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571B1 -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571B1
KR102630571B1 KR1020160160263A KR20160160263A KR102630571B1 KR 102630571 B1 KR102630571 B1 KR 102630571B1 KR 1020160160263 A KR1020160160263 A KR 1020160160263A KR 20160160263 A KR20160160263 A KR 20160160263A KR 102630571 B1 KR102630571 B1 KR 102630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ident
cover substrate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1523A (ko
Inventor
이근식
추교섭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0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571B1/ko
Priority to JP2017220542A priority patent/JP6553155B2/ja
Priority to US15/819,992 priority patent/US10514488B2/en
Priority to GB1719753.4A priority patent/GB2558774B/en
Priority to DE102017128102.9A priority patent/DE102017128102A1/de
Priority to CN201711223169.3A priority patent/CN108121483B/zh
Publication of KR20180061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30Collim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5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using holographic or diffractiv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24Sensors therefor by using geometrical optics, e.g. using prism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18Redirecting means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Lens or lenticular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9FTIR in optical digitiser, i.e. touch detection by frustrating the total internal reflection within an optical waveguide due to changes of optical properties or deformation at the touch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2207/00Other aspects
    • G06K2207/1015Hologram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 인식 센서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내장한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과 지향성 광 유닛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이 정의되어 있다. 지향성 광 유닛은, 표시 패널을 수용하는 길이와 폭 그리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지향성 광 유닛은, 표시 패널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되어, 표시 영역으로 일정 방향성을 갖는 시준된(Collimated) 검출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미지 인식 영역을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이미지 인식 해상도가 우수한, 초 박막형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Embedding Optical Imaging Sensor}
본 발명은 지문 인식 센서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내장한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지향성 광을 제공하는 초 박막형 기판과 광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의 발달에 따라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피시(Tablet PC),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검색 안내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의 컴퓨터 기반 시스템(Computer Based System)이 개발되어 왔다. 이들 시스템에는 통상적으로 개인 사생활과 관련된 개인정보는 물론 영업정보나 영업기밀 등과 같이 비밀을 요하는 많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보안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종래부터 생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보안성을 강화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의 지문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등록이나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지문센서가 알려져 있다. 지문 센서는 인간의 손가락 지문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지문 센서는 광학식 지문 센서(Optical Fingerprint Sensor)와 정전용량식 지문 센서(Capacitive Fingerprint Sensor)로 크게 나누어진다.
광학식 지문 센서(Optical Fingerprint Sensor)는 내부에서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광원을 이용하여 빛을 조사하고 지문의 융선(ridge)에 의해 반사된 빛을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광학식 지문 센서는 LED를 이용해서 스캔을 해야 하기 때문에 스캔을 위한 부가 장비가 필요하다. 광학적 부가 장비를 구성해야 하므로, 스캔 가능한 크기를 크게 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와 결합하는 등 다양한 응용에는 한계가 있다.
종래의 광학식 지문센서로는 2006년 7월 26일자로 등록된 "지문인식 센서를 구비한 영상 표시장치"란 명칭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08171과, 2016년 4월 21일자로 공개된 "지문 인식 소자를 포함한 표시장치"란 명칭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43216이 알려져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공보에 기재된 광학식 지문 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는,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을 터치 영역 및 지문 인식 영역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지문 인식을 위한 센싱용 빛이 지향성(혹은, Directivity)이 현저히 낮은 확산광을 사용한다. 따라서, 정확한 지문의 패턴을 인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지향성이 높은 레이저 적외선과 같은 시준광(Collimated Light)을 사용하는 경우, 넓은 면적에 걸쳐 센싱용 빛을 조사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문 인식 영역의 크기가 극히 한정된다. 또한, 지향성이 높은 시준광을 넓은 스캔 면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스캔 기능을 부가하여야 하므로, 휴대용 평판 표시장치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지문 인식 센서를 내장하는 표시 장치에서는 주로 정전 용량식 지문센서를 적용하는 예가 많다. 하지만,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Capacitive Fingerprint Sensor)는 지문 센서와 접촉되는 융선(Ridge)과 골(Valley) 사이에 대전되는 전기량의 차를 이용한 것이다. 종래의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로는 2013년 11월 21일자로 공개된 "정전 용량식 센서 패키징(Capacitive Sensor Packaging)"이란 명칭의 미국 공개특허 공보 US 2013/0307818가 알려져 있다.
상기 미국 공보에 기재된 정전 용량식 지문센서는 특정 푸시 버튼(Push Button)과 결합한 어셈블리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용량성 플레이트와 사용자의 지문(융선과 골) 사이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가 인쇄된 실리콘 웨이퍼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인간 지문의 융선과 골은 대략 300㎛~500㎛의 크기로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상기 미국 공보의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는 고해상도 센서 어레이와 지문인식 처리를 위한 IC(Integrated Chip) 제작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센서 어레이와 IC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센서 어레이와 IC를 함께 형성할 경우, 푸시 버튼과 함께 지문 센서를 결합하기 위한 어셈블리 구조가 필요하게 되므로 구성이 복잡해 질 뿐 아니라 비 표시 영역(베젤영역)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푸시 버튼(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홈키)과 지문센서가 중첩되게 형성되므로, 그 두께가 증가할 뿐 아니라 지문 센싱 영역이 푸시 버튼의 크기에 좌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터치 센서 스크린의 영역을 지문식별 영역으로 이용하는 기술 등이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기술로서는 "지문식별용 용량성 터치센서(capacitive touch sensor for identifying a fingerprint)"란 명칭으로 2013년 10월 22일 등록된 미국 등록특허 제 US8,564,314호와, "지문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이란 명칭으로 2014년 8월 18일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2988호가 알려져 있다.
스마트 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표시장치에는 표시 패널 보호를 위한 보호 필름을 추가로 부착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은 기술을 개인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을 지문 인식별 영역으로 적용하는 경우, 보호 필름을 부착하면, 지문 인식 기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호 필름을 부착하더라도 터치 기능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지문 인식은 아주 미세한 지문을 인식하여야 하기 때문에, 정전 용량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해야 한다. 보호 필름의 두께가 아무리 얇더라도, 미세한 지문을 인식하는 데 필요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하는 데에는 심각한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지문센서를 내장한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장치의 겉 표면에 보호 필름 혹은 강화 유리를 부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인식 능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의 경우, 표시 기판의 두께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광학식 지문 센서를 내장한 표시 장치에서는, 산란광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인식 능력이 어렵다. 정확한 인식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시준광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잡하고 부피가 큰 광학 기구가 필요하므로 휴대성이 높은 평판용 표시 장치와 결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초 박막형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 전체 혹은 대부분 영역에서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는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향성 광을 검출광으로 대면적에 고르게 제공하는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향성 광을 사용함으로써, 검출 해상도와 민감도가 우수한 초 박막형, 대화면형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과 지향성 광 유닛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이 정의되어 있다. 지향성 광 유닛은, 표시 패널을 수용하는 길이와 폭 그리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지향성 광 유닛은, 표시 패널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되어, 표시 영역으로 일정 방향성을 갖는 시준된(Collimated) 검출광을 제공한다. 지향성 광 유닛은, 커버 기판, 출광 소자, 입광 소자, 저 굴절층. 검출광 조절 소자 및 광원을 포함한다. 커버 기판은, 지향성 광 유닛의 길이와 폭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다. 출광 소자는,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에서,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입광 소자는,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에서, 출광 소자의 일측변에서 표시 영역 외측에 배치된다. 저 굴절층은, 출광 소자 및 입광 소자의 하부 표면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되며, 커버 기판 및 출광 소자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는다. 검출광 조절 소자는, 저 굴절층 하부 표면에 배치된다. 광원은, 표시 패널의 일측변에서 입광 소자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일례로, 광원은, 입광 소자의 표면에 정의된 입사점으로 입사광을 제공한다. 입광 소자는, 입사광을 커버 기판 내부에서 전반사하는 입사각을 갖는 진행광으로 전환하여 커버 기판 내부로 입사시키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한다. 출광 소자는, 진행광의 일부를 커버 기판의 상부 표면에서는 전반사되고 저 굴절층을 투과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반사각을 갖는 검출광으로 전환하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한다. 검출광 조절 소자는, 검출광의 진행 방향을 표시 패널의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한다.
일례로, 진행광은, 폭 방향 축과 길이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수평 평면에서는 확산각을 가지며, 길이 방향 축과 두께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수직 평면에서는 시준된 상태를 유지한다. 입사각은, 출광 소자와 저 굴절 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 큰 값을 갖는다. 반사각은, 커버 기판과 공기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는 크고, 출광 소자와 저 굴절 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는 작은 값을 갖는다.
일례로, 확산각은, 입사점에서 입광 소자와 대향하는 커버 기판의 타측변의 두 끝점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 이상이다.
일례로, 지향성 광 유닛은, 수평 시준 소자를 더 포함한다. 수평 시준 소자는, 입광 소자에서 진행광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하여, 커버 기판의 폭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확산각은, 입광 소자의 입사점에서 수평 시준 소자의 두 끝점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에 상응한다. 수평 시준 소자는, 확산각을 갖는 진행광을 커버 기판의 폭에 대응하도록 수평 평면에서 수평 시준하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한다.
일례로, 광원은, 단면 형상이 정원형인 시준광(collimated light)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향성(Directional) 광을 검출광으로 제공함으로써, 고 분해능의 이미지 인식 능력을 갖는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시준된 적외선 레이저를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대면적으로 확장시켜 검출광을 제공함으로써 대면적 인식이 가능한,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평판 표시장치의 화면 위에 얇은 필름형상을 갖는 지향성 광을 검출광으로 제공함으로써, 초박형의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검출광은, 이미지 인식 센서가 구비된 표시 기판에 대해 수직으로 입사함으로써 검출광의 광량이 저하되지 않아, 정확한 이미지 인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표시 장치의 제일 겉면에 부착되는 보호 기판 자체를 본 발명에 의한 지향성 광 기판의 커버 기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구나, 홀로그래피 필름을 이용하여 시준광을 대면적으로 확산 공급함으로써 초 박형 지향성 광 기판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인식 장치를 표시 장치와 결합해도 표시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는, 이미지 인식 영역을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제품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에 적용하는 지향성 광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의한 지향성 광 기판 내부에서의 광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응용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응용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
이하,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에 적용하는 지향성 광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상부 도면은 XZ 평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하부 도면은 위에서 XY 평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은, 지향성 광 기판(SLS)과 광원(LS)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커버 기판(CP), 출광 소자(VHOE), 입광 소자(CHOE), 저 굴절층(LR) 및 검출광 조절 소자(GHOE)을 포함한다. 커버 기판(CP)은 대략 장방형의 사각 판상 모양으로, 길이와 폭 그리고 두께를 갖는다. 도 1에서는 길이는 X축, 폭은 Y축 그리고 두께는 Z축에 대응하여 표시한다.
지향성 광 유닛은 시준된(collimated) 광을 대면적으로 퍼트려 제공하는 광학 장치이다. 따라서, 광원(LS)은 시준된 빛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기판(CP)의 하부 표면에는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가 면 부착되어 있다. 출광 소자(VHOE)는 출사광(300)을 제공하는 광학 소자이다. 따라서, 출광 소자(VHOE)는 이미지를 검출 및 인식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입광 소자(CHOE)는 광원(LS)에서 제공하는 시준된 빛을 커버 기판(CP)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퍼지면서 시준성을 갖도록 전환하는 광학 소자이다. 입광 소자는(CHOE) 이미지 인식과는 직접 관련이 없으므로, 출광 소자(VHOE)의 외측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입광 소자(CHOE)는 광원(LS)과 대향하여 배치된다.
출광 소자(VHOE) 및 입광 소자(CHOE)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제조 공정을 고려하면, 하나의 필름 위에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의 영역을 나누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포함하는 광학 소자일 수 있다. 이 경우, 출광 소자(VHOE)의 패턴을 갖는 마스터 필름과 입광 소자(CHOE)의 패턴을 갖는 마스터 필름을 인접하여 배치한 후, 하나의 홀로그래피 기록 필름에 두 홀로그래피 패턴을 동시에 복사할 수 있다.
출광 소자(VHOE) 및 입광 소자(CHOE)의 하부 표면에는 저 굴절층(LR)이 적층되어 있다. 저 굴절층(LR)은, 커버 기판(CP) 및 출광 소자(VHOE)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커버 기판(CP)은 굴절율이 1.5인 투명한 강화 유리로 만들 수 있다.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는 투명한 홀로그래피 기록 필름으로서 굴절율이 커버 기판(CP)과 동일하거나 조금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의 굴절율은 커버 기판(CP)의 굴절율과 동일한 것으로 설명한다. 저 굴절층(LR)의 굴절율은 인지하고자 하는 이미지 객체의 굴절율과 비슷한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지문 인식에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람의 피부가 갖는 굴절율인 1.39와 유사한 1.4 정도의 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저 굴절층(LR)의 하면에는 검출광 조절 소자(GHOE)가 배치되어 있다. 검출광 조절 소자(GHOE)는, 이미지 검출에 사용된 빛이 커버 기판(CP)의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출광하도록 검출광의 진행 방향을 바꾸어 주는 광학 소자이다.
입광 소자(CHOE)의 하부 공간에는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도록 광원(LS)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광원(LS)은 검출광 조절 소자(GHOE) 아래에서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LS)은 레이저와 같이 시준성이 높은 빛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용 표시장치에 지문 인식 기능을 내장하는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 사람이 인지할 수 없는 빛인 적외선 레이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LS)에서 제공된 시준광(Collimated Light)은 입사광(100)으로서 일정한 단면적을 갖고 입광 소자(CHOE)에 정의된 입사점(IP)으로 제공된다. 입사광(100)은 입사점(IP)의 표면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입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입사점(IP) 표면의 법선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로 입사할 수도 있다.
광원(LS)에서 제공된 시준광은 입광 소자(CHOE)로 입사하기 전에 검출광 조절 소자(GHOE)로 먼저 입사한다. 검출광 조절 소자(GHOE)는 수직으로 입사하는 빛에 대해서는 작용하지 않는 홀로그래피 광학 소자이므로, 시준광은 검출광 조절 소자(GHOE)를 그대로 통과한다. 광원(LS)이 검출광 조절 소자(GHOE)를 통과하면서, 광량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광원(LS)이 통과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검출광 조절 소자(GHOE)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입광 소자(CHOE)는 입사광(100)을 입사각을 갖는 진행광(200)으로 전환하여 커버 기판(CP)의 내부로 보낸다. 여기서, 입사각은 커버 기판(CP)의 내부 전반사 임계각(Internal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진행광(200)은 커버 기판(CP)의 내부에서 전반사를 하면서, 커버 기판(CP)의 길이 방향인 X축으로 진행한다.
출광 소자(VHOE)는 진행광(200)의 일부 광량을 출사광(300)으로 전환하여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으로 굴절 시킨다. 진행광(200)의 나머지 광량은 커버 기판(CP) 내부에서 전반사되어 진행한다. 출사광(300)은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서는 전반사되지만, 하부 표면에서는 저 굴절층(LR)을 투과하여 지향성 광 기판(SLS) 외부로 출광된다. 즉, 출사광(300)은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서 전반사되어, 하부 표면을 투과하는 검출광(혹은, '센싱광')(400)이 된다.
검출광(400)은,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서 반사되어 하부 표면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 때, 검출광(400)은 출사광(300)과 동일한 입사각도를 갖는다. 즉, 검출광(400)은 커버 기판(CP)의 하부 표면에 대해 경사각도를 갖고 방출된다. 지향성 광 유닛(SLS)의 하면에는 검출광(400)을 인지할 수 있는 광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광 센서로 입사되는 검출광(400)이 경사 각도를 갖고 입사된다. 따라서, 광 센서로 입사되는 광량이 약해질 수 있다. 검출광(400)의 광량을 손실 없이 광 센서로 입사할 수 있도록, 검출광(400)을 수직 검출광(401)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검출광 조절 소자(GHOE)는 검출광(400)을 수직 검출광(401)으로 변환시키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광 소자(CHOE)에서 진행하면서, 출광 소자(VHOE)에 의해 점차적으로 출사광(300)이 방출된다. 이 때, 출사광(300)의 광량은 출광 소자(VHOE)의 광 추출 효율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출광 소자(VHOE)의 광 추출 효율이 3%라고 하면, 첫 번째로 진행광(200)이 출광 소자(VHOE)에 닿은 지점인 첫 번째 발광 영역에서는 초기 입사광(100)의 3%에 해당하는 광량이 출사광(300)으로 추출된다. 97%의 진행광(200)은 계속 전반사되어 진행한다. 그 후, 두 번째 발광 영역에서는, 97%의 3%인 초기 입사광(100) 광량의 2.91%에 해당하는 광량이 출사광(300)으로 추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버 기판(CP)의 끝 변에 다달을 때까지 출사광(300)이 추출된다. 이와 같이 균일한 출광 효율을 갖는 경우, 진행광(200)이 진행할 수록 추출되는 광량이 서서히 줄어든다. 진행광(200)이 진행하면서, 일정한 광량을 갖는 출사광(300)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출광 소자(VHOE)의 광 추출 효율이 지수함수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값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행광(200)을 길이 방향 축과 두께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XZ 평면(혹은, '수직 평면') 상에서 보면, 입사광(100)의 시준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반면에, 폭 방향 축과 길이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XY 평면(혹은, '수평 평면')에서는 확산각(φ)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미지 검출 면적을 커버 기판(CP)의 면적에 대응하도록 설정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출광 소자(VHOE)는 가급적, 광 출사부(LOT) 면적 전체에 대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확산각(φ)은 입사점(IP)에서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는 커버 기판(CP)의 타측변의 두 끝점(P1, P2)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와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입광 소자(CHOE)가 배치된 영역을 광 입사부(LIN)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출광 소자(VHOE)가 배치된 영역을 광 출사부(LOT)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광 출사부(LOT)는 광이 진행하기도 하는 광 진행부이기도 하다. 도 1에서 입광 소자(CHOE)가 광 입사부(LIN) 전체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입사점(IP)의 크기보다 조금 더 큰 크기를 갖는 정도이어도 충분하다.
예를 들어, 광원(LS)에서 제공하는 시준된 빛의 단면적이 0.5mm x 0.5mm인 정원인 경우, 입광 소자(CHOE)는 커버 기판(CP)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와 3mm ~ 5mm정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입광 소자(CHOE)는 커버 기판(CP)의 폭 방향으로 가로 질러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광원에서 제공된 시준된(Collimated) 적외선이 지향성 광 기판(SLS) 내부에서 어떠한 경로를 거쳐, 이미지 검출에 사용하는 지향성(Directional) 적외선으로 전환되는지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의한 지향성 광 기판 내부에서의 광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광원(LS)에서 제공된 입사광(100)은 입광 소자(CHOE)의 입사점(IP)의 표면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입사한다. 입광 소자(CHOE)는 입사광(100)을 입사각(θ)을 갖도록 굴절시킨 진행광(200)으로 전환하여 커버 기판(CP)의 내부로 보낸다.
진행광(200)의 입사각(θ)은 출광 소자(VHOE)와 저 굴절층(L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VHOE _ LR)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커버 기판(CP) 및 출광 소자(VHOE)의 굴절율이 1.5이고, 저 굴절층(LR)의 굴절율이 1.4일 경우, 출광 소자(VHOE)와 저 굴절층(L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VHOE _ LR)은 약 69도로 계산된다. 따라서, 입사각(θ)은 69도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입사각(θ)은 70도 내지 75 중 어느 한 값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은 공기층(AIR)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진행광(200)은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서 역시 전반사된다. 이는, 커버 기판(CP)과 공기층(AI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CP_AIR)은 약 41.4도이기 때문이다. 즉, 입사각(θ)이 출광 소자(VHOE)와 저 굴절층(L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VHOE_LR)보다 큰 값을 가지면, 이는 항상 커버 기판(CP)과 공기층(AIR)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CP_AIR)보다 큰 값이다.
출광 소자(VHOE)는 진행광(200)의 일정 광량을 반사각(α)을 갖는 출사광(300)으로 전환시켜 커버 기판(CP)의 내부로 되돌려 보낸다. 출사광(300)은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 이미지를 갖는 객체가 접촉하는 경우, 그 이미지의 상을 인지하기 위한 광이다. 출사광(300)은 커버 기판(CP)의 표면에 아무 물체도 없는 경우에는, 전반사되어, 지향성 광 기판(SLS)의 하면 외부에 위치한 광 센서로 보내어져야 한다. 즉, 출사광(300)은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서 전반사된 후에는 검출광(400)으로서 지향성 광 기판(SLS)의 외부로 출광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하부 표면에 배치된 저 굴절층(LR)의 외부로 출광된 검출광(400)을 인식함으로써,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 배치된 물체의 이미지를 판별할 수 있다. 특히, 검출광(400)은 커버 기판(CP)의 하부 표면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경사각을 갖고 방출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아래에는 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광 센서로 입사되는 검출광(400)이 경사각도를 갖는 경우, 검출광(400)의 광량이 저하될 수 있다. 검출하고자 하는 광량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검출광 조절 소자(GHOE)에 의해 검출광(400)은 수직 검출광(401)로 변환된다. 수직 검출광(401)을 광 센서가 인식함으로써,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 배치된 물체의 이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 설명한 지향성 광 유닛을 응용한 이미지 인식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지문 인식 센서를 내장한 평판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DP), 지향성 광 기판(SLS) 및 광원(LS)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DP)에는 표시 영역(AA)과 비 표시 영역(NA)이 정의되어 있다. 표시 영역(AA)은 표시 패널(DP)의 중앙부 대부분을 차지하고, 비 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다. 표시 영역(AA)에는, 표시 패널(DP)이 나타내고자 하는 영상들이 표시되는 소자들이 배치되어 있다. 비 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에 배치된 소자들을 구동하기 위한 소자들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표시 영역(AA)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 개의 화소 영역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 화소 영역에는 이미지 인식을 위한 광 센서들이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개의 화소 영역들을 기본 단위로 하여, 하나씩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x2, 3x3 혹은 4x4 화소들마다 하나씩 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일정 길이, 일정 폭 및 일정 두께를 갖는 얇고 넓은 판상형이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길이와 폭은 표시 패널(DP)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표시 패널(DP)의 전체 크기보다 조금 더 큰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표시 패널(DP)의 한쪽 변으로 더 연장된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의 한쪽 변으로 더 연장된 부분에는 광원(LS)을 배치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에 면 합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앞에서 설명했듯이, 커버 기판(CP), 입광 소자(CHOE), 출광 소자(VHOE) 및 저 굴절층(LR)을 포함한다. 저 굴절층(LR)이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과 면 합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은, 표시 패널(DP)에서 제공되는 영상 정보가 출광되는 면을 말한다. 즉, 사용자가 영상을 관람할 때 바라보는 표시 패널(DP)의 표면을 말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향성 광 기판(SLS)에서는 하부 표면으로 즉,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으로, 이미지 수직 검출광(401)을 제공한다. 그러면, 지향성 광 기판(SLS)의 하부에 배치된 표시 패널(DP)의 광 센서가 수직 검출광(401)을 인지한다. 그 결과, 지향성 광 기판(SLS)의 상부 표면에 접촉하는 물체의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향성 광 기판(SLS)의 출광 소자(VHOE)에 의해 만들어지 출사광(300)이 커버 기판(CP)의 상부 표면에 다다른다. 특히, 커버 기판(CP) 위에 이미지 객체(IM)가 접촉하고 있을 때, 객체(IM)와 닿지 않은 곳에 다달은 출사광(300)은 전반사되어 검출광(400)으로, 다시 수직 검출광(401)로서 표시 패널(DP)로 제공된다. 한편, 커버 기판(CP) 표면에서 객체(IM)가 닿는 부분에 다달은 출사광(300)은 외부로 굴절되어 나간다. 굴절율이 공기보다 큰 값을 갖는 객체(IM)가 커버 기판(CP)에 접촉한 부위에서는, 검출광(400)이 전반사되지 않고, 객체(IM) 쪽으로 굴절된다. 즉, 이미지 객체(IM)가 있는 부분에서는 출사광(300)이 흡수광(500)으로 되어 표시 패널(DP)의 광 센서로 제공되는 광량이 거의 없다.
그 결과, 표시 패널(DP)에는 출사광(300) 중에서 수직 검출광(401)만 인지하고, 흡수광(500)은 인지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표시 패널(DP)의 광 센서들은, 커버 기판(CP)의 표면에서 반사되고, 수직 방향으로 조절된 수직 검출광(401)의 반사 패턴을 인지함으로써 이미지의 패턴을 재현(reproduce)할 수 있다.
지향성 광 유닛을 지문 인식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이미지 객체(IM)는 사람의 손가락(finger)이 된다. 그리고, 지문의 융기(R) 부분은 커버 기판(CP)의 표면과 접촉하고, 골(V) 부분은 커버 기판(CP)의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골(V) 부분으로 간 출사광(300)은 전반사되어 검출광(400)으로 된다. 반면에, 융기(R) 부분으로 간 출사광(300)은 굴절되어 커버 기판(CP)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흡수광(500)이 된다.
도 3의 아래에 도시된 사시도를 더 참조하여 XY 평면상에서의 이미지 센싱에 대해 설명한다. 입사광(100)은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시준된 적외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원(LS)은 적외선 레이저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입사광(100)은 입광 소자(CHOE)에 의해 진행광(200)으로 변환된다. 이 때, 진행광(200)은, 길이 방향 축인 X축과 폭 방향 축인 Y축으로 이루어진 수평 평면인 XY 평면에서는 확산각(φ)을 가지도록 변환된다. 또한, 길이 방향 축인 X과 두께 방향 축인 Z축으로 이루어진 수직 평면인 XZ 평면에서는 원래의 시준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확산각(φ)은, 입사점(IP)에서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는 커버 기판(CP)의 타측변의 두 끝점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와 같거나 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진행광(200)은 확산각을 갖는 삼각형 형상으로 퍼지면서 진행한다. 이에 따라, 출사광(300) 역시 진행광(200)과 동일한 범위에 걸쳐 제공된다. 그 결과, 이미지 인식 영역은 삼각형 내부 영역이 된다. 따라서, 지문 인식 장치로 적용하는 경우, 도 3에서 빗금친 원형으로 표시한 부분에 인식 영역(SA)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표시 패널의 중앙부 혹은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는 상단변의 일부에 인식 영역(SA)을 설정할 경우, 인식 영역(SA)에서 출사광(300)의 광량이 최대 값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출광 소자(VHOE)의 광 추출 효율이 인식 영역(SA)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최대 값을 갖고, 다른 부분에서는 최소 값 혹은 '0'에 가까운 값을 갖도록 위치에 따른 함수 관계로 설계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이미지 인식 영역(SA)을 좀 더 넓게 확보한 경우를 설명한다. 특히, 표시 영역(AA) 중 많은 부분을 이미지 인식 영역(SA)으로 설정할 수 있는 예를 설명한다. 대부분의 구성 요소는 제1 실시 예와 비슷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 예에 의한 것과 동일하다. 차이가 있다면, 수평 평면인 XY 평면 상에서도 진행광(200)을 커버 기판(CP)의 폭에 대응하도록 수평 시준 시키기 위한 수평 시준 소자(PHOE)를 더 포함한다.
수평 시준 소자(PHOE)는, 입광 소자(CHOE)에서 진행광(200)이 진행하는 방향인 X축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하여, 커버 기판(CP)의 폭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여기서, 수평 시준 소자(PHOE)가 입광 소자(CHOE)에서 이격된 거리는 제조자 또는 설계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인식 영역을 커버 기판(CP)의 2/3 정도의 영역으로 설정하고자 한다면, 수평 시준 소자(PHOE)는 입광 소자(CHOE)에서 커버 기판(CP) 길이의 1/3되는 지점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확산각(φ)은, 입광 소자(CHOE)의 입사점(IP)에서 수평 시준 소자(PHOE)의 두 끝점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에 상응한다. 확산각(φ)을 갖는 진행광(200)은, 수평 시준 소자(PHOE)에 의해 수평 시준 진행광(201)로 변환된다. 수평 시준 진행광(201)은 출광 소자(VHOE)에 의해 출사광(300)으로 변환된다. 이 때, 출사광(300)은 XY 평면 상에서 수평 시준된 상태가 된다. 출사광(300)은 커버 기판(CP)의 폭에 대응하는 면적에 걸친 넓은 면적에 걸쳐 고르게 분포된다. 수평 시준 소자(PHOE)는, 확산각(φ)을 갖는 진행광(201)을 커버 기판(CP)의 폭에 대응하도록 수평 평면에서 수평 시준하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한 광학 소자일 수 있다.
도 4의 아래에 도시된 사시도를 더 참조하면, 수평 시준 소자(PHOE)는 입사부(LIN)에서 일정 거리 이격한 위치에 설정된 광 변환부(LCO)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서는, 광 출사부(LOT)와 이미지 인식 영역(SA)이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할 수 있다.
<제1 응용 예>
지금까지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에서 지향성 광을 제공하기 위한 지향성 광 유닛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을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패널과 결합하여 형성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들의 구체적인 응용 예들을 설명한다.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응용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응용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응용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LCP), 지향성 광 기판(SLS) 및 광원(LS)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패널(LCP)은, 서로 면 합착된 하부 기판(SL)과 상부 기판(SU) 그리고 그 사이에 개재된 액정 층(LC)을 포함한다. 하부 기판(SL)에는 다수 개의 화소 영역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부 기판(SU)에는 화소 영역에 대응하여 칼라 필터들이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혹은, 상부 기판(SU)에는 특별한 소자들이 형성되지 않은 기판일 수 있다. 여기서, 액정 표시 패널(LCP)은 수평 전계형의 경우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액정 표시 패널에 적용할 수 있다.
화소 영역에는 화상을 표현하기 위한 화소 전극(PXL)과 공통 전극(COM)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화소 전극(PXL)에 화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가 배치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와 이웃하여 광 센서(TS)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광 센서(TS)는 각 화소 영역마다 하나씩 혹은 그 이상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여러 화소 영역들 마다 하나씩 광 센서(TS)가 배치될 수도 있다.
액정 표시 패널(LCP)의 상부 기판(SU)의 윗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지향성 광 기판(SLS)이 면 부착되어 있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커버 기판(CP), 입광 소자(CHOE), 출광 소자(VHOE) 및 저 굴절층(LR)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저 굴절층(LR)이 상부 기판(SU)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된다.
액정 표시 패널(LCP)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없는 비 자발광 표시 장치이다. 이 경우, 하부 기판(SL)의 하면에 백 라이트 유닛(BLU)이 배치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BLU)의 일측변에는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도록 광원(LS)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LS)은 백 라이트 유닛(BLU)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혹은, 광원(LS)은 별도의 구성으로 제작하여 백 라이트 유닛(BLU)의 근처에 배치할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LCP)은 표시 영역(AA)과 비 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출광 소자(VHOE)는 표시 영역(AA)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입광 소자(CHOE)는 비 표시 영역(NA)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또한, 광원(LS) 역시 비 표시 영역(NA)에서, 입광 소자(CHOE)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2 응용 예>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응용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응용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응용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 지향성 광 기판(SLS) 및 광원(LS)을 포함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은, 표시 소자들이 배치된 기판(SUB)과 표시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인캡(ENC)이 서로 면 합착되어 있다. 기판(SUB)에는 다수 개의 화소 영역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인캡(ENC)에는 화소 영역에 대응하여 칼라 필터들이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혹은, 인캡(ENC)에는 특별한 소자들이 형성되지 않은 투명 기판일 수 있다. 여기서는, 상부 발광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의 경우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상부 발광형등 다양한 구조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화소 영역에는 화상을 표현하기 위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에 화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가 배치되어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애노드 전극(ANO), 유기발광 층(OL) 및 캐소드 전극(CAT)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와 이웃하여 광 센서(TS)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광 센서(TS)는 각 화소 영역마다 하나씩 혹은 그 이상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여러 화소 영역들 마다 하나씩 광 센서(TS)가 배치될 수도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의 인캡(ENC)의 윗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지향성 광 기판(SLS)이 면 부착되어 있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커버 기판(CP), 입광 소자(CHOE), 출광 소자(VHOE) 및 저 굴절층(LR)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저 굴절층(LR)이 인캡(ENC)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은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 표시 장치이다. 이 경우, 별도의 백 라이트 유닛(BLU)이 필요 없다. 따라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의 일측변에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도록 광원(LS)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은 표시 영역(AA)과 비 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출광 소자(VHOE)는 표시 영역(AA)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입광 소자(CHOE)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의 측변에서 확장된 공간 상부를 덮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광원(LS)은 그 확장된 공간 하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내장한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장치의 겉면에 부착하는 커버 기판과 커버 기판의 일측 표면에 부착된 수백 ㎛ 정도에 불과한 초박형 홀로그래피 필름을 구비한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두께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내장할 수 있다. 또한, 시준성이 높은 광을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전체 면적에 고르게 분포하도록 하여(또는 스캔하여)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이미지 인식 분해능이 매우 우수하여, 지문 인식과 같이 미세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DP: 표시 패널 SLS: 지향성 광 기판
CP: 커버 기판 CHOE: 입광 소자
VHOE: 출광 소자 PHOE: 수평 시준 소자
GHOE: 검출광 조절 소자
LR: 저 굴절 층 LS: 광원
100: 입사광 200: 진행광
201: 수평 시준 진행광 210: 전반사광
300: 출사광 400: 검출광
500: 흡수광 SA: 이미지 센싱 영역

Claims (6)

  1.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을 수용하는 길이와 폭 그리고 일정한 두께를 갖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된 지향성 광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지향성 광 유닛은,
    상기 길이와 상기 폭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커버 기판;
    상기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 출광 소자;
    상기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에서, 상기 출광 소자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출광 소자의 일측변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 외측에 배치된 입광 소자;
    상기 출광 소자 및 상기 입광 소자의 하부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되며, 상기 커버 기판 및 상기 출광 소자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는 저 굴절층;
    상기 저 굴절층 하부 표면에서 상기 출광 소자 및 상기 입광 소자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검출광 조절 소자;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변에서 상기 입광 소자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광원을 구비하는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입광 소자의 표면에 정의된 입사점으로 입사광을 제공하며;
    상기 입광 소자는, 상기 입사광을 상기 커버 기판 내부에서 전반사하는 입사각을 갖는 진행광으로 전환하여 상기 커버 기판 내부로 입사시키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출광 소자는, 상기 진행광의 일부를, 상기 커버 기판의 상부 표면에서는 전반사되고 상기 저 굴절층은 투과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반사각을 갖는 상기 검출광으로 전환하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검출광 조절 소자는, 상기 검출광의 진행 방향을 상기 표시 패널의 수직 방향으로 전환하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하는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광은, 상기 폭 방향 축과 상기 길이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수평 평면에서는 확산각을 가지며, 상기 길이 방향 축과 상기 두께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수직 평면에서는 시준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입사각은, 상기 출광 소자와 상기 저 굴절 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 큰 값을 갖고; 그리고
    상기 반사각은, 상기 커버 기판과 공기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는 크고, 상기 출광 소자와 상기 저 굴절 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는 작은 값을 갖는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각은,
    상기 입사점에서 상기 입광 소자와 대향하는 상기 커버 기판의 타측변의 두 끝점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 이상인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광 소자에서 상기 진행광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하여, 상기 폭을 가로질러 배치된 수평 시준 소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확산각은,
    상기 입광 소자의 입사점에서 상기 수평 시준 소자의 두 끝점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에 상응하며,
    상기 수평 시준 소자는, 상기 확산각을 갖는 상기 진행광을 상기 폭에 대응하도록 상기 수평 평면에서 수평 시준하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한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단면 형상이 정원형인 시준광(collimated light)을 제공하는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0160160263A 2016-11-29 2016-11-29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630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263A KR102630571B1 (ko) 2016-11-29 2016-11-29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JP2017220542A JP6553155B2 (ja) 2016-11-29 2017-11-16 光学式イメージ認識センサー内蔵型平板表示装置
US15/819,992 US10514488B2 (en) 2016-11-29 2017-11-21 Flat panel display embedding optical imaging sensor
GB1719753.4A GB2558774B (en) 2016-11-29 2017-11-28 Flat panel display embedding optical imaging sensor
DE102017128102.9A DE102017128102A1 (de) 2016-11-29 2017-11-28 Flachpanelanzeige, die optischen bildgebungssensor einbettet
CN201711223169.3A CN108121483B (zh) 2016-11-29 2017-11-29 嵌入有光学成像传感器的平板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263A KR102630571B1 (ko) 2016-11-29 2016-11-29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523A KR20180061523A (ko) 2018-06-08
KR102630571B1 true KR102630571B1 (ko) 2024-01-30

Family

ID=60950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263A KR102630571B1 (ko) 2016-11-29 2016-11-29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14488B2 (ko)
JP (1) JP6553155B2 (ko)
KR (1) KR102630571B1 (ko)
CN (1) CN108121483B (ko)
DE (1) DE102017128102A1 (ko)
GB (1) GB25587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50993B1 (en) 2015-01-28 2019-09-04 FlatFrog Laboratories AB Dynamic touch quarantine frames
US10496227B2 (en) 2015-02-09 2019-12-03 Flatfrog Laboratories Ab Optical touch system comprising means for projecting and detecting light beams above and inside a transmissive panel
JP2018536944A (ja) 2015-12-09 2018-12-13 フラットフロッグ ラボラトリーズ アーベーFlatFrog Laboratories AB 改善されたスタイラスの識別
KR20240012622A (ko) 2016-12-07 2024-01-29 플라트프로그 라보라토리즈 에이비 개선된 터치 장치
CN116679845A (zh) 2017-02-06 2023-09-01 平蛙实验室股份公司 触摸感测装置
US10606414B2 (en) 2017-03-22 2020-03-31 Flatfrog Laboratories Ab Eraser for touch displays
EP4036697A1 (en) 2017-03-28 2022-08-03 FlatFrog Laboratories AB Optical touch sensing apparatus
CN107068726B (zh) * 2017-04-27 2019-11-0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7311543A (zh) 2017-09-01 2023-12-29 平蛙实验室股份公司 触摸感测设备
WO2019172826A1 (en) 2018-03-05 2019-09-12 Flatfrog Laboratories Ab Improved touch-sensing apparatus
US11943563B2 (en) 2019-01-25 2024-03-26 FlatFrog Laboratories, AB Videoconferencing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7438766B2 (ja) 2019-04-25 2024-02-27 恵和株式会社 指紋認証装置を備えたoledディスプレイ用の保護フィルム
GB2585692A (en) * 2019-07-12 2021-01-2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 method of embedding an imaging device within a display
JP7086108B2 (ja) * 2019-08-14 2022-06-17 北京小米移動軟件有限公司南京分公司 スクリーン内指紋識別装置と電子機器
EP4104042A1 (en) 2020-02-10 2022-12-21 FlatFrog Laboratories AB Improved touch-sensing apparatus
CN111582131B (zh) * 2020-04-30 2023-10-27 上海思立微电子科技有限公司 薄型化屏下光学指纹识别装置及指纹识别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3038A1 (en) * 2006-02-08 2007-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larized light emitting light guide pl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illuminator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polarized light emitting light guide plate
US20140028629A1 (en) * 2012-07-24 2014-01-30 Rapt Ip Limited Augmented optical waveguide for use in an optical touch sensitive device
US20160266695A1 (en) * 2015-03-10 2016-09-15 Crucialtec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image scanning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9304A (ja) * 1997-02-12 1998-10-27 Nec Corp 指紋画像入力装置
JP2000030034A (ja) * 1998-07-09 2000-01-28 Fuji Electric Co Ltd 指紋画像入力装置
KR20010094555A (ko) * 2000-03-31 2001-11-01 윤태식 광학식 지문인식센서
CN1141664C (zh) * 2001-05-18 2004-03-10 清华大学 基于波导全息技术的指纹图像传感器及其采集指纹图像的方法
KR100608171B1 (ko) 2003-06-24 2006-08-02 주식회사 에스엘 엘씨디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JP4266770B2 (ja) * 2003-10-22 2009-05-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光学式画像読み取り装置
JP4677346B2 (ja) * 2006-01-05 2011-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印刷装置及びこれらを含む印刷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US8564314B2 (en) 2010-11-02 2013-10-22 Atmel Corporation Capacitive touch sensor for identifying a fingerprint
US9030440B2 (en) 2012-05-18 2015-05-12 Apple Inc. Capacitive sensor packaging
WO2014112913A1 (en) 2013-01-16 2014-07-24 Flatfrog Laboratories Ab Touch-sensing display panel
US20160342282A1 (en) 2014-01-16 2016-11-24 Flatfrog Laboratories Ab Touch-sensing quantum dot lcd panel
KR101432988B1 (ko) 2014-04-02 2014-08-29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지문 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JP6362465B2 (ja) * 2014-07-23 2018-07-25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
KR102206332B1 (ko) 2014-10-10 2021-0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문 인식 소자를 포함한 표시 장치
CN104794471A (zh) * 2015-05-19 2015-07-22 深圳市恒睿智达科技有限公司 基于玻璃面板生物特征光学图像采集模组及移动终端
KR102040651B1 (ko) 2016-04-29 2019-1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3038A1 (en) * 2006-02-08 2007-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larized light emitting light guide pl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illuminator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polarized light emitting light guide plate
US20140028629A1 (en) * 2012-07-24 2014-01-30 Rapt Ip Limited Augmented optical waveguide for use in an optical touch sensitive device
US20160266695A1 (en) * 2015-03-10 2016-09-15 Crucialtec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image scann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49792A1 (en) 2018-05-31
GB201719753D0 (en) 2018-01-10
CN108121483A (zh) 2018-06-05
KR20180061523A (ko) 2018-06-08
DE102017128102A1 (de) 2018-05-30
US10514488B2 (en) 2019-12-24
GB2558774A (en) 2018-07-18
JP6553155B2 (ja) 2019-07-31
JP2018088248A (ja) 2018-06-07
CN108121483B (zh) 2021-04-13
GB2558774B (en)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0571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040651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JP6479151B2 (ja) 光学式イメージ認識センサー内蔵型平面表示装置
US10741621B2 (en) Display device with a fingerprint sensor
KR102006267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646158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515292B1 (ko) 박막 평판형 광학 이미지 센서 및 광학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418802B1 (ko) 표시장치
KR102483072B1 (ko) 표시장치
CN109086646B (zh) 光学图像传感器装置和具有该传感器装置的显示装置
KR102460111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375705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KR20180073763A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440209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629153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