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561B1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561B1
KR102630561B1 KR1020190014888A KR20190014888A KR102630561B1 KR 102630561 B1 KR102630561 B1 KR 102630561B1 KR 1020190014888 A KR1020190014888 A KR 1020190014888A KR 20190014888 A KR20190014888 A KR 20190014888A KR 102630561 B1 KR102630561 B1 KR 102630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ressure
tire
vehicle
normal condition
outpu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7472A (ko
Inventor
장재혁
양민식
황용환
김영
강현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4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561B1/ko
Priority to US16/560,639 priority patent/US10878792B2/en
Publication of KR20200097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01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 B60C23/002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by monitoring conditions other than tyre pressure or de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86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comprising additional sensors in the wheel or tyre mounted monitoring device, e.g. movement sensors, microphones or earth magnetic fiel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10Arrangement of tyre-inflating pumps mounted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04R29/003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of the moving-coi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제1 타이어; 제2 타이어;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감지부; 제2 타이어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및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미리 정해진 정상 조건을 만족하면, 제2 타이어가 진동하도록 진동 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VEHICLE}
스페어 타이어를 이용하여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스피커장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유닛이 박스형태로 된 인클로저(Enclosure)에 장착된다. 스피커유닛의 음향은 진동판 전면에서 발생하는 음과 진동판 후면에서 발생한 음이 간섭되어 왜곡될 수 있는데, 인클로저가 스피커유닛의 전면 음과 후면 음의 간섭을 방지해 양호한 음향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또 인클로저 내부의 공명공간이 저음을 보강해 음질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스피커장치를 차량에 장착할 때는 여러가지 제약이 따른다. 양호한 음향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큰 부피의 인클로저가 필요한데, 차량 실내공간처럼 협소한 곳에는 부피가 큰 인클로저를 장착하기 어렵다. 또 부피가 큰 인클로저는 차량의 중량을 높이고, 원가를 상승시키기도 한다.
일 측면은 스페어 타이어를 이용하여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제1 타이어; 제 2 타이어;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제 2 타이어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및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미리 정해진 정상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 2 타이어가 진동하도록 상기 진동 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자속을 발생시키는 마그넷; 상기 자속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진동하는 보이스코일; 및 상기 보이스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정상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보이스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타이어는, 상기 보이스코일의 진동에 의하여 진동하고,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공기압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정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타이어의 공기압이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상기 공기압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정상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 2 타이어의 공기압이 최대 가능 값이 되도록 상기 공기압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정상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 2 타이어의 공기압이 감소하도록 상기 공기압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출력모드를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출력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타이어의 타겟 공기압을 결정하고, 상기 제 2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타겟 공기압이 되도록 상기 공기압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출력모드가 제1 출력모드이면, 상기 타겟 공기압을 최저 가능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압 조절부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타이어는, 차체 내부 또는 외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지하고; 및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미리 정해진 정상 조건을 만족하면, 제 2 타이어가 진동하도록 진동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동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정상 조건을 만족하면, 보이스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이스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는 것은, 상기 보이스코일의 진동에 의하여 상기 제 2 타이어를 진동시키고, 상기 제 2 타이어에 의해 음압을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정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정상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 2 타이어의 공기압이 최대 가능 값이 되도록 상기 제 2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정상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 2 타이어의 공기압이 감소하도록 상기 제 2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출력모드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출력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타이어의 타겟 공기압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제 2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타겟 공기압이 되도록 상기 제 2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출력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타이어의 타겟 공기압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출력모드가 제1 출력모드이면, 상기 타겟 공기압을 최저 가능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타이어는, 차체 내부 또는 외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미리 정해진 정상 조건을 만족하면, 제 2 타이어를 진동시키는 단계;를 실행시키도록 기록 매체에 저장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별도의 인클로저가 적용된 서브 우퍼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차량 내 공간 점유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동시에, 다양한 공진 주파수의 음원 출력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는 음원 출력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조절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압 조절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스페어 타이어(110), 입력부(120) 및 스피커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어 타이어(110)는 차량(100)의 휠에 장착된 타이어를 대체할 수 있는 타이어로, 비상시에 대비하여 차량(100)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어 타이어(110)는 차체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페어 타이어(110)는 차체 내부의 트렁크 공간에 배치되거나 차체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차량(100)의 종류에 따라 차량(100)의 후방 또는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페어 타이어(110)는 차량(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출력모드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출력모드는 출력되는 음원의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하며, 특정 대역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음원을 강조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낮은 음역을 강조하기 위한 저음 설정 모드를 수신할 수 있으며, 출력되는 저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계별 저음 설정 모드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에 마련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입력부(120)는 차량(1)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 조작부(미도시)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유저 입력을 위해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미도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터치 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패널(TSP)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미도시)는 입력부(120)로도 사용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200)은 감지부(240), 공기압 조절부(220), 진동 발생부(210),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240)는 휠에 장착된 타이어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240)는 휠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휠에 장착된 타이어는 차량(100)의 휠에 장착된 타이어로, 주행에 사용되는 타이어를 의미한다.
이 외에도 감지부(240)는 휠에 장착된 타이어의 온도 등의 다양한 타이어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전술한 공기압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감지부(240)는 타이어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240)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공기압 센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40)는 타이어 공기압 감지 시스템(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240)는 휠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결과는 후술할 제어부(230)의 제어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
진동 발생부(210)는 스페어 타이어(110)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발생부(210)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스페어 타이어(110)로 발생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를 참조하면, 진동 발생부(210)는 자속을 발생시키는 마그넷(211), 전류 인가시에 자화되면서 마그넷(21)에서 발생된 자속과 상호 작용하여 변위하는 보이스코일(212) 및 보이스코일(212)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보이스코일(212)은 전류 인가시에 자화됨으로써 마그넷(21)에서 발생된 자속과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다. 그 결과 보이스코일(212)은 변위운동, 즉 진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이스코일(212)의 진동에 의하여 스페어 타이어(110)는 진동할 수 있고, 스페어 타이어(110)는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진동 발생부(210)는 스페어 타이어(110)의 일면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부(210)의 일면과 스페어 타이어(110)의 일면은 접촉될 수 있고, 접촉면을 통하여 진동 발생부(210)에서 발생된 진동이 스페어 타이어(1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 발생부(210)와 접촉하는 스페어 타이어(110)의 일면에 진동이 전달될 수 있으며, 스페어 타이어(110)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진동 발생부(210)와 스페어 타이어(110)의 연결 방식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동이 전달되기 위한 다양한 연결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13)는 보이스코일(212)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부(213)는 보이스코일(212)에 직류 전류 또는 교류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213)는 보이스코일(212)에 전류 뿐만 아니라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전원부(213)는 후술할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보이스코일(212)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보이스코일(212)이 진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부(213)는 보이스 코일(213)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다양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컨버터 또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공기압 조절부(220)는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압 조절부(220)는 스페어 타이어(110)로 공기압을 공급함으로써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이 증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스페어 타이어(110)로부터 공기압을 배출함으로써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이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를 참조하면, 공기압 조절부(220)는 피스톤(221), 액추에이터(222)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221)은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222)는 피스톤(221)을 구동할 수 있으며, 피스톤(221)이 슬라이딩 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222)는 후술할 제어부(23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피스톤(221)을 구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액추에이터(222)는 공기압 조절부(22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23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외로, 공기압 조절부(220)는 실린더, 기어 등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휠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이 미리 정해진 정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스페어 타이어(110)가 진동하도록 상기 진동 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미리 정해진 정상 조건은 휠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이 주행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 대한 조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정상적으로 주행 가능한 공기압 범위에 대한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휠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이 미리 정해진 정상 조건을 만족하면, 보이스코일(212)에 전류를 인가하도록 전원부(213)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부(213)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의하여 보이스코일(212)은 진동할 수 있고, 보이스코일(212)의 진동에 의하여 스페어 타이어(110)는 진동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어 타이어(110)의 진동에 의하여 음압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휠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이 미리 정해진 정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이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공기압 조절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30)는 공기압 조절부(220)로 공기압 공급 신호 또는 공기압 배출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공기압 조절부(220)의 액추에이터(222)에 의한 피스톤(221)의 동작에 의하여 스페어 타이어(110)로부터 공기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이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휠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이 미리 정해진 정상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이 최대 가능 값이 되도록 공기압 조절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휠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이 미리 정해진 정상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230)는 스페어 타이어(110)가 주행하는데 사용될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휠에 장착되기 전 스페어 타이어(110)가 주행 가능한 상태에 있도록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이 최대 가능 값이 되도록 공기압 조절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230)는 주행에 사용되는 휠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이 정상 상태가 아닌 경우, 스페어 타이어(110)가 주행에 적합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주행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어부(230)는 휠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이 정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이 감소하도록 공기압 조절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휠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이 정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스페어 타이어(110)가 주행에 사용되지 않으므로, 제어부(230)는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을 감소시켜 탄성 계수가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스페어 타이어(110)의 탄성 계수가 낮아지면, 스페어 타이어(110)의 진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음압의 공진 주파수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낮은 음역대의 음원이 보다 풍부하게 출력될 수 있으며, 스페어 타이어(110)는 우퍼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입력부(120)를 통하여 수신된 출력모드에 기초하여 스페어 타이어(110)의 타겟 공기압을 결정할 수 있고,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이 타겟 공기압이 되도록 공기압 조절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수신된 출력모드에 대응하는 공기압 값을 타겟 공기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신된 출력모드에 대응하는 공기압 값은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단계별로 구별되는 출력모드를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230)는 수신된 출력모드에 대응하는 공기압 값을 타겟 공기압으로 결정함으로써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을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출력모드가 제1 출력모드이면, 제어부(230)는 타겟 공기압을 최저 가능 값으로 결정할 수 있고,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이 최저 가능 값이 되도록 공기압 조절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 출력모드는 저음 강화 모드일 수 있으며, 낮은 음역이 제일 풍부하게 출력되기 위한 출력모드일 수 있다.
제어부(230)는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이 최저 가능 값이 되도록 함으로써, 스페어 타이어(110)의 탄성 계수를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페어 타이어(110)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원의 공진 주파수가 최소값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30)는 공기압 조절부(220)로 공기압 최대 배출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공기압 조절부(220)의 액추에이터(222)에 의한 피스톤(221)의 동작에 의하여 스페어 타이어(110)로부터 공기압이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제어부(230)의 동작에 의하여 스페어 타이어(110)가 주행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이 조절될 수 있으며, 스페어 타이어(110)는 음원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스피커유닛을 위한 인클로저가 불필요하므로, 공간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 조절에 의하여 탄성 계수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스페어 타이어(110)에서 출력되는 음원의 공진 주파수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음역대의 음원의 출력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요구에 보다 적합한 음원의 출력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차량(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차량(100)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200)은 피스톤(221)을 내부에 포함하는 외장(201), 스피커 유닛(200)이 스페어 타이어(110)에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타이어 장착부(202), 스피커 유닛(200)의 일면에 마련되는 공기 유입구(222), 일면이 스페어 타이어(110)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진동 발생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 장착부(202)는 스페어 타이어(110)의 일부분과 장착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크류, 볼트 등의 금속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스페어 타이어(110)의 중심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페어 타이어(110)에 장착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공기 유입구(222)는 스페어 타이어(110)와 스피커 유닛(220) 사이에서 공기압이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피스톤(221)의 움직임에 따라 공기압이 스피커 유닛(220)으로부터 스페어 타이어(110)로 전달되거나 스페어 타이어(110)에서 스피커 유닛(220)으로 전달되기 위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진동 발생부(210)는 스페어 타이어(110)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진동 발생부(210)는 스페어 타이어(110)와 연결되거나 스페어 타이어(110)와 접촉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발생부(210)는 그 일면이 스페어 타이어(110)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으며, 접촉된 면을 통하여 진동 발생부(210)에서 발생된 진동이 스페어 타이어(110)로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진동 발생부(210)와 스페어 타이어(110)의 연결 방식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동이 전달되기 위한 다양한 연결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스피커 유닛(200)의 각 구성의 위치 및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범위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휠 타이어의 공기압이 미리 정해진 정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310). 이 때, 미리 정해진 정상 조건은 휠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이 주행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 대한 조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정상적으로 주행 가능한 공기압 범위에 대한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휠 타이어의 공기압이 미리 정해진 정상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310의 아니오), 차량(100)은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이 최대 가능 값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350).
휠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이 미리 정해진 정상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100)은 스페어 타이어(110)가 주행하는데 사용될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휠에 장착되기 전 스페어 타이어(110)가 주행 가능한 상태에 있도록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이 최대 가능 값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100)은 주행에 사용되는 휠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이 정상 상태가 아닌 경우, 스페어 타이어(110)가 주행에 적합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주행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휠 타이어의 공기압이 미리 정해진 정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310의 예), 차량(100)은 출력모드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320). 이 때, 출력모드는 출력되는 음원의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하며, 특정 대역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음원을 강조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모드는 사용자로부터 낮은 음역을 강조하기 위한 저음 설정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출력되는 저음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계별 저음 설정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모드가 수신된 경우(320의 예), 차량(100)은 출력모드에 기초하여 타겟 공기압을 결정할 수 있다(330).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수신된 출력모드에 대응하는 공기압 값을 타겟 공기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신된 출력모드에 대응하는 공기압 값은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로부터 단계별로 구별되는 출력모드가 수신되면, 차량(100)은 수신된 출력모드에 대응하는 단계별 공기압 값을 타겟 공기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출력모드가 제1 출력모드이면, 차량(100)은 타겟 공기압을 최저 가능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 출력모드는 저음 강화 모드일 수 있으며, 낮은 음역이 제일 풍부하게 출력되기 위한 출력모드일 수 있다.
출력모드에 기초하여 타겟 공기압이 결정되면, 차량(100)은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이 타겟 공기압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340).
차량(100)은 타겟 공기압에 도달하기 위한 공기압 배출 신호 또는 공기압 공급 신호를 공기압 조절부(220)로 전달할 수 있고, 공기압 조절부(220)의 액추에이터(222)에 의한 피스톤(221)의 동작에 의하여 스페어 타이어(110)로부터 공기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이 증가 또는 감소함으로써 타겟 공기압에 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100)은 스페어 타이어(110)의 공기압 조절 동작을 통하여 스페어 타이어(110)의 탄성 계수를 조절할 수 있다. 진동판의 탄성 계수가 고정되는 종래의 스피커 장치와는 달리, 차량(100)은 스페어 타이어(110)의 탄성 계수 조절에 따라 스페어 타이어(110)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원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음역대의 음원의 출력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요구에 보다 적합한 음원의 출력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스페어 타이어(110)가 주행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페어 타이어(110)는 음원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로 기능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스피커유닛을 위한 인클로저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공간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설계상 편의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차량
110: 스페어 타이어
120: 입력부
200: 스피커 유닛
210: 진동 발생부
220: 공기압 조절부
230: 제어부
240: 감지부

Claims (20)

  1. 제1 타이어;
    제2 타이어;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제2 타이어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및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미리 정해진 정상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2 타이어가 진동하도록 상기 진동 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자속을 발생시키는 마그넷;
    상기 자속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진동하는 보이스코일; 및
    상기 보이스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정상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보이스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이어는,
    상기 보이스코일의 진동에 의하여 진동하고, 음압을 발생시키는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공기압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정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타이어의 공기압이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상기 공기압 조절부를 제어하는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정상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 2 타이어의 공기압이 최대 가능 값이 되도록 상기 공기압 조절부를 제어하는 차량.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정상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2 타이어의 공기압이 감소하도록 상기 공기압 조절부를 제어하는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출력모드를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출력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타이어의 타겟 공기압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타겟 공기압이 되도록 상기 공기압 조절부를 제어하는 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출력모드가 제1 출력모드이면, 상기 타겟 공기압을 최저 가능 값으로 결정하는 차량.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조절부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차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이어는,
    차체 내부 또는 외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제1 타이어는,
    휠에 장착되는 차량.
  11.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지하고; 및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미리 정해진 정상 조건을 만족하면, 제2 타이어가 진동하도록 진동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정상 조건을 만족하면, 보이스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는 것은,
    상기 보이스코일의 진동에 의하여 상기 제2 타이어를 진동시키고, 상기 제2 타이어에 의해 음압을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정상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정상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2 타이어의 공기압이 최대 가능 값이 되도록 상기 제2 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정상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제2 타이어의 공기압이 감소하도록 상기 제2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출력모드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출력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타이어의 타겟 공기압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제2 타이어의 공기압이 상기 타겟 공기압이 되도록 상기 제2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출력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타이어의 타겟 공기압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수신된 출력모드가 제1 출력모드이면, 상기 타겟 공기압을 최저 가능 값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이어는,
    차체 내부 또는 외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타이어는,
    휠에 장착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이어의 공기압이 미리 정해진 정상 조건을 만족하면, 제2 타이어를 진동시키는 단계;를 실행시키도록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14888A 2019-02-08 2019-02-08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630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888A KR102630561B1 (ko) 2019-02-08 2019-02-08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6/560,639 US10878792B2 (en) 2019-02-08 2019-09-04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888A KR102630561B1 (ko) 2019-02-08 2019-02-08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472A KR20200097472A (ko) 2020-08-19
KR102630561B1 true KR102630561B1 (ko) 2024-01-30

Family

ID=71945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888A KR102630561B1 (ko) 2019-02-08 2019-02-08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78792B2 (ko)
KR (1) KR1026305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34811A1 (en) * 2020-10-29 2022-05-05 William Pamphile Automatic air tire technology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4984A (ja) 2008-07-30 2010-02-12 Kenwood Corp スピーカ
WO2011052081A1 (ja) 2009-10-30 2011-05-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ペアタイヤ内スピーカ装置の取り付け構造
JP6289008B2 (ja) 2013-10-03 2018-03-0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音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5287B1 (en) * 2000-02-28 2002-09-03 Donnelly Corporation Tire inflation assistance monitoring system
WO2003103993A1 (en) * 2002-06-10 2003-12-18 Pirelli Pneumatici S.P.A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detected tyre operating conditions
US6837104B2 (en) * 2002-10-08 2005-01-04 Itzhak Sapir Tire safety system
US6945103B1 (en) * 2004-04-26 2005-09-20 Seetron Inc. Tire status monitoring system
JP4587866B2 (ja) * 2005-04-15 2010-11-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ピーカー装置
US20070241872A1 (en) * 2006-04-12 2007-10-18 Legen Technology Company Tire detecting device
JP4270284B2 (ja) * 2007-01-30 2009-05-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輪状態監視システムおよび車輪状態検出装置
JP2013014196A (ja) * 2011-07-01 2013-01-24 Sony Corp スピーカーユニット
DE102015117024A1 (de) * 2015-10-06 2017-04-06 Infineon Technologies Ag Eine Vorrichtung, eine Reifendruckmessvorrichtung, ein Reifen, ein Verfahren und ein Computerprogramm zum Erhalten einer Information, die eine Profiltiefe anzeigt
JP6641595B2 (ja) * 2016-02-15 2020-02-0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車両用警報装置
JP2018100001A (ja) * 2016-12-20 2018-06-2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タイヤ空気圧検出システム、車体側装置及びタイヤ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4984A (ja) 2008-07-30 2010-02-12 Kenwood Corp スピーカ
WO2011052081A1 (ja) 2009-10-30 2011-05-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ペアタイヤ内スピーカ装置の取り付け構造
JP6289008B2 (ja) 2013-10-03 2018-03-0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音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58491A1 (en) 2020-08-13
KR20200097472A (ko) 2020-08-19
US10878792B2 (en)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0096B2 (en) Audio circuitry
US20200387225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a haptic output signal to a haptic actuator
US7728822B2 (en) Touch-panel input device having a function for providing vibr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vibration in response to input operation
KR102630561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EP2757552A1 (en) Soundboard acoustic transducer
US106209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bass tactile output associated with an audio signal
JP2012034204A (ja) 電気音響変換器
CN109466467A (zh) 基于可调节座椅定位的声音调谐
US7050594B2 (en) Sound control unit and sound system
CN104662930A (zh) 声音信号转换设备的保护装置
KR101614702B1 (ko) 진동 기능을 지닌 마이크로스피커 모듈을 구비한 전기 기기
TW202045393A (zh) 方向盤
US10048927B2 (en) Audio display playback control
CN105405437B (zh) 电子乐器
JPH0580748A (ja) 鍵盤楽器
JPS60254899A (ja) スピ−カ装置
JP2018195143A (ja) 制御装置、入力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20210129157A (ko) 디지털 아날로그 혼합 햅틱 효과 컨트롤러를 위한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US20080192949A1 (en) Active noise elimination electronic system
KR20070035340A (ko) 디지털 피아노 및 음량 조절 방법
US9305524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1111463A (en) Horn and similar instrument.
US20220334642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4743080B2 (ja) モーショナル・フィードバック方式スピーカシステム
JPH05232969A (ja) 車両用振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