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838B1 -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838B1
KR102630838B1 KR1020230054908A KR20230054908A KR102630838B1 KR 102630838 B1 KR102630838 B1 KR 102630838B1 KR 1020230054908 A KR1020230054908 A KR 1020230054908A KR 20230054908 A KR20230054908 A KR 20230054908A KR 102630838 B1 KR102630838 B1 KR 102630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housing
transmission shaft
crack depth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석
권오성
황재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Priority to KR1020230054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8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ep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2Feeler-pin gauges, e.g. dial gauges
    • G01B3/28Depth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는 원형의 막대구조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되어 균열부위에 삽입되는 탐침부재;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탐침부재를 균열부위로 삽입시키고 인출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의 동력을 상기 탐침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탐침부재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동력변환부재; 및 상기 탐침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탐침부재가 균열부위에 삽입된 정도인 균열깊이를 나타내는 균열깊이 표시부재;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균열부위에서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안전거리를 확보한 위치에서 균열깊이를 측정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CRACK DEPTH MEASURING DEVICE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본 발명은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구조물의 노후가 진행됨에 따라 바닥면, 천정면, 또는 벽면 등에 발생하는 균열의 굴곡이 있는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균열 깊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이나 토목구조물은 설계단계에서부터 시공단계와 사용단계를 거쳐 사용수명의 경과에 따른 자연적인 붕괴나 인위적인 철거 또는 부실시공이나 파손 등에 의한 조기붕괴의 단계로 이루어지는 생멸주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물 중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붕괴원인은 사용수명의 경과로 인한 자연적인 원인도 일부분을 차지하지만 대부분은 시공단계나 사용단계에서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구조물의 변형과 깊은 관계가 있다.
특히, 구조물 중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 현상은 구조물의 붕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안전을 확보하기위해 균열부위를 발견하고 그 깊이를 측정하여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균열안착부재의 중앙에 깊이측정막대가 설치되기 때문에 동일한 지점에서 균열폭과 균열깊이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열안착부재와 깊이측정막대를 균열에 가압하는 형태로 측정하여 균열폭 및 균열깊이의 조작이 용이하며 균열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등록특허공보 10-2318904(2021.10.22)인 균열깊이 측정기가 개시되어 있지만, 해당 종래 균열깊이 측정기는 작업자가 균열부위에 상당히 가깝게 접근해서 사용해야 하여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가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균열깊이 측정기는 천정과 같은 균열부위에 균열깊이를 측정하기 위해 작업자가 사다리를 놓고 불편한 자세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고발생위험이 있고 균열깊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종래 균열깊이 측정기는 초음파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초음파를 사용하는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단가가 올라가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8904(2021.10.22)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균열깊이 삽입되는 탐침을 측정장치의 말단에 형성시키고, 탐침을 균열부위에 삽입시키기 위한 동력발생기를 측정장치의 다른 말단에 형성시켜, 동력전달부재로 동력발생기의 동력을 탐침에 전달하여 작업자가 균열부위에서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안전거리를 확보한 위치에서 균열깊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한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탐침이 균열부위에 삽입됨에 따라 삽입되는 정도를 탐침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깊이측정부재에 표시하여 균열깊이를 작업자 인지할 수 있는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는 원형의 막대구조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되어 균열부위에 삽입되는 탐침부재;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탐침부재를 균열부위로 삽입시키고 인출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의 동력을 상기 탐침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탐침부재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동력변환부재; 및 상기 탐침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탐침부재가 균열부위에 삽입된 정도인 균열깊이를 나타내는 균열깊이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의 작동부재는 일단이 상기 하부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해당 하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제1 회전축; 천공된 중앙부가 상기 제1 회전축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제1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제1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어 회전조작되는 회전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의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하부 하우징 내부에 개재되는 하부 전달축; 상기 상부 하우징 내부에 개재되는 상부 전달축; 상기 하부 전달축와 상부 전달축을 연결시키고 상기 주름관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재되는 플렉서블 비트; 상기 하부 전달축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제1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는 크라운기어; 상부 전달축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동력변환부재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2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하부전달축 외주면과 하부 하우징 내주면 사이, 및 상부 전달축 외주면과 상부 하우징 내주면 사이에 개재 전달축 지지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의 동력변환부재는 일단이 상기 상부 하우징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축; 양면으로 크라운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의 지지를 받아 일면이 상기 상부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2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는 더블 크라운기어; 및 상기 더블 크라운기어의 타면과 상기 상부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제2 피니언 기어와 90도 위치에서 치합되는 제3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의 탐침부재는 균열이 발생한 균열내부로 직접 삽입되는 교체가능한 탐침; 말단부 일단에 상기 탐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지지받는 탐침 결합부; 및 상기 탐침 결합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연장바에 의해 소정거리만큼 상기 탐침 결합부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형성된 랙기어가 상기 제3 피니언 기어와 치합된 랙기어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의 작동부재는 상기 크라운기어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게 형성된 제1 크라운기어; 회전축이 상기 제1 크라운기어와 결합된 모터; 상기 하우징의 손잡이 일단에 내장된 배터리; 및 작업자가 그립하는 상기 손잡이의 그립부분에 형성되어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모터에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작동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는 작업자가 균열부위에서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안전거리를 확보한 위치에서 균열깊이를 측정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는 절곡부재를 통해 소정각도만큼 절곡시켜 측정이 곤란한 위치의 균열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의 작동부재와 동력변환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의 하우징과 동력전달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의 탐침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의 균열깊이 표시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의 균열깊이 표시부재를 통한 균열깊이 산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의 전동방식의 작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의 절곡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는 하우징(100), 작동부재(200), 동력전달부재(300), 동력변환부재(400), 탐침부재(500), 균열깊이 표시부재(600), 및 절곡부재(7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이 결합되고, 원형의 막대구조로 내부가 중공되어 있으며, 작동부재(200), 동력전달부재(300), 및 동력변환부재(400)의 기어들이 치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120)은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121)이 형성되어 소정각도만큼 절곡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의 연결되는 부분이 테이퍼(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하부 하우징(120) 일단에 상기 상부 하우징(100)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균열깊이를 측정하는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1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부재(200)는 제1 회전축(210), 제1 피니언 기어(220), 및 회전 손잡이(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회전축(210)은 일단이 상기 하부 하우징(120)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해당 하부 하우징(120) 외부에 돌출되게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피니언 기어(220)는 상기 제1 회전축(210)이 삽입관통될 수 있게 중앙부가 천공되어 상기 제1 회전축(210)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회전 손잡이(230)는 상기 하부 하우징(120) 외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제1 회전축(210)의 타단에 결합되어 균열깊이를 측정하는 작업자의 조작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작업자가 상기 회전 손잡이(2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축(210)이 회전하고, 해당 제1 회전축(210)에 고정결합된 제1 피니언 기어(220)도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작동부재(200)의 회전 손잡이(230)를 작업자가 회전시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300)는 내부가 중공된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120)의 작동부재(200)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상부 하우징(110) 말단으로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전달부재(30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전달축(310), 플렉서블 비트(320), 상부 전달축(330), 크라운기어(340), 제2 피니언 기어(350) 및, 전달축 지지링(36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전달축(310)과 상부 전달축(330)은 단면이 원형, 또는 육각형 구조로 각각 상기 하부 하우징(120) 내부와 상부 하우징(110) 내부에 개재된다.
한편, 상기 블렉서블 비트(360)는 상기 하부 전달축(310)와 상부 전달축(330)을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주름관(121)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에 주름관(121)이 형성되고, 내부의 동력전달부재(300)에 플렉서블 비트(320)가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를 소정 각도만큼 절곡이 가능하다.
상기 크라운기어(340)는 상기 하부 전달축(31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재(200)의 제1 피니언 기어(220)와 치합하여 작업자가 상기 회전 손잡이(230)을 회전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동력을 전달받는다.
한편, 상기 제2 피니언 기어(350)는 상부 전달축(330)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동력변환부재(400)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전달축 지지링(360)은 베어링에 상당하는 구성으로 상기 하부전달축(310) 외주면과 하부 하우징(120) 내주면, 및 상부 전달축(330) 외주면과 상부 하우징(110)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하부 전달축(310)과 상부 전달축(330)이 각각 하부 하우징(120)과 상부 하우징(1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달축 회전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면서 전달축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력변환부재(400)는 제2 회전축(410), 더블 크라운기어(420), 및 제3 피니언 기어(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회전축(410)은 일단이 상기 상부 하우징(110)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더블 크라운기어(420)를 지지한다.
상기 더블 크라운기어(420)는 양면으로 크라운기어가 형성된 구조 상기 제2 회전축(410)의 지지를 받아 일면이 상기 상부 하우징(100) 내부에서 상기 제2 피니언 기어(350)와 치합하여 회전한다.
한편, 상기 더블 크라운기어(420)의 타면은 상기 상부 하우징(100) 외부에서 상기 제2 피니언 기어(350)와 90도 위치에 있는 상기 제3 피니언 기어(430)과 치합하여 상기 제2 피니언 기어(350)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3 피니언 기어(430)는 상기 탐침부재(500)와 연결되어 전달받은 회전력으로 해당 탐침부재(500)가 균열부위로 들어갈 때 전지하고 균열부위에서 나올 때 후진하는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탐침부재(5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침(510), 탐침 결합부(520), 랙기어바(530), 및 연장바(540)를 포함한다.
상기 탐침(510)은 균열이 발생한 균열내부로 직접 삽입되는 구성으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길이를 갖으며, 균열의 깊이에 따라 상기 탐침 결합부(520)에 교체결합이 가능한다.
상기 탐침 결합부(520)는 언급한 바와 같이 말단부 일단에 상기 탐침(510)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되어 해당 상부 하우징(110)의 지지를 받는다.
상기 랙기어바(530)는 상기 탐침 결합부(520)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연장바(540)에 의해 소정거리만큼 탐침 결합부(520)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형성된 랙기어가 상기 제3 피니언 기어(430)와 치합된다.
상기 랙기어바(530)는 상기 제3 피니언 기어(430)와 치합하여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탐침부재(500)를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시키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진시킨다.
상기 랙기어바(530)는 상기 상부 하우징(110)에 형성된 랙기어바 지지부(140)의 지지를 받아 전진하고 후진한다.
상기 랙기어바(530)는 상기 연장바(540)가 결합되지 않은 후단이 와이어로 상기 균열깊이 표시부재(60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탐침부재(500)는 상기 탐침 결합부(520)가 상기 상부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되어 지지를 받고, 상기 랙기어바(530)가 상기 랙기어바 지지부(140)의 지지를 받아 안정적으로 균열부위에 삽입되고 인출되어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균열깊이 표시부재(600)는 회전자(610) 및 케이스(620)를 포함한다.
상기 균열깊이 표시부재(600)는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를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30)이 주변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회전 손잡이(230)를 회전함에 따라 균열부위로 삽입되는 탐침(510)의 이동거리를 표시하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균열깊이를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자(610)는 와이어가 권선되어 있고 해당 와이어(W) 일단이 상기 랙기어바(53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자(610)는 상기 하부 하우징(120)에 고정되게 형성된 회전축(611)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자(610)와 상기 회전축(611)에 태엽 스프링이 개재되어 회전자(610)는 태엽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와이어를 팽팽하게 유지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자(6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단위의 눈금(61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610)를 내부에 포함하는 투명의 상기 케이스(620)에는 고정된 기준침(6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자(610)의 회전으로 상기 탐침부재(500)의 탐침(510)가 균열깊이를 이동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자(610)의 눈금(612)과 케이스(620)에 페인팅 또는 프린팅되어 형성된 기준침(621)이 `0`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자(6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 따라 `30`에 해당되는 눈금(612)이 상기 기준침(621)에 위치하는 경우 작업자는 탐침(510)이 균열깊이를 30cm만큼 이동한 것을 알 수 있고, 그에 따라 균열깊이가 30cm인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작동부재(200)의 작동 후 눈금에서 상기 작동부재(200)의 작동 전 눈금(612)의 차를 통해 균열깊이를 계산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랙기어바(530)의 직선 이동거리가 회전자(610)의 원형 눈금(612)에 반영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작동부재(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크라운기어(240), 모터(250), 배터리(260), 작동버튼(270)을 더 포함하여 전동으로 작동이 가능하다.
즉, 균열깊이를 측정하는 작업자는 회전 손잡이(230)를 분리하고 전동방식으로 균열깊이를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크라운기어(240)는 상기 크라운기어(340)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제1 피니언 기어(220)와 치합되게 형성된다.
상기 모터(250)는 회전축이 상기 제1 크라운기어(240)와 결합되어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1 크라운기어(240)에 전달한다.
상기 제1 크라운기어(240)에 전달된 모터(250)의 회전력은 상기 제1 피니언 기어(220)를 통해 상기 크라운기어(240)에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동력전달부재(300)에 전달되게 된다.
상기 배터리(260)는 상기 손잡이(130)의 일단에 내장되어 상기 모터(250)가 회전하는 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작동버튼(270)은 작업자가 그립하는 상기 손잡이(130)의 그립부분에 형성되어 배터리(260)의 전원이 상기 모터(250)에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절곡부재(700)는 하부 하우징(120)의 주름관(121)과 하우징 내부로 개재되는 동력전달부재(300)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플렉서블 비트(320)가 소정각도만큼 절곡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7에는 도시 되지 않았지만 절곡이 이루어질 때 와이어(W)와 하우징이 접촉하지 않도록 와이어(W)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대가 소정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하우징
110 : 상부 하우징
120 : 하부 하우징
121 : 주름관
130 : 손잡이
140 : 랙기어바 지지부
200 : 작동부재
210 : 제1 회전축
220 : 제1 피니언 기어
230 : 회전 손잡이
240 : 제1 크라운기어
250 : 모터
260 : 배터리
270 : 작동버튼
300 : 동력전달부재
310 : 하부전달축
320 : 플렉서블 비트
330 : 상부 전달축
340 : 크라운기어
350 : 제2 피니언 기어
400 : 동력변환부재
500 : 탐침부재
510 : 탐침
520 : 탐침 결합부
530 : 랙기어바
540 : 연장바
600 : 균열깊이 표시부재
610 : 회전자
611 : 회전축
612 : 눈금
620 : 케이스
621 : 기준침
700 : 절곡부재

Claims (4)

  1. 원형의 막대구조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되어 균열부위에 삽입되는 탐침부재;
    상기 하부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탐침부재를 균열부위로 삽입시키고 인출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의 동력을 상기 탐침부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탐침부재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동력변환부재; 및
    상기 탐침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탐침부재가 균열부위에 삽입된 정도인 균열깊이를 나타내는 균열깊이 표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일단이 상기 하부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해당 하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제1 회전축;
    천공된 중앙부가 상기 제1 회전축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제1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제1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어 회전조작되는 회전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하부 하우징 내부에 개재되는 하부 전달축;
    상기 상부 하우징 내부에 개재되는 상부 전달축;
    상기 하부 전달축와 상부 전달축을 연결시키고 주름관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재되는 플렉서블 비트;
    상기 하부 전달축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제1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는 크라운기어;
    상부 전달축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동력변환부재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2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하부전달축 외주면과 하부 하우징 내주면 사이, 및 상부 전달축 외주면과 상부 하우징 내주면 사이에 개재 전달축 지지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변환부재는
    일단이 상기 상부 하우징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축;
    양면으로 크라운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의 지지를 받아 일면이 상기 상부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2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는 더블 크라운기어; 및
    상기 더블 크라운기어의 타면과 상기 상부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제2 피니언 기어와 90도 위치에서 치합되는 제3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
KR1020230054908A 2023-04-26 2023-04-26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 KR102630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908A KR102630838B1 (ko) 2023-04-26 2023-04-26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908A KR102630838B1 (ko) 2023-04-26 2023-04-26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838B1 true KR102630838B1 (ko) 2024-01-29

Family

ID=8971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908A KR102630838B1 (ko) 2023-04-26 2023-04-26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8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675B1 (ko) * 2008-07-28 2008-10-29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이동이 용이한 교량 상판의 변위측정 안전진단장치
KR102041364B1 (ko) * 2019-04-30 2019-11-07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용 안전진단장치
CN211205232U (zh) * 2020-02-25 2020-08-07 广东海外建设咨询有限公司 一种监理用裂缝观测仪
KR102318904B1 (ko) 2021-04-29 2021-10-28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구조물 안전진단용 균열깊이 측정기
KR102325801B1 (ko) * 2021-04-21 2021-11-12 주식회사 한국시설물안전연구원 구조물 안전진단용 균열깊이 측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675B1 (ko) * 2008-07-28 2008-10-29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이동이 용이한 교량 상판의 변위측정 안전진단장치
KR102041364B1 (ko) * 2019-04-30 2019-11-07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구조물의 균열길이 점검용 안전진단장치
CN211205232U (zh) * 2020-02-25 2020-08-07 广东海外建设咨询有限公司 一种监理用裂缝观测仪
KR102325801B1 (ko) * 2021-04-21 2021-11-12 주식회사 한국시설물안전연구원 구조물 안전진단용 균열깊이 측정기
KR102318904B1 (ko) 2021-04-29 2021-10-28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구조물 안전진단용 균열깊이 측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0838B1 (ko)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균열깊이 측정장치
JP2014006055A (ja) コンクリートサンプリング装置、およびこの装置の使用方法
CN203241034U (zh) 一种激光直尺平整度测量仪
JP6138602B2 (ja) 孔壁内面形状の計測装置
CN203738069U (zh) 屋顶高空钻孔仪
CN218723776U (zh) 一种工程造价用测绘装置
JP3859655B2 (ja) 試験機
CN214173379U (zh) 一种建筑施工用线坠
JP2009115586A (ja) 凹凸計測装置および凹凸計測方法
CN2888410Y (zh) 简易测高仪
CN210953765U (zh) 一种手持式抗拉强度检测仪
KR102670977B1 (ko) 구조물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균열 및 이격폭 계측장치
CN215676822U (zh) 一种测量装置
KR102632881B1 (ko) 균열깊이 측정이 가능한 안전진단 표시장치
JP5341788B2 (ja) 非破壊測定用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被り厚測定装置、sc杭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被り厚測定方法
CN201681028U (zh) 混凝土初龄期强度测试仪
CN101987445B (zh) 一种冲击钻配套工具
CN210400324U (zh) 一种建筑施工用垂直度测量装置
JP2013113829A (ja) 孔軌跡の計測装置及び計測方法
KR100827247B1 (ko) 천공깊이측정기구를 갖춘 전기드릴
JP6597015B2 (ja) 遠隔測定補助装置
RU13114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линейных перемещений
CN214620957U (zh) 伸展式工前钢筋保护层厚度测量仪
CN219869666U (zh) 一种建筑工程托线检测尺
CN215801838U (zh) 一种桩基测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