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209B1 -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209B1
KR102440209B1 KR1020170056318A KR20170056318A KR102440209B1 KR 102440209 B1 KR102440209 B1 KR 102440209B1 KR 1020170056318 A KR1020170056318 A KR 1020170056318A KR 20170056318 A KR20170056318 A KR 20170056318A KR 102440209 B1 KR102440209 B1 KR 102440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ver substrate
low refractive
incide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853A (ko
Inventor
이근식
류승만
윤아라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EP17205816.6A priority Critical patent/EP3334130B1/en
Priority to US15/834,959 priority patent/US10657352B2/en
Priority to CN201711284734.7A priority patent/CN108182873B/zh
Priority to JP2017235624A priority patent/JP6479151B2/ja
Publication of KR20180065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853A/ko
Priority to US16/838,368 priority patent/US1139324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5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using holographic or diffractiv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 인식 센서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내장한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 및 지향성 광 유닛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유닛은, 표시 패널을 수용하는 길이와 폭 그리고 일정한 두께를 갖고, 표시 패널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된다. 지향성 광 유닛은, 제1 커버 기판, 제2 커버 기판, 제1 저 굴절층, 출광 소자, 입광 소자, 제2 저 굴절층 및 광원을 구비한다. 제1 커버 기판 및 제2 커버 기판은, 길이와 폭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고 제1 저 굴절층을 매개로 면 합착되어 있다. 출광 소자는, 제2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에서,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입광 소자는, 제2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에서, 출광 소자의 일측변에서 표시 영역 외측에 배치된다. 제2 저 굴절층은, 출광 소자 및 입광 소자의 하부 표면에 배치되며, 표시 패널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된다.

Description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Embedding Optical Imaging Sensor}
본 발명은 지문 인식 센서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내장한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지향성 광을 제공하는 초박막형 기판과 광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의 발달에 따라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피시(Tablet PC),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현금 자동 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검색 안내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의 컴퓨터 기반 시스템(Computer Based System)이 개발되어 왔다. 이들 시스템에는 통상적으로 개인 생활과 관련된 개인정보는 물론 영업정보나 영업기밀 등과 같이 비밀을 요하는 많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보안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종래부터 생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보안성을 강화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의 지문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등록이나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지문센서가 알려져 있다. 지문 센서는 인간의 손가락 지문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지문 센서는 광학식 지문 센서(Optical Fingerprint Sensor)와 정전용량식 지문 센서(Capacitive Fingerprint Sensor)로 크게 나누어진다.
광학식 지문 센서(Optical Fingerprint Sensor)는 내부에서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광원을 이용하여 빛을 조사하고 지문의 융선(ridge)에 의해 반사된 빛을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광학식 지문 센서는 LED를 이용해서 스캔을 해야 하기 때문에 스캔을 위한 부가 장비가 필요하다. 광학적 부가 장비를 구성해야 하므로, 스캔 가능한 크기를 크게 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와 결합하는 등 다양한 응용에는 한계가 있다.
종래의 광학식 지문센서로는 2006년 7월 26일자로 등록된 "지문인식 센서를 구비한 영상 표시장치"란 명칭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08171과, 2016년 4월 21일자로 공개된 "지문 인식 소자를 포함한 표시장치"란 명칭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43216이 알려져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공보에 기재된 광학식 지문 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는,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을 터치 영역 및 지문 인식 영역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지문 인식을 위한 센싱용 빛이 지향성(혹은, Directivity)이 현저히 낮은 확산 광을 사용한다. 따라서, 정확한 지문의 패턴을 인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지향성이 높은 레이저 적외선과 같은 시준 광(Collimated Light)을 사용하는 경우, 넓은 면적에 걸쳐 센싱용 빛을 조사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문 인식 영역의 크기가 극히 한정된다. 또한, 지향성이 높은 시준 광을 넓은 스캔 면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스캔 기능을 부가하여야 하므로, 휴대용 평판 표시장치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지문 인식 센서를 내장하는 표시 장치에서는 주로 정전 용량식 지문센서를 적용하는 예가 많다. 하지만,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Capacitive Fingerprint Sensor)는 지문 센서와 접촉되는 융선(Ridge)과 골(Valley) 사이에 대전되는 전기량의 차를 이용한 것이다. 종래의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로는 2013년 11월 21일자로 공개된 "정전 용량식 센서 패키징(Capacitive Sensor Packaging)"이란 명칭의 미국 공개특허 공보 US 2013/0307818가 알려져 있다.
상기 미국 공보에 기재된 정전 용량식 지문센서는 특정 푸시 버튼(Push Button)과 결합한 어셈블리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용량성 플레이트와 사용자의 지문(융선과 골) 사이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가 인쇄된 실리콘 웨이퍼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인간 지문의 융선과 골은 대략 300㎛~500㎛의 크기로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상기 미국 공보의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는 고해상도 센서 어레이와 지문인식 처리를 위한 IC(Integrated Chip) 제작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센서 어레이와 IC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리콘 웨이퍼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센서 어레이와 IC를 함께 형성할 경우, 푸시 버튼과 함께 지문 센서를 결합하기 위한 어셈블리 구조가 필요하게 되므로 구성이 복잡해 질 뿐 아니라 비 표시 영역(베젤 영역)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푸시 버튼(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홈 키)과 지문센서가 중첩되게 형성되므로, 그 두께가 증가할 뿐 아니라 지문 센싱 영역이 푸시 버튼의 크기에 좌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터치 센서 스크린의 영역을 지문식별 영역으로 이용하는 기술 등이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기술로서는 "지문식별용 용량성 터치 센서(capacitive touch sensor for identifying a fingerprint)"란 명칭으로 2013년 10월 22일 등록된 미국 등록특허 제 US8,564,314호와, "지문인식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이란 명칭으로 2014년 8월 18일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2988호가 알려져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표시장치에는 표시 패널 보호를 위한 보호 필름을 추가로 부착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은 기술을 개인 휴대용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을 지문 인식별 영역으로 적용하는 경우, 보호 필름을 부착하면, 지문 인식 기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호 필름을 부착하더라도 터치 기능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지문 인식은 아주 미세한 지문을 인식하여야 하기 때문에, 정전 용량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해야 한다. 보호 필름의 두께가 아무리 얇더라도, 미세한 지문을 인식하는 데 필요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하는 데에는 심각한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정전 용량식 지문센서를 내장한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장치의 겉 표면에 보호 필름 혹은 강화 유리를 부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인식 능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정전 용량식 지문 센서의 경우, 표시 기판의 두께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광학식 지문 센서를 내장한 표시 장치에서는, 산란 광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인식 능력이 어렵다. 정확한 인식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시준 광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잡하고 부피가 큰 광학 기구가 필요하므로 휴대성이 높은 평판용 표시 장치와 결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초박막형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 전체 혹은 대부분 영역에서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는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향성 광을 검출광으로 대면적에 고르게 제공하는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향성 광을 커버 글래스의 일부층 내부에서 도광함으로써, 검출 해상도와 민감도가 우수한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 기판의 비 표시 영역에 배치된 프린팅 소자와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용 소자들 사이에서의 간섭을 제거한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 및 지향성 광 유닛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에는,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이 정의되어 있다. 지향성 광 유닛은, 표시 패널을 수용하는 길이와 폭 그리고 일정한 두께를 갖고, 표시 패널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된다. 지향성 광 유닛은, 제1 커버 기판, 제2 커버 기판, 제1 저 굴절층, 출광 소자, 입광 소자, 제2 저 굴절층 및 광원을 구비한다. 제1 커버 기판 및 제2 커버 기판은, 길이와 폭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고 제1 저 굴절층을 매개로 합착되어 있다. 출광 소자는, 제2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에서,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입광 소자는, 제2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에서, 출광 소자의 일측변에서 표시 영역 외측에 배치된다. 제2 저 굴절층은, 출광 소자 및 입광 소자의 하부 표면에 배치되며, 표시 패널의 상부 표면에 부착된다. 광원은, 표시 패널의 일측변에서 입광 소자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일례로, 광원은, 입광 소자의 표면에 정의된 입사점으로 입사광을 제공한다. 입광 소자는, 입사광을 제2 커버 기판 내부에서 전반사하는 입사각을 갖는 진행광으로 전환하여 제2 커버 기판 내부로 입사시키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한다. 출광 소자는, 진행광의 일부를, 제1 커버 기판의 상부 표면에서는 전반사되고 제1 저 굴절층 및 제2 저 굴절층은 투과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반사각을 갖는 검출광으로 전환하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한다.
일례로, 입사각은, 출광 소자와 제2 저 굴절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 그리고 제2 커버 기판과 제1 저 굴절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 큰 값을 갖는다.
일례로, 반사각은, 제1 커버 기판과 공기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는 크고, 출광 소자와 제2 저 굴절 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는 작은 값을 갖는다.
일례로, 진행광은, 폭 방향 축과 길이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수평 평면에서는 확산각을 가지며, 길이 방향 축과 두께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수직 평면에서는 상기 입사광의 시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일례로, 확산각은, 입사점에서 입광 소자와 대향하는 제2 커버 기판의 타측변의 두 끝점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 이상이다.
일례로, 제1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에서 비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일측변과 타측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데코 레이어를 더 포함한다.
일례로, 입광 소자 및 광원은, 데코 레이어 아래에 배치된다.
일례로, 제1 저 굴절층과 데코 레이어는, 제1 커버 기판과 제2 커버 기판 사이에 배치된 필름, 코팅 및 패턴 중 어느 하나이다.
일례로, 데코 레이어와 입광 소자 사이의 거리는 최소 1.0mm 이상이다.
일례로, 제2 커버 기판의 두께는 최소 0.70mm 이상이다.
본 발명은 지향성(Directional) 광을 검출광으로 제공함으로써, 고 분해능의 이미지 인식 능력을 갖는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홀로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시준된 적외선 레이저를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대면적으로 확장시켜 검출광을 제공함으로써 대면적 인식이 가능한,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평판 표시장치의 화면 위에 얇은 필름형상을 갖는 지향성 광을 검출광으로 제공함으로써, 초박형의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표시 장치의 제일 겉면에 부착되는 커버 글래스(혹은, 보호 기판) 자체를 본 발명에 의한 지향성 광 기판의 커버 기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구나, 홀로그래피 필름을 이용하여 시준광을 대면적으로 확산 공급함으로써 초박형 지향성 광 기판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인식 장치를 표시 장치와 결합해도 표시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는다. 특히, 커버 글래스 두 장을 결합하고, 하부 커버 글래스에서 이미지 인식용 검출광을 도광시킴으로써, 광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두 장의 커버 글래스 사이에 로고 등 데코레이션 레이어(Decoration Layer)를 삽입함으로써, 이미지 인식 장치용 구성 요소들과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에 적용하는 지향성 광 기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의한 지향성 광 기판 내부에서의 광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응용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응용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응용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응용 예에 대한 비교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에 적용하는 지향성 광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상부 도면은 XZ 평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하부 도면은 위에서 XY 평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은, 지향성 광 기판(SLS)과 광원(LS)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유닛은 시준된(collimated) 광을 대면적으로 퍼트려 제공하는 광학 장치이다. 따라서, 광원(LS)은 시준된 빛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제1 커버 기판(CP1), 제2 커버 기판(CP2), 데코 레이어(LO), 출광 소자(VHOE), 입광 소자(CHOE), 제1 저 굴절층(LR1) 및 제2 저 굴절층(LR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커버 기판(CP1, CP2)은 대략 장방형의 사각 판상 모양으로, 길이와 폭 그리고 두께를 갖는다. 도 1에서는 길이는 X축, 폭은 Y축 그리고 두께는 Z축에 대응하여 표시한다. 제1 및 제2 커버 기판(CP1, CP2)의 길이는 X축 방향으로, 폭은 Y축 방향으로, 그리고 두께는 Z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커버 기판(CP1)과 제2 커버 기판(CP2)은 서로 면 합착되어 있다. 제1 커버 기판(CP1)의 아래 표면에서 일측변과 타측변에는 데코 레이어(LO)가 배치될 수 있다. 데코 레이어(LO)는 제품의 로고(Logo)나 상표 혹은 문구를 나타내는 장식을 위한 구성 요소이다. 데코 레이어(LO)는 주로 비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 장치의 상변 및/또는 하변, 혹은 좌측변 및/또는 우측변에 배치될 수 있다. 데코 레이어(LO)가 배치된 제1 커버 기판(CP1)의 하면에는 제1 저 굴절층(LR1)이 도포되어 있다. 도 1에서는 데코 레이어(LO)가 제1 커버 기판(CP1) 상변과 하변에 배치되고, 그 사이에 제1 저 굴절층(LR1)이 배치된 경우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제1 저 굴절층(LR1)은 데코 레이어(LO)를 모두 덮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데코 레이어(LO)는, 문자나 도형이 인쇄 및 에칭 방식으로 새겨진 투명 혹은 불투명 필름일 수 있다. 또는, 데코 레이어(LO)는 제1 커버 기판(CP1)의 하부 표면에, 문자나 도형이 직접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혹은, 데코 레이어(LO)는 필름에 형성된 패턴 혹은 제1 커버 기판(CP1)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 패턴일 수 있다.
제1 저 굴절층(LR1)을 사이에 두고, 제2 커버 기판(CP2)이 제1 커버 기판(CP1)과 면 합착되어 있다. 제1 커버 기판(CP1)과 제2 커버 기판(CP2) 사이에는, 데코 레이어(LO)와 제1 저 굴절층(LR1)이 개재되어 있다. 데코 레이어(LO)가 소정의 두께를 갖고 있으므로, 데코 레이어(LO)가 제1 또는 제2 커버 기판(CP1, CP2)의 겉 표면에 배치될 경우, 쉽게 손상되거나, 다른 소자들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데코 레이어(LO)가 제1 및 제2 커버 기판(CP1, CP2)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 다른 소자들을 배치할 위치에 대해 장애를 받지 않는다.
제2 커버 기판(CP2)의 하부 표면에는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가 면 부착되어 있다. 출광 소자(VHOE)는 출사광(300)을 제공하는 광학 소자이다. 따라서, 출광 소자(VHOE)는 이미지를 검출 및 인식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입광 소자(CHOE)는 광원(LS)에서 제공하는 시준된 빛을 제1 및 제2 커버 기판(CP1, CP2)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퍼지면서 시준성을 갖도록 전환하는 광학 소자이다. 입광 소자는(CHOE) 이미지 인식과는 직접 관련이 없으므로, 출광 소자(VHOE)의 외측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입광 소자(CHOE)는 광원(LS)과 대향하여 배치된다.
출광 소자(VHOE) 및 입광 소자(CHOE)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제조 공정을 고려하면, 하나의 필름 위에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의 영역을 나누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포함하는 광학 소자일 수 있다. 이 경우, 출광 소자(VHOE)의 패턴을 갖는 마스터 필름과 입광 소자(CHOE)의 패턴을 갖는 마스터 필름을 인접하여 배치한 후, 하나의 홀로그래피 기록 필름에 두 홀로그래피 패턴을 동시에 복사할 수 있다.
출광 소자(VHOE) 및 입광 소자(CHOE)의 하부 표면에는 제2 저 굴절층(LR2)이 적층되어 있다. 제1 저 굴절층(LR1)과 제2 저 굴절층(LR2)은 서로 동일한 굴절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저 굴절층(LR1, LR2)은, 제1 커버 기판(CP1), 제2 커버 기판(CP2) 및 출광 소자(VHOE)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커버 기판(CP1, CP2)을 굴절율이 1.5인 투명한 강화 유리로 만들 수 있다.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는 투명한 홀로그래피 기록 필름으로서 굴절율이 제1 및 제2 커버 기판(CP1, CP2)과 동일하거나 조금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의 굴절율은 제1 및 제2 커버 기판(CP1, CP2)의 굴절율과 동일한 것으로 설명한다. 제1 및 제2 저 굴절층(LR1, LR2)의 굴절율은 인지하고자 하는 이미지 객체의 굴절율과 같거나 약간 큰 것이 좋다. 지문 인식에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저 굴절층(LR1)과 제2 저 굴절층(LR2)은 사람의 피부가 갖는 굴절율인 1.39와 유사한 1.4 정도의 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굴절율이 1.5인 제2 커버 기판(CP2)과 출광 소자(VHOE)는 굴절율이 1.4인 제1 저 굴절층(LR1) 및 제2 저 굴절층(LR2) 사이에 개재된 구조가 된다. 이로써, 고 굴절층의 상면과 하면에 저 굴절층이 적층된 구조로서, 고 굴절층 내부에서 빛이 전반사되면서 진행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한다. 즉, 제2 커버 기판(CP2)과 출광 소자(VHOE)의 적층 공간이 이미지 검출에 사용할 빛을 표시 패널 전체 표면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도광 공간(light guiding space)이 된다.
입광 소자(CHOE)의 하부 공간에는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도록 광원(LS)이 배치되어 있다. 광원(LS)은 레이저와 같이 시준성이 높은 빛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휴대용 표시장치에 지문 인식 기능을 내장하는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 사람이 인지할 수 없는 빛인 적외선 레이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LS)에서 제공된 시준광(Collimated Light)은 입사광(100)으로서 일정한 단면적을 갖고 입광 소자(CHOE)에 정의된 입사점(IP)으로 제공된다. 입사광(100)은 입사점(IP)의 표면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입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입사점(IP) 표면의 법선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로 입사할 수도 있다.
입광 소자(CHOE)는 입사광(100)을 입사각을 갖는 진행광(200)으로 전환하여 제2 커버 기판(CP2)의 내부로 보낸다. 여기서, 입사각은 제2 커버 기판(CP2)의 내부 전반사 임계각(Internal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진행광(200)은 제2 커버 기판(CP2)의 내부에서 전반사를 하면서, 제2 커버 기판(CP2)의 길이 방향인 X축으로 진행한다.
출광 소자(VHOE)는 진행광(200)의 일부 광량을 출사광(300)으로 전환하여 제1 커버 기판(CP1)의 상부 표면으로 굴절 시킨다. 진행광(200)의 나머지 광량은, 원래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2 커버 기판(CP2) 내부에서 전반사되어 진행한다. 출사광(300)은 제1 커버 기판(CP1)의 상부 표면에서는 제1 저굴절층(LR1)으로 투과되어 제1 커버 기판(CP1) 내부로 입사된다.
출사광(300)은 제1 커버 기판(CP1)의 상부 표면에서는 전반사된다. 이는 제1 커버 기판(CP1)의 상부 표면은 굴절율이 1.0인 공기층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제1 커버 기판(CP2)의 하부 표면에서는 제1 저 굴절층(LR1)을 투과하여 제2 커버 기판(CP2) 내부로 입사된다. 또한, 출사광(300)은 제2 커버 기판(CP2)의 하부 표면에 배치된 제2 저 굴절층(LR2)을 투과하여 지향성 광 기판(SLS) 외부로 출광된다. 즉, 출사광(300)은 제1 커버 기판(CP1)의 상부 표면에서 전반사되어, 제2 커버 기판(CP2)의 하부 표면을 투과하는 검출광(혹은, '센싱광')(400)이 된다.
진행광(200)이 입광 소자(CHOE)이 배치된 일측에서 마주보는 타측으로 진행하면서, 출광 소자(VHOE)에 의해 일부가 출사광(300)이 방출된다. 이 때, 출사광(300)의 광량은 출광 소자(VHOE)의 광 추출 효율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출광 소자(VHOE)의 광 추출 효율이 3%라고 하면, 첫 번째로 진행광(200)이 출광 소자(VHOE)에 닿은 지점인 첫 번째 발광 영역에서는 초기 입사광(100)의 3%에 해당하는 광량이 출사광(300)으로 추출된다. 97%의 진행광(200)은 계속 전반사되어 진행한다. 그 후, 두 번째 발광 영역에서는, 97%의 3%인 초기 입사광(100) 광량의 2.91%에 해당하는 광량이 출사광(300)으로 추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커버 기판(CP1, CP2)의 끝 변에 다다를 때까지 출사광(300)이 추출된다. 이와 같이 균일한 출광 효율을 갖는 경우, 진행광(200)이 진행할 수록 추출되는 광량이 서서히 줄어든다. 진행광(200)이 진행하면서, 일정한 광량을 갖는 출사광(300)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출광 소자(VHOE)의 광 추출 효율이 지수함수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값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행광(200)을 길이 방향 축과 두께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XZ 평면(혹은, '수직 평면') 상에서 보면, 입사광(100)의 시준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반면에, 폭 방향 축과 길이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XY 평면(혹은, '수평 평면')에서는 확산각(φ)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미지 검출 면적을 제1 및 제2 커버 기판(CP1, CP2)의 면적에 대응하도록 설정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출광 소자(VHOE)는 가급적, 광 출사부(LOT) 면적 전체에 대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확산각(φ)은 입사점(IP)에서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는 커버 기판(CP)의 타측변의 두 끝점(P1, P2)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와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입광 소자(CHOE)가 배치된 영역을 광 입사부(LIN)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출광 소자(VHOE)가 배치된 영역을 광 출사부(LOT)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광 출사부(LOT)는 광이 진행하기도 하는 광 진행부이기도 하다. 도 1에서 입광 소자(CHOE)가 광 입사부(LIN) 전체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입사점(IP)의 크기보다 조금 더 큰 크기를 갖는 정도이어도 충분하다.
예를 들어, 광원(LS)에서 제공하는 시준된 빛의 단면적이 0.5mm x 0.5mm인 정원인 경우, 입광 소자(CHOE)는 커버 기판(CP)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와 3mm ~ 5mm 정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입광 소자(CHOE)는 커버 기판(CP)의 폭 방향으로 가로 질러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광원에서 제공된 시준된(Collimated) 적외선이 지향성 광 기판(SLS) 내부에서 어떠한 경로를 거쳐, 이미지 검출에 사용하는 지향성(Directional) 적외선 광으로 전환되는지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의한 지향성 광 기판 내부에서의 광 경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광원(LS)에서 제공된 입사광(100)은 입광 소자(CHOE)의 입사점(IP)의 표면에 대해 법선 방향으로 입사한다. 입광 소자(CHOE)는 입사광(100)을 입사각(θ)을 갖도록 굴절시킨 진행광(200)으로 전환하여 제1 커버 기판(CP1)의 내부로 보낸다.
진행광(200)의 입사각(θ)은 출광 소자(VHOE)와 제2 저 굴절층(LR2)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VHOE_LR2)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사각(θ)은 제2 커버 기판(CP2)과 제1 저 굴절층(LR1)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CP2_LR1)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2 커버 기판(CP2) 및 출광 소자(VHOE)의 굴절율이 1.5이고, 제1 저 굴절층(LR1) 및 제2 저 굴절층(LR2)의 굴절율이 1.4일 경우, 출광 소자(VHOE)와 제2 저 굴절층(LR2)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VHOE_LR2) 및 제2 커버 기판(CP2)과 제1 저 굴절층(LR1)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TCP2_LR1)은 약 69도로 계산된다. 따라서, 입사각(θ)은 69도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입사각(θ)은 70도 내지 75도 중 어느 한 값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출광 소자(VHOE)는 진행광(200)의 일정 광량을 반사각(α)을 갖는 출사광(300)으로 전환시켜 제1 커버 기판(CP1)의 내부로 되돌려 보낸다. 출사광(300)은 제1 커버 기판(CP1)의 상부 표면에 이미지를 갖는 객체가 접촉하는 경우, 그 이미지의 상을 인지하기 위한 광이다. 출사광(300)은 제1 커버 기판(CP1)의 표면에 아무 물체도 없는 경우에는, 전반사되어, 지향성 광 기판(SLS)의 하면 외부에 위치한 광 센서로 보내어져야 한다. 즉, 출사광(300)은 제1 커버 기판(CP1)의 상부 표면에서 전반사된 후에는 검출광(400)으로서 지향성 광 기판(SLS)의 외부로 출광된다.
검출광(400)은 입사각(혹은, 반사각), α을 갖고 제1 커버 기판(CP1)의 상부 표면에서 반사된 광이다. 검출광(400)의 반사각 α는 진행광(300)의 입사각 θ보다 작은 값을 가지므로, 검출광(400)은 제1 커버 기판(CP1)을 투과하고, 제1 저 굴절층(LR1)도 투과하며, 이어서 제2 커버 기판(CP1), 출광 소자(VHOE) 및 제2 저 굴절층(LR2)을 차례로 투과하여 지향성 광 기판(SLS)의 외부로 출광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하부 표면에 배치된 제2 저 굴절층(LR2)의 외부로 출광된 검출광(400)을 인식함으로써, 제1 커버 기판(CP1)의 상부 표면에 배치된 물체의 이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 설명한 지향성 광 유닛을 응용한 이미지 인식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지문 인식 센서를 내장한 평판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DP), 지향성 광 기판(SLS) 및 광원(LS)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DP)에는 표시 영역(AA)과 비 표시 영역(NA)이 정의되어 있다. 표시 영역(AA)은 표시 패널(DP)의 중앙부 대부분을 차지하고, 비 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다. 표시 영역(AA)에는, 표시 패널(DP)이 나타내고자 하는 영상들이 표시되는 소자들이 배치되어 있다. 비 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에 배치된 소자들을 구동하기 위한 소자들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표시 영역(AA)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 개의 화소 영역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 화소 영역에는 이미지 인식을 위한 광 센서들이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개의 화소 영역들을 기본 단위로 하여, 하나씩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x2, 3x3 혹은 4x4 화소들마다 하나씩 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일정 길이, 일정 폭 및 일정 두께를 갖는 얇고 넓은 판상형이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길이와 폭은 표시 패널(DP)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표시 패널(DP)의 전체 크기보다 조금 더 큰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표시 패널(DP)의 한쪽 변으로 더 연장된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의 한쪽 변으로 더 연장된 부분에는 광원(LS)을 배치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에 면 합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앞에서 설명했듯이, 제1 커버 기판(CP1), 제2 커버 기판(CP2), 데코 레이어(LO), 입광 소자(CHOE), 출광 소자(VHOE), 제1 저 굴절층(LR1) 및 제2 저 굴절층(LR2)을 포함한다. 제1 저 굴절층(LR1)은 제1 커버 기판(CP1)과 제2 커버 기판(CP2)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및 제2 커버 기판(CP1, CP2)을 면 합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저 굴절층(LR2)은 제2 커버 기판(CP2)과 표시 패널(DP) 사이에 개재되어 표시 패널(DP)과 지향성 광 기판(SLS)이 면 합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은, 표시 패널(DP)에서 제공되는 영상 정보가 출광되는 면을 말한다. 즉, 사용자가 영상을 관람할 때 바라보는 표시 패널(DP)의 표면을 말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향성 광 기판(SLS)에서는 하부 표면으로 즉, 표시 패널(DP)의 상부 표면으로, 이미지 검출광(400)을 제공한다. 그러면, 지향성 광 기판(SLS)의 하부에 배치된 표시 패널(DP)의 광 센서가 검출광(400)을 인지한다. 그 결과, 지향성 광 기판(SLS)의 상부 표면에 접촉하는 물체의 이미지(지문 인식장치의 경우, 융선 모양)를 인식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향성 광 기판(SLS)의 출광 소자(VHOE)에 의해 만들어진 출사광(300)이 제1 커버 기판(CP1)의 상부 표면에 다다른다. 특히, 제1 커버 기판(CP1) 위에 이미지 객체(IM)가 접촉하고 있을 때, 객체(IM)와 닿지 않은 곳에 다다른 출사광(300)은 전반사되어 검출광(400)으로서 표시 패널(DP)로 제공된다. 한편, 제1 커버 기판(CP1) 표면에서 객체(IM)가 닿는 부분에 다다른 출사광(300)은 외부로 굴절되어 나간다. 굴절율이 공기층(AIR)보다 큰 값을 갖는 객체(IM)가 제1 커버 기판(CP1)과 접촉한 부위에서는, 검출광(400)이 전반사되지 않고, 객체(IM) 쪽으로 굴절된다. 즉, 이미지 객체(IM)가 있는 부분에서는 출사광(300)이 흡수광(500)으로 되어 표시 패널(DP)의 광 센서로 제공되는 광량이 거의 없다.
그 결과, 표시 패널(DP)에는 출사광(300) 중에서 검출광(400)만 인지하고, 흡수광(500)은 인지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표시 패널(DP)의 광 센서들은, 제1 커버 기판(CP1)의 상부 표면에서 반사된 검출광(400)의 반사 패턴을 인지함으로써 이미지의 패턴을 재현(reproduce)할 수 있다.
지향성 광 유닛을 지문 인식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이미지 객체(IM)는 사람의 손가락(finger)이 된다. 지문의 융기(R) 부분은 제1 커버 기판(CP1)의 표면과 접촉하고, 골(V) 부분은 제1 커버 기판(CP1)의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골(V) 부분으로 간 출사광(300)은 전반사되어 검출광(400)으로 된다. 반면에, 융기(R) 부분으로 간 출사광(300)은 굴절되어 제1 커버 기판(CP1)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흡수광(500)이 된다.
도 3의 아래에 도시된 사시도를 더 참조하여 XY 평면상에서의 이미지 센싱에 대해 설명한다. 입사광(100)은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시준된 적외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원(LS)은 적외선 레이저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입사광(100)은 입광 소자(CHOE)에 의해 진행광(200)으로 변환된다. 이 때, 진행광(200)은, 길이 방향 축인 X축과 폭 방향 축인 Y축으로 이루어진 수평 평면인 XY 평면에서는 확산각(φ)을 가지도록 변환된다. 또한, 길이 방향 축인 X과 두께 방향 축인 Z축으로 이루어진 수직 평면인 XZ 평면에서는 원래의 시준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확산각(φ)은, 입사점(IP)에서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는 제1 및 제2 커버 기판(CP1, CP2)의 타측변의 두 끝점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와 같거나 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진행광(200)은 확산각(φ)을 갖는 삼각형 형상으로 퍼지면서 진행한다. 이에 따라, 출사광(300) 역시 진행광(200)과 동일한 범위에 걸쳐 제공된다. 그 결과, 이미지 인식 영역은 삼각형 내부 영역이 된다. 따라서, 지문 인식 장치로 적용하는 경우, 도 3에서 빗금친 원형으로 표시한 부분에 인식 영역(SA)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표시 패널의 중앙부 혹은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는 상단변의 일부에 인식 영역(SA)을 설정할 경우, 인식 영역(SA)에서 출사광(300)의 광량이 최대 값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출광 소자(VHOE)의 광 추출 효율이 인식 영역(SA)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최대 값을 갖고, 다른 부분에서는 최소 값 혹은 '0'에 가까운 값을 갖도록 위치에 따른 함수 관계로 설계할 수 있다.
<제1 응용 예>
지금까지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에서 지향성 광을 제공하기 위한 지향성 광 유닛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을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패널과 결합하여 형성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들의 구체적인 응용 예들을 설명한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응용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응용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응용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LCP), 지향성 광 기판(SLS) 및 광원(LS)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패널(LCP)은, 서로 면 합착된 하부 기판(SL)과 상부 기판(SU) 그리고 그 사이에 개재된 액정 층(LC)을 포함한다. 하부 기판(SL)에는 다수 개의 화소 영역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부 기판(SU)에는 화소 영역에 대응하여 칼라 필터들이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혹은, 상부 기판(SU)에는 특별한 소자들이 형성되지 않은 기판일 수 있다. 여기서, 액정 표시 패널(LCP)은 수평 전계형의 경우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액정 표시 패널에 적용할 수 있다.
화소 영역에는 화상을 표현하기 위한 화소 전극(PXL)과 공통 전극(COM)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화소 전극(PXL)에 화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가 배치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와 이웃하여 광 센서(TS)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광 센서(TS)는 각 화소 영역마다 하나씩 혹은 그 이상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여러 화소 영역들 마다 하나씩 광 센서(TS)가 배치될 수도 있다.
액정 표시 패널(LCP)의 상부 기판(SU)의 윗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지향성 광 기판(SLS)이 면 부착되어 있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제1 커버 기판(CP1), 제2 커버 기판(CP2), 데코 레이어(LO), 입광 소자(CHOE), 출광 소자(VHOE), 제1 저 굴절층(LR1) 및 제2 저 굴절층(LR2)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제2 저 굴절층(LR2)이 상부 기판(SU)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된다.
액정 표시 패널(LCP)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없는 비 자발광 표시 장치이다. 이 경우, 하부 기판(SL)의 하면에 백 라이트 유닛(BLU)이 배치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BLU)의 일측변에는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도록 광원(LS)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LS)은 백 라이트 유닛(BLU)과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혹은, 광원(LS)은 별도의 구성으로 제작하여 백 라이트 유닛(BLU)의 근처에 배치할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LCP)은 표시 영역(AA)과 비 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출광 소자(VHOE)는 표시 영역(AA)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입광 소자(CHOE)는 비 표시 영역(NA)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또한, 광원(LS) 역시 비 표시 영역(NA)에서, 입광 소자(CHOE)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데코 레이어(LO) 역시 비 표시 영역(NA)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응용 예>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응용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응용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광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응용 예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센서 내장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 지향성 광 기판(SLS) 및 광원(LS)을 포함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은, 표시 소자들이 배치된 기판(SUB)과 표시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인캡(ENC)이 서로 면 합착되어 있다. 기판(SUB)에는 다수 개의 화소 영역들이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인캡(ENC)에는 화소 영역에 대응하여 칼라 필터들이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혹은, 인캡(ENC)에는 특별한 소자들이 형성되지 않은 투명 기판일 수 있다. 여기서는, 상부 발광형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의 경우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상부 발광형등 다양한 구조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화소 영역에는 화상을 표현하기 위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에 화상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가 배치되어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애노드 전극(ANO), 유기발광 층(OL) 및 캐소드 전극(CAT)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와 이웃하여 광 센서(TS)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광 센서(TS)는 각 화소 영역마다 하나씩 혹은 그 이상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여러 화소 영역들 마다 하나씩 광 센서(TS)가 배치될 수도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의 인캡(ENC)의 윗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지향성 광 기판(SLS)이 면 부착되어 있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제1 커버 기판(CP1), 제2 커버 기판(CP2), 데코 레이어(LO), 입광 소자(CHOE), 출광 소자(VHOE), 제1 저 굴절층(LR1) 및 제2 저 굴절층(LR2)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제2 저 굴절층(LR2)이 인캡(ENC)의 상부 표면에 면 부착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은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 표시 장치이다. 이 경우, 별도의 백 라이트 유닛이 필요 없다. 따라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의 일측변에 입광 소자(CHOE)와 대향하도록 광원(LS)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은 표시 영역(AA)과 비 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향성 광 기판(SLS)의 출광 소자(VHOE)는 표시 영역(AA)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입광 소자(CHOE)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OLP)의 측변에서 확장된 공간 상부를 덮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광원(LS)은 그 확장된 공간 하부에 배치할 수 있다. 데코 레이어(LO)는 비 표시 영역(NA)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내장한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장치의 겉면에 부착하는 커버 기판과 커버 기판의 일측 표면에 부착된 수백 ㎛ 정도에 불과한 초박형 홀로그래피 필름을 구비한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두께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내장할 수 있다. 또한, 시준성이 높은 광을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전체 면적에 고르게 분포하도록 하여(또는 스캔하여)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이미지 인식 분해능이 매우 우수하여, 지문 인식과 같이 미세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내장한 표시 장치는 표시 장치의 커버 글래스 자체를 이미지 인식용 광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기존의 커버 글래스의 두께를 1/2로 박막화하고, 이 두 커버 글래스를 합착함으로써, 커버 글래스에 구비되는 데코 레이어와 이미지 인식용 광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 사이에 간섭 없이 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두께를 1/2로 박막화한 두 장의 커버 글래스를 합착하여 사용함으로써, 표시 장치 전체의 두께를 증가하지 않으면서, 이미지 인식 기능을 구비한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제3 응용 예>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응용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3 응용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은, 제1 및 제2 응용 예들에서 설명한 액정 표시 장치 및/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응용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은 기본적으로, 도 1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차이가 있다면, 구체적인 적층 구조 및 두께한정을 구체화하였다는 데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중복되는 의미 없는 설명은 생략하며, 의미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응용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은, 지향성 광 기판(SLS)과 광원(LS)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제1 커버 기판(CP1), 제2 커버 기판(CP2), 데코 레이어(LO), 출광 소자(VHOE), 입광 소자(CHOE), 제1 저 굴절층(LR1) 및 제2 저 굴절층(LR2)을 포함한다.
제1 커버 기판(CP1)과 제2 커버 기판(CP2)은 서로 면 합착되어 있다. 제1 커버 기판(CP1)의 아래 표면에서 일측변에는 데코 레이어(LO)가 배치될 수 있다. 데코 레이어(LO)는 제품의 로고(Logo)나 상표 혹은 문구를 나타내는 장식을 위한 구성 요소이다. 데코 레이어(LO)가 배치된 제1 커버 기판(CP1)의 하면에는 제1 저 굴절층(LR1)이 도포되어 있다. 도 6에서는 데코 레이어(LO)와 제1 저 굴절층(LR1)이 동일한 층에 배치된 경우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제1 저 굴절층(LR1)은 데코 레이어(LO)를 모두 덮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데코 레이어(LO)는, 문자나 도형이 인쇄 및 에칭 방식으로 새겨진 투명 혹은 불투명 필름일 수 있다. 또는, 데코 레이어(LO)는 제1 커버 기판(CP1)의 하부 표면에, 문자나 도형이 직접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혹은, 데코 레이어(LO)는 필름에 형성된 패턴 혹은 제1 커버 기판(CP1)의 하부 표면에 형성된 패턴일 수 있다.
제1 저 굴절층(LR1)을 사이에 두고, 제2 커버 기판(CP2)이 제1 커버 기판(CP1)과 면 합착되어 있다. 제1 커버 기판(CP1)과 제2 커버 기판(CP2) 사이에는, 데코 레이어(LO)와 제1 저 굴절층(LR1)이 개재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커버 기판(CP1)과 제2 커버 기판(CP2)은 제1 광학 접착제(OCA1)를 매개로 면 합착할 수 있다. 따라서, 데코 레이어(LO)와 제1 저 굴절층(LR1) 하부면에 제1 광학 접착제(OCA1)가 전면 도포되어, 제2 커버 기판(CP2)의 상부면과 합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커버 기판(CP2)의 하부 표면에는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가 면 부착되어 있다. 출광 소자(VHOE) 및 입광 소자(CHOE)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출광 소자(VHOE)와 입광 소자(CHOE)는 제2 광학 접착제(OCA2)를 매개로 제2 커버 기판(CP2)과 면 합착될 수 있다. 출광 소자(VHOE)는 출사광(300)을 제공하는 광학 소자이다. 따라서, 출광 소자(VHOE)는 이미지를 검출 및 인식하는 영역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출광 소자(VHOE) 및 입광 소자(CHOE)의 하부 표면에는 제2 저 굴절층(LR2)이 적층되어 있다. 제1 저 굴절층(LR1)과 제2 저 굴절층(LR2)은 서로 동일한 굴절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저 굴절층(LR1, LR2)은, 제1 커버 기판(CP1), 제2 커버 기판(CP2) 및 출광 소자(VHOE)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LS)은 입광 소자(CHOE)로 입사광(100)을 제공한다. 입사광(100)이 입광 소자(CHOE)의 중앙부에 조사되도록 광원(LS)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광 소자(CHOE)는 입사광(100)을 진행광(200)으로 전환하여, 제2 커버 기판(CP2)의 내부로 굴절 시킨다. 이 때, 진행광(200)이 제2 커버 기판(200) 내부에서 진행할 때, 입사각(θ)(혹은, 반사각)은 70도 내지 75도 사이의 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응용 예에 의하면, 72도의 값을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진행광(200)이 처음으로 제1 저 굴절층(LR1)과 접촉하는 위치는, 입사각(θ) 및 제1 두께(T1)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제1 두께(T1)는 입광 소자(CHOE)와 데코 레이어(LO) 사이의 거리, 혹은 입광 소자(CHOE)와 제1 저 굴절층(LR1) 사이의 거리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제조 공정을 고려하여, 입광 소자(CHOE)의 폭을 5mm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데코 레이어(LO)의 크기도 입광 소자(CHOE)의 크기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데코 레이어(LO)의 폭(WLO)도 5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설계적인 상황을 고려하면, 제1 두께(T1)는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입사각(θ) 72도를 고려하면, 진행광(200)이 처음으로 제1 저 굴절층(LR1)과 접촉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제1 가로 거리(ℓ1)는 약 3.1mm가 된다. 따라서, 데코 레이어(LO)의 폭(WLO)은 6.2mm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인 적층 구조를 살펴보면, 제1 광학 접착제(OCA1) 및/또는 제2 광학 접착제(OCA2)의 두께는 약 0.10 ~ 0.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커버 기판(CP2)의 두께는 최하 0.70mm(7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 커버 기판(CP2)의 두께를 0.70mm 이상을 확보하여, 제1 두께(T1)를 1.0mm 이상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정한 것은 단순한 설계적인 변경에 의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광원(LS)에서 제공하는 빛을 홀로그래피 소자인 입광 소자(CHOE)를 이용하여, 제2 커버 기판(CP2) 내부로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는 진행광(200)으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입사광(100)이 입광 소자(CHOE)에 의해 발생한 진행광(200)은 1차 회절광이다. 따라서, 홀로그래피 소자인 입광 소자(CHOE)에 의해 회절되지 않은 0차 회절광(1000)이 발생할 수 있다. 0차 회절광(1000)이 외부로 누출될 경우 사용자에게 장애를 줄 수 있다. 따라서, 0차 회절광(1000)은 데코 레이어(LO)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데코 레이어(LO)의 0차 회절광(1000) 차단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블랙 배경에 데코 무늬를 결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제2 커버 기판(CP2)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면, 데코 레이어(LO)가 블랙 광흡수체를 포함하더라도, 0차 회절광(1000)을 온전히 방지할 수 없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비교 예를 나타내는 도면인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비교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응용 예에 대한 비교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비교 예에 의한 지향성 광 기판은, 단일 커버 기판(CP)을 포함한 구조를 갖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비교 예에 의한 지향성 광 유닛은, 지향성 광 기판(SLS)과 광원(LS)을 포함한다.
지향성 광 기판(SLS)은, 커버 기판(CP), 데코 레이어(LO), 광학 접착제(OCA), 출광 소자(VHOE), 입광 소자(CHOE) 및 저 굴절층(LR)을 포함한다. 커버 기판(CP)의 하부면에는 데코 레이어(LO)가 배치되어 있다. 데코 레이어(LO)가 배치된 커버 기판(CP)의 하부면에는 출광 소자(VHOE) 및 입광 소자(CHOE)가 배치된다. 여기서, 데코 레이어(LO)가 배치된 커버 기판(CP)의 하부면과 출광 소자(VHOE) 및 입광 소자(CHOE) 사이에는 광학 접착제(OCA)가 개재되어 있다. 출광 소자(VHOE) 및 입광 소자(CHOE)의 하면에는 저 굴절층(LR)이 배치되어 있다.
광원(LS)에서 제공하는 입사광(100)은 입광 소자(CHOE)의 중앙부로 입사된다. 입사광(100)은 입광 소자(CHOE)에 의해 진행광(200)으로 변환되어 커버 기판(CP)의 내부로 입사된다. 여기서, 진행광(200)은 입사각(θ)이 72도를 갖는다.
또한, 광학 접착제(OCA)의 두께에 해당하는 제2 두께(T2)는 0.10 ~ 0.15mm의 두께를 갖는다. 여기서, 제2 두께(T2)는 데코 레이어(LO)와 입광 소자(CHOE) 사이의 거리에 해당한다. 이 경우, 진행광(200)의 입사각(θ) 72도를 고려하면, 진행광(200)이 커버 기판(CP)의 하면과 처음으로 접촉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제2 가로 거리(ℓ2)는 약 0.31mm가 된다. 따라서, 데코 레이어(LO)의 폭(WLO)은 0.62mm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광원(LS)에서 제공하는 입사광(100)의 직경이 0.5mm인 것을 고려할 때, 데코 레이어(LO)가 입사광(100)의 크기보다 약간 더 큰 크기를 갖는다. 이 경우, 0차 회절광(1000)이 데코 레이어(LO)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지 않고, 측변에서 회절되어 누설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데코 레이어(LO)를 더 크게하면, 1차 회절광인 진행광(200)도 커버 기판(CP) 내부로 보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비교 예에 의한 지향성 광 기판의 경우, 입광 소자(CHOE)에 의해 회절되지 않은 빛이 누설되어 사용자에게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교 예를 고려할 때, 본 발명에 의한 지향성 광 기판은, 제3 응용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 기판을 두 장으로 분리하고, 제2 커버 기판(CP2)의 두께가 적어도 0.70mm 이상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입광 소자(CHOE)와 데코 레이어(LO) 사이의 거리를 1.0mm 이상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광 소자(CHOE)와 데코 레이어(LO) 사이의 거리를 1.0mm이상 확보함으로써, 0차 회절광(1000)을 차단하는 기능과 장식 기능을 동시에 구비하는 데코 레이어(LO)의 크기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입광 소자(CHOE)와 데코 레이어(LO)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진행광(200)이 X축 방향에서 1차로 전반사되는 위치를 충분히 길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진행광(200)이 X축 방향에서 1차로 전반사되는 위치 범위 내에서 0차 회절광(1000)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도록, 데코 레이어(LO)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입광 소자(CHOE)와 데코 레이어(LO) 사이의 최소 거리를 1.0mm로 설정한 것은, 0차 회절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조건을 우선으로 고려한 것이다. 하지만, 이 두께 한정이 정확하게 1.0mm 이하만 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광원(LS)에서 제공하는 빛의 파장대와 같은, 다른 조건들을 고려할 경우, 어느 정도의 오차 범위 내에서는 1.0mm보다 얇더라도 0차 회절광을 방지할 수 있다. 극단적인 예로, 입광 소자(CHOE)와 데코 레이어(LO) 사이의 거리를 0.5mm로 설정하더라도, 0차 회절광을 방지할 수 있다. 제조 공정 및 조건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조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입광 소자(CHOE)와 데코 레이어(LO) 사이의 최소 거리를 1.0mm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DP: 표시 패널 SLS: 지향성 광 기판
CP1: 제1 커버 기판 CP2: 제2 커버 기판
CHOE: 입광 소자 LO: 데코 레이어
VHOE: 출광 소자 LS: 광원
LR1: 제1 저 굴절 층 LR2: 제2 저 굴절층
100: 입사광 200: 진행광
300: 출사광 400: 검출광
500: 흡수광 SA: 이미지 센싱 영역
1000: 0차 회절광

Claims (11)

  1.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을 수용하는 길이와 폭 그리고 일정한 두께를 갖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부 표면에 부착된 지향성 광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지향성 광 유닛은,
    상기 길이와 상기 폭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고 제1 저 굴절층을 매개로 면 합착된 제1 커버 기판 및 제2 커버 기판;
    상기 제2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에서,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된 출광 소자;
    상기 제2 커버 기판의 하부 표면에서, 상기 출광 소자의 일측변에서 상기 표시 영역 외측에 배치된 입광 소자;
    상기 출광 소자 및 상기 입광 소자의 하부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상부 표면에 부착된 제2 저 굴절층;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일측변에서 상기 입광 소자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광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저 굴절층과 상기 제2 저 굴절층은 서로 동일한 굴절율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저 굴절층은, 상기 제1 커버 기판, 상기 제2 커버 기판 및 상기 출광 소자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는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입광 소자의 표면에 정의된 입사점으로 입사광을 제공하며;
    상기 입광 소자는, 상기 입사광을 상기 제2 커버 기판 내부에서 전반사하는 입사각을 갖는 진행광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2 커버 기판 내부로 입사시키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출광 소자는, 상기 진행광의 일부를, 상기 제1 커버 기판의 상부 표면에서는 전반사되고 상기 제1 저 굴절층 및 상기 제2 저 굴절층은 투과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반사각을 갖는 검출광으로 전환하는 홀로그래피 패턴을 구비하는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각은, 상기 출광 소자와 상기 제2 저 굴절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 그리고 상기 제2 커버 기판과 상기 제1 저 굴절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 큰 값을 갖는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각은, 상기 제1 커버 기판과 공기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는 크고, 상기 출광 소자와 상기 제2 저 굴절 층과의 계면에서의 전반사 임계각보다는 작은 값을 갖는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광은, 상기 폭 방향 축과 상기 길이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수평 평면에서는 확산각을 가지며, 상기 길이 방향 축과 상기 두께 방향 축으로 이루어진 수직 평면에서는 상기 입사광의 시준된 상태를 유지하는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각은,
    상기 입사점에서 상기 입광 소자와 대향하는 상기 제2 커버 기판의 타측변의 두 끝점을 각각 연결하는 두 선분이 이루는 내측 각도 이상인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기판의 상기 하부 표면에서 상기 비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일측변과 타측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데코 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광 소자 및 상기 광원은, 상기 데코 레이어 아래에 배치된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 굴절층과 상기 데코 레이어는,
    상기 제1 커버 기판과 상기 제2 커버 기판 사이에 배치된 필름, 코팅 및 패턴 중 어느 하나인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레이어와 상기 입광 소자 사이의 거리는 최소 1.0mm 이상인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기판의 두께는 최소 0.70mm 이상인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0170056318A 2016-12-08 2017-05-02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440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205816.6A EP3334130B1 (en) 2016-12-08 2017-12-07 Flat panel display embedding optical imaging sensor
US15/834,959 US10657352B2 (en) 2016-12-08 2017-12-07 Flat panel display embedding optical imaging sensor
CN201711284734.7A CN108182873B (zh) 2016-12-08 2017-12-07 嵌入有光学图像传感器的平板显示器
JP2017235624A JP6479151B2 (ja) 2016-12-08 2017-12-08 光学式イメージ認識センサー内蔵型平面表示装置
US16/838,368 US11393244B2 (en) 2016-12-08 2020-04-02 Flat panel display embedding optical imaging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097 2016-12-08
KR20160167097 2016-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853A KR20180065853A (ko) 2018-06-18
KR102440209B1 true KR102440209B1 (ko) 2022-09-05

Family

ID=6276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318A KR102440209B1 (ko) 2016-12-08 2017-05-02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2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932B1 (ko) * 2018-12-28 2024-04-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과 광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2502A1 (en) * 2002-09-30 2004-04-0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beam expansion in a display device
US20150185393A1 (en) 2013-12-31 2015-07-02 Lg Display Co., Ltd. Thin film type back light unit for flat panel display
CN105184282A (zh) * 2015-10-14 2015-12-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光学指纹检测装置及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171B1 (ko) * 2003-06-24 2006-08-02 주식회사 에스엘 엘씨디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US7573640B2 (en) * 2005-04-04 2009-08-11 Mirage Innovations Ltd. Multi-plane optical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2502A1 (en) * 2002-09-30 2004-04-0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beam expansion in a display device
US20150185393A1 (en) 2013-12-31 2015-07-02 Lg Display Co., Ltd. Thin film type back light unit for flat panel display
CN105184282A (zh) * 2015-10-14 2015-12-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光学指纹检测装置及显示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853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9151B2 (ja) 光学式イメージ認識センサー内蔵型平面表示装置
KR102040651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006267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630571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418802B1 (ko) 표시장치
KR102646158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515292B1 (ko) 박막 평판형 광학 이미지 센서 및 광학 이미지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US10776598B2 (en) Display device with optical image sensor device for fingerprint detection
KR102460111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102375705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KR102440209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KR20180073763A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