리셉터클 하우징(202A)의 4개의 코너 중 하나 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임의의 수 및 임의의 위치의 스탠드오프(201)가 사용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00A)를 기판에 연결하기 위해 가용성 부재(230, 240)가 재유동되는 경우에, 스탠드오프(201)는 리셉터클 커넥터(200A)가 기판으로부터 반드시 고정된 거리를 두게 한다. 리셉터클 커넥터(200A)는 기판 상에 리셉터클 하우징(202A)을 자기 정렬시키고, 또한 기판 상에 땜납 패드에 대해 가용성 부재(230, 240)를 대략적으로 정렬하기 위해, 기판 내의 대응하는 정렬 구멍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정렬 페그(280A, 28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제 1 정렬 페그(280A) 및 제 2 정렬 페그(280B)를 도시하지만, 임의의 수의 정렬 페그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정렬 페그(280A, 280B)는,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등을 포함한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정렬 페그(280A, 280B)의 형상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 정렬 페그(280A, 280A) 중 하나 이상의 일부가 중심선(CL)과 교차할 수 있고, 또는 제 1 및 제 2 정렬 페그(280A, 280B) 둘 다가 중심선(CL)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다. 전기 콘택트(110, 120)의 4개의 리셉터클행(204A, 210A, 220A, 206A)이 도시되어 있지만,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행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리셉터클 커넥터(200A)의 리셉터클 하우징(202A)에 의해 담지되는 4개의 전기 콘택트(110A, 120A)를 도시한다. 리셉터클 하우징(202)은 전기 콘택트(110A, 120A)가 스티칭될 수 있는 코어(118A)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콘택트(110A)는 정합 단부(116A)를 포함할 수 있고, 리셉터클 하우징(202A)의 정합측(108A)으로부터 스티칭되어도 좋고, 또한 전기 콘택트(120A)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202)의 실장측(212A)으로부터 스티칭될 수 있다.
도 13∼도 15는 전기 콘택트(110, 110A, 120, 120A)의 4개의 리셉터클행(204B, 210B, 220B, 206B)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200B)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리셉터클행에 있어서 인접한 전기 콘택트(110, 110A, 120, 120A) 사이의 콘택트 피치(P1)는 대략 0.62±0.1mm 사이, 예를 들면 0.635mm일 수 있다. 100개의 전기 콘택트(110, 110A, 120, 120A)의 4개의 리셉터클행을 담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202B)의 길이방향 길이(L1)는 대략 67.6±2mm 사이일 수 있다. 정합 인터페이스에서의 리셉터클 캐피티 길이는 대략 64.7±2mm 사이일 수 있다. 정합 인터페이스의 리셉터클 캐비티 깊이는 대략 7.0±2mm 사이일 수 있다. 2개의 대면하는 정합 단부(116B) 사이의 콘택트 영역 거리(CD)는 대략 1.7±0.1mm이다. 리셉터클 하우징(202B)의 깊이 또는 폭(DW)은 대략 8.5±0.5mm이다. 리셉터클 커넥터(200B)는 실드가 없고, 전력 콘택트가 없을 수 있고, 금속성 크로스토크 실드를 가질 수 있고, 비전도성 자기 흡수 재료 상에 전기 전도성을 가질 수 있고, 또는 자기 흡수 재료가 없을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00B)는 제 1 종벽(260C) 및 제 2 종벽(260D)과 같은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종벽과, 제 1 단벽(262C) 및 제 2 단벽(262D)과 같은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단벽을 규정할 수 있는 리셉터클 하우징(202)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단벽(262C, 262D)은 각각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종벽(260C, 260D)보다 폭이 더 짧을 수 있다. 중심선(CL)은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단벽(262C, 262D)을 통해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종벽(260C, 260D)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중앙 중심선(ML)은 리셉터클 커넥터(200B)의 길이방향 길이를 절반으로 절단하고, 중심선(CL)과 90도 각도로 교차하고,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리셉터클행(204, 210, 220, 206)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리셉터클 커넥터(200B)의 정합 인터페이스는 제 1 키잉 구조(270C) 및 제 2 키잉 구조(270D)를 포함해도 좋다. 제 1 키잉 구조(270C)는 중심선(CL)의 일측 상에 놓일 수 있다. 제 1 키잉 구조(270C)는 중심선(CL)에 접해도 좋고, 또는 중심선(CL)이 제 1 키잉 구조(270C)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지만 제 1 키잉 구조(270C)의 전체 경계 영역을 이등분하지 않도록 중심선(CL)을 가로질러도 좋다. 제 2 키잉 구조(270D)는 제 1 키잉 구조(270C)와 비교하여 중심선의 반대측 상의 리셉터클 커넥터(200B)의 정합 인터페이스 또는 정합측(214)에 위치되어도 좋다. 제 2 키잉 구조(270D)는 중심선(CL)에 접해도 좋고, 또는 중심선(CL)이 제 2 키잉 구조(270D)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지만 전체 경계 영역을 이등분하지 않도록 중심선(CL)을 가로질러도 좋다.
커넥터 하우징이라고도 칭해지는 리셉터클 하우징(202)은 제 1 단벽(262A), 반대측의 제 2 단벽(262C)을 규정하고, 종방향 중심선(CL)을 따라 연장되고, 종방향 중심선(CL)에 수직인 중앙 중심선(ML)을 갖는다. 전기 콘택트의 각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의 이간된 평행 리셉터클행(204, 210, 220, 206)은 리셉터클 하우징(202)에 의해 담지될 수 있다. 전기 콘택트(110, 120)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리셉터클행(204, 210, 220, 206)의 각각은 종방향 중심선(CL)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전기 콘택트(110, 120)의 제 1 리셉터클행(204) 또는 제 1 행은 제 1 행 피치(RP1) 만큼 전기 콘택트(110, 120)의 제 2 리셉터클행(210) 또는 제 2 행으로부터 각각 이간된다. 전기 콘택트(110, 120)의 제 3 리셉터클행(220) 또는 제 3 행은 제 1 행 피치(RP1)보다 수치적으로 더 큰 제 2 행 피치(RP2)만큼 전기 콘택트(110, 120)의 제 2 리셉터클행(210)으로부터 이간된다. 전기 콘택트(110, 120)의 제 4 리셉터클행(206) 또는 제 4 행은 제 1 행 피치(RP1)의 제조 공차와 동일한 또는 동등한 제 3 행 피치(RP3)만큼 전기 콘택트(110, 120)의 제 3 리셉터클행(220)으로부터 이간된다. 제 1 키잉 구조(270A)는 리셉터클 하우징(202)의 제 1 단벽(262A)에 인접하고, 리셉터클 하우징(202)의 정합측(214)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제 2 키잉 구조(270B)는 리셉터클 하우징(202)의 제 2 단벽(262B)에 인접하고, 리셉터클 하우징(202)의 정합측(214)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제 1 키잉 구조(270A) 및 제 2 키잉 구조(270B)는 종방향 중심선(CL)과 중앙 중심선(ML) 모두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키잉 구조(270A 및 270B)는 중앙 중심선(ML)을 따라 서로에 대해 오프셋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키잉 구조(270C, 270D)의 각각은 리셉터클 커넥터(200B)에 의해 규정된 적어도 3개의 측면 또는 표면을 갖는 각각의 제 1 오목부(272C) 및 제 2 오목부(272D), 및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단벽(262C, 262D)의 각각의 일부일 수 있다. 적어도 3면의 제 1 및 제 2 오목부(272C, 272D)의 각각은 제 1 측벽, 라인, 또는 표면(274A), 제 1 측벽(274A)과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는 제 2 측벽, 라인 또는 표면(276A), 및 제 2 측벽(276A)과 교차하는 경사진 측벽, 라인 또는 표면(278A)에 의해 규정될 수 있거나 또는 포함할 수 있다. 제 4 측벽, 라인 또는 표면(282)은 경사진 측벽, 라인 또는 표면(278A)과 교차할 수 있다. 제 5 측벽, 라인 또는 표면(284)은 제 1 측벽, 라인 또는 표면(274A), 및 제 4 측벽, 라인 또는 표면(282)과 교차할 수 있다. 오목부일 수 있는 제 1 및 제 2 키잉 구조(270C, 270D)의 각각은 정합 플러그 커넥터의 포스트일 수 있는 대응하는 제 1 키잉 구조 또는 제 2 키잉 구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단벽(262D)에 인접한 리셉터클 하우징(202B)의 일 단부 상에서, 경사진 측벽(278A)은 중심선(CL)에 접할 수 있거나, 중심선(CL)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거나, 또는 중심선(CL)을 통과할 수 있다. 제 1 단벽(262C)에 인접한 리셉터클 하우징(202B)의 반대측 상에서, 제 1 측벽(274A)은 중심선(CL)에 접할 수 있고, 일치할 수 있고, 평행할 수 있고, 또는 인접하여 위치되지만 이간될 수 있다. 제 1 키잉 구조(270C) 및 제 2 키잉 구조(270D)는 각각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선(CL)에 수직하고 또한 리셉터클행(204B, 210B, 220B, 206B)에 걸쳐 있는 중심선에 대해 미러 이미지로서 위치될 수 있고, 또는 오프셋 미러 이미지로서 위치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의 전체 콘택트 면적 427.04mm2∼대략 440.22mm2(이들 면적 및 그 사이의 임의의 면적을 포함함)에 대해, 실장 콘택트 필드(MF)는 대략 6.8±1mm의 폭을 가질 수 있고, 또한 대략 62.8±1mm의 콘택트 필드 길이(MFL)를 가질 수 있다. 400개의 개별 전기 콘택트가 이들 면적 내에 피팅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00B)의 제 1, 제 2 및 제 3 행 피치(RP1, RP2, RP3)는 각각 대략 2.1∼2.3mm, 대략 2.3∼2.5mm, 및 대략 2.1∼2.3mm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행 피치(RP1), 제 2 행 피치(RP2) 및 제 3 행 피치(RP3)는 각각 2.2±0.05mm, 2.4±0.05mm, 및 2.2±0.05mm일 수 있다. 제 1 행 피치(RP1)는 제 1 리셉터클행(204A)의 중심선과 제 2 리셉터클행(210A)의 중심선 사이의 거리이다. 제 2 행 피치(RP2)는 제 2 리셉터클행(210A)의 중심선과 제 3 리셉터클행(220A)의 중심선 사이의 거리이다. 제 3 행 피치(RP3)는 제 3 리셉터클행(220A)과 제 4 리셉터클행(206A) 사이의 거리이다. 제 1 및 제 2 정렬 페그(280A, 280B)의 각각의 중심과 리셉터클 커넥터(200B)의 길이를 따른 중심선(CL) 사이의 거리는 대략 1.2±0.1mm일 수 있다. 원형 정렬 페그의 직경 및 타원형 정렬 페그의 더 큰 직경은 대략 0.6±0.1mm∼0.8±0.1mm일 수 있다. 타원형 제 2 정렬 페그(280B)의 더 작은 직경은 대략 0.5±0.1mm∼0.7±0.1mm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202B)의 리셉터클 정합측(208B)으로부터 땜납볼과 같은 가용성 부재(230)의 저부까지 측정된 리셉터클 커넥터(200B)의 리셉터클 높이(RH)는 대략 3.7±0.1mm 사이일 수 있다. 커넥터 스탠드오프의 저부와 인접한 정렬 페그의 저부 사이의 스탠드오프 거리(SD)는 대략 0.74±0.05mm일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플러그 커넥터(300A)를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300A)는 제 1 종방향 플러그 벽(360A) 및 제 2 종방향 플러그 벽(360B)과 같은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종벽과, 제 1 플러그 단벽(362A) 및 제 2 플러그 단벽(362B)과 같은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단벽을 규정하는 플러그 하우징(302A) 또는 커넥터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플러그 단벽(362A, 362B)은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종방향 플러그 벽(360A, 360B)보다 길이가 더 짧다. 중심선(CL)은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플러그 단벽(362A, 362B)을 통해,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종방향 플러그 벽(360A, 360B)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플러그 커넥터(300A)는 도 13∼도 15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200B)와 정합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A)의 제 1 플러그행(304A), 제 2 플러그행(310A), 제 3 플러그행(320A), 및 제 4 플러그행(306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상부 사시도는 플러그 커넥터(300A)가 플러그 하우징(302A)의 정합 인터페이스에 인접한 플러그 리브(350A)에 의해 운반되는 백-투-백(back-to-back)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A)의 제 1 플러그행(304A) 및 제 2 플러그행(310A)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플러그 커넥터(300A)는 플러그 하우징(302A)의 정합 인터페이스에 인접한 플러그 리브(350A)에 의해 담지되는 백-투-백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A)의 제 3 플러그행(320A) 및 제 4 플러그행(306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A)의 제 1 플러그행(304A)은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A)의 제 2 플러그행(310A)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A)의 제 3 플러그행(320A)은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A)의 제 2 플러그행(310A)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A)의 제 4 플러그행(306A)은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A)의 제 3 플러그행(320A)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플러그 리브(350A)는 이간되고 서로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제 1 플러그 단벽(362A)으로부터 제 2 플러그 단벽(362B)으로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16은 플러그 리브(350A)와 정합 단부(116C)가 플러그 하우징(302A) 상방으로 돌출되어, 도 13∼도 15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200B)에 의해 규정된 오목부 내로 연장되어 정합된다.
플러그 커넥터(300A) 정합 인터페이스(314)는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370A)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와 같은 적어도 2개의 키잉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370A)는 중심선(CL)의 일측 상에 놓일 수 있거나, 중심선(CL)에 접할 수 있거나, 또는 중심선(CL)이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지만 전체 경계 영역을 이등분하지 않도록 중심선(CL)을 가로지를 수 있다.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370B)는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370A)와 비교하여 중심선(CL)의 반대측 상의 플러그 커넥터(300A)의 정합 인터페이스에 위치되어도 좋고, 또한 중심선(CL)에 접해도 좋고 또는 중심선(CL)이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370B)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지만 전체 경계 영역을 이등분하지 않도록 중심선(CL)을 가로질러도 좋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370A, 370B) 중 하나는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A)의 제 3 플러그행(320A)과 동일한 라인을 따라 부분적으로 놓일 수 있지만,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A)의 제 1, 제 2 및 제 3 플러그행(304A, 310A, 320A)의 라인을 따라 놓일 수는 없다. 나머지 제 1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370A, 370B)중 하나는 전기 콘택트의 제 2 플러그행(310A)과 동일한 라인을 따라 부분적으로 놓일 수 있지만, 전기 콘택트의 제 1, 제 3 및 제 4 플러그행(304A, 320A, 306A)의 라인을 따라 놓일 수는 없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370A, 370B)의 각각은 플러그 하우징(302A)에 의해 규정된 또는 플러그 하우징(302A)에 인접하여 위치된 각각의 돌출부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의 각각은 3개 이상의 측면을 규정할 수 있고, 또한 제 1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374), 제 1 플러그 측벽(374)과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는 제 2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376), 제 2 플러그 측벽(376)과 교차하는 경사진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378), 및 경사진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378) 및 제 1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374)과 교차할 수 있는 제 4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3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370A, 370B)의 각각은 대응하는 제 1 키잉 구조(270A, 270C) 또는 제 2 키잉 구조(270B, 270D)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정합 리셉터클 커넥터(200, 200A, 200B)의 오목부 또는 캐비티일 수 있다. 제 5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382)은 경사진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378)과 제 4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38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플러그 단벽(362A)에 인접하는 플러그 커넥터(300A)의 일측 상에서, 경사진 플러그 측벽(378)은 중심선(CL)에 접할 수 있거나, 중심선(CL)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거나, 또는 중심선(CL)을 통과할 수 있다. 제 2 플러그 단벽(362B)에 인접하는 플러그 커넥터(300A)의 반대측 상에서, 제 1 플러그 측벽(374)은 중심선(CL)에 접할 수 있거나, 일치할 수 있거나, 평행할 수 있거나, 또는 중심선(CL)에 인접하지만 이간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370A)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370B)는 각각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선(CL)에 수직하고 제 1 플러그행, 제 2 플러그행, 제 3 플러그행 및 제 2 플러그행(304A, 310A, 320A, 306A)에 걸쳐 있는 중심선에 대해 미러 이미지로서 위치될 수 있고,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셋 미러 이미지로서 위치될 수 있다.
도 17은 플러그 커넥터(300A)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되지 않은 가용성 부재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A)에 부착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300A)는 플러그 스탠드오프(30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스탠드오프(301)는 플러그 하우징(302A)의 4개의 코너에 위치될 수 있다. 임의의 수 및 임의의 위치의 플러그 스탠드오프(301)가 사용될 수 있다. 플러그 스탠드오프(301)는, 가용성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기판에 플러그 커넥터(300a)를 접속하기 위해 재유동되는 경우에, 플러그 커넥터(300a)가 기판의 실장 표면으로부터 반드시 고정된 거리를 두는 것을 돕는다. 기판의 실장 표면 상의 대응하는 솔더 패드와 플러그 커넥터(300A)의 가용성 요소를 대략적으로 정렬시키기 위해서, 플러그 커넥터(300A)는 미리 천공된 정렬 구멍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제 1 플러그 정렬 페그(384a) 및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384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2개의 플러그 정렬 페그를 도시하지만, 임의의 수의 플러그 정렬 페그(384A, 384B)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384A, 384B)는, 예를 들면 원형 형상, 타원형 형상, 정사각형 형상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384A, 384B)의 형상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384A, 384B) 모두는 중심선(CL)의 동일측 상에 위치될 수 있어서, 제 1 및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384A, 384B) 모두 및 제 1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370A, 370B) 중 하나가 중심선(CL)의 동일측 상에 모두 위치된다. 적어도 2개의 정렬 페그는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A)의 제 2 플러그행(310A) 및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A)의 제 3 플러그행(320A) 중 하나와 동일 라인 상에 놓일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00, 200A, 200B)와 플러그 커넥터(300, 300A)의 정합되는 높이는 대략 10±1mm일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300, 300A) 및 리셉터클 커넥터(200, 200A, 200B) 모두는 개방형 핀 필드 콘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플러그 커넥터(300B)를 도시한다. 도 19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300B)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300A)와 유사하다. 하나의 차이는 도 19에 도시된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370C)는 제 3 플러그행(320B)과 동일 라인 상에 놓여 있고, 도 16에 도시된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370A)는 제 3 플러그행(320A)과 동일 라인을 따라 놓인다는 것이다. 또 다른 차이는 도 19에 도시된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370D)는 제 3 플러그행(320B)과 동일 라인 상에 놓이고, 도 16에 도시된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370B)는 제 2 플러그행(310A)과 동일 라인을 따라 놓인다는 것이다.
도 19는 2개의 제 1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B) 및 2개의 제 2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C), 및 임의의 플러그 커넥터(300, 300A, 300B)를 도시한다. 플러그 하우징(302, 302A)은 제 1 및 제 2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B, 308C)가 플러그 하우징(302, 302A)의 실장측(386)으로부터 스티칭될 수 있는 코어(118C) 및 오목부(104A)를 포함한다. 플러그 고정 구조(388, 390)는 상이한 높이에서 플러그 하우징(302, 302A)과 계합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B)는 인접한 제 1 또는 제 2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B, 308C)의 플러그 고정 구조(388, 390)와 대향하는 인덴트(392, 39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용성 요소(330, 340)는 제 1 또는 제 2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B, 308C)의 실장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300, 300A, 300B)의 상면으로부터 솔더볼과 같은 가용성 요소(330)의 저부면까지 측정된 플러그 커넥터(300, 300A, 300B)의 플러그 높이(PH)는 대략 8.4±0.5mm 사이일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405)는 제 1 종벽(407A) 및 제 2 종벽(407B)과 같은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종벽과, 제 1 단벽(409A) 및 제 2 단벽(409B)과 같은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단벽을 규정하는 리셉터클 하우징(406)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단벽(409A, 409B)은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종벽(407A, 407B)보다 길이가 더 짧다. 중심선(CL)은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단벽(409A, 409B)을 통해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종벽(407A, 407B)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리셉터클 커넥터(405) 또는 리셉터클 하우징(406)의 정합 인터페이스는 제 1 키잉 구조(410A) 및 제 2 키잉 구조(410B)를 포함해도 좋다. 제 1 키잉 구조(410A)는 중심선(CL)의 일측 상에 놓일 수 있고, 또한 중심선(CL)에 접하거나 또는 중심선(CL)이 제 1 키잉 구조(410A)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지만 전체 경계 영역 또는 둘레를 이등분하지 않도록 중심선(CL)을 가로질러도 좋다. 제 2 키잉 구조(410B)는 제 1 키잉 구조(410A)와 비교하여 중심선(CL)의 반대측 상의 리셉터클 하우징(406)의 정합 인터페이스에 위치되어도 좋고, 또한 중심선(CL)에 접하거나 또는 중심선(CL)이 제 2 키잉 구조(410B)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지만 전체 경계 영역 또는 둘레를 이등분하지 않도록 중심선(CL)을 가로질러도 좋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키잉 구조(410A, 410B)는 리셉터클 하우징(406)에 의해 규정된 적어도 3개의 벽측면 또는 벽면 및 4개 또는 5개의 전체 측면 또는 표면을 갖는 각각의 제 1 오목부(408A) 및 제 2 오목부(408B), 및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단벽(409A, 409B)의 각각의 일부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오목부(408A, 408B)의 각각은 제 1 측벽, 라인 또는 표면(412A), 제 2 측벽, 라인 또는 표면(414B), 경사진 측벽, 라인 또는 표면(416), 제 4 측벽, 라인 또는 표면(412B), 및 제 5 측벽, 라인 또는 표면(414A)에 의해 규정된 경계 영역 또는 둘레를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키잉 구조(410A, 410B)에 대해, "벽"은 또한 라인, 표면 또는 부분 벽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측벽(412A) 및 제 4 측벽(412B)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제 2 측벽(414B) 및 제 5 측벽(414A)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제 1 측벽(412A) 및 제 2 측벽(414B)은 직각을 형성하도록 교차할 수 있다. 경사진 측벽(416)은 제 2 측벽(414B)과 교차할 수 있다. 제 4 측벽(412B)은 제 1 측벽(412A)에 평행할 수 있고, 경사진 측벽(416)과 교차할 수 있다. 제 5 측벽(414A)은 제 2 측벽(414B)에 평행할 수 있고, 제 1 측벽(412A) 및 제 4 측벽(412B)과 교차할 수 있다. 제 2 측벽(414B)은 제 1 측벽(412A) 및 제 5 측벽(414A)보다 길이가 더 짧을 수 있다. 제 4 측벽(412B)은 길이가 최단인 측벽일 수 있다. 오목부일 수 있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키잉 구조(410A, 410B)의 각각은 포스트 또는 플러그 하우징(505)에 의해 규정되거나 또는 플러그 하우징(505)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1 또는 제 2 볼록부(508A, 508B)일 수 있는 도 24에 도시된 대응하는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510A) 또는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510B)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리셉터클 커넥터(405)의 제 1 키잉 구조(410A)는 플러그 하우징(505)의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510B)를 수용할 수 있고, 리셉터클 하우징(406)의 제 2 키잉 구조(410B)는 플러그 하우징(505)의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510A)를 수용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405) 또는 리셉터클 하우징(406)은 전기 콘택트(110, 110A, 120)의 4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리셉터클행(420, 422, 424, 426)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콘택트(110, 110A, 120)의 제 1 리셉터클행(420) 및 전기 콘택트(110, 110A, 120)의 제 4 리셉터클행(426)은 리셉터클 하우징(406)의 각각의 제 1 종벽(407A) 및 제 2 종벽(407B)의 내부를 따라 연장된다. 전기 콘택트(110, 110A, 120)의 제 2 리셉터클행(422) 및 전기 콘택트(110, 110A, 120)의 제 3 리셉터클행(424)은 리셉터클 커넥터(405) 또는 리셉터클 하우징(406)의 중간 하방에 단부로부터 단부까지 연장되는 내부 리브(428)를 따라 백-투-백 연장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405)가 4개의 평행하고 이간되고 실드가 없는 행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수의 전기 콘택트(110, 110A, 120)의 행이 사용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405)의 전기 콘택트(110, 110A, 120)는 도 4∼도 8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2개의 방향으로부터 스티칭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405)는 크로스토크 실드 및 자기 흡수 손실 재료 중 어느 것도 없을 수 있고, 또는 임의의 수의 크로스토크 실드 또는 전기전도성 또는 비전도성 자기 흡수 손실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솔더볼과 같은 가용성 요소는 전기 콘택트(110, 110A, 120)의 각각의 것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콘택트(110, 110A, 120)는 압입 핀 또는 아이-오브-니들(eye-of-the needles), J-리드(J-lead), 또는 다른 구성으로 종단될 수 있다.
제 1 단벽(409A)에 인접한 리셉터클 커넥터(405) 또는 리셉터클 하우징(406)의 일측 상에서, 제 4 측벽(412B)은 중심선(CL)에 접할 수 있거나, 일치될 수 있거나, 또는 인접하지만 이간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제 1 측벽(412A)은 중심선(CL)에 평행하게 이간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제 2 단벽(409B)에 인접한 리셉터클 커넥터(405) 또는 리셉터클 하우징(406)의 대향측 상에서, 제 1 측벽(412A)은 중심선(CL)에 접할 수 있거나, 일치할 수 있거나, 또는 인접하지만 이간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제 4 측벽(412B)은 중심선(CL)에 평행하게 이간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제 1 키잉 구조(410A) 및 제 2 키잉 구조(410B)는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키잉 구조(410B)는 중심선(CL)에 수직인 중앙 중심선(ML)에 대해 제 1 키잉 구조(410A)의 미러 이미지일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405)의 실장 인터페이스는 제 1 정렬 페그(401) 및 제 2 정렬 페그(40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선(CL)은 제 1 정렬 페그(401)를 통과할 수 있고, 제 1 정렬 페그(401)는 중심선(CL)이 통과하는 중심점(CP)을 가져도 좋다. 제 2 정렬 페그(402)는 중심선(CL)이 제 2 정렬 페그(402)와 교차하지 않도록 중심선(CL)의 어느 한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정렬 페그(402)는 제 1 키잉 구조(410A) 하방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 1 정렬 페그(401)는 제 2 키잉 구조(410B) 하방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 2 정렬 페그(402) 및 전기 콘택트(110, 110A, 120)의 제 2 리셉터클행(422)은 모두, 중심선(CL2)이 전기 콘택트(110, 110A, 120)의 제 2 리셉터클행(422) 및 제 2 정렬 페그(402)를 통과하도록, 중심선(CL)에 평행하게 이간되어 있는 중심선(CL2)을 따라 놓일 수 있다. 제 1 정렬 페그(401)는 대략 0.8±0.05mm의 직경을 갖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 2 정렬 페그(402)는 대략 0.8±0.05mm 및 0.6±0.05mm의 직경을 갖는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정렬 페그(401)는 리셉터클 하우징(406) 또는 커넥터 하우징의 제 1 단벽(409A)에 인접하고 또한 리셉터클 하우징(406)의 실장 인터페이스(430)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2 정렬 페그(402)는 리셉터클 하우징(406)의 제 2 단벽(409B)에 인접하고 또한 리셉터클 하우징(406)의 실장 인터페이스(430)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1 정렬 페그(401) 및 제 2 정렬 페그(402)는 둘 다 종방향 중심선(CL)과 중앙 중심선(ML)모두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 1 리셉터클행(420)과 제 2 리셉터클행(422)의 각각의 전기 콘택트 중심 사이의 제 1 행 피치(RP1)는 대략 2.2±0.005mm, 2.2±0.1mm 또는 2.2±0.05mm일 수 있다. 제 2 리셉터클행(422)과 제 3 리셉터클행(424)의 각각의 전기 콘택트 중심 사이의 제 2 행 피치(RP2)는 대략 2.4±0.005mm, 2.4±0.1mm 또는 2.4±0.05mm일 수 있다. 제 3 리셉터클행(424)과 제 4 리셉터클행(426)의 각각의 전기 콘택트 중심 사이의 제 3 행 피치(RP3)는 대략 2.2±0.005mm, 2.2±0.1mm 또는 2.2±0.05mm일 수 있다.
도 23은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405)의 상부 사시도이다.바로 인접한 전기 콘택트(110, 110A, 120)는 0.65±0.05 중심선 상에서 이간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405)는 400개의 전기 콘택트(110, 110A, 120)를 100개의 전기 콘택트의 4개의 행으로 담지할 수 있다
도 24∼도 26은 예시적인 플러그 커넥터(500)를 도시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505) 또는 커넥터 하우징은 제 1 종방향 플러그 벽(507A) 및 제 2 종방향 플러그 벽(507B)과 같은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종벽과, 제 1 플러그 단벽(509A) 및 제 2 플러그 단벽(509B)과 같은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단벽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단벽(509A, 509B)은 2개의 제 1 및 제 2 종방향 플러그 벽(507A, 507B)보다 길이가 더 짧다. 종방향 중심선(CL3)은 제 1 및 제 2 플러그 단벽(509A,509B)을 통해 제 1 및 제 2 종방향 플러그 벽(507A, 507B)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플러그 커넥터(500) 또는 플러그 하우징(505)의 정합 인터페이스는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510A)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510B)를 포함해도 좋다.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510A)는 종방향 중심선(CL3)의 일측 상에 있을 수 있고 또한 종방향 중심선(CL3)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고, 종방향 중심선(CL3)에 접할 수 있고, 또는 종방향 중심선(CL3)이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510A)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지만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510A)의 전체 경계 영역 또는 둘레를 이등분하지 않도록 종방향 중심선(CL3)을 가로지를 수 있다.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510B)는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510A)와 비교하여 종방향 중심선(CL3)의 대향측 상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500) 또는 플러그 하우징(505)의 정합 인터페이스에 위치되어도 좋고, 또한 종방향 중심선(CL3)으로부터 이간되거나, 종방향 중심선(CL3)에 접하거나, 또는 종방향 중심선(CL3)이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510B)의 전체 경계 영역 또는 둘레를 이등분하지 않고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510B)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도록 종방향 중심선(CL3)을 가로질러도 좋다.
플러그 커넥터(500)는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 308A, 308B, 308C)의 제 1 플러그행(520),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 308A, 308B, 308C)의 제 2 플러그행(522),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 308A, 308B, 308C)의 제 3 플러그행(524), 및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 308A, 308B, 308C)의 제 4 플러그행(526)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500)는 플러그 하우징(505)의 정합 인터페이스에 인접한 플러그 리브(528)에 의해 담지된 백-투-백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 308A, 308B, 308C)의 제 1 플러그행(520) 및 제 2 플러그행(52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500)는 플러그 하우징(505)의 정합 인터페이스에 인접한 플러그 리브(528)에 의해 담지된 백-투-백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 308A, 308B, 308C)의 제 3 플러그행(524) 및 제 4 플러그행(5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 308A, 308B, 308C)의 제 1 플러그행(520)은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 308A, 308B, 308C)의 제 2 플러그행(522)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 308A, 308B, 308C)의 제 3 플러그행(524)은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 308A, 308B, 308C)의 제 2 플러그행(522)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 308A, 308B, 308C)의 제 4 플러그행(526)은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 308A, 308B, 308C)의 제 3 플러그행(524)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플러그 리브(528)는 이간될 수 있고, 서로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제 1 플러그 단벽(509A)으로부터 제 2 플러그 단벽(509B)으로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 인터페이스(518)에서의 플러그 리브(528) 및 정합 단부(116C)는 플러그 하우징(505)에 의해 규정된 단차 위로 돌출될 수 있어서, 플러그 리브(528) 및 정합 단부(116C)가 정합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해 규정된 오목부 내로 연장되어 정합된다.
재차 도 24를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500)의 정합 인터페이스(518)는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510A)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510B)와 같은 적어도 2개의 키잉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510A)는 종방향 중심선(CL3)의 일측 상에 놓일 수 있거나, 종방향 중심선(CL3)에 접할 수 있거나, 또는 종방향 중심선(CL3)이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510A)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지만 전체 경계 영역을 이등분하지 않도록 종방향 중심선(CL3)을 가로지를 수 있다.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510B)는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510A)와 비교하여 종방향 중심선(CL3)의 반대측 상의 플러그 커넥터(500)의 정합 인터페이스(518)에 위치되어도 좋고, 또한 종방향 중심선(CL3)에 접해도 좋고 또는 종방향 중심선(CL3)이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510B)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지만 전체 경계 영역을 이등분하지 않도록 종방향 중심선(CL3)을 가로질러도 좋다.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510A)는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 308A, 308B, 308C)의 제 3 플러그행(524)과 동일한 라인을 따라 부분적으로 놓일 수 있지만,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 308A, 308B, 308C)의 제 1, 제 2 및 제 4 플러그행(520, 522, 526)의 라인을 따라 놓이지 않는다.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510B)는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 308A, 308B, 308C)의 제 2 플러그행(522)과 동일한 라인을 따라 부분적으로 놓일 수 있지만,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 3008A, 308B, 308C)의 제 1, 제 3 및 제 4 플러그행(520, 524, 526)의 라인을 따라 놓일 수 없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510A, 510B)의 각각은 플러그 하우징(505)에 의해 규정되거나 또는 플러그 하우징(505)에 인접하여 위치된 각각의 제 1 돌출부(508A) 또는 제 2 돌출부(508B)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510A, 510B)의 각각은 3개 이상의 측면을 규정할 수 있고, 또한 제 1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512A), 제 1 플러그 측벽(512A)과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는 제 2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514B), 제 2 플러그 측벽(514B)과 교차하는 경사진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516), 제 4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512B), 및 제 5 플러그 측벽(514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4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512B)은 경사진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516) 및 제 5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514A)과 교차할 수 있다. 제 5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514A)은 제 4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512B) 및 제 1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512A)과 교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510A, 510B)의 각각은 정합 리셉터클 커넥터(200, 200A, 200B)의 대응하는 제 1 키잉 구조(270A, 270C) 또는 제 2 키잉 구조(270B, 270D)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 1 플러그 단벽(509A)에 인접하는 플러그 커넥터(500) 또는 플러그 하우징(505)의 일측 상에서, 제 1 플러그 측벽(512A)은 종방향 중심선(CL3)에 접할 수 있거나, 종방향 중심선(CL3)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거나, 또는 종방향 중심선(CL3)을 통과할 수 있다. 제 2 플러그 단벽(509B)에 인접하는 플러그 커넥터(500) 또는 플러그 하우징(505)의 반대측 상에서, 제 4 플러그 측벽(512B)은 종방향 중심선(CL3)에 접할 수 있거나, 일치할 수 있거나, 평행할 수 있거나, 또는 종방향 중심선(CL3)에 인접하지만 이간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510A)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510B)는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종방향 중심선(CL3)과 수직하고 제 1 플러그행, 제 2 플러그행, 제 3 플러그행 및 제 4 플러그행(520, 522, 524, 526)을 가로지는 중심선(ASF)에 대해 미러 이미지로서 위치될 수 있고,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선(ASF)에 대한 오프셋 미러 이미지로서 위치될 수 있다.
도 25는 플러그 커넥터(500A)의 저면도이다. 도시되지 않은 가용성 부재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 308A, 308B, 308C)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 308A, 308B, 308C)는 J-리드, 압입 핀 또는 아이 오브 니들로 종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적절한 종단으로 종단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500)는 플러그 스탠드오프(5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스탠드오프(301)는 플러그 하우징(505)의 4개의 코너에 위치될 수 있다. 플러그 스탠드오프(530)의 임의의 수 및 임의의 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플러그 스탠드오프(530)는 기판에 플러그 커넥터(500A)를 연결하기 위해 가용성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재유동되는 경우에, 플러그 커넥터(500A)가 기판의 실장 표면으로부터 반드시 고정된 거리를 두는 것을 돕는다. 플러그 커넥터(500)는 플러그 커넥터(500)의 가용성 요소를 기판의 실장 표면 상의 대응하는 솔더 패드와 대략적으로 정렬시키기 위해서, 미리 천공된 정렬 구멍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제 1 플러그 정렬 페그(532) 및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5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제 1 및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532, 534)를 도시하지만, 임의의 수의 플러그 정렬 페그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532, 534)는, 예를 들면 원형 형상, 타원형 형상, 정사각형 형상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532, 534)의 형상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532, 534)는 모두 종방향 중심선(CL3)의 동일측 상에 위치될 수 있어서, 제 1 및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532, 534) 모두 및 제 1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510A, 510B) 중 하나가 모두 종방향 중심선(CL3)의 동일측 상에 위치된다. 제 1 플러그 단벽(509A)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는 제 1 정렬 페그(532)는 전기 플러그 콘택트(308, 308A-C)의 제 3 플러그행(524)과 동일한 라인 상에 놓일 수 있다.
종방향 중심선(CL3)은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534)를 통과할 수 있고,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534)는 종방향 중심선(CL3)이 통과하는 중심점(CP2)을 가져도 좋다. 종방향 중심선(CL3)이 제 1 플러그 정렬 페그(532)와 교차하지 않도록, 제 1 플러그 정렬 페그(532)는 종방향 중심선(CL3)의 어느 한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플러그 정렬 페그(532)는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510A)의 둘레 하방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534)는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510B)의 둘레 하방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전기 플러그 콘택트의 제 1 플러그 정렬 페그(532) 및 제 3 플러그행은 모두 종방향 중심선(CL3)에 평행하고 종방향 중심선(CL3)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중심선(CL4)을 따라 놓일 수 있다.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534)는 플러그 커넥터(500)의 종방향 중심선(CL3)과 정렬되어 좋은 반면, 제 1 플러그 정렬 페그(532)는 플러그 커넥터(500)의 종방향 중심선(CL3)으로부터 대략 1.2±0.05mm∼대략 1.3±0.05mm 사이의 거리이어도 좋다. 제 1 플러그 정렬 페그(532)는 대략 0.8±0.05mm의 직경을 갖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534)는 대략 0.8±0.05mm 및 0.6±0.05mm의 직경을 갖는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플러그행(520)과 제 2 플러그행(522)의 각각의 전기 콘택트 중심 사이의 제 1 행 피치(RP1)는 대략 2.2±0.1mm, 2.2±0.05mm 또는 2.2±0.005mm일 수 있다. 제 2 플러그행(522)과 제 3 플러그행(524)의 각각의 전기 콘택트 중심 사이의 제 2 행 피치(RP2)는 대략 2.4±0.1mm, 2.4±0.05mm 또는 2.4±0.005mm일 수 있다. 제 3 플러그행(524)과 제 4 플러그행(526)의 각각의 전기 콘택트 중심 사이의 제 3 행 피치(RP3)는 대략 2.2±0.1mm, 2.2±0.05mm 또는 2.2±0.005mm일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600)는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종벽(607A, 607B) 및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단벽(609A, 609B)에 의해 규정될 수 있는 리셉터클 하우징(605)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단벽(609A, 609B)은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종벽(607A, 607B)보다 길이가 더 짧을 수 있다. 종방향 중심선(CL5)은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단벽(609A, 609B)을 통해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종벽(607A, 607B)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리셉터클 하우징(605)의 정합 인터페이스(604)는 제 1 리셉터클 키잉 구조(610A) 및 제 2 리셉터클 키잉 구조(610B)를 포함해도 좋다. 제 1 리셉터클 키잉 구조(610A)는 제 1 리셉터클 키잉 구조(610A)가 중심선(CL5)에 대해 비대칭이도록 종방향 중심선(CL5) 상에 놓인다. 제 2 키잉 구조(610B)는 제 1 리셉터클 키잉 구조(610A)와 비교해서 종방향 중심선(CL5)의 반대측 상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하우징(605)의 정합 인터페이스(604)에 위치되어도 좋고, 또한 제 2 길이방향 키잉 구조(610B)가 종방향 중심선(CL5)에 대해 비대칭이고 중앙 중심선(ML5)에 대해 비대칭이도록 종방향 중심선(CL5) 상에 놓일 수 있다. 제 1 리셉터클 키잉 구조(610A) 및 제 2 리셉터클 키잉 구조(610B)는 서로에 대해 및 중간 중심선(CL5)에 대해 오프셋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키잉 구조(610A, 610B)는 서로의 오프셋 미러 이미지일 수 있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키잉 구조(610A, 610B)는 리셉터클 하우징(605)에 의해 규정된 4개 또는 5개의 측면 또는 표면을 각각 갖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오목부(608A, 608B), 및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단벽(609A, 609B)의 각각의 부분일 수 있다. 각각 5개의 측면을 갖는 제 1 및 제 2 오목부(608A, 608B)는 제 1 측벽, 라인 또는 표면(612A), 제 2 측벽, 라인 또는 표면(614B), 경사진 측벽, 라인 또는 표면(616), 제 4 측벽, 라인 또는 표면(612B), 및 제 5 측벽, 라인 또는 표면(614A)에 의해 규정된 둘레를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키잉 구조(610A, 610B)와 관련하여, 용어 벽은 라인 또는 표면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되어야만 한다. 제 5 및 제 2 측벽(614A, 614B)은 제 1 측벽(612A)과 각각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 4 측벽(612B)은 제 5 측벽(614A)과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 4 측벽(612B)은 임의의 다른 측벽(612A, 614B, 616, 614A)보다 길이가 짧다. 오목부일 수 있는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키잉 구조(610A, 610B)의 각각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705)의 포스트 또는 돌출부인 대응하는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710A) 또는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710B)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단벽(609A)에 인접한 리셉터클 하우징(605)의 일측 상에서, 제 1 및 제 4 측벽(612A, 612B)은 종방향 중심선(CL5)으로부터 균등하게 이간될 수 있다. 제 2 단벽(609B)에 인접한 리셉터클 하우징(605)의 반대측 단부 상에서, 종방향 중심선(CL5)은 제 2 측벽(614B)의 교차부(I) 및 경사진 측벽(616)과 교차할 수 있다. 제 1 측벽(612A) 및 제 4 측벽(612B)은 종방향 중심선(CL5)으로부터 불균등하게 이간될 수 있거나 또는 불균일하게 이간될 수 있다. 제 1 키잉 구조(610A) 및 제 2 키잉 구조(610B)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동일한 둘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키잉 구조(610B)는 종방향 중심선(CL)에 대해, 중앙 중심선(ML5)에 대해, 또는 종방향 중심선(CL)과 중앙 중심선(ML5) 모두에 대해 제 2 키잉 피처(610A)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제 1 리셉터클 키잉 구조(610A)는 종방향 중심선(CL5)에 대해 수직인 중앙 중심선(ML5)에 대해 제 2 키잉 구조(610B)의 미러 이미지일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605)의 실장측 또는 인터페이스(620)는 제 1 정렬 페그(601) 및 제 2 정렬 페그(602)를 포함할 수 있다. 종방향 중심선(CL5)은 제 1 정렬 페그(601)를 통과할 수 있고, 제 1 정렬 페그(601)는 종방향 중심선(CL5)이 통과하는 중심점(CP3)을 가져도 좋다. 제 2 정렬 페그(602)는 종방향 중심선(CL5)이 제 2 정렬 페그(602)와 교차하지 않도록 종방향 중심선(CL5)의 어느 한 측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정렬 페그(602)는 도 27에 도시된 제 1 리셉터클 키잉 구조(610A)에 의해 규정된 둘레 하방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 1 정렬 페그(601)는 도 27의 제 2 키잉 구조(610B)에 의해 규정된 둘레 하방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정렬 페그(602)는 제 2 정렬 페그(602)가 제 1 리셉터클 키잉 구조(610A) 하방에 부분적으로도 위치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 1 정렬 페그(601)는 대략 0.8±0.05의 직경을 갖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 2 정렬 페그(602)는 대략 0.8±0.05mm 및 0.6±0.05mm의 치수를 갖는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705)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700)는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되고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종방향 플러그 벽(707A, 707B) 및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플러그 단벽(709A, 709B)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2개의 평행하고 대향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플러그 단벽(709A, 709B)은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종방향 플러그 벽(707A, 707B)보다 길이가 더 짧을 수 있다. 종방향 중심선(CL6)은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플러그 단벽(709A, 709B)을 통해 2개의 평행하고 이간된 제 1 및 제 2 종방향 플러그 벽(707A, 707B)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플러그 하우징(705)의 정합 인터페이스(704)는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710A)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710B)를 포함해도 좋다.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710A)는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710A)가 종방향 중심선(CL6)에 대해 비대칭이도록 종방향 중심선(CL6) 상에 놓일 수 있다.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710B)는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710A)와 비교하여 종방향 중심선(CL6)의 반대측 상에서의 플러그 하우징(705)의 정합 인터페이스(704)에 위치되어도 좋고, 또한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710B)가 종방향 중심선(CL6)에 대해 비대칭이도록 종방향 중심선(CL6) 상에 놓일 수 있다.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710A)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710B)는 종방향 중심선(CL6)에 대해 서로에 관해 오프셋될 수 있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710A, 710B)는 종방향 중심선(CL6)에 수직하고,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플러그행(730, 740, 750, 760)에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각각의 4개의 측면 또는 5개의 측면의 제 1 및 제 2 돌출부(708A, 708B)를 각각 규정할 수 있다. 전기 콘택트(308, 308A, 308B)의 제 1 플러그행은 제 1 행 피치(RP1) 만큼 제 2 플러그행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다. 전기 콘택트(308, 308A, 308B)의 제 2 플러그행은 제 2 행 피치(RP2) 만큼 전기 콘택트(308, 308A, 308B)의 제 3 플러그행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다. 전기 콘택트(308, 308A, 308B)의 제 3 플러그행은 제 3 행 피치(RP3)만큼 전기 콘택트(308, 308A, 308B)의 제 4 플러그행으로부터 이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행 피치(RP1) 및 제 3 행 피치(RP3)는 본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 2 행 피치(RP1)는 제 1 행 피치(RP1) 또는 제 3 행 피치(RP3)보다 수치적으로 더 크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710A, 710B)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600)의 대응하는 제 1 리셉터클 키잉 구조(610A) 또는 제 2 리셉터클 키잉 구조(610B)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플러그 하우징(705)의 제 1 및 제 2 돌출부(708A, 708B)는 리셉터클 커넥터(600)의 각각의 제 1 및 제 2 오목부(608A, 608B)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리셉터클 하우징(605)의 제 1 리셉터클 키잉 피처(610A)는 플러그 커넥터(700)의 제 2 플러그 키잉 피처(710B)를 수용할 수 있고, 리셉터클 하우징(605)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600)의 제 2 리셉터클 키잉 피처(610B)는 플러그 커넥터(700)의 제 1 플러그 키잉 피처(710A)를 수용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710A, 710B)의 각각은 제 1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712A), 제 2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714B), 경사진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716), 제 4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712B), 및 제 5 플러그 측벽, 라인 또는 표면(714A)을 포함하는 4개의 측면 또는 5개의 측면의 둘레 또는 다른 기하학적 형상의 둘레를 가질 수 있다. 제 5 및 제 2 플러그 측벽(714A, 714B)은 제 1 플러그 측벽(712A)과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 4 플러그 측벽(712B)은 제 5 플러그 측벽(714A)과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 4 플러그 측벽(712B)은 임의의 다른 플러그 측벽(712A, 714A, 714B, 716)보다 폭 또는 두께가 더 짧을 수 있다. 제 1 및 제 2 오목부(608A, 608B)일 수 있는, 상기 논의된 리셉터클 하우징(605)의 제 1 및 제 2 리셉터클 키잉 구조(610A, 610B)의 각각은 대응하는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710A) 또는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710B)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710A)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710B)는 모두 플러그 하우징(705)에 의해 규정되거나 또는 인접하여 위치된 포스트 또는 제 1 및 제 2 돌출부(708A, 708B)일 수 있다.
제 1 플러그 단벽(709A)에 인접한 플러그 하우징(705)의 일측 상에 있어서, 종방향 중심선(CL6)은 제 2 플러그 측벽(714B)과 경사진 플러그 측벽(716)의 교차점(I)에서 제 1 돌출부(708A)와 교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4 플러그 측벽(712A, 712B)은 종방향 중심선(CL6)으로부터 불균등하게 이간되거나 또는 불균일하게 이간될 수 있다. 플러그 단벽(709B)에 인접한 플러그 하우징(705)의 대향 단부 상에 ㅇ있어서, 제 1 및 제 4 플러그 측벽(712A, 712B)은 종방향 중심선(CL6)으로부터 균등하게 이간될 수 있다.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710A)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710B)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710B)는 종방향 중심선(CL6)에 수직이고 제 1 및 제 2 플러그행(730, 740)에 수직인 중앙 중심선(ML6)에 대해서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710B)의 미러 이미지일 수 있다.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710A) 및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710B)는 중심선(CL6)에 대해 서로에 관해서 오프셋될 수 있고, 중앙 중심선(ML6)에 대해 서로에 관해서 오프셋될 수 있고, 또는 둘 다일 수 있다.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710A)는 종방향 중심선(CL6)에 수직인 중앙 중심선(ML6)에 관해서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710B)의 미러 이미지일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700) 또는 플러그 하우징(705)의 실장측(720) 인터페이스는 제 1 플러그 정렬 페그(701) 및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702)를 포함할 수 있다. 종방향 중심선(CL6)은 제 1 플러그 정렬 페그(701)를 통과할 수 있고, 제 1 플러그 정렬 페그(701)는 종방향 중심선(CL6)이 통과하는 중심점(CP4)을 가져도 좋다.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702)는 종방향 중심선(CL6)과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702)가 교차하지 않도록 종방향 중심선(CL6)의 어느 한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플러그 정렬 페그(701)는 도 29의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710A) 또는 제 2 플러그 키잉 구조(710B)에 의해 규정된 둘레 하방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702)는 도 29의 제 1 플러그 키잉 구조(710A)에 의해 규정된 둘레 하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거나 또는 전혀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플러그 정렬 페그(701)는 대략 0.8±0.05mm 및 0.6±0.05mm의 직경을 갖는 타원형 형상을 규정할 수 있다.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702)는 대략 0.8±0.05mm의 직경을 갖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플러그 정렬 페그(701)가 타원 형상을 규정하고,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702)가 원형 형상을 규정하도록, 제 1 및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를 역으로 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플러그 정렬 페그(701, 702)는 종방향 중심선(CL6)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중앙 중심선(ML6)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또는 종방향 중심선(CL6)과 중간 중심선(ML6)에 대해 비대칭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31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리셉터클 커넥터 또는 플러그 커넥터의 가용성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패드(802)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도터 카드, 또는 백플레인과 같은 기판(800)의 레이아웃의 예를 도시한다. 제 1 패드행(804)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과 제 2 패드행(806)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 사이에서 측정된 제 1 패드행 피치(PRP1)는 2.2±0.2mm, 또는 실장 리셉터클행 또는 플러그행에 대응하는 임의의 다른 피치일 수 있다. 제 2 패드행(806)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과 제 3 패드행(808)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 사이에서 측정된 제 2 패드행 피치(PRP2)는 2.4±0.2mm, 또는 실장 리셉터클행 또는 플러그행에 대응하는 임의의 다른 피치일 수 있다. 제 3 패드행(808)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과 제 4 패드행(810)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 사이에서 측정된 제 3 패드행 피치(PRP3)는 2.2±0.2mm, 또는 실장 리셉터클행 또는 플러그행에 대응하는 임의의 다른 피치일 수 있다.
제 1 패드행(804)은 적어도 100개의 패드(8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패드행(806)은 적어도 100개의 패드(8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패드행(808)은 적어도 100개의 패드(8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패드행(810)은 적어도 100개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802)는 패드행당 60개를 초과한 임의의 수, 적어도 100개, 적어도 150개, 또는 60개를 초과하고 150개 미만의 패드의 임의의 전체 패드수일 수 있다. 제 1 정렬 구멍(812)은 0.8±0.05mm×0.6±0.05mm일 수 있고, 패드(802)의 제 2 패드행(806)과 동일한 라인을 따라 놓일 수 있거나 또는 패드(802)의 제 2 패드행(806)과 일치될 수 있다. 제 2 정렬 구멍(814)은 직경이 0.8±0.05mm일 수 있고, 제 2 및 제 3 패드행(806, 808) 사이에 등거리로 평행하게 위치된 중심선(CL)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또한 제 2 패드행의 제 1 패드(816)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도 32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리셉터클 커넥터 또는 플러그 커넥터의 가용성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패드(802A)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도터 카드 또는 백플레인과 같은 기판(800A)의 풋프린트 레이아웃의 예를 도시한다. 제 1 패드행(804A)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과 제 2 패드행(806A)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 사이에서 측정된 제 1 패드행 피치(PRP1)는 2.2±0.2mm, 또는 실장 리셉터클행 또는 플러그행에 대응하는 임의의 다른 피치일 수 있다. 제 2 패드행(806A)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과 제 3 패드행(808A)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 사이에서 측정된 제 2 패드행 피치(PRP2)는 2.4±0.2mm, 또는 실장 리셉터클행 또는 플러그행에 대응하는 임의의 다른 피치일 수 있다. 제 3 패드행(808A)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과 제 4 패드행(810A)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 사이에서 측정된 제 3 패드행 피치(PRP3)는 2.2±0.2mm, 또는 실장 리셉터클행 또는 플러그행에 대응하는 임의의 다른 피치일 수 있다.
제 1 정렬 구멍(812A)은 패드(802A)의 제 3 패드행(808A)과 동일한 라인 상에 놓일 수 있다. 제 2 정렬 구멍(814A)은 제 2 패드행(806A)과 제 3 패드행(808A) 사이에, 제 2 패드행(806A)에 있어서의 제 1 패드(816A) 및 제 3 패드행(808A)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1 패드행(804A)은 적어도 100개의 패드(80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패드행(806A)은 적어도 100개의 패드(80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패드행(808A)은 적어도 100개의 패드(80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패드행(810A)은 적어도 100개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정렬 구멍(812A)은 직경이 0.8±0.05mm일 수 있고, 패드(802A)의 제 3 패드행(808A)과 동일한 라인을 따라 놓일 수 있거나 또는 패드(802A)의 제 3 패드행(808A)과 일치할 수 있다. 제 2 정렬 구멍(814A)은 0.8±0.05㎜×0.6±0.05㎜일 수 있고, 제 2 패드행(806A)과 제 3 패드행(808A) 사이에 등거리로 평행하게 위치된 중심선(CL)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또한 제 2 패드행(806A) 내에 있어서의 제 1 패드(816A)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도 33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리셉터클 커넥터 또는 플러그 커넥터의 가용성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패드(802B)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도터 카드 또는 백플레인과 같은 기판(800B)의 레이아웃의 예를 도시한다. 제 1 패드행(804B)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과 제 2 패드행(806B)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 사이에서 측정된 제 1 패드행 피치(PRP1)는 2.2±0.2mm, 또는 실장 리셉터클행 또는 플러그행에 대응하는 임의의 다른 피치일 수 있다. 제 2 패드행(806B)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과 제 3 패드행(808B)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 사이에서 측정된 제 2 패드행 피치(PRP2)는 2.4±0.2mm, 또는 실장 리셉터클행 또는 플러그행에 대응하는 임의의 다른 피치일 수 있다. 제 3 패드행(808B)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과 제 4 패드행(810B)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 사이에서 측정된 제 3 패드행 피치(PRP3)는 2.2±0.2mm, 또는 실장 리셉터클행 또는 플러그행에 대응하는 임의의 다른 피치일 수 있다.
제 1 정렬 구멍(812B)은 제 2 패드행(806B)과 제 3 패드행(808B) 사이에, 제 2 패드행(806B)의 마지막 패드(818) 및 제 3 패드행(808B)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2 정렬 구멍(814B)은 패드(802A)의 제 2 패드행(806B)과 동일한 라인 상에 놓일 수 있다.
도 34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리셉터클 커넥터 또는 플러그 커넥터의 가용성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패드(802C)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도터 카드 또는 백플레인과 같은 기판(800C)의 레이아웃의 예를 도시한다. 제 1 패드행(804C)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과 제 2 패드행(806C)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 사이에서 측정된 제 1 패드행 피치(PRP1)는 2.2±0.2mm, 또는 실장 리셉터클행 또는 플러그행에 대응하는 임의의 다른 피치일 수 있다. 제 2 패드행(806C)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과 제 3 패드행(808C)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 사이에서 측정된 제 2 패드행 피치(PRP2)는 2.4±0.2mm, 또는 실장 리셉터클행 또는 플러그행에 대응하는 임의의 다른 피치일 수 있다. 제 3 패드행(808C)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과 제 4 패드행(810C)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 사이에서 측정된 제 3 패드행 피치(PRP3)는 2.2±0.2mm, 또는 실장 리셉터클행 또는 플러그행에 대응하는 임의의 다른 피치일 수 있다.
제 1 정렬 구멍(812C)은 제 2 패드행(806C)과 제 3 패드행(808C) 사이에, 제 2 패드행(806C)의 마지막 패드(818C) 및 제 3 패드행(808C)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2 정렬 구멍(814C)은 패드(802C)의 제 3 패드행(808C)과 동일한 라인 상에 놓일 수 있다.
도 35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리셉터클 커넥터 또는 플러그 커넥터의 가용성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패드(802D)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도터 카드 또는 백플레인과 같은 기판(800D)의 레이아웃의 예를 도시한다. 제 1 패드행(804D)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과 제 2 패드행(806D)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 사이에서 측정된 제 1 패드행 피치(PRP1)는 2.2±0.2mm, 또는 실장 리셉터클행 또는 플러그행에 대응하는 임의의 다른 피치일 수 있다. 제 2 패드행(806D)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과 제 3 패드행(808D)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 사이에서 측정된 제 2 패드행 피치(PRP2)는 2.4±0.2mm, 또는 실장 리셉터클행 또는 플러그행에 대응하는 임의의 다른 피치일 수 있다. 제 3 패드행(808D)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과 제 4 패드행(810D)에 있어서의 패드의 각각의 중심 사이에서 측정된 제 3 패드행 피치(PRP3)는 2.2±0.2mm, 또는 실장 리셉터클행 또는 플러그행에 대응하는 임의의 다른 피치일 수 있다.
제 1 정렬 구멍(812D)은 제 2 패드행(806D)과 동일한 라인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정렬 구멍(814D)은 패드(802D)의 제 3 패드행(808D) 및 제 1 정렬 구멍(812D)과 동일한 라인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일 뿐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다양한 대안 및 수정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당업자에 의해 고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이러한 모든 대안,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임의의 일 실시형태의 임의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다른 실시형태의 기재와 조합될 수 있다.

Claims (56)

  1.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고, 종방향 중심선에 수직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중앙 중심선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으로서, 제 1 단벽 및 제 1 단벽에 대향하는 제 2 단벽을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
    평행한 행으로 이간되어 있고, 각각은 종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서;
    상기 제 1 전기 콘택트의 행은 제 1 행 피치만큼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되고;
    상기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은 제 1 행 피치보다 큰 제 2 행 피치만큼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되고;
    상기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은 제 1 행 피치만큼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으로부터 이간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제 1 단벽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정합측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1 키잉 구조;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제 2 단벽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정합측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2 키잉 구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제 1 키잉 구조 및 상기 제 2 키잉 구조는 종방향 중심선과 중앙 중심선 둘 다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위치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행 피치는 2.2±0.05mm이고, 상기 제 2 행 피치는 2.4±0.05mm인, 전기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개방형 핀 필드 커넥터인, 전기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다른 메자닌 커넥터와 정합되는 메자닌 커넥터인, 전기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에는 크로스토크 쉴드가 없는, 전기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제 1 단벽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실장측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1 정렬 페그;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제 2 단벽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실장측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2 정렬 페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렬 페그 및 상기 제 2 정렬 페그는 둘 다 종방향 중심선과 중앙 중심선 둘 다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위치되는 전기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잉 구조는 종방향 중심선을 통과하는 경사진 측벽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 및 상기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을 담지하는 내부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리브는 또한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극을 규정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극은 상기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에 있어서의 전기 콘택트의 정합 단부와 상기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에 있어서의 전기 콘택트의 정합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전기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극은 복수의 공극인 전기 커넥터.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 및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을 담지하는 내부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리브는 적어도 하나의 공극을 규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극은 상기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에 있어서의 전기 콘택트의 실장 단부와 상기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에 있어서의 전기 콘택트의 실장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전기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극은 복수의 공극인 전기 커넥터.
  1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종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1 전기 콘택트의 행 및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을 담지하는 플러그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리브는 종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극을 규정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극은 상기 제 1 전기 콘택트의 행에 있어서의 전기 콘택트의 정합 단부와 상기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에 있어서의 전기 콘택트의 정합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전기 커넥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극은 복수의 공극인 전기 커넥터.
  14.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종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 및 상기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을 담지하는 플러그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리브는 또한 종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극을 규정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극은 상기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에 있어서의 전기 콘택트의 정합 단부와 상기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에 있어서의 전기 콘택트의 정합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전기 커넥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극은 복수의 공극인 전기 커넥터.
  16.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 1 전기 콘택트의 행과 상기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 사이에 실드 및 전원 콘택트가 없는 전기 커넥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 2 전기 콘택트의 행과 상기 제 3 전기 콘택트의 행 사이에 실드 및 전력 콘택트가 없는 전기 커넥터.
  1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잉 구조 및 상기 제 2 키잉 구조는 중앙 중심선에 대해 오프셋 미러 이미지인 전기 커넥터.
  1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잉 구조는 제 1 오목부인 전기 커넥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목부는 적어도 4개의 측면에 의해 규정되는 전기 커넥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목부는 적어도 5개의 측면에 의해 규정되는 전기 커넥터.
  2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키잉 구조는 제 2 오목부인 전기 커넥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목부는 적어도 4개의 측면에 의해 규정되는 전기 커넥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목부는 적어도 5개의 측면에 의해 규정되는 전기 커넥터.
  25.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잉 구조는 제 1 돌출부인 전기 커넥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는 적어도 4개의 측면에 의해 규정되는 전기 커넥터.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는 적어도 5개의 측면에 의해 규정되는 전기 커넥터.
  2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키잉 구조는 제 2 돌출부인 전기 커넥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는 적어도 4개의 측면에 의해 규정되는 전기 커넥터.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는 적어도 5개의 측면에 의해 규정되는 전기 커넥터.
  3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잉 구조는 전체적으로 종방향 중심선의 제 1 측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키잉 구조는 전체적으로 상기 제 1 측에 대향하는 종방향 중심선의 제 2 측 상에 위치되는 전기 커넥터.
  3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잉 구조는 종방향 중심선에 접하여 있는 전기 커넥터.
  33.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키잉 구조는 종방향 중심선에 접하여 있는 전기 커넥터.
  34.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중심선은 상기 제 1 키잉 구조의 일부를 통과하는 전기 커넥터.
  35.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중심선은 상기 제 2 키잉 구조의 일부를 통과하는 전기 커넥터.
  36.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의 각각은 각각의 가용성 요소로 각각 종단되는 적어도 100개의 전기 콘택트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37.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적어도 32Gbits/sec의 데이터 레이트를 갖고, 0dB~-1.5dB의 삽입 손실을 갖는 전기 커넥터.
  3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적어도 4096Gbits/sec의 총 데이터 레이트를 갖고, 0dB~-1.5dB의 삽입 손실을 갖는 전기 커넥터.
  3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적어도 평방 인치당 2088Gbits 또는 평방 센티미터 당 13467Gbits의 데이터 레이트 밀도를 갖고, 0dB~-1.5dB의 삽입 손실을 갖는 전기 커넥터.
  4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 콘택트의 행에 있어서의 전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하우징의 저부 내로 교대로 스티칭되는 전기 커넥터.
  4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의 행은 각각 각각의 압입 핀으로 각각 종단되는 적어도 100개의 전기 콘택트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4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 콘택트의 행을 따르는 공통 라인에 위치된 적어도 4개의 연속하고 바로 인접하여 있는 코어를 규정하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
    제 1 유지 형상을 규정하는 제 1 전기 콘택트로서, 4개의 연속하고 바로 인접하여 있는 코어 중 첫번째 코어에 위치된 제 1 전기 콘택트;
    제 2 유지 형상을 규정하는 제 2 전기 콘택트로서, 4개의 연속하고 바로 인접하여 있는 코어 중 두번째 코어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전기 콘택트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된 제 2 전기 콘택트;
    상기 제 1 유지 형상을 규정하는 제 3 전기 콘택트로서, 4개의 연속하고 바로 인접하여 있는 코어 중 세번째 코어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전기 콘택트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된 제 3 전기 콘택트; 및
    상기 제 2 유지 형상을 규정하는 제 4 전기 콘택트로서, 4개의 연속하고 바로 인접하여 있는 코어 중 네번째 코어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전기 콘택트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된 제 4 전기 콘택트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제 1 전기 콘택트 및 상기 제 3 전기 콘택트는 제 1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되고, 상기 제 2 전기 콘택트 및 상기 제 4 전기 콘택트는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되고, 또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전기 콘택트는 모두 공통 중심선 상에 놓인 전기 커넥터.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기 콘택트의 제 2 유지 형상은 4개의 연속하고 바로 인접하여 있는 코어 중 두번째 코어에 완전히 삽입되는 전기 커넥터.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 콘택트는 제 1 고정 구조를 규정하고, 상기 제 2 전기 콘택트는 제 2 고정 구조를 규정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구조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이한 높이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과 계합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구조는 동일한 전기 커넥터.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 구조는 각각 윙, 웨지, 돌출부, 리드인 또는 범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46.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바로 인접하여 있는 코어 중 상기 첫번째 코어와 상기 두번째 코어의 형상이 다른 전기 커넥터.
  47.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바로 인접하여 있는 코어 중 상기 첫번째 코어와 상기 두번째 코어의 형상이 동일한 전기 커넥터.
  4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잉 구조 및 상기 제 2 키잉 구조는 중앙 중심선에 대해 미러 이미지인, 전기 커넥터.
  4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제 1 단벽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실장측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1 정렬 페그;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제 2 단벽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실장측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2 정렬 페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렬 페그 및 상기 제 2 정렬 페그는 둘 다 종방향 중심선과 중앙 중심선 둘 다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 1 정렬 페그의 직경은 0.8±0.05mm이고, 상기 제 2 정렬 페그의 치수는 0.8±0.05mmХ0.6±0.05mm인, 전기 커넥터.
  5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잉 구조는 종방향 중심선에 접하는 경사진 측벽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5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키잉 구조는 종방향 중심선에 평행한 제 1 측벽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5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키잉 구조는 종방향 중심선에 인접하지만 이간되어 위치되는 제 1 측벽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53.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잉 구조는 종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이간된 경사진 플러그 측벽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54.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키잉 구조는 종방향 중심선에 평행한 제 1 플러그 측벽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55.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키잉 구조는 종방향 중심선에 인접하지만 이간되어 위치되는 제 1 플러그 측벽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56.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적어도 100개의 패드의 제 1 패드행;
    적어도 100개의 패드의 제 2 패드행;
    적어도 100개의 패드의 제 3 패드행;
    적어도 100개의 패드의 제 4 패드행:
    제 1 정렬 구멍; 및
    제 2 정렬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의 제 1 패드행은 2.2±0.05mm의 제 1 패드행 피치만큼 상기 패드의 제 2 패드행으로부터 이간되고,
    상기 패드의 제 3 패드행은 2.4±0.05mm의 제 2 패드행 피치만큼 상기 패드의 제 2 패드행으로부터 이간되고;
    상기 패드의 제 4 패드행은 2.2±0.05mm의 제 1 패드행 피치만큼 상기 패드의 제 3 패드행으로부터 이간되고;
    상기 제 1 정렬 구멍은 0.8±0.05mm의 직경을 갖고 또한 상기 제 3 패드행과 동일 라인을 따라 위치되고, 또한
    상기 제 2 정렬 구멍은 0.8±0.05mmХ0.6±0.05mm의 치수를 갖고, 상기 제 2 패드행과 제 3 패드행 사이에 등거리로 평행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된 중심선 상에 위치되고, 또한 제 2 패드행에 있어서의 첫번째 패드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전기 커넥터.
KR1020237019678A 2018-07-06 2019-07-03 상부 및 저부 스티칭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KR102631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02975A KR102678838B1 (ko) 2018-07-06 2019-07-03 상부 및 저부 스티칭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94832P 2018-07-06 2018-07-06
US62/694,832 2018-07-06
US201862704031P 2018-11-05 2018-11-05
US62/704,031 2018-11-05
US201862704038P 2018-12-17 2018-12-17
US62/704,038 2018-12-17
KR1020207037754A KR102544425B1 (ko) 2018-07-06 2019-07-03 상부 및 저부 스티칭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PCT/US2019/040584 WO2020010245A1 (en) 2018-07-06 2019-07-03 Connector with top- and bottom-stitched contact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754A Division KR102544425B1 (ko) 2018-07-06 2019-07-03 상부 및 저부 스티칭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2975A Division KR102678838B1 (ko) 2018-07-06 2019-07-03 상부 및 저부 스티칭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065A KR20230093065A (ko) 2023-06-26
KR102631586B1 true KR102631586B1 (ko) 2024-02-02

Family

ID=690598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754A KR102544425B1 (ko) 2018-07-06 2019-07-03 상부 및 저부 스티칭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KR1020237019678A KR102631586B1 (ko) 2018-07-06 2019-07-03 상부 및 저부 스티칭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7754A KR102544425B1 (ko) 2018-07-06 2019-07-03 상부 및 저부 스티칭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69616B2 (ko)
EP (1) EP3818597A4 (ko)
KR (2) KR102544425B1 (ko)
CN (3) CN110690593B (ko)
TW (3) TWI751429B (ko)
WO (1) WO20200102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51044S1 (en) * 2016-09-30 2019-06-11 Samtec, Inc. Vertica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KR102544425B1 (ko) * 2018-07-06 2023-06-16 샘텍, 인코포레이티드 상부 및 저부 스티칭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USD950498S1 (en) * 2018-11-05 2022-05-03 Samtec, Inc. Connector
USD950499S1 (en) * 2018-12-17 2022-05-03 Samtec, Inc Connector
USD950500S1 (en) 2018-12-17 2022-05-03 Samtec, Inc. Connector
USD881133S1 (en) * 2018-12-20 2020-04-14 Samtec, Inc. Contact wafer
USD951875S1 (en) * 2019-10-15 2022-05-17 Samtec, Inc. Connector
USD951202S1 (en) 2019-12-06 2022-05-10 Samtec, Inc. Connector
USD949798S1 (en) 2019-12-06 2022-04-26 Samtec, Inc. Connector
CN114744424A (zh) 2020-12-24 2022-07-12 山一电机株式会社 连接器套件以及连接器
CN114678709A (zh) 2020-12-24 2022-06-28 山一电机株式会社 连接器以及连接器套件
CN113422233B (zh) * 2021-06-25 2022-07-2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以及工装
US20230088468A1 (en) * 2021-09-22 2023-03-23 Fci Usa Llc Configurable electrical connector
DE102022118734A1 (de) 2021-12-22 2023-06-22 ept Holding GmbH & Co. KG Elektrischer Federkontakt und Steckeraufnahme und Steckverbinder
WO2023118328A1 (de) 2021-12-22 2023-06-29 ept Holding GmbH & Co. KG Elektrischer federkontakt und steckeraufnahme und steckverbind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804A (ja) * 2000-04-20 2001-11-0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20060084311A1 (en) * 2004-10-18 2006-04-20 Ddk Ltd. Connector
JP2011108419A (ja) * 2009-11-13 2011-06-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18031A (en) 1972-04-15 1975-12-17 Rists Wires & Cables Ltd Electrical connectors
US4647130A (en) 1985-07-30 1987-03-03 Amp Incorporated Mounting means for high durability drawer connector
US4780095A (en) 1987-03-17 1988-10-25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Edge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US5211585A (en) 1992-02-28 1993-05-18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ousings having polarizing means
JP2587452Y2 (ja) 1993-12-14 1998-12-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低挿抜力電気コネクタ
JP3685210B2 (ja) 1994-11-11 2005-08-17 ケル株式会社 コネクタ
US5848920A (en) 1996-07-16 1998-12-15 Molex Incorporated Fabrication of electrical terminals for edge card connectors
US6135781A (en) * 1996-07-17 2000-10-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and device
SG71046A1 (en) * 1996-10-10 2000-03-21 Connector Systems Tech Nv High density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D407690S (en) 1997-05-30 1999-04-0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6343951B1 (en) 1997-06-12 2002-02-05 Kel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6050850A (en) * 1997-08-14 2000-04-18 The Panda Project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taggered hold-down tabs
US5941715A (en) 1998-05-27 1999-08-24 Huang; A-Chao Electric connector
US5980325A (en) 1998-07-30 1999-11-09 Berg Technology, Inc. Micro miniature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JP3397303B2 (ja) * 1999-06-17 2003-04-14 エヌイーシートーキ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D451885S1 (en) 2000-01-28 2001-12-1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JP2002083637A (ja) 2000-09-06 2002-03-22 Kawaguchi Denki Seisakusho:Kk 端子ブロック
TW523199U (en) 2000-12-21 2003-03-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ATE338358T1 (de) 2001-06-13 2006-09-15 Molex Inc Mehrfachhochgeschwindigkeitssteck- verbinder
USD455127S1 (en) 2001-06-26 2002-04-0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2508424Y (zh) 2001-09-22 2002-08-28 莫列斯公司 线连接器(一)
US6699048B2 (en) 2002-01-14 2004-03-0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High density connector
US6634894B1 (en) 2002-05-24 2003-10-2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Vertically mated micro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shield
USD489687S1 (en) 2002-09-09 2004-05-1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USD489039S1 (en) 2002-09-09 2004-04-2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US6638106B1 (en) * 2002-09-27 2003-10-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ulti-port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board locks
JP2005005053A (ja) * 2003-06-10 2005-01-06 Tyco Electronics Amp Kk 遊動型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6918776B2 (en) 2003-07-24 2005-07-19 Fci Americas Technology, Inc. Mezzanine-type electrical connector
US6746281B1 (en) 2003-10-02 2004-06-0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
USD500740S1 (en) 2003-10-24 2005-01-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D505920S1 (en) 2004-03-25 2005-06-0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WO2006010099A1 (en) 2004-07-07 2006-01-26 Molex Incorporated Edge card connector assembly with high-speed terminals
US7422447B2 (en) 2004-08-19 2008-09-09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stepped housing
US7384289B2 (en) 2005-01-31 2008-06-1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Surface-mount connector
US7341482B2 (en) 2005-02-04 2008-03-11 Fci Americas Technology, Inc. Strain relief for ball grid array connectors
CN2772061Y (zh) 2005-02-04 2006-04-12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USD517495S1 (en) 2005-03-25 2006-03-2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EP1732176A1 (en) 2005-06-08 2006-12-13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Electrical connector
US7442089B2 (en) 2005-07-07 2008-10-28 Molex Incorporated Edge card connector assembly with high-speed terminals
TW200810254A (en) 2006-08-10 2008-02-16 Fci Connectors Singapore Pte Connector
CN101136515B (zh) 2006-09-01 2010-11-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497736B2 (en) 2006-12-19 2009-03-03 Fci Americas Technology, Inc. Shieldless, high-speed, low-cross-talk electrical connector
US7422444B1 (en) * 2007-02-28 2008-09-09 Fci Americas Technology, Inc. Orthogonal header
USD561696S1 (en) 2007-03-21 2008-02-1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oard to board plug connector
US7794240B2 (en) 2007-04-04 2010-09-14 Amphenol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mplementary conductive elements
WO2008124057A2 (en) 2007-04-04 2008-10-16 Amphenol Corporation High speed,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with selective positioning of lossy regions
JP4845837B2 (ja) * 2007-09-04 2011-12-28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8147254B2 (en) 2007-11-15 2012-04-03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mating guide
USD582860S1 (en) 2007-11-28 2008-12-1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USD582859S1 (en) 2007-11-28 2008-12-1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US8764464B2 (en) 2008-02-29 2014-07-01 Fci Americas Technology Llc Cross talk reduction for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s
USD598861S1 (en) 2008-05-12 2009-08-25 Omron Corporation Socket
US7896698B2 (en) * 2008-10-13 2011-03-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having multiple contact arrangements
EP2380239A1 (en) 2008-12-19 2011-10-26 Fci Terminal block for a cable connector
CN101764305B (zh) 2008-12-26 2012-04-25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力连接器
US7708603B1 (en) 2009-01-12 2010-05-0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rosstalk features
TWM373059U (en) 2009-05-18 2010-01-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D607836S1 (en) 2009-07-08 2010-01-1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contact
CN102714363B (zh) 2009-11-13 2015-11-25 安费诺有限公司 高性能小形状因数的连接器
CN201639018U (zh) 2009-12-03 2010-11-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8246387B2 (en) 2010-01-08 2012-08-21 Interconnect Portfolio Llc Connector constructions for electronic applications
US8083526B2 (en) 2010-02-12 2011-12-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ocket connector with ground shields between adjacent signal contacts
US20110256763A1 (en) 2010-04-07 2011-10-20 Jan De Geest Mitigation of crosstalk resonances in interconnects
CN201708329U (zh) 2010-04-13 2011-01-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829689U (zh) 2010-06-08 2011-05-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112494B2 (ja) 2010-10-19 2013-01-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D659646S1 (en) 2011-01-28 2012-05-15 Fci Electrical connector
US8342886B2 (en) 2011-03-14 2013-01-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ing bars therein to reduce cross talking
US8784116B2 (en) 2011-04-04 2014-07-22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JP5672166B2 (ja) 2011-06-17 2015-02-18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5685502B2 (ja) 2011-07-25 2015-03-18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コネクタ及び半導体試験装置
SG191437A1 (en) 2011-12-19 2013-07-31 Molex Singapore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D718245S1 (en) 2012-01-25 2014-11-2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US9257778B2 (en) 2012-04-13 2016-02-09 Fci Americas Technology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
JP6074289B2 (ja) 2012-05-25 2017-02-0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雌コネクタ及び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US9543703B2 (en) 2012-07-11 2017-01-10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with reduced stack height
JP5939470B2 (ja) 2013-02-26 2016-06-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TWD167749S (zh) 2013-06-06 2015-05-11 第一精工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US9077115B2 (en) 2013-07-11 2015-07-07 All Best Precision Technology Co., Ltd. Terminal set of electrical connector
TWD163688S (zh) 2013-08-08 2014-10-2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組合之部份
JP5655914B1 (ja) * 2013-08-30 2015-01-2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および電気コネクタ並びにコネクタ端子の装着方法
USD708580S1 (en) 2014-01-10 2014-07-08 Samtec, Inc. Connector
TWD168325S (zh) 2014-03-07 2015-06-11 凡甲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JP6034339B2 (ja) * 2014-07-29 2016-11-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N105449427A (zh) 2014-09-01 2016-03-30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
USD767501S1 (en) 2015-10-13 2016-09-2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contact
JP6635583B2 (ja) 2015-10-30 2020-01-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US9748698B1 (en) 2016-06-30 2017-08-29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mmoned ground shields
WO2018039351A1 (en) 2016-08-23 2018-03-01 Samtec Inc. Electrical contacts having anchoring regions with improved impedance characteristics
JP6316911B1 (ja) * 2016-11-24 2018-04-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1586038S (ko) 2017-02-13 2017-09-19
US10404014B2 (en) 2017-02-17 2019-09-03 Fci Usa Llc Stacking electrical connector with reduced crosstalk
USD877700S1 (en) 2017-07-17 2020-03-10 Samtec, Inc. Electrical connector
TWD190127S (zh) 2017-07-18 2018-05-0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之屏蔽彈片
JP1618359S (ko) 2018-04-23 2018-11-19
JP1618358S (ko) 2018-04-23 2018-11-19
KR102544425B1 (ko) 2018-07-06 2023-06-16 샘텍, 인코포레이티드 상부 및 저부 스티칭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CN112640226A (zh) * 2018-07-12 2021-04-09 申泰公司 用于改善信号完整性的有损材料
JP2020064834A (ja) * 2018-10-19 2020-04-2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TWI770700B (zh) 2019-12-06 2022-07-11 美商山姆科技公司 具有上下釘合接點之連接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804A (ja) * 2000-04-20 2001-11-0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20060084311A1 (en) * 2004-10-18 2006-04-20 Ddk Ltd. Connector
JP2011108419A (ja) * 2009-11-13 2011-06-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302A (ko) 2021-01-11
CN110690593B (zh) 2022-03-01
CN114204300A (zh) 2022-03-18
TWI751429B (zh) 2022-01-01
WO2020010245A1 (en) 2020-01-09
TW202007018A (zh) 2020-02-01
EP3818597A4 (en) 2022-04-06
EP3818597A1 (en) 2021-05-12
KR20240017970A (ko) 2024-02-08
US20210126401A1 (en) 2021-04-29
TWM589915U (zh) 2020-01-21
WO2020010245A4 (en) 2020-02-27
KR20230093065A (ko) 2023-06-26
CN211700630U (zh) 2020-10-16
TW202121758A (zh) 2021-06-01
CN110690593A (zh) 2020-01-14
KR102544425B1 (ko) 2023-06-16
US11569616B2 (en)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1586B1 (ko) 상부 및 저부 스티칭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TWI770700B (zh) 具有上下釘合接點之連接器
KR970004221B1 (ko) 고밀도 커넥터 시스템
EP1256145B1 (en) Connector with shielding
US7534142B2 (en) Differential signal connector with wafer-style construction
KR100304515B1 (ko) 고속에지형커넥터
US20130330969A1 (en) Socket with insert-molded terminal
CA1285625C (en) Circuit board contact guide pattern
US20030143874A1 (en) Surface-mountable connector with structure permitting to easily check flatness of contact terminals by use of a gauge and the gauge
KR102678838B1 (ko) 상부 및 저부 스티칭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CN112753137A (zh) 缆线连接器系统
KR20240097979A (ko) 상부 및 저부 스티칭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WO2021113148A1 (en) Connector with top-and bottom-stitched contacts
CN112952427B (zh) 电连接器及连接器组件
US20230100671A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O2023053037A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JPH11186470A (ja) Icソケットおよびicパッケージとの組み合わ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